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866B1 - 보온그릇 - Google Patents

보온그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866B1
KR101625866B1 KR1020130149021A KR20130149021A KR101625866B1 KR 101625866 B1 KR101625866 B1 KR 101625866B1 KR 1020130149021 A KR1020130149021 A KR 1020130149021A KR 20130149021 A KR20130149021 A KR 20130149021A KR 101625866 B1 KR101625866 B1 KR 10162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wall
heating element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4379A (ko
Inventor
이탄
Original Assignee
이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탄 filed Critical 이탄
Priority to KR1020130149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866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4Contain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벽과 외벽의 이중구조에 의해 하단에 형성되는 제1내부공간, 제1내부공간의 상부로 내벽을 따라 형성되는 제2내부공간, 및 내벽과 외벽을 연결하는 상부면을 구비하는 보온그릇은 상부면에 구비되어 제1내부공간으로 물을 주입하는 물 주입부, 주입된 물의 목표 온도를 설정 및 표시하는 설정부, 주입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부 및, 설정받은 목표온도로 주입된 물이 가열되도록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목표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온그릇{Warming bessel}
이중벽에 의해 형성된 제1내부공간에 물을 주입하고, 히터부를 이용하여 주입된 물을 가열시킴으로써 설정받은 온도로 유지시켜주는 보온그릇 및 보온그릇의 온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의 종류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음식의 온도를 따뜻하게 또는 차갑게 유지시키고자 다양한 구조의 그릇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음식물의 온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그릇을 내벽과 외벽의 이중벽의 구성과, 그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시킨 이중 그릇이 있다. 하지만, 이중그릇은 내부의 진공에 의한 단열 효과에 의하여, 그릇에 담긴 음식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자하는 것으로, 온도는 음식물 자체에 의존하게 된다.
또한, 진공 구조의 이중그릇과 다른 구조로서, 이중벽의 내부에 열매체유를 주입하여 밀봉하고, 따뜻한 음식을 담는 경우에는 그릇을 따뜻하게 데워 따뜻한 음식을 담음으로써 열매체유가 가진 열기를 오래도록 음식으로 서서히 방출하게 되어 오래도록 온기가 유지되었다. 그리고 차가운 음식을 담는 경우에 있어서, 그릇을 냉장고 등에 넣어 차게 한 후 사용하는 또다른 이중그릇이 상기의 열매체유를 사용하는 경우는 그릇을 밀폐되게 제조하여야 하므로 제조에 어려움이 있고, 사용중 열매체유의 누출이 있으면 음식물 및 주위의 여러 주방기구까지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2009-0072841(이하, 인용문헌)에서는 이중그릇의 내부공간으로 따뜻한 물을 넣거나, 또는 물을 넣고 얼려서 사용하는 보온보냉 그릇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인용문헌에 개시된 보온보냉그릇은 물의 온도에 따라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물이 식으면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중벽에 의해 형성된 제1내부공간에 물을 주입하고, 히터부를 이용하여 주입된 물을 가열시킴으로써, 설정받은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보온그릇 및 보온그릇의 온도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벽과 외벽의 이중구조에 의해 하단에 형성되는 제1내부공간, 상기 제1내부공간의 상부로 상기 내벽을 따라 형성되는 제2내부공간, 및 상기 내벽과 외벽을 연결하는 상부면을 구비하는 보온그릇은 상기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으로 물을 주입하는 물 주입부; 상기 주입된 물의 목표 온도를 설정 및 표시하는 설정부; 상기 주입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부; 및, 상기 설정받은 목표온도로 상기 주입된 물이 가열되도록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외벽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부; 상기 외벽의 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 및, 상기 외벽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부로 외부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커넥터 연결부를 통해 외부전기가 공급되면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의 발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발열체의 발열온도가 기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외부전기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주입된 물의 수심 및 수온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목표온도에 오차값이 가산 또는 감산된 온도의 범위인 목표온도범위보다 상기 측정된 수온이 낮으면 상기 발열체에 외부전기를 공급하여 발열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주입된 물의 수심이 기설정 수심 이하이면, 상기 설정부를 통해 물보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제1 내부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주입된 물의 수심 및 제1수온을 측정하는 제1측정센서; 및, 상기 제1 내부공간의 타측에 구비되어 주입된 물의 수심 및 제2수온을 측정하는 제2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온그릇은, 상기 외벽의 제1내부공간 하단에 구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판을 포함하는 회전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온 및 제2수온의 차이값이 기설정범위를 벗어나면 회전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온 및 제2수온의 차이값이 기설정범위 내에 포함되면 목표온도범위 내에 상기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포함되는지 판단하며, 목표온도범위 내에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포함되면 물온도가 유지되도록 발열체를 제어하고 목표온도범위 내에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포함되지 않으면 발열온도가 높아지도록 발열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온그릇은, 상기 제2내부공간을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내부공간의 상단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이 치합되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벽과 외벽의 이중구조에 의해 하단에 형성되는 제1내부공간, 상기 제1내부공간의 상부로 상기 내벽을 따라 형성되는 제2내부공간, 및 상기 내벽과 외벽을 연결하는 상부면을 구비하는 보온그릇의 온도제어방법은 상기 보온그릇에 구비된 히터부에 대한 온 명령이 입력되면, 수온 및 수심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내부공간의 수심을 측정하는 단계;상기 측정된 수심이 기설정치보다 작으면 물보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물보충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내부공간에 물이 보충되면 목표 온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목표온도에 오차값이 가산 또는 감산된 온도의 범위인 목표온도범위보다 상기 측정된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낮으면 상기 히터부에 구비된 발열체에 외부전기를 공급하여 발열시키는 단계; 상기 제1수온 및 제2수온의 차이값이 기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제1내부공간의 하단에 구비된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수온 및 제2수온의 차이값이 기설정범위 내에 포함되고, 상기 목표온도범위내에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포함되면, 물 온도가 유지되도록 히터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온그릇은 이중벽에 의해 형성된 제1내부공간으로 물을 주입받고, 히터부를 이용하여 주입된 물을 가열함으로써 설정받은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내부공간에 담기는 음식, 또는 음료 및 차 등을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내부공간 하부에 회전판을 구비함으로써, 제1내부공간으로 주입된 물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히터부의 발열체의 발열온도를 감지하여 과열시 자동으로 외부전기를 차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온그릇의 일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온그릇의 타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히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보온그릇의 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온그릇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온그릇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온그릇의 온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온그릇의 일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보온그릇(100)은 내벽(120)과 외벽(110)의 이중구조에 의해 하단에 형성되는 제1내부공간(111), 제1내부공간(111)의 상부로 내벽(120)을 따라 형성되는 제2내부공간(121), 및 내벽(120)과 외벽(110)을 연결하는 상부면(12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벽(110), 내벽(120), 및 상부면(125)은 동, 구리, 또는 스텐레스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4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보온그릇의 타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히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보온그릇의 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보온그릇(100)은 물주입부(130), 설정부(140), 히터부(150), 제1덮개(161) 및 제2덮개(162), 커넥터 연결부(170), 지지부(180), 배출부(181), 손잡이(190a,190b),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히터부(150)는 발열체(151), 온도감지센서(152), 제1측정센서(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물주입부(130)는 상부면(125)에 물 주입을 위한 복수의 홈(131)을 구비하며, 제1덮개(161)에 의해 물주입부(131)를 오픈하거나 막을 수 있다. 한편, 물주입부(131)를 통해 주입된 물은 제1내부공간(111)에 수용될 수 있다.
배출부(181)는 외벽(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1내부공간(111)에 주입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미도시) 및 마개(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벽(110)의 하부에 복수의 지지부(18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외벽(11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190a,190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설정부(140)는 상부면(125)에 구비될 수 있으며, 물주입부(13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설정부(140)는 주입된 물의 목표 온도를 설정받으며 설정된 온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설정부(140)는 히터부(150)의 on/off 입력 및 보온그릇(100)의 상태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설정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설정부(140), 히터부(150), 커넥터연결부(17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부(140)는 제2덮개(162)에 의해 오픈되거나 덮힐 수 있다.
한편, 설정부(140)의 하단으로 히터부(150) 및 제어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히터부(150)가 배치된 외벽의 측면으로 커넥터 연결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연결부(170)는 히터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 연결부(170)는 코드가 연결된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하에 외부 전기를 히터부(15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히터부(150)는 돼지꼬리모양으로 감긴 발열체(151), 발열체(151)의 중심에 구비되어 발열체(15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52), 및 제1내부공간(111)에 주입된 물의 수심 및 수온을 측정하는 제1측정센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체(151) 및 온도감지센서(152)는 물로부터 보호하기위해 보호막(155)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발열체(151)의 발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보호막(155)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설정부(140)를 통해 히터부(150) 온 명령이 입력되면, 제1측정센서(153)로부터 수온 및 수심 측정값을 수신받고, 측정된 수심이 기설정치보다 작으면 물보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설정부(140)를 통해 물보충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내부공간(111)에 물이 보충된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된 목표 온도에 따라 히터부(150)에 구비된 발열체(151)에 외부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제1측정센서(153)에서 측정한 제1수온이 목표온도범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발열체(151)에 외부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발열체(151)는 외부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산함으로써 주입된 물을 가열 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목표온도범위는 입력된 목표온도에, 오차값이 가산 또는 감산된 온도의 범위가 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온도감지센서(152)로부터 감지된 발열체(151)의 온도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발열체의 발열온도가 기설정온도 이상이면, 과열로 판단하여 외부전기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수신받은 발열체의 발열온도가 기설정온도 이하이면, 제1측정센서(153)에서 측정된 수온에 따라 발열체(151)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수온이 목표온도가 될 때까지 발열체의 발열 온도를 높여 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온그릇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보온그릇(100)은 물주입부(130), 설정부(140), 히터부(150), 제1덮개(161) 및 제2덮개(162), 커넥터 연결부(170), 지지부(180), 배출부(181), 손잡이(190a,190b), 회전부(3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히터부(150)는 발열체(151), 온도감지센서(152), 제1측정센서(153), 제2측정센서(15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5의 보온그릇(100)은 도 1 내지 도 4의 보온그릇의 구성에 제2측정센서(154) 및 회전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측정센서(153)는 제1 내부공간(1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주입된 물의 수심 및 제1수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측정센서(154)는 제1 내부공간(111)의 타측에 구비되어 주입된 물의 수심 및 제2수온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측정된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목표온도범위보다 낮은 경우, 발열체(151)에 외부전기를 공급하여 발열시킬 수 있다.
회전부(300)는 외벽(110)의 제1내부공간(111) 하단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310,320) 및 회전축(310,320)에 연결된 복수의 회전판(311a,321a)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310,320)은 회전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모터(미도시)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회전모터(미도시)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하에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수온 및 제2수온의 차이값을 판단하여, 차이값이 기설정범위를 벗어나면 회전부(3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내부공간(111)에 주입된 물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으며, 제2내부공간(121)에 수용되는 음식물도 전체적으로 일정한 온도로 보온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차이값이 기설정범위 내에 있으면, 목표온도범위내에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발열체(15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목표온도범위내에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포함되면 발열체(151)의 발열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며,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목표온도범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더 높은 발열온도로 발산되도록 발열체(1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온그릇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6의 보온그릇(100)은 도 1 내지 5의 보온그릇에 덮개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온그릇(100)은 음식물을 담는 접시, 병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덮개부(200)를 구비하여 히터부(150)에 의해 가열되는 음식물의 온도를 높이는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의 온도를 더 오래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병의 형태인 보온그릇(100)의 경우, 커넥터 연결부(170)를 통해 차량의 시가잭 등을 연결하여 차량의 보조배터리를 통한 전기를 히터부(150)에 공급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덮개부(200)는 제2내부공간(121)을 덮을 수 있으며, 돌출된 하단부(210)에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내부공간(121)의 상단에는 암나사산(2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을 치합시켜 제2내부공간(121)과 덮개부(200)를 결합시키거나, 음식물 음용시 덮개부(200)를 분리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6의 덮개부(200)의 형태는 병의 형태인 보온그릇의 경우에 유용하며, 그릇이나 접시 형태인 경우 암나사산 및 수나사산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고, 덮개부(200)의 상부에 손잡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온그릇의 온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도 5의 보온그릇을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보온그릇(100)에 구비된 히터부(150)에 대한 온 명령이 입력되면(710), 수온 및 수심을 측정하는 제1측정센서(153) 및 제2측정센서(154)를 이용하여 제1내부공간(111)의 수심을 측정할 수 있다(715).
한편, 측정된 수심에 따라 물보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20). 구체적으로, 측정된 수심이 기설정치보다 작으면 물보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물보충을 표시할 수 있다(725).
다음으로, 제1내부공간(111)에 물이 보충되면 목표 온도를 입력받을 수 있다(730).
다음으로, 제1측정센서(153) 및 제2측정센서(154)를 이용하여 제1내부공간(111)의 수온을 측정할 수 있다(735). 또한, 입력된 목표온도에 오차값이 가산 또는 감산된 온도의 범위인 목표온도범위보다, 제1측정센서(153) 및 제2측정센서(154)에서 측정된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낮으면(740:Y), 히터부(150)에 구비된 발열체(151)에 외부전기를 공급하여 발열시킬 수 있다(745).
또한, 온도감지센서(152)를 이용하여 발열체(151)의 발열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750). 감지된 발열체(151)의 발열온도가 과열인 것으로 판단되면(755:Y), 외부전기를 차단시킬 수 있다(760).
한편, 과열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755:N) 제1측정센서(153) 및 제2측정센서(154)로부터 측정된 제1수온 및 제2수온의 차이값이 기설정범위내에 있는지 판단하여(765), 차이값이 기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제1내부공간(111)의 하단에 구비된 회전판(300)을 회전시켜(770) 제1수온 및 제2수온의 차이값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수온 및 제2수온의 차이값이 기설정범위 내에 있으면, 목표온도범위 내에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포함되는지 판단하여(775), 히터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목표온도범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더 높은 발열온도로 발산되도록 발열체(151)를 제어하여 발열온도를 높일 수 있다(780). 한편,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목표온도범위 내에 있으면 발열체(151)의 발열온도가 유지되도록 히터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785).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보온그릇 110 : 외벽
120 : 내벽 111 : 제1내부공간
121 : 제2내부공간 130 : 물주입부
140 : 설정부 150 : 히터부
151 : 발열체 152 : 온도감지센서
153 : 제1측정센서 154 : 제2측정센서
161 : 제1덮개 162 : 제2덮개
170 : 커넥터 연결부 180 : 지지부
190a, 190b : 손잡이 181 : 배출구
300 : 회전부 310 : 회전축
311 : 회전판 200 : 덮개부

Claims (10)

  1. 내벽과 외벽의 이중구조에 의해 하단에 형성되는 제1내부공간, 상기 제1내부공간의 상부로 상기 내벽을 따라 형성되는 제2내부공간, 및 상기 내벽과 외벽을 연결하는 상부면을 구비하는 보온그릇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으로 물을 주입하는 물 주입부;
    상기 주입된 물의 목표 온도를 설정 및 표시하는 설정부;
    상기 주입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부;
    상기 설정받은 목표온도로 상기 주입된 물이 가열되도록 상기 히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외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입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외벽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부;
    상기 외벽의 측면에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외벽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부로 외부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 연결부;
    상기 외벽의 제1내부공간 하단에 구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판을 포함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부는,
    돼지꼬리모양으로 형성되고, 외부전기가 공급되면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의 중심에 구비되어 발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
    상기 제1 내부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주입된 물의 수심 및 제1수온을 측정하는 제1측정센서;
    상기 제1 내부공간의 타측에 구비되어 주입된 물의 수심 및 제2수온을 측정하는 제2측정센서; 및
    상기 발열체와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 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주입된 물의 수심이 기설정 수심 이하이면 상기 설정부를 통해 물보충을 표시하고,
    상기 제1수온 및 제2수온의 차이값이 기설정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며,
    상기 제1수온 및 제2수온의 차이값이 기설정범위 내에 포함되면 목표온도범위 내에 상기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목표온도범위 내에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포함되면 물온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체를 제어하며, 목표온도범위 내에 제1수온 및 제2수온이 포함되지 않으면 발열온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발열체를 제어하되,
    상기 온도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발열체의 발열온도가 기설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외부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그릇.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부공간을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내부공간의 상단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이 치합되어 결합되거나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그릇.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149021A 2013-12-03 2013-12-03 보온그릇 KR10162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21A KR101625866B1 (ko) 2013-12-03 2013-12-03 보온그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21A KR101625866B1 (ko) 2013-12-03 2013-12-03 보온그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379A KR20150064379A (ko) 2015-06-11
KR101625866B1 true KR101625866B1 (ko) 2016-06-16

Family

ID=5350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021A KR101625866B1 (ko) 2013-12-03 2013-12-03 보온그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8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340A (ja) * 1998-11-02 2000-05-26 Sanyo Electric Co Ltd スターリング冷凍機利用恒温液循環装置
KR100291489B1 (ko) * 1998-12-31 2001-06-01 김우련 가스보일러의 시운전방법 및 장치
JP2002058606A (ja) * 2000-08-16 2002-02-26 Tiger Vacuum Bottle Co Ltd 液体容器の栓
JP2004344215A (ja) * 2003-05-20 2004-12-09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保温ポ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340A (ja) * 1998-11-02 2000-05-26 Sanyo Electric Co Ltd スターリング冷凍機利用恒温液循環装置
KR100291489B1 (ko) * 1998-12-31 2001-06-01 김우련 가스보일러의 시운전방법 및 장치
JP2002058606A (ja) * 2000-08-16 2002-02-26 Tiger Vacuum Bottle Co Ltd 液体容器の栓
JP2004344215A (ja) * 2003-05-20 2004-12-09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保温ポ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379A (ko)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98439T3 (es) Recipiente de preparación para un aparato de cocina
CN204806754U (zh) 制冰机
US20040140304A1 (en) Baby bottle chiller/warmer and method of use
CN105142473B (zh) 包括配备有固定元件的温度传感器的烹饪容器
KR101441649B1 (ko) 수비드 머신
EP3589176B1 (en) Beverage cooling device for preparing cooled beverage when paired with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N107250692A (zh) 饮料冷却
US20140251164A1 (en) Food Preparation Appliance
US20090223383A1 (en) Cordless hand held device and method of heating/reheating food
US20140361002A1 (en) Portable Heating Device For Liquid
KR20130143501A (ko) 가정용 요구르트발효기
US20190075960A1 (en) Portable heating rod
KR100931259B1 (ko) 가열 및 냉각 기능을 구비하는 도시락
KR101625866B1 (ko) 보온그릇
KR101997151B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도시락 용기
KR102213215B1 (ko) 제빙기
KR200195151Y1 (ko) 온수기
CN205410682U (zh) 一种设有储热填充层的电加热保温杯
CN216535009U (zh) 一种烹饪设备
KR20110137856A (ko) 온도유지컵
KR20120000185U (ko) 전기충전용 보온 컵
CN213605973U (zh) 一种可调控温度的保温瓶
KR101481485B1 (ko) 모유 보관고를 구비한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981335B1 (ko) 발열 스틱
KR101253453B1 (ko) 발열 및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