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593B1 -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5593B1 KR101625593B1 KR1020150038834A KR20150038834A KR101625593B1 KR 101625593 B1 KR101625593 B1 KR 101625593B1 KR 1020150038834 A KR1020150038834 A KR 1020150038834A KR 20150038834 A KR20150038834 A KR 20150038834A KR 101625593 B1 KR101625593 B1 KR 1016255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umn
- plate
- concrete
- pillar
- vertical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대응되는 구성을 취하는 제1 기둥(10) 및 제2 기둥(20)이 길이방향(a)을 따라 결합되어 형성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10)은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1 내부공간(110)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둥(20)은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2 내부공간(120)이 형성된 제2 플레이트 기둥(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기둥(220)이 길이방향(a)을 따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내부공간(110) 및 상기 제2 내부공간(12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큰 단면적을 갖는 대구경의 콘크리트 충전기둥을 2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crete filling column in which a first column (10) and a second column (20) having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coupl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10) includes a first plate column (210)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110) filled with concrete, and the second column (20) has a second internal space Wherein the first plate column 210 and the second plate column 220 are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late columns 210 and 220, And the inner space (120)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vide a large-diameter concrete filling column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into two or more parts.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전 기둥(Conceret Filled Tube Column Structur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기둥 및 제2 기둥으로 분할하여 각 기둥을 각기 양중하여 설치토록 함으로써, 초고층 시공에 사용되는 메가(Maga) 기둥의 양중 설치를 가능토록 하며, 기둥의 외면을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두께를 최소화하고, 콘크리트 충전 기둥에 작용하는 축력(axial), 모멘트(moment)의 저항에 유용한 수직부재를 구비하여 구조적 안전성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한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Light Form Integrated SRC Column Structure)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filled colum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crete filled column structure, which is divided into a first column and a second colum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plates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and to provide a vertical member which is useful for resistance of axial and moment acting on the concrete filling column, And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ed column using the same.
콘크리트 충전 기둥(Concret Filled Tube Column Structure)은 강관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기둥의 강도와 강성을 향상시킨 합성 기둥으로, 종래에는 고축력을 받는 기둥에 해당하는 건물의 저층부나 지하층을 구성하는 기둥에 적용되어 왔다.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is a composite column that reinforces the strength and rigidity of columns by filling the concrete inside the steel pipe. It is a composite column that is used for the columns that constitute the lower layer or basement of the building, Has been applied.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8376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459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70023" 등에 개시되어 있다.
Prior art related to thi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083762, Korean Patent No. 10-1194594, Korean Patent No. 10-0770023, and the like.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콘크리트 충전 기둥은 철재로 형성된 기둥의 중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둥의 외부에 형성된 브라켓에 가로보를 연결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concrete filling column.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concrete filling column has a structure in which concrete is laid in a hollow of a column made of iron and a cross bar is connected to a bracket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lumn As shown in Fig.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 충전 기둥은 기둥을 구성하는 철재 플레이트가 축력, 모멘트 및 전단력 등에 저항하게 설계되므로 모든 힘에 대응하는 철재 플레이트의 두께가 두껍게 설계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어, 공사 비용이 증대되고 철재 플레이트의 내화피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Since the conventional concrete filling column is designed to resist the axial force, moment and shearing force of the steel plate constituting the colum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 corresponding to all the forces must be designed to be large, A refractory coating of the plate has been essentially required.
또한, 철재 플레이트의 연결부는 모든 힘에 대응하는 구조재의 특성상 전체 침투용접이 수행될 것이 요구되어 왔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teel plate has been required to perform the entire penetration weld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al member corresponding to all the forces.
또한, 가로보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의 형성을 위해서는 철재 플레이트 내부에 별도의 다이어프램(diaphragm)을 특별용접기로 용접하여야 하므로 기둥 시공의 난이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Further, in order to form a bracket for connection of the beam, a separate diaphragm must be welded to the inside of the steel plate by a special welding machine, so that the difficulty of the column construction is high.
또한, 기둥의 시공을 위해서는 기둥의 설치지점까지 장비로 이용한 양중이 요구되는 데 초고층 건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직경이 매우 큰 메가 기둥은 자중이 매우 크므로 장비의 양중 능력이 초과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In order to construct the column, it is required to use the equipment as the equipment to the installation point of the column. Since the mega column having a very large diameter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high-rise building has a very large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pacity of the equipment is exceeded .
이에 더하여 초고층 건물의 경우 코어(core) 공정에 맞추어 메가 기둥 시공이 진행되어야 슬래브 형성을 위한 가로보(거더)의 설치가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kyscraper, it is possible to install a girder to form a slab because the mega-column construction must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ore process.
그러나 코어의 시공과 비교하여 메가 기둥의 시공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어 공사기간이 장기화되고, 작업자의 고소작업에 의한 시공 안전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However, compared with the core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mega column is prolonged to prolo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of the construction due to the work of the operator is hinder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종래의 메가 기둥 시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고층 메가 기둥의 시공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에 있어, 기존의 양중 장비의 양중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기둥의 각 구성을 분할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conventional mega column construc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crete filling column used for construction of a hig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u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한 측압에 저항하는 수직부재를 형성하여 기둥의 외면을 구성함과 동시에 영구 거푸집의 역할을 수행하는 플레이트 기둥의 두께를 감소시킨 경제적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conomical concrete filling column in which the thickness of a plate column, which constitutes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and plays a role of a permanent form, is formed by forming a vertical member which is resistant to lateral pressure caused by the pouring of concrete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 기둥의 내부공간에 별도의 다이어프램의 형성이 요구되지 않도록 하여 시공의 난이도가 낮고,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crete filling column which is low in difficulty of installation and easy to be poured into concrete since it is not required to form a separate diaphragm in the inner space of the plate colum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고층 구조물의 대단위 직경을 갖는 기둥에도 적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crete filling column that can be applied to a column having a large diameter of an ultra-high-ris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의 충전에 의해 플레이트 기둥에 가하여지는 측압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filling column capable of effectively dispersing a side pressure applied to a plate column by filling concre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고층의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 현장 작업 내용을 최소화하여 시공의 난이도를 낮추어 작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crete filling column which can minimize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and improve work stability in the construction of a super high-rise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대응되는 구성을 취하는 제1 기둥(10) 및 제2 기둥(20)이 길이방향(a)을 따라 결합되어 형성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10)은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1 내부공간(110)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둥(20)은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2 내부공간(120)이 형성된 제2 플레이트 기둥(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기둥(220)이 길이방향(a)을 따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내부공간(110) 및 상기 제2 내부공간(12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crete filling column in which a
여기서, 상기 제1 기둥(10)은, 상기 제1 내부공간(110)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직부재(3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부재(310)는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의 내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1 기둥(10)은 상기 제1 내부공간(110)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부재(310)를 수평방향(b)을 따라 연결하는 수평부재(4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1 기둥(10)은 상기 제1 내부공간(110)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부재(310)와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결합부재(510)는 상기 수직부재(310)와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수직부재(310)와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를 결합시키는 외측부(511); 상기 수직부재(310)를 중심으로 상기 외측부(511)의 반대 위치에서 상기 수직부재(310)와 결합된 내측부(512); 및 상기 외측부(511)와 상기 내측부(512)를 결합시키는 연결부(5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1 기둥(10)은, 상기 수평부재(410)와 상기 수직부재(3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철근(6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1 기둥(10)은, 상기 보강철근(610)의 위치를 고정하는 띠철근(7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기둥(220)은 데크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Also, the
또한, 상기 제1 기둥(10)의 결합부(510)와 상기 제2 기둥(20)의 결합부(52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joining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기둥(220)은 복수의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연결부(C)는 일방의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외면과 타방의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내면이 접촉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1 기둥(10) 또는 상기 제2 기둥(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건물의 슬라브를 형성하는 가로보(3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8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일 수 있다.
And a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10)을 인양하여 설치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제2 기둥(20)을 인양하여 설치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제1 기둥(10)의 외측부(511)와 상기 제2 기둥(20)의 외측부(521)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과 상기 제2 플레이트 기둥(220)을 연결시키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제1 내부공간(110) 및 상기 제2 내부공간(120)에 콘크리트를 충전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 column using a concrete fill column capable of being divided into sections,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S100) of installing the first column (10) by lifting; A second step (S200) of lifting and installing the second column (20); The
여기서, 상기 제1 기둥(10) 또는 상기 제2 기둥(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 브라켓(810)의 상부에 건물의 슬라브를 형성하는 가로보(30)의 하측을 거치시키는 제5 단계(S500); 및 상기 가로보(30)의 상부 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 브라켓(820)과 상기 제1 기둥(10) 또는 상기 제2 기둥(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연결 브라켓(830)을 결합시키는 제6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A fifth step of mounting the lower side of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층 메가 기둥의 시공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에 있어, 기존의 양중 장비의 양중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기둥의 각 구성을 분할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divide and construct each constitution of a column so as not to exceed the capacity of existing equipments in the concrete filling column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uper high-rise mega column.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한 측압에 저항하는 수직부재를 형성하여 기둥의 외면을 구성함과 동시에 영구 거푸집의 역할을 수행하는 플레이트 기둥의 두께를 감소시킨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vertical member resistant to lateral pressure caused by the pouring of concrete, thereby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and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late column serving as a permanent die.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 기둥의 내부공간에 별도의 다이어프램의 형성이 요구되지 않도록 하여 시공의 난이도가 낮고,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required to form a separate diaphragm in the inner space of the plate column, the difficulty of the construction is low and the concrete is easily poured.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층 구조물의 대단위 직경을 갖는 기둥에도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방법의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ethod of apply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can be applied to a column having a large diameter of an ultra-high-ris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르면초고층의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 현장 작업 내용을 최소화하여 시공의 난이도를 낮추어 작업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of a super high-ris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ield work contents, thereby lowering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and improving the work stability.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수평부재가 나타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결합부재가 나타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상태의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수평부재가 나타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상태의 결합부재가 나타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과 가로보의 양중 결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데크플레이트로 형성된 플레이트 기둥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과 가로보의 연결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view of a conventional concrete charging colum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horizontal member of a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ing member of a concrete fill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rizontal member of a concrete fill column in a divid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ing member in a spli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state of a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joining a concrete fill column and a beam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ortion of a plate column formed of a deck plate of a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method between a concrete filling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전 기둥에 관한 것이다. 특히 초고층 건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대단위 단면의 메가 기둥에 적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filling colum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filling column which can be applied to a mega column having a large cross section, which is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skyscraper.
콘크리트 충전 기둥은 가조립 기둥을 형성하고, 기둥의 형성 위치에 가조립 기둥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둥을 시공한다. 다만, 메가 기둥의 시공에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가조립 기둥의 자중이 매우 큰 탓에 고층으로의 가조립 기둥의 양중 및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The concrete filling column forms a gypsum pillars, and the columns are installed by placing concrete columns in the columns where the columns are formed. However, when applying the concrete filled column method to the construction of the mega column, the self weight of the gypsum pillars is very larg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ight of the gypsum pillars on the high floor is not easy to install.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은 각 구성을 분할하여 시공할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Accordingly, the concrete fill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ing column using the sam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은 서로 대응되는 구성을 취하는 제1 기둥(10) 및 제2 기둥(20)이 길이방향(a)을 따라 결합되어 형성된다(도 4, 도 5). Specifically, the concrete pil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a
제1 기둥(10)은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1 내부공간(110)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을 포함하고, 제2 기둥(20)은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2 내부공간(120)이 형성된 제2 플레이트 기둥(2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 기둥(210) 및 제2 플레이트 기둥(220)이 길이방향(a)을 따라 결합됨으로써, 제1 내부공간(110) 및 제2 내부공간(120)이 연결될 수 있다(도 2, 도 3). The
이를 위해 제1 기둥(10) 및 제2 기둥(20)의 가로방향의 단면은 일측이 개방된 "ㄷ"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s of the
제1 기둥(10)과 제2 기둥(20)은 서로 대응되는 구성을 취하므로 이하 제1 기둥(10)을 중심으로 각 기둥에 포함될 수 있는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Sinc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둥(10)은, 제1 내부공간(110)에 설치되며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직부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도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수직부재(310)는 제1 내부공간(11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제공하는 측하중에 저항함과 아울러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이후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제1 기둥(10)에 제공되는 인장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수직부재(310)는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의 내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I"형 거더로 형성될 수 있다(도 2, 도 3)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둥(10)은, 제1 내부공간(110)에 설치되며 수직부재(310)를 수평방향(b)을 따라 연결하는 수평부재(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수평부재(410)는 복수의 수직부재(310)를 연결하여 콘크리트가 제공하는 측하중을 복수의 수직부재(310)로 분산함과 아울러, 제1 기둥(10)에 발생되는 뒤틀림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The
수평부재(410)는 "I"형 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부재(310)를 형성하는 "I"형 거더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의 거더로 형성되는 것이 시공의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둥(10)은 제1 내부공간(110)에 설치되며 수직부재(310)와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결합부재(510)는, 수직부재(310)와 제1 플레이트 기둥(210) 사이에 게재되어 수직부재(310)와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을 결합시키는 외측부(511), 수직부재(310)를 중심으로 외측부(511)의 반대 위치에서 수직부재(310)와 결합된 내측부(512) 및 외측부(511)와 내측부(512)를 결합시키는 연결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The
즉, 외측부(511)는 일면은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의 내면과 결합되고 타면은 수직부재(310)와 결합된다. That is, one side of the
내측부(512)는 일면이 수직부재(310)와 결합되는데, 수직부재(310)를 중심으로 외측부(511)와 내측부(512)가 각기 다른 면에서 결합된다. The
연결부(513)는 외측부(511)와 내측부(512)를 결합한다. The
또한 제1 기둥(10)과 제2 기둥(20)의 결합에 있어, 제1 기둥(10)의 결합부(510)와 제2 기둥(20)의 결합부(520)의 외측부(511, 521) 또는 내측부(512, 522)를 결합함으로써 제1 기둥(10)과 제2 기둥(20)의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ngagement between the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제1 기둥(10) 및 제2 기둥(20)이 결합되기 전에 각 기둥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기둥(10) 및 제2 기둥(20)의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의 안정성 및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현장시공의 내용을 최소화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such a configurati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each column can be improved before the
결합부재(510)는 공장에서 선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결합부재(510) 이외의 제1 기둥(10) 및 제2 기둥(20)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을 현장에서 시공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The joi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부재(410)와 수직부재(310) 사이에 설치되며,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철근(6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또한 제1 기둥(10)은, 보강철근(610)의 위치를 고정하는 띠철근(7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플레이트 기둥(210) 및 제2 플레이트 기둥(220)은 데크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도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데크플레이트는 측압에 대한 저항성이 높고, 데크플레이트 간의 연결이 용이하므로, 내부공간에의 콘크리트의 충전이 요구되는 플레이트 기둥의 형성에 매우 효용적이다. The deck plate is highly resistant to side pressure and is easy to connect between deck plates, so it is very effective in forming a plate column in which the filling of concrete in the inner space is required.
따라서, 강성이 큰 데크플레이트를 제1 플레이트 기둥(210) 및 제2 플레이트 기둥(220)으로 사용함으로써, 제1 기둥(10) 및 제2 기둥(20)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510)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by using the deck plate having a large rigidity as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둥(10) 또는 제2 기둥(20)은, 제1 기둥(10) 또는 제2 기둥(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건물의 슬라브를 형성하는 가로보(3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8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제1 기둥(10) 또는 제2 기둥(20)은, 가로보(30)의 상부 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 브라켓(820)과 결합되는 제1 기둥(10) 또는 제2 기둥(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연결 브라켓(8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가로보(30)를 지지 브라켓(810)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킨 이후에 가로보와 제1 기둥(10) 또는 제2 기둥(20)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 및 공사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after th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fill column using a concrete fill column capable of being divided into p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은 제1 기둥(10)을 인양하여 설치하는 제1 단계(S100), 제2 기둥(20)을 인양하여 설치하는 제2 단계(S200), 제1 기둥(10)의 외측부(511)와 제2 기둥(20)의 외측부(521)를 결합시키고, 제1 플레이트 기둥(210)과 제2 플레이트 기둥(220)을 연결시키는 제3 단계(S300) 및 제1 내부공간(110) 및 제2 내부공간(120)에 콘크리트를 충전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ncrete pil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S100 of lifting and installing the
또한, 제1 기둥(10) 또는 제2 기둥(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 브라켓(810)의 상부에 건물의 슬라브를 형성하는 가로보(30)의 하측을 거치시키는 제5 단계(S500) 및 가로보(30)의 상부 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 브라켓(820)과 제1 기둥(10) 또는 제2 기둥(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연결 브라켓(830)을 결합시키는 제6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A fifth step S500 of mounting the lower side of th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제1 기둥
20 : 제2 기둥
30 : 가로보
100 : 내부공간
200 : 플레이트 기둥
300 : 수직부재
400 : 수평부재
500 : 결합부재
600 : 보강철근
700 : 띠철근
800 : 브라켓10: 1st pillar
20: Second pillar
30: Rear view
100: interior space
200: Plate column
300: vertical member
400: horizontal member
500: coupling member
600: Rebar
700: Reinforcing bars
800: Bracket
Claims (13)
상기 제1 기둥(10)은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1 내부공간(110)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둥(20)은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제2 내부공간(120)이 형성된 제2 플레이트 기둥(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기둥(220)이 길이방향(a)을 따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내부공간(110) 및 상기 제2 내부공간(120)이 연결되며,
상기 제1 기둥(10)은,
상기 제1 내부공간(110)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직부재(3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부재(310)는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의 내측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기둥(10)은
상기 제1 내부공간(110)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부재(310)를 수평방향(b)을 따라 연결하는 수평부재(4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둥(10)은
상기 제1 내부공간(110)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부재(310)와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5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510)는
상기 수직부재(310)와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수직부재(310)와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를 결합시키는 외측부(511);
상기 수직부재(310)를 중심으로 상기 외측부(511)의 반대 위치에서 상기 수직부재(310)와 결합된 내측부(512); 및
상기 외측부(511)와 상기 내측부(512)를 결합시키는 연결부(5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
A concrete filling column in which a first column (10) and a second column (20) having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coupl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
The first pillar (10) includes a first plate pillar (210) having a first internal space (110) filled with concrete,
The second pillar (20) includes a second plate pillar (220) having a second internal space (120) filled with concrete,
The first plate column 210 and the second plate column 220 are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o connect the first inner space 110 and the second inner space 120,
The first column (10)
Further comprising a vertical member (310) installed in the first inner space (110)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late column (210)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310 are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column 210,
The first column (10)
Further comprising a horizontal member (410) installed in the first inner space (110) and connecting the vertical member (310)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b)
The first column (10)
And a coupling member 510 installed in the first inner space 110 and coupling the vertical member 310 and the first plate column 210,
The coupling member 510
An outer portion 511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member 310 and the first plate column 210 to connect the vertical member 310 and the first plate column 210;
An inner portion 512 coupled to the vertical member 310 at a position opposite the outer portion 511 about the vertical member 310; And
A connection portion 513 for coupling the outer side portion 511 and the inner side portion 512;
Wherein the reinforced concrete pillar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상기 제1 기둥(10)은,
상기 수평부재(410)와 상기 수직부재(3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철근(6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lumn (10)
A reinforcing bar 610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member 410 and the vertical member 310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late column 210;
Wherein the reinforced concrete pillar is a concrete pillar capable of splitting construction.
상기 제1 기둥(10)은,
상기 보강철근(610)의 위치를 고정하는 띠철근(7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column (10)
A band reinforcing bar 710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 610;
Wherein the reinforced concrete pillar is a concrete pillar capable of splitting construction.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기둥(220)은 데크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plate column (210) and the second plate column (220) are formed of a deck plate.
상기 제1 기둥(10)의 결합부(510)와 상기 제2 기둥(20)의 결합부(52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joint 510 of the first column 10 and a joint 520 of the second column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기둥(220)은 복수의 상기 데크플레이트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연결부(C)는 일방의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외면과 타방의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내면이 접촉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plate column 210 and the second plate column 220 ar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deck plates,
Wherein a connecting portion (C) of the plurality of deck plates is engaged with an outer surface of one of the deck plates and an inner surface of the other deck plat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 기둥(10) 또는 상기 제2 기둥(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건물의 슬라브를 형성하는 가로보(3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8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 support bracket 810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olumn 10 or the second column 20 and supporting a lower side of the beam 30 forming a slab of a building;
Wherein the reinforced concrete pillar is a concrete pillar capable of splitting construction.
상기 제1 기둥(10)을 인양하여 설치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제2 기둥(20)을 인양하여 설치하는 제2 단계(S200);
상기 제1 기둥(10)의 외측부(511)와 상기 제2 기둥(20)의 외측부(521)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1 플레이트 기둥(210)과 상기 제2 플레이트 기둥(220)을 연결시키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제1 내부공간(110) 및 상기 제2 내부공간(120)에 콘크리트를 충전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fill column using a concrete fill column capable of divid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tep (S100) of lifting and installing the first column (10);
A second step (S200) of lifting and installing the second column (20);
The first plate column 210 and the second plate column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outer side portion 511 of the first column 10 and an outer side portion 521 of the second column 20, Step S300; And
A fourth step (S400) of charging concrete into the first internal space (110) and the second internal space (120);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상기 제1 기둥(10) 또는 상기 제2 기둥(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 브라켓(810)의 상부에 건물의 슬라브를 형성하는 가로보(30)의 하측을 거치시키는 제5 단계(S500); 및
상기 가로보(30)의 상부 단부에 형성된 제1 연결 브라켓(820)과 상기 제1 기둥(10) 또는 상기 제2 기둥(2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연결 브라켓(830)을 결합시키는 제6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충전 기둥을 시공하는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 fifth step S500 of placing the lower side of the beam 30 forming the slab of the building on the support bracket 810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first pillar 10 or the second pillar 20, ; And
A first connection bracket 820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ross bar 30 and a second connection bracket 830 formed at a side of the first column 10 or the second column 20, Step 6 (S600);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8834A KR101625593B1 (en) | 2015-03-20 | 2015-03-20 |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8834A KR101625593B1 (en) | 2015-03-20 | 2015-03-20 |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5593B1 true KR101625593B1 (en) | 2016-05-30 |
Family
ID=5712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8834A Active KR101625593B1 (en) | 2015-03-20 | 2015-03-20 |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559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2716A (en) * | 2019-07-26 | 2021-02-03 | 정찬영 | C-shaped steel fixing clamp for solar module fr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19995A (en) | 1999-05-06 | 2000-11-21 | Fujita Corp | Column and beam joint structure |
KR101457077B1 (en) | 2013-09-17 | 2014-10-31 | 삼성물산 주식회사 |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
2015
- 2015-03-20 KR KR1020150038834A patent/KR1016255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19995A (en) | 1999-05-06 | 2000-11-21 | Fujita Corp | Column and beam joint structure |
KR101457077B1 (en) | 2013-09-17 | 2014-10-31 | 삼성물산 주식회사 |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2716A (en) * | 2019-07-26 | 2021-02-03 | 정찬영 | C-shaped steel fixing clamp for solar module frame |
KR102329879B1 (en) | 2019-07-26 | 2021-11-22 | 정찬영 | C-shaped steel fixing clamp for solar module fr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48817B2 (en) | PC truss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457077B1 (en) |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
JP2008025125A (en) | Column unit and method of building building using column unit | |
KR101663132B1 (en) | Self-supporting type column structure | |
JP6645894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beam-column joint structure | |
WO2009156586A1 (en) | Method for forming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pillar and beam, and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pillar and beam | |
KR101428539B1 (en) |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
JP2010242390A (en) | Joining method and structure of column / beam joint with steel brace | |
KR101458435B1 (en) | Half precast concre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ddle-type ties and dual hoop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637451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Hollow Precast Concret-encased Steel Column and Dry-splicing Methods for the Same | |
KR100775359B1 (en) | Formwork assembly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JP2010261270A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structure and composite structure building | |
KR101636473B1 (en) |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
CN106894544B (en) | Embedded single-layer steel plate-concrete combined shea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734187B1 (en) | Pre-assembled re-bar column | |
RU2416007C2 (en) | Stiffening structure for bearing ceiling slabs in buildings | |
KR101636471B1 (en) | Reinforced concrete column structure | |
KR100955657B1 (en) | Method of constructing junction of CFC pillar and Rc member using prefabricated rebar | |
KR101625593B1 (en) |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
KR101803307B1 (en) | Reinforce concrete column structure | |
KR101457080B1 (en) |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
KR101626010B1 (en) | junctional structure of composite beam | |
JP5344702B2 (en) | Column and slab joint structure | |
KR101577704B1 (en) | Reformed concrete filled tube column structure | |
KR101735539B1 (en) | Jig for Prefabricated Column with Spir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10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