KR101637141B1 - 유압 셔블 - Google Patents

유압 셔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141B1
KR101637141B1 KR1020157013624A KR20157013624A KR101637141B1 KR 101637141 B1 KR101637141 B1 KR 101637141B1 KR 1020157013624 A KR1020157013624 A KR 1020157013624A KR 20157013624 A KR20157013624 A KR 20157013624A KR 101637141 B1 KR101637141 B1 KR 101637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cooling device
oil cooler
front surface
upp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1304A (ko
Inventor
히로노리 요츠즈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8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8Arrangements of lubricant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 장치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캡 후방벽의 근방에의 냉각 장치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유압 셔블을 제공한다. 캡의 후방벽(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립 벽부(21)와, 직립 벽부(21)의 상방 가장자리에 접속되며, 직립 벽부(21)의 상방 가장자리에 대하여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 벽부(22)를 가지고 있다. 냉각 장치인 오일 쿨러(60)의 외표면은, 직립 벽부(21)에 대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면(66)과,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에 접속되며,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에 대하여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67)을 가지고 있다. 경사 벽부(22)는, 직립 벽부(21)에 접속된 일측 가장자리와, 일측 가장자리와 반대측의 타측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으며, 오일 쿨러(60)의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는 타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직립 벽부(21)와 경사 벽부(22)가 이루는 각도(α)는, 전방면(66)과 경사면(67)이 이루는 각도(β) 이상이다.

Description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본 발명은 유압 셔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 장치를 구비하는 유압 셔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압 셔블은, 엔진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냉각하는 오일 쿨러, 엔진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냉각하는 인터 쿨러 등의, 각종 냉각 장치를 구비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46943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캡의 후방벽의 하부를 캡 내측을 향하여 들어가게 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후방벽 후방에 공간부를 마련하고, 라디에이터 및 오일 쿨러는 측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캡의 후방벽 하부와 라디에이터의 측면 사이에 격벽 플레이트를 마련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46943호 공보
유압 셔블은, 선회 시에 후방의 장해물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엔진룸을 소형화하며, 캡의 후방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냉각 장치와, 상기 후방벽 사이의 공간을 감소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측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냉각 장치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캡의 후방벽에 근접시키고자 하면, 냉각 장치가 캡의 후방벽의 경사와 간섭한다. 캡의 후방벽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냉각 장치 전체의 높이를 작게 할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 냉각 장치의 코어부의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냉각 장치의 성능이 저하한다.
캡의 후방벽과 냉각 장치의 외표면 사이에 시일재가 존재하는 경우에, 냉각 장치가 측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냉각 장치의 코너부가 시일재에 선 접촉하여 응력 집중을 야기하여, 시일재를 파손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냉각 장치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캡 후방벽의 근방에의 냉각 장치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시일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유압 셔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압 셔블은, 후방벽을 갖는 캡과, 후방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다. 후방벽은, 직립 벽부와, 경사 벽부를 가지고 있다. 직립 벽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 벽부는, 직립 벽부의 상방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으며, 직립 벽부의 상방 가장자리에 대하여 후방 상측으로 경사져 있다. 냉각 장치의 외표면은, 전방면과,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전방면은, 직립 벽부에 대향하고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면은, 전방면의 상방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방면의 상방 가장자리에 대하여 후방 상측으로 경사져 있다. 경사 벽부는, 직립 벽부에 접속된 일측 가장자리와, 일측 가장자리와 반대측의 타측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냉각 장치의 전방면의 상방 가장자리는, 경사 벽부의 타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직립 벽부와 경사 벽부가 이루는 각도는, 전방면과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 이상이다.
본 발명의 유압 셔블에 따르면, 캡의 후방벽과 냉각 장치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 장치를 후방벽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 장치의 냉각 성능을 유지하면서, 캡의 후방벽의 근방에의 냉각 장치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유압 셔블을 실현시킬 수 있다. 캡의 후방벽과 냉각 장치의 외표면 사이에 시일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일재를 경사면에 면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응력 집중을 완화하여 시일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셔블에 있어서, 전방면의 상방 가장자리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직립 벽부와 경사 벽부가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과, 직립 벽부의 상방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냉각 장치와 캡의 후방벽 사이에 시일재를 충전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냉각 장치와 후방벽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셔블에 있어서, 경사면은, 경사 벽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냉각 장치를, 후방벽의 직립 벽부와 경사 벽부의 양방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벽과 냉각 장치의 간격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셔블은, 작업기와, 작업기를 구동시키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한다. 냉각 장치는,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냉각하는 오일 쿨러이다. 이에 의해, 캡의 후방벽과 오일 쿨러의 간섭을 억제하여, 오일 쿨러에 의한 작동유의 냉각 성능을 유지하면서, 캡의 후방벽의 근방에 오일 쿨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유압 셔블에 있어서, 오일 쿨러는, 내부를 통과하는 작동유를 냉각하는 코어부와, 코어부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 탱크를 포함한다. 냉각 장치의 전방면과 경사면은, 상부 탱크의 외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상부 탱크의,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부 탱크의 외표면에 경사면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코어부의 형상이 유지되고, 또한 오일 쿨러와 후방벽의 간섭 방지를 위해 코어부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어, 코어부의 치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부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냉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부 탱크를,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는 형상으로 하면, 상부 탱크에 경사면을 마련하여도 상부 탱크의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상기 유압 셔블은, 냉각 장치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냉각 장치를 더 구비한다. 제2 냉각 장치의 최상면은, 냉각 장치의 최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후방벽의 경사 벽부의 경사에 맞추어, 냉각 장치와 비교하여 제2 냉각 장치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냉각 장치의 냉각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유압 셔블은, 후방벽과 냉각 장치의 외표면 사이에 마련된 시일재를 더 구비한다. 냉각 장치의 외표면이 경사면을 가짐으로써, 시일재를 경사면에 면 접촉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응력 집중을 완화하여 시일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 장치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캡 후방벽의 근방에 냉각 장치를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시일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유압 셔블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압 셔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을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압 셔블을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선회 프레임 상에 탑재된 엔진실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선회 프레임 상에 탑재된 엔진실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유압 셔블에 적용되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캡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유압 셔블에 탑재된 오일 쿨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의 캡의 후방벽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캡의 후방벽과 오일 쿨러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캡의 후방벽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오일 쿨러의 상부 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 중에 나타내는 ⅩⅢ-ⅩⅢ선을 따르는 상부 탱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우선,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 가능한 유압 셔블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압 셔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압 셔블(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와, 작업기(4)와, 카운터 웨이트(5)와, 냉각 유닛(6)과, 캡(10)을 주로 구비한다.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에 의해, 작업 차량 본체가 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2)는, 진행 방향 좌우 양단 부분에 감겨진 한 쌍의 무한 궤도(P)를 가지고 있다. 하부 주행체(2)는, 한 쌍의 무한 궤도(P)가 회전함으로써 자주(自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전방 좌측에, 유압 셔블(1)의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운전실인 캡(10)을 포함한다. 상부 선회체(3)는, 후방측에, 엔진을 수납하는 엔진실과 카운터 웨이트(5)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10) 내에 운전자가 착좌한 상태로, 운전자의 전방측(정면측)을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으로 하고, 이것과 반대측, 즉 운전자의 후방측을 상부 선회체(3)의 후방측으로 하여, 착좌 상태에서의 운전자의 좌측을 상부 선회체(3)의 좌측으로 하고, 착좌 상태에서의 운전자의 우측을 상부 선회체(3)의 우측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부 선회체(3)의 전후 좌우와 유압 셔블(1)의 전후 좌우는 일치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을 도면 중 화살표 X, 좌우 방향을 도면 중 화살표 Y, 상하 방향을 도면 중 화살표 Z로 나타내고 있다.
토사의 굴착 등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4)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상부 선회체(3)에 의해 피봇 지지되어 있다. 작업기(4)는,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의 대략 중앙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붐(4a)과, 붐(4a)의 선단부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4b)과, 아암(4b)의 선단부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버킷(4c)을 가지고 있다. 붐(4a), 아암(4b) 및 버킷(4c)은 각각, 유압 실린더(38)에 의해, 요동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기(4)는, 캡(10)에 탑승하고 있는 오퍼레이터가 작업기(4)의 선단부를 내다볼 수 있도록, 캡(10)에 대하여, 캡(10)의 한쪽의 측부측인 우측에 마련되어 있다. 캡(10)은, 작업기(4)의 부착 부분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캡(10)과 작업기(4)의 배치는 도 1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상부 선회체(3)의 전방에 작업기(4)를 배치하고, 작업기(4)의 후방[상부 선회체(3)의 거의 중앙]에 캡(10)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카운터 웨이트(5)는, 채굴 시 등에 있어서 차체의 밸런스를 잡기 위해 상부 선회체(3)의 후방부에 배치된 추이다. 냉각 유닛(6)은, 상부 선회체(3)의 후방부의 엔진실 내에 수용되어 있다. 냉각 유닛(6)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 상세히 기술한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1)을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3)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압 셔블(1)을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3)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해 보면, 상부 선회체(3)의 후방측의 엔진실은, 상면판(15)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덮어져 있고, 상측의 측판인 상측판(16) 및 하측의 측판인 하측판(17)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덮어져 있다. 상면판(15)은, 엔진실의 상측의 외형을 규정하고 있다. 상측판(16) 및 하측판(17)은, 엔진실의 좌우측 및 후방측의 외형을 규정하고 있다. 상측판(16)에는, 엔진실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공(18)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판(17)에는, 엔진실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공(19)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공(18, 19)은, 상부 선회체(3)의 후방 좌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는, 선회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선회 프레임(12)은, 도 1에 나타내는 하부 주행체(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작업기(4), 캡(10), 카운터 웨이트(5) 및 냉각 유닛(6)은, 선회 프레임(12)에 탑재되어 있고, 선회 프레임(12)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12)의 전단 중앙부에는, 작업기(4)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센터 브래킷(13)이 마련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5)는, 냉각 유닛(6)의 후방측을 덮어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선회 프레임(12) 상에 탑재된 엔진실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해 보면, 상면판(15), 상측판(16) 및 하측판(17)에 의해 상방 및 측방을 덮어 규정된 엔진실 내에는, 냉각 유닛(6), 엔진(7) 및 팬(8)이 수용되어 있다.
엔진실 내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냉각 유닛(6), 팬(8), 엔진(7)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냉각 유닛(6)은, 팬(8)에 대하여 좌측, 즉 통기공(18, 19)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7)은, 팬(8)에 대하여 우측, 즉 통기공(18, 19)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팬(8)은, 엔진(7)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엔진실 내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냉각 유닛(6)은, 평면에서 보아 캡(10)에 중첩되도록 선회 프레임(12) 상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 유닛(6)은 오일 쿨러(60), 인터 쿨러(70) 및 라디에이터(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오일 쿨러(60)는, 유압 실린더(38) 등의, 유압 셔블(1)에 탑재된 각종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이다. 인터 쿨러(70)는, 엔진(7)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이다. 라디에이터(80)는, 엔진(7)의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이다.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오일 쿨러(60), 인터 쿨러(70), 라디에이터(80)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도 5는 선회 프레임(12) 상에 탑재된 엔진실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엔진(7)에 의해 회전 구동된 팬(8)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도 5 중의 흰 화살표로 나타낸다.
팬(8)이 회전 구동하면, 상측판(16) 및 하측판(17)에 각각 형성된 통기공(18, 19)을 경유하여, 상부 선회체(3)의 외부로부터 엔진실 내에 공기가 유입된다. 공기는 냉각 유닛(6), 팬(8) 및 엔진(7)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흐른다. 냉각 유닛(6)은, 팬(8)에 대하여, 공기의 흐름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7)은, 팬(8)에 대하여, 공기의 흐름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공기는 또한, 상부 선회체(3)의 하부에 형성된 통기공을 경유하여, 엔진실로부터 상부 선회체(3)의 외부에 유출된다.
도 6은 도 1의 유압 셔블(1)에 적용되는 유압 회로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유압 시스템에서는, 유압 펌프(31)가, 엔진(7)에 의해 구동된다. 유압 펌프(31)는, 도 1에 나타내는 작업기(4)를 구동시키는 유압 실린더(38) 등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된다. 유압 펌프(31)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파일럿 변환 밸브(37)를 경유하여, 유압 실린더(38)에 공급된다. 유압 실린더(38)에 공급된 작동유는, 파일럿 변환 밸브(37)를 통해, 탱크(35)에 배출된다. 탱크(35)는, 그 내부에 작동유를 저류한다.
파일럿 변환 밸브(37)는, 유압 실린더(38)에의 작동유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한다. 파일럿 변환 밸브(37)는, 한 쌍의 파일럿 포트(p1, p2)를 가지고 있다. 소정의 파일럿압을 가지고 있는 작동유가 각 파일럿 포트(p1, p2)에 공급됨으로써, 파일럿 변환 밸브(37)가 제어된다.
파일럿 변환 밸브(37)에 인가되는 파일럿압은, 조작 레버 장치(41)가 조작됨으로써 제어된다. 조작 레버 장치(41)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레버(44)와, 제1 파일럿압 제어 밸브(41A) 및 제2 파일럿압 제어 밸브(41B)를 가지고 있다. 조작 레버(44)에는, 유압 실린더(38)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파일럿압 제어 밸브(41A, 41B)가 접속되어 있다.
제1 파일럿압 제어 밸브(41A)는, 제1 펌프 포트(X1)와, 제1 탱크 포트(Y1)와, 제1 급배 포트(Z1)를 가지고 있다. 제1 펌프 포트(X1)는, 펌프 유로(51)에 접속되어 있다. 제1 탱크 포트(Y1)는, 탱크 유로(52)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 유로(51) 및 탱크 유로(52)는, 작동유를 저류하는 탱크(35)에 접속되어 있다. 유압 펌프(31)는 펌프 유로(51)에 마련되어 있다. 제1 급배 포트(Z1)는 제1 파일럿 관로(53)에 접속되어 있다.
제1 파일럿압 제어 밸브(41A)는, 조작 레버(44)의 조작에 따라, 출력 상태와, 배출 상태로 전환된다. 제1 파일럿압 제어 밸브(41A)는, 출력 상태에서는, 제1 펌프 포트(X1)와 제1 급배 포트(Z1)를 연통시켜, 조작 레버(44)의 조작량에 따른 압력의 작동유를 제1 급배 포트(Z1)로부터 제1 파일럿 관로(53)에 출력한다. 또한, 제1 파일럿압 제어 밸브(41A)는, 배출 상태에서는, 제1 탱크 포트(Y1)와 제1 급배 포트(Z1)를 연통시킨다.
제2 파일럿압 제어 밸브(41B)는, 제2 펌프 포트(X2)와, 제2 탱크 포트(Y2)와, 제2 급배 포트(Z2)를 가지고 있다. 제2 펌프 포트(X2)는 펌프 유로(51)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탱크 포트(Y2)는 탱크 유로(52)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급배 포트(Z2)는 제2 파일럿 관로(54)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파일럿압 제어 밸브(41B)는, 조작 레버(44)의 조작에 따라, 출력 상태와, 배출 상태로 전환된다. 제2 파일럿압 제어 밸브(41B)는, 출력 상태에서는, 제2 펌프 포트(X2)와 제2 급배 포트(Z2)를 연통시켜, 조작 레버(44)의 조작량에 따른 압력의 작동유를 제2 급배 포트(Z2)로부터 제2 파일럿 관로(54)에 출력한다. 또한, 제2 파일럿압 제어 밸브(41B)는, 배출 상태에서는, 제2 탱크 포트(Y2)와 제2 급배 포트(Z2)를 연통시킨다.
제1 파일럿압 제어 밸브(41A)와 제2 파일럿압 제어 밸브(41B)는, 짝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 반대 방향의 조작 레버(44)의 조작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예컨대, 제1 파일럿압 제어 밸브(41A)가 조작 레버(44)의 전방 방향으로의 경사 조작에 대응하고, 제2 파일럿압 제어 밸브(41B)가 조작 레버(44)의 후방 방향으로의 경사 조작에 대응하고 있다. 제1 파일럿압 제어 밸브(41A)와 제2 파일럿압 제어 밸브(41B)는, 조작 레버(44)의 조작에 의해 택일적으로 선택된다. 즉, 제1 파일럿압 제어 밸브(41A)가 출력 상태일 때, 제2 파일럿압 제어 밸브(41B)는 배출 상태가 된다. 제1 파일럿압 제어 밸브(41A)가 배출 상태일 때, 제2 파일럿압 제어 밸브(41B)는 출력 상태가 된다.
제1 파일럿압 제어 밸브(41A)는, 파일럿 변환 밸브(37)의 제1 파일럿 포트(p1)에의 작동유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한다. 제2 파일럿압 제어 밸브(41B)는, 파일럿 변환 밸브(37)의 제2 파일럿 포트(p2)에의 작동유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한다. 조작 레버(44)의 조작에 따라, 유압 실린더(38)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 및 배출이 제어되어, 유압 실린더(38)의 신장과 수축이 제어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44)의 조작에 따라, 작업기(4)의 동작이 제어된다.
탱크(35)를 향하여 흐르는 작동유의 유로가 되는 탱크 유로(52)에는, 전술한 오일 쿨러(60)가 마련되어 있다. 오일 쿨러(60)는, 제1 파일럿압 제어 밸브(41A) 또는 제2 파일럿압 제어 밸브(41B)로부터 배출되어 탱크(35)에 복귀되는 작동유를 냉각한다. 오일 쿨러(60)는 또한, 파일럿 변환 밸브(37)로부터 배출되어 탱크(35)에 복귀되는 작동유를 냉각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쿨러(60)는, 유압 실린더(38)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냉각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7은 도 1의 유압 셔블(1)에 있어서의 캡(10)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10)은 후방벽(20)을 가지고 있다. 후방벽(20)은, 도 7 중에 화살표(Z)로 나타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립 벽부(21)와,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 벽부(22)를 가지고 있다. 직립 벽부(21)와 경사 벽부(22)는, 접속 부분(23)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다. 접속 부분(23)은, 직립 벽부(21)의 상방 가장자리를 구성하고, 또한 경사 벽부(22)의 하방 가장자리를 구성하고 있다. 접속 부분(23)은, 경사 벽부(22)에 있어서, 직립 벽부(21)에 접속된 일측 가장자리를 구성하고 있다. 경사 벽부(22)는, 접속 부분(23)과 반대측의 타측 가장자리(24)를 가지고 있다. 접속 부분(23)은, 평판형의 직립 벽부(21)와 평판형의 경사 벽부(22)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 부분이어도 좋다. 또는 접속 부분(23)은, 1장의 평판을 벤딩하여 직립 벽부(21) 및 경사 벽부(22)를 형성한 경우의, 그 벤딩 부분이어도 좋다.
경사 벽부(22)는, 직립 벽부(21)의 상방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경사 벽부(22)는, 접속 부분(23)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후방측을 향하도록,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경사 벽부(22)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립 벽부(21)의 상방 가장자리에 대하여, 후방 상측으로 경사져 있다. 후방벽(20)은, 직립 벽부(21)와 경사 벽부(22)가 각각의 가장자리부에서 접속된, 측면에서 보아 굴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캡(10)은, 후방벽(20)의 하부를 캡(10)의 내부를 향하여 들어가게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냉각 유닛(6)은, 캡(10)의 후방벽(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 유닛(6)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 쿨러(60), 인터 쿨러(70) 및 라디에이터(80)는, 측면에서 보아,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 순서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오일 쿨러(60)는, 후방벽(20)의 경사 벽부(22)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오일 쿨러(60)는, 캡(10)의 후방벽(20)의 직립 벽부(21)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 캡(10)에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냉각 유닛(6)은 또한, 케이스부(91)와, 부착 플레이트(92)와, 연료 쿨러(94)를 포함한다. 케이스부(91)는, 오일 쿨러(60), 인터 쿨러(70) 및 라디에이터(80)가 부착되는, 대략 상자형의 프레임이다. 부착 플레이트(92)는, 인터 쿨러(70) 및 라디에이터(80)의 상부에 부착되어, 인터 쿨러(70) 및 라디에이터(80)를 일체화하고 있다. 연료 쿨러(94)는, 엔진(7)으로 연소되지 않는 연료 등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로서, 냉각 유닛(6)의 하부에 있어서, 오일 쿨러(60), 인터 쿨러(70) 및 라디에이터(80)의 측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캡(10)의 후방벽(20) 중 직립 벽부(21)와 오일 쿨러(60) 사이에는, 시일재(30)가 마련되어 있다. 캡(10)의 후방벽(20) 중 경사 벽부(22)와 오일 쿨러(60) 사이에는, 격벽 플레이트(95)가 마련되어 있다. 라디에이터(80)와 카운터 웨이트(5) 사이에도, 시일재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시일재(30) 및 격벽 플레이트(95)에 의해, 냉각 유닛(6)의 주변의 공극이 폐색되어 있고, 따라서 냉각 유닛(6)을 쇼트 패스하는 공기의 흐름이 억제되어 있다.
도 8은 도 1의 유압 셔블(1)에 탑재된 오일 쿨러(60)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해 보면, 오일 쿨러(60)는, 코어부(61)와, 코어부(61)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 탱크(62)와, 코어부(61)의 하방에 배치된 하부 탱크(64)를 포함한다. 상부 탱크(62)는, 도 6에 나타내는 탱크 유로(52)를 구성하고 있는 오일 배관이 접속되는 접속구(63)를 가지고 있다. 하부 탱크(64)는, 도 6에 나타내는 탱크 유로(52)를 구성하고 있는 오일 배관이 접속되는 접속구(65)를 가지고 있다.
코어부(61)는, 상단이 상부 탱크(62)에 접속되고 하단이 하부 탱크(64)에 접속되는 복수의 세경의 튜브와, 인접하는 튜브 사이에 배치되는 핀(fin)을 가지고 있다. 작동유는, 접속구(65)로부터 하부 탱크(64) 내에 유입되어, 하부 탱크(64)로부터 상부 탱크(62)를 향하여 코어부(61)의 튜브 내를 흐른다. 코어부(61)를 흐르는 작동유는, 팬(8)의 구동에 따라 코어부(61)를 통과하여 흐르는 공기와 열 교환함으로써, 냉각된다. 코어부(61)의 내부를 통과하는 작동유가 공기 흐름으로 방열함으로써, 오일 쿨러(60)는 작동유를 냉각한다. 코어부(61)에 있어서 냉각된 작동유는, 상부 탱크(62)에 일시 저류되고, 접속구(63)를 경유하여 상부 탱크(62)로부터 유출된다.
상부 탱크(62)의 외표면은, 전방면(66)과, 경사면(67)을 가지고 있다. 경사면(67)은,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고,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에 대하여 후방 상측으로 경사져 있다. 상부 탱크(62)는, 전체적으로 보아, 원통을 상하 방향으로 찌부러뜨린 외형을 가지고 있다. 상부 탱크(62)가 이루는 통형상의 양단에 근접함에 따라, 원통과 비교한 변형이 커져 있고, 그 결과, 상부 탱크(62)의 상면에 경사면(6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경사면(67)은,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곡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9는 도 1의 유압 셔블(1)에 있어서의 캡(10)의 후방벽(20)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오일 쿨러(60)가 엔진룸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부 탱크(62)의 전방면(6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캡(10)의 후방벽(20) 중 직립 벽부(21)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상부 탱크(62)의 경사면(67)은, 캡(10)의 후방벽(20) 중 경사 벽부(22)에 대향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보아, 상부 탱크(62)의 전방면(66)과 경사면(67)은, 접속 부분(68)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다. 접속 부분(68)은,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를 구성하고, 또한 경사면(67)의 하방 가장자리를 구성하고 있다. 접속 부분(68)은, 경사 벽부(22)의 타측 가장자리(24)의 높이 위치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경사면(67)은,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경사면(67)은, 접속 부분(68)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후방측을 향하도록,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경사면(67)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방면(66)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상부 탱크(62)는, 전방면(66)과 경사면(67)이 각각의 가장자리부에서 접속된, 측면에서 보아 굴곡한 외형을 가지고 있다. 접속 부분(68)은, 전방면(66)과 경사면(67)이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 부분이어도 좋다.
오일 쿨러(60)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가장 높은 최상면(69)을 가지고 있다. 오일 쿨러(60)의 후방에 배치되는 인터 쿨러(70)는 최상면(79)을 가지고 있다. 인터 쿨러(70)의 후방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80)는 최상면(89)을 가지고 있다. 인터 쿨러(70) 및 라디에이터(80)의 최상면(79, 89)은, 오일 쿨러(60)의 최상면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은 캡(10)의 후방벽(20)과 오일 쿨러(60)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에는, 캡(10)의 후방벽(20) 및 오일 쿨러(60)를 측면에서 본 외형 및 배치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오일 쿨러(60)와 후방벽(20)의 간극에 마련되는 시일재(30) 및 격벽 플레이트(95)는, 도 10에 있어서는, 간략화를 위해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후방벽(20)의 직립 벽부(21)는 후방측의 표면(21s)을 가지고 있다. 후방벽(20)의 경사 벽부(22)는 후방측의 표면(22s)을 가지고 있다. 직립 벽부(21)의 표면(21s)과, 경사 벽부(22)의 표면(22s)은, 접속 부분(23s)에 있어서 접속되어 있다. 표면(21s, 22s)은 평면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표면(21s, 22s)은 접속 부분(23s)에 있어서 교차하고 있다. 후방벽(20)을 측면에서 본 경우에, 직립 벽부(21)의 표면(21s)과 경사 벽부(22)의 표면(22s)이 이루는 각도는, 도 10 중에 나타내는 각도(α)이다.
엔진룸 내에 부착된 오일 쿨러(60)를 측면에서 본 경우에, 상부 탱크(62)의 전방면(66)과 경사면(67)이 이루는 각도는, 도 10 중에 나타내는 각도(β)이다. 캡(10)의 후방벽(20) 및 오일 쿨러(60)의 상부 탱크(62)는, 직립 벽부(21)의 표면(21s)과 경사 벽부(22)의 표면(22s)이 이루는 각도(α)가 상부 탱크(62)의 전방면(66)과 경사면(67)이 이루는 각도(β)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직선(H)은, 표면(21s)과 표면(22s)이 교차하는 접속 부분(23s)을 지나,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나타내고 있다. 즉 직선(H)은, 접속 부분(23)의 높이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중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직선(B)은, 직립 벽부(21)의 표면(21s)과 경사 벽부(22)의 표면(22s)이 이루는 각도(α)의 이등분선을 나타내고 있다. 상부 탱크(62)의 전방면(66)과 경사면(67)의 접속 부분(68)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직립 벽부(21)와 경사 벽부(22)가 이루는 각[각도(α)]의 이등분선을 나타내는 직선(B)과, 직립 벽부(21)의 상방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를 나타내는 직선(H)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직선(H)과 직선(B)은, 각도(γ)를 이루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벽(20)은, 직립 벽부(21)와, 경사 벽부(22)를 가지고 있다. 직립 벽부(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 벽부(22)는, 직립 벽부(21)의 상방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고, 직립 벽부(21)의 상방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접속 부분(23)에 대하여 후방 상측으로 경사져 있다. 오일 쿨러(60)의 외표면은, 전방면(66)과, 경사면(67)을 가지고 있다. 전방면(66)은, 후방벽(20)의 직립 벽부(21)에 대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면(67)은,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고,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접속 부분(68)에 대하여 후방 상측으로 경사져 있다. 직립 벽부(21)와 경사 벽부(22)가 이루는 각도(α)는, 전방면(66)과 경사면(67)이 이루는 각도(β) 이상이다.
경사 벽부(2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립 벽부(21)에 접속된 일측 가장자리로서의 접속 부분(23)과, 접속 부분(23)에 대하여 반대측의 타측 가장자리(24)를 가지고 있다. 오일 쿨러(60)의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인 접속 부분(68)은, 타측 가장자리(24)의 높이 위치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캡(10)의 후방벽(20)의 경사 벽부(22)와 오일 쿨러(60)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오일 쿨러(60)를 후방벽(20)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경사면(67)은, 오일 쿨러(60)의 외표면 중, 상부 탱크(62)의 외표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코어부(61)의 측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형상이 유지되고, 또한 오일 쿨러(60)와 후방벽(20)의 간섭 방지를 위해 코어부(6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어, 코어부(61)의 치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부(61)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냉각 성능을 유지하면서, 캡(10)의 후방벽(20)의 근방에의 냉각 장치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유압 셔블(1)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쿨러(60)의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접속 부분(68)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직립 벽부(21)와 경사 벽부(22)가 이루는 각도(α)의 이등분선을 나타내는 직선(B)과, 직립 벽부(21)의 상방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를 나타내는 직선(H)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오일 쿨러(60)의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를, 각도(α)의 이등분선보다 높으며 직립 벽부(21)의 상방 가장자리보다 낮은 위치에 규정함으로써, 오일 쿨러(60)와 캡(10)의 후방벽(20) 사이에 시일재(30)를 충전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오일 쿨러(60)와 후방벽(2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탱크(62)의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를, 직립 벽부(21)의 상방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에 근접시키면, 직립 벽부(21)의 상방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와 오일 쿨러(60)의 전방면(66)의 상방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가 맞추어지기 때문에, 오일 쿨러(60)의 외표면이 굴곡하는 위치를 후방벽(20)의 굴곡하는 위치에 보다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 쿨러(60)의 코어부(61)의 상단을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코어부(61)의 면적을 증대시켜 오일 쿨러(60)의 냉각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코어부(61)의 면적을 최대화하는 관점에서는, 전방면의 상방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를 직립 벽부(21)의 상방 가장자리와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쿨러(60)의 후방에는, 인터 쿨러(70) 및 라디에이터(80)가 배치되어 있다. 인터 쿨러(70)의 최상면(79) 및 라디에이터(80)의 최상면(89)은, 오일 쿨러(60)의 최상면(69)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후방벽(20)의 경사 벽부(22)의 경사에 맞추어, 오일 쿨러(60)와 비교하여 인터 쿨러(70) 및 라디에이터(80)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인터 쿨러(70) 및 라디에이터(80)의 코어부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 쿨러(70) 및 라디에이터(80)의 냉각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10)의 후방벽(20)과 오일 쿨러(60)의 전방면(66) 및 경사면(67) 사이에는, 시일재(30)가 마련되어 있다. 캡(10)의 후방벽(20)과 오일 쿨러(60)의 외표면 사이에 시일재(30)가 존재하는 경우에, 오일 쿨러(60)가 측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오일 쿨러(60)의 코너부가 시일재(30)에 선 접촉하여 응력 집중을 야기하여, 시일재(30)를 파손시킬 가능성이 있다. 오일 쿨러(60)가 경사면(67)을 가짐으로써, 시일재(30)를 경사면(67)에 면 접촉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응력 집중을 완화하여 시일재(3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캡(10)의 후방벽(20)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오일 쿨러(60)의 상부 탱크(6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 중에 나타내는 ⅩⅢ-ⅩⅢ선을 따르는 상부 탱크(62)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의 오일 쿨러(60)의 상부 탱크(62)는, 측면에서 보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사다리꼴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도 8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상부 탱크(62)는, 원통을 직경 방향으로 찌부러뜨린 형상인 데 비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상부 탱크(62)는, 평면의 조합에 의해 외표면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실시형태의 상부 탱크(62)는, 모두 평면 형상의 전방면(66), 경사면(67) 및 최상면(69)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제2 실시형태의 상부 탱크(62)의 단면 형상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상부 탱크(62)의 단면은, 오일 쿨러(60)가 엔진룸 내에 부착되었을 때의,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대응하고 있다. 접속 부분(68)은, 평판형의 소재를 벤딩하여 전방면(66) 및 경사면(67)을 형성한 경우의, 그 벤딩 부분이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캡(10)의 후방벽(20)의 직립 벽부(21) 및 경사 벽부(22)의 표면(21s, 22s)이 이루는 각[도 10에 나타내는 각도(α)]과, 상부 탱크(62)의 전방면(66) 및 경사면(67)이 이루는 각[도 10에 나타내는 각도(β)]은, 같게 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상부 탱크(62)는, 경사면(67)이 경사 벽부(22)의 표면(22s)과 평행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상부 탱크(62)의 경사면(67)은, 후방벽(20)의 경사 벽부(22)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 따르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탱크(62)의 경사면(67)은, 후방벽(20)의 경사 벽부(22)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오일 쿨러(60)를, 후방벽(20)의 직립 벽부(21)와 경사 벽부(22)의 양방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부(61)의 형상을 유지하여 오일 쿨러(60)의 냉각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후방벽(20)과 오일 쿨러(60)의 간격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전방면(66)이 직립 벽부(21)와 평행하고, 또한 경사면(67)이 경사 벽부(22)와 평행하다면, 전방면(66) 및 직립 벽부(21) 사이의 거리와, 경사면(67) 및 경사 벽부(22) 사이의 거리를 같게 하도록 오일 쿨러(60)를 배치하면, 오일 쿨러(60)의 접속 부분(68)을 도 10에 나타내는 각도(α)의 이등분선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벽(20)에 대한 오일 쿨러(60)의 위치 결정이 보다 용이해져, 엔진실 내에의 오일 쿨러(6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탱크(62)의,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원통을 찌부러뜨린 형상의 외형을 가지고 있는 제1 실시형태의 상부 탱크(62)와 비교하여, 상부 탱크(62)의 용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탱크(62)에 경사면(67)을 마련하여도 상부 탱크(62)의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상부 탱크(62)는, 내압성이 보다 우수하며, 용접 부분이 적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 있어서는, 오일 쿨러(60)의 상부 탱크(62)의 외표면이 경사면(67)을 가지고 있고, 상부 탱크(62)의 외표면 중 전방면(66) 및 경사면(67)이 이루는 각도를 후방벽(20)의 직립 벽부(21) 및 경사 벽부(22)가 이루는 각도와 비교하여 규정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을 가지고 있는 냉각 장치는, 오일 쿨러(6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인터 쿨러(70) 또는 라디에이터(80)를, 냉각 유닛(6) 중 최전방에 배치하여, 경사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냉각 장치의 내부를 흐르는 매체와 냉각 장치를 통과하여 흐르는 공기의 열 교환에 의해 매체가 냉각되는 코어부를 갖고, 또한 코어부의 상하에 탱크를 가지고 있는 냉각 장치이면, 본 발명의 사상을 적합하게 적용 가능하다.
금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 유압 셔블 2 : 하부 주행체
3 : 상부 선회체 4 : 작업기
4a : 붐 4b : 아암
4c : 버킷 5 : 카운터 웨이트
6 : 냉각 유닛 7 : 엔진
8 : 팬 10 : 캡
12 : 선회 프레임 13 : 센터 브래킷
15 : 상면판 16 : 상측판
17 : 하측판 18, 19 : 통기공
20 : 후방벽 21 : 직립 벽부
21s, 22s : 표면 22 : 경사 벽부
23, 23s, 68 : 접속 부분 24 : 타측 가장자리
60 : 오일 쿨러 61 : 코어부
62 : 상부 탱크 63, 65 : 접속구
64 : 하부 탱크 66 : 전방면
67 : 경사면 69, 79, 89 : 최상면
70 : 인터 쿨러 80 : 라디에이터
95 : 격벽 플레이트

Claims (7)

  1. 후방벽을 갖는 캡과,
    엔진과,
    상기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실과,
    상기 엔진실 내에 수용되고, 상기 후방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벽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립 벽부와, 상기 직립 벽부의 상방 가장자리에 접속되며, 상기 직립 벽부의 상방 가장자리에 대하여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 벽부를 갖고,
    상기 냉각 장치의 외표면은, 상기 직립 벽부에 대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면과, 상기 전방면의 상방 가장자리에서 상기 전방면의 상방 가장자리에 직접 접속되는 하부 가장자리를 갖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전방면의 상방 가장자리에 대하여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며,
    상기 경사 벽부는, 상기 직립 벽부에 접속된 일측 가장자리와, 상기 일측 가장자리와 반대측의 타측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전방면의 상방 가장자리는 상기 타측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직립 벽부와 상기 경사 벽부가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전방면과 상기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 이상인 것인 유압 셔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의 상방 가장자리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직립 벽부와 상기 경사 벽부가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과, 상기 직립 벽부의 상방 가장자리의 높이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유압 셔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경사 벽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갖는 것인 유압 셔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업기와,
    상기 작업기를 구동시키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냉각하는 오일 쿨러인 것인 유압 셔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쿨러는, 내부를 통과하는 작동유를 냉각하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면과 상기 경사면은, 상기 상부 탱크의 외표면을 구성하며,
    상기 상부 탱크의,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인 유압 셔블.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장치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냉각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냉각 장치의 최상면은, 상기 냉각 장치의 최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유압 셔블.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과 상기 냉각 장치의 상기 외표면 사이에 마련된 시일재를 더 구비하는 유압 셔블.
KR1020157013624A 2013-12-04 2013-12-04 유압 셔블 KR101637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82538 WO2014181490A1 (ja) 2013-12-04 2013-12-04 油圧ショ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304A KR20150081304A (ko) 2015-07-13
KR101637141B1 true KR101637141B1 (ko) 2016-07-06

Family

ID=5141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624A KR101637141B1 (ko) 2013-12-04 2013-12-04 유압 셔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28748B2 (ko)
JP (1) JP5548323B1 (ko)
KR (1) KR101637141B1 (ko)
CN (1) CN104126044B (ko)
DE (1) DE112013000249B4 (ko)
IN (1) IN2015DN04122A (ko)
WO (1) WO2014181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5649B1 (ja) * 2012-12-07 2014-02-0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旋回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4194A (ja) * 2005-02-22 2006-09-0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冷却装置
JP2009120036A (ja) 2007-11-15 2009-06-04 Komatsu Ltd クーリングコア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油圧ショベ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4776B2 (ja) * 2000-03-02 2009-12-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エンジンルームの冷却構造
EP1325988B1 (en) * 2000-09-18 2011-07-0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ab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3785070B2 (ja) * 2000-09-18 2006-06-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キャブ
WO2004054828A1 (ja) * 2002-12-13 2004-07-0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冷却装置
JP4201126B2 (ja) 2003-04-10 2008-12-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キャブ
JP4613082B2 (ja) * 2005-03-14 2011-01-1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JP4594942B2 (ja) * 2007-01-16 2010-12-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構造
JP5349437B2 (ja) * 2010-09-22 2013-11-20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JP5700569B2 (ja) * 2012-05-11 2015-04-15 日立建機株式会社 ミニショベ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4194A (ja) * 2005-02-22 2006-09-0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冷却装置
JP2009120036A (ja) 2007-11-15 2009-06-04 Komatsu Ltd クーリングコアの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油圧ショ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5DN04122A (ko) 2015-06-26
US9328748B2 (en) 2016-05-03
DE112013000249B4 (de) 2016-11-03
JPWO2014181490A1 (ja) 2017-02-23
DE112013000249T5 (de) 2015-12-17
CN104126044A (zh) 2014-10-29
CN104126044B (zh) 2015-09-30
US20150275937A1 (en) 2015-10-01
JP5548323B1 (ja) 2014-07-16
KR20150081304A (ko) 2015-07-13
WO2014181490A1 (ja)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2925B2 (en) Construction machine
JP6078696B2 (ja) ハイブリッド作業車両
US6898878B2 (en) Piping arrangement for swing type hydraulic excavators
US11299033B2 (en) Work machine
KR101896579B1 (ko) 건설 기계
KR101637141B1 (ko) 유압 셔블
JP2024036372A (ja) 作業機械
JP6303678B2 (ja) 上部旋回体
JP4285882B2 (ja) 作業車両の燃料タンク
JP4750547B2 (ja) 建設機械のタンク装置
JP2022053113A (ja) 建設機械
JP5810784B2 (ja) 建設機械
JP2009155906A (ja) 建設機械の燃料冷却装置
JP2008296615A (ja) 建設機械
JP7148468B2 (ja) 建設機械
JP2007177501A (ja) 建設機械の作動油タンク構造
WO2021131734A1 (ja) 作業機械
JP2006193949A (ja)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JP2005061086A (ja) 小型ショベル
JP5960024B2 (ja) 建設機械の排気装置
JP4208180B2 (ja) 油圧ショベルにおけるキャブへのエンジン熱伝達遮断構造
JPH11131527A (ja) 建設機械のタンク類の設置構造
JP2015209708A (ja) 建設機械
JP2008196202A (ja) 建設機械
JPH10252468A (ja) 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