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582B1 - Modular assembly tile including enhanced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ing - Google Patents

Modular assembly tile including enhanced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582B1
KR101627582B1 KR1020140071516A KR20140071516A KR101627582B1 KR 101627582 B1 KR101627582 B1 KR 101627582B1 KR 1020140071516 A KR1020140071516 A KR 1020140071516A KR 20140071516 A KR20140071516 A KR 20140071516A KR 101627582 B1 KR101627582 B1 KR 101627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pattern
tile
prefabricated
suppor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5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42912A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코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582B1/en
Publication of KR2015014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9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5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 경기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다수의 격자무늬 패턴들을 포함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4개 꼭지점과 교차하는 X자형의 물결무늬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물결무늬 패턴은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상층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 및 상기 물결무늬 패턴 내부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레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대응되는 측면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결합부;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 측면에 연결되고 타측면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 측면으로부터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외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플립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tile in the form of a module that can be used in a sports arena, wherein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tangular base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plaid patterns; An X-shaped moiré pattern crossing the four vertices of the lattice pattern is formed, the moiré pattern being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attice patter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support legs protruding from a vertex of the grid pattern and an inner intersection of the wave pattern to a low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 connection part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lateral side of two adjacent side surfaces of the base frame and inserted into a side surface of the base frame opposite to the adjacent tile when connected to the adjacent tile;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wo adjacent side surfaces of the base fra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A lock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coupling portion from being detach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And a flip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flip being protruded outwardly from a side surface of the base frame, the side surface being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frame and gradually exten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frame toward the other side.

Description

조립성능이 향상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 {MODULAR ASSEMBLY TILE INCLUDING ENHANCED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ING}[0001] MODULAR ASSEMBLY TILE INCLUDING ENHANCED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ING [0002]

본 발명은 스포츠 경기장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일간의 결합 성능이 향상된 연결구조를 구비한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e-type prefabricated tile that can be used in a sports aren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ule-type prefabricated tile having a connection structure with improved coupling performance between tiles.

삶의 질이 점차 향상되어 가면서 각종 레저 및 여가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공공체육시설 및 운동장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As the quality of life gradually improves, demand for various leisure and leisure facilities is increasing, and in particular, demand for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playgrounds, which are easy to maintain and manage, is increasing.

이와 같은 체육시설 및 운동장에는 충격흡수 및 도로 확보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스포츠 코트용 바닥재가 개발되었으며, 특히 플라스틱 사출에 의한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는 하드 코트(Hard Court)의 대용품으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flooring for sports coat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shock absorbing and securing of roads in such athletic facilities and athletic fields. Particularly, flooring materials of prefabricated playground by plastic injection are widely used as a substitute for hard court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75984호는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설계 특성, 충격흡수 기능 및 표면마찰 특성이 향상된 조립식 운동장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0975984 relates to a "prefabricated playground floor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discloses a prefabricated playground floor material improved in design characteristics, shock absorbing functions and surface friction characteristic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01434호는 "조립식 스포츠코트"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성분의 타일 또는 바닥덮개 내부에 연속되는 정사각형 격자구조를 유지하도록 하며, 조립식 스포츠 코트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꼭지점 및 모서리 지지레그와 격자구조 내부에 형성된 X자형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정사각형 형상의 조립식 스포츠 코트블럭과, 직사각형 외곽틀부를 구성요소로 하면서 연속되는 격자구조를 1줄로 유지한 직사각형 형상의 조립식 스포츠 코트블록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0901434 relates to a "prefabricated sports court", which maintains a continuous square lattice structure inside a plastic tile or floor lid, and has a vertex and a corner support for dispersing the load received by the prefabricated sports court Shaped sports coats block including a leg and an X-shaped reinforcing rib formed in the inside of the lattice structure, and a rectangular shaped sports court block having a rectangular lattice structure in one line while having a rectangular outer frame part as a component Lt; / RTI >

이와 같은 바닥재 또는 코트 블록을 실내외 운동장 위에 포설하여 체육활동을 위한 경기장 바닥면으로 사용하고 있다. Such flooring material or coat blocks are laid on the indoor and outdoor playgrounds and used as floor surfaces for sports activities.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르면, 바닥재 또는 코트 블록은 플라스틱 재질의 단순한 직선 및 사선의 구조로서 표면이 사각형 또는 마름모 무늬를 형성하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사용자들의 기동에 의한 격렬한 마찰이 심하게 발생하는 스포츠 코트의 특성상 바닥이 미끄러워 사용자가 넘어지거나 부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looring or coat block is a simple straight and oblique structure made of plastic and forms a square or rhombus pattern on the surface,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sports co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is slippery or falls.

또한, 실외 운동장에 상기와 같은 바닥재 또는 코트블록을 적용할 경우, 이슬 또는 우수(雨水)가 바닥재/블록 표면에 맺힘으로써 미끄럼이 발생하여 사용자들이 낙상사고 및 심각한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above-mentioned flooring material or coat block is applied to an outdoor playground, dew or rainwat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ooring / block to cause slippage, thereby causing a fall accident and serious injury.

또한, 모듈 형태의 바닥재/블록을 광활한 운동장에 포설할 경우 수많은 타일/블록들을 결합하는 시공과정에서 바닥재들 간의 결합 자유도가 떨어지고, 결합부위의 파손 및 뒤틀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the module type flooring / block is laid in a large play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coupling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s is lowere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a large number of tiles / blocks and breakage and warping of the joints occur.

아울러, 바닥재/블록의 특성상 스포츠 활동에 수반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수단이 미비하여 사용자들의 활동성 및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ring / block,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eans for absorbing the impact accompanying the sports activity is insufficient and the activity and stability of users are deteriorate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75984호Korean Patent No. 10-0975984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01434호Korean Patent No. 10-090143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찰계수를 높임으로써 미끄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e-type prefabricated tile capable of minimizing slippage by increasing the coefficient of friction.

또한, 실외 운동장에 상기와 같은 바닥재 또는 코트블록을 적용할 경우, 이슬 또는 우수(雨水)가 바닥재/블록 표면에 맺히지 않도록 하는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e-type prefabricated tile that prevents dew or rainwater from being deposited on the flooring / block surface when the flooring or coat block is applied to an outdoor playground.

또한, 모듈 형태의 타일을 운동장에 설치할 경우, 결합 자유도가 높으며, 결합부위의 파손 및 뒤틀림을 방지하는 모듈 형태의 조립식 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e-type prefabricated tile which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in connection and prevents breakage and warping of a joining portion when a module type tile is installed on a playground.

또한, 충격을 흡수하는 수단이 구비된 조립식 타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tile provided with means for absorbing impac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 은 다수의 격자무늬 패턴들을 포함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4개 꼭지점과 교차하는 X자형의 물결무늬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물결무늬 패턴은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상층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 및 상기 물결무늬 패턴 내부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레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대응되는 측면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결합부;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 측면에 연결되고 타측면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 측면으로부터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외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플립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fabricated tile comprising: a rectangular base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grid patterns; An X-shaped moiré pattern crossing the four vertices of the lattice pattern is formed, the moiré pattern being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attice patter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support legs protruding from a vertex of the grid pattern and an inner intersection of the wave pattern to a low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 connection part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lateral side of two adjacent side surfaces of the base frame and inserted into a side surface of the base frame opposite to the adjacent tile when connected to the adjacent tile;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wo adjacent side surfaces of the base fra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A lock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coupling portion from being detach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And a flip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flip being protruded outwardly from a side surface of the base frame, the side surface being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frame and gradually exten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frame toward the other s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 상기 지지레그, 상기 연결부, 상기 결합부,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플립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의 재질로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ase frame, the base frame surface layer, the support leg, the connecting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flip ar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polypropylene (PP) or polyphenylene sulfide (PPS)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의 상기 물결무늬 패턴은 "X"자형 패턴보다 표면 마찰계수가 더 커지도록 물결무늬를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곡선이 교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곡선의 곡률은 5도 이상 3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oire pattern of the base frame surface layer is configured to cross at least two curves forming a wave pattern so that the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is larger than the "X " -shaped pattern, and the curvature of the curve is 5 And not more than 30 degree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의 상기 물결무늬 패턴 내부 교차점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에는 양각의 돌기 또는 음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ojection of the embossed pattern or the recess of the embossed pattern is formed at the inner intersection of the wave pattern at the surface layer of the base frame or at the vertex of the pattern of the plaid pattern of the base fram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조립식 타일이 동일한 면적으로 N등분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대응되는 두 측면을 가로지르면서 형성되며, 상기 절개면에 인접한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base frame is formed with at least one cut-out surface crossing the corresponding two sides of the base frame so that the assembled tile can be equally divided into N equal parts, And a lock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connection portion from being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면은 상기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응력(應力) 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cision surface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capable of absorbing a stress or impact gene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assembled til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면의 상기 소정의 폭 내부에는 상기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응력(應力) 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ut-off surface includes an impact absorbing portion capable of absorbing a stress or an impact gene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tile.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지지레그에는 상기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질의 완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support legs further includes a buffer member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impact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til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레그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지지레그에 부착시 지지레그의 길이와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ushioning member i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support leg, and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support leg when attached to the support leg.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립을 감싸면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ile enclosing the flip.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에서 형성되는 제1 지지레그와 상기 격자무늬 패턴 내부의 곡선들의 교차점에서 형성되는 제2 지지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레그와 상기 제2 지지레그는 굵기와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upport leg includes a first support leg formed at the vertex of the grid pattern and a second support leg formed at an intersection of the curves inside the grid pattern, The second support legs are different in thickness and height.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일의 표면 마찰계수를 높임으로써 바닥의 미끄럼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넘어지거나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age of the floor by increasing the coefficient of surface friction of the tile,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falling down or causing injury.

또한, 실외 운동장에 상기와 같은 바닥재 또는 코트블록을 적용할 경우, 이슬 또는 우수(雨水)가 바닥재/블록 표면에 맺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끄럼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사용자들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above-mentioned flooring material or coat block is applied to the outdoor playground, it is prevented that dew or rainwat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ooring / block, thereby preventing slippage, .

또한, 모듈 형태의 바닥재/블록을 광활한 운동장에 포설할 경우 수많은 타일/블록들을 결합하는 공정에서 결합 자유도가 높아지고, 결합부위의 파손 및 뒤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 module type flooring / block is laid in a large playground,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bonding in the process of joining a large number of tiles / blocks and minimizing the breakage and warping of the bonding site.

또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활동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means for absorbing impac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ctivity and stability of users can be enhan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저면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절개면이 형성된 조립식 타일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충격 흡수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a bottom portion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having a cut su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impact absorbing mechanism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case where it is judg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to a known configuration, do.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조립식 타일은 실내 또는 실외 운동 경기장, 마룻바닥, 베란다 등에 설치할 수 있는 다목적 조립식 바닥재로서, 스포츠 코트, 블록, 타일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타일로 정의하여 사용하기로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타일은 운동 경기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내외 공간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prefabricated tiles referred to herein are multipurpose prefabricated flooring materials that can be installed in an indoor or outdoor athletic field, a flooring floor, a verandah, etc.,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sports coats, blocks, tiles and the like. Hereinafter, tiles will be us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rms used herein. In addition, the tile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a variety of indoor and outdoor spaces as well as sports field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100)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조립식 타일(100)의 하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레그(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100)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측면(C, D) 내부로 삽입 체결되는 연결부(3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assembled ti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10 configured in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a plurality of support legs (not shown) protruding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tile 100 (C, D) of the base frame 10 protruding in at least one lateral direction on adjacent two side surfaces A, B of the base frame 10 and opposed to each other when connected to adjacent tiles 100, And a connecting portion 30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30.

베이스 프레임(10)은 적어도 두 개의 곡선이 교차하는 물결무늬(11)가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자무늬(12) 패턴들이 내부에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The base frame 10 has regularly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grid pattern 12 patterns in which a wave pattern 11 in which at least two curves intersect is formed.

지지레그(20)는 격자무늬 패턴(12)의 꼭지점 및 격자무늬 패턴 내부의 곡선들의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하부면을 향하여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 돌출 형성된다.The support legs 20 are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frame 10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vertices of the grid pattern 12 and the curved lines inside the grid pattern.

베이스 프레임(10)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100)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측면(C, D) 내부로 삽입 체결되는 연결부(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0)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 각각 6개씩 총 12개가 돌출 형성된다.The side walls C and D of the base frame 10 protrude in at least one lateral direction from the adjacent two side surfaces A and B of the base frame 10 and are opposed to each other when the adjacent tile 100 is connected. The connection portion 30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otal of twelve connecting portions 30 are formed by six each on the two adjacent side surfaces A and B of the base frame 10.

또한, 베이스 프레임(10)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 대응되는 측면(C, D)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30)가 체결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0)는 연결부(30)가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타일들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걸림돌기 형태의 후크(4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The connection portions 30 are prevented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side portions C and D corresponding to the two adjacent side surfaces A and B of the base frame 1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s 30 The engaging portion 40 is formed. At least one hook (41)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40)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30) after insertion and to maintain a firm coupling between the tiles.

조립식 타일(100)을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0), 지지레그(20), 연결부(30) 및 후크 결합부(4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등 비교적 견고한 재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frame 10, the support legs 20, the connecting portions 30 and the hook connecting portions 40 constituting the assembled tile 100 are made of a relatively rigid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P) or polyphenylene sulfide (PPS) And can be integrally formed by an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a material.

이중 PPS(polyphenylene sulphide) 수지는 치수 안정성이 가장 뛰어난 열가소성 플라스틱(결정성 폴리머) 중 하나로, 높은 온도와 침식적인 환경에서도 그 강도를 유지하고 탁월한 내화학성 및 내열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고온의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PPS는 기계적 강도는 강하고 온도 의존성은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PPS 수지는 자체 난연성을 가지고 있어서 난연제 없이도 난연화가 가능한 친환경 난연수지이며,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리섬유 또는 무기물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PS (polyphenylene sulphide) resin is one of the thermoplastic plastics (crystalline polymer) that has the best dimensional stability. It maintains its strength even in high temperature and erosive environment, and has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t the same time. Can also be used. In particular, PPS has a strong mechanical strength and low temperature dependency. Further, the PPS resin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flame retardant resin which can be flame retarded without a flame retardant because it has its own flame retardancy, and it is preferable to use glass fiber or inorganic material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한편, 조립식 타일에 사용되는 PP 또는 PPS 재질은 외부 온도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출성형 과정에서 수분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를 첨가하여 발포 성형을 수행함으로써 무수히 많은 초미세 기포를 조립식 타일의 재질 내부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P or PPS material used for the prefabricated tile is subject to shrinkage and expansion due to the external temperat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ater or glass fiber is added in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form numerous infinitesimal bubbles inside the material of the prefabricated tile by performing the foam molding.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부분 확대도이다.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실내 또는 실외 운동장, 경기장 및 다양한 공간에 포설되어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는 일종의 바닥재로서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특성상 조립식 타일의 표면에서는 사용자들의 스포츠 활동 과정의 접점이 발생함으로써 신발 바닥면과 조립식 타일 표면 사이의 심한 마찰이 발생한다. 더욱이, 급격한 턴, 정지, 점프 동작이 발생하는 격렬한 스포츠 활동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조립식 타일이 사용될 경우에는 사용자의 기동 능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가급적이면 마찰계수가 높은 표면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배경기술에서 살펴본 종래기술들은 제품의 표면이 직선, 사선, 마름모 또는 사각형의 무늬이기 때문에 마찰계수가 높지 못하여 상대적으로 바닥면이 미끄러워서 사용자의 기동 능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여 제품 만족도가 높지 못하였다. 또한, 사용자들이 종래 제품들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미끄럼 발생으로 인한 넘어짐으로 인해 심각한 부상을 입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조립식 타일의 표면 마찰계수가 최대화될 수 있는 조립식 타일의 형상 및 패턴을 제안한다.The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indoor or outdoor playgrounds, stadiums and various spaces to provide a function as a kind of flooring material for users to freely perform sports activities.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on the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tile, the contact points of the user's sports activities occur, resulting in severe friction between the shoe bottom surface and the prefabricated tile surface. Further, when a prefabricated tile is used as a space for providing intense sports activities in which sudden turn, stop, and jump operations occur, it is preferable that a surface with a high friction coefficient is provid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user's driving ability can be sufficiently exhibited. Howev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since the surface of the product is a straight line, an oblique line, a rhombus, or a square patter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s not high and the bottom surface is relatively slippery, .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case where a user is seriously injured due to a fall caused by a slip in the course of using conventional product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hape and a pattern of a prefabricated tile in which the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prefabricated tile can be maximized.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 내부에는 다수의 격자무늬 패턴(12)들이 형성된다. 격자무늬 패턴(12) 내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곡선이 교차하는 물결무늬(11)가 형성된다.As shown, a plurality of grid patterns 12 are formed in the base frame 10. In the inside of the grid pattern 12, a wave pattern 11 in which at least two curves intersect is formed.

즉, 종래 제품은 직선, 사선, 마름모 또는 사각형의 표면 무늬를 형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격자무늬 패턴(12)과 그 내부에 두 개의 곡선이 교차하는 물결무늬(11)를 더 형성함으로써 종래 제품과 비교하여 표면 마찰계수가 더욱 커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격자무늬 패턴(12) 내부의 물결무늬(11)는 단순한 직선들의 조합이 아닌 마찰 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는 곡선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단위 면적당 표면 마찰계수가 극대화되도록 한다.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곡선이 교차하는 물결무늬(12) 패턴은 격자무늬 패턴(12)의 4개 꼭지점과 교차하되 곡률 θ를 갖는 두 개의 곡선이 X자형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물결무늬를 형성하는 곡선의 곡률 θ은 5도 이상 30도 이하로 구성된다.That is, the conventional product forms a surface pattern of a straight line, a diagonal line, a rhombus, or a quadrangle. Howev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forming the lattice pattern 12 and the wave pattern 11, So that the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can be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product. Further, the wave pattern 11 inside the lattice pattern 12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at maximizes the friction area, not a combination of simple lines, thereby maximizing the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per unit area. As shown in Figs. 2 (b) and 2 (c), the wave pattern 12 pattern in which the two curves cross each other is formed by intersecting four vertexes of the lattice pattern 12, The curves are formed so as to cross in an X-shape. Preferably, the curvature &thetas; of the curve forming the wave pattern is comprised between 5 degrees and 30 degree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표면의 격자무늬 패턴(12) 또는 물결무늬 패턴(11)에는 음각의 홈(13)이 더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타일은 운동장과 같은 노출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비나 눈, 이슬과 같은 외부 습기로 인하여 표면에 물방울이 맺힐 수도 있다. 조립식 타일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힐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립식 타일 표면에서 기동을 하다가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음각의 홈(13)을 표면에 형성한다. 상기 음각의 홈(13)은 조립식 타일의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수로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d pattern grooves 13 are further formed in the lattice pattern 12 or the wavy pattern 11 of the surface of the base frame 10. In general, prefabricated tiles can be installed in exposed areas such as a playground, and water droplets may form on the surface due to external moisture such as rain, snow, and dew. If water droplets form on the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tile, the user may slip while operating on the prefabricated tile surface, resulting in serious injury. In this embodiment, the grooves 13 are formed on the surface to prevent this. The grooved grooves 13 serve as a number for facilitating drainage of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tile.

상기 음각의 홈(13)은 원형, 일자형 또는 십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식 타일의 표면에 음각의 홈(13)을 형성함으로써, 우천 또는 이슬 맺힘 현상으로 인해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engraved grooves 13 may be circular, straight or cross-shaped. By forming the depressed grooves 13 on the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til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droplets from forming on the surface due to rain or dew 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표면의 격자무늬 패턴(12) 또는 물결무늬 패턴(11)에는 양각의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sions of embossed pattern 12 or wavy pattern 11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frame 10.

도 3은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FIG. 3 and FIG.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200)은 다수의 격자무늬 패턴(52)들을 포함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격자무늬 패턴(52)의 4개 꼭지점과 교차하는 곡률진 X자형의 물결무늬 패턴(51)이 베이스 프레임 상부면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층(51)과, 격자무늬 패턴(52)의 꼭지점 및 물결무늬 패턴(51)의 교차점으로부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레그(20)와,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 측면(C, D)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3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prefabricated ti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ctangular base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grid patterns 52, and a plurality of grid patterns 52 having a curvature that intersects the four vertices of the grid pattern 52 of the base frame A surface layer 51 in which a genuine X-shaped wavy pattern 5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urface layer 5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frame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vertex of the plaid pattern 52 and the wavy pattern 51. [ A plurality of support legs 20 protruding toward the side of the base frame and protruding toward at least one of the two side surfaces A and B of the base frame, (Not shown).

도 4(a)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200)은 상부에 노출되는 표면층(51; 물결무늬 층), 격자무늬 패턴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52; 격자무늬 층) 및 지지레그(20)를 포함하는 다중 레이어 구조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A, the prefabricated til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surface layer 51 (a wavy pattern layer) exposed at the top, a base frame 52 (a plaid pattern layer) formed in a lattice pattern, And a support leg 20 as shown in FIG.

즉,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는 물결무늬 패턴(11)과 격자무늬 패턴(12)이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10)으로 구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물결무늬 패턴(51)과 격자무늬 패턴(52)이 상하로 분리되어 베이스 프레임(50)을 구성한다.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wavy pattern 11 and the lattice pattern 12 are composed of one base frame 10,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vy pattern 51 and the lattice pattern 52 Are separated upward and downward to constitute the base frame 50.

이외에 지지레그(20), 연결부(30)의 구조 및 조립식 타일의 사출성형 방법 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ructure of the supporting legs 20, the connecting portion 30, the injection molding method of the prefabricated tile, and the lik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물결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곡선의 곡률 θ와, 표면의 물결무늬 패턴(11)에 형성되는 음각의 홈(14)도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curvature? Of the curved line forming the wavy pattern and the grooves 14 of the intaglio pattern formed on the wavy pattern 11 of the surfac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를 참조하여 조립식 타일의 구조와 기능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prefabricated ti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a plan view,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측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타일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C, D) 내부로 삽입 체결되는 연결부(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0)는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 각각 6개씩 총 12개가 돌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연결부(30)의 개수는 설계 자유도에 따라서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5, at least one side surface (A, B) of the prefabricated tile is inserted into a side surface (C, D) of the base frame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lateral direction and opposed to the adjacent tile The connection portion 30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otal of twelve connecting portions 30 are formed by six each on the two adjacent side surfaces A and B of the base frame. However,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portions 30 can b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A, B)에 대응되는 측면(C, D)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30)가 체결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0)는 연결부(30)가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타일들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걸림돌기 형태의 후크(4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6, the connection portions 30 are fastened to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connection portions 30 in the side surfaces C and D corresponding to the two adjacent side surfaces A and B of the base frame, The engaging portion 40 is formed to prevent it from being detached. At least one hook (41)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40)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30) after insertion and to maintain a firm coupling between the tiles.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는 반원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며 연결부(30)에 대응되는 결합부(40)를 안쪽으로 감싸면서 결합부(40)가 내경에 삽입되도록 체결된다. 이때, 연결부(30)의 최외각 외주면의 높이는 베이스 프레임 측면에 인접한 높이와 비교하여 h 만큼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30)가 결합부(40)와 체결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걸림돌기 형태의 후크(41)가 연결부의 최외각 외주면의 걸림쇠 역할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결합구조의 이탈을 방지하고 타일들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projected in a semicircular ring shape and is fastened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while the engaging portion 4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wrapped inward.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outermost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0 is formed to be smaller by h than the height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frame. Therefore, the hook 41 in the form of a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event the coupling portion 30 from being detached after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40 can serve as a latch for the outermost peripheral 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maintain a solid connection between the tiles.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30)의 내부에는 일측면이 베이스 프레임 측면에 연결되고 타측면으로 갈수록 베이스 프레임 측면으로부터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외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플립(31)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a flip 31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portion 30,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ase frame, and the other side of the flip 31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side of the base frame.

상기 플립(31)은 타일들이 결합된 후, 제품간 유격을 조절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타일들 간의 결합시 대략 1mm 내지 10mm의 유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결합된 타일의 수평 방향 충격이 발생할 경우 측면부에 형성된 플립(31)을 통해서 이와 같은 수평방향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After the tiles are combined, the flip 31 adjusts the clearance between the products and absorbs shocks. That is, a clearance of approximately 1 mm to 10 mm may occur at the time of coupling between the tiles,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impact of the combined tile may be absorbed through the flip 31 formed at the side portion.

또한, 상기 플립(31)은 비교적 연성을 띠기 때문에 타일의 운송 또는 타일의 조립 과정에서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0)의 내부에 플립(3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파손으로부터 플립(31)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립(3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타일들 간의 밀착 및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도 있다. Also, since the flip 31 is relatively soft, the flip 31 can be easily broken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tile or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til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lip 31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portion 30,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flip 31 from the breakage. In addition, the elasticity of the flip 31 may be used to maintain close contact and firm coupling between the til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립(31)은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 또는 베이스 프레임보다 연성의 재질을 이용하여 이충사출 방식으로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 돌출 형성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ip 31 may be protrud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frame by using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도 6을 참조하면 조립식 타일의 지지레그(20) 중 일부에는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질의 완충부재가 결합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링(60)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타일이 포설되는 바닥면의 특성이나 타일의 재질 또는 사용되는 용도를 고려하여 쿠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재질의 강도, 소재 또는 길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립식 타일과 별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6, a part of the support legs 20 of the prefabricated tile is combined with a buffer member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impact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refabricated tile surface. The cushioning member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hock absorbing ring 60. The cushioning force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tile is installed, the material of the tile, , The material or the length can be freely changed.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from the prefabricated tile, and may be detachable as necessary.

도 5를 참조하면, 조립식 타일의 중앙 부근에는 십자(+) 형상으로 절개면(70)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5, a cut surface 7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ross (+) near the center of the prefabricated tile.

모듈 형태의 바닥재 또는 타일을 광활한 운동장에 포설할 경우 수많은 타일들을 결합하는 시공과정에서 타일들 간의 결합 자유도가 떨어지고 현장 여건에 따라서는 타일을 일부 절단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종래 타일의 경우, 타일을 일부 절단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별도의 절단기 및 마감 공정이 필요하여 조립 자유도 및 시공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When a module type flooring or a tile is laid in a large playground, the degree of coupling between the tiles decreases in a construction process of joining a large number of tiles, and a part of the tile is frequently cut depending on the site conditions. In the case of conventional tiles, when it is necessary to cut some of the tiles, a separate cutter and a finishing process are required, which has disadvantages in assembly freedom and construction.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중앙부에 절개면(70)을 구성함으로써, 현장 여건 및 시공 과정에서 조립식 타일을 파티션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면적으로 4등분 절개될 수 있도록 하여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However, in the assembled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artitioned tile is required to be partitioned in the field condition and construction process, the incision surface 70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

또한, 절개면(70) 내부에는 결합부(42)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개면(70)을 통해서 조립식 타일을 파티션 하더라도 절단면 내부에 결합부(42)가 구성됨으로써 다른 타일과 파티션된 타일 간의 결합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42 is formed in the incision surface 70. Therefore, even if the prefabricated tile is partitioned through the incision surface 70, it is possible to form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other tiles and the partitioned tiles by forming the engaging portion 42 inside the cut surfac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저면 부분 확대도이다.FIG. 8 is an enlarged bottom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을 참조하면, 절개면(70) 안쪽에는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응력(應力)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유격(W)이 형성되며, 상기 유격(W)이 형성된 공간 내부에는 완충부재(71)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격(W)의 폭은 1mm 내지 5mm 이다.8, a clearance W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incision surface 70 so as to absorb the stress gene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tile, A buffer member 71 is formed in the space formed. Preferably, the width of the clearance W is 1 mm to 5 mm.

상기 유격(W) 및 완충부재(71)를 통해서는 조립식 타일 표면 방향의 수평방향 충격흡수뿐만 아니라 조립식 타일의 절개시 절개 부위가 깔끔하게 마감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유격(W) 및 완충부재(71)가 조립식 타일의 중앙부에 형성됨으로써, 조립식 타일의 수축/팽창이 발생하더라도 타일의 변형이나 휘어짐을 완화할 수 있다.Through the clearance W and the buffer member 71, not only the shock absorp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assembled tile but also the cleavage at the incision in the assembled type tile can be finished neatly. Also, since the clearance W and the buffer member 71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efabricated tile, deformation and warping of the prefabricated tile can be alleviated even if the prefabricated tile contracts / expand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에는 플립(31), 충격 흡수링(60), 절개면(70)의 유격(W) 및 완충부재(71) 등과 같이 다수의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기동중 급격한 정지, 턴 등의 동작을 할 경우 관절에 전달되는 충격을 조립식 타일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관절을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ed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mponents such as the flip 31, the shock absorbing ring 60, the clearance W of the cut-off surface 70, and the buffer member 71, Thus, when the user performs a sudden stop or turn operation during start-up,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joint can be absorbed in the assembled tile, thereby protecting the user's joint.

한편, 조립식 타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통상 기초 바닥층을 콘크리트 또는 아스콘으로 조성하게 된다. 이때, 조성된 기초 바닥면의 표면에 발생하는 미세한 요철로 인하여 타일이 바닥면에 완벽하게 밀착되지 않고 들뜸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들뜸 현상이 발생할 경우 농구 또는 테니스와 같은 공의 바운딩이 발생하는 운동을 할 때, 볼 바운딩이 불규칙하게 되어 사용감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바닥면 공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무수히 많은 지지레그(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stall the prefabricated tile, the foundation bottom layer is usually made of concrete or ascon. At this time, due to the fine irregularitie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foundation floor, the tile is not completely adhered to the floor surface, and lifting phenomenon occurs. When this lifting phenomenon occurs, when the ball is bound, such as a basketball or a tennis ball, the ball bounding becomes irregular and the feeling of use is rapidly deteriorat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number of support legs 20 are formed in order to minimize the gap on the bottom surface.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레그(20)는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에서 형성되는 십자형상의 다소 굵은 제1 지지레그(21)와, 물결무늬 패턴의 교차점에서 형성되는 원형 형상의 다소 가는 굵기의 제2 지지레그(2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support leg 20 includes a first support leg 21 having a somewhat thick cross shape formed at a vertex of a lattice pattern, a second support leg 21 having a circular shape, which is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wavy pattern, And a support leg (22).

또한, 상기 제1 지지레그(21)와 제2 지지레그(22)는 높이가 동일하지 않고 1mm 내지 2mm 정도 차이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바닥면 표면의 미세한 돌기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른 볼 바운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legs 21 and the second support legs 22 are not equal in height but have a difference of about 1 mm to 2 mm so as to support fine protrusions on the bottom surface, .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절개면이 형성된 조립식 타일의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of a prefabricated tile having a cut su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선 실시예에서는 조립식 타일이 동일한 4개면으로 절개될 수 있도록 십자(+) 형상으로 절개면이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식 타일이 동일한 8개면으로 절개될 수 있도록 절개면이 형성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cut surface is formed in a cross shape so that the assembled tile can be cut into the same four surfaces.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cut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prefabricated tile can be cut into the same 8 surfaces.

즉, 베이스 프레임의 대응되는 두 측면을 가로지르면서 중앙부에서 교차하는 4개의 "\", "/", "―", 및 "|" 형상으로 소정의 폭을 유지하며 절개면이 형성된다.That is, four "\", "/", "-", and "|" crossing the corresponding two sides of the base frame, And a cut surface is formed in a shap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width.

또한, 절개면 각각에 인접한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는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ase frame adjacent to each of the cut-away surfaces includes a coupling portion that prevents the coupling portion from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조립식 타일의 절개면을 구성함으로써 현장 여건 및 시공 과정에서 조립식 타일을 파티션할 필요성이 빈번히 발생하더라도 절개면을 통해서 매우 손쉽게 조립식 타일을 파티션함으로써 시공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t-away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tile is formed in various forms, even if the necessity of partitioning the prefabricated tile frequently occurs in the field conditions and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prefabricated tile can be easily partitioned through the cut- .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충격 흡수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10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n impact absorbing mechanism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수직 및 수평을 포함한 다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조립식 타일의 하부에 충격흡수가 가능한 충격 흡수링(60)과 같은 완충부재가 포함된다. 또한, 조립식 타일의 중앙부에 절개면(70)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면(70)에 형성된 유격(W) 및 완충부재(71)를 통해서 수평방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shioning member such as a shock absorbing ring 60 capable of absorbing shock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efabricated tile so as to absorb impact applied in various directions including vertical and horizontal . In addition, a cut surface 7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efabricated tile, and a shoc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absorbed through the clearance W formed on the cut surface 70 and the buffer member 71.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타일은, 도 9(a)와 같이 수직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충격 흡수링(60)을 통해서 1차적으로 흡수하고, 도 9(b)와 같이 4등분으로 나눠진 연결부분에 설계된 완충 구조를 통해서 수평방향의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도록 설계된다. 이때, 수평방향으로 발생되어 오는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는 X자 형태로 형성하여 힘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충격흡수 기능을 극대화하였으며, 절개가 시작되는 지점에 원형의 홈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충격흡수도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That is, the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absorbs the impact generated vertically as shown in FIG. 9 (a) through the shock absorbing ring 60, Is designed to absorb secondarily the impa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cushioning structure designed in Fig. In this case, the structure that absorbs the impact gene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as an X-shaped shape, thereby maximizing the shock absorbing function so that the force is uniformly dispersed. Further, a circular groove is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incision is started, .

한편, 조립식 타일에 사용되는 PP 또는 PPS 재질은 외부 온도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타일 성형방법을 제안한다.Meanwhile, the PP or PPS material used for the prefabricated tile is subject to shrinkage and expansion due to the external temperature,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ile molding method that can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조립식 타일을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 연결부, 결합부 및 지지레그는 PP 또는 PPS 등의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수분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를 첨가하여 발포 성형을 수행함으로써 무수히 많은 초미세 기포를 재질 내부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The base frame, the connecting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legs constituting the assembled tile are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resin such as PP or PPS.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by adding water or glass fiber and performing foaming molding, numerous infinitesimal bubbles can be formed inside the materia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1차 성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molding method of a prefabricated t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고체상태의 PP 또는 PPS 수지 알갱이(pellet) 들을 열 또는 기계적 마찰을 가하여 녹이고 이와 같은 원료에 수분 또는/및 유리섬유를 첨가한다.First, solid PP or PPS resin pellets are melted by thermal or mechanical friction and water and / or glass fibers are added to such raw materials.

상기 수분을 원료에 첨가할 경우 금형 사출시 수분이 금형 내에서 기화 발포되어 원료 내부에 기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를 원료에 첨가할 경우에 유리섬유와 수지가 1:200의 냉각 차이를 갖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기포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유리섬유의 특성에 의해 재질이 보다 단단한 강도를 보유하게 된다.When the moisture is added to the raw material, moisture may be vaporized and foamed in the mold at the time of injection of the mold, thereby forming a bubble layer inside the raw material. Further, when the glass fiber is added to the raw material, since the glass fiber and the resin have a cooling difference of 1: 200, a bubble layer can be formed naturally, and furthermore, the material has a harder strengt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lass fiber .

수분 또는/및 유리섬유를 용융 상태의 원료와 혼합한 후,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실린더 내에서 잘 배합시키고, 열을 가하여 액체와 기체를 구분할 수 없는 초임계상태로 변화시킨다.After mixing the water and / or glass fiber with the molten raw material, it is mixed well in the cylinder so that it can be uniformly mixed, and heat is applied to change into a supercritical state in which liquid and gas can not be distinguished.

이후, 혼합원료를 사출기에 주입하여 조립식 타일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내부로 주입한다. 이때, 수지 원료와 수분/유리섬유 등은 초임계 유체 상태로서 압력차가 발생하여 PP 또는 PPS 내부에서 수분이 발포되고 수분이 있던 공간은 다수의 초미세 기포가 균일하게 형성된다.Then, the mixed raw material is injected into an injection machine and injected into a mold for forming a prefabricated tile. At this time, the resin material and water / glass fiber are supercritical fluid state, and a pressure difference is generated, so that water is foamed inside the PP or PPS, and a lot of ultrafine bubbles are uniformly formed in the water-containing space.

이후, 소정 시간 동안 금형 내부에서 응고되며 이 과정에서 유리섬유와 수지의 냉각차에 의해서 다수의 초미세 기포가 생성된다.Thereafter, the resin is solidified in the mol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a large number of ultrafine bubbles are generated by the cooling difference between the glass fiber and the resi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섬유만을 첨가하여 수지와 유리섬유의 냉각 차이를 이용하여 초미세 기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ultrafine bubbles by adding only the glass fibers and using the cooling difference between the resin and the glass fiber.

초미세 기포를 형성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알칸이나 염불화알칸 등의 발포제를 수지 원료에 첨가함으로써, 발포제가 열분해 반응시 발생하는 탄산가스 또는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기포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탄산 또는 질소 가스 등은 오존층 파괴 등의 환경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Another method of forming ultrafine bubbles is to add a foaming agent such as an alkane or a halogenated alkane to a resin material so that a bubbling layer can be formed by using a carbon dioxide gas or a nitrogen gas generated during the pyrolysis reaction of the foaming agent. However, carbon dioxide or nitrogen gas can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destruction of the ozone layer.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수분/유리섬유를 활용할 경우 친환경적인 생산/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environment-friendly production / manufacture can be performed by using moisture / glass fib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수분 및 유리섬유를 원료에 혼합할 때, 실린더에 스크류 등을 활용하여 첨가물이 원료 내부에 조밀하고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배합함으로써, 초미세 기포가 재질 전체적으로 조밀하고 균일하게 발생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water and glass fibers are mixed into a raw material, ultrafine bubbles are densely and uniformly formed throughout the material by using a screw or the like in a cylinder so that additives can be densely and uniformly mixed in the raw material.

상기와 같은 초미세 기포가 조립식 타일 소재 내부에 조밀하고 균일하게 다수 형성될 경우, 초미세 기포로 인한 탄성력이 조립식 타일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온도의 변화를 초미세 기포들이 흡수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른 조립식 타일의 수축/팽창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superfine bubbles are densely and uniformly formed in the prefabricated tile material, the elastic force due to the ultrafine bubbles can be formed inside the prefabricated tile, and the change i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absorbed by the ultra-minute bubbles,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raction / expansion of the prefabricated tile due to the change.

또한, 조립식 타일의 압축 하중력이 초미세 기포 및 유리섬유로 인하여 강화될 수 있으며, 조립식 타일 자체가 경량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Further, the compressive loading force of the prefabricated tile can be strengthened by the microbubbles and the glass fiber, and the prefabricated tile itself is lightened.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상기 초미세 기포가 조립식 타일 내부에 다수 형성되어야 한다.In order to exhibit such an effect, the ultrafine bubbles must be formed inside the prefabricated ti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타일 내부에 형성된 초미세 기포의 직경은 100μm ~ 1μm 이며, 전체 타일의 부피 중 초미세 기포가 대략 15% 내지 30%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ultrafine bubbles formed in the prefabricated tile is 100 袖 m to 1 袖 m, and the ultrafine bubbles in the volume of the entire tile are preferably generated by about 15% to 30%.

그러나 초미세 기포가 전체 타일 부피의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타일의 강도가 저하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타일의 균열/깨짐이 발생할 수도 있다.However, if the ultrafine bubbles exceed 50% of the total tile volume, the strength of the tile may be lowered, which may cause cracking / cracking of the tile.

타일 내에 함유되는 초미세 기포의 부피는 수분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volume of the ultrafine bubbles contained in the tile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moisture conten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 조립식 타일 10 : 베이스 프레임
11, 51 : 물결무늬 패턴 12, 52 : 격자무늬 패턴
13, 14 : 홈 20, 21, 22 : 지지레그
30 : 연결부 31 : 플립
40, 42 : 결합부 41 : 후크
50 : 절개면 60 : 충격 흡수링
W : 유격 71 : 완충부재
100, 200: Prefabricated tile 10: Base frame
11, 51: wavy pattern 12, 52: plaid pattern
13, 14: grooves 20, 21, 22: support legs
30: connection 31: flip
40, 42: engaging portion 41: hook
50: incision surface 60: shock absorbing ring
W: clearance 71: buffer member

Claims (12)

다수의 격자무늬 패턴들을 포함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4개 꼭지점과 교차하는 X자형의 물결무늬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물결무늬 패턴은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상층부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 및 상기 물결무늬 패턴 내부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레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측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접한 타일과 연결시 대향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인접한 두 측면에 대응되는 측면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 측면에 연결되고 타측면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 측면으로부터 점차 벌어지는 형태로 외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플립;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조립식 타일이 동일한 면적으로 N등분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면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면에 인접한 베이스 프레임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면은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개면의 상기 소정의 폭 내부에는 상기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응력(應力) 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립을 감싸면서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레그는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에서 형성되는 제1 지지레그와 상기 격자무늬 패턴 내부의 곡선들의 교차점에서 형성되는 제2 지지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레그와 상기 제2 지지레그는 굵기와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A rectangular base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grid patterns; An X-shaped moiré pattern crossing the four vertices of the lattice pattern is formed, the moiré pattern being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attice patter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support legs protruding from a vertex of the grid pattern and an inner intersection of the wave pattern to a low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 connection part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lateral side of two adjacent side surfaces of the base frame and inserted into a side surface of the base frame opposite to the adjacent tile when connected to the adjacent tile;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wo adjacent side surfaces of the base fram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flip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so as to protrude outwardly from a side surface of the base frame, the side surface being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frame, / RTI >
The coupl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coupling portion from being detache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The base fram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cut surface in which the prefabricated tile can be equally divided into N equal parts, and a coupling part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can be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art in the base frame adjacent to the cut surface In addition,
The incision surface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a shock absorbing portion capable of absorbing a stress or an impact gener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tile, in the predetermined width of the cut surface,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to a circular shape while enclosing the flip,
Wherein the support leg comprises a first support leg formed at an apex of the grid pattern and a second support leg formed at an intersection of curves within the grid pattern, A tile having a thickness and a height different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 상기 지지레그, 상기 연결부, 상기 결합부,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플립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의 재질로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frame, the base frame surface layer, the support leg, the connection portion, the engagement portion, the engagement protrusion, and the flip ar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polypropylene (PP) or polyphenylene sulfide (PPS) Prefabricated til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의 상기 물결무늬 패턴은 "X"자형 패턴보다 표면 마찰계수가 더 커지도록 물결무늬를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곡선이 교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곡선의 곡률은 5도 이상 3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ve pattern of the base frame surface layer is configured to cross at least two curves forming a wave pattern so that a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is larger than an "X " pattern, and the curvature of the curve is not less than 5 degrees and not more than 30 degrees Wherein the tile is made of a met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표면층의 상기 물결무늬 패턴 내부 교차점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기 격자무늬 패턴의 꼭지점에는 음각의 홈 또는 양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ngraved groove or embossed protrusion is formed at an inner intersection of the moire pattern on the surface layer of the base frame or an apex of the grating pattern of the base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지지레그에는 상기 조립식 타일 표면의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질의 완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support leg further comprises a buffer member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an impact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til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지지레그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지지레그에 부착시 지지레그의 길이와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ushioning member is removably attachable to the support leg an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leg when attached to the support leg.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71516A 2014-06-12 2014-06-12 Modular assembly tile including enhanced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ing KR1016275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516A KR101627582B1 (en) 2014-06-12 2014-06-12 Modular assembly tile including enhanced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516A KR101627582B1 (en) 2014-06-12 2014-06-12 Modular assembly tile including enhanced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912A KR20150142912A (en) 2015-12-23
KR101627582B1 true KR101627582B1 (en) 2016-06-13

Family

ID=5508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516A KR101627582B1 (en) 2014-06-12 2014-06-12 Modular assembly tile including enhanced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5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809B1 (en) * 2016-04-27 2016-12-27 주식회사 에이컴퍼니 Assembly type floor tile for sports cour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496Y1 (en) * 2005-01-04 2005-04-14 강병수 Prefabricated floorings
KR100757453B1 (en) * 2006-11-28 2007-09-11 성 무 김 Connection. the apartment complex in, which and uses this with the separable draining board an installation is facilitated road, the construction method
KR200472466Y1 (en) * 2013-10-30 2014-04-29 (주) 에스지아이스 Floor board for spor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0286A (en) * 1988-03-14 1990-06-05 Daniel Kotler Modular sports tile with lateral absorption
KR100901434B1 (en) 2009-02-23 2009-06-05 (주)필드테크 A prefabricated sport court
KR100975984B1 (en) 2010-02-17 2010-08-13 (주)필드테크 Assemble type of field flooring and fabricating method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496Y1 (en) * 2005-01-04 2005-04-14 강병수 Prefabricated floorings
KR100757453B1 (en) * 2006-11-28 2007-09-11 성 무 김 Connection. the apartment complex in, which and uses this with the separable draining board an installation is facilitated road, the construction method
KR200472466Y1 (en) * 2013-10-30 2014-04-29 (주) 에스지아이스 Floor board for spo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912A (en)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964B1 (en) Modular assembly tile
US10975532B2 (en) Underlayment panel having drainage channels
KR101363159B1 (en) Drain board
US8881482B2 (en) Modular flooring system
US8683769B2 (en) Modular sub-flooring system
RU2015274C1 (en) Covering of floor of sports structure
BR112021007783A2 (en) multipurpose tile system, tile and tile covering
KR101689809B1 (en) Assembly type floor tile for sports court
KR200472466Y1 (en) Floor board for sports
WO2015030255A1 (en) Free access floor
KR101627582B1 (en) Modular assembly tile including enhanced connection structure for assembling
KR101640482B1 (en) Modular assembly tile including seperation part for partitioning
KR101572962B1 (en) Modular assembly tile
KR100901434B1 (en) A prefabricated sport court
CA2397814A1 (en) Safety tiles for paving a playground area
KR100593488B1 (en) Plate with buffer and soundproof fun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334443B1 (en) Drain board
CA3159713A1 (en) Load supporting panel having impact absorbing structure
KR100590409B1 (en) Fabricated floor panel for use in architecture
KR200452855Y1 (en) Connecting construction of shock-absorbing using connecting member for supporting plate
KR101969973B1 (en) Assembly type floor tile for sports court
JP3996676B2 (en) Mat for flooring
KR101110272B1 (en) Multiple structured pavement block of composite materials
KR101727805B1 (en) Interlayer Noise barrier
KR200149166Y1 (en) Sectional blowing urethane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