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193B1 - Toy Top Using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 Google Patents

Toy Top Using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193B1
KR101611193B1 KR1020140187358A KR20140187358A KR101611193B1 KR 101611193 B1 KR101611193 B1 KR 101611193B1 KR 1020140187358 A KR1020140187358 A KR 1020140187358A KR 20140187358 A KR20140187358 A KR 20140187358A KR 101611193 B1 KR101611193 B1 KR 101611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dium
toy
rotating
driving moto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3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성운
김대은
이형석
김기홍
김태형
이성찬
채호식
한수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87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1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6Spinning-top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스마트폰을 활용한 팽이완구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이 게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팽이완구(300)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팽이(100)와 팽이경기장(200)을 포함하는 팽이완구(300)로서, 내부에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체(110) 및 회전체(11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1)를 구비하는 팽이(100); 및 박스형상의 경기장 본체(210), 경기장 본체(210) 상부에 탑재되고 팽이(100)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221)을 구비하는 상판(220), 및 상판(22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조절부(230)를 경기장 본체(210) 내부에 장착하는 팽이경기장(20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111)와 기울기조절부(230)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팽이완구에 따르면, 팽이의 회전을 더욱 오래 지속시킬 수 있고, 상판의 회전공간에서 회전하는 팽이의 움직임을 다채롭게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팽이경기를 구현할 수 있고, 팽이의 움직임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시켜, 더욱 흥미로운 팽이 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
A toy that uses a smartphone and a method of operating it are posted. The top toy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toy 300 including a top 100 and a top field 200 controlled by a control command of an application stored in a smart phone, (100) having a rotating body (110) mount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and a driving motor (111) for provid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tating body (110); An upper plate 220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adium body 210 and having a rotation space 221 in which the upper 100 can rotate, And a top stadium 200 for mounting a tilt adjusting unit 230 to the stadium main body 210. The driving motor 111 and the tilt adjusting unit 230 are connected to a control command of an application stored in a smart phon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top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of the top can be maintained for a longer time, the movement of the top rotating in the rotation space of the top plate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various various top games can be realized, And can provide visual interest to provide a more interesting top play.

Description

스마트폰을 활용한 팽이완구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Toy Top Using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Toy Top Using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팽이완구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팽이완구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toy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top to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p toy using a smart pho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top toy.

종래 기술에 따른 팽이는 수동으로 조작할 수 밖에 없고, 팽이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은 초기에 회전을 유발시키는 힘이 전부이다.The top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o be manually operated, and the power source for rotating the top is all the force that causes the initial rotation.

따라서 팽이를 갖고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시간은 매우 짧은 시간으로 한정되어 있다.Therefore, the time to enjoy play with the top is limited to a very short time.

한편, 팽이 경기를 즐길 수 있는 팽이경기장은 마찰력이 적고 표면이 매끈한 면을 제공하는 것만이 팽이경기장 기능의 전부였다.On the other hand, the Top Stadium, where you can enjoy the top game, was the only function of the top stadium that provided a smooth surface with low friction.

따라서, 더욱 재미있는 팽이 경기를 위해서, 오랫동안 갖고 놀 수 있고, 경기장에 특수한 기능이 추가되어 더욱 흥미로운 팽이 놀이를 즐길 수 있다면 종래의 전통적인 놀이기구인 팽이를 보다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재미있는 완구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Therefore, if you are able to play for a long time and enjoy a more interesting top play with special features added to the stadium for a more interesting top game, it is positioned as a fun toy that can induce more interesting traditional top game top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do.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8664호 (2014년 09월 12일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108664 (published on September 12, 2014)

본 발명의 목적은, 오랫동안 회전할 수 있는 팽이를 포함하고,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더욱 흥미로운 팽이 놀이를 즐길 수 있는 팽이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p toy that includes a top which can be rotated for a long time, and which can enjoy a more interesting top play by utilizing a smart phon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팽이완구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팽이와 팽이경기장을 포함하는 팽이완구로서, 내부에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체 및 회전체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팽이; 및 박스형상의 경기장 본체, 경기장 본체 상부에 탑재되고 팽이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을 구비하는 상판, 및 상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조절부를 경기장 본체 내부에 장착하는 팽이경기장;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와 기울기조절부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명령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p toy including a top and a top field controlled by a control command of an application stored in a smart phone, the top toy comprising: And a driving motor for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tating body; And a top stadium for mounting a stadium main body in a box shape, an upper plate mounted on an upper part of the stadium body and a rotating space for rotating the top, and a tilt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a tilt of the upper plate, The driving motor and the tilt adjusting unit can be controlled by a control command of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smartph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평면상 원형이고, 상기 회전체의 평면상 직경은, 팽이의 평면상 직경 대비 50 내지 90 %일 수 있다. 또한, 회전체의 무게는 팽이의 무게 대비 30 내지 90 %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body is circular in plan view, and the plane-shaped diameter of the rotating body may be 50 to 90% of the planar diameter of the top. 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rotating body may be 30 to 90% of the weight of the to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팽이는: 팽이의 하단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회전체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으로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팽이의 하단면에 장착된 회전팁; 및 팽이의 내부에 장착되고,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명령에 의해 회전팁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may include: a rotating tip protruding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top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op so as to be horizontally rotatable about the same axis as the rotational axis of the rotating body; And a drive motor mounted inside the top and provid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tary tip by a control command of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smart phone.

상기 팽이의 외부 측면에는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팽이의 내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스마트폰과 무선통신하고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무선통신모듈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팽이의 내부에는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가 장착될 수 있다.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form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top,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smartphone driven by a user and controlling driving of a driving motor may be installed in the top portion And a light emitting device for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may be mounted inside the top.

또한, 상기 상판은 절단면상 소정 크기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Further, the upper plate may have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on the cut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조절부는: 경기장 본체 내측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판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박스형상의 내부본체; 경기장 본체 내측에 장착되고, 내부본체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모터; 및 상기 내부본체 내측에 장착되고, 상판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lt adjusting unit includes: a box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stadium body so as to be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 inner body of a shape; A first driving motor mounted inside the stadium body and provid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inner body; And a second driving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provid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upper plate.

이 경우, 상기 내부본체의 회전방향과 상판의 회전방향은 평면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inner body and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may be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plan view.

또한, 상기 경기장 본체의 내부에는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가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emits light to the outside can be mounted inside the stadium body.

본 발명은 상기 팽이완구를 운용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팽이완구 운용방법(S100)은, a)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스마트폰과 팽이 그리고 팽이경기장을 무선통신라인으로 연결시키는 팽이완구 연동단계; b) 어플리케이션을 조절하여 팽이 내부에 장착된 회전체를 구동시키는 팽이 구동단계; c) 어플리케이션을 조절하여 팽이경기장의 기울기조절부를 조절하여 팽이 경기를 진행하는 팽이경기장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top toy operating method (SlOO)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s of: a) executing an application stored in a smart phone, thereby causing the top toy and the top, A top toy interlocking step of connecting the playing fiel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line; b) a top driving step of driving the rotating body mounted inside the top by adjusting the application; and c)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adjust the tilt adjustment part of the top play field to thereby perform the top pl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팽이완구 운용방법은: b-1) 어플리케이션을 조절하여 팽이의 하단면에 장착된 회전팁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회전팁구동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toy operat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b-1)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control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tip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Lt; / RTI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팽이완구에 따르면, 팽이 내부에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체가 장착되어 있어, 팽이의 회전을 더욱 오래 지속시킬 수 있어, 오랜 시간 팽이 놀이를 즐길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op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body is mounted inside the top so as to be horizontally rotatable, so that the rotation of the top can be continued for a longer time, and the top top toy can be enjoyed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의 팽이완구에 따르면, 팽이경기장 내부에 다양한 방향으로 상판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울기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상판의 회전공간에서 회전하는 팽이의 움직임을 다채롭게 구현할 수 있어, 더욱 흥미로운 팽이 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op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inclination adjusting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top plate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top playing field, the movement of the top rotating in the rotating space of the top plate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팽이완구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팽이와 팽이경기장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팽이경기를 구현할 수 있어, 더욱 다채로운 팽이 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op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op games can be implemented by providing a top and a top field controlled by a control command of an application stored in a smart phone, and more various top games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팽이완구에 따르면, 팽이의 회전방향을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는 회전팁 및 구동모터가 팽이에 장착되어 있어, 팽이의 움직임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op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ng tip and the driving motor, which can change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top in real time, are mounted on the top, various movements of the top can be realized.

또한, 본 발명의 팽이완구에 따르면, 팽이 내부 또는 경기장 본체 내부에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가 장착되어 있어,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시켜, 더욱 재미있는 팽이 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op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element that emits light to the outside is installed inside the top or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stadium, visual interest is generated, and more interesting top play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팽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팽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팽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팽이를 나타내는 정면 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팽이경기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팽이경기장을 나타내는 S1방향 측면 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팽이경기장을 나타내는 S2방향 측면 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팽이경기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팽이경기장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절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완구를 운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shown in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top shown i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top shown in Fig.
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shown in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on line A-A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field shown in Fig.
8 is a side perspective view in the S1 direction showing the top playing field shown in Fig.
9 is a side perspective view in the S2 direction showing the top playing field shown in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top field shown in Fig.
11 is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top field shown in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op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Prior to the descrip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on " another member, it includes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as well as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member.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완구(300)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팽이(100)와 팽이경기장(200)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top to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top 100 and a top field 200 controlled by a control command of an application stored in a smart phone.

구체적으로, 팽이(100)와 팽이경기장(200)에 대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Specifically, the top 100 and the top playing field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팽이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팽이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팽이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 1에 도시된 팽이를 나타내는 정면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5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top of FIG. 2, and FIG. 4 is a top view of the top of FIG. 1 . Fig. 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of Fig. 1,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100)는, 내부에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체(110) 및 회전체(11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1)를 구비하는 구조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a to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otating body 110 mounted inside so as to be horizontally rotatable, and a driving motor 111 for providing a rotating driving force to the rotating body 110 Structure.

이때, 회전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원형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회전체(110)는 구동모터(111)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될 수 있으며, 팽이(100) 내부에서 플라이 휠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팽이(100)에 각운동량을 제공할 수 있다. 팽이(100)에 지속적으로 각운동량이 제공될 경우, 팽이(100)는 쉽게 넘어지지 않고 오랫동안 서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rotating body 110 is preferably circular on a plane. The rotating body 110 having such a structure can be rotated by receiv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111 and can serve as a flywheel in the top 100, thereby providing angular momentum to the top 100 . When the top 100 is continuously provided with an angular momentum, the top 100 can stand for a long time without falling easily.

팽이(100)에 지속적으로 각운동량을 제공하기 위해서, 회전체(110)는 팽이(100)의 전체 크기 대비 소정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회전체(110)의 평면상 직경(Df)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100)의 평면상 직경(D) 대비 50 내지 90% 일 수 있다. 또한, 회전체(110)는 팽이(100)의 전체 무게 대비 소정 크기의 무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회전체(110)의 무게는, 팽이(100)의 무게 대비 30 내지 90 % 일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a constant angular momentum to the top 100, the rotator 110 should be formed with a diameter of a predetermined size relative to the overall size of the top 100. Preferably, the planar diameter Df of the rotating body 110 may be 50 to 90% of the planar diameter D of the top 10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rotating body 110 must have a predetermined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top 100. Preferably, the weight of the rotating body 110 may be 30 to 90% of the weight of the top 100.

경우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100)는 하단면에 회전팁(120)을 장착하는 구조일 수 있다.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5, the to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rotation tip 120 on the bottom surface.

구체적으로, 회전팁(120)은 팽이(100)의 하단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회전체(110)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으로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팽이(100)의 하단면에 장착된 구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tation tip 120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top 10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mount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top 100 so as to be horizontally rotatable with the same rotation axis as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ng body 110 Lt; / RTI >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명령에 의해 회전팁(12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21)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to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inside the top 100 as shown in Fig. 5, and provid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tating tip 120 by a control command of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smart phone And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tor 121. Fig.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100)는, 회전팁(120)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팽이(100)의 회전 방향은 회전팁(120)의 회전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팽이(100)의 회전 방향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The to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tip 120. [ At this tim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op 100 is determined by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tip 120.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op 100 can be adjus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경우에 따라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던 회전팁(120)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팽이(100)의 회전방향을 정반대로 변경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팽이(100)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In some cases, when the direction of the rotating tip 120 rotated in one direction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top 100 can be reversed. As a resul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op 10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100)의 내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스마트폰과 무선통신하고 구동모터(111)의 구동을 제어하는 무선통신모듈(140)이 장착될 수 있다.5,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0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 smartphone driven by a user and controls driving of a driving motor 111 is provided in the to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mounted.

이때, 팽이(10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140)은 스마트폰과 무선통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 또는 와이파이 모듈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0 that can be installed inside the top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but it may be, for example, a Bluetooth module or a Wi-Fi module.

경우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100)의 외부 측면에는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protrusions 13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top 100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돌기부(130)는 또 다른 팽이와의 팽이 경기에 있어서, 팽이들끼리 서로 부딪히는 모습에 더욱 박진감 넘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13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otrusion 130 can realize a motion that is more exciting to the appearance that the tops collide with each other in the top ball game with another top ball. Needless to say, the protrusion 13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이(100)의 내부에는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150)가 장착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5, a light emitting device 150 that emits light to the outside can be mounted inside the top 100.

발광소자(150)는 팽이(100)의 회전에 의해 동그란 발광사인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는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시켜, 더욱 흥미로운 팽이 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element 150 can form a circular light emission sign by the rotation of the top 100, which can cause visual interest and provide a more interesting top play.

도 7에는 도 1에 도시된 팽이경기장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팽이경기장을 나타내는 S1방향 측면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도 7에 도시된 팽이경기장을 나타내는 S2방향 측면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도 7에 도시된 팽이경기장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도 7에 도시된 팽이경기장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playing field shown in Fig. 1, Fig. 8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playing field shown in Fig. 7, and Fig. 9 is a top view showing the top playing field shown in Fig. A side perspective view in the S2 direction is shown.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top playing field shown in Fig. 7, and Fig. 11 is a top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top playing field shown in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경기장(200)은, 박스형상의 경기장 본체(210), 경기장 본체(210) 상부에 탑재되고 팽이(100)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221)을 구비하는 상판(220), 및 상판(22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조절부(230)를 경기장 본체(210) 내부에 장착하는 구조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the top stadiu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x-shaped stadium main body 210, a rotating space 221 mounted on the stadium main body 210 and capable of rotating the top 100, And an inclination adjusting unit 230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plate 22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tadium main body 210. [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20)은 절단면상 소정 크기의 곡률반경(R)을 가지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팽이(100)가 팽이 경기 도중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상판(220)의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판(220)의 형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8 and 9, the upper plate 220 may have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R on the cut surface. This shape is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top 100 from falling to the outside during the top game. The shape of the top plate 220 shown in Figs. 8 and 9 is one exampl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hape of the upper plate 220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한편, 기울기조절부(230)는, 회전가이드(233), 제 1 구동모터(231) 및 제 2 구동모터(23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tilt adjusting unit 230 may include a rotation guide 233, a first driving motor 231, and a second driving motor 232.

구체적으로, 회전가이드(233)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기장 본체(210) 내측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일측부에 상판(220)을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구조일 수 있다.8 and 9, the rotation guide 233 is mounted inside the stadium body 210 so as to be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upper plate 220 is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또한, 제 1 구동모터(231)는 경기장 본체(210) 내측에 장착되고, 회전가이드(233)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제 2 구동모터(232)는 회전가이드(233) 내측에 장착되고, 상판(22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motor 231 is installed inside the stadium main body 210 and can provide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tation guide 233 while the second driving motor 232 is mounted inside the rotation guide 233. [ And can provide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upper plate 220. [

이때, 회전가이드(233)의 회전방향과 상판(220)의 회전방향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guide 233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220 may be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plan view, as shown in FIGS.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경기장(200)은, 팽이(100)가 회전하는 회전공간을 구비하는 상판(220)을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어, 상판의 회전공간에서 회전하는 팽이의 움직임을 다채롭게 구현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더욱 흥미로운 팽이 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op stadiu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this structure can tilt the top plate 220 having the rotating space in which the top 100 rotates, in various directions, The movement of the top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and as a result, more interesting top play can be provided.

경우에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기장 본체(210)의 내부에는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211)가 장착될 수 있다.In some cases,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inside of the stadium body 210 may be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device 211 that emits light to the outside.

이 경우,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시켜, 더욱 흥미로운 팽이 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visual interest can be generated to provide a more interesting top play.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이완구를 운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op t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완구 운용방법(S100)은, 팽이완구 연동단계(S110), 팽이 구동단계(S120) 및 팽이경기장 제어단계(S1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top toy operating method (S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top toy interlocking step (S110), a top driving step (S120), and a top field controlling step (S130).

구체적으로, 팽이완구 연동단계(S110)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스마트폰과 팽이(100) 그리고 팽이경기장(200)을 무선통신라인으로 연결시키는 단계이다.Specifically, the top toy interlocking step S110 is a step of executing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smartphone, and connecting the smartphone with the top 100 and the topennis stadium 200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line.

팽이 구동단계(S120)는 어플리케이션을 조절하여 팽이(100) 내부에 장착된 회전체(110)를 구동시키는 단계이다.The top driving step S120 is a step of driving the rotating body 110 mounted inside the top 100 by adjusting the application.

경우에 따라서, 팽이 구동단계(S120) 이후, 어플리케이션을 조절하여 팽이(100)의 하단면에 장착된 회전팁(12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회전팁구동 제어단계(S125)를 더 실시할 수 있다.Optionally, after the top drive step S120, the application may be adjusted to further control the rotation tip driving control step S125 to control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tip 120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100 have.

팽이경기장 제어단계(S130)는 어플리케이션을 조절하여 팽이경기장(200)의 기울기조절부(230)를 조절하여 팽이 경기를 진행하는 단계이다.In the top field control step S130, the application is adjusted to adjust the tilt adjustment unit 230 of the top field 200 to advance the top game.

본 실시예에 따른 팽이완구 운용방법(S100)에 따르면, 팽이의 회전을 더욱 오래 지속시킬 수 있고, 상판의 회전공간에서 회전하는 팽이의 움직임을 다채롭게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팽이경기를 구현할 수 있고, 팽이의 움직임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시각적인 흥미를 유발시켜, 더욱 흥미로운 팽이 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op toy operating method (S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of the top can be continued for a longer time, the movement of the top rotating in the rotating space of the top plate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movement of the top in various way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interesting top play by causing visual interest.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and descrip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팽이
110: 회전체
111: 구동모터
120: 회전팁
121: 구동모터
130: 돌기부
140: 무선통신모듈
150: 발광소자
200: 팽이경기장
210: 경기장 본체
211: 발광소자
220: 상판
230: 기울기조절부
231: 제 1 구동모터
232: 제 2 구동모터
233: 내부본체
234: 수납공간
235: 구동벨트
236: 구동벨트
221: 회전공간
300: 팽이완구
S100: 팽이완구 운용방법
S110: 팽이완구 연동단계;
S120: 팽이 구동단계
S125: 회전팁구동 제어단계
S130: 팽이경기장 제어단계
100: Top
110: rotating body
111: drive motor
120: Rotating tip
121: drive motor
130: protrusion
14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0: Light emitting element
200: Top Stadium
210: stadium body
211: Light emitting element
220: top plate
230: tilt adjustment unit
231: first drive motor
232: second drive motor
233: inner body
234: Storage space
235: drive belt
236: drive belt
221: Rotating space
300: Top toy
S100: How to operate top toy
S110: top toy interlocking step;
S120: top driving stage
S125: rotation tip driving control step
S130: Top Stadium control step

Claims (13)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팽이(100)와 팽이경기장(200)을 포함하는 팽이완구(300)로서,
내부에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체(110) 및 회전체(11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1)를 구비하는 팽이(100); 및
박스형상의 경기장 본체(210), 경기장 본체(210) 상부에 탑재되고 팽이(100)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221)을 구비하는 상판(220), 및 상판(22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조절부(230)를 경기장 본체(210) 내부에 장착하는 팽이경기장(200);을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조절부(230)는:
경기장 본체(210) 내측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234)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공간(234)에는 상판(220)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박스형상의 내부본체(233);
경기장 본체(210) 내측에 장착되고, 내부본체(233)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모터(231); 및
상기 내부본체(233) 내측에 장착되고, 상판(22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모터(232);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111)와 기울기조절부(230)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완구.
A top toy (300) comprising a top (100) controlled by a control command of an application stored in a smart phone and a top playing field (200)
(100) having a rotating body (110) mounted to be rotat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driving motor (111) for providing a rotating driving force to the rotating body (110); And
A box-shaped stadium body 210, an upper plate 220 mounted on the stadium body 210 and having a rotation space 221 in which the top 100 can rotate, And a top stadium (200) for mounting the tilt adjusting part (230) inside the stadium main body (210)
The tilt adjusting unit 230 includes:
The box-like shape of the top plate 220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tadium body 210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has a storage space 234 therein. An inner body 233;
A first driving motor 231 mounted inside the stadium body 210 and provid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inner body 233; And
And a second driving motor 232 mounted inside the inner body 233 and provid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upper plate 220,
Wherein the driving motor (111) and the tilt adjusting unit (230) are controlled by a control command of an application stored in a smartph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10)는 평면상 원형이고,
상기 회전체(110)의 평면상 직경(Df)은, 팽이(100)의 평면상 직경(D) 대비 50 내지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body 110 is circular in plan view,
Wherein the planar diameter Df of the rotating body 110 is 50 to 90% of the plane diameter D of the top 10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10)의 무게는 팽이(100)의 무게 대비 30 내지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of the rotating body (110) is 30 to 90% of the weight of the top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100)는:
팽이(100)의 하단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회전체(110)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으로 수평회전 가능하도록 팽이(100)의 하단면에 장착된 회전팁(120); 및
팽이(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명령에 의해 회전팁(120)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p 100 comprises:
A rotation tip 120 protruding from a lower end surface of the top 10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mounted on a lower end surface of the top 100 so as to be horizontally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of the rotating body 110; And
A driving motor 121 mounted inside the top 100 and provid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rotating tip 120 by a control command of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smartphone;
And the top to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100)의 외부 측면에는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부(1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otrusion (130)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top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100)의 내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구동되는 스마트폰과 무선통신하고 구동모터(111)의 구동을 제어하는 무선통신모듈(14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40)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smartphone driven by a user and controlling driving of a driving motor (111) is mounted in the top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100)의 내부에는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15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ght emitting device (150) for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is mounted inside the top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20)은 절단면상 소정 크기의 곡률반경(R)을 가지는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p plate (220) is an arc shap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R) of a predetermined size on a cut surfa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본체(233)의 회전방향과 상판(220)의 회전방향은 평면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otation direction of the inner body (233) and a rotation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220) are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a pla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장 본체(210)의 내부에는 외부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21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완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ght emitting device (211) for emitting light to the outside is mounted inside the stadium body (2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및 제 10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팽이완구(300)를 운용하는 방법(S100)으로서,
a) 스마트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스마트폰과 팽이(100) 그리고 팽이경기장(200)을 무선통신라인으로 연결시키는 팽이완구 연동단계(S110);
b) 어플리케이션을 조절하여 팽이(100) 내부에 장착된 회전체(110)를 구동시키는 팽이 구동단계(S120);
c) 어플리케이션을 조절하여 팽이경기장(200)의 기울기조절부(230)를 조절하여 팽이 경기를 진행하는 팽이경기장 제어단계(S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완구 운용방법.
A method (S100) for operating a top toy (3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nd 10 to 11,
a) a top toy interlocking step S110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stored in a smart phone and connecting the smartphone with the top 100 and the topennis stadium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line;
b) a top driving step (S120) for driving the rotating body (110) mounted inside the top (100) by adjusting the application;
c)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control the tilt adjustment unit 230 of the top play field 200 to advance the top game;
Wherein said top toy operat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완구 운용방법(S100)은:
b-1) 어플리케이션을 조절하여 팽이(100)의 하단면에 장착된 회전팁(12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회전팁구동 제어단계(S12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완구 운용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top toy operating method (SlOO) comprises:
b-1)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tip 120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100 by controlling the application, S125;
Wherein the top toy operating method further comprises:
KR1020140187358A 2014-12-23 2014-12-23 Toy Top Using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KR1016111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58A KR101611193B1 (en) 2014-12-23 2014-12-23 Toy Top Using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58A KR101611193B1 (en) 2014-12-23 2014-12-23 Toy Top Using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193B1 true KR101611193B1 (en) 2016-04-11

Family

ID=5580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358A KR101611193B1 (en) 2014-12-23 2014-12-23 Toy Top Using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193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821B1 (en) 2018-07-06 2019-06-19 (주)넥서스일렉트로닉스 Smart top for remotely adjustable direction
KR102206024B1 (en) 2019-09-30 2021-01-22 (주)넥서스일렉트로닉스 Smart top with dual spin structure
KR20210146031A (en)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지오소프트 Smart top with three wheels
KR20220072945A (en) 2020-11-25 2022-06-03 주식회사 지오소프트 Levitation type smart top
KR20230051331A (en) 2021-10-08 2023-04-18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top system and method providing game service using smart top
KR20230057845A (en) 2021-10-22 2023-05-02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to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775Y1 (en) * 2006-09-08 2007-02-16 서문춘 Toy spinning wheel
JP2012000322A (en) * 2010-06-18 2012-01-05 Tomy Co Ltd Top toy play stand
US20130324004A1 (en) * 2012-05-30 2013-12-05 Robert Schwartz Remote-controlled toy with bumper 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775Y1 (en) * 2006-09-08 2007-02-16 서문춘 Toy spinning wheel
JP2012000322A (en) * 2010-06-18 2012-01-05 Tomy Co Ltd Top toy play stand
US20130324004A1 (en) * 2012-05-30 2013-12-05 Robert Schwartz Remote-controlled toy with bumper senso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821B1 (en) 2018-07-06 2019-06-19 (주)넥서스일렉트로닉스 Smart top for remotely adjustable direction
KR102206024B1 (en) 2019-09-30 2021-01-22 (주)넥서스일렉트로닉스 Smart top with dual spin structure
WO2021066217A1 (en) * 2019-09-30 2021-04-08 (주)넥서스일렉트로닉스 Smart top having dual rotatory structure
KR20210146031A (en) 2020-05-26 2021-12-03 주식회사 지오소프트 Smart top with three wheels
KR20220072945A (en) 2020-11-25 2022-06-03 주식회사 지오소프트 Levitation type smart top
KR20230051331A (en) 2021-10-08 2023-04-18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top system and method providing game service using smart top
KR20230057845A (en) 2021-10-22 2023-05-02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to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193B1 (en) Toy Top Using Smartphone, and Operating Method
CN205019711U (en) Spinning top toy
TW201315524A (en) Autonomous bobble head toy
CN103218104A (en) Electronic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bration direction of electronic terminal
JP2008073497A (en) Play apparatus
MX2015013671A (en) Toy gyroscope with gyroscope ring capable of being mounted on both sides.
US20080293325A1 (en) Rotating doll eyeball
JP2012000322A (en) Top toy play stand
JP4478976B2 (en) Game machine movable device
JP6000171B2 (en) Traveling toy
JP5054154B2 (en) Operation pieces, soccer play equipment, slalom play equipment, fighting sesame play equipment, and jump play equipment using operation pieces
JP6632085B2 (en) Top toy
JP4478975B2 (en) Game machine movable device
KR20180047071A (en) Top capable of control polarity direction remotely
KR102206024B1 (en) Smart top with dual spin structure
US8833189B2 (en) Gyroscope device
KR101332691B1 (en) Toy for football
US20100015884A1 (en) Eyes for electronic pet
CN109200592A (en) For promoting mobile toy for children
KR20180113322A (en) Aerospace toy
US10507397B2 (en) Vibrating toy
KR102019451B1 (en) Jumping top toy by cam-drive spring hit
JP6481002B1 (en) Mobile toy, mobile toy operation unit, and mobile toy set
JP6337321B2 (en) Game machine
JP3187592U (en) Magnetic floating to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