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471B1 - Reinforced concrete column structure - Google Patents

Reinforced concrete colum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471B1
KR101636471B1 KR1020150067607A KR20150067607A KR101636471B1 KR 101636471 B1 KR101636471 B1 KR 101636471B1 KR 1020150067607 A KR1020150067607 A KR 1020150067607A KR 20150067607 A KR20150067607 A KR 20150067607A KR 101636471 B1 KR101636471 B1 KR 101636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outer plate
steel pipe
concrete
pipe colum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6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중
고석진
노현섭
심규관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4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47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층 및 하층의 기둥부(100)를 연결하는 연결부(20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00)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1 내부공간(111)이 구비된 강관기둥(110); 및 상기 강관기둥(110) 외측을 둘러쌈으로써, 상기 강관기둥(110)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2 내부공간(121)을 형성시키는 외부 플레이트(12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기둥부(1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가로보(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함에 있어, 상층 및 하층의 기둥부(100)를 연결하는 시공을 미리 형성된 연결부(200)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현장 작업을 최소화하여 시공의 난이도를 낮추고,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이에 더하여 연결부(200)에는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가로보(210)가 포함되어 있어, 다층 건물의 시공에 있어 편의성을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crete filling column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200 connecting upper and lower column portions 100, the column portion 100 includes a first internal space 111 in which concrete is filled, A steel pipe column 110 provided; And an outer plate 120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to form a second inner space 121 filled with concrete outside the steel pipe column 110. The connection part 200 may be formed of, (210)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pa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filling column, since the construction fo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illars 100 can be performed by using the connection part 200 formed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te work,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In addition, the connecting part 200 includes a beam 210 for forming a slab, which is convenien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ulti-storey building.

Description

연결부가 구비된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방법{REINFORCED CONCRETE COLUMN STRU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filling column having a connection portion,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전 기둥(철근콘크리트 기둥을 포함한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층 및 하층의 기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된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filling column (including a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crete filling column having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upper and lower column portion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using the same .

콘크리트 충전 기둥은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합성 기둥으로,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8376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459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70023" 등에 개시되어 있다.
The concrete filling pillars are composite pillars filled with concrete in the formwork, and related art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083762, Korean Patent No. 10-1194594, Korean Patent No. 10-0770023, and the like.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콘크리트 충전 기둥은 철재로 형성된 기둥의 중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둥 외부에 형성된 브라켓에 가로보를 연결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었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concrete filling column.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concrete filling column has a structure in which concrete is installed in a hollow of a column made of iron and a cross beam is connected to a bracket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lumn.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 충전 기둥은 기둥을 구성하는 철재 플레이트가 축력, 모멘트 및 전단력 등에 저항하게 설계되므로 모든 힘에 대응하는 철재 플레이트의 두께가 두껍게 설계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어, 공사 비용이 증대되고 철재 플레이트의 내화피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Since the conventional concrete filling column is designed to resist the axial force, moment and shearing force of the steel plate constituting the colum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 corresponding to all the forces must be designed to be large, A refractory coating of the plate has been essentially required.

또한, 철재 플레이트의 연결부는 모든 힘에 대응하는 구조재의 특성상 전체 완전 용입용접이 수행될 것이 요구되어 왔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teel plate has been required to perform the full penetration weld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al member corresponding to all the forces.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종래의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한 측압에 저항하는 모서리 보강부재 및 연결부재를 형성하여 기둥의 외면을 구성함과 동시에 영구 거푸집의 역할을 수행하는 외부 플레이트가 포함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ed colum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crete reinforcing member, And an outer plate which constitutes an outer surface and serves as a permanent di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 기둥 내부공간에 별도의 다이어프램의 형성이 요구되지 않도록 하여 시공의 난이도가 낮고,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filling column in which it is not required to form a separate diaphragm in a space inside a plate column so that the difficulty of the construction is low and the concrete is easily pour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층의 구조물의 기둥에도 적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filling column which can be applied to a column of a high-ris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단축의 효과가 높은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filling column having a high air shortening effec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의 충전에 의해 플레이트 기둥에 가하여지는 측압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filling column capable of effectively dispersing a side pressure applied to a plate column by filling concre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경이 큰 대구경의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filling column capable of constructing a large diameter large-diameter concrete filling colum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층 및 하층의 기둥부를 용이하게 연결하는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crete pillar capable of easily connecting pillars of upper and lower layer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층 및 하층의 기둥부(100)를 연결하는 연결부(20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00)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1 내부공간(111)이 구비된 강관기둥(110); 및 상기 강관기둥(110) 외측을 둘러쌈으로써, 상기 강관기둥(110)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2 내부공간(121)을 형성시키는 외부 플레이트(12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기둥부(1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가로보(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crete filling column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200 connecting upper and lower column portions 100, the column portion 100 having a first inner space A steel pipe column 110 provided with a pipe 111; And an outer plate 12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to form a second inner space 121 filled with concrete outside the steel pipe column 110. The connection part 200 may be formed, (210)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part (100).

여기서,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은 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으며, 상기 기둥부(100)는,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의 내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모서리 보강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outer plate 120 may be angular or circular and the column 100 may further include an edge reinforcing member 130 formed on the inner edge of the outer plate 120 Lt; RTI ID = 0.0 > a < / RTI >

또한, 상기 강관기둥(110)과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을 연결하는 지지부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support pipe 14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140 connecting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the outer plate 120.

또한, 상기 지지부재(140)의 일단은 상기 강관기둥(110)의 외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타단과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는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tube column 11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plate 120.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4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plate 120 A concrete filling column may be used.

또한,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는 복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타단과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은 상기 복수의 부재의 결합 부분에서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outer plate 12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mbers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and the outer plate 120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t an engagemen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members.

또한,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130)는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edge reinforcement members 130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late 120.

또한,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가로보(210)와 결합됨과 아울러, 일단은 하측의 상기 기둥부(100a)의 상기 강관기둥(110a)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측의 상기 기둥부(100b)의 상기 강관기둥(110b)과 결합되는 연결부 강관기둥(230); 및 상기 가로보(210)와 결합됨과 아울러, 일단은 하측의 상기 기둥부(100a)의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a)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측의 상기 기둥부(100b)의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b)와 결합되는 연결부 외부 플레이트(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connecting part 200 is coupled to the beam 210 and has one end coupled to the column 110a of the lower column 100a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upper column 100b A connection steel pipe column 230 coupled with the steel pipe column 110b; And one end thereof is engaged with the outer plate 120a of the lower column portion 100a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with the outer plate 120b of the column portion 100b on the upper side, And a connecting outer plate 220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late.

또한, 상기 제1 내부공간(111)은 상기 강관기둥(110) 및 상기 연결부 강관기둥(230)에 의해서 폐쇄되고, 상기 제2 내부공간(121)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 및 상기 연결부 외부 플레이트(220)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first inner space 111 is closed by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the connecting steel pipe column 230 and the second inner space 121 is closed by the outer plate 120 and the connecting portion outer plate 120. [ And is closed by the connecting rod 220.

또한 상기 강관기둥(1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공간(111)과 상기 제2 내부공간(121)을 연결하는 관통홀(1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And a through hole 112 formed through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connecting the first inner space 111 and the second inner space 121 to each other, Lt; / RTI >

또한, 상기 강관기둥(110)과 상기 연결부 강관기둥(230)이 면접촉되도록, 상기 강관기둥(110)의 단부에는 제1 결합 리브(113)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강관기둥(230)의 단부에는 제2 결합 리브(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A first engaging rib 11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so that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teel pipe column 23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engaging rib 211 is formed on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end portion.

또한, 상기 제1 결합 리브(113) 및 상기 제2 결합 리브(211)에 대응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결합 리브(113) 및 상기 제2 결합 리브(211)를 결합하는 결합부재(150)가 통과되는 결합공(15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first engaging rib 113 and the second engaging rib 211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engaging rib 113 and the second engaging rib 211, And a joint hole 151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160 passes.

또한, 상기 제2 결합리브(211)의 상면과 상기 연결부 강관기둥(230)의 단부가 같은 높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rib 211 and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teel pipe column 230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초(1)에 상기 기둥부(100)를 설치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기둥부(100)의 상부에 상기 연결부(200)를 결합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제1 내부공간(111) 및 상기 제2 내부공간(12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가로보(210)의 상부에 슬라브 콘크리트를 형성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us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S100) of installing the column part (100) on a foundation (1); A second step (S200) of coupling the connection part (200) to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part (100); A third step (S300) of placing concrete in the first internal space (111) and the second internal space (121); And a fourth step (S400) of forming a slab concret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210).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한 측압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둥의 외면을 구성하기 위한 별도의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시공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sist the lateral pressure caused by the pouring of the concrete, and it is also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mold for constru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and to construct a dismantling work.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 기둥 내부공간에 별도의 다이어프램의 형성이 요구되지 않도록 하여 시공의 난이도가 낮고,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required to form a separate diaphragm in the space inside the plate column, the difficulty of the construction is low and the concrete is easily poured.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충전방식의 기둥을 고층의 구조물의 기둥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a concrete-filled column to a column of a high-ris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 시공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ir for constructing structures can be shortened.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충전에 의해 플레이트 기둥에 가하여지는 측압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ide pressure applied to the plate column by the filling of concrete can be effectively dispersed.

본 발명에 따르면 직경이 큰 대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large-sized concrete filling column having a large diamet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층 및 하층의 기둥부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pillars can be easily connected.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철근 배근이 요구하지 않아 시공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고 공정에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ower the degree of difficulty of construction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reinforcement, and it is advantageous for the process.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기둥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연결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연결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연결부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연결부의 보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연결부의 보강리브의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view of a conventional concrete charging column.
2 is a side view of a concrete fill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of a pillar of a concrete fill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of a concrete fill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of a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filling column connected with a connec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art of a modified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a beam is coupled.
9 is a 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rib of a connecting portion of an improved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가 구비된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 concrete filling column having a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은, 일반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등의 명칭에 한정되지 않고, 플레이트 기둥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성하는 모든 기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The concrete filling column u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ame of general steel composite concrete colum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like, and includes all pillars that are completed by placing concrete in the inside of the plate column.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함에 있어, 슬라브를 형성하는 가로보(210)를 포함하는 연결부(200)를 이용하여 상층 및 하층의 기둥부(100)의 연결 시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가 구비된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filling column, which comprises a connection part (200) including a cross beam (210) for forming a slab, a connecting part (200) for facilitating connection of upper and lower pillars (100)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은, 기둥부(100)와 상층 및 하층의 기둥부(100)를 연결하는 연결부(200)를 포함한다(도 2).
The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1)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200 connecting the column portion 100 with the upper and lower column portions 100 (FIG. 2).

여기서 기둥부(100)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1 내부공간(111)이 구비된 강관기둥(110) 및 강관기둥(110) 외측을 둘러쌈으로써 강관기둥(110)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2 내부공간(121)을 형성시키는 외부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The column part 100 includes a steel pipe column 110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111 filled with concrete and a steel pipe column 110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to fill the concrete outside the steel pipe column 110 2 outer plate 120 forming the inner space 121 (FIG. 3).

복수의 기둥부(100)가 연결되어 콘크리트 충전 기둥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lumn portions 100 may be connected to extend the concrete filling column.

또한 외부 플레이트(120)는 각형이며, 기둥부(100)는 외부 플레이트(200)의 내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모서리 보강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도 5). The outer plate 12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column 100 may further include a corner reinforcement member 130 formed at an inner edge of the outer plate 200 (FIGS. 3 and 5).

모서리 보강부재(130)는 외부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The edge reinforcement members 130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late 120.

외부 플레이트(120)의 모서리에 모서리 보강부재(130)를 형성시킴으로써, 제2 내부공간(12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저항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보강철근 등의 구비가 요구되지 않고, 외부 플레이트(12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부재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기둥의 구조적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By forming the corner reinforcement member 130 at the edge of the outer plate 120, it is possible to resist the side pressure of the concrete placed in the second inner space 121. Therefore, it is not required to provide a separate reinforcing bar or the like, and the thickness of the outer plate 120 can be minimized,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olumn can be ensured while minimizing the use of the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기둥은 강관기둥(110)과 외부 플레이트(120)를 연결하는 지지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The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140 connecting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the outer plate 120 (FIG. 3).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40)의 일단은 강관기둥(110)의 외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외부 플레이트(120)의 내측에 결합되며, 지지부재(140)의 타단과 외부 플레이트(120)는 면접촉될 수 있다. Specifically,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140 is engag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tube column 110,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plate 120,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40 and the outer plate 120 are in surface contact .

여기서, 외부 플레이트(120)는 복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지지부재(140)의 타단과 외부 플레이트(120)는, 외부 플레이트(120)를 형성하는 복수의 부재의 결합 부분에서 면접촉되는 것이 시공의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3, 도 5).
Here, the outer plate 120 is form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members,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40 and the outer plate 12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t an engagement por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forming the outer plate 120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construction (Figs. 3 and 5).

연결부(200)는 복수의 기둥부(100)를 연결함에 있어, 상층 및 하층의 기둥부(100)를 연결시킴과 아울러, 건물의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가로보를 콘크리트 충전 기둥과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도 6). The connecting part 200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pillar parts 100 i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illar parts 100 and also combines the beams for forming the slab of the building with the concrete filling pillars (Fig. 6).

구체적으로 연결부(200)는 기둥부(1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가로보(210)를 포함하며, 가로보(210)와 결합됨과 아울러 일단은 하측의 기둥부(100a)의 강관기둥(110a)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측의 상기 기둥부(100b)의 강관기둥(110b)과 결합되는 연결부 강관기둥(230)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또한, 연결부(200)는 가로보(210)와 결합됨과 아울러 일단은 하측의 기둥부(100a)의 외부 플레이트(120a)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측의 기둥부(100b)의 외부 플레이트(120b)와 결합되는 연결부 외부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art 200 includes a cross beam 210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part 100, and is connected to the cross beam 210. In addi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lumn part 110a of the lower column part 100a,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 connecting steel pipe column 230 coupled with the steel pipe column 110b of the upper column portion 100b (FIG. 2). The connecting portion 200 is coupled to the beam 210 and has one end coupled to the outer plate 120a of the lower column portion 100a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uter plate 120b of the upper column portion 100b And may include a coupling outer plate 220 coupled thereto (FIG. 2).

즉, 상층 및 하층의 기둥부(100)가 연결부(20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제1 내부공간(111)은 강관기둥(110) 및 연결부 강관기둥(230)에 의해서 폐쇄되고, 제2 내부공간(121)은 외부 플레이트(120) 및 연결부 외부 플레이트(220)에 의해 폐쇄되는 구조를 취한다.
That is, the upper and lower pillars 10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200 so that the first inner space 111 is closed by the steel pipe columns 110 and the connecting steel pipe columns 230, (121) is closed by the outer plate (120) and the connecting portion outer plate (2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기둥은 기둥부(100)가 연결부(200)와 연결됨에 있어 시공의 편의성 및 공사기간의 단축을 위해 강관기둥(110)과 연결부 강관기둥(230)이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column portion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00 and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the connecting steel pipe column 230 are connected to the side It is preferable to be contacted.

이를 위해 강관기둥(110)의 단부에는 제1 결합 리브(113)가 형성되며, 연결부 강관기둥(230)의 단부에는 제2 결합 리브(211)가 형성되며, 제1 결합 리브(113) 및 제2 결합 리브(211)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결합부재(150)가 통과되는 결합공(151)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도 6, 도 7). A first engaging rib 113 is formed at an end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a second engaging rib 211 is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steel pipe column 230. The first engaging rib 113 and the 2, a coupling hole 151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mber 150 passes may be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coupling rib 211 (FIGS. 4, 6, and 7).

제1 결합 리브(113)와 제2 결합 리브(211)의 면접촉을 위하여 제2 결합 리브(211)의 상면과 가로보(210)의 상면이 같은 높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rib 2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210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for surface contact between the first coupling rib 113 and the second coupling rib 211 (FIG. 6).

제2 결합 리브(211)는 연결부 강관기둥(230)의 일단 또는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 리브(211)가 연결부 강관기둥(230)의 일단에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연결부 강관기둥(230)의 타단과 기둥부(100)의 강관기둥(110)은 용접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rib 211 may be formed 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teel pipe column 230. When the second coupling rib 211 is formed only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steel pipe column 230,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steel pipe column 230 and the steel pipe column 110 of the column part 100 may be welded together.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자는 제1 결합 리브(113)와 제2 결합 리브(211)를 면접촉시키고, 결합부재(150)를 결합공(151)에 관통시켜 체결하는 것만으로 상층 및 하층의 기둥부(100)의 연결 작업을 완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or allows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ribs 113 and 211 to be brought into 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engagement member 150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illars 151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connection operation of the unit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외부 플레이트(120)의 하단은 강관기둥(110)의 하단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end of the outer plate 120 of the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강관기둥(110)의 하단에 형성된 제1 결합 리브(113)와 연결부 강관기둥(230)의 제2 결합 리브(211)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 공간(a)을 형성시킬 수 있다. In such a structure, the work space (a) capabl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first engagement rib 113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to the second engagement rib 211 of the joint steel pipe column 230, Can be formed.

작업 공간(a)은 기둥부(100)와 연결부(200)의 연결작업이 완료된 이후 슬라브 콘크리트(3)의 타설에 의해 매워질 수 있다(도 2).
The work space a can be sputter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slab concrete 3 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lumn part 100 and the connection part 200 is completed (FIG.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은 강관기둥(1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1 내부공간(111)과 제2 내부공간(121)을 연결하는 관통홀(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rough hole 112 formed through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connecting the first inner space 111 and the second inner space 121 .

관통홀(112)을 포함함으로써, 제1 내부공간(111)에 타설하는 콘크리트가 제2 내부공간(121)까지 충진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By including the through-hole 112, the concrete pouring into the first inner space 111 can be filled up to the second inner space 1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플레이트(120)의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late 120 may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플레이트(120)의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outer plate 120 may be circular.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강관 충전 기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using a concrete pip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은 기초(1)에 기둥부(100)를 설치하는 제1 단계(S100), 기둥부(100)의 상부에 연결부(200)를 결합시키는 제2 단계(S200), 제1 내부공간(111) 및 제2 내부공간(12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 단계(S300) 및 가로보(210)의 상부에 슬라브 콘크리트를 형성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us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S100 of installing a column 100 on a foundation 1, A third step S300 of placing concrete in the first inner space 111 and the second inner space 121 and a third step S300 of placing the concrete in the second inner space 121 and the slab concrete (Step S400).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함에 있어, 상층 및 하층의 기둥부(100)를 연결하는 시공을 미리 형성된 연결부(200)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현장 작업을 최소화하여 시공의 난이도를 낮추고,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crete filling column is constructed,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upper and lower column portions 100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connection portion 200 formed in advance, thereby minimizing the site work,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이에 더하여 연결부(200)에는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가로보(210)가 포함되어 있어, 다층 건물의 시공에 있어 편의성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part 200 includes a beam 210 for forming a slab, which is convenien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ulti-storey building.

또한, 외부 플레이트(120)이 영구거푸집으로 활용되므로 별도의 내화피복 및 외장 마감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Further, since the outer plate 120 is used as a permanent formwork,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ireproofing and exterior finishing work.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기둥부
200 : 연결부
100:
200: Connection

Claims (13)

상층 및 하층의 기둥부(100)를 연결하는 연결부(20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00)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1 내부공간(111)이 구비된 강관기둥(110); 및
상기 강관기둥(110) 외측을 둘러쌈으로써, 상기 강관기둥(110)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2 내부공간(121)을 형성시키는 외부 플레이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기둥부(1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가로보(21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가로보(210)와 결합됨과 아울러, 일단은 하측의 기둥부(100a)의 강관기둥(110a)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측의 기둥부(100b)의 강관기둥(110b)과 결합되는 연결부 강관기둥(230); 및
상기 가로보(210)와 결합됨과 아울러, 일단은 하측의 기둥부(100a)의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a)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측의 상기 기둥부(100b)의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b)와 결합되는 연결부 외부 플레이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부공간(111)은 상기 강관기둥(110) 및 상기 연결부 강관기둥(230)에 의해서 폐쇄되고,
상기 제2 내부공간(121)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 및 상기 연결부 외부 플레이트(220)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강관기둥(110)과 상기 연결부 강관기둥(230)이 면접촉 되도록, 상기 강관기둥(110)의 단부에는 제1 결합 리브(113)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강관기둥(230)의 단부에는 제2 결합 리브(211)가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 리브(113) 및 상기 제2 결합 리브(211)에 대응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결합 리브(113) 및 상기 제2 결합 리브(211)를 결합하는 결합부재(150)가 통과되는 결합공(15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리브(211)의 상면과 상기 가로보(210)의 상면이 같은 높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
And a connection part (200) connecting upper and lower column parts (100), the concrete filling column comprising:
The columnar section 100 is formed by,
A steel pipe column 110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111 filled with concrete; And
And an outer plate 12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to form a second inner space 121 filled with concrete outside the steel pipe column 110,
The connection unit 200 includes:
And a cross bar 210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portion 100,
The connection part 2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teel pipe column 110b of the upper column portion 100b by being engaged with the steel pipe column 110a of the lower column portion 100a, (230); And
And is coupled to the beam 210 and has one end coupled to the outer plate 120a of the lower column portion 100a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outer plate 120b of the upper column portion 100b And a connection outer plate (220)
The first inner space 111 is closed by the steel tube column 110 and the connecting steel tube column 230,
The second inner space 121 is closed by the outer plate 120 and the connecting plate outer plate 220,
A first engaging rib 113 is formed at an end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so that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the connecting steel pipe column 23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wo coupling ribs 211 are formed,
The engaging member 15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engaging rib 113 and the second engaging rib 211 and the engaging member 150 engaging the first engaging rib 113 and the second engaging rib 211 And a coupling hole (151) passing therethrough,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rib (2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210)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는 각형이며,
상기 기둥부(100)는,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의 내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모서리 보강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plate 120 is angular,
The columnar section 100 is formed by,
A corner reinforcement member 130 formed at an inner edge of the outer plate 120;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ed concrete pilla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기둥(110)과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를 연결하는 지지부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upport member 140 connecting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the outer plate 120;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ed concrete pill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40)의 일단은 상기 강관기둥(110)의 외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타단과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는 면접촉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
The method of claim 3,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tube column 11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plate 120,
And the other end and the outer plate (12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는 복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타단과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는 상기 복수의 부재의 결합 부분에서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uter plate 120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members,
And the other end and the outer plate (12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t a joint portion of the plurality of memb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보강부재(130)는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rner reinforcement members (13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late (1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기둥(1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공간(111)과 상기 제2 내부공간(121)을 연결하는 관통홀(1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hrough hole 112 formed through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connecting the first inner space 111 and the second inner space 121;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ed concrete pill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의 하단은 상기 강관기둥(110)의 하단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plate (120) is form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210) 상부에 형성되는 슬라브 콘크리트(3)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 플레이트(120)의 하단과 상기 가로보(210) 사이 공간은 상기 슬라브 콘크리트(3)에 의해 매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slab concrete (3) formed on the beam (210)
Wherein a space between a lower end of the outer plate (120) and the beam (210) is sprinkled by the slab concrete (3).
제10항의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초(1)에 상기 기둥부(100)를 설치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기둥부(100)의 상부에 상기 연결부(200)를 결합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제1 내부공간(111) 및 상기 제2 내부공간(12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가로보(210)의 상부에 슬라브 콘크리트를 형성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fill column using the concrete fill column according to claim 10,
A first step (S100) of installing the columnar section (100) on a foundation (1);
A second step (S200) of coupling the connection part (200) to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part (100);
A third step (S300) of placing concrete in the first internal space (111) and the second internal space (121); And
A fourth step (S400) of forming a slab concrete on the upper side of the beam 210;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삭제delete
KR1020150067607A 2015-05-14 2015-05-14 Reinforced concrete column structure Active KR1016364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07A KR101636471B1 (en) 2015-05-14 2015-05-14 Reinforced concrete colum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07A KR101636471B1 (en) 2015-05-14 2015-05-14 Reinforced concrete column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471B1 true KR101636471B1 (en) 2016-07-20

Family

ID=5668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607A Active KR101636471B1 (en) 2015-05-14 2015-05-14 Reinforced concrete colum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47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8835A (en) * 2017-06-12 2018-04-20 重庆大学 A kind of prefabricated assembled frame combined using profile steel concrete column and girder steel
KR20190136509A (en) * 2018-05-31 2019-12-10 염경수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for CFT column
KR20230123384A (en) * 2022-02-16 2023-08-23 염경수 Installing method of outter shell for internal diaphragm with girder connecting pl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4130A (en) * 2010-12-27 2012-07-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teel concrete composite column structure
KR20130012898A (en)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Joint of steel column
KR20140073052A (en) * 2012-12-06 2014-06-16 대림산업 주식회사 Joint structure both steel beam connection and column splice for spun concrete column
KR101428539B1 (en) * 2014-05-28 2014-08-11 삼성물산 주식회사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4130A (en) * 2010-12-27 2012-07-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teel concrete composite column structure
KR20130012898A (en) * 2011-07-26 2013-02-05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Joint of steel column
KR20140073052A (en) * 2012-12-06 2014-06-16 대림산업 주식회사 Joint structure both steel beam connection and column splice for spun concrete column
KR101428539B1 (en) * 2014-05-28 2014-08-11 삼성물산 주식회사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8835A (en) * 2017-06-12 2018-04-20 重庆大学 A kind of prefabricated assembled frame combined using profile steel concrete column and girder steel
KR20190136509A (en) * 2018-05-31 2019-12-10 염경수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for CFT column
KR102120298B1 (en) * 2018-05-31 2020-06-09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for CFT column
KR20230123384A (en) * 2022-02-16 2023-08-23 염경수 Installing method of outter shell for internal diaphragm with girder connecting plate
KR102611106B1 (en) 2022-02-16 2023-12-08 염경수 Installing method of outter shell for internal diaphragm with girder connecting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077B1 (en)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JP6448817B2 (en) PC truss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6424075B2 (en) REINFORCED CONCRETE COLUMN STEEL BEAM JOINTING MEMBER,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KR101663132B1 (en) Self-supporting type column structure
KR101428539B1 (en)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JP2010242390A (en) Joining method and structure of column / beam joint with steel brace
KR101636471B1 (en) Reinforced concrete column structure
KR101636473B1 (en)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KR100775359B1 (en) Formwork assembly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JP2010261270A (en)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structure and composite structure building
KR200372315Y1 (en) Moving-fabricated supporting bracket structure of downward construction system
KR101457080B1 (en)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KR101803307B1 (en) Reinforce concrete column structure
JP7200048B2 (en) pile foundation structure
JP6849491B2 (en) Exposed column base structure of steel column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577704B1 (en)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KR101625593B1 (en)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JP7186655B2 (en) Construction method of beam-column connection structure
JPH0536587B2 (en)
CN110258819A (en) A kind of connecting nod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lumn and arch without beam
JP5344702B2 (en) Column and slab joint structure
TWI822635B (en) Construction structure
JP7526339B1 (en) Joint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joint structure
JP2020060019A (en) How to build a building
JP7628830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lumn-beam joi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10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