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366B1 - 구명벌 투하 유닛 - Google Patents

구명벌 투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366B1
KR101599366B1 KR1020140117954A KR20140117954A KR101599366B1 KR 101599366 B1 KR101599366 B1 KR 101599366B1 KR 1020140117954 A KR1020140117954 A KR 1020140117954A KR 20140117954 A KR20140117954 A KR 20140117954A KR 101599366 B1 KR101599366 B1 KR 101599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gion
moving
rotatio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효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62Fastening or storing of boats on deck
    • B63B23/64Lashing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0Devices for guiding boats to water surface
    • B63B23/32Rigid guides, e.g. having arms pivoted near waterl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구명벌 투하 유닛이 개시된다. 구명벌 투하 유닛은 중력에 의해 낮은 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물질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이동 물질의 이동에 따른 무게 중심 변화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설치되는 회전 힌지부;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상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높이 변화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부착되는 제1 연결 힌지부; 및 하측 영역에 상기 제1 연결 힌지부에 연결바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제2 연결 힌지부가 설치되고, 구명편을 안착시키는 크래들을 고정하도록 고정 로프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에 관통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명벌 투하 유닛{Life-raft release unit}
본 발명은 구명벌 투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내부에는 선박의 침몰시 승객 또는 선원을 구조하기 위하여 구명보트 또는 구명벌(life-raft)과 같은 구명 장치가 설치된다.
구명벌은 평상시에는 흰색 원통형 용기 속에 압축되어 있다가 필요시 수동으로 물에 빠트려 터트릴 수도 있고, 선박이 물속으로 가라앉는 경우 일정한 수압에 도달하면 압력 고리가 풀리면서 자동으로 터져 부풀어 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명벌이 완전히 펼쳐지면 커다란 튜브 위에 천막을 씌운 모양이 된다. 구명벌은 통상적으로 선박의 갑판 상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7950호(구명벌 지지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체 측면에 형성된 개구 내측 바닥면 상에 위치되는 지지대에 안착되어 있도록 형성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구명벌 지지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벌(100)은 힌지부(120)에 의해 일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V자 형상으로 유지되는 제1 및 제2 크래들(110a, 110b)의 상부에 배치되어 유지된다.
즉, 제1 크래들(110a)의 타 단부는 고정축(115)에 고정되고, 제2 크래들(110b)의 타 단부는 고정 로프(125)의 일 단부에 고정되며, 고정 로프(125)는 구명벌(100)을 고정하도록 설치되어 고정 로프(125)의 타 단부가 고정축(115)의 일 측에 고정된 슬립 후크(slip hook)(130)에 고정된다.
이때, 제2 크래들(110b)의 타 단부와 슬립 후크(130)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고정 로프(125)의 장력에 의해 제2 크래들(110b)의 타 단부가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 및 제2 크래들(110a, 110b)이 V자 형상을 이루게 됨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명벌(100)은 제1 및 제2 크래들(110a, 110b)에 거치된 상태로 유지되되, 위험상황에서 선원 등 전문 인력이 슬립 후크(130)를 조작하여 고정 로프(125)를 분리시켜 구명벌(100)을 투하시키거나, 선박의 침몰에 따른 부력으로 구명벌(100)이 해상으로 부상될 수 있다. 구명벌(100)이 터져 부풀어오르도록 하기 위해 압력 고리에 연결되는 압력 로프(135)가 선체의 일 측과 구명벌(100)의 일 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구명벌 지지 장치는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선원 등 해양 전문 인력이 없고, 선박이 완전히 침몰하지 않고 서시히 기울어 침수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명 구조를 위해 적절한 시기에 구명벌이 해상에 투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7950호(구명벌 지지장치)
본 발명은 구명벌을 투하할 수 있는 전문 요원이 존재하지 않고, 선박이 급격히 침몰하지 않고 서서히 기울어져 침몰하더라도 승선원들의 안전을 위해 적절한 시기에 자동으로 구명벌이 바다에 투하될 수 있도록 하는 구명벌 투하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력에 의해 낮은 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물질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이동 물질의 이동에 따른 무게 중심 변화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설치되는 회전 힌지부;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상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높이 변화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부착되는 제1 연결 힌지부; 및 하측 영역에 상기 제1 연결 힌지부에 연결바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제2 연결 힌지부가 설치되고, 구명편을 안착시키는 크래들을 고정하도록 고정 로프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에 관통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구명편 투하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본체부의 내측 공간은 안정 영역, 이동 영역 및 좌초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이동 영역에는 상기 본체부가 수평인 상태에서 상기 안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좌초 영역에 접근할수록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미리 지정된 기준 기울기 각도를 가지는 경사형 경로인 이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가 상기 기준 기울기 각도이상 기울어지면 상기 안정 영역에 수용된 상기 이동 물질이 상기 이동 영역을 통해 상기 좌초 영역으로 유입되고, 상기 이동 물질의 유입에 의해 상대적으로 무게가 증가되는 상기 좌초 영역의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전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상기 좌초 영역의 방향으로의 회전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1 연결 힌지부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연결 힌지부에 연결바를 개재하여 연결된 제2 연결 힌지부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부에 고정된 상기 고정 로프의 고리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의 주변에는 상기 걸림부의 이동 방향을 규정하기 위한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안정 영역의 수직 하부에는 상기 회전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탄성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물질은 모래, 자갈, 물, 기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명벌을 투하할 수 있는 전문 요원이 존재하지 않고, 선박이 급격히 침몰하지 않고 서서히 기울어져 침몰하더라도 승선원들의 안전을 위해 적절한 시기에 자동으로 구명벌이 바다에 투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구명벌 지지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편 투하 유닛을 구비한 구명벌 지지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구명벌 투하 유닛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벌 투하 유닛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벌 투하 유닛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편 투하 유닛을 구비한 구명벌 지지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구명벌 투하 유닛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벌 투하 유닛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벌 투하 유닛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구명벌 지지 장치는 제1 및 제2 크래들(110a, 110b), 고정축(115), 힌지부(120)(이하, 타 힌지부들과의 구별을 위해 크래들 힌지부(120)와 칭함), 고정 로프(125) 및 구명벌 투하 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구명벌 지지 장치가 구명벌(100)이 펼쳐지도록 하기 위한 압력 로프(135)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크래들(110a)과 제2 크래들(110b)의 일 단부는 각각 크래들 힌지부(120)에 의해 결합되고, 제1 크래들(110a)의 타 단부는 고정축(115)의 일 측에 고정되며, 제2 크래들(110b)의 타 단부는 고정 로프(125)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 로프(125)에 걸리는 장력에 의해 제2 크래들(110b)은 위해 크래들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 및 제2 크래들(110a, 110b)은 구명벌(100)을 안착시키기 위한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구명벌(100)을 안착시키기 위한 크래들의 형상이 도 2에 예시된 제1 및 제2 크래들(110a, 110b)의 결합 구조로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제1 크래들(110a)과 제2 크래들(110b)이 형성한 공간 내에서 구명벌(100)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 로프(125)는 제1 크래들(110a)의 타 단부와 구명벌 투하 유닛(21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고정 로프의 일 단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명벌 투하 유닛(210)의 걸림부(345)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고정 로프(125)의 일 단을 고정하는 구명벌 투하 유닛(21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구명벌 투하 유닛(210)은 본체부(310), 회전 힌지부(315), 탄성부(320), 고정부(325), 제1 및 제2 연결 힌지부(330, 340), 연결바(335), 걸림부(345) 및 가이드(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공간이 좌초 영역, 이동 영역 및 안정 영역 등으로 구획된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고, 안정 영역에는 본체부(310)의 자세(즉, 선박의 자세)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지점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 물질(410)이 수용된다. 이동 물질(410)은 예를 들어 모래, 자갈, 물, 기름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동 영역은 안정 영역 내에 수용된 이동 물질(410)이 좌초 영역으로 이동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며, 이동 영역에 형성된 이동 물질(410)의 이동 경로는 안정 영역으로부터 좌초 영역으로 접근할수록 점차 높아지도록 소정의 기준 기울기 각도(예를 들어 기울기 각도 α)를 가지는 경사형(傾斜形) 경로일 수 있다. 기울기 각도는 선박이 해당 각도만큼 기울어졌을 때 좌초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각도이며, 예를 들어 선박의 종류 및/또는 해상 법규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동 영역에 경사형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안정 영역 내에 수용된 이동 물질(410)이 좌초 영역으로 무분별하게 이동됨을 방지하되, 선박이 좌초한 것으로 인정되는 각도만큼 기울어졌을때는 이동 물질(410)이 용이하게 좌초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 기준 기울기 각도 이하로 기울어진 경우라면 이동 물질(410)이 이동 영역으로 이동될지라도 좌초 영역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선박이 정상 운항하는 동안에도 파도 등으로 좌우로 기우는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동 물질(410)이 일부 좌초 영역으로 유입될지라도 선박이 짧은 시간내에 복원력에 의해 평형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또한 탄성부(320)의 복원력에 의해 좌초 등의 위험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좌초 영역으로 유입되는 이동 물질(410)의 양은 미미한 수준이 된다. 탄성부(320)의 탄성력(예를 들어 스프링 상수)은 선박의 종류와 운동 성능에 따라 설계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선박이 기준 기울기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 영역에 위치하던 이동 물질(410)이 좌초 영역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좌초 영역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부(310)는 회전 힌지부(315)를 중심으로 좌초 영역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좌초 영역의 무게가 점차 증가하게 되어, 탄성부(320)의 인장 한계를 초과하면 탄성부(320)는 복원력을 상실하게 되고, 좌초 영역쪽으로 급격히 기울어지게 된다. 그러나 만일 탄성부(320)의 인장 한계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선박이 평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탄성부(320)의 복원력에 의해 본체부(310)는 회전 힌지부(315)를 중심으로 다시 안정 영역쪽으로 회전하여 본래의 자세(즉, 선박이 정상적으로 운항할 때의 본체부(310)의 자세)로 복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부(310)는 내부 공간 중 안정 영역에 수용된 이동 물질(410)이 선박의 자세 기울어짐에 의해 이동 영역을 통해 좌초 영역으로 이동되고, 좌초 영역으로 유입된 이동 물질(410)이 많아질수록 좌초 영역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어, 회전 힌지부(315)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무거운 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310)의 하측에는 본체부(310) 내부의 이동 물질(410)의 이동에 따른 무게 변화 및/또는 탄성부(320)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부(310)가 좌초 영역 방향 또는 안정 영역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 힌지부(315)가 설치된다.
회전 힌지부(315)는 본체부(310)가 회전 힌지부(315)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축(115)에 위치 고정될 수 있고, 회전 힌지부(315)는 예를 들어 수직적으로 본체부(310)의 이동 영역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310)의 일측에는 제1 연결 힌지부(330)가 부착될 수 있고, 제1 연결 힌지부(330)는 연결바(335)를 개재하여 걸림부(345)의 하부에 부착된 제2 연결 힌지부(3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힌지부(330)는 예를 들어 본체부(310)의 좌초 영역에 수평적으로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물질(410)이 안정 영역으로부터 이동 영역을 통해 좌초 영역으로 이동되어 좌초 영역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워지게 되면, 본체부(310)는 회전 힌지부(315)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좌초 영역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본체부(310)의 회전에 의해 제1 연결 힌지부(330)가 회전 힌지부(315)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하측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연결바(335)에 의해 연결된 제2 연결 힌지부(340)와 걸림부(345)도 제1 연결 힌지부(330)의 회전 이동에 상응하여 이동하게 된다.
제2 연결 힌지부(340)와 걸림부(345)의 이동 방향을 규정하기 위해 걸림부(345)의 주변에 가이드(35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350)는 예를 들어 판(板) 형상으로 걸림부(345)의 주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걸림부(345)를 내측의 관통 홀에 삽입시키는 관(管) 형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회전 힌지부(315)를 중심으로 하는 제1 연결 힌지부(330)의 하측 방향으로의 회전 이동에 의해, 연결바(335)를 통해 연결된 제2 연결 힌지부(340)와 걸림부(345)는 가이드(350)가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5의 (a) 및 (b) 참조).
좌초 영역의 무게가 점차 무거워져 본체부(310)가 회전 힌지부(315)를 중심으로 좌초 영역쪽으로 더 회전되어 제1 연결 힌지부(330)가 소정 길이 이상 이동하게 되면, 이에 상응하도록 제2 연결 힌지부(340) 및 걸림부(345)도 가이드(350)가 형성하는 경로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고정 로프(125)의 말단에 형성된 고리가 걸림부(345)로부터 분리된다(도 5의 (c) 참조).
걸림부(345)에서 고정 로프(125)의 말단에 형성된 고리가 분리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크래들(110a, 110b)를 V자 형상으로 유지하던 장력이 제거되고, 따라서 제1 및 제2 크래들(110a, 110b)의 상부에 안착되어 있던 구명벌(100)이 해상으로 투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명벌 투하 유닛(210)은 선박의 기울어짐에 의해 본체부(310)의 안전 영역 내에 수용된 이동 물질(410)이 좌초 영역으로 이동하여 좌초 영역의 무게를 증가시킴에 의해 본체부(310)가 회전 힌지부(315)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걸림부(345)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하고, 걸림부(345)의 하방향 이동에 의해 고정 로프(125)의 고리가 걸림부(345)로부터 분리되어 구명벌(100)이 해상으로 자동 투하되도록 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물론 선박에 승선한 전문 요원도 걸림부(345)로부터 고정 로프(125)의 고리를 분리하는 작업만으로 구명벌(100)이 해상에 투하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구명벌 110a : 제1 크래들
110b : 제2 크래들 115 : 고정축
120 : 힌지부 125 : 고정 로프
130 : 슬립 후크 135 : 압력 로프
210 : 구명벌 투하 유닛 310 : 본체부
315 : 회전 힌지부 320 : 탄성부
325 : 고정부 330 : 제1 연결 힌지부
335 : 연결바 340 : 제2 연결 힌지부
345 : 걸림부 350 : 가이드

Claims (6)

  1. 중력에 의해 낮은 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물질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이동 물질의 이동에 따른 무게 중심 변화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설치되는 회전 힌지부;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상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높이 변화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부착되는 제1 연결 힌지부; 및
    하측 영역에 상기 제1 연결 힌지부에 연결바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제2 연결 힌지부가 설치되고, 구명편을 안착시키는 크래들을 고정하도록 고정 로프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에 관통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구명편 투하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측 공간은 안정 영역, 이동 영역 및 좌초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이동 영역에는 상기 본체부가 수평인 상태에서 상기 안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좌초 영역에 접근할수록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미리 지정된 기준 기울기 각도를 가지는 경사형 경로인 이동 경로가 형성되는, 구명편 투하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기준 기울기 각도이상 기울어지면 상기 안정 영역에 수용된 상기 이동 물질이 상기 이동 영역을 통해 상기 좌초 영역으로 유입되고,
    상기 이동 물질의 유입에 의해 상대적으로 무게가 증가되는 상기 좌초 영역의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전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명편 투하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좌초 영역의 방향으로의 회전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1 연결 힌지부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연결 힌지부에 연결바를 개재하여 연결된 제2 연결 힌지부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부에 고정된 상기 고정 로프의 고리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분리되는, 구명편 투하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주변에는 상기 걸림부의 이동 방향을 규정하기 위한 가이드가 설치되는, 구명편 투하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안정 영역의 수직 하부에는 상기 회전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탄성부가 설치되는, 구명편 투하 유닛.
KR1020140117954A 2014-09-04 2014-09-04 구명벌 투하 유닛 KR101599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954A KR101599366B1 (ko) 2014-09-04 2014-09-04 구명벌 투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954A KR101599366B1 (ko) 2014-09-04 2014-09-04 구명벌 투하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366B1 true KR101599366B1 (ko) 2016-03-07

Family

ID=5554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954A KR101599366B1 (ko) 2014-09-04 2014-09-04 구명벌 투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3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987B1 (ko) * 2018-01-10 2018-03-02 최재도 텔레스코픽 보트 데빗
KR20180039427A (ko) * 2016-10-10 2018-04-18 김덕후 수중 집어등이 구비된 선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5823A (en) * 1976-11-12 1978-01-03 James Walter Lorenzen Hydrostatically activated release mechanism
US5365873A (en) * 1992-11-04 1994-11-22 Smith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Hydrostatic pressure sensors
US5573343A (en) * 1994-04-07 1996-11-12 Simon Cash-Read Hydrostatic release device
WO2004063003A1 (en) * 2003-01-08 2004-07-29 Garrick Ross Johnson Release mechanism
KR20120017950A (ko) 2010-08-20 2012-02-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명벌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5823A (en) * 1976-11-12 1978-01-03 James Walter Lorenzen Hydrostatically activated release mechanism
US5365873A (en) * 1992-11-04 1994-11-22 Smith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Hydrostatic pressure sensors
US5573343A (en) * 1994-04-07 1996-11-12 Simon Cash-Read Hydrostatic release device
WO2004063003A1 (en) * 2003-01-08 2004-07-29 Garrick Ross Johnson Release mechanism
KR20120017950A (ko) 2010-08-20 2012-02-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명벌 지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9427A (ko) * 2016-10-10 2018-04-18 김덕후 수중 집어등이 구비된 선박
KR101883640B1 (ko) * 2016-10-10 2018-07-31 김덕후 수중 집어등이 구비된 선박
KR101833987B1 (ko) * 2018-01-10 2018-03-02 최재도 텔레스코픽 보트 데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0183B2 (en) Ship having anti-sinking and anti-capsize device for emergency
US5765500A (en) Life rafts on ships
KR101599366B1 (ko) 구명벌 투하 유닛
AU2009290122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underwater deployment of a structure
KR101620916B1 (ko) 길이 및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 자유 낙하식 구명정 진수장치
KR101626348B1 (ko) 에어매트를 이용한 구명보트 진수장치
KR101732663B1 (ko) 회전 타워형 구명정 진수 장치
GB2552345A (en) Anchor roller and rode guide
US3981036A (en) Life saving buoy for small vessels
KR10205079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KR102116262B1 (ko) 수상 조난자를 위한 선박용 구조장치
KR101984979B1 (ko) 선박 또는 해양 설비용 탈출 장치
KR102050798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SE507965C2 (sv) Räddningsflotte
KR20130006819U (ko) 펜더 계류 시스템 및 펜더 계류 방법
JP2017099334A (ja) 水汲み用バケツ
JP6772427B2 (ja) フロート取付装置、サイドフロート装置及びサイドフロート装置を含む船舶
KR101929438B1 (ko) 구명정용 자가복원장치
KR102237023B1 (ko) 구명구 제공장치
KR20170030340A (ko) 해양 구조물의 비상 탈출 장치
US6984157B2 (en) Motor mounting mechanism
KR20200014542A (ko)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US1115028A (en) Life-buoy.
KR102006901B1 (ko) 해상플랫폼용 개인 긴급 탈출 장치
KR20150134179A (ko) 수중 낙하산을 이용한 자유 낙하식 구명정 진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