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448B1 -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448B1
KR101597448B1 KR1020140107718A KR20140107718A KR101597448B1 KR 101597448 B1 KR101597448 B1 KR 101597448B1 KR 1020140107718 A KR1020140107718 A KR 1020140107718A KR 20140107718 A KR20140107718 A KR 20140107718A KR 101597448 B1 KR101597448 B1 KR 101597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dule
moving
position error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영
현영범
임대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7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05Apparatus for holding or moving sing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개구와 연결된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에서 외부로 향하는 부분인 상기 이동 모듈의 이동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전달된 외력에 의해 움직이며, 외력이 제거되면 설정된 위치로 복원되는 위치오차 조절 유닛과 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Unit for adjusting position error and Coupl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 등의 전장 부품은 제품의 일 구성으로 조립되기 전에 테스트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테스트는 전장 부품에 구비된 입력 단자에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전장 부품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성능 검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점등 테스트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입력 단자에 프로빙 핀(probing pin)을 접촉시킨 후 외부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점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입력 단자에 프로빙 핀을 접촉시키기 위한 종래의 커플링 장치의 경우, 커플링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로 입력 단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회득한 뒤,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입력 단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이송 유닛에 의해 프로빙 핀이 입력 단자에 접촉되도록 프로빙 핀을 이송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커플링 장치의 경우, 전장 부품에 구비된 입력 단자가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프로빙 핀을 입력 단자에 정확히 접촉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7754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프로빙 핀을 입력 단자에 정확히 접촉시키기 위한, 커플링 장치와 이에 구비된 위치오차 조절 유닛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위치오차 조절 유닛은, 일측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개구와 연결된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에서 외부로 향하는 부분인 상기 이동 모듈의 이동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전달된 외력에 의해 움직이며, 외력이 제거되면 설정된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개구를 통해 전달된 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에 가해지는 외력이 증가 하면, 상기 이동 모듈의 이동량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면에는 상기 이동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에서는 제1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서는 제2자기장이 형성되어, 상기 제1자기장과 상기 제2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이동 모듈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 설치된 제1프레임 자석부와 작용하여 일축 방향의 이동이 선택적으로 제한되는 상기 제1이동편에 설치되는 제1모듈 자석부와, 상기 안착턱에 설치된 제2프레임 자석부와 작용하여 상기 일축 방향의 수직한 축 방향으로 이동이 선택적으로 제한되는 상기 제1이동편에 설치되는 제2모듈 자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면과 연결하여, 상기 이동 모듈을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키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은 탄성체이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면의 일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의 이동부에 고정되며, 단자 하우징에 설치된 입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프로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빙 모듈은, 일면은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고, 상기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는 내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홈이 형성된 핀 블럭과, 상기 핀 블럭의 홈 내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프로빙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위치오차 조절 유닛;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을 평면 방향으로 이송하는 평면 이송 유닛; 상기 평면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을 이송하는 수직 이송 유닛; 및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의 이송 지점을 확인할 수 있는 비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은, 일측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개구와 연결된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개구를 통해 전달된 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평면 방향으로 이동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로 복원되는 커플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 모듈에 가해지는 외력이 증가 하면, 상기 이동 모듈의 이동량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면에는 상기 이동 모듈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에서는 제1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서는 제2자기장이 형성되어, 상기 제1자기장과 상기 제2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이동 모듈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에 의하면, 프로빙 핀을 입력 단자에 정확히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빙 핀이 입력 단자에 접촉될 수 있는 지점은, 허용 오차 내의 어느 지점에서도 가능하므로, 프로빙 핀이 입력 단자에 접촉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플링 장치의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프로빙 모듈의 사이도,
도 3은 도 2의 위치오차 조절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위치오차 조절 유닛에 장착된 프로빙 모듈의 프로빙 핀이 입력 단자에 접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위치오차 조절 유닛에 구비된 자석이 배치된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6c는 도1의 커플링 장치의 위치 조절 유닛의 이동 모듈에 외력이 제공될 때, 제1모듈 자석부와 제1프레임 자석부가 상호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위치오차 조절 유닛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위치오차 조절 유닛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위치오차 조절 유닛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 및 이에 구비된 위치오차 조절 유닛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플링 장치의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프로빙 모듈의 사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위치오차 조절 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는 도 2의 위치오차 조절 유닛에 장착된 프로빙 모듈의 프로빙 핀이 입력 단자에 접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커플링 장치는,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 평면 이송 유닛(200), 수직 이송 유닛(300) 및 비젼 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에는 프로빙 모듈(50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빙 모듈(500)에는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에 연결되는 핀 블럭(510)과, 상기 핀 블럭(510)에 장착되는 프로빙 핀(probing pin, 520)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빙 핀(520)은 후술하는 단자 하우징(10)에 설치된 입력 단자(20)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프로빙 핀(520)은, 테스트가 요구되는 전장 부품에 구비된 상기 입력 단자(20)와 접촉되어, 상기 입력 단자(20)에 신호를 전달한다.
예컨데,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의 점등 테스트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입력 단자(20)에 프로빙 핀(520)을 접촉시킨 후 외부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점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핀 블럭(510)의 일면(511)은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에 고정되고, 상기 일면(511)에 대향되는 타면(512)에는 내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홈(512a)이 형성된다. 여기서 홈(512a)을 형성하는 내면은 상기 프로빙 핀(520)이 설치되는 평면부(514)와, 상기 평면부(514)와 연결되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5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단자(20)는 상기 단자 하우징(10)의 설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핀 블럭(510)에 형성된 홈(512a)에 상기 단자 하우징(10)이 삽입될 때, 상기 단자 하우징(10)은 상기 핀 블럭(510)의 경사부(516)에 가이드 되어, 상기 핀 블럭(510)의 상기 프로빙 핀(520)과 상기 단자 하우징(10)에 설치된 입력 단자(20)는 서로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빙 모듈(500)의 핀 블럭(510)의 홈(512a) 입구의 넓이는 상기 입력 단자(20)가 설치되는 상기 단자 하우징(10)의 평 단면적 보다 넓기 때문에, 상기 프로빙 핀(520)이 상기 입력 단자(20)의 상측에 위치할 때, 상기 프로빙 핀(520)의 위치는, 상기 입력 단자(20)의 상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입력 단자(20)와의 접촉 지점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도 되고, 오차 범위(d) 내에 위치되면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516)는 상기 단자 하우징(10)을 가이드 한다는 점에서 가이드 면으로 이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자 하우징(10)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핀 블럭(510)에 형성된 홈(512a)에 상기 단자 하우징(10)이 삽입될 때, 상기 핀 블럭(510)은 상기 단자 하우징(10)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핀 블럭(510)에 외력이 제공되면 상기 핀 블럭(510)의 위치가 변동되는데, 이는 상기 핀 블럭(510)이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에 연결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평면 이송 유닛(200)은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을 평면 방향으로 이송한다. 따라서,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에 장착되는 상기 프로빙 모듈(500) 또한 상기 평면 이송 유닛(200)에 의해 X축 방향 및 상기 X축에 수직인 Y축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평면 이송 유닛(200)은 상기 평면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을 이송한다. 따라서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에 장착되는 상기 프로빙 모듈(500) 또한 상기 수직 이송 유닛(300)에 의해 상기 X축 및 상기 Y축에 각각 수직한 Z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이송 유닛(300)에 의해 상기 프로빙 모듈(500)이 Z축 방향으로 이송 될 때, 상기 단자 하우징(10)은 상기 핀 블럭(510)에 형성된 홈(512a)에 삽입되고, 상기 핀 블럭(510)의 상기 프로빙 핀(520)과 상기 단자 하우징(10)에 설치된 입력 단자(20)가 접촉되게 된다.
한편, 상기 비젼 유닛(400)은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의 이송 지점의 정보를 수집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비젼 유닛(400)에 의해 상기 입력 단자(2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평면 이송 유닛(200)과 상기 수직 이송 유닛(300)은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에 장착되는 상기 프로빙 모듈(500)을 상기 입력 단자(20)가 위치하는 곳으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단자(20)와 상기 프로빙 핀(520)과 접촉되는 지점에 관한 미세 위치 조절은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커플링 장치에서의 이송은, 상기 평면 이송 유닛(200)과 수직 이송 유닛(300)에 의해 상기 프로빙 모듈(500)을 상기 입력 단자(20)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과, 상기 프로빙 핀(520)이 상기 입력 단자(20)가 접촉할 때 상기 프로빙 핀(520)을 미세하게 이송하는 제2이송으로 구별될 수 있다.
즉, 상기 커플링 장치에서는, 제1이송과 제2이송을 순차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상기 프로빙 핀(520)을 상기 입력 단자(20)에 접촉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촉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을 설명한다.
다시 도 3 및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은 프레임(110)과 이동 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일측에는 개구(110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개구(110a)와 연결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 모듈(120)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의 개구(110a)에서 외부로 향하는 부분인 상기 이동 모듈(120)의 이동부(124)는 상기 개구(110a)를 통해 전달된 외력에 의해 움직이며, 외력이 제거되면 설정된 위치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124)에는 상기 프로빙 모듈(500)이 결합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핀 블럭(510)의 홈(512a)에 상기 단자 하우징(10)이 삽입될 때, 상기 단자 하우징(10)이 상기 핀 블럭(510)에 외력을 제공하면, 상기 핀 블럭(510)은 상기 단자 하우징(10)에 의해 제공된 외력을 상기 이동 모듈(120)로 전달하고, 상기 이동 모듈(120)은 전달된 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120)은, 제공된 외력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상기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Z축 또는 상기 Z축에 평행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핀 블럭(510)의 홈(512a)에서 상기 단자 하우징(10)이 분리될 때, 상기 단자 하우징(10)이 상기 핀 블럭(510)에 제공하던 외력이 제거되고, 상기 핀 블럭(510)으로부터 제공되는 외력이 제거된 상기 이동 모듈(120)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면에는 상기 이동 모듈(120)이 안착되는 안착턱(110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모듈(120)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서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안착턱(110b)은 상기 이동 모듈(120)을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는 점에서 가이드 편으로 이름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위치오차 조절 유닛에 구비된 자석이 배치된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모듈(120)에서는 제1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10)의 내면에서는 제2자기장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 모듈(120)은 외력이 제공될 때에,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자기장과 상기 제2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이동 모듈(120)이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외력이 상기 이동 모듈(120)에 제공될 경우 상기 이동 모듈(120)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 모듈(120)에는, 복수개의 자석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모듈 자석부(121)와, 복수개의 자석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모듈 자석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 자석부(121)와 상기 제2모듈 자석부(12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모듈(120)은, 상기 안착턱(110b)에 안착되는 안착부(123)와, 상기 안착턱(110b) 사이에 배치되며 일면이 상기 안착부(123)에 고정되는 이동부(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23)는, 상기 이동부(124)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124)가 움직일 경우, 동시에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모듈 자석부(121)와 상기 제2모듈 자석부(122)는 상기 안착부(123)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이동부(124)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10)에는 상기 제1모듈 자석부(121)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X축으로 상기 이동 모듈(12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1프레임 자석부(111)와, 상기 제2모듈 자석부(122)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Y축으로 상기 이동 모듈(12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2프레임 자석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6c는 도1의 커플링 장치의 위치 조절 유닛의 이동 모듈에 외력이 제공될 때, 제1모듈 자석부와 제1프레임 자석부가 상호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제1프레임 자석부(111)는 상기 제1모듈 자석부(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프레임 자석부(111)와 제1모듈 자석부(121)는 서로 마주 보는 부분의 극성이 서로 동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이 상기 이동 모듈(120)에 제공되기 전에는, 상기 이동 모듈(120)은, 상기 제1모듈 자석부(121)와 상기 제1프레임 자석부(111) 사이에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설정된 지점에 위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외력(ef1)이 도면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상기 이동 모듈(120)에 제공되면, 상기 이동 모듈(120)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외력(ef1)이 상기 제1프레임 자석부(111)가 상기 제1모듈 자석부(121)를 밀어내는 힘(rf1)과 같아질 때까지, 상기 이동 모듈(120)이 도면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외력(ef2)이 도면상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상기 이동 모듈(120)에 제공되면, 상기 이동 모듈(120)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외력(f2)이 상기 제1프레임 자석부(111)가 상기 제1모듈 자석부(121)를 밀어내는 힘(rf2)과 같아지는 지점까지 상기 이동 모듈(120)이 도면상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원리로, 상기 이동 모듈(120)의 외력이 제공될 경우, 제공된 외력이, 상기 제1프레임 자석부(111)와 상기 제1모듈 자석부(121)에서 작용하는 척력 및 상기 제2프레임 자석부(112)와 상기 제2모듈 자석부(122)에서 작용하는 척력의 합력과 같아 질때까지 상기 이동 모듈(120)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모듈(120)에 제공되는 외력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 모듈(120)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이 각각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위치오차 조절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위치오차 조절 유닛(130)은, 이동 모듈(131), 탄성 부재(132) 및 프레임(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32)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133)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 모듈(131)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132)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 또는 플렉시블 힌지(flexible hinge) 등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외력이 상기 이동 모듈(131)에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모듈(131)은 상기 탄성 부재(132)에 의해 상기 프레임(133)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지점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모듈(131)에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이동 모듈(131)은 상기 프레임(133)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위치오차 조절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위치오차 조절 유닛(140)은, 이동 모듈(141)과 탄성 부재(142)와 프레임(1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141)의 측면 둘레에는 상기 탄성 부재(14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14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142)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143)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 모듈(141)에 형성된 삽입 홈(141a)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142)는 일측만 상기 프레임(143)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삽입 홈(142a)에 삽입된다는 점에서 켄틸레버 스프링(cantilever spring)으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141)에 외력에 전달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이동 모듈(141)은 상기 탄성 부재(142)에 의해 상기 프레임(143)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지점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모듈(141)에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이동 모듈(141)은 상기 프레임(143)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위치오차 조절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위치오차 조절 유닛(150)은, 이동 모듈(151)과 프레임(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151)은 루버(rubber)와 같은 탄성체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모듈(151)은 상기 프레임(152)의 내부면에 형성된 홈(152a)에 고정된다. 상기 이동 모듈(151)에 외력이 제공될때, 상기 이동 모듈(151)은 상기 프레임(152)의 내부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이동할 수는 없지만, 상기 이동 모듈(151) 자체가 변형되기 때문에 상기 이동 모듈(151)에 장착되는 상기 프로빙 모듈(500)은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50)은 상기 이동 모듈(151)과 상기 프로빙 모듈(500)과 연결하는 연결부재(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장치에 의해 프로빙 모듈의 프로빙 핀이 단자 하우징에 설치된 입력 단자에 접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테스트가 요구되는 전장 부품에 구비된 입력 단자(20)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비젼 유닛(400)에 의해 획득된다.
그리고, 상기 평면 이송 유닛(200)에 의해 X축 및 Y축 방향으로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이 이동되고, 상기 전장 부품의 입력 단자(20)가 위치한 지점의 상측에서 상기 수직 이송 유닛(300)에 의해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을 상기 전장 부품 방향으로 즉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 경우 상기 프로빙 모듈(500)은,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장 부품의 입력 단자(20)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빙 핀(520)이 상기 입력 단자(20)의 상측에 위치할 때, 상기 프로빙 핀(520)의 위치는, 상기 입력 단자(20)의 상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기 입력 단자(20)와의 접촉 지점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도 되고, 오차 범위(d) 내에 위치되면 된다(도 4a 참조).
즉, 상기 평면 이송 유닛(200)에 의해 X축 및 Y축 방향으로 상기 프로빙 핀(520)이 설치된 상기 핀 블럭(510)의 이송은 오차 범위(d) 이내로만 이송되면 되므로, 상기 평면 이송 유닛(200)에 의한 이송의 정확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수직 이송 유닛(300)에 의해 상기 핀 블럭(510)이 Z축 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핀 블럭(510)에 형성된 홈(512a)에 상기 단자 하우징(10)이 삽입될 때, 상기 단자 하우징(10)은 상기 핀 블럭(510)의 경사부(516)에 가이드되어, 상기 핀 블럭(510)의 상기 프로빙 핀(520)과 상기 단자 하우징(10)에 설치된 입력 단자(20)는 정확하게 접촉되게 된다.
즉, 상기 핀 블럭(510)은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100)의 상기 이동 모듈(12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핀 블럭(510)에 외력이 제공되면, 상기 이동 모듈(120)이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Z축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핀 블럭(510)도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상기 프로빙 핀(520)과 상기 입력 단자(20)는 정확하게 접촉되게 된다.
한편, 본원 발명의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점등 테스트에 사용되는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를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원 발명의 사용 용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 발명의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는, 기타 전장 부품에 구비된 입력 단자에 프로빙 핀을 접촉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위치오차 조절 유닛
110:프레임
111:제1프레임 자석부
112:제2프레임 자석부
120:이동 모듈
121:제1모듈 자석부
122:제2모듈 자석부
200:평면 이송 유닛
300:수직 이송 유닛
400:비젼 유닛

Claims (15)

  1. 일측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개구와 연결된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개구를 통해 전달된 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로 복원되기 위해,
    상기 이동모듈에는 제1 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서는 제2 자기장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자기장과 상기 제2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이동 모듈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오차 조절 유닛.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에 가해지는 외력이 증가 하면, 상기 이동 모듈의 이동량이 증가하는 위치오차 조절 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면에는 상기 이동 모듈이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된 위치오차 조절 유닛.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개구에서 외부로 향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전달된 외력에 의해 움직이며, 외력이 제거되면 설정된 위치로 복원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안착부를 구비한 위치오차 조절 유닛.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 설치된 제1프레임 자석부와 작용하여 일축 방향의 이동이 선택적으로 제한되는 제1모듈 자석부와,
    상기 안착턱에 설치된 제2프레임 자석부와 작용하여 상기 일축 방향의 수직한 축 방향으로 이동이 선택적으로 제한되는 제2모듈 자석부를 구비한 위치오차 조절 유닛.
  8. 삭제
  9. 삭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의 이동부에 고정되며, 단자 하우징에 설치된 입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프로빙 모듈을 더 포함하는 위치오차 조절 유닛.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빙 모듈은,
    일면은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고, 상기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는 내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홈이 형성된 핀 블럭과,
    상기 핀 블럭의 홈 내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프로빙 핀을 포함하는 위치오차 조절 유닛.
  12. 위치오차 조절 유닛;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을 평면 방향으로 이송하는 평면 이송 유닛;
    상기 평면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을 이송하는 수직 이송 유닛; 및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의 이송 지점을 확인할 수 있는 비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오차 조절 유닛은,
    일측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개구와 연결된 공간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이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개구를 통해 전달된 외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평면 방향으로 이동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로 복원되는 커플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에 가해지는 외력이 증가 하면, 상기 이동 모듈의 이동량이 증가하는 커플링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면에는 상기 이동 모듈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편이 형성된 커플링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에서는 제1자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에서는 제2자기장이 형성되어, 상기 제1자기장과 상기 제2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이동 모듈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커플링 장치.
KR1020140107718A 2014-08-19 2014-08-19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 KR101597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18A KR101597448B1 (ko) 2014-08-19 2014-08-19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18A KR101597448B1 (ko) 2014-08-19 2014-08-19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448B1 true KR101597448B1 (ko) 2016-02-24

Family

ID=5544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718A KR101597448B1 (ko) 2014-08-19 2014-08-19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4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693A (ko) * 2006-11-09 2008-05-15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프로브 위치 맞춤 방법 및 가동식 프로브 유닛 기구 및검사장치
KR20100119716A (ko) * 2009-05-01 2010-11-10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평판형상 피검사체의 시험장치
KR20120046878A (ko) * 2010-10-29 2012-05-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상 흔들림 보정 장치
KR20120077289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어레이 테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693A (ko) * 2006-11-09 2008-05-15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프로브 위치 맞춤 방법 및 가동식 프로브 유닛 기구 및검사장치
KR20100119716A (ko) * 2009-05-01 2010-11-10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평판형상 피검사체의 시험장치
KR20120046878A (ko) * 2010-10-29 2012-05-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상 흔들림 보정 장치
KR20120077289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어레이 테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2790B (zh) 镜头驱动装置
KR101448961B1 (ko) Ⅴcm 모듈 검사용 소켓
CN113064315B (zh) 透镜移动装置
US9543722B2 (en) Connector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JP6515003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インターフェースユニット、プローブ装置及び接続方法
US20130200913A1 (en) Testing System with Test Trays
KR101673375B1 (ko) 모듈 테스트 소켓
US9379489B2 (en) Contact, connector, and connecting device
KR101776797B1 (ko) 정밀한 측면 컨택기능을 갖는 전자부품테스트용 소켓
KR101591013B1 (ko) 셀프결합형 프로브 핀
JP2013140058A (ja) プローブピン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20140375248A1 (en) Charging stand
KR101444787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소켓
TWM462374U (zh) 用於接觸電路板之裝置
KR101627172B1 (ko) 하나의 절연성 몸체로 구성되는 소켓
KR101597448B1 (ko) 위치오차 조절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
KR20180103241A (ko) 카메라모듈 테스트용 자동 소켓
US7607931B2 (en) Test socket adjustable to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s of different sizes
KR101906575B1 (ko)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KR1007512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레트
KR101970805B1 (ko) 정밀성을 향상시킨 핀블럭
JP2018059766A (ja) プローブピンおよび検査ユニット
JPH07111176A (ja) コネクタ検査用治具
CN112242639A (zh) 连接器安装机构
US20230023998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