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412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412B1
KR101616412B1 KR1020140075703A KR20140075703A KR101616412B1 KR 101616412 B1 KR101616412 B1 KR 101616412B1 KR 1020140075703 A KR1020140075703 A KR 1020140075703A KR 20140075703 A KR20140075703 A KR 20140075703A KR 101616412 B1 KR101616412 B1 KR 10161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transfer unit
transfer
convey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567A (ko
Inventor
최규훈
김태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41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41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컨테이너의 적재공간이 마련되는 선체; 선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제1이송유닛; 및 제1이송유닛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제1이송유닛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이송시키거나, 제1이송유닛으로 컨테이너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A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을 통해 복수의 컨테이너가 순차적으로 선적 또는 하역이 진행될 수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으로의 컨테이너 선적, 또는,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의 하역을 위해, 컨테이너를 이송하도록 마련되는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 크레인은, 동력을 이용하여 소정 규격으로 형성된 화물운반용기인 컨테이너를 매달아 올리고 일정한 구간으로 이동 후 내려놓는 것을 통해 컨테이너를 이송하도록 마련되는 장치이다.
종래의 컨테이너 크레인의 경우,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크레인이 선박으로 이동하여 그 위치에서 컨테이너홀더를 내리게 되며,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 중 하나를 들어올린 후 컨테이너와 함께 하역 장소로 이동하여 컨테이너를 내려놓는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하역하게 된다. 여기서, 컨테이너 선적작업은 그 하역작업의 역순으로 행해지게 된다.
하지만,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시 종래 크레인을 이용하는 방식은, 복수의 컨테이너 각각에 대해 개별적인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크레인 사용에 필요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제20-0438055호(공고일자:2008년01월21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을 통해 복수의 컨테이너가 순차적으로 선적 또는 하역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컨테이너의 선적 또는 하역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컨테이너의 적재공간이 마련되는 선체;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1이송유닛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이송유닛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를 이송시키거나, 상기 제1이송유닛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을 지지하는 컨테이너받침유닛; 및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테이너받침유닛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유닛의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제2이송유닛의 가상의 연장선이 상호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컨테이너가 상측에 적재되는 컨베이어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 사이에서 상기 컨테이너가 이송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의 이송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이송보조롤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컨테이너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고정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에 접촉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컨테이너지지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컨테이너하중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유닛의 대향되는 측면에서 상기 제2이송유닛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이송유닛에 올려진 컨테이너가 상기 제1이송유닛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컨테이너를 가압하는 컨테이너가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을 통해 복수의 컨테이너가 순차적으로 선적 또는 하역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컨테이너의 선적 또는 하역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 중 하나의 작동을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선적시, 컨테이너가 제2이송유닛의 일부분으로부터 제1이송유닛의 일부분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하역시, 컨테이너가 제1이송유닛의 일부분으로부터 제2이송유닛의 일부분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에서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 중 하나의 일부분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이송유닛은 선체를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컨테이너를 이송하도록 마련되는 이송유닛을 의미할 수 있으며, 또한, 제2이송유닛은 선체를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컨테이너를 이송하도록 마련되는 이송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선박(100)은,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 크루즈선 및 특수 작업선 등과 같이 자항능력을 가지고 사람이나 화물을 이송시키는 선박(100)을 모두 포함하며, 또한, 부유식 생산저장설비(FPSO :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원유 저장 설비(FSU : Floating Storage Unit) 등 화물을 저장 및 하역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컨테이너(900)의 적재공간이 마련되는 선체(200)와, 선체(200)에 설치되어 컨테이너(900)를 이송하는 제1이송유닛(300)과, 제1이송유닛(300)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제1이송유닛(300)으로부터 컨테이너(900)를 이송시키거나, 제1이송유닛(300)으로 컨테이너(900)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체(200)에는 컨테이너(900)의 적재공간이 마련된다. 여기서, 컨테이너(900)는 화물을 수송하는데 사용되는 규격화된 박스일 수 있으며, 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선체(200)의 상당부분이 컨테어너의 적재공간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선체(200)의 일부에만 적재공간이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부두 등에 대기 중인 컨테이너(900)가 선체(200)로 선적될 수 있고, 또는, 선체(200)에 적재된 컨테이너(900)가 부두 등의 하역장소에서 하역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미도시)을 사용하여 복수의 컨테이너(900) 각각을 차례대로 선적 및 하역하게 되므로 시간과 비용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제1이송유닛(300)과 제2이송유닛(400)을 통해 복수의 컨테이너(900)가 순차적으로 선적 및 하역이 진행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측면에서 유리한 바,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서 제1이송유닛(300)과 제2이송유닛(400)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이송유닛(300)은 선체(200)에 설치되어 컨테이너(900)를 이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이송유닛(300)의 가상의 연장선과, 제2이송유닛(400)의 가상의 연장선이 상호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제1이송유닛(300)과 제2이송유닛(400)이 배치될 수 있는데, 특히, 제1이송유닛(300)과 제2이송유닛(400)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이송유닛(300)과 제2이송유닛(400)의 배치 방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제1이송유닛(300)은 선체(200)를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컨테이너(900)를 이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이송유닛(400)은 선체(200)를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컨테이너(900)를 이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선체(200)를 기준으로 하는 가로방향은, 선체(200)의 선수로부터 선미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선체(200)를 기준으로 하는 세로방향은 선체(200)의 선수로부터 선미를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이송유닛(300)은 선체(200)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이송유닛(300)의 단부에는 제2이송유닛(400)이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이송유닛(300)으로부터 이동되는 컨테이너(900)는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제2이송유닛(400)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또는, 제2이송유닛(400)으로부터 제1이송유닛(300)으로 컨테이너(900)가 이송될 수도 있다.
한편, 제1이송유닛(300) 또는 제2이송유닛(400)은 컨베이어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유닛은 벨트타입의 컨베이어 또는 체인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롤러타입의 컨베이어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이송유닛(300)과 제2이송유닛(400) 모두 벨트타입의 컨베이어로 마련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컨베이어유닛으로 마련되는 제1이송유닛(300)의 경우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으로 설명하며, 컨베이어유닛으로 마련되는 제2이송유닛(400)의 경우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송보조롤러유닛(500)은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과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컨테이너(900)의 이송을 보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보조롤러유닛(500)은 하나 이상의 롤러가 배치되어 컨테이너(900)의 접촉시 회전하는 것을 통해 컨테이너(900)의 이송을 보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이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으로부터 근접하게 배치되더라도,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으로부터 이송되어진 컨테이너(900)가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으로 정확하게 이송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과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의 사이에 이송보조롤러유닛(500)이 배치되는 경우, 컨테이너(900)는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이송보조롤러유닛(500)를 거쳐서 이송되어지므로,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으로의 이송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또한, 컨테이너(900)가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송보조롤러유닛(500)은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측과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측으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이송보조롤러유닛(500)과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측의 사이 간격, 또는, 이송보조롤러유닛(500)과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측의 사이 간격을 좁히기 위해 이송보조롤러유닛(500)이 도 1을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송보조롤러유닛(500)은, 후술하는 컨테이너가압유닛(600)에 의해 컨테이너(900)가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으로부터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으로 이송되는 경우에도 컨테이너(900)의 이송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컨테이너고정유닛(310, 410)은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 또는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고정유닛(310, 410)은, 컨테이너(900)가 컨베이어유닛(300, 400)에 올려진 후 움직이지 않도록 컨테이너(900)의 양 측면에 접촉하여 컨테이너(900)를 지지하면서 고정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서 제1이송유닛(300)과 제2이송유닛(400) 중 하나의 작동을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압실린더유닛(700)은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 또는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 또는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을 상하구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받침유닛(800)은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 또는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의 하부에서 유압실린더유닛(7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컨테이너(9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컨테이너(900)의 경우 상당한 하중을 가질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900)의 선적과 하역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컨테이너(900)가 컨테이너받침유닛(80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하중 지지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박(100)의 운항 등 컨테이너(900)의 선적과 하역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압실린더유닛(700)에 의해 컨베이어유닛(300, 400)이 하측으로 이동하며, 이 경우, 컨테이너(900)는, 컨테이너(9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컨테이너받침유닛(800)에 올려져 하중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테이너(900)의 선적과 하역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유압실린더유닛(700)에 의해 컨베이어유닛(300, 400)이 상측으로 이동 후 작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컨베이어유닛(300, 400) 또는 컨테이너고정유닛(310, 410)과, 컨테이너받침유닛(80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충돌 등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받침유닛(800)은 컨베이어유닛(300, 400)의 중심측에 배치될 수 있고, 유압실린더유닛(700)은 컨베이어유닛(300, 400)의 중심측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사이드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컨테이너하중지지플레이트(330, 430)는 컨테이너(9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 또는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유압실린더유닛(700)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컨테이너(900)가 컨테이너받침유닛(800)에 올려지는 경우, 컨테이너(900)는 컨테이너받침유닛(8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지만, 선적 또는 하역 작업을 위해 유압실린더유닛(700)에 의해 컨베이어유닛(300, 400)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컨베이어유닛(300, 400)이 컨테이너(900)의 하중을 직접 받게 되는데, 장시간 작업이 진행되면 컨베이어유닛(300, 400)이 파손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컨테이너하중지지플레이트(330, 430)가 컨베이어유닛 (300, 400)의 상측에 결합되며, 컨테이너하중지지플레이트(330, 430)에 컨테이너(900)가 올려져 컨테이너하중지지플레이트(330, 430)에 의해 지지되므로, 컨베이어유닛(300, 400)의 파손 가능성이 감소되며, 사용기한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컨테이너가압유닛(600)은, 컨테이너(900)의 선적시,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에 올려진 컨테이너(900)가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900)를 가압한다.
즉,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이 작동하는 방향의 단부에는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컨테이너(900)가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측으로 이동되도록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이 작동하게 되면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에 올려진 컨테이너(900)가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하지만,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으로부터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으로 컨테이너(900)가 이송되기 위해서는,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이 배치된 방향으로 소정의 힘이 작용되어져야 하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서는 컨테이너가압유닛(600)이 컨테이너(900)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가압유닛(600)은 제1이송유닛(300)의 대향되는 측면에서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컨테이너(900)를 가압할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컨테이너가압유닛(600)이 컨테이너(900)를 좌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컨테이너(900)는, 컨테이너가압유닛(600)의 가압력에 의해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으로 이송된다.
이때, 컨테이너(900)는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으로부터,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이송보조롤러유닛(500)를 거쳐,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으로 이송되어지므로, 이송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가압유닛(60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컨테이너가압유닛(600)이 하나의 컨테이너(900)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가압유닛(600)은 컨테이너(900)의 상하좌우 증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서 선적시, 컨테이너(900)가 제2이송유닛(400)의 일부분으로부터 제1이송유닛(300)의 일부분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여기서, 컨테이너(900)의 선적과 관련하여,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컨테이너(900)가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의 상측에 올려져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이 작동하게 되는 경우 컨테이너(900)는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b)를 참조하면, 컨테이너가압유닛(600)이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의 상측에 올려진 컨테이너(900)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컨테이너(900)는 이송보조롤러유닛(500)을 따라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으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c)를 참조하면, 컨테이너(900)가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으로 이송되어진 후, 컨테이너고정유닛(310)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이 작동하여 순차적으로 컨테이너(900)를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에 적재하며, 컨테이너(900)의 적재가 완료되면 유압실린더유닛(700)이 하강하여 컨테이너받침유닛(800)에 의해 컨테이너(900)가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900)는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에 적재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서 하역시, 컨테이너(900)가 제1이송유닛(300)의 일부분으로부터 제2이송유닛(400)의 일부분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여기서, 컨테이너(900)의 하역과 관련하여,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컨테이너(900)가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 상측에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이 작동하게 되며, 컨테이너(900)는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b)를 참조하면,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이 계속 작동하는 경우 컨테이너(900)는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보조롤러유닛(500)을 따라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으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c)를 참조하면, 컨테이너(900)가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으로 이송되어진 후, 컨테이너고정유닛(410)에 의해 고정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으로부터 이송되어진 컨테이너(900)가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의 상측에 올려지면,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의 작동에 의해 컨테이너(900)가 선체(200) 외부로 하역되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서, 제1이송유닛(300)과 제2이송유닛(400)을 통해 복수의 컨테이너(900)가 순차적으로 선적 또는 하역이 진행되어, 컨테이너(900)의 선적 또는 하역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컨테이너(900)의 선적에 대해 설명하면, 유압실린더유닛(700)에 의해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과,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이 상측으로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지게차 등에 의해 컨테이너(900)가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에 올려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이 작동되면서 복수의 컨테이너(900)가 순차적으로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에 올려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컨테이너(900)는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에 결합되어 있는 컨테이너고정유닛(41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이 작동하여 복수의 컨테이너(900)가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에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면,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이 작동을 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컨테이너가압유닛(600)이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 상측에 올려져있는 컨테이너(900)를 가압하게 되면 컨테이너(900)는 이송보조롤러유닛(500)을 거쳐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에 올려지는데, 이 경우,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에 결합되어 있는 컨테이너고정유닛(31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이 작동하여 컨테이너(900)가 적재위치에 도달하면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이 작동을 정지하고, 유압실린더유닛(700)에 의해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과,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이 하측으로 하동하게 된다.
여기서,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과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이 하측으로 하동하게 되면, 컨테이너(900)는 컨테이너받침유닛(800)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다.
다음, 컨테이너(900)의 하역에 대해 설명하면, 유압실린더유닛(700)에 의해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과,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이 상측으로 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이 작동하면,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 상측에 올려져있는 컨테이너(900)가 이송보조롤러유닛(500)을 거쳐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에 올려진다.
여기서,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에 올려진 복수의 컨테이너(900)는 순차적으로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으로 이송되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컨테이너(900)는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에 결합되어 있는 컨테이너고정유닛(41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이 작동하게 되면 컨테이너(900)가 선체(200) 외부로 하역되어질 수 있으며, 선체(200) 외부로 하역되어진 컨테이너(900)는 지게차 등에 의해 목적장소로 운반되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서, 제1이송유닛(300)과 제2이송유닛(400)을 통해 복수의 컨테이너(900)가 순차적으로 선적 또는 하역이 진행되어, 컨테이너(900)의 선적 또는 하역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의 경우, 제1이송유닛(300) 또는 제2이송유닛(400)에 컨테이너지지실린더(320, 420)가 포함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에서 제1이송유닛(300)과 제2이송유닛(400) 중 하나의 일부분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테이너지지실린더(320, 420)는 컨테이너고정유닛(310, 410)에 설치되며, 컨테이너(900)에 접촉되어 컨테이너(90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유압실린더유닛(700)에 의해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300)과,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400)이 상측으로 구동하게 되면, 컨테이너(900)의 하중이 모두 컨베이어유닛(300, 400)에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컨테이너고정유닛(310, 410)에 설치되어 있는 컨테이너지지실린더(320, 420)가 컨테이너(900)의 측면을 지지하게 되면 컨베이어유닛(300, 400)에 작용하는 컨테이너(900)의 하중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컨베이어유닛(300, 400)의 파손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선박 200 : 선체
300 : 제1이송유닛 300 : 가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
310 : 컨테이너고정유닛 320 : 컨테이너지지실린더
330 : 컨테이너하중지지플레이트 400 : 제2이송유닛
400 : 세로방향의 컨베이어유닛 410 : 컨테이너고정유닛
420 : 컨테이너지지실린더 430 : 컨테이너하중지지플레이트
500 : 이송보조롤러유닛 600 : 컨테이너가압유닛
700 : 유압실린더유닛 800 : 컨테이너받침유닛
900 : 컨테이너

Claims (10)

  1. 컨테이너의 적재공간이 마련되는 선체;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제1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이송유닛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를 이송시키거나, 상기 제1이송유닛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을 지지하는 컨테이너받침유닛; 및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컨테이너받침유닛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의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제2이송유닛의 가상의 연장선이 상호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이 배치되는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컨테이너가 상측에 적재되는 컨베이어유닛으로 마련되는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 사이에서 상기 컨테이너가 이송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의 이송을 보조하기 위해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이송보조롤러유닛을 더 포함하는 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컨테이너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고정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에 접촉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컨테이너지지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선박.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상기 제2이송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컨테이너하중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선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의 대향되는 측면에서 상기 제2이송유닛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이송유닛에 올려진 컨테이너가 상기 제1이송유닛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컨테이너를 가압하는 컨테이너가압유닛을 더 포함하는 선박.

KR1020140075703A 2014-06-20 2014-06-20 선박 Expired - Fee Related KR101616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03A KR101616412B1 (ko) 2014-06-20 2014-06-20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03A KR101616412B1 (ko) 2014-06-20 2014-06-20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67A KR20150145567A (ko) 2015-12-30
KR101616412B1 true KR101616412B1 (ko) 2016-04-28

Family

ID=5508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703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6412B1 (ko) 2014-06-20 2014-06-20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4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680Y2 (ja) 1991-04-17 1997-04-16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物品移載装置
JP4211273B2 (ja) 2002-04-17 2009-01-21 村田機械株式会社 コンベアシステム
KR101192601B1 (ko) 2010-02-01 2012-10-18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6187A (ja) * 1984-09-21 1986-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ミシン
KR200438055Y1 (ko) 2006-12-27 2008-01-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크레인
KR101312302B1 (ko) * 2011-10-05 2013-09-2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듀얼모드 트레일러 시스템에 있어서 화차 또는 트레일러에서 이송차량으로 또는 이송차량에서 화차 또는 트레일러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680Y2 (ja) 1991-04-17 1997-04-16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物品移載装置
JP4211273B2 (ja) 2002-04-17 2009-01-21 村田機械株式会社 コンベアシステム
KR101192601B1 (ko) 2010-02-01 2012-10-18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67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6696B1 (en) Lng tank container transport ship, and transport method using same
KR20170137711A (ko) 로봇 컨테이너 핸들링 디바이스 및 방법
EP2845833B1 (en)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during port operations, comprising a crane, and a base located in the body of the crane that supports and stacks hatchway covers
CN102101595A (zh) 用于装载和卸载集装箱的岸壁系统、用于其中的移动港口及运输装置
KR20120095894A (ko) 갠트리 크레인을 갖는 iso 컨테이너 취급 장치
JP2007320727A (ja) コンテナ用ガントリークレーン、コンテナ輸送用パレット、コンテナ搬送車、および、コンテナ輸送方法
ATE410385T1 (de) Einrichtung zum auf- und abladen einer befülleinrichtung quer zu deren transportrichtung
US20080187422A1 (en) Transporting platform and transporting module
WO2005016795A3 (en) A method for nonintrusive scanning of cargo containers
KR101012071B1 (ko) 완제품 타이어의 이동 적재장치
KR101616412B1 (ko) 선박
KR100868843B1 (ko) 컨테이너 화물의 하역 및 선적시스템
KR20200091589A (ko) 파렛트 이송 장치
TWI736853B (zh) 用於容器的收納和轉移裝置、包含該收納和轉移裝置的系統,以及用於收納容器的方法
KR20090002343A (ko) 트레셀과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강재 운반장치 및 그 운반방법
CN203623473U (zh) 一种集装箱装卸车
EP3000755A1 (en) Method of double deck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KR20110081662A (ko) 컨테이너 하역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9443A (ko)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CN103523679A (zh) 带有双层跨海栈桥的集装箱装卸系统
CN206427243U (zh) 一种用于固定小型船舶的固定装置、及相应的大型船舶
PT83839B (pt) Processo de carregamento de embalagens de mercadorias fornecidas sobre paletes no interior de um espaco de carga, particularmente no porao de navios
KR101118677B1 (ko)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 시스템, 및 이동식 항만 구조물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방법
JPH0526928U (ja) 船舶のコンテナ積卸し装置
CN219750685U (zh) 海运输用的集装箱简易运输支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