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687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687B1
KR101604687B1 KR1020090017930A KR20090017930A KR101604687B1 KR 101604687 B1 KR101604687 B1 KR 101604687B1 KR 1020090017930 A KR1020090017930 A KR 1020090017930A KR 20090017930 A KR20090017930 A KR 20090017930A KR 101604687 B1 KR101604687 B1 KR 101604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dule
main input
main body
mai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9437A (en
Inventor
박효성
정병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687B1/en
Publication of KR20100099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4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6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된 본체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동작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주입력모듈이 돌출되므로 주입력모듈이 디스플레이모듈과 비슷한 평면 상에 위치되고, 이로 인해 주입력모듈과 디스플레이모듈 사이에 단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주입력모듈을 디스플레이모듈과 비슷한 평면상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주입력모듈을 돌출시키는 구동돌기가 가이드슬릿 및 연동슬릿에 이중적으로 안내되므로 구동돌기의 수평거리 이동을 작게하더라도 설계자가 원하는 주입력모듈의 돌출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separate bodies are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input module is protruded in conjunction with the sliding of the main body, the main input module is positioned on a plane similar to the display module, so that steps are hardly generated between the main input module and the display module. There is an effect of canceling. In addition, since the main input module of the touch screen type can be positioned on a plane similar to the displa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ea for displaying a screen can be enlarg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ing projection for projecting the main input module is doubly guided to the guide slit and the interlocking slit, the projection height of the main input module desired by the designer can be formed even if the horizontal distance travel of the driving projection is reduced.

주입력모듈, 슬라이드, 가이드슬릿, 연동슬릿, 구동돌기 Main input module, slide, guide slit, interlocking slit, drive projection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분리된 본체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동작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separate bodies are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데이터 송수신 및 저장이 가능한 전자기기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화상 정보, 게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피디에이(PDA),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서비스 및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Personal Multimedia Player; PMP) 등의 기능을 통합하는 지능형 멀티 단말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으며, 생활상에서 가장 중요한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다.A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function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nd storage.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character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games, and the like to users through PD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and portable multimedia device Personal Multimedia Player (PMP)), and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necessities in life.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온오프 및 소정의 기능을 실행시키는데 그 형태에 따라 크게 바 타입(bar type), 플립 타입(flip type), 폴더 타입(folder type) 및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bar type, flip type, folder type, and sliding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on / off and performing a predetermined function in various ways. .

상기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상부 폴더와 하부 폴더의 일단부가 힌지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통화나 휴대시 힌지를 축으로 하부 폴더에 대해서 상부 폴 더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 타입 또는 플립 타입 휴대용 단말기가 갖는 길이가 길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하부 폴더에 대해서 상부 폴더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힌지 부분에 기계적인 스트레스가 집중되어 힌지 부분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The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an upper folder and a lower folder are connected to a hinge, and the upper folder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lower folder about a hinge of a call or portable. The problem that the length of the terminal is long is solved. However,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upper folder with respect to the lower folder, mechanical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hinge portion, and the hinge portion is easily damaged.

이와 같은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단말기 본체에 대해서 슬라이드본체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가 제시되어 왔다.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는 슬라이드본체를 슬라이딩시키는 방식에 따라서 수동과 반자동으로 나눌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of the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slide body is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has been proposed. The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anual type and a semi-automatic type according to a method of sliding the slide main body.

수동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는 커버를 사용자가 직접 개폐하는 방식이고 반자동 슬라이딩 타입의 휴대용 단말기는 천이시점까지 커버를 이동시키면 그 이후에는 커버가 이동하는 방향과 일치하게 개폐되는 방식이다.The manual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directly opens and closes the cover, and the semi-automatic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ver when the cover is moved until the transition time.

이와 같은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슬라이드본체를 슬라이딩시켜서 슬라이드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거나, 전화를 받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슬라이드본체를 밀어서 여는 것에 의하여,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입력키 중에서 원하는 기능의 버튼을 누를 수 있게 된다. Such a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can slide the slide body to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activating a display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lide body, receiving a telephone call, or the like. Or by sliding the slide main body, the user can press a desired function button among a plurality of input key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그러나, 이와 같은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과 키패드 등의 사용자 입력부가 서로 단차지게 구비되어 키패드 조작시 단차진 부분에 인접한 키패드의 조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 screen and a user input portion such as a keypad are provided in a stepped manner so that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keypad adjacent to the stepped portion when the keypad is operated.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주입력모듈이 본체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main input module receiving a user's input is protruded to one surface of a main bod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타입의 본체에서 주입력모듈이 디스플레이부와 비슷한 수평면 상에 위치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main input module is positioned on a horizontal plane similar to a display portion in a sliding type main bod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입력모듈이 구비되는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주입력모듈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본체와; 상기 제1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본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구동유닛과; 상기 주입력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에 연동하여 주입력모듈을 상기 제1본체의 일면으로 돌출시키도록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first main body having a main input module; A second body slid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to selectively expose the main input module;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body; A driving unit movably supported by the fixing member and moved in conjunction with sliding of the second body; And a shifting member mounted on the main input module and moving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to project the main input modul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상기 구동유닛에는 구동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는 각각 상기 구동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릿과 연동 슬릿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driving protrusions, and the guide slits and the interlocking slits, which guide movement of the driving protrusions, respectively, are formed in respective portions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that are inclined toward opposite directions.

상기 가이드슬릿과 연동슬릿은 각각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일단에서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guide slit and the interlocking slit each include an inclined portion for guiding a relativ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e unit; And an engag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상기 가이드슬릿과 연동슬릿은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The guide slit and the interlocking slit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axis of the drive unit.

상기 구동돌기는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슬릿과 상기 연동슬릿에 지지된다.The driving projection is provided to penetrate through the fixing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and is supported by the guide slit and the interlocking slit.

상기 가이드슬릿과 상기 연동슬릿은 상기 구동돌기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이동된다.The guide slit and the interlocking slit are mov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driving projection.

상기 구동돌기의 선단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돌기가 상기 가이드슬릿 및 상기 연동슬릿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다.And a flange portion for preventing the driving projec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slit and the interlocking slit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end of the driving projection.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이동안내슬릿이 상기 주입력모듈의 돌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에는 안내돌기가 상기 이동안내슬릿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A moving guide slit for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is formed in the moving member so as to be long in a protruding direction of the main input module and a guide protrusion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moving guide slit.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유닛에는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에 걸어지는 걸림브라켓이 돌출되게 구비된다.The second body is provided with a slide fram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rive unit, and the drive unit is provided with a latching bracket protruding from the slide frame.

상기 걸림브라켓에는 상기 주입력모듈을 향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제2경사면이 상기 주입력모듈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locking bracket is formed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facing the main input modul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toward the main input module.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양측 선단에는 상기 제2본체가 열리는 슬라이딩 동작 중에 상기 걸림브라켓의 제1경사면에 걸어져 상기 구동유닛을 이동시키는 구동롤러가 구비된다.At both ends of the slide frame, a driving roller is provided for moving the driving unit by being hooked on a first inclined surface of the engaging bracket during a sliding operation in which the second body is opened.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제2본체가 닫히는 슬라이딩 동작 중에 상기 걸림브라켓의 제2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구동유닛을 이동시키는 원동돌기가 구비된다.The second body is provided with a driving projection that moves the driving unit by contact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of the engaging bracket during a sliding operation in which the second body is closed.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에 구비된 구동롤러는 상기 제2본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주입력모듈의 상면을 지지한다.The drive roller provided on the slide frame support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input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ain body is closed.

상기 제2본체와 상기 주입력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각각 구동면과 연동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의 구동면에는 상기 연동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회전하는 안내롤러가 구비된다.The driving surface and the driving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and the main input module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driving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that selectively rotates in contact with the driving surface.

상기 제2본체의 구동면은 상기 제1본체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주입력모듈의 연동면은 상기 제2본체의 구동면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driving surface of the second body is inclined to 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interlocking surface of the main input module is inclined to face the driving surface of the second body.

상기 주입력모듈의 연동면은 상기 제2본체가 닫히는 슬라이딩 동작 중에 상기 제2본체의 구동면에 안내되어 상기 주입력모듈을 상기 제1본체의 바닥면으로 하강시킨다.The interlocking surface of the main input module is guided by the driving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in which the second main body is closed to lower the main input modul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상기 고정부재에는 가이드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보스에 대응되는 가이드핀이 구비되어 상기 주입력모듈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guide boss, and the mov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guide pin corresponding to the guide boss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input module.

상기 고정부재에는 고정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홀더와 상기 구동돌기에는 상기 제1본체의 바닥면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의 양단이 고정된다.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ixing holder, and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which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are fixed to the fixing holder and the driving projection.

상기 가이드보스와 상기 가이드핀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제1본체의 바닥면에서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이 개재된다.A coil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boss and the guide pi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guide pin is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상기 주입력모듈은 터치스크린 방식이 사용되고, 상기 주입력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함께 듀얼디스플레이로 사용된다.The main input module is a touch screen type, and the main input module is used as a dual display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입력모듈이 구비되는 제1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주입력모듈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본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대이동되는 구동유닛과; 상기 주입력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제2본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유닛에 대해 상대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ixing member fixed to a first body having a main input module; A driving unit that is moved relative to the fixing member in association with a sliding of a second main body selectively exposing the main input module; And a moving member to which the main input module is mounted and is moved relative to the driving unit in association with sliding of the second main body.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는 각각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릿과 연동슬릿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에는 상기 가이드슬릿과 상기 연동슬릿에 지지되는 구동돌기가 구비된다.Wherein a guide sli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rive unit and an interlocking slit are formed so as to be inclin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in respective portions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movable member, As shown in Fig.

상기 가이드슬릿과 연동슬릿에는 각각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가 형성된다.The guide slit and the interlocking slit each have a latching portion extending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ive unit.

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주입력모듈이 돌출되므로 주입력모듈이 디스플레이모듈과 비슷한 평면 상에 위치되고, 이로 인해 주입력모듈과 디스플레이모듈 사이에 단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input module is protruded in conjunction with the sliding of the main body, the main input module is positioned on a plane similar to the display module, so that steps are hardly generated between the main input module and the display module. There is an effect of canceling.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주입력모듈을 디스플레이모듈과 비슷한 평면상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in input module of the touch screen type can be positioned on a plane similar to the displa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ea for displaying a screen can be enlarg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주입력모듈을 돌출시키는 구동돌기가 가이드슬릿 및 연동슬릿에 이중적으로 안내되므로 구동돌기의 수평거리 이동을 작게하더라도 설계자가 원하는 주입력모듈의 돌출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ing projection for projecting the main input module is doubly guided to the guide slit and the interlocking slit, the projection height of the main input module desired by the designer can be formed even if the horizontal distance travel of the driving projection is reduc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소용 단말기,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피엠피(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assistant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100)(이하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storage unit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상 기 단말기(100)와 상기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t least one module tha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 등을 의미할 수 있다.The broadcast channel may b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or the like.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be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ing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In particular, the broadcasting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Only Digital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또한,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built in or externall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또한,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15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The audio / video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21 and a microphone module 122.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camera module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n,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1.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module 12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amera module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상기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modul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단말기(100)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단말기(100)의 조작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부분을 주입력모듈(200)로 구분하고, 상기 주입력모듈(200)은 구비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module 151 described later, it can be called a touch screen.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at various positions of the terminal 100.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mainly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200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selectively protru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센싱부(140)는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user, and transmit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Also, it is responsible for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it may be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an audio I / I / O (input / output) terminals, and earphones.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to the external device.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output module 153, and the like .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상기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module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00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captured or / and received image, UI, or GUI is display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 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isplay module 151 and the touch pad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module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 (3D display).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modules 151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ode of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n ex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at the same time.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terminal 100. [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상기 알람 출력 모듈(153)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상기 알람 출력 모듈(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The alarm output module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generated in the terminal 1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output module 153 outputs a signal for inform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 출력 모듈(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signal in a vibration mode.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output module 153 may output a vibration to inform it. Alternatively, when the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output module 153 can output the vibration as the feedback to the key signal input.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user can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rough the vibration output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

상기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80 and may store programs for temporary storage of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Function may be performed.

상기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 A RAM, and a ROM.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Also, th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for storing the storage unit 150 on the Internet.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may be configured in hardware in the controller 180 or separately from software in the controller 180. [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각각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 and FIG. 3 are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showing configurations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단말기(100)의 외관 및 골격은 제1본체(101) 및 제2본체(102)가 형성한다. 상기 제1본체(101) 및 제2본체(102)의 외부 표면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스테인레스스틸(STS) 또는 티타늄(Ti)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본체(101)의 내부에는 각종 메모리(ROM 및 RAM), 인터럽트 컨트롤러, 메인기판 및 배터리 등 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구성이 구비된다. 2 and 3,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terminal 100 are formed by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As shown in FIG.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Inside the first main body 101, various memories (ROM and RAM), an interrupt controller, a main board, and a battery are provided.

상기 제2본체(102)는 상기 제1본체(101)의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본체(102)는 상기 제1 본체(101)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주입력모듈(200)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킨다. The second body 102 is slidable along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01. In more detail, the second body 102 slides along one side of the first body 101 to selectively expose the main input module 200.

상기 제2본체(102)가 상기 제1본체(101)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본체(102)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본체(101)의 주입력모듈(200)이 노출된 상태를 열린상태(open configuration)라 할 수 있다. The second body 102 may be in a closed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body 101 is overlapped with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be slid, The open state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상기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Th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While the terminal 100 is in the open state, th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but is also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제1본체(101) 또는 제2본체(102)에는 카메라 모듈(121), 마이크 모듈(122), 사용자 입력부(130),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음향 출력 모듈(152) 등이 구비된다. A camera module 121, a microphone module 122, a user input unit 130, a display module, and an audio output module 152 are provided in the first main body 101 or the second main body 10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본체(102)에는 카메라 모듈(121)이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이와 같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main body 102 is provided with a camera module 121. The camera module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stored in a memory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1.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본체(101)에는 마이크 모듈(122)가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녹음모드 또는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 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 등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main body 101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module 122. The microphone modul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or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processes the voice signal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r the like and output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상기 제1본체(101) 또는 제2본체(102)의 전면, 후면 또는 측면 등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상기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촉각을 느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first main body 101 or the second main body 102. The user input unit 130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manners in a tactile manner in which the user operates while feeling the tactile sense.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음향의 출력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모듈(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may receive commands such as adjusting the output size of the sound or switching the display module 151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module 151, it can be called a touch scree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제1사용자 입력부(130-1), 제2사용자 입력부(130-2) 및 주입력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user input unit 130 includes a first user input unit 130-1, a second user input unit 130-2, and a main input module 200.

상기 제1사용자 입력부(130-1)는 상기 제1본체(101)에 구비되어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제2사용자 입력부(130-2)는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는다.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1 is provided in the first main unit 101 and receives commands such as start, end, and scroll. The second user input unit 130-2 includes an audio output unit 152, Such as adjusting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51 or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like.

상기 주입력모듈(200)은 상기 제1본체(101)에 구비된다. 상기 주입력모듈(200)은 상기 제1본체(101)에 대한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1본체(101)의 일면에 선택적으로 돌출된다.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돌출되는 경우 상기 주입력모듈(200)과 상기 제2본체(102)의 디스플레이모듈(151)은 비슷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주입력모듈(200)은 터치스크린 방식이 사용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과 함께 듀얼디스플레이로 사용될 수 있다.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provided in the first main body 101.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selectively protru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1 by sliding the second main body 102 against the first main body 101. When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protruded, the main input module 200 and the display module 151 of the second main body 102 are located on a similar horizontal plane. The main input module 200 may be used as a dual display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151 when a touch screen type is used.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주입력모듈(200)은 상기 제2본체(102)의 일면을 마주하는 상기 제1본체(101)의 일부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단말기(100)가 열리면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상기 상기 제1본체(101)의 일면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주입력모듈(200)은 상기 제2본체(102)의 안쪽에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2본체(102)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제1본체(101)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상기 제1본체(101) 상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The main input module 200 forms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1 facing one side of the second main body 102, When the terminal 100 is opened, the main input module 200 protrudes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1. That is, when the terminal 100 is closed,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main body 102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main body 102 slides, The main input module 200 protrudes onto the first main body 101 whe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1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주입력모듈(200)은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단말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키패드, 터치스크린 및 터치패드 방식 등의 다양한 입력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The main input module 200 may be a variety of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a touch screen, and a touch pad type if the main input module 200 ha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00 in response to a user input.

상기 주입력모듈(200)에는 연동면(204)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면(204)은 상기 제2본체(102)를 마주보는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일단에서 상기 제2본체(10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연동면(204)은 상기 제2본체(102)의 구동면(330)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연동면(204)은 상기 제 2본체(102)가 닫히는 슬라이딩 동작 중에 상기 제2본체(102)의 구동면(330)에 안내되어 상기 주입력모듈(200)을 상기 제1본체(101)의 바닥면으로 하강시킨다. An interlocking surface 204 is formed in the main input module 200. The interlocking surface 204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one end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facing the second body 102 toward the second body 102. The interlocking surface 204 is sloped to face the driving surface 330 of the second body 102. The interlocking surface 204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guided by the driving surface 330 of the second main body 102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in which the second main body 102 is closed, And is low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1.

상기 제2본체(102)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이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second body 102 is provided with a display module 151. The display module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by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00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call is displayed. When the terminal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it displays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or UI and GUI.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에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play module 151 and a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module 151 may include an input device Can also be used.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상기 제2본체(102)에는 음향출력모듈(152)가 구비된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신호 수신, 통화모드,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또는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출력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102 is provided with an acoustic output module 152.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generated in a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tones, message reception tones, etc.) performed in the terminal.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상기 제1본체(101)에는 인터페이스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가상적 매개체이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The first body 101 is provided with an interface unit 170. The interface unit 170 is a physical / virtual medium that enables access to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in th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nput/Output) 포트, 비디오 입출력(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re may be a wireless / wired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nput / An input / output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식별 모듈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 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Not shown). Various command signals or power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terminal 100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가 도시되어 있다. Fig.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essential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101)에는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제1본체(101) 상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한 장착패널(210), 고정부재(220), 구동유닛(250) 및 이동부재(280) 등이 구비된다. 4, the first main body 101 is provided with a first main body 101 for supporting the main input module 200 in such a manner as to protrude on the first main body 101 in association with the sliding of the second main body 102, A mounting panel 210, a fixing member 220, a driving unit 250, a moving member 280, and the like.

상기 장착패널(210)에는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패널(210)은 일면에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본체(101)에 대하여 상대이동된다. 상기 장착패널(210)은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작동을 위한 전기회로가 편성된 기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mounting panel 210 is provided with the main input module 200. The mounting panel 210 is relatively mov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body 101 in a state where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mounted on one surface. The mounting panel 210 may be a board on which an electric circuit for operating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form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상기 장착패널(210)은 상기 이동부재(280)에 고정된다. 상기 장착패널(210)은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저면에 함몰된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상기 장착패널(2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제1본체(101) 상으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장착패널(2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도 14 참조) 물론, 상기 장착패널(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동유닛(250) 및 이동부재(280) 등의 구성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The mounting panel 210 is fixed to the moving member 280. The mounting panel 210 is installed in a recessed portion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and the main input module 200 surrounds the edge of the mounting panel 210, The driving unit 25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panel 210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mounting panel 21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movable member 28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패널(210)과 상기 주입력모듈(200)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장착패널(210)은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mounting panel 210 and the main input module 200 are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panel 210 may be included as a part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상기 이동부재(280), 상기 고정부재(220) 및 상기 구동유닛(250)은 상기 제1본체(101)의 내측에서 그 안쪽으로 차례대로 구비되어 상기 장착패널(210)의 이동을 안내한다.(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고정부재, 구동유닛 및 이동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The moving member 280, the fixing member 220 and the driving unit 250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inside to the inside of the first main body 101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panel 210.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ment relationship of the fixing member, the driving unit, and the moving memb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 제1본체(101)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 제1본체(101)의 내부공간 양측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 제1본체(101)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유닛(250) 및 상기 이동부재(280)가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The fixing member 220 is provided on the first main body 101. Each of the fixing members 2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body 101. The fixing member 220 is fixed to the first body 101 so that the driving unit 250 and the moving member 280 are movably supported.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부재, 구동유닛 및 이동부재를 각각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s.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ixing member, a driving unit, and a moving member, respectivel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20)의 골격은 고정몸체(222)가 형성한다. 상기 고정몸체(222)는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긴 판상(板狀)으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5, the fixing member 220 has a fixed body 222 formed thereon. The fixed body 222 is formed in a long plate shape in a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102.

상기 고정몸체(222)에는 가이드슬릿(224)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슬릿(224)은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224)은 상기 고정몸체(222)의 하부에서 상기 제2본체(102)가 열리는 방향을 향 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를 다시 말하면, 상기 가이드슬릿(224)은 상기 고정몸체(222)의 상부에서 상기 제2본체(102)가 닫히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슬릿(224)과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슬릿(284)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fixed body 222 is provided with a guide slit 224. The guide slit 224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02. The guide slit 224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body 222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ody 102 is opened. In other words, the guide slit 224 extends downwar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body 22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ody 102 is closed. The guide slit 224 and the interlocking slit 284,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opposite directions.

상기 가이드슬릿(224)은 경사부(224a)와 걸림부(22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224a)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유닛(250) 및 이동부재(280)의 상대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부(224a)는 연직방향에서 시계방향(도 5 기준)으로 대략 45°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guide slit 224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224a and an engaging portion 224b. The inclined portion 224a is inclined to guide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250 and the moving member 280. [ The inclined portion 224a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bout 45 degrees clockwise (reference to FIG. 5)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걸림부(224b)는 상기 경사부(224a)의 상단에서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24b)는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상기 제1본체(101)의 일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동돌기(290)가 걸리는 부분이다. The engaging portion 224b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102 at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24a. The latching portion 224b is a portion where the driving projection 290 is engaged so that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protruded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1. [

상기 고정몸체(222)에는 연통공(228)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228)은 안내돌기(292)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몸체(222)에는 장착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230)는 상기 고정몸체(222)를 상기 제1본체(101)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A communicating hole 228 is formed in the fixed body 222. The communication hole 228 is a portion 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292 is coupled and fixed. The fixing body 222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230. The mounting portion 230 is configured to fix the fixing body 222 to the first main body 101.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250)은 상기 고정부재(220)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유닛(250)은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부재(220)에 대하여 상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구동유닛(250)은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상기 제2본체(102) 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As shown in FIG. 6, the driving unit 250 is movably supported on the fixing member 220. The driving unit 250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ixing member 220 in conjunction with the sliding of the second body 102. The driving unit 250 is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102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102.

상기 구동유닛(250)의 골격은 구동몸체(252)가 형성한다. 상기 구동몸체(252)는 대략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긴 판상(板狀)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몸체(252)에는 단차부(254)가 구비된다. 상기 단차부(254)는 상기 구동몸체(252)의 이동시 상기 구동몸체(252)가 상기 고정부재(220) 또는 상기 이동부재(28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The skeleton of the driving unit 250 is formed by a driving body 252. The driving body 252 is formed in a long plate shape substantially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102. The driving body 252 is provided with a step 254. The stepped portion 254 prevents the driving body 252 from interfering with the fixing member 220 or the moving member 280 when the driving body 252 is moved.

상기 구동몸체(252)에는 고정홈(25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56)은 구동돌기(290)가 상기 구동몸체(252)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구동돌기(290)는 상기 구동몸체(252)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몸체(252)와 함께 이동된다. 구동돌기(290)는 가이드슬릿(224) 및 연동슬릿(284)에 의해 안내되어 구동유닛(250) 및 이동부재(280)를 이동시킨다. A fixing groove 256 is formed in the driving body 252. The fixing groove 256 is a portion where the driving projection 290 is fixed to the driving body 252. That is, the driving projection 290 is fixed to the driving body 252 and moves together with the driving body 252. The drive projection 290 is guided by the guide slit 224 and the interlocking slit 284 to move the drive unit 250 and the shifting member 280.

상기 구동돌기(290)는 상기 고정부재(220) 및 상기 이동부재(280)를 관통하도록 상기 구동유닛(250)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슬릿(224)와 상기 연동슬릿(284)에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슬릿(224)과 연동슬릿(284)은 상기 구동돌기(290)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이동된다. The driving projection 290 is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250 so as to pass through the fixing member 220 and the moving member 280 and is supported by the guide slit 224 and the interlocking slit 284. The guide slit 224 and the interlocking slit 284 are mov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driving projection 290.

상기 구동돌기(290)의 선단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돌기(290)가 상기 가이드슬릿(224) 및 상기 연동슬릿(28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부(290')가 형성된다.(도 4 참조)A flange portion 290 'for preventing the driving projection 29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slit 224 and the interlocking slit 28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of the driving projection 290 )

상기 구동몸체(252)의 일단에는 걸림브라켓(258)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브라켓(258)은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브 라켓(258)은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드프레임(300)에 선택적으로 걸어진다. 즉, 상기 걸림브라켓(258)은 상기 제2본체(102)가 슬라이딩될 때 슬라이드프레임(300)에 걸어져 상기 구동유닛(250)을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A locking bracket 258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driving body 252. The latching bracket 258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The latching bracket 258 is selectively hooked to the slide fram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at is, the latching bracket 258 is hooked on the slide frame 300 when the second body 102 slides to move the drive unit 250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102 do.

상기 걸림브라켓(258)에는 상기 주입력모듈(200)을 향하는 제1경사면(258a)과 상기 제1경사면(258a)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제2경사면(258b)이 상기 주입력모듈(20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8a facing the main input module 20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8b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8a are formed on the main input module 200, As shown in FIG.

상기 제1경사면(258a)은 상기 단말기(100)가 열릴 때 상기 제2본체(102)의 바닥면에 구비된 구동롤러(306)가 밀착되어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구동롤러(306)가 상기 제1경사면(258a)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2본체(102)가 열리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구동유닛(250)이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된다.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8a is a portion where the driving roller 306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102 is closely contacted when the terminal 100 is opened. When the driving unit 250 is sli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ody 102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roller 30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8a, the driving unit 250 is mov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102 .

상기 제2경사면(258b)은 상기 단말기(100)가 닫힐 때 상기 제2본체(102)의 바닥면에 구비된 원동돌기(330)가 밀착되어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원동돌기(330)가 상기 제2경사면(258b)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2본체(102)가 닫히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구동유닛(250)이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된다.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8b is a portion where the prime protrusion 33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102 is closely contacted when the terminal 100 is closed. The driving unit 250 is mov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02 when the second main body 102 is slid in the closing direction with the prime mover 330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lanted surface 258b .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280)는 상기 구동유닛(250)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부재(220)에 대하여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재(280)는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 하다. 상기 이동부재(280)에는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장착된다. 상기 이동부재(280)는 상기 구동유닛(250)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상기 제1본체(101)의 일면으로 돌출되게 한다. 7, the moving member 280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ixing member 220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250. As shown in FIG. The moving member 280 is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02.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moving member 280. The moving member 280 causes the main input module 200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1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250.

상기 이동부재(280)의 골격은 이동몸체(282)가 형성한다. 상기 이동몸체(282)에는 연동슬릿(284)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슬릿(284)은 상기 가이드슬릿(224)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릿(284)은 상기 이동몸체(282)의 하부에서 상기 제2본체(102)가 닫히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다시 말하면, 상기 연동슬릿(284)은 상기 이동몸체(282)의 상부에서 상기 제2본체(102)가 열리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220)와 상기 이동부재(280)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는 각각 상기 구동유닛(2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릿(224)과 연동슬릿(284)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224)과 연동슬릿(284)은 상기 구동유닛(250)의 이동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The skeleton of the moving member 280 is formed by the moving body 282. The moving body 282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slit 284. The interlocking slit 284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guide slit 224. The interlocking slit 284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282 so as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ody 102 is closed. In other words, the interlocking slit 284 extends downwar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oving body 28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body 102 is opened. The guide slit 224 and the interlocking slit 284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rive unit 250 are respectively direc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member 220 and the moving member 280 . The guide slit 224 and the interlocking slit 284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axis of the drive unit 250.

상기 연동슬릿(284)은 경사부(284a)와 걸림부(28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부(284a)는 상기 구동유닛(250)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부재(22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80)의 상대 이동을 안내한다. 즉, 상기 경사부(284a)에는 상기 구동돌기(290)가 안내되어 상기 이동부재(280)의 상대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경사부(284a)는 연직방향에서 시계방향(도 7 기준)으로 대략 45°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interlocking slit 284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284a and an engaging portion 284b. The inclined portion 284a guides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280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220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250. [ That is, the driving projection 290 is guided in the inclined portion 284a to guide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280. [ The inclined portion 284a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pproximately 45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refer to FIG. 7)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걸림부(284b)는 상기 경사부(284a)의 하단에서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 또는 상기 구동유닛(250)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 기 걸림부(284b)는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상기 제1본체(101)의 일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동돌기(290)가 걸리는 부분이다. The engaging portion 284b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102 o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250 at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284a. The latching part 284b is a part where the driving projection 290 is caught so as to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main input module 200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1. [

상기 이동부재(280)에는 상기 이동부재(28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이동안내슬릿(286)이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돌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20)에는 안내돌기(292)가 상기 이동안내슬릿(286)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A moving guide slit 286 for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280 is formed in the moving member 280 so as to be long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292) through the movement guide slit (286).

상기 이동몸체(282)의 상단에는 체결부(288)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288)는 상기 이동몸체(282)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288)에는 상기 장착패널(210)이 장착된다. 즉, 상기 체결부(288)는 상기 장착패널(210)의 양단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패널(210)과 함께 이동한다. A fastening portion 288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oving body 282. The fastening portion 288 i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moving body 282. The mounting panel 210 is mounted on the fastening portion 288. That is, the fastening part 288 is provided on both bottom ends of the mounting panel 210 and moves together with the mounting panel 210.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드프레임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lide fram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본체(102)에는 슬라이드프레임(300)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프레임(300)은 상기 제2본체(102)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본체(101)에 대해서 슬라이딩된다. 상기 슬라이드프레임(300)은 양측이 가이드채널(301)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슬라이드프레임(300)에는 상기 제2본체(102)가 상기 제1본체(101)에 겹쳐진 상태와 상기 제1본체(101)에서 완전히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1본체(101)에 대해 상기 제2본체(102)를 어느 정도의 위치까지만 이동시키면 상기 제2본체(102)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특정위치까지 이동된다. As shown in FIG. 9, the second body 102 is provided with a slide frame 300. The slide frame 30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102 and slides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101. Both sides of the slide frame 300 are movably supported by the guide channel 301. The slide frame 30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not shown) so that the second body 102 is overlapped with the first body 101 and the first body 101 is completely protruded from the first body 101 .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moves the second main body 102 to a certa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body 101, the second main body 102 is moved to a specific position by the elastic member do.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력모듈(200)을 마주하는 상기 슬라이드프레임(300)의 일단 양측에는 지지리브(30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302)는 상기 슬라이드프레임(300)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302)는 구동롤러(306)의 일측을 지지한다.As shown in FIG. 10, support ribs 30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slide frame 300 facing the main input module 200. The support ribs 302 ar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slide frame 300. The support ribs 302 support one side of the drive roller 306.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프레임(300)에는 장착부재(304)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재(304)는 상기 지지리브(302)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구동롤러(306)의 타측을 지지한다. 상기 장착부재(304)는 용접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프레임(300)에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the slide frame 30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304. The mounting member 304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rib 302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roller 306. The mounting member 304 may be fixed to the slide frame 300 by welding.

상기 슬라이드프레임(300) 양측 선단에는 구동롤러(306)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롤러(306)는 체결구(308)에 의해 상기 지지리브(302)와 상기 장착부재(304)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구동롤러(306)는 상기 슬라이드프레임(300)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유닛(250)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구동롤러(306)는 상기 제2본체(102)가 열리는 슬라이딩 동작 중에 상기 걸림브라켓(258)의 제1경사면(258a)에 걸어져 상기 구동유닛(250)을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롤러(306)는 상기 제2본체(10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상면을 지지한다.At both ends of the slide frame 300, driving rollers 306 are provided. The driving roller 306 is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rib 302 and the mounting member 304 by a fastener 308. The driving roller 306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e frame 300 to allow the driving unit 250 to slide. That is, the driving roller 306 is hook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8a of the engaging bracket 258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in which the second body 102 is opened to move the driving unit 250. The driving roller 306 support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when the second main body 102 is closed.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프레임(300)에는 가이드부(31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10)는 상기 슬라이드프레임(30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10)는 상기 슬라이드프레임(300)에서 상기 지지리브(302)에 비해 안쪽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10)는 상기 구동유닛(250)의 걸림브 라켓(258)이 이동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가이드부(310)에 위치한 상기 걸림브라켓(258)은 상기 슬라이드프레임(300)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구동롤러(306)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310)는 상기 구동유닛(250)의 이동행정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slide frame 300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310. The guide part 310 is formed long along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e frame 300. The guide part 310 is recessed inwardly of the slide frame 300 relative to the support rib 302. The guide part 310 is a part where the engaging bracket 258 of the drive unit 250 is moved. That is, the latching bracket 258 located on the guide part 310 is selectively hooked to the driving roller 306 by the sliding of the slide frame 300. The guide unit 310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moving stroke of the driving unit 250.

도 12 및 도 1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본체의 구성을 각각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2 and 1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main bod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본체(102)에는 원동돌기(320)가 구비된다. 상기 원동돌기(320)는 상기 제2본체(102)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본체(101)를 향해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원동돌기(320)는 상기 제2본체(102)가 닫히는 슬라이딩 동작 중에 상기 걸림브라켓(258)의 제2경사면(258b)에 접촉되어 상기 구동유닛(250)을 이동시킨다.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second body 102 is provided with a prime protrusion 320. The prime mover 320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102 toward the first main body 101. The prime mover 320 contacts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58b of the engaging bracket 258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in which the second body 102 is closed to move the driving unit 250. [

즉, 상기 단말기(100)가 열린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250)의 구동돌기(290)가 상기 고정부재(220)의 걸림부(224b) 및 이동부재(280)의 걸림부(284b)에 위치할 때, 상기 제2본체(102)가 상기 제1본체(101)에 겹쳐지도록 슬라이딩되면 상기 원동돌기(320)가 상기 걸림브라켓(258)을 밀어 상기 구동돌기(290)가 상기 고정부재(220)의 걸림부(224b) 및 이동부재(280)의 걸림부(284b)에서 탈거되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terminal 100 is opened, the driving projection 290 of the driving unit 250 is positioned at the engaging portion 224b of the fixing member 220 and the engaging portion 284b of the moving member 280 When the second body 102 slides so as to overlap with the first body 101, the driving projection 320 pushes the locking bracket 258 so that the driving projection 290 moves the fixing member 220 The engaging portion 224b of the movable member 280 and the engaging portion 284b of the moving member 280 are removed.

도 14 및 도 1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2본체와 주입력모듈의 구성을 각각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4 and 1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second main body and the main input modu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본체(102)의 일단에는 구동면(330)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면(330)은 상기 제2본체(102)에서 상기 주입력모 듈(200)을 마주보는 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본체(102)의 구동면(330)은 상기 제1본체(101)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본체(102)의 구동면(330)은 상기 제2본체(102)가 닫힐때 상기 제1본체(101)에 구비된 주입력모듈(200)의 연동면(204)을 밀어 주입력모듈(200)을 상기 제1본체(101)의 바닥면으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14 and 15, a drive surface 33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main body 102. As shown in FIG. The driving surface 33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ortion of the second body 102 facing the main input module 200. The driving surface 330 of the second body 102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body 101. The driving surface 330 of the second main body 102 pushes the interlocking surface 204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provided in the first main body 101 when the second main body 102 is closed, Thereby lowering the module 20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1.

상기 제2본체(102)의 구동면(330)에는 안내안내롤러(336)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롤러(336)는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연동면(204)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회전된다. 상기 안내롤러(336)는 상기 제2본체(102)의 구동면(330)에 약간 돌출되어 주입력모듈(200)의 연동면(204)의 이동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롤러(336)의 회전축은 상기 제2본체(102)의 안쪽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롤러(336)의 외면만 상기 제2본체(102)의 구동면(330)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2본체(102)와 주입력모듈(200)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A guide roller 336 is provided on the driving surface 330 of the second body 102. The guide roller 336 selectively rotates in contact with the interlocking surface 204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The guide roller 336 protrudes slightly from the driving surface 330 of the second body 102 to smooth the movement of the interlocking surface 204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The rotation axis of the guide roller 336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second main body 102 and only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oller 336 is exposed to the driving surface 330 of the second main body 102, Thereby minimizing the friction between the main body 102 and the main input module 20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6 내지 도 18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주입력모듈이 동작하는 모습을 단계적으로 보인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16 to 18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stepwise operation of the main input modu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101)와 상기 제2본체(102)가 중첩적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주입력모듈(200)은 상기 제2본체(102)의 저면을 마주보도록 상기 제1본체(101)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구동유닛(250)과 상기 구동돌기(290)는 일체로 움직이므로 상기 고정부재(220)에 대한 상기 구동유닛(250)과 상 기 이동부재(280)의 움직임을 상기 구동돌기(29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16, when the first main body 101 and the second main body 102 are overlapped in a superimposed manner, the main input module 200 faces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102 Is located inside the first main body (101). Since the driving unit 250 and the driving projection 290 move integrally with each other,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250 and the moving member 280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220 can be controlled by the driving projection 290 I explain it as a standard.

상기 제1본체(101)와 상기 제2본체(102)가 중첩적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돌기(280)는 상기 가이드슬릿(224)의 하단부 및 상기 연동슬릿(284)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유닛(250)과 상기 이동부재(280)가 상기 제1본체(101)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브라켓(258)도 상기 제2본체(102) 측으로 거의 노출되지 않아 상기 제2본체(102)가 슬라이딩되더라도 상기 제2본체(102)의 원동돌기(320)와 간섭되지 않는다.The driving projection 280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slit 224 and the upper end of the interlocking slit 284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overlap each other. Therefore, the driving unit 250 and the moving member 280 are located inside the first main body 101, and the engaging bracket 258 is also hardly exposed toward the second main body 102,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ime protrusion 320 of the second main body 102 even if the main body 102 slides.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본체(102)가 상기 제1본체(101)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되면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서서히 외부에 노출된다. 이때, 상기 제2본체(102)가 계속 슬라이딩되어 상기 구동롤러(306)가 상기 걸림브라켓(258)의 제1경사면(258a)에 밀착되기 전까지 상기 주입력모듈(200), 상기 이동부재(280) 및 상기 구동유닛(250)은 움직이지 않는다.17, when the second main body 102 is slid to protrude to one side of the first main body 101,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gradually expos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main input module 200, the movable member 280 (280), and the movable member 280 are rotated until the second main body 102 continues to slide so that the driving roller 306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8a of the engaging bracket 258 And the drive unit 250 do not move.

이와 같이 상기 구동롤러(306)가 상기 걸림브라켓(258)의 제1경사면(258a)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본체(102)가 계속 슬라이딩되면 상기 구동유닛(250)이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구동유닛(250)은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상기 제2본체(102)의 바닥면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한다. When the second body 102 is continuously slid while the driving roller 30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surface 258a of the engaging bracket 258, 102 in the sliding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 driving unit 250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02, that is,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102.

이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250)이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구동돌기(290)가 상기 고정부재(220)에 형성된 가이드슬릿(224)의 경사부(224a)에 안내되어 상기 제2본체(102)의 바닥면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구동돌기(290)는 상기 연동슬릿(284)의 경사부(284a)에 지지된 채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재(280)가 상기 제1본체(101)의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280)의 움직임은 상기 이동안내슬릿(286)에 의해 안내된다. When the driving unit 250 is mov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102, the driving projection 290 is slid on the inclined portion 224a of the guide slit 224 formed on the fixing member 220 And is mov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102. At the same time, since the driving projection 290 moves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inclined portion 284a of the interlocking slit 284, the moving member 280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1 do.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280 is guided by the moving guide slit 286.

또한, 상기 구동돌기(290)는 상기 가이드슬릿(224)과 연동슬릿(284) 상에서 이중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돌기(290)가 상기 가이드슬릿(224) 상에서 이동할 때 상기 구동돌기(290)가 상기 고정부재(220)에 대해 상기 구동돌기(290)의 수평방향 이동거리만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연동슬릿(284)이 상기 구동돌기(290)에 의해 안내되므로 상기 연동슬릿(284)이 형성된 상기 이동부재(280)가 상기 구동돌기(29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돌기(290)가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되면, 상기 이동부재(280)가 상기 고정부재(220)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거리는 상기 구동돌기(29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의 두 배가 된다. 따라서,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동작 효율이 향상된다. Further, the driving projection 290 is moved in a double direction on the guide slit 224 and the interlocking slit 284. Therefore, when the driving projection 290 moves on the guide slit 224, the driving projection 29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horizontal movement distance of the driving projection 290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220 And the moving slider 284 is guided by the driving protrusion 290 so that the moving member 280 having the interlocking slit 284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protrusion 290 . That is, when the driving projection 290 is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tance by which the moving member 280 moves relative to the fixing member 220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y which the driving projection 29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total. Therefore,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improved.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돌기(290)가 상기 가이드슬릿(224)의 걸림부(224b) 및 상기 연동슬릿(284)의 걸림부(284b)에 위치되면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상기 제1본체(101)의 일면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걸림브라켓(258)의 선단은 상기 구동롤러(306)와 상기 원동돌기(320) 사이에 위치된다. 18, when the driving projection 290 is positioned at the engaging portion 224b of the guide slit 224 and the engaging portion 284b of the interlocking slit 284, Is projec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1). At this time, the leading end of the latching bracket 258 is positioned between the driving roller 306 and the driving protrusion 320.

즉, 구동돌기(290)는 상기 경사부(224a)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재(220)에 대한 상기 구동유닛(250) 및 이동부재(280)의 상대이동을 안내하는데 상 기 이동부재(280)의 상대이동으로 인해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상기 제1본체(101)의 일면으로 돌출된 경우, 구동돌기(290)가 상기 고정부재(224)의 걸림부(224b) 및 상기 이동부재(280)의 걸림부(284b)에 위치하므로 상기 주입력모듈(200)을 누르는 힘이 작용하여도 상기 이동부재(280)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That is, the driving projection 290 moves along the inclined portion 224a to guide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250 and the moving member 280 to the fixing member 220, and the moving member 280 When the main input module 200 protrudes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1 due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main body 101 and the second main body 101, The movable member 280 does not move even if a force pressing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applied.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돌출되어 상기 주입력모듈(200)과 상기 제2본체(102)의 디스플레이모듈(151)이 비슷한 수평면 상에 위치되면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조작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주입력모듈(200)로 터치스크린 등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1)과 상기 주입력모듈(200)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01)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The operation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facilitated when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protruded so that the main input module 200 and the display module 151 of the second main body 102 are located on a similar horizontal plane . When a touch screen or the like is used as the main input module 200, a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01 and the main input module 200, thereby extending the display module 101 .

이와 같이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2본체(102)가 상기 제1본체(101)에 겹쳐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원동돌기(320)가 상기 걸림브라켓(258)의 제2경사면(258)을 밀어 상기 구동돌기(290)를 상기 가이드슬릿(224)의 걸림부(224b) 및 상기 연동슬릿(284)의 걸림부(284b)에서 탈거시킨다. When the second main body 102 is slid in the direction of overlapping the first main body 101 in a state where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protrud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in body protrusion 320 protrudes from the first bracket 258 The second slope 258 is pushed to detach the drive projection 290 from the engagement portion 224b of the guide slit 224 and the engagement portion 284b of the interlocking slit 284.

그리고, 상기 제2본체(102)의 구동면(330)에 구비된 안내롤러(336)는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연동면(204)을 밀어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상기 제1본체(101)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한다. The guide roller 336 provided on the driving surface 330 of the second body 102 pushes the interlocking surface 204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so that the main input module 200 moves the first So as to move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이와 같이 상기 주입력모듈(200) 및 이동부재(280)가 상기 제1본체(101)의 바닥면으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돌기(290)가 상기 연동슬릿(284)에 안내되어 상기 구동유닛(250)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2본체(102)가 상기 제1본체(101)에 겹쳐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구동유닛(250)은 상기 제2본체(102)가 상기 제 1본체(101)의 일측으로 돌출될 때의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When the main input module 200 and the moving member 280 are mov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1, the driving protrusion 290 is guided by the interlocking slit 284, ). When the second body 102 is slid in a direc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body 101, the drive unit 25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body 102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101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탄성부재가 추가된 것으로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겠다. In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astic members are added for smooth operation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and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18 will be omitted.

도 19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1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20)에는 고정홀더(4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홀더(400)에는 탄성부재(41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410)는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410)는 일단이 상기 고정홀더(4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돌기(290)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재(410)는 상기 구동돌기(290)가 상기 제1본체(101)의 바닥면에 가까워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410)로는 판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igure, the fixing member 220 is provided with a fixed holder 400. The fixed holder 40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410. The elastic member 41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due to its shape and material propertie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410 is fixed to the fixing holder 40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driving projection 290. The elastic member 410 provides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driving projection 290 approache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101. As the elastic member 410, a leaf spring may be used.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410)가 상기 구동돌기(290) 및 상기 고정홀더(400)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돌기(290)에 탄성력을 제공하면 상기 제2본체(102)가 상기 제1본체(101)에 중첩되도록 슬라이딩될 때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When the elastic member 410 is fixed to the driving protrusion 290 and the fixing holder 400 and provides the elastic force to the driving protrusion 290, the second main body 102 is moved to the first main body 101 The operation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smoothly performed.

즉, 상기 구동돌기(290)가 상기 고정부재(224)의 걸림부(224b) 및 상기 이동부재(280)의 걸림부(284b)에서 탈거되면 상기 구동돌기(290)가 상기 탄성부재(410) 의 탄성력을 제공받게 되므로 상기 제2본체(102)의 안내롤러(336)와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연동면(204)에서 발생하는 마찰 저항이 줄어들게 된다. That is, when the driving projection 290 is detached from the engaging portion 224b of the fixing member 224 and the engaging portion 284b of the moving member 280, the driving projection 290 is pressed against the elastic member 410, The frictional resistance generated by the guide roller 336 of the second body 102 and the interlocking surface 204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reduced.

한편, 상기 고정부재(220)에는 가이드보스(42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보스(42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이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패널(210) 또는 상기 이동부재(280)에는 가이드핀(43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핀(430)은 상기 가이드보스(42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보스(420) 및 상기 가이드핀(430)은 상기 제2본체(102)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핀(430)은 상기 가이드보스(420) 내에서 이동하며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이동방향, 즉 돌출방향을 안내한다. Meanwhile, the fixing member 220 is provided with a guide boss 420. The guide boss 4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ts tip is opened. The mounting panel 210 or the moving member 280 is provided with a guide pin 430. The guide pin 43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guide boss 420. The guide boss 420 and the guide pin 430 are elong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102. The guide pin 430 moves in the guide boss 420 and guid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that is, the protruding direction.

도 20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2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보스(420)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510)이 구비된다. 상기 코일스프링(510)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보스(420)의 저면에 지지되고, 상기 코일스프링(510)의 상단은 상기 가이드핀(430)의 선단을 지지한다. 상기 코일스프링(510)은 상기 가이드핀(430)을 상기 가이드보스(420)의 바닥면에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In this figure, a coil spring 510 is provided inside the guide boss 420.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510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boss 420 and the upper end of the coil spring 510 supports the tip end of the guide pin 430. The coil spring 510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to move the guide pin 430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boss 420.

상기 코일스프링(510)은 상기 가이드보스(420)와 상기 가이드핀(4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부재(280) 또는 상기 장착패널(210)의 동작을 원활하게 한다. 즉, 상기 제2본체(102)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주입력모듈(200)을 노출시킬 때, 상기 코일스프링(510)은 상기 주입력모듈(200)이 상기 제1본체(101)의 바닥면에서 멀어 지도록 상기 가이드보스(4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주입력모듈(20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한다. The coil spring 510 is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boss 420 and the guide pin 430 to smoothly move the moving member 280 or the mounting panel 210. That is, when the second main body 102 is slid to expose the main input module 200, the coil spring 510 allows the main input module 200 to be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01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guide boss 42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main input module 200 is smooth.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각각 보인 사시도. FIG. 2 and FIG. 3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부재, 구동유닛 및 이동부재를 각각 보인 사시도.5 to 7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fixing member, a driving unit, and a moving memb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고정부재, 구동유닛 및 이동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xing member, the driving unit, and the moving memb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드프레임을 보인 사시도.9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lide fram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본체의 구성을 각각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12 and 1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main bod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2본체와 주입력모듈의 구성을 각각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14 and 1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and a main input modu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주입력모듈이 동작하는 모습을 단계적으로 보인 설명도.16 to 18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step in which the main input module operat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19 and 20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showing essential parts of another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단말기 101: 제1본체100: Terminal 101:

102: 제2본체 200: 주입력모듈102: second main body 200: main input module

204: 연동면 210: 장착패널204: interlocking surface 210: mounting panel

220: 고정부재 222: 고정몸체220: fixing member 222: fixing body

224: 가이드슬릿 224a: 경사부224: guide slit 224a:

224b: 걸림부 228: 연통공224b: engaging portion 228: communicating hole

230: 장착부 250: 구동유닛230: mounting part 250: drive unit

252: 구동몸체 254: 단차부252: driving body 254:

256: 고정홈 258: 걸림브라켓256: Fixing groove 258: Retaining bracket

258a: 제1경사면 258b: 제2경사면258a: first inclined plane 258b: second inclined plane

280: 이동부재 282: 이동몸체280: moving member 282: moving body

284: 연동슬릿 284a: 경사부284: Interlocking slit 284a:

284b: 걸림부 286: 이동안내슬릿284b: Retaining part 286: Moving guide slit

288: 체결부 290: 구동돌기288: fastening portion 290: driving projection

290': 플랜지부 292: 안내돌기290 ': flange portion 292: guide projection

300: 슬라이드프레임 301: 가이드채널300: slide frame 301: guide channel

302: 지지리브 304: 장착부재302: support rib 304: mounting member

306: 구동롤러 308: 체결구306: drive roller 308: fastener

310: 가이드부 320: 원동돌기310: guide portion 320: prime protrusion

330: 구동면 336: 안내롤러330: driving surface 336: guide roller

400: 고정홀더 410: 탄성부재400: Fixing holder 410: Elastic member

420: 가이드보스 430: 가이드핀420: guide boss 430: guide pin

510: 코일스프링510: coil spring

Claims (23)

주입력모듈이 구비되는 제1본체;A first main body having a main input module; 상기 제1본체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주입력모듈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본체;A second body slidable along one side of the first body to selectively expose the main input module; 상기 제1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A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body; 상기 고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본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구동유닛; 및A driving unit movably supported by the fixing member and moved in conjunction with sliding of the second main body; And 상기 주입력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주입력모듈을 상기 제1본체의 일면으로 돌출시키도록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And a moving member mounted on the main input module and moving to project the main input modul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상기 구동유닛에는 구동돌기가 구비되고, Wherein the drive unit is provided with a drive projection,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는 각각 상기 구동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릿과 연동슬릿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Wherein the guide slit and the linking slit are inclined toward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t portions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이드슬릿과 연동슬릿은 각각, The guide slit and the interlocking slit, respectively,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부; 및An inclined portion for guiding a relativ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xed member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e unit; And 상기 경사부의 일단에서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n engag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이드슬릿과 연동슬릿은,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Wherein the guide slit and the interlocking slit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 movement axis of the drive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구동돌기는, 상기 고정부재 및 이동부재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슬릿과 상기 연동슬릿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Wherein the driving projection is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fixing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and is supported by the guide slit and the interlocking sl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주입력모듈이 구비되는 제1본체;A first main body having a main input module; 상기 제1본체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주입력모듈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본체;A second body slidable along one side of the first body to selectively expose the main input module; 상기 제1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A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body; 상기 고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본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구동유닛; 및A driving unit movably supported by the fixing member and moved in conjunction with sliding of the second main body; And 상기 주입력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주입력모듈을 상기 제1본체의 일면으로 돌출시키도록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And a moving member mounted on the main input module and moving to project the main input modul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이동안내슬릿이 상기 주입력모듈의 돌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Wherein a moving guide slit for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is elongate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main input module, 상기 고정부재에는, 안내돌기가 상기 이동안내슬릿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Wherein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guide projection through the movement guide slit. 주입력모듈이 구비되는 제1본체;A first main body having a main input module; 상기 제1본체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주입력모듈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본체;A second body slidable along one side of the first body to selectively expose the main input module; 상기 제1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A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body; 상기 고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본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구동유닛; 및A driving unit movably supported by the fixing member and moved in conjunction with sliding of the second main body; And 상기 주입력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주입력모듈을 상기 제1본체의 일면으로 돌출시키도록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And a moving member mounted on the main input module and moving to project the main input modul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상기 제2본체에는,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프레임이 구비되고, Wherein the second body is provided with a slide fram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drive unit, 상기 구동유닛에는,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에 걸어지는 걸림브라켓이 돌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Wherein the drive unit is provided with a latching bracket protruding from the slide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주입력모듈이 구비되는 제1본체;A first main body having a main input module; 상기 제1본체의 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주입력모듈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본체;A second body slidable along one side of the first body to selectively expose the main input module; 상기 제1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A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body; 상기 고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본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구동유닛; 및A driving unit movably supported by the fixing member and moved in conjunction with sliding of the second main body; And 상기 주입력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주입력모듈을 상기 제1본체의 일면으로 돌출시키도록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And a moving member mounted on the main input module and moving to project the main input module to one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상기 제2본체와 상기 주입력모듈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각각 구동면과 연동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Wherein a driving surface and an interlocking surface are formed at respective opposite portions of the main body and the main input module, 상기 제2본체의 구동면에는 상기 연동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회전하는 안내롤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Wherein the driving surface of the second body is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that selectively rotates in contact with the interlocking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주입력모듈이 구비되는 제1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A fixing member fixed to a first body having a main input module; 상기 주입력모듈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제2본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대이동되는 구동유닛; 및A driving unit that is moved relative to the fixing member in association with the sliding of the second main body selectively exposing the main input module; And 상기 주입력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제2본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유닛에 대해 상대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And a moving member mounted on the main input module and moved relative to the driving unit in association with sliding of the second main body,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는 각각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릿과 연동슬릿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Wherein a guide sli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rive unit and an interlocking slit are inclined toward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stationary member and the movable member, 상기 구동유닛에는 상기 가이드슬릿과 상기 연동슬릿에 지지되는 구동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Wherein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driving projection supported by the guide slit and the interlocking sli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17930A 2009-03-03 2009-03-03 Mobile terminal KR1016046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930A KR101604687B1 (en) 2009-03-03 2009-03-03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930A KR101604687B1 (en) 2009-03-03 2009-03-03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437A KR20100099437A (en) 2010-09-13
KR101604687B1 true KR101604687B1 (en) 2016-03-18

Family

ID=4300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930A KR101604687B1 (en) 2009-03-03 2009-03-03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68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0667A4 (en) * 2020-04-08 2023-1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3760A (en) * 2005-08-12 2007-03-01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3760A (en) * 2005-08-12 2007-03-01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437A (en) 201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4826B2 (en)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337882B2 (en) Mobile terminal
US8180417B2 (en) Portable terminal
KR101570416B1 (en) Mobile terminal
US8116834B2 (en) Mobile terminal with tilting display
JP5722847B2 (en) Mobile terminal
KR101923472B1 (en) Socket module and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35029B1 (en) Mobile terminal
KR101602229B1 (en) Portable terminal
KR101792502B1 (en) Mobile terminal
KR101760747B1 (en) Mobile terminal
KR101604687B1 (en) Mobile terminal
KR101427258B1 (en) Portable terminal
US8140136B2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830736B1 (en) Mobile terminal
KR101662082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101545598B1 (en) Mobile terminal
KR100648643B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KR101545571B1 (en) Portable terminal
KR101984087B1 (en) Mobile terminal
KR101718017B1 (en) Mobile terminal
KR101934291B1 (en) Mobile terminal
KR101793069B1 (en) Mobile terminal
KR101750341B1 (en) Camera unit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474449B1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