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557B1 - Lever type connector - Google Patents
Lever typ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2557B1 KR101632557B1 KR1020150041848A KR20150041848A KR101632557B1 KR 101632557 B1 KR101632557 B1 KR 101632557B1 KR 1020150041848 A KR1020150041848 A KR 1020150041848A KR 20150041848 A KR20150041848 A KR 20150041848A KR 101632557 B1 KR101632557 B1 KR 1016325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lever
- plug connector
- receptacle connector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는 레버의 잠금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 타입 커넥터에 관한으로, 접속 단자가 내부에 마련된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접속 단자에 대응되는 접속 단자가 내부에 마련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는 레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레버 중 어느 하나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시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레버의 회전이 제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 type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a locked state of a lever for engaging or disengaging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from being arbitrarily released, the lever type connector comprising: a plug connector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And a lever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lug connector and engages or disengages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t this time,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lever, and a latching piece is formed on the other, so that wh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fastened, the latching piece is caught and fixed to the latching pawl, .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버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는 레버의 잠금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배터리(battery)나 제너레이터(generator)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장부품 및 제어장치들이 많이 구비된다. 이러한 전장부품 및 제어장치들에 전력을 공급하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기 배선을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라고 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large number of electric components and control devices that operate by receiving power from a battery or a generator. Electrical wiring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nd transmitting signals to such electric parts and control devices is called wire harness.
통상의 와이어 하네스에는 전장부품 및 제어장치(또는 다른 와이어 하네스)와의 용이한 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마련된다. 일례로, 와이어 하네스의 일단에는 플러그(plug) 커넥터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가 설치된다.Conventional wire harnesses are provided with connectors for easy connection with electrical components and control devices (or other wire harnesses). In one example, a plug connector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wire harness, and a receptacle connector for accommodating the plug connector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부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핀 단자와 소켓 단자가 마련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시 핀 단자와 소켓 단자도 결합을 하게 되는데, 복수의 소켓 단자와 핀 단자가 견교하게 결합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삽입력이 요구된다.A pin terminal and a socket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are provided inside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ly, wh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fastened together, the pin terminal and the socket terminal are also engaged. In order for the plurality of socket terminals and the pin terminal to be mutually coupled, a certain insertion force is required.
최근 들어, 차량의 고급화 및 고성능화 추세에 따라 전장부품 및 제어장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이 증가될 경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에 설치되는 단자의 수도 늘어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시 더 큰 삽입력이 발생하게 된다.In recent years, electric components and control devices have been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high-end and high-performance vehicles, and wire harness wiring for connecting them has also been increasing. When the wiring of the wire harness is increased, the number of terminals provided to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is increased, so that a greater insertion force is generated wh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fastened.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레버 타입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86003호(2011.07.27.)에 개시되어 있다.A lever-typ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86003 (July 27, 2011).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서로 체결되는 제1커넥터(100), 제2커넥터(200) 및 레버(120)로 구성된다.Th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10 comprises a
제1커넥터(100)는 좌우 양측에 지지 피벗(114)과 가이드홈(116)이 형성된 제1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제2커넥터(200)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212)가 마련된 제2하우징(210)을 포함한다.The
레버(120)는, 피벗(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21)와,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21)를 연결하는 크로스바(123)로 이루어진 U자 형상이다. 측면 플레이트(121)에는,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체결 시 돌기(212)를 안내하는 잠금홈(122)과, 레버(120)의 설치 시 지지 피벗(114)이 삽입되는 지지홈(124)이 형성된다. 또한, 잠금홈(122)과 지지홈(124) 사이에는 가이드홈(116)에 삽입되는 가이드 피벗(126)이 형성된다.The
여기서, 제1하우징(110)에는 래치(115)가 형성되고, 레버(120)에는 개구(125)가 형성되어,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체결을 위해 회전시킨 레버(120)를 특정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즉, 레버(120)를 제2커넥터(200) 측으로 회전시켜 래치(115)가 개구(125)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레버(120)를 특정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레버의 잠금 상태’라고 한다.A latch 115 is formed in the
그런데, 상술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커넥터(100,200)의 분리를 위해 레버(120)를 제1커넥터(100) 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래치(115)가 개구(125)에서 쉽게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100,200)에 인가되는 충격 등에 의해 레버(120)의 잠금 상태가 쉽게 해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커넥터(100,200)가 분리되어 차량에 치명적인 결함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커넥터(100,200)의 내부에 소정의 압력이 걸리는 방수용 커넥터의 경우 일반 커넥터보다 더욱 쉽게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체결 및 분리하는 레버의 잠금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ver type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a locking state of a lever for fastening and separating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from being arbitrarily relea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레버 타입 커넥터는, 접속 단자가 내부에 마련된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접속 단자에 대응되는 접속 단자가 내부에 마련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는 레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레버 중 어느 하나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시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레버의 회전이 제한한다.A lever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plug connector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therein, a receptacle connector accommodating at least a part of the plug connector and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 lever rotatably coupled to the plug connector and engaging or disengaging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t this time,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lever, and a latching piece is formed on the other, so that wh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fastened, the latching piece is caught and fixed to the latching pawl, .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된 다각형 단면의 블록이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레버에서 연장된 외팔보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걸림편의 해제 시 상기 걸림편의 변형방향과 상기 커넥터의 분리 시 상기 레버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가 된다.The latching protrusion is a block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latching piece is a cantilever extending from the lever.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engaging piece is released, the direction of deformation of the engaging piece is opposite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lever when the connector is detached.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편과 접촉되는 제1접촉면이 경사면인 다각형 단면의 블록이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제1접촉면과 접촉되는 제2접촉면이 마련된 외팔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촉면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표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며, 상기 제1접촉면에는 잠금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면에는 잠금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atching protrusion may be a cantilevered block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in which the first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latching piece is an inclined surface, and the latching piece may be a cantilever having a second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first contacting surface. At this time, the first contact surface i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obtuse angle with the surfac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a lock groove is formed on the second contact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체결 시 레버의 걸림편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조이다. 즉, 레버는 걸림편과 걸림돌기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잠금 상태로 전환되어 외력에 의한 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걸림편이 레버에서 돌출된 외팔보 형태를 가지므로, 레버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걸림편의 변형방향과 커넥터의 분리를 위한 레버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어 외력에 의한 임의 회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 structure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when the engaging piece of the lever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wh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fastened. That is, the lever is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in which the rotation is restricted by the latching piece and the locking projection, and any rotation due to the external force can be prevented. Particularly, since the engaging piece has a cantilever shape protruding from the lever, the deformation direction of the engaging piece fo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ever and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lever for separating the connector are opposite to each other,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체결과정과 분리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 중 걸림편과 걸림돌기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체결과정과 분리과정을 도시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a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illustrate a fastening process and a separation process of a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latching piece and the latching protrusion in the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of a lever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illustrate a fastening process and a separation process of a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커넥터의 체결 시 플러그 커넥터(100)가 삽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체결 및 분리를 유도하는 레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플러그 커넥터(100)는 피메일(female)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삽입되는 메일(male) 커넥터이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커넥터의 체결 시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하우징(110)과,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진다.The
제1하우징(110)은 제2하우징(120)의 전방으로 돌출된 육면체 형상이다. 제1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핀 단자(미도시)와 결합되는 소켓 단자(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 사이의 방수/방진을 필요로 하는 방수 커넥터의 경우 제1하우징(110)의 외부에 밀봉부재(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The
제2하우징(120)은 제1하우징(110)의 후방에 형성된 소정의 두께를 가진 블록이다. 제2하우징(120)의 전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체결방향을 안내하는 안내편(130)이 돌출된다. 제2하우징(120)의 양 측면에는 레버(300)와의 결합을 위한 회전축(140)이 돌출되고, 회전축(140)의 주위에는 레버(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돌기(150)가 형성된다.The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플러그 커넥터(100)가 삽입되는 피메일(female) 커넥터로, 플러그 커넥터(1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212)이 마련된 하우징(210)을 포함한다.The
하우징(210)의 외측 각 모서리에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안내편(130)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돌기(220)가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레버(300)의 회전 시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체결을 유도하는 체결돌기(230)가 형성된다.A
한편, 하우징(210)의 상면에는 레버(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돌기(240)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40)는 하우징(210)의 좌우로 연장된 다각형(본 실시예에서는 사다리꼴) 단면의 블록이다. 걸림돌기(240)는 내부가 중공이며 후면으로 개방된 형태로 제작되는데, 이는 후술할 걸림편(350)과의 결합 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걸림돌기(240)의 전면과 후면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이다. 이 중에서, 걸림돌기(240)의 전면은 레버(300)의 회전 시 걸림편(350)과 접촉되는 제1접촉면(242)이다. 제1접촉면(242)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상면과 둔각(본 실시예에서는 약 135°를 이루는 경사면이며, 제1접촉면(242)에는 레버(30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잠금돌기(244)가 형성된다.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레버(300)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체결하거나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레버(300)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면부재(310)와, 한 쌍의 측면부재(31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20)로 이루어진다.The
측면부재(310)에는 회전축(140)이 관통 및 결합되는 결합공(330)이 형성되고, 결합공(330)의 둘레에는 체결돌기(230)를 안내하는 체결홈(340)이 형성된다. 체결홈(340)의 일단은 체결돌기(23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개방된다. 이때, 체결홈(340) 상에는 레버(3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돌기(150)가 위치된다.The
한편, 연결부재(320)의 중단에는 걸림돌기(240)와 대응되는 걸림편(350)이 형성된다. 걸림편(350)은 연결부재(320)의 중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외팔보 형태를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걸림편(350)은 중단이 경사지게 굴절되어 그 단면이 크랭크 형상을 가진 외팔보 형태이다. 걸림편(350)의 중단 하면에는 제1접촉면(242)과 접촉되는 제2접촉면(352)이 형성되고, 제2접촉면(352)에는 잠금돌기(244)가 삽입되는 잠금홈(354)이 형성된다. 또한, 걸림편(350)의 후단에는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진 파지부(356)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체결과정과 분리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a fastening process and a separating process of the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3은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분리된 상태로, 레버(300)는 체결홈(도 1의 340)의 일단이 전방을 향하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연결부재(320)가 60°정도 회전된 상태)이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체결홈(도 1의 340)의 타단 측에 돌기(도 1의 150)가 위치되어 레버(30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3 shows a state in which the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체결돌기(도 1의 230)가 체결홈(도 1의 340)의 일단에 삽입되도록 가조립하고, 레버(3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돌기(230)가 체결홈(340)을 따라 이동하며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체결된다.The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체결 후 레버(300)를 반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시키면 레버(300)의 걸림편(350)이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걸림돌기(240)에 접촉되고, 그와 동시에 잠금돌기(244)가 잠금홈(354)에 삽입되어 레버(300)의 회전을 제한한다. 즉, 레버(300)가 고정되는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300)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면 레버(300)에 외력을 가하더라도 잠금 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레버(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걸림편(350)의 변형방향(A)과 커넥터의 분리를 위한 레버(300)의 회전방향(B)이 서로 반대가 되어 외력에 의한 임의 회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도 4 참조).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레버(300)의 잠금 상태를 먼저 해제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편(350)을 반시계방향(A)으로 변형시키면 잠금돌기(244)가 잠금홈(354)에서 이탈하고, 이에 레버(3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그 후, 레버(300)를 시계방향(B)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돌기(230)가 체결홈(340)을 따라 이동하며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분리시킨다. 즉, 체결돌기(도 1의 230)가 체결홈(도 1의 340)의 일단에 삽입되는 가조립 상태까지 분리된다.In order to separate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 중 걸림돌기(240)와 걸림편(350)의 변형례를 도시한다.5 shows a modification of the lock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24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좌우로 연장된 블록이되, 그 단면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평행사변형을 가진다. 즉, 걸림돌기(240′)의 전면에 위치된 제1접촉면(242′)이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상면과 예각(약 45°)을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locking protrusion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left-right extended block of the
상술한 형상의 걸림돌기(240′)는 커넥터의 체결을 위해 레버(300)를 회전(반시계방향 회전)시킬 경우 걸림편(350′)과 접촉됨과 동시에 걸림돌기(240′)의 전단 모서리가 잠금홈(354′)에 삽입되어 레버(300)의 회전을 제한한다. 반면, 걸림편(350′)을 변형시켜 걸림돌기(240′)의 전단 모서리를 잠금홈(354′)에서 이탈시키면 레버(3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바, 레버(300)를 회전(시계방향 회전)시켜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분리시킬 수 있다.When the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를 도시한다. FIGS. 6 and 7 illustrate a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400)와, 플러그 커넥터(400)가 삽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500)와, 플러그 커넥터(400)와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체결 및 분리를 유도하는 레버(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술한 구성 중 플러그 커넥터(400), 리셉터클 커넥터(500), 레버(600)는 그 형상만 상이할 뿐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예시된 대응 구성과 각각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플러그 커넥터(400), 리셉터클 커넥터(500), 레버(600)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에는 레버(600)의 잠금을 위한 걸림편(540)과 걸림돌기(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ever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걸림편(540)은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상면에 형성되고, 걸림돌기(650)는 레버(600)의 중단에 형성된다. 걸림편(540)은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전방에서 후방, 즉 플러그 커넥터(400) 측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의 탄성편(542)을 포함하고, 탄성편(542)의 중단에는 걸림돌기(650)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편(544)이 형성된다. 이때, 서로 대향하는 잠금편(544)의 전단과 걸림돌기(650)의 후단에는 걸림턱(546,652)이 형성된다. 걸림턱(546,652)은 걸림편(540)과 걸림돌기(650)의 접촉 시 서로 맞물려 고정되어 레버(600)의 회전을 제한한다. 즉, 걸림턱(546,652)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예시된 잠금돌기(도 2의 244) 및 잠금홈(도 2의 354)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The latching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걸림편(540)과 걸림돌기(650)를 포함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의 체결과정과 분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engaging and disengaging processes of the lever-type connector including the
우선, 플러그 커넥터(400)와 리셉터클 커넥터(500)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조립 상태를 만든다. 이때, 가조립 과정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First, the
플러그 커넥터(400)와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가조립 상태에서 레버(6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러그 커넥터(400)가 리셉터클 커넥터(500)에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체결한다. 그 후, 레버(600)를 반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시키면 레버(600)의 걸림돌기(650)가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걸림편(540)에 접촉되고, 그와 동시에 걸림편(540)과 걸림돌기(650)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546,652)이 서로 맞물리며 고정되어 레버(600)의 회전을 제한한다. 다시 말해, 레버(600)가 고정되는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The
반면, 플러그 커넥터(400)와 리셉터클 커넥터(5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레버(600)의 잠금 상태를 먼저 해제해야 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편(540)의 후단 블록(548)을 아랫방향(C)으로 눌러 걸림턱(546,652)을 이탈시킨다. 그 후, 레버(600)를 시계방향(D)으로 회전시키면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가조립 상태까지 분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eparate 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not only in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also in the scope of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플러그 커넥터 110: 제1하우징
120: 제2하우징 130: 안내편
140: 회전축 150: 돌기
200: 리셉터클 커넥터 210: 하우징
220: 안내돌기 230: 체결돌기
240: 걸림돌기 300: 레버
310: 측면부재 320: 연결부재
330: 결합공 340: 체결홈
350: 걸림편100: plug connector 110: first housing
120: second housing 130: guide
140: rotation shaft 150: projection
200: receptacle connector 210: housing
220: guide projection 230: fastening projection
240: locking projection 300: lever
310: side member 320: connecting member
330: coupling hole 340: fastening groove
350:
Claims (9)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212)이 마련된 하우징(210)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의 접속 단자에 대응되는 접속 단자가 내부에 마련된 리셉터클 커넥터(200);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는 레버(300);
상기 하우징(210)의 상면에 형성된 다각형 단면의 블록 형상이고, 걸림편(350)과 접촉되는 제1접촉면(242)이 상기 하우징(210)의 상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며, 상기 제1접촉면(242)에 잠금돌기(244)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돌기(240); 및
상기 레버(300)의 중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외팔보 형태이고, 상기 제1접촉면(242)과 접촉되는 제2접촉면(352)이 마련되며, 상기 잠금돌기(244)와 대응되는 잠금홈(354)이 상기 제2접촉면(352)에 형성된 걸림편(350)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350)을 반시계방향으로 변형시켜 상기 잠금돌기(244)가 상기 잠금홈(354)에서 이탈되게 한 후 상기 레버(3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플러그 커넥터(100)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0)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The first housing 110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housing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 plug connector 100 provided;
And a receptacle connector (200)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corresponding to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100), the housing terminal (210) having a housing space (212)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plug connector ;
A lever 300 rotatably coupled to the plug connector 100 to fasten or separate the plug connector 10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A first contact surface 242 which is in the form of a polygonal cross sec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and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ngaging piece 350 is an inclined surface which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A locking protrusion (244) is formed in the locking protrusion (242), and a locking protrusion (240)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300); And
A second contact surface 352 which is in the form of a cantilever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stop of the lever 300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surface 242 is provided and a lock groove 354 corresponding to the lock protrusion 244 is provided, (350) formed on the second contact surface (352)
The locking protrusion 244 is detached from the lock groove 354 by turning the latching piece 35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n the lever 300 is rotated clockwise to rotate the plug connector 100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200) is detach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1848A KR101632557B1 (en) | 2015-03-25 | 2015-03-25 | Lever typ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1848A KR101632557B1 (en) | 2015-03-25 | 2015-03-25 | Lever type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2557B1 true KR101632557B1 (en) | 2016-06-23 |
Family
ID=5635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1848A Active KR101632557B1 (en) | 2015-03-25 | 2015-03-25 | Lever typ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2557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312A (en) * | 2016-06-22 | 2018-01-02 |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
KR20180012568A (en) * | 2016-07-27 | 2018-02-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onnector for connecting lead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
CN108400481A (en) * | 2018-02-05 | 2018-08-14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Electric connector combination |
KR20190133365A (en) | 2018-05-23 | 2019-12-0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
KR102080026B1 (en) * | 2018-09-06 | 2020-02-21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
KR20220168642A (en) | 2021-06-17 | 2022-12-2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
KR20230035781A (en) | 2021-09-06 | 2023-03-14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Lever type connector and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having same |
KR20240078128A (en) | 2022-11-25 | 2024-06-0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nd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01344B2 (en) * | 1989-05-02 | 1997-04-16 |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Noise reduction and vertical contour compensation circuit |
JP2601344Y2 (en) | 1993-02-10 | 1999-11-15 | 住友電装株式会社 | Lever connector |
KR20110086003A (en) | 2008-09-26 | 2011-07-27 |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ock |
-
2015
- 2015-03-25 KR KR1020150041848A patent/KR10163255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01344B2 (en) * | 1989-05-02 | 1997-04-16 |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Noise reduction and vertical contour compensation circuit |
JP2601344Y2 (en) | 1993-02-10 | 1999-11-15 | 住友電装株式会社 | Lever connector |
KR20110086003A (en) | 2008-09-26 | 2011-07-27 |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ock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312A (en) * | 2016-06-22 | 2018-01-02 |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
KR101970880B1 (en) * | 2016-06-22 | 2019-04-19 |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
KR20180012568A (en) * | 2016-07-27 | 2018-02-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Connector for connecting lead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
KR102569937B1 (en) | 2016-07-27 | 2023-08-2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Connector for connecting lead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
CN108400481A (en) * | 2018-02-05 | 2018-08-14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Electric connector combination |
KR20190133365A (en) | 2018-05-23 | 2019-12-0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
KR102080026B1 (en) * | 2018-09-06 | 2020-02-21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
KR20220168642A (en) | 2021-06-17 | 2022-12-2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
KR20230035781A (en) | 2021-09-06 | 2023-03-14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Lever type connector and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having same |
KR20240078128A (en) | 2022-11-25 | 2024-06-0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nd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2557B1 (en) | Lever type connector | |
JP4267935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 |
US7682181B1 (en) | Latch securing member | |
US8297992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device | |
JP2624049B2 (en) | connector | |
US9972937B2 (en) | Lever type connector | |
US8221142B2 (en) | Lever-type connector | |
US9812813B1 (en) | Lever-type connector | |
JP3987736B2 (en) | Lever type connector | |
JP3987737B2 (en) | Lever type connector | |
CN212392437U (en) | Connector | |
US8419462B2 (en) | Lever type connector | |
WO2012144364A1 (en) | Connector | |
JP5007215B2 (en) | Lever type connector | |
CN104067457B (en) | Lever-type connector | |
JP7591996B2 (en) | Connector device | |
JP5052322B2 (en) | Lever type connector | |
US6827593B2 (en) | Lever-type connector | |
CA2754993A1 (en) | Connector assembly with a latch | |
WO2015064322A1 (en) | Lever-type connector | |
US20100304587A1 (en) | Connector cover | |
JP2008160963A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to be mounted in automobile | |
JP2020027783A (en) | Lever type connector | |
CN107342487B (en) | Connector Assemblies, Plug and Receptacle Connectors | |
US9799990B2 (en) | Plug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