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218B1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218B1
KR101581218B1 KR1020080133781A KR20080133781A KR101581218B1 KR 101581218 B1 KR101581218 B1 KR 101581218B1 KR 1020080133781 A KR1020080133781 A KR 1020080133781A KR 20080133781 A KR20080133781 A KR 20080133781A KR 101581218 B1 KR101581218 B1 KR 101581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camera body
housing
draw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156A (ko
Inventor
지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218B1/ko
Priority to US12/647,157 priority patent/US8032018B2/en
Publication of KR20100075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플래시가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되어 있는 위치에서도 카메라 본체의 외부로 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되어, 플래시의 개폐 여부와 상관없이 피사체에 AF 보조광을 조사할 수 있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촬상 장치{Photh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플래시가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되어 있는 위치에서도 카메라 본체의 외부로 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되어, 플래시의 개폐 여부와 상관없이 피사체에 AF 보조광을 조사할 수 있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문가급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디지털 일안 반사식(Digital Single Lens Reflex, DSLR)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란 디지털 사진을 찍는 일안 반사식 카메라를 말한다.
여기서, 일안 반사식이란 한 개의 렌즈를 통해서 뷰파인더로 사물을 보내기도 하고, 사진을 찍는 센서에 빛을 보내기도 하는 방식을 말한다. 흔히 사용하는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는 이안식(二眼式)이다. 따라서,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는 보는 것과 찍히는 것이 달라서 센서에 전달되는 이미지를 화면을 통해서 보면서 찍을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는, 렌즈의 광축 상에 미러(mirror)가 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평상시에는, 렌즈부에 서 얻어진 피사체 빛은, 미러에서 반사되고, 초점판에서 결상되어, 촬영자는 초점판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상을 펜타프리즘과 뷰 파인더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셔터-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미러는 축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 구동햐여 렌즈부의 광축 상으로부터 퇴피하기 위하여 상승하고, 셔터가 셔터 구동 회로의 구동 제어에 의하여 오픈 상태가 되면, 촬상 소자 상에 피사체의 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는 일반적으로 플래시(flash)가 구비된다. 플래시(flash)란 순간적인 섬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촬영 장면을 밝히는 장비이다. 보통 1/1000초 정도의 시간 동안 발광이 지속되며, 그때의 색온도는 약 5500K이다. 플래시는 여러 목적을 위해 사용되나, 일반적으로는 저광량 시 장면을 밝히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오토 포커스(auto focus; AF)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오토 포커스란 촬영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피사체에 맞추는 것으로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따라서, 어두운 배경 내에서 피사체에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없을 때는, 피사체 상(像)의 위치를 결정할 수 없게 되어, 초점 조절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휘도 레벨의 부족을 보조하기 위해서, AF 보조광을 피사체에 조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10)는 별도의 AF(auto focus) 보조광원(11)을 구비하여, 주변이 어두울 경우 상기 AF(auto focus) 보조광원(11)에서 피사체에 광을 조사하여 오토 포커스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오토 포커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AF(auto focus) 보조광원(11)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카메라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카메라의 부피 및 무게가 커지며,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플래시(12)를 오픈(open)하고 상기 플래시(12)에서 피사체에 AF 보조광을 조사함으로써 오토 포커스를 수행하는 방법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플래시(12)를 오픈(open)한 상태에서만 피사체에 AF 보조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촬영시 무조건 플래시가 발광하기 때문에, 촬영자의 의도대로 촬영이 수행되지 아니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더욱이, AF 수행 시에는 플래시(12)를 오픈(open)하고, AF를 수행하지 않을 때는 플래시(12)를 클로즈(close)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플래시의 개폐 여부와 상관없이 피사체에 AF 보조광을 조사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 및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플래시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는 상기 카메라 본체 내로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인입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플래시의 광 조사 방향과,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플래시의 광 조사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인입되어 있는 위치에서 상기 플래시의 일 측을 차폐하는 플래시 전면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전면 커버는 상기 플래시에서 조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래시에서 조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도록, 상기 플래시 전면 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래시에서 조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도록, 상기 플래 시 전면 커버는 스마트 미러(smart mirror)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래시에서 조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도록, 상기 플래시 전면 커버에서 상기 플래시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측에 상기 플래시가 결합되는 플래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본체에는 상기 플래시 하우징이 수용되는 플래시 수용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플래시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에서 상기 플래시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돌기가 형성되어서, 상기 플래시 및 상기 플래시 하우징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인입될 때, 상기 플래시 하우징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고 있는 동안 상기 플래시의 회전은 상기 돌기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는 상기 플래시의 회전 경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래시가 상기 돌기와 접촉하면, 상기 플래시의 회전은 제한되는 반면, 상기 플래시 하우징은 계속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에 의하여,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인입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플래시의 광 조사 방향과,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플래시의 광 조사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수용부 및 상기 플래시 중 어느 일 측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서,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인입될 때 상기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의하여 상기 플래시의 경로가 가이드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의하여,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인입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플래시의 광 조사 방향과,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플래시의 광 조사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와 상기 플래시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플래시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플래시 및 상기 플래시 하우징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의 전면부를 향하도록 상기 플래시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일 측에 결합하는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가 발산하는 광은 상기 렌즈의 광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발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플래시의 개폐 여부와 상관없이 피사체에 AF 보조광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는 카메라 본체(110), 렌즈(120), 플래시 하우징(130), 플래시(140), 탄성 부재(150) 및 플래시 전면 커버(160)를 포함한다.
카메라 본체(110)는 촬상 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며, 그 일 측에는 셔터-릴리스 버튼(111) 및 플래시 수용부(112)가 형성된다.
카메라 본체(110)의 셔터-릴리스 버튼(1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영상 취득소자(예를 들어, CCD 또는 COMS)를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영상 취득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상세히, 셔터-릴리스 버튼(1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서의 제1 영상 촬영 신호가 입력되면, 카메라 본체(110)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한다. 제1 영상 촬영 신호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서의 제2 영상 촬영 신호가 입력되어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 본체(110)의 일 측, 일반적으로는 카메라 본체(110)의 상측에는 플래시 수용부(112)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플래시 수용부(112)의 내측면에는 홈(112a)이 형성되며, 상기 홈(112a)에 플래시 하우징(130)의 회전축(131)이 끼워진다. 이로써, 플래시 하우징(130)이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카메라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본체(110)의 일 측에는 렌즈(120)가 결합한다. 렌즈(120)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카메라 본체(110)의 일 측에는 플래시(140)가 결합된 플래시 하우징(130)이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래시 하우징(130)의 양측에는 회전축(13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31)이 카메라 본체(110)의 플래시 수용부(112)의 홈(112a)에 끼워짐으로써, 플래시 하우징(130)이 카메라 본체(110)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되는 것이다. 한편, 플래시 하우징(130)에는 홀(132)이 형성되고, 상기 홀(132)에는 플래시(140)의 회전축(141)이 끼워진다.
플래시(140)는 순간적인 섬광을 발생시킴으로써 촬영 장면을 밝히는 장비이다. 플래시(140)는 일반적으로 카메라 본체(110)의 상측에 구비되며, 플래시 하우징(130)과 결합하여, 플래시 하우징(130)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카메라 본체(110)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플래시(140)의 양측에는 회전축(14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41)이 플래시 하우징(130)의 홀(132)에 끼워짐으로써, 플래시(140)가 플래시 하우징(1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해진다.
플래시(140)의 회전축(141)에는 탄성 부재(150)가 끼워진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플래시(140)와 플래시 하우징(130) 사이에 개재되어서, 플래시(140)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50)는 플래시(140)가 도 2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플래시(140)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 부재(150)에 의하여, 플래시 하우징(130)이 카메라 본체(110)에 대하여 오픈(open)된 상태에서 플래시(140)가 렌즈(120)의 광축 방향(도 2의 C 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카메라 본체(110)의 전면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플래시 전면 커버(160)는 카메라 본체(110)의 플래시 수용부(112) 전면에 배치된다. 즉, 플래시 전면 커버(160)는 플래시 하우징(130) 및 이와 결합된 플래시(140)가 플래시 수용부(112) 내에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래시(140)와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때, 플래시 전면 커버(160)는 플래시(140)에서 조사된 광이 카메라 본체(110)의 외부로 발산되도록 글래스(glass), 아크릴(acryl) 등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플래시 전면 커버(160)를 스마트 미러(smart mirror)로 형성하여, 필요할 경우에만, 즉 플래시 발광 시에만 광이 투과하도록 플래시 전면 커버(16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플래시(140)에서 조사된 광이 카메라 본체(110)의 외부로 발산되도록, 플래시 전면 커버(160)에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플래시 전면 커버(160)는 플래시(140)에서 조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플래시(140)가 카메라 본체(110)에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피사체에 AF 보조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플래시 전면 커버(160)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도 4의 170 참조) 상기 돌기는 플래시(140)의 회전 경로 상에 형성되어서, 플래시 하우징(130)이 카메라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인입되고 있는 동안, 플래시(140)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돌기에 의하여, 플래시(140)가 카메라 본체(110)에 인입되어 있 는 위치에서의 플래시(140)의 광 조사 방향과, 플래시(140)가 카메라 본체(110)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플래시(140)의 광 조사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돌기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플래시의 인입 및 인출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플래시 및 플래시 하우징이 카메라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플래시(140) 및 플래시 하우징(130)이 카메라 본체(110)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 부재(150)는 플래시(140)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탄성 부재(150)는 플래시(140)가 도 5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플래시(140)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탄성 부재(150)에 의하여, 플래시 하우징(130)이 카메라 본체(110)에 대하여 인출된 상태에서, 플래시(140)가 렌즈(120)의 광축 방향(도 4의 C 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카메라 본체(110)의 전면 방향(도 5의 L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플래시 및 플래시 하우징이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 부분의 확대도이다.
플래시(140) 및 플래시 하우징(130)이 카메라 본체(110)에 대하여 인입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탄성 부재(150)는 플래시(140)가 도 6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플래시(140)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플래시(140)와 플래시 하우징(130)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플래시(140)가 광을 조사하는 방향(도 7의 L 방향)은 렌즈(120)의 광축 방향(도 6의 C 방향)과 동일하지 아니하게 된다.
이 상태로 플래시(140) 및 플래시 하우징(130)이 카메라 본체(110)에 대하여 계속 인입되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플래시(140)가 돌기(170)와 접촉하기 직전까지 회전하게 되면, 플래시(140)는 플래시 수용부(112)의 바닥면을 바라보게 된다. 따라서, 플래시(140) 및 플래시 하우징(130)이 카메라 본체(110)에 대하여 인입된 상태에서는 플래시(140)가 AF 보조광을 카메라 본체(110) 외부로 조사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100)에서는, 플래시(140)가 카메라 본체(110)에 인입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플래시(140)의 광 조사 방향과, 플래시(140)가 카메라 본체(110)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플래시(140)의 광 조사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플래시 및 플래시 하우징이 카메라 본체 내로 인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플래시 전면 커버(160)의 상단부에는 소정의 돌기(1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170)는 플래시(140)의 회전 경로 상에 형성되 어서, 플래시 하우징(130)이 카메라 본체(11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인입되고 있는 동안, 플래시 하우징(130)에 대한 플래시(140)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플래시 하우징(130) 및 이와 결합된 플래시(140)가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다가, 플래시(140)의 일 단부(140a)가 돌기(170)와 접촉하게 되면, 플래시(140)가 돌기(170)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을 할 수 없게 되는 반면, 플래시 하우징(130)은 카메라 본체(110)에 대하여 인입되는 방향으로 계속 회전을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래시 하우징(130)이 계속 회전하게 되면 플래시 하우징(130)의 일 단부(130a)가 플래시(140)의 일 단부(140a)를 눌러주게 되고, 따라서 플래시(140)는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도 9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래시 하우징(140)이 계속 회전하여, 플래시(130)와 플래시 하우징(140)이 플래시 수용부(112)에 완전히 인입되면, 플래시(140)의 광 조사 방향(도 9의 L 방향)은 렌즈(120)의 광축 방향(도 9의 C 방향)과 동일해지고, 따라서 플래시(140)는 카메라 본체(110)의 전면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래시 전면 커버(160)는 플래시(140)에서 조사된 광이 카메라 본체(110)의 외부로 발산되도록 글래스(glass), 아크릴(acryl) 등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플래시(140)에서 조사된 광이 카메라 본체(110)의 외부로 발산되도록, 플래시 전면 커버(160)에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플래시 전면 커버(160)는 플래시(140)에서 조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플래시(140)가 카메라 본체(110)에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피사체에 AF 보조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과 같이 플래시(140) 및 플래시 하우징(130)이 카메라 본체(110)에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플래시(140) 및 플래시 하우징(130)이 카메라 본체(110)로부터 인출되게 되면, 탄성 부재(150)가 제공하는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서 플래시(140)는 도 4의 상태로 원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플래시(140)는 렌즈(120)의 광축 방향(도 4의 C 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카메라 본체(110)의 전면 방향(도 5의 L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별도의 AF(auto focus) 보조광원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제품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래시를 클로즈(close)한 상태에서도 피사체에 AF 보조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촬영시 무조건 플래시를 발광시키지 아니하여도 되기 때문에, 촬영자의 의도대로 촬영이 수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AF 수행 시에는 플래시를 개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200)는 카메라 본체(210), 렌즈(220), 플래시 하우징(230), 플래시(240), 탄성 부재(250) 및 플래시 전면 커버(260)를 포함한다.
카메라 본체(210)는 촬상 장치(200)의 외형을 이루며, 그 일 측에는 셔터-릴 리스 버튼(211) 및 플래시 수용부(212)가 형성된다. 카메라 본체(210)의 일 측, 일반적으로는 카메라 본체(210)의 상측에는 플래시 수용부(212)가 함몰 형성된다. 한편, 카메라 본체(210)의 일 측에는 렌즈(220)가 결합한다. 한편, 카메라 본체(210)의 일 측에는 플래시(240)가 결합된 플래시 하우징(230)이 결합된다. 상세히, 플래시 수용부(212)의 내측면에는 홈(212a)이 형성되며, 상기 홈(212a)에 플래시 하우징(230)의 회전축(231)이 끼워진다. 그리고, 플래시 하우징(230)에는 홀(232)이 형성되고, 상기 홀(232)에는 플래시(240)의 회전축(241)이 끼워진다. 플래시(240)의 회전축(241)에는 탄성 부재(250)가 끼워져서, 플래시(240)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플래시 전면 커버(260)는 카메라 본체(210)의 플래시 수용부(212) 전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래시(240)가 카메라 본체(210)에 인입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플래시(240)의 광 조사 방향과, 플래시(240)가 카메라 본체(210)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플래시(240)의 광 조사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래시(240)와 카메라 본체(210)에 각각 가이드 돌기(242)와 가이드 홈(213)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 형태와 구별된다.
상세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240)의 일 단부에는 가이드 돌기(2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카메라 본체(210)의 플래시 수용부(211)의 내측, 즉 플래시(240)의 상기 가이드 돌기(242)의 회전 경로 상에는 가이드 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242)와 가이드 홈(213)은 플래시 하우징(230)이 카메라 본체(21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인입되는 동안, 플래시(24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플래시 하우징(230) 및 이와 결합된 플래시(240)가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다가, 가이드 돌기(242)가 가이드 홈(213)과 맞닿게 되면, 이후부터는 플래시(240)는 플래시 하우징(230)과는 별도로 상기 가이드 홈(213)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플래시(230) 및 플래시 하우징(240)이 플래시 수용부(212)에 완전히 인입되면, 플래시(240)의 광 조사 방향은 렌즈(120)의 광축 방향과 동일해지고, 따라서 플래시(240)는 카메라 본체(210)의 전면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별도의 AF(auto focus) 보조광원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제품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래시를 클로즈(close)한 상태에서도 피사체에 AF 보조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촬영시 무조건 플래시를 발광시키지 아니하여도 되기 때문에, 촬영자의 의도대로 촬영이 수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AF 수행 시에는 플래시를 개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촬상 장치의 플래시 및 플래시 하우징이 카메라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촬상 장치의 플래시 및 플래시 하우징이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2의 촬상 장치의 플래시 및 플래시 하우징이 카메라 본체 내로 인입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촬상 장치 110, 210: 카메라 본체
120, 220: 렌즈 130, 230: 플래시 하우징
140, 240: 플래시 150, 250: 탄성 부재
160, 260: 플래시 전면 커버 170: 돌기
213: 가이드 홈 242: 가이드 돌기

Claims (16)

  1. 카메라 본체;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플래시; 및
    내측에 상기 플래시가 결합되는 플래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는 상기 카메라 본체 내로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외부로 광을 발산하며,
    상기 카메라 본체에는 상기 플래시 하우징이 수용되는 플래시 수용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플래시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본체에서 상기 플래시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돌기가 형성되어서, 상기 플래시 및 상기 플래시 하우징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인입될 때, 상기 플래시 하우징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고 있는 동안 상기 플래시의 회전은 상기 돌기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인입되어 있는 위치에서 상기 플래시의 일 측을 차폐하는 플래시 전면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전면 커버는 상기 플래시에서 조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에서 조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도록, 상기 플래시 전면 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에서 조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도록, 상기 플래시 전면 커버는 스마트 미러(smart mirror)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에서 조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하도록, 상기 플래시 전면 커버에서 상기 플래시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홀(hol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플래시의 회전 경로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가 상기 돌기와 접촉하면, 상기 플래시의 회전은 제한되는 반면, 상기 플래시 하우징은 계속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 의하여,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인입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플래시의 광 조사 방향과,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플래시의 광 조사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2. 카메라 본체;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플래시; 및
    내측에 상기 플래시가 결합되는 플래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는 상기 카메라 본체 내로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외부로 광을 발산하며,
    상기 카메라 본체에는 상기 플래시 하우징이 수용되는 플래시 수용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플래시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상기 플래시 수용부 및 상기 플래시 중 어느 일 측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서,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인입될 때 상기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의하여 상기 플래시의 경로가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에 의하여,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인입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플래시의 광 조사 방향과,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상기 플래시의 광 조사 방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카메라 본체;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플래시; 및
    내측에 상기 플래시가 결합되는 플래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는 상기 카메라 본체 내로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외부로 광을 발산하며,
    상기 카메라 본체에는 상기 플래시 하우징이 수용되는 플래시 수용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플래시 하우징은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래시와 상기 플래시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플래시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플래시 및 상기 플래시 하우징이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플래시가 상기 카메라 본체의 전면부를 향하도록 상기 플래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일 측에 결합하는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가 발산하는 광은 상기 렌즈의 광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80133781A 2008-12-24 2008-12-24 촬상 장치 KR101581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81A KR101581218B1 (ko) 2008-12-24 2008-12-24 촬상 장치
US12/647,157 US8032018B2 (en) 2008-12-24 2009-12-24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 folding flash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81A KR101581218B1 (ko) 2008-12-24 2008-12-24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156A KR20100075156A (ko) 2010-07-02
KR101581218B1 true KR101581218B1 (ko) 2016-01-11

Family

ID=4226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781A KR101581218B1 (ko) 2008-12-24 2008-12-24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32018B2 (ko)
KR (1) KR101581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3027B2 (en) 2011-08-23 2014-06-24 Echostar Technologies L.L.C. Recording additional channels of a shared multi-channel transmitter
USD733785S1 (en) * 2014-01-14 2015-07-07 Olympus Imaging Corp. Digital camera
JP6512780B2 (ja) * 2014-09-10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1535206S (ko) * 2015-01-29 2015-10-19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9327A (en) * 1987-01-13 1994-07-12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Built-in flash system
US4893139A (en) * 1989-02-10 1990-01-09 Eastman Kodak Company Compact camera providing direct and indirect flash
US5253003A (en) * 1989-05-24 1993-10-1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Flash-integrated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156A (ko) 2010-07-02
US8032018B2 (en) 2011-10-04
US20100158497A1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25595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4215100B2 (ja) 撮像装置
KR101581218B1 (ko) 촬상 장치
JP2008170872A (ja) 撮像装置
US7483072B2 (en) Image-taking apparatus and image-taking system
JP2008242230A (ja)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および撮影方法
JP2006339902A (ja) ファインダ装置及びカメラ
JP2009020328A (ja) 撮像装置
JP2006350253A (ja) 一眼レフ型デジタルカメラ
KR20100055777A (ko) 서브 미러를 구비하는 자동 초점 장치 및 촬상장치
JP2006317710A (ja) デジタルカメラ
US7639942B2 (en) Observation device and camera
JP2010136163A (ja) 撮像装置
JP2008306490A (ja) 撮像装置
US8170410B2 (en) Imaging apparatus
KR101590867B1 (ko) 카메라의 플래시 개폐 장치
JP2010060675A (ja) 撮像装置
JP2007279311A (ja) カメラ
JP6942473B2 (ja) 撮像装置
US6763188B2 (en) Camera photometer
JP2021081532A (ja) アダプタ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7072132A (ja) ソフトフォーカス撮影システム
JP2018116070A (ja) 撮像装置
JP4954036B2 (ja) 撮影装置
JP3184770U (ja) 液晶画面直視ファインダ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