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558B1 - Composite pile using multi support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Composite pile using multi support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0558B1 KR101620558B1 KR1020150152341A KR20150152341A KR101620558B1 KR 101620558 B1 KR101620558 B1 KR 101620558B1 KR 1020150152341 A KR1020150152341 A KR 1020150152341A KR 20150152341 A KR20150152341 A KR 20150152341A KR 101620558 B1 KR101620558 B1 KR 1016205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hollow
- grouting material
- injected
- aggregate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2
- 239000012636 effec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without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4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in situ by forcing bonding agents into gravel fillings or the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6—Placing by using several means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천공홀에 쇄석을 지지층으로 하여 중공파일의 선단지지력을 극대화시켜 시공할 수 있는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은 천공홀에 채워진 선단골재층; 상기 선단골재층 상면 지지되도록 천공홀 내부에 삽입된 중공파일; 상기 중공파일 선단부 외주면과 저면에 다단으로 형성된 다중지압판; 상기 다중지압판에 고정되어 다중지압판이 내측에 수용되는 선단팩커; 상기 선단팩커 상부에 천공홀 내부로 채워진 상부골재층; 및 상기 선단팩커에 중공파일의 중공부로 통해 제 1주입관에 의하여 주입되어 다중지압판이 선단팩커 내부에서 중공파일 선단부와 합성되도록 주입된 그라우팅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ile using multiple plier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composite pile, in which crushing holes are formed in the perforation hole as a supporting layer to maximize the end support force of the hollow pile. The synthetic pile using the multiple pavement plate is composed of a front aggregate layer filled in the perforation hole; A hollow fiber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top aggregate layer; A plurality of pliers formed in a plurality of stag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low file front end; A tip packer fixed to the multiple pressure plates and having a plurality of pressure plates accommodated therein; An upper aggregate layer filled into the perforation hol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cker; And a grouting material injected by the first injection pipe through the hollow part of the hollow fiber to the front end packer so that the multiple end effector is injec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hollow fiber pile so as to be combined with the hollow fiber end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천공홀에 채워진 쇄석을 지지층으로 하여 천공홀에 삽입 시공되는 중공파일의 선단지지력을 극대화시켜 시공할 수 있는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ile using multiple piles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ile using multiple plier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composite pile, which can maximize the end support force of the hollow pile inserted into the pierced hole by using crushed stone in the pierced hole as a supporting layer.
도 1은 다짐굴착을 이용한 복합말뚝의 시공방법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applying a composite pile using compaction excavation.
즉, 연약지반의 소정 지점까지 케이싱 오거를 회전시켜 지반을 천공 및 굴착하는 단계와, That is, the method includes drilling and drilling a ground by rotating a casing auger to a predetermined point on a soft ground,
상기 천공 및 굴착된 구멍의 하부에 쇄석을 포함하는 다짐재(10)를 일정높이로 충전하는 단계와, Filling the compaction member (10) including a crushed stone at a predetermined height under the perforated and drilled holes;
상기 충전된 다짐재를 해머(11)를 낙하시켜 다지는 단계와, 상기 다짐재의 충전 및 해머에 의한 다짐을 복수회 반복하여 쇄석말뚝의 구근을 형성하는 단계와, A step of dropping the charged compaction member by dropping the hammer 11, a step of filling the compaction member and compaction with a hammer a plurality of times to form a bulb of the crushed stone pile,
상기 구근의 상부에 강관말뚝을 포함하는 기성말뚝(20)을 관입하고 기성말뚝과 천공 및 굴착된 구멍과의 사이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충진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And penetrating the foundation pile 20 including the steel pipe pile into the upper part of the bulb and filling the cement paste between the pierced hole and the drilled hole.
이때 상기 쇄석말뚝의 구근을 형성한 후 상기 기성말뚝을 관입하기 전에 상기 구근에 시멘트페이스트를 충진할 수 있도록 함이 소개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bulb of the crushed stone pile is formed and then the cement paste is filled in the bulb before penetrating the prepared pile.
이는 쇄석말뚝과 깊은 기초의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를 가지게 된다.This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take advantage of both the stone pile and the deep foundation.
하지만, 기성말뚝(강관말뚝)의 선단은 비록 쇄석말뚝 상면에 근입시키는 하지만 기설말뚝의 선단지지력 확보를 통해 단면을 최적화 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although the tip of the existing pile (steel pipe pile)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crushed stone pile, there is a limit to optimizing the section through securing the end bearing capacity of the existing pile.
예컨대, 건축물 주변시공에 있어 기성말뚝의 단면의 커지게 되면 소형장비를 이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실효성이 떨어지고, 너무 작은 단면의 기성말뚝을 이용하게 되면 다수의 천공홀과 기설말뚝을 이용해야 하므로 경제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construction around a building, if the cross section of the existing pile is enlarged, it becomes impossible to use the small equipment and its efficiency becomes poor. If too small pile is used, a large number of perforation holes and existing piles should be used. It is because it can not be done.
이에 본 발명은 쇄석과 같은 말뚝용 골재와 중공파일을 시멘트밀크로 서로 합성시킨 합성말뚝으로서 선단지지력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중공파일의 단면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중공파일과 말뚝용 골재의 합성성능을 충분히 확보하여 지내력 확보에 유리한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nthetic pile in which a pile aggregate such as a crushed stone and a hollow pile are combined with cement milk to securely secure the end supporting force, thereby minimizing the cross-section of the hollow p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pile using multiple piles, which is advantageous for securing the grounding for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composite pil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천공홀에 쇄석과 같은 말뚝용 골재를 채워 선단골재층을 형성시키게 된다. 특히 연약지반의 경우 천공홀 깊이가 깊어지더라도 중공파일의 선단부가 지지되는 견질층(예컨대 풍화암층) 확인이 안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천공홀 선단 내측에 충진된 말뚝용골재는 중공파일의 선단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층 역할을 하게 된다.First, the piercing hole is filled with pile aggregate such as crushed stone to form a strand aggregate lay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oft ground, even if the depth of the perforation hole is deepened, there may be a case where it is impossible to confirm the support layer (for example, weathering layer) supporting the tip of the hollow pile. And serves as a supporting layer capable of reliably supporting the tip.
둘째, 상기 선단골재층에 중공파일의 선단부 저면이 지지되도록 함에 있어서 지압판을 중공파일 선단에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압판은 중공파일 선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단으로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Secondly, in order to support the bottom end of the tip end of the hollow fiber on the end aggregate layer, a pliable plate integrally formed on the tip end of the hollow pile is used. At this time, the pressure pl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ile tip to be formed in multiple stages.
이에 다단으로 서로 중공파일의 선단부에 형성된 지압판(다중지압판)은 시멘트밀크와 같은 그라우팅재를 이용하여 서로 합성되어 일체화되도록 하여 중공파일의 선단부에 있어 확대구근으로서 작용하도록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sure plates (multiple pressure plates) formed at the ends of the hollow fiber in multiple stages are combined and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using a grouting material such as cement milk, so that they act as enlarged bulbs at the tip of the hollow pile.
셋째, 상기 그라우팅재는 다중지압판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수용되는 선단팩커를 이용하여 공급하게 되며, 중공파일 내부에 삽입된 제 1주입관에 의해 그라우팅재는 중공파일 내부에 충진되고(CFT 말뚝화), 중공파일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충진된 그라우팅재는 선단팩커에 충진되고, 이에 선단팩커가 팽창된다. 이에 선단팩커 내부의 다중지압판은 선단팩커 내부에 충진된 그라우팅재에 의하여 일체로 합성되게 된다.Thirdly, the grouting material is supplied using a front packer accommodated so that the multiple pressure plates are positioned inside, and the grout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hollow pile (CFT pile) by the first injection pipe inserted in the hollow pile, The grouting material filled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pile is filled in the front packer, and the front packer is inflated. Accordingly, the multiple pressure plates inside the front packer are integrally synthesized by the grouting material filled in the front packer.
이때 상기 다중지압판이 그라우팅재에 의하여 중공파일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면 중공파일의 선단부에 일종의 확장선단부로도 역할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if the multiple pliers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hollow pile by the grouting material, the hollow pile serves as a kind of extended distal end at the distal end of the hollow pile.
넷째, 그라우팅재가 충진된 선단팩커의 상부로 천공홀을 통해 말뚝용골재를 추가 채워 넣고 별도의 주입관을 이용하여 말뚝용골재와 그라우팅재가 서로 믹싱되면서 중공파일, 그라우팅재 및 말뚝용골재에 의한 합성말뚝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말뚝지내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Fourth, the pile aggregate is add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ont end packer filled with grouting material, and the pile aggregate and the grouting material are mixed with each other using a separate injection pipe, thereby synthesizing the hollow pile, grouting material and pile aggregate So that the pile load can be sufficiently secur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은 To this end, the composite pile using the multi-
천공홀에 채워진 선단골재층; 상기 선단골재층 상면 지지되도록 천공홀 내부에 삽입된 중공파일; 상기 중공파일 선단부 외주면과 저면에 다단으로 형성된 다중지압판; 상기 다중지압판에 고정되어 다중지압판이 내측에 수용되는 선단팩커; 상기 선단팩커 상부에 천공홀 내부로 채워진 상부골재층; 및 상기 선단팩커에 중공파일의 중공부로 통해 제 1주입관에 의하여 주입되어 다중지압판이 선단팩커 내부에서 중공파일 선단부와 합성되도록 주입된 그라우팅재;를 포함하도록 제작된다.A skirt aggregate layer filled in the perforation hole; A hollow fiber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top aggregate layer; A plurality of pliers formed in a plurality of stag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low file front end; A tip packer fixed to the multiple pressure plates and having a plurality of pressure plates accommodated therein; An upper aggregate layer filled into the perforation hol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cker; And a grouting material injected by the first injection pipe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fiber to the front end packer so that the multiple end effector is injec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hollow fiber pile so as to be combined with the hollow pile front end portion.
본 발명에 의한 선단골재층, 확장선단부, 합성말뚝부는 쇄석과 같이 비교적 저가의 골재를 이용하고, 그라우팅재로서 시멘트밀크를 이용하여 중공파일 내부를 채워 CFT 말뚝으로 시공되도록 하고, 다중지압판으로 형성되는 확대구근 및 확장선단부에 의한 선단지지력 확보가 가능하여 중공파일 단면을 최적화시킬 수 있고, 합성말뚝부도 중공파일과 합성되어 말뚝단면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합성말뚝으로서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e aggregat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latively low-cost aggregate materials such as the front aggregate layer, the extensible front end portion, the synthetic pile portion and the crush stone, and is filled with the CFT pile using the cement milk as the grout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section of the hollow pile and to synthesize the synthetic pile section with the hollow pile to increase the pile section, so that it can be used effectively as a synthetic pile.
도 1은 종래 쇄석골재층을 이용한 복합말뚝의 시공순서도,
도 2a는 본 발명의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의 구성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다중지압판의 구성사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equence of a composite pile using a conventional crushed stone aggregate layer,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site pile using the multiple pressur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le pressur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3B, and 3C are flowcharts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synthetic pile using the multiple pressur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 다중지압판(130)을 이용한 합성말뚝(100) ] [Synthetic pile (100) using multiple pressure plates (130)]
도 2a는 본 발명의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100)의 구성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다중지압판의 구성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먼저 상기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100)은 도 2a와 같이, 선단골재층(110), 중공파일(120), 다중지압판(130), 선단팩커(140), 상부골재층(150) 및 그라우팅재(160)를 포함한다.2A, the
상기 선단골재층(110)은 지반에 미리 형성시킨 천공홀(300) 선단 내측에 일정한 두께로 채워진 골재층이다. The
이러한 선단골재층(110)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말뚝의 선단지지력 확보를 위한 지지층으로서 역할을 하도록 하고, 골재와 골재 사이에 그라우팅재(160)가 주입되어 보다 확실한 선단지지력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The
이러한 그라우팅재(160)은 중공파일(12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제 1주입관(210)에 의하여 주입되도록 하게 되며 시멘트 페이스트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상기 중공파일(120)은 강관말뚝을 사용하면 되고, 저면은 선단골재층(11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되, 후술되는 최하단 지압판(131)에 의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It is understood that the
이러한 중공파일(120)은 선단골재층(110)에 의하여 선단이 지지되며, 다중지압판(130)이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선단확장부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다중지압판(130)을 그라우팅재(160)에 의하여 서로 합성시키기 위한 선단팩커(140)가 설치된다.And a
이때 상기 그라우팅재(160)는 중공부에 충진되어 중공파일은 CFT 말뚝으로 기능하게 되면 이는 적은 단면으로 합성말뚝의 지내력 확보를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이에 중공파일(120)은 속이 빈 중공파일을 이용하되 선단부에는 측면홀(121)이 형성되어 내부에 충진되는 그라우팅재(160)가 관통홀을 통해 선단팩커(140)에 충진되도록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다음으로 상기 다중지압판(130)은 최하단 지압판(131)와 최상단 지압판(132) 및 중간 지압판(133)를 포함한다.Next, the
이러한 다중지압판(130)은 중공파일(120)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최하단 지압판(131)은 주입홀(135)이 형성된 원형플레이트로 중공파일(120)의 저면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형성되고, The
최상단 지압판(132) 및 중간 지압판(133)은 중공파일(120)을 관통하여 링형태의 플레이트로 강판으로서 중공파일(120)에 용접으로 일체화 시키게 된다.The
이러한 지압판을 서로 중공파일의 선단부에 상,하로 이격시켜 일체화시키는 이유는 중공파일의 선단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such pressure plat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hollow pile by integrating them is to increase the end supporting force of the hollow pile.
즉, 중공파일의 단면만으로는 선단골재층(110)에 지지되더라도 선단지지력 확보에 한계가 있으므로 확장된 선단단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공파일의 선단부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at is, even if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pile is supported by the
이에 지압판들의 직경은 중공파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되 선단골재층 상면에 지지될 수 있는 단면으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면 된다.The diameter of the pressure plates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low pile, but the cross-section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aggregate layer.
이러한 지압판을 중공파일의 저면에 1개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상,하로 서로 이격시켜 중공파일에 설치하고, 그라우팅재(160)로 합성시키게 되면 시멘트 페이스트로 형성된 그라우팅재(160)를 보강하여 중공파일의 선단부는 확장구근과 선단확장부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One such cushioning plate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low pile, but they are spaced upward and downward to be installed in the hollow pile and are combined with the grouting
이에 도 2a에서는 다중지압판(130)은 최하단 지압판(131)과 최상단 지압판(132) 및 중간 지압판(133)가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최하단 지압판(131)과 최상단 지압판(132)를 제외하고는 중간 지압판(133)은 설치개수에 달리 제한은 없다. In FIG. 2A, it is understood that the
나아가 중공파일(120)의 선단에 위치한 최하단 지압판(131)에는 특히 보강판(134, 리브)에 의하여 선단지지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방지가 가능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Furthe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상기 선단팩커(140)는 중공파일(120)의 선단부가 확장구근과 선단확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중지압판에 그라우팅재(160)가 서로 합성되도록 하는 수용체 역할을 하게 된다.The
이에 상기 선단팩커(140)은 최하단 지압판(131)와 최상단 지압판(132b)의 상면 및 저면 사이에 하단 및 상단이 고정되는 팩(Pack)으로서 내부에는 중간 지압판(133)이 수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t is noted that the
이에 그라우팅재(160)가 중공파일 선단부의 측면홀(121)에 의하여 공급되면 팽창되어 천공홀(300)과 접하게 되고, 이에 일부가 새어나오면서 천공홀(300) 내측면에 그라우팅재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하게 되면 이를 위해 선단팩커(140)는 직물로 제작된 팩으로 형성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상기 상부골재층(150)은 선단팩커(140)에 주입된 그라우팅재(160)에 의하여 중공파일 선단부에 확장선단부가 형성된 이후, 천공홀(300)의 공벽유지 및 합성말뚝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The upper
이에 상부골재층(150)은 선단골재층(110)과 같이 쇄석 등을 확장선단부를 마감판으로 하여 채워넣고 이는 천공홀 상단까지 채워넣어 중공파일(120)과 천공홀(300)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역할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The upper
이때 특히 상기 채워진 골재에 별도의 주입관을 이용하여 골재가 그라우팅재(160)에 의하여 서로 합성되어 중공파일(120) 주위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중공파일(120)과 합성골재는 일체로 거동하게 되며 이로서 중공파일(120)의 단면은 거의 천공홀의 직경과 동일한 수준이 되어 합성말뚝으로서 지내력 확보에 보다 유리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filled aggregate is synthesized with the
상기 그라우팅재(160)는 제 1주입관(210)에 의하여 선단골재층(110), 중공파일(120)의 중공부, 선단팩커(140)에 주입되며, 제 2주입관(220)에 의하여 상부골재층(150)에 주입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이다. 시멘트 페이스트는 시멘트와 물을 믹싱한 것으로서 경제적이고 하단골재층과 상부골재층과 같이 쇄석 사이사이로 주입 및 침투가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하게 된다.The
이에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주입관(210)은 중공파일(120) 내부에 천공홀(300) 상부의 작업공간에서 삽입되어 중공파일의 중공부를 경유하여 선단팩커 내부를 거쳐 최선단 지압판의 주입홀(135)을 관통하도록 연장시키게 된다.Referring to FIG. 2B, the
이에 압입된 그라우팅재(160)는 제 1주입관(120)을 통해 주입홀(135)에 의하여 선단골재층(110)에 먼저 주입되고, 선단골재층의 골재 사이사이에 충진될 정도의 양으로 주입된 이후에는 주입홀 상단으로 제 1주입관(210)을 인상시키면서 중공파일(120)의 선단부 중공부에 주입되면서 측면홀(121)을 통해 선단팩커(140)에 주입된다.The
이 과정에서 다중지압판(130)가 그라우팅재(160)에 의하여 중공파일에 선단팩커(140)에 의하여 합성되어 확장선단부 또는 확장구근으로서 작용하도록 하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이에 최종 선단팩커(140)가 확장되면 제 1주입관(210)을 중공파일 중공부가 모두 채워지도록 그라우팅재(160)를 주입하여 중공파일(120)이 CFT 말뚝으로 기능하도록 하게 된다. 증 강관말뚝 내부에 그라우팅재(160)가 주입되어 서로 합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When the
이때 중공파일(120) 상단 중공부에는 상단스타퍼(122)가 더 설치되어 주입된 그라우팅재가 중공파일 외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단스타퍼도 일종의 개스킷으로서 중공파일(1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링 형태임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an
다음으로 상기 제 2주입관(220)은 상부골재층(150)에 주입되는 그라우팅재(160)를 주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먼저 상부골재층(150)이 선단확장부 상부로 채워지기 전에 천공홀(300)과 중공파일(120) 사이에 삽입시키고 선단등으로부터 상부골재층으로 주입되도록 하게 된다.The
이에 상부골재층(150)은 그라우팅재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되고 중공파일(120)은 상부골재층(150)과 함께 합성말뚝부로 기능하게 된다.The upper
[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 시공방법 ][Composit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multiple pressure plates]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 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S. 3A, 3B and 3C show a flow chart of a synthetic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multiple pressure plates.
도 3a와 같이, 3A,
먼저, 지반(G)에 천공홀(300)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천공홀(300)은 미도시된 오거를 장착한 굴착장비등을 이용하면 된다.First, a
이러한 천공홀(300) 선단 내부에는 쇄석등을 채워넣게 되며 일정한 높이로 선단골재층(110)이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It is understood that the inside of the tip of the
다음으로는 상기 선단골재층(110) 상면에 미리 다중지압판(130), 선단팩커(140)와 제 1주입관(210)이 조립 설치된 중공파일(120)이 지지되도록 삽입 설치하게 된다.Next, the
이에 선단팩커(140)의 중공파일(120)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중간 지압판이 수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최하단 및 최상단 지압판에 선단팩커(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 1주입관(210)은 선단팩커(140) 내부에 하단이 위치하고, 중공파일(120)의 중공부를 경유하여, 중공파일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intermediate pack is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또한, 제 2주입관(220)을 선단팩커(140)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천공홀(300)과 중공파일(120) 주위에 배치시키게 되며 상단은 천공홀(300) 외부로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t is also seen that the
이러한 제 1주입관(210) 및 제 2주입관(220)은 고무호스등을 이용하면 된다.The
다음으로는 제 2주입관(220)이 매립되도록 선단팩커 상부의 천공홀 내부로 상부골재층(150)을 채워넣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천공홀 공벽유지를 위하여 필요하기 때문이다.Next, it is understood that the upper
다음으로는 도 3b와 같이, 제 1주입관 상단의 중공파일 중공부에 상단스타퍼(122)를 설치하고, 말뚝을 경타하여 중공파일(120)이 선단골재층(110)에 관입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3B, the
이에 도 3c와 같이 먼저 제 1주입관(210)을 통해 그라우팅재(160)를 주입하여 선단골재층(110)과 선단팩커(140) 및 중공파일(120) 내부가 그라우팅재에 의하여 채워지도록 하게 된다. 이에 선단팩커(140)은 팽창하게 됨을 알 수 있다.3C, the
또한 제 2주입관(220)을 통해 그라우팅재(160)를 주입하여 상부골재층(150)에 역시 그라우팅재가 주입되도록 함으로서 최종 본 발명의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의 시공이 완료된다.Also, the
이러한 그라우팅재(160)가 경화되면 선단골재층(110)도 지지층으로서 선단지지력 확보에 매우 유리하며,When the
또한 선단팩커(140)가 경화되어 내부의 다중지압판을 이용하여 선단팩커의 상,하 연장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선단팩커 내부의 그라우팅재를 보강하면서, 선단확장부 및 확장구근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게 된다.Also, the
또한 상부골재층(150)에 주입된 그라우팅재(160)는 합성말뚝부로서 합성말뚝의 단면이 그라우팅재가 경화된 상부골재층, 그라우팅재가 주입된 CFT 말뚝인 중공파일의 합쳐진 단면으로 거의 천공홀 전체 단면으로 형성되어 합성말뚝의 지내력 확보에 보다 유리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시공된 합성말뚝 두부는 커팅되어 동일한 상면높이를 맞추도록 하되, 두부에는 외주면에 형성된 경사보강판에 의하여 두부보강판(수평판형태)이 더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두부보강판은 건축물의 기초판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하여 기초판은 본 발명의 합성말뚝에 의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constructed composite pile head is cut so that the same height of the top surface is matched, and a head reinforcing plate (in the form of a horizontal plate) is further formed by an inclined reinforcing plat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ead, So that the base plate can be supported by the synthetic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합성말뚝
110: 선단골재층
120: 중공파일
130: 다중지압판
131: 최하단 지압판
132: 최상단 지압판
133: 중간 지압판
134: 보강판
135: 주입홀
140: 선단팩커
150: 상부골재층
160: 그라우팅재
210: 제 1주입관
220; 제 2주입관
300: 천공홀100: synthetic pile
110: Fibrous aggregate layer
120: hollow file
130: Multiple plates
131: Lowermost plate
132: uppermost pressure plate
133: Middle pressure plate
134: reinforcing plate
135: injection hole
140: Fleet Packer
150: Upper aggregate layer
160: Grouting material
210: first injection tube
220; The second injection tube
300: Perforated hole
Claims (10)
상기 선단골재층 상면 지지되도록 천공홀 내부에 삽입된 중공파일(120);
상기 중공파일 선단부 외주면과 저면에 다단으로 형성된 다중지압판(130);
상기 다중지압판에 고정되어 다중지압판이 내측에 수용되는 선단팩커(140);
상기 선단팩커(140) 상부에 천공홀 내부로 채워진 상부골재층(150); 및
상기 선단팩커(140)에 중공파일의 중공부로 통해 제 1주입관에 의하여 주입되어 다중지압판이 선단팩커 내부에서 중공파일 선단부와 합성되도록 주입된 그라우팅재(160);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파일(120) 상단 중공부에는 상기 중공파일(1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링 형태의 상단스타퍼(122)가 형성되어, 주입된 그라우팅재의 역류를 방지하며,
상기 선단골재층(110)은 쇄석을 포함하며, 제 1주입관(210)을 통해 중공파일 선단부 내부로부터 그라우팅재가 주입되어 선단골재층(110)에 그라우팅재가(150)가 주입후 경화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골재층(150)은 쇄석을 포함하며 선단팩커 상부에 위치한 제 2주입관(220)에 의하여 그라우팅재가(160)가 주입 및 경화되어 그라우팅재가 중공부에 주입되어 경화된 CFT 말뚝인 강재말뚝과 함께 합성말뚝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An end aggregate layer 110 filled in the perforation hole;
A hollow fiber (120)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to be supported on the top aggregate layer;
A multiple pressure plate (130) formed in a multi-stag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low file front end;
A front packer (140) fixed to the multiple pressure plates and having a plurality of pressure plates accommodated therein;
An upper aggregate layer 150 filled in the perforation hole on the top packer 140; And
And a grouting material (160) injected by the first injection tube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fiber pile to the front end packer (140) so as to be combined with the hollow pile front end portion in the front end packer,
A ring-shaped upper stopper 122 is formed in the upper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pipe 120 to penetrate the hollow pipe 120 to prevent backflow of the injected grouting material.
The end aggregate layer 110 includes crushed stone and is injected with grouting material from the inside of the hollow pile through the first injection pipe 210 so that the grouting material 150 is injected into the end aggregate layer 110 and then cured.
The upper aggregate layer 150 includes a crushed stone, and a grouting material 160 is injected and cured by a second injection pipe 220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cker to inject a grouting material into the hollow portion to form a hardened CFT pile A composite pile using multiple pliers to form a synthetic pile together with a composite pile.
상기 중공파일(120)은 강관말뚝을 포함하며, 선단부에는 측면홀(121)이 더 형성되어 그라우팅재(160)가 측면홀을 통해 선단팩커(140)로 주입되도록 하는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low pile 120 includes a steel pipe pile and a side hole 121 is formed at the tip of the hollow pile 120 to allow the grouting material 160 to be injected into the front packer 140 through the side holes.
상기 다중지압판(130)은
중공파일(120)의 저면에 형성되며 주입홀(135)이 형성된 최하단 지압판(131);
상기 최하단 지압판(13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중공파일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최상단 지압판(132); 및
상기 최하단 지압판(131)과 최상단 지압판(132) 사이에 중공파일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중간 지압판(133); 포함하는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ltiple pressure plates 130
A lowermost pressure plate 13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low pipe 120 and having an injection hole 135 formed therein;
An uppermost pressure plate 132 spaced upward from the lowermost pressure plate 131 so as to penetrate the hollow pile; And
An intermediate pressure plate 133 formed between the lowermost pressure plate 131 and the uppermost pressure plate 132 so as to penetrate the hollow pile; Composite pile using multiple.
상기 최하단 지압판(131)과 최상단 지압판(132) 사이에 중간 지압판이 수용되도록 선단팩커(140)가 설치되며 중공파일로부터 주입된 그라우팅재가 측면홀을 통해 선단팩커 내부로 주입되도록 하는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5. The method of claim 4,
A front packer 140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most pressure plate 131 and the uppermost pressure plate 132 so that an intermediate pressure plate is received and a grouting material injected from a hollow file is injected into the front packer through the side holes. pile.
상기 선단팩커(140)는 직물로 제작되어 주입된 그라우팅재에 의하여 팽창되어 중공파일의 선단부에 그라우팅재와 다중지압판에 의한 선단확장부 및 확장구근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mposite pile 140 is made of a fabric and expanded by the grouting material so as to form a tip extension portion and an extension bulb by a grouting material and a multiple pressure plate at the tip of the hollow pile.
(b) 중공부 내부에 제 1주입관(210)이 삽입되도록 세팅되며, 선단부 외주면에 다중지압판(130)이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팩커(140)가 다중지압판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중공파일(120)의 저면이 상기 선단골재층(110)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선단팩커(140) 상부에 제 2주입관(220)이 배치되도록 하고 제 2주입관(220)이 매립되도록 천공홀 내부에 상부골재층(150)을 채워 넣는 단계;
(d) 상기 제 2주입관(220)에 그라우팅재(160)를 주입하여 중공파일 선단부에 주입된 그라우팅재가 선단골재층, 중공파일을 통해 선단팩커에 주입되도록 하고, 중공파일 상면까지 주입되어 중공파일이 CFT 말뚝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중공파일(120) 상단 중공부에는 상기 중공파일(12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링 형태의 상단스타퍼(122)가 형성되어, 주입된 그라우팅재의 역류를 방지하며,
상기 선단골재층(110)은 쇄석을 포함하며, 제 1주입관(210)을 통해 중공파일 선단부 내부로부터 그라우팅재가 주입되어 선단골재층(110)에 그라우팅재가(150)가 주입후 경화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골재층(150)은 쇄석을 포함하며 선단팩커 상부에 위치한 제 2주입관(220)에 의하여 그라우팅재가(160)가 주입 및 경화되어 그라우팅재가 중공부에 주입되어 경화된 CFT 말뚝인 강재말뚝과 함께 합성말뚝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 시공방법.(a) forming a perforation hole (300) in the ground, and then filling the end aggregate layer (110) into the end of the perforation hole;
(b) a hollow pipe (120) installed so that a first injection pipe (21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and a multiple pressure plate (1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part and the front packer (140) ) Is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ont aggregate layer (110);
(c) filling the upper aggregate layer 150 in the perforation hole such that the second injection pipe 220 is disposed above the front packer 140 and the second injection pipe 220 is embedded;
(d) The grouting material 160 is injected into the second injection pipe 220 to inject the grouting material injected into the tip end of the hollow fiber into the front end packer through the end aggregate layer and the hollow pile, So as to form a file with CFT piles,
In the step (d), a ring-shaped upper stopper 122 is formed in the upper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pipe 120 to penetrate the hollow pipe 120 to prevent backflow of the injected grouting material,
The end aggregate layer 110 includes crushed stone and is injected with grouting material from the inside of the hollow pile through the first injection pipe 210 so that the grouting material 150 is injected into the end aggregate layer 110 and then cured.
The upper aggregate layer 150 includes a crushed stone, and a grouting material 160 is injected and cured by a second injection pipe 220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cker to inject a grouting material into the hollow portion to form a hardened CFT pile A method of constructing composite pile using multiple pliers to form a synthetic pile together with pile.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중공파일 두부는 커팅되어 두부에는 두부보강판이 더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두부보강판은 건축물의 기초판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하는 다중지압판을 이용한 합성말뚝 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step (d)
Wherein the hollow pile head is cut so that a head reinforcement plate is further formed on the head portion and the head reinforcement plate is embedded in the foundation plate concrete of the buil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2341A KR101620558B1 (en) | 2015-10-30 | 2015-10-30 | Composite pile using multi support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2341A KR101620558B1 (en) | 2015-10-30 | 2015-10-30 | Composite pile using multi support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0558B1 true KR101620558B1 (en) | 2016-05-12 |
Family
ID=5602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2341A Active KR101620558B1 (en) | 2015-10-30 | 2015-10-30 | Composite pile using multi support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055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237319A (en) * | 2017-06-20 | 2017-10-10 |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pile tube with post jacking Grouting Pip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1864544B1 (en) | 2017-08-09 | 2018-06-05 | 썬엔지니어링 (주) | Distribution plate unit for connecting rebar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micropile and smallcaliber pile using of the same |
KR101939020B1 (en) | 2018-04-16 | 2019-01-16 | 썬엔지니어링 (주) | Footing bar jointed pressure supporting unit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of caliber penetrator using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2900B1 (en) | 2013-07-29 | 2015-05-28 | 한국팽이건설 주식회사 | Micropile of pressure inje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2015
- 2015-10-30 KR KR1020150152341A patent/KR10162055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2900B1 (en) | 2013-07-29 | 2015-05-28 | 한국팽이건설 주식회사 | Micropile of pressure inje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237319A (en) * | 2017-06-20 | 2017-10-10 |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pile tube with post jacking Grouting Pip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1864544B1 (en) | 2017-08-09 | 2018-06-05 | 썬엔지니어링 (주) | Distribution plate unit for connecting rebar and distribution structure of micropile and smallcaliber pile using of the same |
KR101939020B1 (en) | 2018-04-16 | 2019-01-16 | 썬엔지니어링 (주) | Footing bar jointed pressure supporting unit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of caliber penetrator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88784B2 (en) | Rapid pier | |
KR101332848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micro pile using deformed or screw steel pipe and pressure grouting | |
KR100978006B1 (en) | Soil nailing method | |
KR101539031B1 (en) | Pack-mounted Reinforcing Structure | |
KR101276572B1 (en) | Pressurizing grouting type soil nailing and method for reinforcing slope using thereof | |
KR101620558B1 (en) | Composite pile using multi support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20090094734A (en) | The method of wall stability by extension of bond diameter | |
KR101544139B1 (en) | Micropile fixed in the soil by Pressure Injection Grout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36765B1 (en) | Method for placing adhesive filling into the expanded drill hole to increase bearing capacity of piles and tention members and apparatus therefor | |
KR101609298B1 (en) | Driven concrete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759303B1 (en) | Stir-wing wing perforated cas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forming foundation pile bulb using the same | |
KR100773920B1 (en) | Pre-tension Soil Nailing System using Expansion of Fusing Unit and High-Strength Steel Bar and Slope Eye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526470B1 (en) | PHC(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Structure of Pressing Type and Mehtod for Constructing Thereof | |
KR100781492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462814B1 (en) | Gravity type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 |
KR20120102480A (en) | Phc pile with improved end bearing capacity and piling method of phc pile using the same | |
KR10184337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soft ground | |
KR101173877B1 (en) | non-drilling top-down grouting type jet grouting pil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053231B1 (en) |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using existing pile | |
KR101727206B1 (en) | The smart front end cap for adjusting phc file length and the method using thereof | |
KR101737475B1 (en) | Composite phc pile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200381572Y1 (en) | Paker can pressure with milk grouting | |
KR20140014739A (en) | Pile with non-closed channel shape of plural non-flat in the end of pile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pile by using the same | |
KR101049577B1 (en) | Purchase pile | |
KR200381571Y1 (en) | Structure of upward type base reinforced a substitute for horizontal drain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1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