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806B1 - 용기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806B1
KR101615806B1 KR1020140026769A KR20140026769A KR101615806B1 KR 101615806 B1 KR101615806 B1 KR 101615806B1 KR 1020140026769 A KR1020140026769 A KR 1020140026769A KR 20140026769 A KR20140026769 A KR 20140026769A KR 101615806 B1 KR101615806 B1 KR 101615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tainer
bevel gear
holde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4867A (ko
Inventor
이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26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8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0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tary tables or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9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vertical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1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roduct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를 고정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홀더를 구비하는 제1 판; 및 상기 제1 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와 적어도 일부분이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홀더를 구비하는 제2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가 연통된 공간인 용기 홀더에 상기 용기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이 서로 상대회전하여 상기 용기 홀더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는, 랙과 랙기어 구조를 통해 제1 판과 제2 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제1 판과 제2 판에 각각 형성된 제1 홀더와 제2 홀더의 연통된 부분이 넓어지거나 좁혀짐에 따라 용기 홀더의 면적이 변화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용기 본체 등을 수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고정 장치{An apparatus for holding a vessel}
본 발명은 용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해 용기를 고정하는 용기 홀더의 폭이나 높이 등이 조절됨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고정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용기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나 고체 분말 등과 같은 화장품 등은 용기에 담겨져 판매되는데, 용기에 화장품을 담기 위해서는 용기 본체의 일측을 개방시키고, 노즐 등을 통해 화장품을 용기 본체에 공급하여 용기 본체에 화장품을 충진한다.
이때 복수의 용기에 단시간 내에 화장품을 충진하기 위해서는, 원형 등의 테이블 형태를 갖고 테두리 주변에 복수의 용기 홀더를 갖는 용기 고정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용기 고정 장치에 형성된 용기 홀더 내에 용기를 삽입하거나 올려놓는 등의 방식으로 고정한 후, 어느 하나의 용기 홀더에 놓인 용기에 노즐이 대응되도록 하여 노즐을 통해 용기 본체에 화장품을 공급하며, 용기 고정 장치를 불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다른 용기가 노즐에 순차적으로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용기 고정 장치에 고정된 모든 용기에 빠른 시간 내에 화장품이 충전되도록 하였다.
또한 용기 고정 장치에는 인접하게 별도의 가압 장치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용기 본체를 밀폐하는 커버를 화장품 충진이 완료된 용기 본체에 올려놓게 되면, 가압 장치가 커버를 가압하여 용기 본체와 커버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가압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용기 본체의 형태를 가변하기 어려울 경우, 즉 용기 본체가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에 의해 강체(rigid body)로 제작됨에 따라 커버를 별도로 결합해야할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고, 용기 본체가 가변 가능한 튜브형일 경우에는 가압 장치 대신에 용기 본체의 상부를 압착 및 융착시켜서 밀폐시키는 압착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 고정 장치에 놓인 상태로 화장품을 공급받은 용기 본체는, 작업자에 의해 올려진 커버가 가압 장치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커버와 결합되어 화장품이 담긴 용기를 구성하거나, 또는 용기 본체에서 개방된 부분 자체가 압착 장치에 의해 압착됨에 따라 화장품이 담긴 용기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기 고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화장품 등이 담겨야 하는 용기는 단면의 크기가 다양할 수밖에 없는데, 종래 사용되던 용기 고정 장치의 용기 홀더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게 됨에 따라, 용기의 크기가 바뀌게 되면 용기 고정 장치 전체가 교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용기 홀더의 크기에 대응되며 내부에 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는 별도의 외용기를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나, 이 역시 용기의 크기 변화에 따라 외용기를 새롭게 제작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용기는 단면 외에도 높이 역시 변화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용기 홀더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용기의 높이가 달라질 경우 용기와 노즐 사이의 간격이 가변됨으로써, 화장품 공급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홀더의 단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 본체 또는 외용기의 단면적이 가변되더라도 용기 본체 등이 용기 홀더 내에 원활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용기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용기 홀더 내에 용기 본체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깊이를 가변시켜서, 용기의 크기가 변화하더라도 원활하게 용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홀더의 크기 및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용기 본체 등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확장성을 높인 용기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는, 용기를 고정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홀더를 구비하는 제1 판; 및 상기 제1 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와 적어도 일부분이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홀더를 구비하는 제2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가 연통된 공간인 용기 홀더에 상기 용기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이 서로 상대회전하여 상기 용기 홀더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는, 고체 또는 액체 물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가 안착되며 상기 용기 홀더에 삽입되는 외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에 고정되며 랙기어의 결합 및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을 회전시키는 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랙은, 상기 제1 판에 고정되는 제1 랙; 및 상기 제2 판에 고정되는 제2 랙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랙 및 상기 제2 랙은, 각각 상기 랙기어의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의 회전 시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판 또는 상기 제2 판의 회전을 보조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판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1 판의 일측에 노출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을 관통하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에 맞물린 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의 회전을 보조하는 베벨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벨기어부는, 상기 제1 판에 고정되는 제1 베벨기어; 상기 제2 판에 고정되는 제2 베벨기어; 및 상기 제1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베벨기어에 맞물리는 제3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베벨기어는, 상기 제1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베벨기어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베벨기어에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는, 랙과 랙기어 구조를 통해 제1 판과 제2 판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제1 판과 제2 판에 각각 형성된 제1 홀더와 제2 홀더의 연통된 부분이 넓어지거나 좁혀짐에 따라 용기 홀더의 면적이 변화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용기 본체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는, 제1 판과 제2 판을 기준으로 받침판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용기 홀더에 삽입되는 용기 본체 등의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문제없이 용기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는, 용기 본체 등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용기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용기 고정 장치 또는 외용기를 전체적으로 교체하는 것이 불가피했던 종래의 문제를 간단히 해결하여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에서 용기 홀더의 크기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에 고정되는 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다만 도 1 및 도 2의 경우 도 3에서총 4개로 구비된 제3 베벨기어(73) 및 제3 베벨기어 고정부(731)를 편의상 일부 생략하고 2개만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1)는, 제1 판(10), 제2 판(20), 받침판(30), 랙(40), 롤러부(50), 높이 조절부(60), 베벨기어부(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들을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기(2)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에 고정되는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1)에 고정되는 용기(2)는, 고체 또는 액체 물질이 수용되는 통 형태(일례로 원통형 또는 타원통형)의 용기 본체(3)를 포함한다. 이때 고체 또는 액체 물질은 분말형 화장품이나 액상 화장품 등을 의미할 수 있고, 물론 물질은 화장품 외에도 용기(2)에 수용되어 사용되는 다양한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용기 본체(3)는 일측, 구체적으로 도면 기준으로 상측이 개방된 상태일 수 있으며, 노즐(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분사되는 화장품 등이 용기 본체(3)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용기 본체(3)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용기 본체(3)에 충분한 양의 화장품 등이 공급되면, 별도의 압착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용기 본체(3)의 상단 부분을 압착하고 커팅하여, 용기 본체(3)가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 본체(3)는, 후술할 용기 홀더(11, 21)에 직접 삽입되어, 제1 판(10) 및 제2 판(20)에 의해 측면이 고정되고 받침판(30)에 의해 하면이 고정된 상태로 움직여서 노즐에 대응되는 위치, 압착 장치에 대응되는 위치 등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1)에 고정되는 용기(2)는, 외용기(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용기(4)는 용기 본체(3)가 안착되며 용기 홀더(11, 21)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즉 외용기(4)를 구비할 경우, 용기 본체(3)가 직접 용기 홀더(11, 21) 내에 삽입되지 않고, 외용기(4)가 용기 본체(3)를 고정한 상태로 용기 홀더(11, 2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용기 본체(3)가 외압에 의해 쉽게 형태가 변화되도록 제작된 경우나, 또는 용기 본체(3)가 별도의 지지 수단 없이는 개방된 측면이 일정 위치로 고정되기 힘들게 제작된 경우 등을 대비하기 위함이다. 즉 본 실시예는 강체로 제작된 외용기(4) 내에, 강체가 아닌 유연체 등으로 제작된 용기 본체(3)를 삽입하고, 외용기(4)를 용기 홀더(11, 21)에 고정함으로써, 용기 본체(3)가 압력을 받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용기 본체(3)의 개방된 부분이 일정한 위치에 놓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물질 공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외용기(4)에 안착된 용기 본체(3)는, 외용기(4)가 용기 홀더(11, 21) 내에 위치할 때 외용기(4)의 상면에 안착되거나 또는 외용기(4)의 내면 일부에 삽입된 상태로 제1 판(10) 등의 회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용기 본체(3)의 개방된 상면에는 노즐을 통해 화장품 등이 공급되며, 이후 용기 본체(3)의 개방된 일측에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놓이면, 별도의 가압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커버를 하방으로 눌러서 커버와 용기 본체(3)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용기 고정 장치(1)에 사용되는 용기(2)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특정한 물질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용기(2)라면 어떠한 구성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1)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판(10)은, 용기(2)를 고정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홀더(11)를 구비한다. 이때 제1 판(10)은 원판 형태로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별도의 구동부(80)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제1 홀더(11)는 제1 판(10)의 테두리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제1 판(10)에 형성된 제1 홀더(11)에는 용기(2)(용기 본체(3) 또는 외용기(4))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홀더(11)에는 제1 용기 접촉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용기 접촉부(111)는 일반적으로 원 또는 타원의 단면을 갖는 용기(2)에 접촉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일측이 V자 또는 U자 등의 형태로 함몰되어 있으며, 용기(2)를 원활하게 고정하기 위해 마찰력이 큰 재질인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11)에는 일측에만 제1 용기 접촉부(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2 판(20)의 제2 홀더(21)에도 일측에만 제2 용기 접촉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홀더(11)의 제1 용기 접촉부(111)와 제2 홀더(21)의 제2 용기 접촉부(211)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두 용기 접촉부(111, 211) 사이에 용기(2)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판(10)은 구동부(80)에 의해 제1 홀더(11)의 간격만큼 불연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때 어느 하나의 제1 홀더(11)에 삽입된 용기(2)가 노즐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인 후, 제1 판(10)이 회전하면 바로 다음의 제1 홀더(11)에 삽입된 용기(2)가 노즐에 대응되도록 놓일 수 있다. 즉 제1 홀더(11)에 놓여진 용기(2)는 제1 판(10)의 회전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노즐에 대응된다.
다만 제1 판(10)은 제2 판(20)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홀더(11) 및 제2 홀더(21)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 홀더(11, 21)의 부피를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용기(2)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용기(2)를 원활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판(10) 및 제2 판(20) 간의 움직임은 랙(40)에 의해 구현되는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2 판(20)은, 제1 판(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홀더(11)와 적어도 일부분이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홀더(21)를 구비한다. 제2 판(20)은 제1 판(10)과 마찬가지로 원판 형태로서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구동부(80)에 의해서 제1 판(10)과 함께 회전되거나, 또는 랙(40)에 의해서 제1 판(10)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판(20)이 제1 판(10)과 함께 회전하는 것은, 용기 홀더(11, 21)에 용기(2)가 고정되어 있을 경우를 의미하며, 제2 판(20)과 제1 판(10)이 서로 달리 회전하는 것은 용기 홀더(11, 21)에 용기(2)를 고정하기 위해서 용기 홀더(11, 21)의 크기를 조정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제2 판(20)에 형성되는 제2 홀더(21)에도 제1 홀더(11)와 마찬가지로 용기(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홀더(21)는 제2 판(20)을 관통하거나 또는 제2 판(20)의 일부분이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용기(2)는 제1 홀더(11)를 관통하고 제2 홀더(21)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제1 용기 접촉부(111) 및 제2 용기 접촉부(2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홀더(21)에는 제2 용기 접촉부(21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제2 용기 접촉부(211)는 제1 용기 접촉부(111)와 마찬가지로 일측이 V자 또는 U자 등의 형태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제1 용기 접촉부(111)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용기 접촉부(111)와 제2 용기 접촉부(2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용기 홀더(11, 21)로서 기능하며, 용기 홀더(11, 21)에 용기(2)가 삽입될 때, 제1 용기 접촉부(111)와 제2 용기 접촉부(211)가 용기(2)의 측면에 밀착되어 용기(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판(20)은 제1 판(10)의 하부에 밀착 배치될 수 있고, 후술할 판 고정부(90)에 의해 제1 판(10)과 결합되어 구동부(80)에 의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또는 제2 판(20)은, 제1 판(10)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용기 홀더(11, 21)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용기 홀더(11, 21)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고정 장치에서 용기 홀더의 크기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 (a)는 용기 홀더(11, 21)가 확장된 경우이고, (b)는 용기 홀더(11, 21)가 축소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a)에서 제1 홀더(11)와 제2 홀더(21)가 최대한으로 연통되도록 제1 판(10) 및 제2 판(20)이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1 용기 접촉부(111)와 제2 용기 접촉부(211) 사이에 형성된 용기 홀더(11, 21)는, 최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반면 제1 판(10)을 기준으로 제2 판(20)이 회전되거나, 또는 제2 판(20)을 기준으로 제1 판(10)이 회전되거나, 또는 제1 판(10) 및 제2 판(2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더(11)와 제2 홀더(21)가 어긋나게 된다. 이 경우 제1 용기 접촉부(111)는 제2 판(20)으로부터 멀어지며, 제2 용기 접촉부(211)는 제1 판(10)으로부터 멀어지고, 제1 판(10)에 부착된 제1 용기 접촉부(111)와 제2 판(20)에 부착된 제2 용기 접촉부(211)는 서로 가까워진다. 이로 인해서 제1 용기 접촉부(111) 및 제2 용기 접촉부(211)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 홀더(11, 21)의 크기는 축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판(10)과 제2 판(20)을 서로 회전시킴으로써 용기 홀더(11, 21)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용기 홀더(11, 21)에 의해 고정되어야 하는 용기(2)의 크기가 가변되더라도, 본 실시예는 용기 홀더(11, 21)의 크기를 간단히 조절함으로써 용기(2)를 원활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받침판(30)은, 제1, 2판과 마찬가지로 원판의 형태로 일정 두께를 가지며, 제2 판(20)의 일측(구체적으로는 하측)에 구비된다. 받침판(30)은 후술할 롤러부(50) 또는 높이 조절부(60) 등을 통해서 제1 판(10) 및 제2 판(20)을 지지할 수 있다.
받침판(30)에는 후술할 롤러부(50)가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80)의 구동축(81)이 관통되기 위한 구멍(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멍은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판(10) 및 제2 판(20)은 용기(2)에 화장품 등을 공급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받침판(30)은 본 발명이 설치되는 공간에 별도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 등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2 판(20)의 제2 홀더(21)가 제2 판(20)을 관통하는 형태일 경우, 용기(2)는 제1 판(10)의 제1 홀더(11) 및 제2 판(20)의 제2 홀더(21)를 차례로 관통하고 받침판(30)에 안착된다. 이때 받침판(3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면, 용기(2)가 삽입되는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후술할 높이 조절부(60)를 이용하여 받침판(3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용기 홀더(11, 21)를 통해 용기(2)가 삽입될 수 있는 깊이를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용기(2)의 높이가 가변되더라도 용기(2)를 문제없이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용기(2)와 노즐 사이의 간격이 받침판(30)의 높이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용기(2)와 노즐의 간격이 화장품 등이 공급되기 위한 최적의 거리가 되도록, 받침판(30)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다.
받침판(30)은 후술할 판 지지부(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받침판(30)은 판 지지부(10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높이 조절부(60)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물론 받침판(30)이 높이 조절부(60)에 의해 충분히 지지된다면, 판 지지부(100)는 받침판(30)으로부터 이격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랙(40)은, 제1 판(10) 및 제2 판(20)에 고정되며 랙기어(43)의 결합 및 회전에 의해 제1 판(10) 및 제2 판(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을 회전시킨다. 이때 랙기어(43)는 랙(4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며, 사용자가 랙기어(43)의 일부분을 파지한 상태로 랙기어(43)를 랙(40)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제1 판(10) 및 제2 판(2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랙(40)은, 제1 판(10)에 고정되는 제1 랙(41)과, 제2 판(20)에 고정되는 제2 랙(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랙(41)은 제1 판(10)의 테두리 외측에 구비되고, 제2 랙(42)은 제2 판(20)의 테두리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랙기어(43)에 의해 제1 판(10)과 제2 판(2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테두리에서 회전력을 가해주면 판(10, 20)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고 원활하게 판(10, 20)이 회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 랙(41)의 기어이와 제2 랙(42)의 기어이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이때 제1 랙(41)의 기어이와 제2 랙(42)의 기어이 사이로 랙기어(43)가 삽입되어, 랙기어(43)가 제1 랙(41)의 기어이 및 제2 랙(42)의 기어이에 동시에 맞물릴 수 있다.
제1 랙(41)과 제2 랙(42)은, 각각 랙기어(43)의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랙(41)이 상부, 제2 랙(42)이 하부에 위치한다고 볼 때, 제1 랙(41)은 랙기어(43)의 상측에 결합되고, 제2 랙(42)은 랙기어(43)의 하측에 결합된다.
이때 랙기어(43)의 회전 시, 제1 판(10)과 제2 판(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을 기준으로 랙기어(4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판(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 판(2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제1 판(10)의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라면, 제1 판(10)이 고정된 상태로 제2 판(20)이 제1 판(1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제1 판(10)과 제2 판(20) 중 어느 한 판(10, 20) 또는 두 판(10, 20)이 움직임에 따라, 제1 판(10)과 제2 판(20)이 서로 상대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 홀더(11, 21)의 크기가 축소되거나 또는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용기(2)의 크기에 따라 용기 홀더(11, 21)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용기(2)를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롤러부(50)는, 제1 판(10) 또는 제2 판(20)의 회전을 보조한다. 롤러부(50)는 받침판(30)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받침판(30)과 간섭되지 않게 구비되며, 제1 판(10) 또는 제2 판(20)에 맞닿을 수 있다. 일례로 롤러부(50)는, 제2 판(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2 판(20)의 회전을 보조할 수 있다.
롤러부(50)는 안정적인 회전을 구현하기 위해서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롤러부(50)가 밀착되는 판(10, 2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판(10, 20)을 지지할 수 있다.
롤러부(50)는 별도의 동력을 받지 않고 아이들(idle) 회전되며, 용기 홀더(11, 21)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해서 판(10, 20)이 회전될 경우와, 용기 홀더(11, 21)에 용기(2)가 고정된 상태로 용기(2)에 화장품 등을 공급하기 위해 판(10, 20)이 회전될 경우 모두 판(10, 20)의 회전을 보조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60)는, 받침판(30)에 구비되며 받침판(30)의 높이를 조절한다. 받침판(30)의 높이가 조절되면 용기 홀더(11, 21)를 관통하여 받침판(30)에 안착되는 용기(2)의 안착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부(60)는, 용기(2)의 높이가 달라질 경우, 받침판(30)의 높이를 높이거나 또는 낮춤으로써, 용기(2)의 개방된 일측이 노즐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장품 등의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높이 조절부(60)는, 제1 판(10)의 일측에 노출된 손잡이(61)와, 손잡이(61)의 하부에 형성되며 받침판(30)을 관통하는 볼트부(62)와, 볼트부(62)에 맞물린 너트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61)는 구체적으로 제1 판(1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으며, 손잡이(61)의 회전 시 볼트부(62)의 회전에 따라, 너트부(63)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너트부(63)가 받침판(30)의 일측에 고정되고, 손잡이(61)는 제1 판(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손잡이(61)를 회전시키게 되면 손잡이(61)와 결합되어 있는 볼트부(62)가 회전됨에 따라 너트부(63)는 볼트부(62)의 나사산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를 통해 너트부(63)에 결합된 받침판(30)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볼트부(62)가 관통되도록 제1 판(10) 및 제2 판(20)에 마련되는 구멍은 볼트부(62)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볼트부(62)가 마련되더라도 제1 판(10) 및 제2 판(20)의 상대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높이 조절부(6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성 외에도 받침판(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베벨기어부(70)는, 제1 판(10) 및 제2 판(20)에 고정되며 제1 판(10) 및 제2 판(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10, 20)의 회전을 보조한다. 베벨기어부(70)는 롤러부(50)와 같이 판(10, 20)의 회전을 보조하게 되는데, 롤러부(50)는 어느 하나의 판(10, 20)에만 밀착되어 있는 반면, 베벨기어부(70)는 제1 판(10) 및 제2 판(20)을 기어 연결함으로써, 판(10, 20)의 회전을 더욱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벨기어부(70)는, 제1 판(10)에 고정되는 제1 베벨기어(71)와, 제2 판(20)에 고정되는 제2 베벨기어(72)와, 제1 베벨기어(71) 및 제2 베벨기어(72)에 맞물리는 제3 베벨기어(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벨기어(71)는 제1 판(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제2 베벨기어(72)는 제2 판(20)에 연결되되 제1 베벨기어(71)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베벨기어(72)와 제2 판(20)을 연결하기 위해 제2 베벨기어 고정부(721)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베벨기어 고정부(721)는 축 형태로 일단이 제2 베벨기어(7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판(20)에 연결되며 제1 베벨기어(71) 및 제1 판(10)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베벨기어(71)와 제2 베벨기어(72)는 서로 간섭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3 베벨기어(73)는, 제1 베벨기어(71)와 제2 베벨기어(7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 베벨기어(71) 및 제2 베벨기어(72)에 맞물린다. 제3 베벨기어(73)는 제3 베벨기어 고정부(731)에 의해서 받침판(30) 또는 후술할 판 고정부(9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베벨기어 고정부(731)는 후술할 구동축(81)에 연결된 판 고정부(90)에 결합된 상태로 제3 베벨기어(73)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판 고정부(90)는 후술하겠으나, 제1 판(10) 및 제2 판(2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3 베벨기어 고정부(731)가 관통되는 제1 판(10) 및 제2 판(20)의 구멍은, 제3 베벨기어 고정부(731)보다 클 수 있고 이로 인해 제3 베벨기어 고정부(731)가 마련되더라도 제1 판(10) 및 제2 판(20)의 상대 회전이 허용된다.
제1 랙(41)과 제2 랙(42)에 랙기어(43)를 삽입하고, 랙기어(43)가 회전되면 제1 랙(41)은 일측으로, 제2 랙(42)은 타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랙(41)이 구비된 제1 판(10)이 시계방향, 제2 랙(42)이 구비된 제2 판(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고 가정하면, 제1 판(10)에 구비된 제1 베벨기어(71)는 시계방향, 제2 판(20)에 구비된 제2 베벨기어(7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베벨기어(71)와 제2 베벨기어(72)에는 제3 베벨기어(73)가 맞물려 있는데, 제1 베벨기어(7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3 베벨기어(73)는 제1 베벨기어(71)의 회전 평면과 수직인 평면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일례로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된 제3 베벨기어(73)는, 후방으로 구르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된 제3 베벨기어(73)는 전방으로 구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좌측의 제3 베벨기어(73)와 우측의 제3 베벨기어(73)에 맞물려 있는 제2 베벨기어(7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랙기어(43)에 의해 제1 랙(41) 및 제2 랙(42)이 움직일 때, 베벨기어부(70)는 제1 판(10)과 제2 판(20)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함으로써, 제1 판(10)과 제2 판(2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여, 용기 홀더(11, 21)의 크기가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용기 홀더(11, 21)에 용기(2)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 판(10) 및 제2 판(20)이 함께 회전될 때에는, 제1 베벨기어(71)와 제2 베벨기어(72)는 제3 베벨기어(73)를 통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제3 베벨기어(73)는 회전하지 않으며 제1 베벨기어(71)와 제2 베벨기어(72)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80)는, 제1 판(10) 및 제2 판(2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동부(80)는 구동축(81)을 통해 제1 판(10) 및 제2 판(2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전기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80)는 회전력을 제1 판(10) 및 제2 판(20)에 전달하여, 제1 판(10) 및 제2 판(20)이 함께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용기 홀더(11, 21)의 크기를 변화시킬 경우에는 구동부(80)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며, 용기 홀더(11, 21)에 용기(2)가 고정된 상태에서 용기(2)를 움직여야 할 경우에 구동부(80)의 동력이 판(10, 20)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부(80)의 동력은 구동축(81)을 거쳐 후술할 판 고정부(90)를 통해 전달되며, 판 고정부(90)는 제1 판(10)과 제2 판(2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판(10) 및 제2 판(20)을 고정한다. 제1 판(10)과 제2 판(20)이 구동부(80)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것은 판(10, 2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 때문이다.
판 고정부(90)는, 제1 판(10)과 제2 판(20)을 고정한다. 판 고정부(90)는 구동부(80)에 의해 동력이 전달될 때, 제1 판(10)과 제2 판(20)이 함께 회전되도록 하며, 판 고정부(90)는 플랜지(91)와 판 고정볼트(92), 판 고정너트(9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91)는 원판 형태이며, 구동축(81)에 결합되어 구동축(81) 회전 시 함께 회전될 수 있고, 플랜지(91)는 제1 판(10)이나 제2 판(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91)의 테두리에는 판 고정볼트(92)가 관통 설치되며, 판 고정볼트(92)는 제2 판(20) 및 제1 판(1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면서, 제1 판(10)과 제2 판(20)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판 고정볼트(92)는, 제2 판(20)과 제1 판(10)을 관통하고 제1 판(10)의 외부로 일부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된 부분에는 판 고정너트(93)가 결합될 수 있다. 판 고정너트(93)의 결합력에 따라 제1 판(10)과 제2 판(20)의 마찰력이 강화 또는 약화될 수 있으며, 마찰력이 강화되면 제1 판(10)과 제2 판(20)의 동시 회전이 문제없이 구현되되 용기 홀더(11, 21)의 크기 조절이 어려울 수 있고, 마찰력이 약화되면 용기 홀더(11, 21)의 크기 조절은 용이해지나 제1 판(10)과 제2 판(20)의 동시 회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마찰력은 적절한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판 고정볼트(92)가 관통되는 제1 판(10)의 구멍(부호 도시하지 않음) 및 제2 판(20)의 구멍(부호 도시하지 않음)은, 판 고정볼트(92)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판 고정볼트(92)가 관통되는 제1 판(10)의 구멍과 제2 판(20)의 구멍이 판 고정볼트(92)의 단면적과 같게 형성된다면, 제1 판(10)과 제2 판(20)의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판(10) 또는 제2 판(20)에 형성되어 판 고정볼트(92)가 관통되도록 하는 구멍은, 적어도 제1 판(10)과 제2 판(20)의 상대회전 방향에 있어서는 판 고정볼트(92)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용기 홀더(11, 21)의 크기 조절이 충분할 정도로 여유분을 가질 수 있다.
판 지지부(100)는, 받침판(30)을 지지한다. 판 지지부(100)는 받침판(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는 구성이며, 동시에 받침판(30)이 높이 조절부(6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판 지지부(100)는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판 지지부(100) 자체의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받침판(30)의 하강 높이 제한이 변경될 수 있다. 판 지지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받침판(30)의 테두리 부분이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판(30)의 테두리 주변을 받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판(10)의 제1 홀더(11)와 제2 판(20)의 제2 홀더(21)에 의해 용기(2)가 고정되는 용기 홀더(11, 21)가 형성되도록 하고, 제1 판(10)과 제2 판(2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키면서 용기 홀더(11, 21)의 크기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2)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문제없이 용기(2)를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용기 고정 장치 2: 용기
3: 용기 본체 4: 외용기
10: 제1 판 11: 제1 홀더
111: 제1 용기 접촉부 20: 제2 판
21: 제2 홀더 211: 제2 용기 접촉부
11, 21: 용기 홀더 30: 받침판
40: 랙 41: 제1 랙
42: 제2 랙 43: 랙기어
50: 롤러부 60: 높이 조절부
61: 손잡이 62: 볼트부
63: 너트부 70: 베벨기어부
71: 제1 베벨기어 72: 제2 베벨기어
721: 제2 베벨기어 고정부 73: 제3 베벨기어
731: 제3 베벨기어 고정부 80: 구동부
81: 구동축 90: 판 고정부
91: 플랜지 92: 판 고정볼트
93: 판 고정너트 100: 판 지지부

Claims (12)

  1. 용기를 고정하기 위해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홀더를 구비하는 제1 판; 및
    상기 제1 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홀더와 적어도 일부분이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홀더를 구비하는 제2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제2 홀더가 연통된 공간인 용기 홀더에 상기 용기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이 서로 상대회전하여 상기 용기 홀더의 크기를 가변시키며,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용기의 측면을 모두 두르는 폐곡선 형태의 단면을 가져서,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의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한 상기 용기의 측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의 회전 시 공전은 허용되되 자전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고체 또는 액체 물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가 안착되며 상기 용기 홀더에 삽입되는 외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에 고정되며 랙기어의 결합 및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을 회전시키는 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제1 판에 고정되는 제1 랙; 및
    상기 제2 판에 고정되는 제2 랙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랙 및 상기 제2 랙은, 각각 상기 랙기어의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의 회전 시 상기 제1 판과 상기 제2 판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 또는 상기 제2 판의 회전을 보조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제1 판의 일측에 노출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을 관통하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에 맞물린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판 및 상기 제2 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판의 회전을 보조하는 베벨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부는,
    상기 제1 판에 고정되는 제1 베벨기어;
    상기 제2 판에 고정되는 제2 베벨기어; 및
    상기 제1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베벨기어에 맞물리는 제3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베벨기어는,
    상기 제1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베벨기어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베벨기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고정 장치.
KR1020140026769A 2014-03-06 2014-03-06 용기 고정 장치 KR10161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769A KR101615806B1 (ko) 2014-03-06 2014-03-06 용기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769A KR101615806B1 (ko) 2014-03-06 2014-03-06 용기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867A KR20150104867A (ko) 2015-09-16
KR101615806B1 true KR101615806B1 (ko) 2016-04-26

Family

ID=5424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769A KR101615806B1 (ko) 2014-03-06 2014-03-06 용기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8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272Y1 (ko) * 2000-10-05 2001-03-15 삼원기계주식회사 자동 랩 포장기용 턴테이블 구조
JP2003026123A (ja) * 2001-07-11 2003-01-29 Fuji Mach Co Ltd カートン保持搬送装置
JP3798318B2 (ja) * 2000-02-21 2006-07-19 シデル 幾何形状可変の案内経路を有する容器搬送装置
US20100003112A1 (en) * 2008-07-03 2010-01-07 TECNO FLUSS, S.r.l. Rotary device for supporting, clamping and locating multiple-size vessels in particular for bottling machin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8318B2 (ja) * 2000-02-21 2006-07-19 シデル 幾何形状可変の案内経路を有する容器搬送装置
KR200217272Y1 (ko) * 2000-10-05 2001-03-15 삼원기계주식회사 자동 랩 포장기용 턴테이블 구조
JP2003026123A (ja) * 2001-07-11 2003-01-29 Fuji Mach Co Ltd カートン保持搬送装置
US20100003112A1 (en) * 2008-07-03 2010-01-07 TECNO FLUSS, S.r.l. Rotary device for supporting, clamping and locating multiple-size vessels in particular for bottling mach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867A (ko)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9315B2 (ja) コーヒーおよび紅茶の格納器
US9486105B2 (en)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enhanced sealing means
KR101964533B1 (ko) 셀룰러 재료를 포함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1446762B1 (ko) 화장품 용기
TWI381819B (zh) 用於可磨碎食品的磨碎器
EP1913834B1 (fr) Applicateur et ensemble comportant un tel applicateur
EP3331637A1 (fr) Recipient-melangeur et procede d'assemblage d'un recipient-melangeur comprenant un arbre telescopique
JP2006290469A5 (ko)
US8002487B2 (en) Spreadable food dispenser
CN207417440U (zh) 一种可调整大小的蛋糕包装盒
CN110168296A (zh) 便携式冷冻甜食机器
KR102420172B1 (ko)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KR101615806B1 (ko) 용기 고정 장치
CA2885524A1 (en) A screwed cover embodiment having apparatus of foil-cutting and folding to the inner part in the aseptic liquid cardboard packages
EP3634611A1 (en) Metered dispenser catch for asymmetric rotation mixer
KR101859385B1 (ko) 곡물 파종장치
CN207463319U (zh) 一种手摇式研磨器
JP4868400B2 (ja) 切削機能付繰出容器
CN207532322U (zh) 食物加工机
KR101332572B1 (ko) 티백 제조설비의 티백 커팅장치
FR2707264A1 (fr) Dispositif distributeur de substance et système adapté pour le remplissage de celui-ci.
KR102265633B1 (ko) 다종 내용물 공급용 로터리식 자동포장장치
KR20140102040A (ko)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
CN215836916U (zh) 冰淇淋机
US20240041178A1 (en) Universal and Reusable Versatile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