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450B1 - Bucket - Google Patents

Bu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450B1
KR101598450B1 KR1020140108527A KR20140108527A KR101598450B1 KR 101598450 B1 KR101598450 B1 KR 101598450B1 KR 1020140108527 A KR1020140108527 A KR 1020140108527A KR 20140108527 A KR20140108527 A KR 20140108527A KR 101598450 B1 KR101598450 B1 KR 101598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ore
bucket
rib
suppor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5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근영
권재욱
조구형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Priority to KR1020140108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4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45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endless scraping or elevating pick-up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1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rotary pick-up conveyors
    • B65G65/20Paddle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은, 광석을 담도록 수용홈을 가진 본체; 및 수용된 광석을 지지하면서 광석이 상기 수용홈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수용홈을 이루되 통기성 구조인 부착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기성 구조로서 그물부재로 수용홈이 형성된 부착방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수용된 광석을 지지하면서 광석이 수용홈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광으로 인하여 수용홈 내부의 부피가 줄어들지 않도록 하고, 부착광을 제거하기 위한 정비시간의 낭비를 막음으로써 하역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착탈되는 리브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손상 시 리브수단만을 교체함에 따라 교체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리브수단을 받침지지하는 리브보강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리브수단을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용홈의 개구부에 차단수단이 구성됨으로써, 괴광이 인입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후속공정의 슈트와 같은 설비에서의 막힘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u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containing ore; And means for preventing the attachment of the ore to prevent the ore from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while supporting the ore being accommodat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preventive means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by the mesh members as the air permeable structure is provided, whereby the ores can be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receiving grooves while supporting the or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nloading efficiency by preventing the volume of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from being reduced due to the adhering light and by avoiding the waste of the maintenance time for removing the adhering light.
In addition, since the rib means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time for replacing only the rib means upon damage, and the rib reinforcement means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rib means is provided, Can be reinforc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cking means is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clogging in a facility such as a chute in a subsequent process, by blocking the entry of light.

Description

버킷{Bucket}Bucket {Bucket}

본 발명은 버킷으로서, 하역효율을 증대시키고 정비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키는 버킷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et which increases the cargo efficiency and reduces maintenance time and cost.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 조업시 연원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컨베이어 등의 운송설비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Generally, iron ore and coal, which are used as raw materials for the blast furnace operation in steel mills, are transported by ship, unloaded at the pier, and then transported to the yard of the factory through conveying equipment such as belt conveyor.

여기에서,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연원료는, 연속식 하역기의 엘리베이터 포스트에 연속적으로 부착된 버킷(Bucket)을 이용하여 선박의 외부로 이송된다.Here, the raw material such as coal or iron ore that is loaded on the vessel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vessel by using a bucket continuously attached to the elevator post of the continuous unloading machine.

이때, 연속식 하역기(CSU; Continuous Ship Unloader)는, 부두를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의 상측으로 붐이 설치되며, 붐의 일측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포스트를 따라 무한궤도형태로 복수의 버킷이 이동한다.At this time, a continuous ship unloader (CSU) is provided with a boom on the upper side of a traveling part moving along the wharf, and a plurality of buckets are moved in an endless track manner along an elevator pos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om.

이러한 버킷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킷 엘리베이터(10)의 풋(11) 부분에서 연원료인 광석을 버킷(1)으로 굴삭한 후, 버킷 엘리베이터(10)의 최상부로 이송하여, 디스차지 슈트(12), 스파이럴 슈트(13), 붐 컨베이어(14), 붐 컨베이어 디스차지 슈트(15), 호퍼(17), 겐트리 컨베이어(Gantry conveyor, 18), 겐트리 컨베이어 디스차지 슈트(19)를 통하여 부두 컨베이어(20)로 하역되게 되는 구성을 이룬다.
The construction of such a bucket elevator type continuous unloading machine is such that the ore which is the raw material at the foot 11 portion of the bucket elevator 10 is excavated into the bucket 1 and then the bucket elevator 10 is moved, The spiral chute 13, the boom conveyor 14, the boom conveyor discharge chute 15, the hopper 17, the gantry conveyor 18, And is unloaded to the dock conveyor 20 through the tree conveyor discharge chute 19.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버킷으로서 휘어지거나 파손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버킷을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buckets or broken bucke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s. 4 and 5 are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bucket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버킷(1)은 광석을 담는(수용하는) 수용홈(1a) 내부가 전체적으로 외부와 차단된 밀폐된 구조를 지닌다. 즉, 수용홈(1a)에서 개구부를 제외한 부분이 모두 막힌 구조를 취하는데, 이로 인하여 니켈과 같이 수분함량이 높은 광석을 담아서 운반하는 경우 버킷(1) 내부에 광석이 부착되는 부착광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부착광의 발생으로 인하여 수용홈(1a) 내부의 부피가 줄어듦으로써 하역효율이 저하되고, 아울러 부착광을 제거하기 위한 정비시간이 소요됨으로써 하역효율이 떨어지며, 이때 정비를 위한 노동부하도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ucket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closed structure in which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a for receiving or receiving ore is entirely blocked from the outside. In other words, when the ore having a high water content such as nickel is carried and carried in the receiving groove 1a, a part of the buckets 1 except for the openings is clogged, . Since the volume of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a is reduced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adhering light, the unload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maintenance time for removing the adhering light is required, resulting in a lowering of the unloading efficiency. .

또한, 버킷(1)으로 광석을 긁어서 담는 과정에서 버킷(1)의 이동경로에 간섭되는 위치의 광석을 버킷(1)이 지나칠 때, 광석에 의해 버킷(1)이 큰 힘으로 압박됨으로써 휘거나 종국에는 파손된다. 특히, 버킷(1)에서 수용홈(1a)의 개구부 테두리(1b)는 광석을 용이하게 인입시켜 담기 위해 외측으로 확장경사진 구조를 취하는데, 사용함에 따라 이러한 테두리(1b) 부위의 훼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때, 버킷(1)이 전체적으로 일체형 구조를 취함으로써, 사용 중 버킷(1)이 손상되거나 파손된 경우 버킷(1) 전체를 모두 교체해야 함에 따라, 비용적인 큰 손실이 발생하는 한계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bucket 1 passes the ore at a position where it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bucket 1 in the course of scraping or ore loading the bucket 1, the bucket 1 is pressed by the ore with a large force, Eventually, it is destroyed. Particularly, in the bucket 1, the opening rim 1b of the receiving groove 1a takes an extended inclined structure to accommodate and accommodate the ore easily. When the rim 1b is damaged frequently, . At this time, since the bucket 1 has an integral structure as a whole, when the bucket 1 is damaged or broken during use, the entire bucket 1 needs to be replaced in its entirety, which results in a costly large loss.

그리고, 광석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괴광이 버킷(1)에 담겨져서 운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후속공정에서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식 하역기의 버킷 엘리베이트(10) 상부에서 광석의 운반라인이 회전하여 광석을 붐 컨베이어(14)로 옮기게 되는데, 이와 같은 운반라인의 회전구간인 로터리 피더(Rotary Feeder)에 위치된 디스차지 슈트(12)와 스파이럴 슈트(13)를 괴광이 통과하지 못하고 끼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슈트를 막는 괴광을 제거하기 위해 정비하게 되는 경우 이러한 정비시간으로 인하여 하역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In this case, clogging may occur in a subsequent process. In this case, a large amount of light, which is relatively large in size, may be contained in the bucket 1 and be transporte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 the ore conveying line is rotated on the bucket elevator 10 of the continuous unloading machine to transfer the ore to the boom conveyor 14. The rotary feeder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discharge chute 12 and the spiral chute 13 located in the rotary feeder are caugh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trange light. In the case of repairing to remove the strangeness blocking the chut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nloading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such maintenance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하역효율을 증대시키고 정비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키는 버킷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cket which improves the unloading efficiency and reduces maintenance time and co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킷은, 광석을 담도록 수용홈을 가진 본체; 및 수용된 광석을 지지하면서 광석이 상기 수용홈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수용홈을 이루되 통기성 구조인 부착방지수단;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uck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containing ore; And means for preventing the attachment of the ore to prevent the ore from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while supporting the ore being accommodated.

여기에서, 상기 부착방지수단은, 상기 수용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그물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attachment preventing means may include a net member which forms all or a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이때, 상기 그물부재는 체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et member may be formed as a chain.

이에 더하여, 상기 부착방지수단은,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상기 그물부재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홈 내부에서 상기 그물부재를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tachment preven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net member in the receiving groove so as to prevent the net member from sagging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이때, 상기 내측 지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수용홈 내부에 착탈되게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support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ed from the receiving groove of the main body.

그리고, 상기 부착방지수단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그물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용홈 외부에서 상기 그물부재를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attachment prevent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support member that supports the mesh member outside the accommodation groove with the mesh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pport member and the inner support member.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수용홈의 개구부 테두리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경사지며, 상기 본체에 비일체형으로서 착탈되게 제공되는 리브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receiving unit having a receiving groov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리브수단을 받침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고정된 리브보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ib reinforcement means fixed to the main body so as to support the rib means.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수용홈에 광석 중 괴광이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용홈의 개구부에 제공되는 차단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means provided in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to block the ingot of the ore from entering the receiving groove.

이때,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수용홈의 개구부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배치된 차단바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locking means may be a blocking bar arranged at an angle to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버킷은, 통기성 구조로서 그물부재로 수용홈이 형성된 부착방지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수용된 광석을 지지하면서 광석이 수용홈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광으로 인하여 수용홈 내부의 부피가 줄어들지 않도록 하고, 부착광을 제거하기 위한 정비시간의 낭비를 막음으로써 하역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bu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the attachment preventing means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by the mesh members as the air permeable structure, so that the ores can be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receiving grooves while supporting the or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nloading efficiency by preventing the volume of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from being reduced due to the adhering light and wasting maintenance time for removing the adhering light.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착탈되는 리브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손상 시 리브수단만을 교체함에 따라 교체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리브수단을 받침지지하는 리브보강수단이 구성됨으로써, 리브수단을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In addition, since the rib means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time for replacing only the rib means upon damage, and the rib reinforcement means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rib means is provided, It is advantageous to reinforce.

그리고, 본 발명은 수용홈의 개구부에 차단수단이 구성됨으로써, 괴광이 인입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후속공정의 슈트와 같은 설비에서의 막힘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clogging phenomenon in a facility such as a chute in a subsequent process can be prevented by blocking the entrance of the strangeness by forming the blocking means in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도 1은 버킷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버킷으로서 휘어지거나 파손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버킷을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버킷을 나타낸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1은 버킷에 수분함량이 높은 광석을 담는 경우에 광석을 들어올릴 때와 내릴 때의 버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버킷에 수분함량이 낮은 광석을 담는 경우에 광석을 들어올릴 때와 내릴 때의 버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tinuous unloading unit of a bucket elevator type.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buckling or breakage as bucke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Figs. 4 and 5 are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the bucket of Fig. 2;
6 to 8 are views showing a bu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and 10 are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bucket of Fig. 6;
FIG. 11 is a view showing a bucket when lifting or lowering an ore in the case of containing an ore having a high moisture content in the bucket,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bucket when lifting ore is lifted, Fig.

본 발명의 버킷은, 하역효율을 증대시키고 정비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해, 부착광 발생을 방지하는 부착방지수단, 교체가 가능한 리브수단, 상기 리브수단을 보강하는 리브보강수단, 괴광의 인입을 차단하는 차단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bu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attachment preventive means for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adhering light, a replaceable rib means, a rib reinforcement means for reinforcing the rib means, And a blocking means for blocking the light is constructed.

이하, 본 발명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버킷을 나타낸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6 to 8 are views showing a bu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are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bucket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광석을 담도록 수용홈(110a)을 가진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수용홈(110a)을 이루되 광석이 수용홈(110a)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부착방지수단(120)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ain body 110 having a receiving groove 110a for containing ore and an ore 110a of the main body 110 ar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120) configured to prevent an undesired phenomenon.

여기에서, 상기 본체(110)는 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수용홈(110a)이 형성되는데, 버킷(100)이 이동 시 이러한 수용홈(110a)의 개구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개구부를 통해 수용홈(110a) 내에 광석이 인입되어 담기게 됨으로써, 광석을 운송하게 된다.
The bucket 100 is moved toward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when the bucket 100 is moved and the receiving groove 110a is opened through the opening. And the ore is brought in, and the ore is transported.

그런데, 종래의 버킷(1)에서는 수용홈(110a)에 니켈과 같이 수분함량이 높은 광석이 담겨서 운반하게 되는 경우, 수용홈(110a) 내측의 밀폐된 구조로 인하여 광석이 수용홈(110a) 내면에 부착되는 부착광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ucket 1, when the ore having a high water content such as nickel is carri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and the ore is conveyed, due to the closed structure inside the receiving groove 110a, And the like.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부착방지수단(120)은 수용홈(110a) 내측이 밀폐구조가 아닌 외부 공기가 통하는 일부 개방형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착방지수단(120)은 통기성 구조로서 수용홈(110a) 내에 수용된 광석과 수용홈(110a) 내면 사이에 공기가 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광석이 수용홈(110a)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anti-sticking means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artially open structure in which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communicates with outside air rather than a closed structure. That is, the attachment preventing means 120 is configured such that air is passed between the ore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as a breathable structure, so that the ore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

이러한 부착방지수단(120)은 수용홈(110a)을 형성하는 그물부재(1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그물부재(121)는 균일하게 외부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서, 통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attachment preventing means 120 may include a net member 121 forming the receiving groove 110a. Such a mesh member 121 is capable of uniformly passing outside air, and can increase air permeability.

이때, 상기 그물부재(121)는 수용홈(110a)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지할 수 있는데, 즉 본체(110)에서 수용홈(110a)을 형성하는 부위에서 전부 또는 일부가 구멍이 형성되고, 이러한 구멍을 가리도록 그물부재(121)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et member 121 may occupy all or a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that is, all or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is formed at a portion forming the receiving groove 110a in the main body 110, A mesh member 121 may be provided.

바람직한 일례로서 상기 그물부재(1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0a) 개구부의 맞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수용홈(110a)에 광석이 수용되면 개구부의 맞은편이 개구부와 가장 떨어져 있기 때문에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되어 수용홈(110a) 내면에 대한 광석의 부착율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수용홈(110a) 개구부의 맞은편에 상기 그물부재(121)가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그물부재(12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10)에서 수용홈(110a)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면 될 뿐, 수용홈(110a)의 전부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a preferred example, the net member 121 may be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as shown in the figure. In other words, when the ore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is farthest from the opening, so that the air does not pass and the rate of attachment of the o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increases. To prevent this, The mesh member 121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Further, the mesh member 121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be formed on the whol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as long as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in the main body 110 is maintained.

아울러, 바람직한 일례로서 상기 그물부재(1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물부재(121)는 버킷(100)의 역할로서 광석과 같은 고중량의 물건을 담아서 운송하기 때문에서, 견고한 강성을 가진 체인이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체인은 자체적인 구조에 있어서 통기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링유닛이 복수 개 연결된 구조로서 전체형상이 가변되는 특성을 가짐으로써, 버킷(100)을 뒤집어서 광석을 털어낼 때 수용홈(110a) 내에서 광석이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수용홈(110a)의 개구부 측으로 쳐질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preferable example, the net member 121 may be formed of a chain as shown in the figure. That is, since the net member 121 carries a heavy object such as ore as a bucket 100, it is preferable to use a chain having a rigid rigidity. In addition, the chain is excellent in air permeability in its own structure, and further has a ring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ring units. The overall shape of the chain is variable. Thus, when the bucket 100 is turned upside down and the ore is shaken, It is possible to take a structure that can be struck to the opening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so that the ore can be easily released from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방지수단(120)은 통기성 구조로서 광석이 수용홈(110a)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부착광으로 인하여 수용홈(110a) 내부의 부피가 줄어들지 않도록 함에 따라, 하역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광을 제거하기 위한 정비시간의 낭비를 막음으로써 하역효율을 증가시키고, 아울러 정비를 위한 노동부하도 줄임으로써 비용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ttachment preventing means 120 prevents the ore from stick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by the air-permeable structure, the volum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is not reduced due to the adhering ligh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nloading efficiency. In addition, by avoiding the waste of maintenance time for removing the adhering ligh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nloading efficiency and to reduce labor costs for maintenance, thereby avoiding waste of cost.

한편, 상기 부착방지수단(120)은 수용홈(110a)의 내측으로 그물부재(121)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홈(110a) 내부에서 그물부재(121)를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재(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그물부재(121)의 특성상 자중에 의해 전체형상이 가변될 수 있음에 따라 하측으로 처질 수 있는데, 이러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홈(110a) 내부에 내측 지지부재(1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지지부재(122)는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을 취하며,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다. The attachment preventing means 120 includes an inner supporting member 122 for supporting the net member 121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so as to prevent the net member 121 from being squeez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a, As shown in FIG. That is, since the overall shape of the net member 121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 member 121, it may be deformed downward. In order to prevent such sagging, the inner supporting member 12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110a have. The inner support member 122 has a bar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for example. The inner support member 12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e inner support members 12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도 11은 버킷에 수분함량이 높은 광석을 담는 경우에 광석을 들어올릴 때와 내릴 때의 버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버킷에 수분함량이 낮은 광석을 담는 경우에 광석을 들어올릴 때와 내릴 때의 버킷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showing a bucket when lifting or lowering an ore in the case of containing an ore having a high moisture content in the bucket,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bucket when lifting ore is lifted, Fig.

구체적으로, 도 11(a)와 도 12(a)는 상측으로 광석을 운반할 때 버킷(100)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와 도 12(b)는 광석을 털어서 분리할 때 버킷(100)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11 (a) and 12 (a) are views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bucket 100 when the ore is carried to the upper side, and Figs. 11 (b) and 12 In the buck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내측 지지부재(122)는 상기 본체(110)의 수용홈(110a) 내부에 착탈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서 수용홈(110a) 내측에 형성된 구멍의 양측에 각각 안착걸림대(128)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측 지지부재(122)를 안착걸림대(128)에 안착걸림시켜 내측 지지부재(122)의 양단에 형성된 스크류부에 고정너트(129)를 체결하면 본체(110)의 수용홈(110a) 내부에 장착하게 되며, 상기 고정너트(129)를 풀고 안착걸림대(128)로부터 빼내어 분리하면 본체(110)의 수용홈(110a)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탈거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ner support member 122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a of the main body 110.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at supporting base 128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e formed in the receiving recess 110a in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inner supporting member 122 is supported by the seat cushion 128 And the fixing nuts 129 are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ner supporting member 122 to be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of the main body 110. The fixing nut 129 is loosened It can be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of the main body 110 to the outside.

이러한 구조와 같이 내측 지지부재(122)가 본체(110)의 수용홈(110a) 내부에 착탈되게 구성됨으로써, 니켈과 같이 광석의 수분율이 높은 경우에는 버킷(100)을 뒤집어서 광석을 털어낼 때 수용홈(110a) 내에서 광석이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부재(122)를 안착걸림대(128)로부터 탈거한 상태로 버킷(100)을 작동시켜, 그물부재(121)를 수용홈(110a)의 개구부 측으로 쳐지게 할 수 있다. 물론, 광석의 수분율이 낮은 경우에는 버킷(100)을 뒤집어서 광석을 털어낼 때 그물부재(121)가 처지지 않더라도 광석이 용이하게 빠지게 되기 때문에,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부재(122)를 본체(110)의 수용홈(110a)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버킷(100)을 작동시킬 수 있다.When the water content of the ore is high, such as nickel, the bucket 100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when the ore is shaken off, the inside support member 122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of the main body 110, The bucket 100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support member 122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slack 128 as shown in Fig. 11 (b) so that the ore can be easily released from the groove 110a, The member 121 can be struck to the opening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Of course, when the water content of the ore is low, the ore is easily removed even if the net member 121 is not squeezed when the bucket 100 is turned over and the ore is shaken. Therefore, as shown in Fig. 12 (b) The bucket 100 can be operated in a state of being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of the main body 110. [

그리고, 상기 부착방지수단(120)은 내측 지지부재(122)와 함께 그물부재(121)를 사이에 두고, 수용홈(110a) 외부에서 그물부재(121)를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재(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외측 지지부재(123)는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을 취하며,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다.
The attachment preventing means 120 includes an inner supporting member 122 and an outer supporting member 123 for supporting the net member 121 outside the receiving groove 110a with the net member 121 therebetween . The outer support member 123 has a bar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for example, and a plurality of the outer support members 123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한편, 본 발명은 본체(110)에 착탈되게 제공되는 리브수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ib means 130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10.

상기 리브수단(130)은 수용홈(110a)의 개구부 테두리를 형성하되 수용홈(110a)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경사진 구조를 이룬다.The rib means 130 forms a rim of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and has a tapered shape graduall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이러한 리브수단(130)은 종래의 버킷(1)에서 수용홈(110a)의 개구부 테두리에 해당되는 부위로서, 종래의 버킷(1)에서는 일체형 구조를 이룸으로써 사용 중 손상되거나 파손된 경우에 버킷(1)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체(110)에 착탈되게 제공될 수 있다.The rib means 130 corresponds to the rim of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in the conventional bucket 1. The conventional bucket 1 has an integral structure so that when the bucket 1 is damaged or broken during use, 1 may be provided detachably to the main body 110 in order to improve an inefficient limit to be replaced.

구체적으로, 상기 리브수단(130)은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볼팅 타입으로 착탈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본체(110)에서 수용홈(110a)의 개구부 테두리 부위에 접하게 한 뒤 체결볼트(141)와 체결너트(142)로 본체(110)에 체결되며, 교체를 위해 분리할 때는 체결볼트(141)와 체결너트(142)를 풀어서 본체(11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In detail, the rib means 13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main body 110 in a bolting manner,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main body 110, The fastening bolt 141 and the fastening nut 142 are fastened to the main body 110 and the fastening bolt 141 and the fastening nut 142 are loosened to remove the fastening bolt 141 and the fastening nut 142 from the main body 110, .

나아가, 상기 리브수단(130)은 강성을 높이기 위해 스테인리스 304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ib means 130 is made of stainless steel 304 in order to increase rigidity.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리브수단(130)을 받침지지하도록 본체(110)에 설치고정된 리브보강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ib reinforcing means 150 installed and fixed to the main body 110 to support the rib means 130.

버킷(100)으로 광석을 긁어서 담는 과정에서 버킷(100)의 이동경로에 간섭되는 위치의 광석을 버킷(100)이 지나칠 때, 광석에 의해 버킷(100)이 큰 힘으로 압박됨으로써 휘거나 종국에는 파손되는데, 특히 수용홈(110a)의 개구부 테두리에 위치되는 상기 리브수단(130)이 내측으로 휘어서 종국에서 찢어질 수 있다.When the bucket 100 passes the ore at a position where it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bucket 100 in the process of scraping or oreing the ore into the bucket 100, the bucket 100 is pressed by the ore by a large force, The rib means 130 located at the rim of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may be bent inward and eventually be torn.

이러한 점을 방지하게 위해, 상기 리브보강수단(150)은 리브수단(130)의 하측에 받침지지하도록 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브보강수단(150)은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바 형상으로 본체(110)의 하부에 장착되되 전단부가 리브수단(130)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리브수단(130)을 하측에 받쳐서 견고하게 지지하는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rib reinforcing means 150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ib means 130. As shown in the figure, the rib reinforcement means 150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in a rectangular bar shape. The front end of the rib reinforcement means 150 protrudes toward the rib means 130 to support the rib means 130 downwar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수용홈(110a)에 광석 중 괴광이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수용홈(110a)의 개구부에 제공되는 차단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blocking means provided in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to block the ingot of the ore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광석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괴광이 버킷(100)에 담겨져서 운반되는 경우 후속공정의 슈트와 같은 설비에서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Clogging may occur in a facility such as a chute in a subsequent process when a strange light of a relatively large size is loaded in the bucket 100 and transported.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단수단은 버킷(100)의 입구 부분인 수용홈(110a)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괴광의 인입을 차단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block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which is the entrance portion of the bucket 100, to block the entrance of the light.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수단은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0a)의 개구부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배치된 차단바(160)일 수 있다. 이러한 경사진 배치구조를 가진 차단바(160)는 수평구조 또는 수직구조보다도 괴광의 차단을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괴광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어 수평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 또는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어 수평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로 수용홈(110a) 측으로 인입되는 경우, 수평구조 또는 수직구조에서는 차단이 안 되어 통과될 수 있는데, 복수 개가 경사진 구조인 차단바(160)는 상술된 바와 같은 두 가지 형상의 괴광도 차단함으로써 괴광의 차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blocking means may be a blocking bar 160 disposed at an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blocking bar 160 having such an inclined arrangement structure can more effectively block the block of light than the horizontal structure or the vertical structure. That is, when the light is formed horizontally long and horizontally long or horizontally long and horizontally long and drawn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a, it is not blocked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structure The blocking bar 160 having a plurality of inclined structures can block the light of the two shapes as described above, thereby increasing the blocking rate of the light.

이에 더하여, 이러한 차단수단은 개구부의 테두리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리브수단(130)이 휘어서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is blocking means is arrang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thereby preventing the rib means 130 from being bent and damag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통기성 구조로서 그물부재(121)로 수용홈(110a)이 형성된 부착방지수단(120)이 구성됨으로써, 수용된 광석을 지지하면서 광석이 수용홈(110a)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광으로 인하여 수용홈(110a) 내부의 부피가 줄어들지 않도록 하고, 부착광을 제거하기 위한 정비시간의 낭비를 막음으로써 하역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ttachment preventive means 120 having the receiving groove 110a formed by the net member 121 as the air permeable structure is provided, so that the ore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while supporting the ore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nloading efficiency by preventing the volume of the in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from being reduced due to the adhering light and by avoiding the waste of the maintenance time for removing the adhering light.

또한, 본 발명은 본체(110)에 착탈되는 리브수단(130)이 구성됨으로써 손상 시 리브수단(130)만을 교체함에 따라 교체를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리브수단(130)을 받침지지하는 리브보강수단(150)이 구성됨으로써, 리브수단(130)을 보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ib unit 13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for replacing the rib unit 130 only when the rib unit 130 is damaged, The rib means 130 can be reinforced by constituting the rib reinforcing means 150 which supports and supports.

그리고, 본 발명은 수용홈(110a)의 개구부에 차단수단이 구성됨으로써, 괴광이 인입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후속공정의 슈트와 같은 설비에서의 막힘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cking means is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blocking of the extraneous light is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clogging in a facility such as a chute in a subsequent proces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버킷 110 : 본체
110a : 수용홈 120 : 부착방지수단
121 : 그물대 122 : 내측 지지부재
123 : 외측 지지부재 128 : 안착걸림대
129 : 고정너트 130 : 리브수단
141 : 체결볼트 142 : 체결너트
150 : 리브보강수단 160 : 차단바
100: bucket 110: body
110a: receiving groove 120: attachment preventing means
121: net stand 122: inner supporting member
123: outer supporting member 128:
129: fixing nut 130: rib means
141: fastening bolt 142: fastening nut
150: rib reinforcement means 160: blocking bar

Claims (10)

광석을 담도록 수용홈(110a)을 가진 본체(110); 및 수용된 광석을 지지하면서 광석이 상기 수용홈(110a)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수용홈(110a)을 이루되 통기성 구조인 부착방지수단(120);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홈(110a)에 광석 중 괴광이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용홈(110a)의 개구부에 제공되는 차단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100).
A body 110 having a receiving groove 110a for containing ore; And an attachment preventive means (120) having a ventilation structure to constitute a receiving groove (110a) of the main body (110) so as to prevent ore from adher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while supporting the ore received,
Further comprising blocking means provided in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to block incoming light from the ore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방지수단(120)은,
상기 수용홈(110a)의 전부 또는 일부를 형성하는 그물부재(121);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tachment preventing means (120)
A net member 121 forming all or a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100). ≪ / RTI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부재(121)는 체인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100).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net member (121) is formed of a chai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방지수단(120)은,
상기 수용홈(110a)의 내측으로 상기 그물부재(121)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홈(110a) 내부에서 상기 그물부재(121)를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재(122);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100).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ttachment preventing means (120)
An inner supporting member 122 for supporting the net member 121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so as to prevent the net member 121 from sagging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a;
(100). ≪ / RTI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재(122)는 상기 본체(110)의 수용홈(110a) 내부에 착탈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100).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ner support member (122) is configured to be detached from the receiving groove (110a) of the main body (1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방지수단(120)은,
상기 내측 지지부재(122)와 함께 상기 그물부재(12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용홈(110a) 외부에서 상기 그물부재(121)를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재(123);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100).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ttachment preventing means (120)
An outer supporting member 123 for supporting the mesh member 121 outside the receiving groove 110a with the mesh member 121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pporting member 122 and the inner supporting member 122;
(100).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10a)의 개구부 테두리를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110a)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경사지며, 상기 본체(110)에 비일체형으로서 착탈되게 제공되는 리브수단(1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ib means 130 forming an opening rim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and extending and inclin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and being detachably provided to the main body 110 as an integral body;
(100). ≪ / RTI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수단(130)을 받침지지하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고정된 리브보강수단(15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100).
8. The method of claim 7,
A rib reinforcement means 150 installed and fixed to the main body 110 to support the rib means 130;
(100). ≪ / RTI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수용홈(110a)의 개구부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배치된 차단바(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cking means is a blocking bar (160)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KR1020140108527A 2014-08-20 2014-08-20 Bucket Active KR1015984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27A KR101598450B1 (en) 2014-08-20 2014-08-20 Bu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27A KR101598450B1 (en) 2014-08-20 2014-08-20 Bu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450B1 true KR101598450B1 (en) 2016-03-03

Family

ID=55535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527A Active KR101598450B1 (en) 2014-08-20 2014-08-20 Bu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45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362Y1 (en) * 1999-11-15 2000-08-16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Bucket only for adherent carry goods convey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362Y1 (en) * 1999-11-15 2000-08-16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Bucket only for adherent carry goods convey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068953U (en) A kind of reclaimer bucket wheel device with material screening function
CN204297423U (en) Cushion anti-blocking feed bin
CN205169570U (en) Bucket elevator device
CN105502029A (en) Bulk material conveying, transfer and loading method and system
KR101598450B1 (en) Bucket
CN202321608U (en) Belt spillplate discharging device
KR101357796B1 (en) Digging device of continuous ship unloader
KR20120127822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transportation article of belt conveyor
CN215213586U (en) Mine shaft bottom powder recovery system of skip pit
US3487910A (en) Scraper and conveyor apparatus
JP2019006548A (en) Reclaimer and inspe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368935B1 (en) Continuous ship unloader
JP6721405B2 (en) Large block detector and unloader
JP2007144255A (en) Crusher
CN208361416U (en) A kind of ore powder lifting device
JP2011195298A (en) Yard moving machine
KR100885959B1 (en) Overload prevention device of belt conveyor due to overpayment
CN204568876U (en) Harbour, mountain area fast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device
CN205240769U (en) Dummy car scraper conveyor
CN217554826U (en) It prevents broken anti-blocking material transportation chute to press down dirt
JP6461707B2 (en) Continuous unloader
KR101657398B1 (en) Device for removing adhered ore of continuous ship unloader
CN219943153U (en) Processing apparatus for producing of grit material on water
KR101399859B1 (en) Continuous ship unloader
CN218433878U (en) Ship lo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