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300B1 -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8300B1 KR101578300B1 KR1020140099694A KR20140099694A KR101578300B1 KR 101578300 B1 KR101578300 B1 KR 101578300B1 KR 1020140099694 A KR1020140099694 A KR 1020140099694A KR 20140099694 A KR20140099694 A KR 20140099694A KR 101578300 B1 KR101578300 B1 KR 1015783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peater
- remote device
- frequency
- band
- service ba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해 상기 RF 중계기에 설치된 리모트(remote) 장치와 통신하는 장치는, 상기 리모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서비스 대역을 설정하는 서비스 대역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송수신부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 중 가용 FA(Frequency Assignment) 사이의 가드 밴드(Guard Band) 또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양 끝인 엣지 밴드(Edge Band)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RF 중계기에 통신사의 단말 번호를 부여 받아 개통이 필요한 SMS 단말 장치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고도, RF 중계기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거나, 전파 음영 지역을 해소하여 보다 양질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계기(Repeater)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RF 중계기는 통신사의 통신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서 내부에 해당 통신사의 특정 단말 장치(예를 들어, SMS 단말기)를 설치하고, 해당 단말 장치를 통해서 기지국을 거쳐 통신사의 통신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RF 중계기는 상기 특정 단말 장치를 내장할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해당 통신사의 단말 번호를 부여 받아 개통할 필요가 있다.
이때, 내장된 특정 단말 장치는 해당 중계기의 RF 포트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사가 할당 받은 FA(Frequency Assignment)를 사용하여 통신사의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해당 RF 중계기에 대한 감시 및 제어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통신 방식은 고가의 특정 단말 장치가 필요하고, 통신사의 가용 FA를 사용함으로써 통신사의 유지 비용이 발생하며, 초소형 RF 중계기의 경우 통신사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상기 특정 단말 장치의 삽입이 불가능하므로, 초소형 RF 중계기에 대한 원격 감시/제어는 물론, 운용상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사의 서비스 대역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고효율 저비용으로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해 상기 RF 중계기에 설치된 리모트(remote) 장치와 통신하는 장치는, 상기 리모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서비스 대역을 설정하는 서비스 대역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송수신부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 중 가용 FA(Frequency Assignment) 사이의 가드 밴드(Guard Band) 또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양 끝인 엣지 밴드(Edge Band)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해 상기 RF 중계기에 설치된 리모트(remote)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은 상기 리모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서비스 대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 중 가용 FA(Frequency Assignment) 사이의 가드 밴드(Guard Band) 또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양 끝인 엣지 밴드(Edge Band)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에 설치되고, 상기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해 통신사의 기지국과 연결된 도너(donor) 장치와 통신하는 장치는, 상기 도너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도너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서비스 대역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 중 가용 FA(Frequency Assignment) 사이의 가드 밴드(Guard Band) 또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양 끝인 엣지 밴드(Edge Band)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도너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에 설치된 리모트 장치가, 상기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해 통신사의 기지국과 연결된 도너(donor)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은 상기 도너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너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 중 가용 FA(Frequency Assignment) 사이의 가드 밴드(Guard Band) 또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양 끝인 엣지 밴드(Edge Band)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도너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 및 제어를 위한 단말 장치의 제약(즉, 가용 주파수 대역의 사용과 개통을 위한 번호 할당, 고가의 장비 적용 및 비교적 큰 공간을 차지하는 사이즈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설치가 어려운 초소형 RF 중계기까지 통신사의 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통신이 가능하므로, 현장에서 사용자가 직접 장비 불량, 상태 확인을 해야 하는 초소형 RF 중계기를 포함한 다양한 RF 중계기의 원격 감시/제어가 가능하여 비용의 절감은 물론 장비 운용상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너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너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통신 시스템(100)은 도너(donor) 장치(110) 및 리모트(remote)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도너 장치(110)는 기지국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기지국을 통해 통신사의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 모니터링 단말기 등)과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RF 중계기에 설치된 리모트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도너 장치(110)는 통신사의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리모트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고, 리모트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신사의 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너 장치(110)는 리모트 장치(120)와 통신 시, 기지국 안테나 단의 커플러(coupler)를 통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커플링되는 주파수는 통신사의 서비스 대역(예를 들어, 2G, 3G, LTE 등) 중 가용FA(Frequency Assignment) 사이의 가드 밴드(guard band) 또는 서비스 대역 양쪽 끝의 엣지 밴드(edge band)의 주파수가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너 장치(110)와 리모트 장치(120)는 상호 통신을 위한 가드 밴드(guard band) 또는 엣지 밴드(edge band)의 주파수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너 장치(110)는 리모트 장치(120)와 통신 시,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FSK) 모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각 리모트 장치(120)와 일대일(1:1) 또는 일대다(1:N)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도너 장치(110)는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요청이나 제어 명령을 리모트 장치(120)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리모트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등을 기지국을 통해 통신사의 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도너 장치(110)는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요청, 제어 명령 등을 RF 중계기에 할당된 ID와 함께 복수의 리모트 장치로(120) 브로트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으며, 특정 RF 중계기의 리모트 장치 또는 복수의 RF 중계기의 리모트 장치 각각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리모트 장치(120)는 RF 중계기에 설치되어 도너 장치(110)와 무선 통신할 수 있으며, 도너 장치(110)로부터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요청, RF 중계기에 대한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장치(120)는 RF 중계기에서 도너 장치(110)와의 통신을 위한 주파수를 설정 할 수 있으며 설정된 동일 주파수로 데이터 통신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모트 장치(120)는 주파수 가변형 모뎀이나 주파수 업/다운 컨버터(up/down converter)를 이용하여 도너 장치(110)와 특정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로 통신 주파수를 설정(사용)할 수 있으며, 설정된 서비스 대역 중 가용FA 사이의 가드 밴드 또는 서비스 대역 양쪽 끝의 엣지 밴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참고로, 리모트 장치(120)는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저가(低價)의 구성이 가능하며 사이즈 또한 작게 설계될 수 있어 초소형 RF 중계기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아울러 개통에 필요한 번호 할당이 필요 없으며, 서비스 대역 내의 가용 FA를 사용하지 않아도 통신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100)은 RF 중계기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하여 가용 주파수 대역의 사용과 SMS 단말 장치와 같은 고가의 특정 단말 장치(이하, 'SMS 단말 장치'라 칭함)의 개통과 이를 위한 번호 할당, 그리고 비교적 큰 공간을 차지하는 SMS 단말 장치의 사이즈로 인한 종래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SMS 단말 장치의 설치가 어려운 초소형 RF 중계기까지 통신사의 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통신이 가능하므로, 현장에서 사용자가 직접 장비 불량, 상태 확인을 해야 하는 초소형 RF 중계기를 포함한 다양한 RF 중계기의 원격 감시/제어가 가능하여 비용의 절감은 물론 장비 운용상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너 장치(110)와 리모트 장치(12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너 장치(110)는 제 1 송수신부(111), 서비스 대역 설정부(112), 통신 방식 설정부(113) 및 제 2 송수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제 1 송수신부(111)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리모트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제 1 송수신부(111)는 리모트 장치(120)로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요청 또는 RF 중계기에 대한 제어 명령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할 수 있으며, 리모트 장치(120)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 1 송수신부(111)는 후술하는 서비스 대역 설정부(112)에서 설정된 서비스 대역 중 가용 FA 사이의 가드 밴드나 서비스 대역 양끝의 엣지 밴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통신 방식 설정부(113)에서 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리모트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지역별로 서로 다른 가용 FA 사이의 가드 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지역에 위치한 RF 중계기에는 가용 FA 중 제1 FA 및 제 2 FA사이의 가드 밴드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B 지역에 위치한 RF 중계기에는 가용 FA 중 제3 FA 및 제 4 FA사이의 가드 밴드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참고로, 제 1 송수신부(111)는 기지국 안테나 단의 커플러(coupler)를 통하여 리모트 장치(120)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대역 설정부(112)는 도너 장치(110)와 리모트 장치(120)간 통신을 위해 사용할 통신 주파수, 즉, 서비스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대역 설정부(112)는 주파수 가변형 모뎀이나 주파수 업/다운 컨버터(up/down converter)를 이용하여 리모트 장치(120)와 특정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로 통신 주파수를 설정(사용)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대역 설정부(112)는 주파수 가변형 모뎀이나 주파수 업/다운 컨버터(up/down converter)를 이용하여 리모트 장치(120)와 특정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로 통신 주파수를 설정(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대역은 2G, 3G, 및 L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방식 설정부(113)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FSK) 모뎀,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를 이용한 통신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리모트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RF 중계기와 통신하는 경우 주파수 편이 변조 방식이 선택될 수 있으며, 복수의 RF 중계기와 통신하는 경우 지그비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제 2 송수신부(114)는 기지국과 연결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정보(예를 들어, 통신사의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등)를 수신하거나, 제 1 송수신부(111)로부터 수신된 정보(예를 들어, 리모트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등)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해당 정보가 통신사의 통신 시스템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송수신부(111)는 기지국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120)는 송수신부(121), 서비스 대역 설정부(122), RF 중계기 상태 점검부(123) 및 RF 중계기 제어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송수신부(121)는 도너 장치(110)로부터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요청 또는 RF 중계기에 대한 제어 명령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도너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부(121)는 도너 장치(110)의 서비스 대역 설정에 따라 서비스 대역 설정부(122)에서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 즉, 2G, 3G, 및 LTE 중 어느 하나로 도너 장치(110)와 통신하되, 해당 서비스 대역 중 가용 FA 사이의 가드 밴드나 서비스 대역 양끝의 엣지 밴드의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송수신부(121)와 도너 장치(110)간 송수신되는 신호에는 RF 중계기에 할당된 ID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대역 설정부(122)는 도너 장치(110)와 통신을 위한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서비스 대역은 2G, 3G, 및 L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대역 설정부(122)는 주파수 가변형 모뎀 및 주파수 업/다운 컨버터(Up/Down Convert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대역 설정부(122)의 서비스 대역 설정에 따라서 도너 장치(110)와 송?수신 할 주파수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태 점검부(123)는 리모트 장치(120)가 설치된 RF 중계기의 상태를 점검하여 신호 세기, 장애 발생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상태 점검부(123)는 리모트 장치(120)로부터 상태 점검 요청이 수신될 때마다 RF 중계기의 상태를 점검할 수도 있고, 특정 시간 주기로 RF 중계기의 상태를 점검할 수도 있다.
한편, RF 중계기 제어부(124)는 리모트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RF 중계기에 대한 제어 명령에 따라 RF 중계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수신부(121)로 전달하고, 송수신부(121)는 해당 메시지를 도너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너 장치(11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의 흐름도는 기지국과 유선으로 연결된 도너 장치(110)가 RF 중계기에 설치된 리모트 장치(120)와 통신하는 과정이다.
도너 장치(110)는 리모트 장치(120)와 통신을 위한 서비스 대역과 통신 방식을 설정한다(S501).
여기서 서비스 대역은 2G, 3G, 및 LT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통신 방식은 주파수 편이 변조 모뎀,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를 이용한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S501 후, 도너 장치(110)는 S501에서 설정된 서비스 대역 중 가용 FA 사이의 가드 밴드나 서비스 대역 양끝의 엣지 밴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S501에서 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요청을 리모트 장치(120)로 전송한다(S502).
S502 후, 도너 장치(110)는 리모트 장치(120)로부터 RF 중계기에 대한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태 정보를 유선으로 연결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503).
기지국으로 전송된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는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사의 통신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참고로, 도너 장치(110)는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요청 등을 RF 중계기에 할당된 ID와 함께 복수의 리모트 장치로(120) 브로트캐스팅 할 수 있으며, 특정 RF 중계기의 리모트 장치 또는 복수의 RF 중계기의 리모트 장치 각각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에 대한 응답으로 서비스 대역 설정 완료 메시지나 해당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장치(12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의 흐름도는 RF 중계기에 설치된 리모트 장치(120)가 기지국과 연결된 도너 장치(110)와 통신하는 과정이다.
리모트 장치(120)는 도너 장치(110)와 통신을 위한 서비스 대역을 설정한다(S601).
이때 리모트 장치(120)는 주파수 가변형 모뎀이나 주파수 업/다운 컨버터(Up/Down Converter)를 이용하여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서비스 대역은 2G, 3G, 및 LT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S601 후, 도너 장치(110)로부터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S602), 리모트 장치(120)는 RF 중계기의 상태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도너 장치(110)로 전송한다(S603).
이때, 리모트 장치(120)는 S601에서 설정된 서비스 대역 중 가용 FA 사이의 가드 밴드나 서비스 대역 양끝의 엣지 밴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도너 장치(110)와 통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시스템
110 : 도너(donor) 장치
111 : 제 1 송수신부
112 : 서비스 대역 설정부
113 : 통신 방식 설정부
114 : 제 2 송수신부
120 : 리모트(remote) 장치
121 : 송수신부
122 : 서비스 대역 설정부
123 : RF 중계기 상태 점검부
124 : RF 중계기 제어부
110 : 도너(donor) 장치
111 : 제 1 송수신부
112 : 서비스 대역 설정부
113 : 통신 방식 설정부
114 : 제 2 송수신부
120 : 리모트(remote) 장치
121 : 송수신부
122 : 서비스 대역 설정부
123 : RF 중계기 상태 점검부
124 : RF 중계기 제어부
Claims (10)
-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해 상기 RF 중계기에 설치된 리모트(remote) 장치와 통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서비스 대역을 설정하는 서비스 대역 설정부; 및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송수신부
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대역 설정부는,
주파수 가변형 모뎀 또는 업/다운 컨버터(Up/Down Converter)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대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 1 송수신부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 중 가용 FA(Frequency Assignment) 사이의 가드 밴드(Guard Band) 또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양 끝인 엣지 밴드(Edge Band)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방식을 설정하는 통신 방식 설정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신 방식은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FSK) 모뎀,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를 이용한 통신 방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송수신부는 상기 통신 방식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수신부는,
상기 리모트 장치로 상기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요청 및 상기 RF 중계기에 대한 제어 명령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리모트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해 상기 RF 중계기에 설치된 리모트(remote)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서비스 대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대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주파수 가변형 모뎀 또는 업/다운 컨버터(Up/Down Converter)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대역을 설정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 중 가용 FA(Frequency Assignment) 사이의 가드 밴드(Guard Band) 또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양 끝인 엣지 밴드(Edge Band)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신 방식은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FSK) 모뎀, 블루투스(Bluetooth) 및 지그비(ZigBee)를 이용한 통신 방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통신 방식으로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트 장치로 상기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요청 및 상기 RF 중계기에 대한 제어 명령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리모트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 RF 중계기에 설치되고, 상기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해 통신사의 기지국과 연결된 도너(donor) 장치와 통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너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도너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서비스 대역 설정부
를 포함하되,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 중 가용 FA(Frequency Assignment) 사이의 가드 밴드(Guard Band) 또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양 끝인 엣지 밴드(Edge Band)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도너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대역 설정부는,
주파수 가변형 모뎀 또는 업/다운 컨버터(Up/Down Converter)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대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삭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도너 장치로부터 상기 RF 중계기의 상태 정보 요청 및 상기 RF 중계기에 대한 제어 명령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도너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 RF 중계기에 설치된 리모트 장치가, 상기 RF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해 통신사의 기지국과 연결된 도너(donor)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너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너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주파수 가변형 모뎀 또는 업/다운 컨버터(Up/Down Converter)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대역의 주파수를 설정하며,
상기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 중 가용 FA(Frequency Assignment) 사이의 가드 밴드(Guard Band) 또는 상기 설정된 서비스 대역의 양 끝인 엣지 밴드(Edge Band)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도너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48671 | 2014-04-23 | ||
KR1020140048671 | 2014-04-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2557A KR20150122557A (ko) | 2015-11-02 |
KR101578300B1 true KR101578300B1 (ko) | 2015-12-16 |
Family
ID=5459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9694A KR101578300B1 (ko) | 2014-04-23 | 2014-08-04 |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830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4703B1 (ko) * | 2005-03-17 | 2007-01-25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무선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운용방법 |
KR100805592B1 (ko) * | 2004-12-02 | 2008-02-2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5268A (ko) * | 1998-12-30 | 2000-07-15 | 서평원 | 무선 중계기의 상태 감시장치 |
-
2014
- 2014-08-04 KR KR1020140099694A patent/KR1015783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5592B1 (ko) * | 2004-12-02 | 2008-02-20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
KR100674703B1 (ko) * | 2005-03-17 | 2007-01-25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무선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운용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2557A (ko) | 2015-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245870B (zh) | 处理无线链路失败方法、终端设备和基站 | |
CN113840387A (zh) | 下行数据接收方法、发送方法、装置和存储介质 | |
JP5184654B2 (ja) | Fddインバンド・バックホーリングおよびその方法 | |
US9998900B1 (en) | Backpack-type mobile base st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TVWS and satellite backhaul | |
JP2019531637A5 (ko) | ||
CN102754360A (zh) | 通信网络中中继节点的标识 | |
WO2011002176A3 (en) | Method for prioritizing operation of relay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EP3187023B1 (en) | Method for a wireless network bridge | |
US20150326998A1 (en) | Pre-Configuration of Devices Supporting National Security and Public Safety Communications | |
JP2022046709A (ja) | ビーコン装置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を接続するためのシステム | |
CN109327230B (zh) | 一种数字模拟信号混合传输的方法、装置及das系统 | |
CN101867944B (zh) | 资源调度方法和系统以及基站和中继节点 | |
KR20160109157A (ko) | 재난상황시 비상복합통신 무선패키지 장치 | |
KR101578300B1 (ko) | 중계기의 상태 감시와 제어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 |
CN105764073B (zh) | 测试装置和测试方法 | |
JP5020366B2 (ja) | リレー局、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方法 | |
US20230217381A1 (en) | Control information for smart repeat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090106963A (ko) | 다중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시스템 지원 장치 및 방법 | |
US12069612B2 (en) | Mini-slot reservation channel transmission in V2V communications | |
CN103987073A (zh) | 基于无线协议扩展的控制方法 | |
US8676184B2 (en) |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device by means of a fixed transceiver station, device, use of a fixed transceiver station and program | |
EP4106225A1 (en) | Method for operating and/or for configuring a repeater device for enabling the repeater device to be operated together with a user equipment as part of or with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telecommunications network or repeater device,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
WO2010050534A1 (ja) | 中継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 |
JP2021505006A5 (ko) | ||
KR101961717B1 (ko)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