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140B1 -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140B1
KR101609140B1 KR1020090084178A KR20090084178A KR101609140B1 KR 101609140 B1 KR101609140 B1 KR 101609140B1 KR 1020090084178 A KR1020090084178 A KR 1020090084178A KR 20090084178 A KR20090084178 A KR 20090084178A KR 101609140 B1 KR101609140 B1 KR 101609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site
network
area
automatically
predetermined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330A (ko
Inventor
송유미
여병상
조성윤
윤이랑
조혜연
이동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140B1/ko
Priority to EP10174600.6A priority patent/EP2293604B1/en
Priority to CN201010275761.XA priority patent/CN102014149B/zh
Priority to US12/876,989 priority patent/US8832586B2/en
Publication of KR20110026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01L33/24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non-planar j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rein the security policies are location-dependent, e.g. entities privileges depend on current location or allowing specific operations only from locally connect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할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정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한 경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과정 없이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엑세스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네트워크, 인터넷 사이트, 자동 로그인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Operating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display)나 키패드(keypad)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 제약이 존재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구조의 메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방식 대신 새로운 입출력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되어 있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는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set)하는 단계;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 진입 여부를 판별(determine) 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auto-login)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메뉴를 포함하거나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툴바 또는 위젯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툴바 또는 위젯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는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set)하고,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 진입 여부를 판별(determine)하고,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auto-login)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메뉴를 포함하거나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툴바 또는 위젯을 표시하고,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여부에 대응하도록 상 기 툴바 또는 위젯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으로 로그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정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하고, 휴대 단말기가 설정한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절차를 생략하고 해당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구축된 개인 계정에 엑세스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A/V 입력부(120) 혹은 센싱부(14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 합쳐질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 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141)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14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142)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관성센서,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자이로스코프에는 기계식 자이로스코프, 고리형 레이저 자이로스코프, 광섬유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다. 자이로센서(142)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진동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parent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 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진동 모듈(157)은 제어부(180)가 전송하는 진동신호에 의하여 다양한 세기와 패턴의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진동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 패턴, 주파수, 이동방향, 이동속도 등은 진동신호에 의하여 설정가능하며,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의 진동 모듈(157)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 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 제3 사용자 입력부(130),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 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통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는 경우, 제1 바디 등에 설치된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한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근접센서에 검출물체가 접근하여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이와 같이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하여,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검출물체가 어느 정도 근접하였는지 알 수 있다.
또한, 검출영역이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배치하여 이들 근접센서 중에서 어느 근접센서로부터 근접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파악하여,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으로 접근하는지 여부와, 검출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여 이동하는지 여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키를 선택하여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기울거나 흔들면 자이로센서(142)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자이로센서(142)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자이로센서(142)에서 발생한 신 호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 각도, 속도, 세기, 현재 위치 등 움직임에 관련된 정보를 검출한다.
제어부(180)는 자이로센서(142)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검출한 정보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트랙킹한다. 자이로센서(142)를 구성하는 부품에 따라 자이로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 정보를 다를 수 있다. 휴대 단말기에는 검출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자이로센서(142)가 구비된다. 자이로센서(142)는 휴대 단말기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검출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응하여 자이로센서(142)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시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d), 및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A-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거울(125)과 플래쉬(12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거울(125)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플래쉬(126)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리어 케이스(100A-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A-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A-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할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가 설정한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하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는 소정 망에 구축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일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회사로 진입하면 사내 네트워크에 자동 로그인하도록 자동 로그인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소정 시간에 진입하면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Social Network Site) 중 하나인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도록 자동 로그인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본인의 계정을 개설하고, 본인과 관련된 컨텐츠를 본인의 계정을 이용하여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렇게 본인에 의하여 구축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컨텐츠를 엑세스하거나 사용자정보 등을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소정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원하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엑세스할 수 있도록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을 적어도 2개 이상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별로 자동 로그인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할 때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한다(S10).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맵을 이용하여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할 수 있는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시계를 이용하여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할 수 있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과정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로그인한 히스토리를 참조하여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가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하도록 설정된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5). 일예로,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GPS 등을 이용하여 현재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는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하도록 설정된 지역에 위치 하면 해당 지역에서 자동 로그인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현재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하도록 설정된 시간에 진입하면 해당 시간에서 자동 로그인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한다.
만일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하도록 설정된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S20), 제어부(180)는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에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5).
만일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현재 진입한 지역 또는 시간에 자동 로그인하도록 설정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한다(S30).
만일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현재 진입한 지역 또는 시간에 부여된 우선순위를 확인한다. 휴대 단말기가 현재 진입한 지역 또는 시간에 부여된 우선순위가 높은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진입한 지역 또는 시간에 자동 로그인하도록 설정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한다. 만일 현재 진입한 지역 또는 시간에 설정되어 있는 자동 로그인 정보가 기존 자동 로그인 정보와 충돌하고, 현재 진입한 지역 또는 시간에 설정되어 있는 자동 로그인 정보의 우선순위가 기존 자동 로그인 정보의 우선순위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180)는 기존 자동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는 자동 로그인 상태를 유지한다(S35).
사용자는 자동 로그인 정보를 설정하면서 자동 로그아웃 정보도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롤 자동 로그인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동 로그아웃 시간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동 로그아웃 시간에 진입하면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자동 로그아웃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 지역에서 소정 거리 이상 벗어나면 자동 로그아웃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휴대 단말기의 위치가 자동 로그인 지역과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자동 로그인하였던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자동 로그아웃한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로그인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자동 로그인할 수 있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아이콘의 색상 등을 해당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여부에 대응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거나 로그아웃하면 관련정보를 아이콘이나 팝업창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자동 로그인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상태가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에서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 하는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가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에 맵 또는 시계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맵 또는 시계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식된 메뉴 중 자동 로그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선택한다(S40). 사용자는 각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별로 자동 로그인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자동 로그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자동 로그인 지역을 설정할 것인지 혹은 자동 로그인 시간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5). 즉, 사용자는 자동 로그인 정보 설정 메뉴 중 서브 메뉴를 통하여 자동 로그인 지역을 설정할 것인지 혹은 자동 로그인 시간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자동 로그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맵 또는 시계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50). 일예로 사용자가 자동 로그인 지역 설정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맵을 표시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자동 로그인 시간 설정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계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 맵 또는 시계를 통해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을 선택하고 저장할 수 있다(S55). 일예로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맵 중 소정 지역을 터치하여 해당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가 자동 로그인될 수 있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이 sruddn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시계의 시침 및 분침이 조정하여 해당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가 자동 로그인될 수 있는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자동 로그인 정보가 설정된 경우,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60). 만일 판별결과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휴대 단말기는 자동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도록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로그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아이콘 등을 통하여 현재 휴대 단말기가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자동 로그인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한다(S70).
제어부(180)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면, 디스플레이부(180)에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자동 로그인할 수 있는 네트 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표시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S75).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휴대 단말기가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였는지 여부 또는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관한 메뉴 등을 포함하는 위젯 또는 툴바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정보 업데이트 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는 메뉴 또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정보 업데이트 메뉴 또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로 사용자정보 업데이트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하고(S80), 자동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85). 사용자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정보이거나, 디폴트로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자동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저장되어 있는 본인의 위치 등에 관한 정보를 편집하여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만일 휴대 단말기가 소정 지역에 진입하면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고 사용자정보가 업데이트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업데이트 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하지 않아도 휴대 단말기가 소정 지역으로 진입하면 휴대 단말기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 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고, 사용자 위치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컨텐츠를 업로드하라는 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는 메뉴 또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업로드 메뉴 또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로 컨텐츠 업로드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하고(S90), 자동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 컨텐츠를 업로드한다(S95). 컨텐츠는 휴대 단말기가 저장되어 있는 사진, 동영상 등의 컨텐츠이거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등을 통하여 생성된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는 컨텐츠 업로드 명령을 입력한 후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촬영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컨텐츠 업르도 명령이 입력된 후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사진,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해당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한 상태에서 카메라 등을 통해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가 생성되면 컨텐츠 업로드 명령 메뉴 또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거나, 컨텐츠 업로드 명령이 휴대 단말기로 입력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는 컨텐츠 업로드 명령 메뉴 또는 아이콘이 선택되거나, 컨텐츠가 생성되면, 생성된 컨텐츠를 해당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 업로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맵을 통하여 자동 로그인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자동 로그인 정보 설정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1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201 화면은 자동 로그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203 목록창을 포함할 수 있다. 203 목록창은 자동 로그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항목으로 이루어진다. 각 항목에는 해당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204)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Social Site 2의 자동 로그인 정보를 설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203 목록창 중 205 항목 선택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한다. 205 항목 선택명령은 205 항목이 터치되거나 205 항목에 대응하는 소프트 키가 조작되면 휴대 단말기로 입력된다.
제어부(180)는 205 항목 선택명령이 휴대 단말기로 입력되면, Social Site 2의 자동 로그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207 설정창을 도 7 (b)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207 설정창을 통하여 자동 로그인 지역을 설정할 것인지 혹은, 자동 로그인 시간을 설정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207 설정창 중 209 항목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7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3 설정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213 설정창을 통하여 사용자는 자동 로그인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207 설정창 중 211 항목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자동 로그인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207 설정창 중 209 항목을 터치하여 209 항목 선택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다.
도 7 (c)의 213 설정창은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맵에 표시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214 아이콘, 소정 위치를 맵에서 탐색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215 검색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맵에 현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217 아이콘 및 자동 로그인 지역 선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218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218 아이콘을 터치 등을 통하여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7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8 아이콘을 219 아이콘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사용자는 218 아이콘이 219 아이콘으로 변경되면 맵에서 자동 로그인 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맵에서 220 지역을 터치 등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로 휴대 단말기가 220 지역에 진입하면 Socoal Site 2에 자동 로그인하라는 정보를 설정하였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가 220 지역에 진입하면 Social Site 2에 자동 로그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로 자동 로그인할 지역을 선택한 후 각 지역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9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에서 220 지역이 터치되면, 제어부(180)는 221 아이콘을 표시한다. 221 아 이콘은 선택한 지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221 아이콘을 터치 등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221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222 지역명 변경창을 표시한다. 222 지역명 변경창은 224 키패드와, 224 키패드를 통하여 편집되는 텍스트가 표시되는 223 텍스트 편집창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도 8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를 이용하여 223 텍스트 편집창에 220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명을 입력한 후 225 아이콘을 선택하여 저장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지역명이 편집된 후 저장명령이 입력되면, 도 8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된 지역명령을 226 아이콘을 통하여 표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220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명을 편집한 후, 도 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7 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227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명을 228 아이콘을 통하여 표시한다.
사용자가 228 아이콘을 터치 등을 통하여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2 지역명 변경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222 지역명 변경창을 통하여 223 텍스트 편집창에 표시된 바와 같이 227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명을 변경한다. 사용자는 225 아이콘을 선택하여 저장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한다.
휴대 단말기는 227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명이 편집된 후 저장명령이 입력되면, 도 9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27 지역에 대응하는 지역명을 229 아이콘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변경하여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맵에서 자동 로그인 지역을 적어도 2개 이상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지역의 지역명을 편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9 (c)에 도시된 219 아이콘을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는 자동 로그인 지역 설정 완료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한다. 제어부(180)는 219 아이콘을 도 9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8 아이콘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동 로그인 지역 설정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도 10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1 항목을 터치 등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211 항목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1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30 설정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230 설정창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자동 로그인 시간에 대응하는 231 항목과 새로운 자동 로그인 시간 설정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232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232 아이콘을 터치 등을 통하여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10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33 설정창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자동 로그인 지역별로 자동 로그인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233 설정창은 Social Site 2에 설정되어 있는 자동 로그인 지역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234 창, 자동 로그인 날짜에 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235 창, 자동 로그인 시간을 설정 할 수 있는 236 창, 자동 로그아웃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237 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234 창을 통하여 Social Site 2의 자동 로그인 지역 중 Home의 자동 로그인 시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235 창을 통하여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Home에서 자동 로그인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한다. 또한, 236 창을 통하여 로그인 시간을 오전 9시로 설정하고, 237 창을 통하여 로그아웃 시간을 오후 5시로 설정한다. 사용자가 238 아이콘을 터치 등을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는 자동 로그인 시간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별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도 10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30 설정창에 새로 설정된 자동 로그인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239 항목을 표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도 1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3 목록창에 241 옵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241 옵션 아이콘을 터치 등을 통해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203 목록창에 관련된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241 옵션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1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3 목록창에 포함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히스토리 표시명령에 대응하는 242 아이콘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242 아이콘을 터치 등을 통해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43 로그인 히스토리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243 로그인 히스토리창은 203 목록창에 포함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 그인 히스토리 항목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로그인 히스토리 항목 중 자동 로그인을 설정하기를 원하는 항목에 포함된 select 아이콘을 선택하여 해당 항목의 로그인 히스토리를 자동 로그인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로그인 히스토리 항목 중 텍스트가 표시된 영역을 선택하면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자동 로그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11 (b)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244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244 아이콘이 포함된 항목의 히스토리 정보에 따라 해당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자동 로그인 정보를 설정한다. 244 아이콘은 Social Site 1의 로그인 항목에 포함된 아이콘이다. Social Site 1은 오후 10시부터 11시까지 H ome에서 로그인되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가 Home에 오후 10시부터 11시까지 위치하면, Social Site 1에 자동 로그인한다.
제어부(180)는 244 아이콘이 포함된 항목의 히스토리 정보를 Social Site 1의 자동 로그인 정보로 설정하고, 도 11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247 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247 창에 246 애니메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246 애니메이션은 디폴트로 재생되도록 설정되어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또한 246 애니메이션은 설정된 자동 로그인 정보를 텍스트로 재생하는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도 11 (b)의 245 영역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245 영역에 대응하는 Social Site 2의 자동 로그인 시간 설정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도 11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로그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207 설정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가 대기모드에 있을 때, 제어부(180)는 대기화면에 위젯과 툴바 및 자동 로그인 여부에 표시상태가 변경되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대기모드에 있을 때, 제어부(180)는 대기화면에 W1 위젯, W2 위젯, W3 위젯, 250 툴바를 표시할 수 있다. 250 툴바는 250, 251, 252, 253 아이콘을 포함한다. 250 아이콘은 소정 전화번호 전화걸기 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이다. 251 아이콘은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이다. 252 및 253 아이콘은 대응하는 인터넷 사이트 연결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는 단축 아이콘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도 1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면,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표시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설정한 자동 로그인 정보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이메일 네트워크에 자동 로그인하면 제어부(180)는, 도 1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51 아이콘의 표시상태를 변경한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자동 로그인 정보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소정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면 제어부(180)는, 도 1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52 아이콘의 표시상태를 변경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251 아이콘 및 252 아이콘에 대 응하는 네트워크 및 인터넷 사이트에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 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1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255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255 아이콘을 통하여 251 아이콘 및 252 아이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및 인터넷 사이트에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 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자동 로그인 여부에 관한 정보를 아이콘이나 팝업창을 통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는 자동 로그인 여부에 관한 정보를 팝업창을 통하여 표시한다.
일예로, 휴대 단말기가 Social Site 2에 자동 로그인하면, 제어부(180)는 260 자동 로그인 정보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260 자동 로그인 정보창은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관한 정보를 텍스트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Social Site 2에 자동 로그인한 정보를 262 텍스트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자동 로그인에 관한 정보를 261 애니메이션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261 애니메이션은 자동 로그인 또는 자동 로그아웃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설정된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또한 261 애니메이션은 현재 자동 로그인 또는 자동 로그아웃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자동 로그인 지역을 벗어나거나 자동 로그인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80)는 자동 로그인하였던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로그아웃한다. 제어부(180)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로그아웃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에 관련된 정보를, 도 1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63 텍스트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Social Site 2가 자동 로그아웃되고, Social Site 1에 자동 로그인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263 텍스트를 통하여 표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300 툴바를 표시한다. 300 툴바는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300 툴바는 Social Site 1에 대응하는 301 아이콘, Social Site 2에 대응하는 302 아이콘, Network 1에 대응하는 303 아이콘,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정보 업데이트 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는 304 아이콘,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는 305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1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홈페이지 화면 표시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는 301~303 아이콘을 300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301~303 아이콘의 색상이나 크기 등의 표시상태를 대응하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자동 로그인 여부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설정한 자동 로그인 정보에 따라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만 300 툴바에 표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304 아이콘 및 305 아이콘의 색상이나 크기 등의 표시상태를 대응하는 기능의 수행 가부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301~303 아이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정보 업데이트 명령이 수행될 수 있는 경우에만 304 아이콘을 300 툴바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301~303 아이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명령이 수행될 수 있는 경우에만 305 아이콘을 300 툴바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304 아이콘을 터치 등을 통하여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1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310 사용자정보 업데이트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310 사용자정보 업데이트 화면은 업데이트 전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정보를 나타내는 311 창, 마지막으로 사용자 정보가 업데이트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312 아이콘,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315 키패드,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 옆에 표시된 313 박스, 선택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전부 사용자정보 업데이트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314 아이콘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315 키패드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사용자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사용자정보를, 도 1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21 창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사용자정보 편집을 완료한 후, 303 아이콘을 터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사용자정보 편집을 완료한 후, 303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303 아이콘에 대응하는 Network 1의 사용자정보 업데이트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도 14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322 사용자정보 업데이트 완료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322 사용자정보 업데이트 완료창은 업데이트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324 텍스트와, 업데이트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관한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사용자정보 등을 나타내는 323 애니메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도 1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0 툴바 중 305 아이콘을 터치 등을 통하여 선택하여 300 툴바에 표시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또는 휴대 단말기가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가 305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1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로드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330 업로드 목록창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을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 업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는 311 항목을 터치 등을 통하여 선택하여 휴대 단말기로 저장된 사진 업로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동영상을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 업로드하거나, 카메라 를 이용하여 새롭게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 업로드할 수 있다.
사용자가 311 항목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15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을 포함하는 333 갤러리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333 갤러리 화면 중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 업로드할 사진을 선택할 수 있다. 333 갤러리 화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을 334 썸네일 및 335 파일명을 통하여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336 영역에 대응하는 사진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을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업로드한다. 제어부(180)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사진을 업로드하면서, 도 15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337 컨텐츠 업로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337 컨텐츠 업로드 화면은 현재 컨텐츠가 업로드되고 있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338 아이콘과, 현재 업로드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339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메뉴로 이루어진 341, 342 툴바를, 도 1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341 툴바는 Social Site 1 로그인 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Social Site 1 관련 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는 아이콘 등을 포함한다. 342 툴바는 Social Site 2 로그인 상태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Social Site 2 관련 명령을 휴대 단말기로 입력할 수 있는 아이콘 등을 포함한다. 도 16 (a)에서, Social Site 1은 로그인 되어있으며, Social Site 2는 로그아웃 되어있는 상태이다.
사용자는 도 1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41 툴바 중 343 아이콘을 터치 등을 통해 선택하여, Social Site 1의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16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42 툴바 중 344 아이콘을 터치 등을 통해 선택하여, Social Site 2로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개별적으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 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7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6)

  1.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는 지역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set)하는 단계;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 진입 여부를 판별(determine)하는 단계;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auto-login)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에서 소정 거리 이상 벗어나면, 상기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자동 로그아웃(auto-logout)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히스토리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로그인 히스토리 목록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지역 및 시간을 상기 자동 로그인하는 지역 및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 메뉴, 위젯 또는 툴바를 표시 또는 그 표시상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자동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indicating) 아이콘 또는 창을 표시 또는 그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에서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상기 자동 로그인 시간에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 로그인 단계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된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자동 로그인 시간 설정정보에 대응하도록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미리 설정된 로그아웃 시간에 진입하면, 상기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자동 로그아웃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컨텐츠를 상기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업로드 하거나, 상기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 중 자동 로그인 지역 설정단계는 맵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맵에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할 지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단계는 중 자동 로그인 시간 설정단계는 시계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계에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할 시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8. 삭제
  9.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메뉴를 포함하거나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툴바 또는 위젯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툴바 또는 위젯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할 지역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한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auto-login)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에서 소정 거리 이상 벗어나면, 상기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자동 로그아웃(auto-logout)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단계는,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히스토리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로그인 히스토리 목록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지역 및 시간을 상기 자동 로그인하는 지역 및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상태 변경단계는 상기 자동 로그인 여부에 대응하도록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상태 변경단계는 상기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 상기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 상기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아이콘 또는 상기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 아이콘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툴바 또는 위젯에 포함된 아이콘 중 상기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 아이콘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컨텐츠를 해당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툴바 또는 위젯에 포함된 아이콘 중 상기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아이콘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14.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는 지역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set)하고,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 진입 여부를 판별(determine)하며,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auto-login)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에서 소정 거리 이상 벗어나면, 상기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자동 로그아웃(auto-logout)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히스토리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로그인 히스토리 목록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지역 및 시간을 상기 자동 로그인하는 지역 및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자동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 메뉴, 위젯 또는 툴바 또는 상기 자동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indicating) 아이콘 또는 창을 표시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상기 자동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 메뉴, 위젯 또는 툴바 또는 상기 자동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indicating) 아이콘 또는 창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상기 자동 로그인 시간에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된 자동 로그인 지역 또는 자동 로그인 시간 설정정보에 대응하도록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로그아웃 시간에 진입하면, 상기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자동 로그아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한 컨텐츠를 상기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업로드 하거나, 상기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맵을 표시하고, 상기 맵에서 선택한 지역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진입하면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시계를 표시하고, 상기 시계에서 선택한 시간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진입하면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삭제
  22.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메뉴를 포함하거나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툴바 또는 위젯을 표시하고,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툴바 또는 위젯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며,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할 지역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지역 또는 시간에 진입하면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auto-login)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로그인 지역에서 소정 거리 이상 벗어나면, 상기 자동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자동 로그아웃(auto-logout)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히스토리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로그인 히스토리 목록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지역 및 시간을 상기 자동 로그인하는 지역 및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삭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툴바 또는 위젯에 포함된 아이콘 중 상기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콘, 상기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 상기 로그인한 소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아이콘 또는 상기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 아이콘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툴바 또는 위젯에 포함된 아이콘 중 상기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 아이콘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컨텐츠를 해당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툴바 또는 위젯에 포함된 아이콘 중 상기 로그인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아이콘을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사용자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90084178A 2009-09-07 2009-09-07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KR101609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178A KR101609140B1 (ko) 2009-09-07 2009-09-07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EP10174600.6A EP2293604B1 (en) 2009-09-07 2010-08-3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CN201010275761.XA CN102014149B (zh) 2009-09-07 2010-09-07 移动终端和用于控制移动终端的操作的方法
US12/876,989 US8832586B2 (en) 2009-09-07 2010-09-0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178A KR101609140B1 (ko) 2009-09-07 2009-09-07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330A KR20110026330A (ko) 2011-03-15
KR101609140B1 true KR101609140B1 (ko) 2016-04-05

Family

ID=4324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178A KR101609140B1 (ko) 2009-09-07 2009-09-07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32586B2 (ko)
EP (1) EP2293604B1 (ko)
KR (1) KR101609140B1 (ko)
CN (1) CN1020141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8701A1 (en) * 2009-02-02 2010-08-05 Asurion Corporation Method for integrating applications in an electronic address book
KR20120048312A (ko) * 2010-11-05 2012-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102011101711B4 (de) * 2011-05-17 2022-11-10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r Authentifikation
US9747646B2 (en) 2011-05-26 2017-08-29 Facebook, Inc. Social data inputs
US9710765B2 (en) * 2011-05-26 2017-07-18 Facebook, Inc. Browser with integrated privacy controls and dashboard for social network data
US8700708B2 (en) 2011-05-26 2014-04-15 Facebook, Inc. Social data recording
US8843554B2 (en) 2011-05-26 2014-09-23 Facebook, Inc. Social data overlay
KR101771013B1 (ko) * 2011-06-09 2017-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US9342605B2 (en) 2011-06-13 2016-05-17 Facebook, Inc. Client-side modification of search results based on social network data
US9652810B2 (en) 2011-06-24 2017-05-16 Facebook, Inc. Dynamic chat box
US8818339B2 (en) * 2011-10-10 2014-08-26 Blackberry Limited Capturing and processing multi-media 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N102547660B (zh) * 2011-12-09 2014-07-0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选择服务器的方法及装置
CN103369511B (zh) * 2012-03-28 2016-09-2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WiFi网络的解锁或锁定方法及通信终端
JP5902556B2 (ja) * 2012-05-25 2016-04-13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3825865A (zh) * 2012-11-19 2014-05-28 镇江金钛软件有限公司 多点登录通信方法、装置和系统及用户终端
US9380039B2 (en) * 2013-03-15 2016-06-28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logging into a user account
CN103475998A (zh) * 2013-08-30 2013-12-25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无线网络服务提供方法及系统
CN103746958B (zh) * 2013-11-18 2018-05-29 广州多益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限时登录的方法及装置
US10866711B1 (en) * 2013-12-16 2020-12-15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account information to applications
US10841297B2 (en) 2013-12-16 2020-11-17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multi-factor authentication credentials via device notifications
US10362026B2 (en) 2013-12-16 2019-07-23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multi-factor authentication credentials via device notifications
US9473491B1 (en) 2014-12-16 2016-10-18 Amazon Technologies, Inc. Computing device with integrated authentication token
US9258480B2 (en) 2014-03-31 2016-02-09 Facebook, Inc. Techniques to selectively capture visual media using a single interface element
JP6265873B2 (ja) 2014-09-24 2018-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モバイル端末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02058B2 (en) * 2014-10-24 2020-03-24 Beezbutt Pty Limited Camera application
US10387834B2 (en) * 2015-01-21 2019-08-20 Palantir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d storing snapshots of a remote application in a document
WO2016183753A1 (zh) * 2015-05-16 2016-11-24 阮元 一种网站显示的方法以及浏览器
WO2016183752A1 (zh) * 2015-05-16 2016-11-24 阮元 打开浏览器时推送产品信息的方法以及浏览器
US9864852B2 (en) 2015-07-27 2018-01-09 Amazon Technologies, Inc. Approaches for providing multi-factor authentication credentials
CN107995146B (zh) * 2016-10-26 2020-07-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登录处理方法及装置
CN108021803A (zh) * 2016-10-31 2018-05-11 黄策 按时空划分保护账户登陆信息的管理方法
CN107196970A (zh) * 2017-07-15 2017-09-22 深圳市华琥技术有限公司 一种安全认证方法、服务器
CN110459309A (zh) * 2019-08-08 2019-11-15 广东群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his系统的账户自动登录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26B1 (ko) * 2005-12-21 200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스턴스 메시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788605B1 (ko) * 2007-01-19 2007-12-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82245T1 (de) * 1997-03-28 2000-02-10 Sanyo Electric Co Fernsehempfänger
US20020186249A1 (en) * 1999-10-28 2002-12-12 Qi Lu Method and system of facilitating automatic login to a web site using an internet browser
US7380007B1 (en) * 2000-06-30 2008-05-27 Aol Llc, A Delaware Limited Liability Company Automatic user session
US6865680B1 (en) * 2000-10-31 2005-03-08 Yodlee.Com, Inc.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automatic login for wireless internet-capable devices
EP1444591A4 (en) * 2001-11-01 2007-06-06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UTOMATIC ACCESS TO A WEB SITE USING AN INTERNET BROWSER
US7233792B2 (en) * 2002-03-11 2007-06-19 Ting-Mao Chang Proximity triggered job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US20030233580A1 (en) * 2002-05-29 2003-12-18 Keeler James D. Authorization and authentication of user access to a distributed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with roaming features
US20040117822A1 (en) * 2002-12-11 2004-06-17 Jeyhan Karaoguz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 media program production in a media exchange network
US7424535B2 (en) * 2002-12-11 2008-09-09 Broadcom Corporation Management of multimedia display content in a media exchange network
JP2004252862A (ja) * 2003-02-21 2004-09-09 Canon Inc ログイン装置とその制御方法並びにデータ処理装置及び方法
US8880047B2 (en) * 2005-08-03 2014-11-04 Jeffrey C. Konicek Realtime, location-based cell phone enhancements, uses, and applications
US8150416B2 (en) * 2005-08-08 2012-04-03 Jambo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to mobile device users incorporating proximity determination
US20070060108A1 (en) * 2005-09-14 2007-03-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of obtaining directions to scheduled events
US8374623B2 (en) * 2006-07-21 2013-02-12 Microsoft Corporation Location based, software control of mobile devices
US7650571B2 (en) * 2006-12-27 2010-01-19 Sap Portals Israel Ltd. Smart links and dynamic favori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26B1 (ko) * 2005-12-21 2007-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스턴스 메시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788605B1 (ko) * 2007-01-19 2007-12-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93604A1 (en) 2011-03-09
CN102014149B (zh) 2014-01-01
US20110061016A1 (en) 2011-03-10
US8832586B2 (en) 2014-09-09
KR20110026330A (ko) 2011-03-15
EP2293604B1 (en) 2018-11-28
CN102014149A (zh)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140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KR101467881B1 (ko)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524616B1 (ko)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0357B1 (ko)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 동작방법 및 휴대 단말기 싱크 시스템
KR10159833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09007B1 (ko) 진동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482115B1 (ko)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830057B2 (en) Method for operating execution icon of mobile terminal
US814526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on the same
KR101470543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07888B1 (ko) 시계 겸용 휴대 단말기 및 동작방법
KR10164916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325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82119B1 (ko)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2990B1 (ko) 적어도 2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KR201500399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482121B1 (ko)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7968B1 (ko)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664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334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3153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