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556B1 - Bushing of transformer - Google Patents
Bushing of transform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5556B1 KR101575556B1 KR1020150008708A KR20150008708A KR101575556B1 KR 101575556 B1 KR101575556 B1 KR 101575556B1 KR 1020150008708 A KR1020150008708 A KR 1020150008708A KR 20150008708 A KR20150008708 A KR 20150008708A KR 101575556 B1 KR101575556 B1 KR 1015755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hing
- terminal
- transformer
- setting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4—Insulators apertured for fixing by nail, screw, wire, or bar, e.g. diabolo, bobbi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1—Transformer bushing type or high voltage underground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 부싱이 특정한 방향으로 세팅된 상태의 변압기에서 현장 여건에 적합하게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한 변압기 부싱에 관한 것으로, 변압기 외부의 전선로에 연결되는 부싱단자부; 부싱단자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부싱단자부의 하부면에 결합된 단자세팅부; 일단부가 단자세팅부의 하부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다른 일단부가 변압기의 2차측과 전극 연결되는 중심도체부; 중심 부분에 통공을 형성시켜 중심도체부가 관통되는 부싱부; 및 부싱부의 하부에서 중심도체부의 다른 일단부를 관통 결합시켜 부싱부를 고정하는 부싱체결부를 포함하는 변압기 부싱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ormer bushing realized in a transformer with a transformer bushing set in a specific direction so that the setting direction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of a site, and includes a bushing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an electric line outside the transformer; A terminal setting portion whose upper surface is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so as to change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A central conductor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A bushing portion through which a central conductor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a central portion; And a bushing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bushing portion by penetrating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entral conductor portio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ushing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변압기 부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변압기 부싱이 특정한 방향으로 세팅된 상태의 변압기에서 현장 여건에 적합하게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한 변압기 부싱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ormer bush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former bushing realized in a transformer in which a transformer bushing is set in a specific direction, so that the setting direction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ite conditions.
변압기는 수전전압을 부하설비의 운전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1차단자로부터 교류전력을 입력받아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전압 및 전류를 변성하여 2차단자로 동일한 주파수의 교류전력을 공급해 준다. 이러한 변압기는 설치 장소에 따라 지상의 전주에 설치되는 주상변압기, 지중배선방식에서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변압기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 부싱(Bushing)은 변압기의 외부와 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면서 변압기 본체 및 기타 외부 장치들 간의 절연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The transformer is a device that converts the receiving voltage into a voltage suitable for the operation of the load facility. It receives AC power from one blocker and modifies the voltage and current by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action to supply AC power of the same frequency with two blocks. These transformer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pillar transformers installed on the ground on the groun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site, and ground transformers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wiring system. In addition, the transformer bushing is used for the purpose of insulating the transformer main body and other external devices whi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ransformer.
이러한 변압기 부싱은 변압기의 2차측과 전극을 연결하여 저전압 대전류를 전기로에 공급하는 도체, 또는 전해조로 정류기로부터의 직류 대전류를 양극 및 음극에 공급하는 도체로서, 보통 동판이나 알루미늄판을 이용한다.Such a transformer bushing is a conductor that supplies a low-voltage large current to an electric furnace by connecting a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and an electrode, or a conductor that supplies a large direct current from a rectifier to an anode and a cathode by an electrolytic bath.
한국등록특허 제10-0380314호(2003.04.02 등록)는 변압기의 부싱단자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변압기에 구비된 부싱단자에 있어서, 부싱단자는 변압기에 일체로 형성된 단자부와 이 단자부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어댑터판으로 이루어지고, 어댑터판에는 케이블의 단자가 볼트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되, 각 구멍의 일측에는 3상의 상을 표시하는 상 마크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변압기가 소손되거나 변압기를 다른 용량으로 바꾸기 위해 교체해야 할 경우에, 어댑터판을 단자부에서 떼어 내고 새로운 변압기의 단자부에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변압기의 교체작업이 간단하고 단시간에 변압기를 교체할 수 있으며, 또한 변압기를 교체할 시에 전기의 상(Φ)이 변할 우려가 없으며, 작업시간의 과다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80314 (registered on Apr. 02, 2003) discloses a bushing terminal of a transformer. In a bushing terminal provided in a transformer, a bushing terminal includes a terminal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transformer, Wherein the adapter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the terminals of the cables are connected by bolts, and on one side of the holes, image marks marking three phases are engraved engraved do.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when the transformer is to be replaced or replaced to change the capacity of the transformer to another capacity, it is only necessary to detach the adapter plate from the terminal portion and connect it 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new transformer. Therefore, And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due to an excessive working time can be reduced when the transformer is replaced.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34724호(1998.10.24 등록)는 부싱 몸체를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취급이 편리하고 설치가 쉬우며 제작비의 절감으로 인한 경제적인 이점이 있고 결착의 견고성으로 인해 빗물의 침수방지와 그로 인한 감전 사고나 기타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밀한 제작이 가능하여 전선로의 정확한 접속이 가능해지는 등의 여러 가지 이점이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압 변압기용 부싱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중심부에 통공을 형성한 합성수지로 제작된 부싱 몸체의 전면 표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수나사의 후방에 패킹삽입홈을 마련하고 부싱 몸체의 후면 일측에 돌기 삽입홈을 형성하여 클램프 단자의 전면 일측에 형성된 고정 돌기를 돌기 삽입홈에 삽착하고 표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중심 도체를 부싱 몸체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에 관통시켜 클램프 단자의 전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체결한 후 부싱 몸체의 전면에서 너트로 중심 도체를 체결하고 합성수지로 제작된 부싱 고정너트를 부싱 몸체에 형성된 수나사에 체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orean Utility Model No. 20-0134724 (registered on October 24, 1998)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for the bushing body, and is easy to handle, easy to install, has an economic advantage due to reduction in production cost, and is resistant to inundation of rainwater A bushing for a high-voltage transformer which is very practical and which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prevent electric shock accidents or other safety accidents and precisely making it possible to precisely connect the electric wires.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a male screw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a bushing body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a hole at its center, a packing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le screw, and a projection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bushing body,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and a center conductor having a male thread on its surface is passed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ushing body and is fastened to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lamping terminal, And a bushing fixing nut made of a synthetic resin is fastened to a male screw formed on a bushing body.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변압기 부싱을 변압기에 세팅할 시에 특정한 하나의 방향(예를 들어,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세팅되기 때문에, 변압기를 한 번 설치한 후에는 변압기 부싱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없으므로, 변압기 외부의 전선로와의 연결방향 또는 설치 주변 환경 등을 미리 고려하여 변압기 부싱의 세팅 방향과 알맞도록 변압기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변압기 부싱의 세팅 방향과 알맞지 않게 변압기가 설치된 경우(예를 들어, 90도 어긋나게 설치되는 경우)에, 변압기 외부의 전선로와 연결하기 위해서 변압기 2차측(즉, 저전압 대전류 측)의 전선 또는 동 부스바(Bus-bar)를 강제로 비틀어 변압기 부싱의 세팅 방향과 맞추어야 하므로, 저전압 대전류의 전선 또는 동 부스바를 강제로 비트는 작업이 힘들 뿐만 아니라 이에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을 높이며, 변압기의 접촉 부위 발열로 인한 안전상 문제도 또한 발생하기 쉬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ransformer bushing is set in one particular direction (e.g., transverse or longitudinal) when setting the transformer bushing on the transformer, once the transformer is installed, It is inconvenient that the transformer must be installed so as to match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transformer bushing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connection with the electric line outside the transformer or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installation. Furth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when the transformer is installed (for example, shifted by 90 degrees) so as not to be suitable for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transformer bushing,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i.e., the low- It is necessary to force the wire or the bus-bar of the transformer bushing to match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transformer bushing.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force the low-voltage high-current electric wire or the busbar to work, The safety problem due to the heat generated 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transformer is also liable to occu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한 점 내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압기 부싱이 특정한 방향으로 세팅된 상태의 변압기에서 현장 여건에 적합하게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한 변압기 부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former bushing in which a transformer bushing is set in a specific direction and a transformer bushing .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변압기 외부의 전선로에 연결되는 부싱단자부; 상기 부싱단자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상기 부싱단자부의 하부면에 결합된 단자세팅부; 일단부가 상기 단자세팅부의 하부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다른 일단부가 변압기의 2차측과 전극 연결되는 중심도체부; 중심 부분에 통공을 형성시켜 상기 중심도체부가 관통되는 부싱부; 및 상기 부싱부의 하부에서 상기 중심도체부의 다른 일단부를 관통 결합시켜 상기 부싱부를 고정하는 부싱체결부를 포함하는 변압기 부싱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omprising: a bushing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an electric line outside the transformer; A terminal setting portion having an upper surfac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so as to change a setting direction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A central conductor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A bush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central conductor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a central portion; And a bushing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bushing portion by penetrating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entral conductor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bushing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싱단자부는, 하부면이 상기 단자세팅부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세팅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is coupled with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so that a lower surface thereof can change a se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싱단자부는, 하부면의 중심 부분에 암나사를 형성시켜 상기 중심도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is coupled with a male screw formed at one end of the central conductor portion by forming a female screw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자세팅부는, 중심 부분에 관통 암나사를 형성시켜 상기 중심도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와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상부면이 상기 부싱단자부의 하부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female threa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penetrates through a male screw formed at one end of the central conductor portion, and has an upper surface coupled with a lower surfac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심도체부는, 일단부에 수나사를 형성시켜 상기 단자세팅부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암나사를 관통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부싱단자부의 하부면 중심 부분에 형성된 암나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entral conductor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male screw at one end and penetrating a female screw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and is coupled to a female screw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do.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중심도체부는, 다른 일단부에 수나사를 형성시켜 상기 부싱부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부싱체결부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암나사에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entral conductor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shing portion by forming a male screw at the other end portion, and is penetratively coupled to the female screw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ushing fastening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싱부는, 탄력 재질로 상기 단자세팅부의 하부면과 상기 부싱부의 상부면 사이를 패킹하는 제1패킹; 상부면이 상기 제1패킹을 통해 상기 단자세팅부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하부의 표면에 삽입홈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삽입홈의 표면에 수나사를 형성시킨 상부부싱; 탄력 재질로 상기 상부부싱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패킹; 상부면이 상기 제2패킹을 통해 상기 상부부싱에 결합되며, 상부에 암나사를 형성시켜 상기 상부부싱에 형성된 삽입홈의 수나사에 결합되는 하부부싱; 및 상기 하부부싱의 하부면과 상기 부싱체결부의 상부면 사이를 패킹하는 제3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h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acking for packing between a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ushing portion with a resilient material; An upper bushing having an upper surfac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through the first packing, an upper bushing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male screw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 second packing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ushing with a resilient material; A lower bushing coupled to the male screw of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upper bushing by forming a female screw on the upper portion, the upper surface being coupled to the upper bushing through the second packing; And a third packing for packing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ush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ushing fastening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싱체결부는, 중심 부분에 관통 암나사를 형성시켜 상기 중심도체부의 다른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와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부싱부를 고정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hing fastening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threaded portion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penetrates through a male screw formed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entral conductor portion, and fixes the bushing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싱단자부는, 상기 단자세팅부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하여 결합하기 위한 돌기라인을 하부면에 형성시켜 상기 단자세팅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라인홈 중 하나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lin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for changing a setting direction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to be coupled with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and may be inserted into one of a plurality of line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싱단자부는, 상기 단자세팅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라인홈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돌기라인을 다수 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 lines at positions facing the plurality of line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싱단자부는, 두 개의 돌기라인을 서로 수직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projection lines cross each other at right angl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싱단자부는, 다수 개의 암나사를 형성시켜 다수 개의 체결수단이 각각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관통 결합된 체결수단이 상기 단자세팅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나사홈에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has a plurality of female threads formed therein so that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means, and the fastening means, which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means, are fastened to a plurality of screw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싱단자부는, 하부면 중앙 부분에 돌기라인을 형성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is characterized by not forming a projection line in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자세팅부는, 상기 부싱단자부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하여 결합하기 위한 라인홈을 상부면에 다수 개로 형성시켜 상기 부싱단자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라인을 삽입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ne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for changing the se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and a protrusion lin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is inserted and coupled do.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자세팅부는, 일정한 각도 간격을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라인홈을 상부면에 다수 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line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cross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자세팅부는, 두 개의 라인홈을 서로 수직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line grooves perpendicularly cross each oth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자세팅부는, 상기 부싱단자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암나사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다수 개의 나사홈을 형성시켜, 상기 부싱단자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암나사를 각각 관통한 체결수단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crew grooves formed at positions facing the plurality of female threads formed on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and fastening the fastening means through the plurality of female threads formed on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자세팅부는, 하부면의 중심 부분에 암나사를 형성시켜 상기 중심도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at a central portion of a lower surface, and is coupled to a male screw formed at one end of the central conducto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싱단자부는, 'ㄴ'자 형상으로 상부가 변압기 외부의 전선로와 연결되며, 하부면이 상기 단자세팅부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세팅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line outside the transformer with the upper part in the shape of an 'B', and the lower surface is coupled with the terminal setting part so that the se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setting part can be changed.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싱단자부는, 다수 개의 돌기라인을 하부면에 형성시켜 상기 단자세팅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라인홈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projecting lines on the lower surface, and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with a plurality of line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싱단자부는, 다수 개의 암나사를 형성시켜 다수 개의 체결수단이 각각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관통 결합된 체결수단이 상기 단자세팅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나사홈에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has a plurality of female threads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means. The fastening means is fastened to a plurality of first screw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싱단자부는, 하부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홀; 표면에 삽입홈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삽입홈의 하부 표면에 수나사를 형성시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세팅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3나사홈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세팅부와의 사이를 회동하도록 한 연결지지대; 및 상기 연결지지대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의 입구 부분과 상기 연결지지대 사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부싱단자부의 하부면이 상기 단자세팅부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하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in a lower central portion; And a male threa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and to be coupled to a third thread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A connection support member for pivoting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onnection support and elastically supporting between the inlet portion of the through hole and the connection support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자세팅부는, 상부면에 다수 개의 라인홈을 형성시켜 상기 부싱단자부에 형성된 돌기라인을 삽입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line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thereby inserting and connecting protrusion lines formed on the bushing terminal portion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자세팅부는, 상기 부싱단자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암나사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다수 개의 제1나사홈을 형성시켜, 상기 부싱단자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암나사를 각각 관통한 체결수단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crew grooves formed at positions facing the plurality of female threads formed on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respectively, and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plurality of female threads formed on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respectively,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자세팅부는, 하부면의 중심 부분에 제2나사홈을 형성시켜 상기 중심도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screw groove at a central portion of a lower surface thereof, and is coupled with a male screw formed at one end of the central conductor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자세팅부는, 상부면의 중앙 부분에 제3나사홈을 형성시켜, 상기 부싱단자부의 연결지지대에 형성된 삽입홈의 수나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third screw groov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is coupled with the male screw of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connection support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본 발명의 효과로는, 변압기 부싱이 특정한 방향으로 세팅된 상태의 변압기에서 현장 여건에 적합하게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한 변압기 부싱을 제공함으로써, 변압기를 설치한 후에도 현장 여건에 적합하게 변압기 부싱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변압기 설치 시에 변압기 부싱의 세팅 방향과 알맞도록 변압기 외부의 전선로와의 연결방향 또는 설치 주변 환경 등을 미리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변압기 부싱의 세팅 방향과 알맞지 않게 변압기가 설치된 경우(예를 들어, 90도 어긋나게 설치되는 경우)에도 변압기 부싱의 세팅 방향만 변경시켜 변압기 외부의 전선로와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변압기 2차측(즉, 저전압 대전류 측)의 전선 또는 동 부스바(Bus-bar)를 강제로 비틀 필요가 없어 작업자에게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안전사고 위험도도 낮출 수 있으며, 고변압기의 접촉 부위 발열로 인한 안전상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former bushing which is embodied so that the setting direction can be changed in a transformer with the transformer bushing set in a specific direction so as to be suitable for the field conditions,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in advance the direction of connection between the transformer and the electric line outside the transformer so as to match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transformer bushing when installing the transformer or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transformer, The transformer bushing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it line outside the transformer by changing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transformer bushing even when the transformer is installed (for example, when the transformer is installed at an angle of 90 degrees) It is not necessary to forcibly twist the bus-ba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operator Accidents can also reduce risk, and that they can not solve safety problems caused by the contact area of the heat and transformer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부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변압기 부싱의 분해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변압기 부싱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부싱단자부와 단자세팅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돌기라인의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부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부싱단자부와 단자세팅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former bush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disassembly of the transformer bushing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ross section of the transformer bushing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and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projection line in Fig. 4;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former bush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and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shown in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부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transformer bus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부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변압기 부싱의 분해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변압기 부싱의 단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former bush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disassembly of the transformer bushing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 Fig.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변압기 부싱(100)은, 변압기의 외부와 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면서 변압기 본체 및 기타 외부 장치들 간을 절연시켜 주는데, 부싱단자부(110), 단자세팅부(120), 중심도체부(130), 부싱부(140), 부싱체결부(150)를 포함한다.1 to 3, the
부싱단자부(110)는, 예를 들어 동판이나 알루미늄판 등을 이용한 도전성 금속 패널(Panel)로서, 변압기 외부의 전선로에 연결되며, 하부면이 단자세팅부(120)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단자세팅부(120)와 결합된다.The
일 실시 예에서, 부싱단자부(110)는, 단자세팅부(120)를 거쳐 중심도체부(13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변압기 외부 전선로로 전달해 줄 수 있는데, 이때 직류의 경우에 전압 강하를 줄이기 위해 단자세팅부(120)를 고려하여 미리 설계된 충분한 단면적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교류의 경우에 전압 강하 외에 리액턴스를 줄여 역률을 좋게 하도록 단자세팅부(120)를 고려하여 미리 설계된 치수나 배치 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부싱단자부(110)는, 하부면의 중심 부분에 나사홈(암나사)을 형성시켜 중심도체부(13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수나사)와 결합되어, 중심도체부(130)에 결합하여 중심도체부(13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음과 동시에, 변압기 외부의 전선로와의 연결방향 또는 설치 주변 환경 등에 대응하는(알맞은) 세팅 방향을 설정한 후에 단자세팅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단자세팅부(120)는, 상부면이 부싱단자부(110)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부싱단자부(110)의 하부면과 결합되며, 하부면이 중심도체부(130)의 일단부와 결합된다.The
일 실시 예에서, 단자세팅부(120)는, 중심 부분에 관통홀로서 암나사(예를 들어, 감거나 풀 때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육각형의 너트)를 형성시켜 중심도체부(13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수나사)와 관통 결합되어, 중심도체부(130)와 결합됨과 동시에, 세팅 방향이 설정된 부싱단자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부싱단자부(110)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때, 우선 부싱단자부(110)가 회전될 수 있을 정도로 하부 방향으로 단자세팅부(120)를 풀어준 후에, 중심도체부(130)와 결합된 상태에서 부싱단자부(110)를 회전시켜 세팅 방향을 설정한 다음, 단자세팅부(120)를 다시 상부 방향으로 감아 부싱단자부(110)의 세팅 방향을 고정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중심도체부(130)는, 일단부가 단자세팅부(120)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부싱부(140)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며, 다른 일단부가 부싱체결부(150)에 관통 결합함과 동시에 변압기의 2차측과 전극 연결되어, 저전압, 대전류를 단자세팅부(120) 및 부싱단자부(110)를 거쳐 변압기 외부 전선로에 공급하는 도체(예를 들어, 동, 알루미늄 등), 또는 전해조로 정류기로부터의 직류 대전류를 양극 및 음극에 공급하는 도체이다.One end of the
일 실시 예에서, 중심도체부(130)는, 일단부에 수나사를 형성시켜 단자세팅부(120)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암나사를 관통 결합함과 동시에, 부싱단자부(110)의 하부면 중심 부분에 형성된 암나사에 결합되어, 부싱단자부(110) 및 단자세팅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The
일 실시 예에서, 중심도체부(130)는, 다른 일단부도 수나사를 형성시켜 부싱부(140)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함과 동시에, 부싱체결부(150)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암나사에 관통 결합되어, 부싱부(1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부싱부(140)는, 변압기 본체 및 기타 외부 장치들 간을 절연시켜 주기 위한 절연체(예를 들어, 애자 등)로서, 중심 부분을 관통하는 통공을 형성시켜 통공을 통해 중심도체부(130)가 관통되도록 하며, 부싱체결부(150)에 의해 고정된다.The
일 실시 예에서, 부싱부(140)는, 제1패킹(141), 상부부싱(142), 제2패킹(143), 하부부싱(144), 제3패킹(145)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제1패킹(141)은, 탄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자세팅부(120)의 하부면과 부싱부(140)(즉, 상부부싱(142))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를 패킹해 줄 수 있다.The
상부부싱(142)은, 상부면이 제1패킹(141)을 통해 단자세팅부(120)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의 표면에 제2패킹(143)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홈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삽입홈의 표면에 수나사를 형성시켜, 제2패킹(143)을 관통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부부싱(144)의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결합될 수 있다.The
제2패킹(143)은, 탄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부싱(142)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부부싱(142)과 하부부싱(144) 사이를 서로 패킹해 줄 수 있다.The
하부부싱(144)은, 상부면이 제2패킹(143)을 통해 상부부싱(14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에 암나사를 형성시켜 상부부싱(142)에 형성된 삽입홈의 수나사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면이 제3패킹(145)을 통해 부싱체결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The
제3패킹(145)은, 하부부싱(144)의 하부면과 부싱체결부(150)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를 패킹해 줄 수 있다.The
부싱체결부(150)는, 부싱부(140)(즉, 제3패킹(145))의 하부에서 중심도체부(130)의 다른 일단부가 관통 결합되도록 하여 중심도체부(130) 상에 있는 부싱부(140)를 고정시켜 준다.The
일 실시 예에서, 부싱체결부(150)는, 중심 부분에 관통홀로서 암나사(예를 들어, 육각형의 너트)를 형성시켜 중심도체부(130)의 다른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수나사)와 관통 결합되어, 중심도체부(130)와 결합됨과 동시에, 부싱부(140)를 고정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변압기 부싱(100)은, 특정한 방향으로 세팅된 상태의 변압기를 설치한 후에도 현장 여건에 적합하게 부싱단자부(110)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음으로써, 특정한 방향으로 세팅된 상태의 변압기에서 변압기 부싱(100)의 세팅 방향을 현장 여건에 적합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변압기 설치 시에 변압기 부싱(100)의 세팅 방향과 알맞도록 변압기 외부 전선로와의 연결방향 또는 설치 주변 환경 등을 미리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변압기 부싱(100)의 세팅 방향과 알맞지 않게 변압기가 설치된 경우(예를 들어, 90도 어긋나게 설치되는 경우)에도 부싱단자부(110)와의 세팅 방향만 간단하게 변경시켜 변압기 외부 전선로와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변압기 2차측(즉, 저전압 대전류 측)의 전선 또는 동 부스바(Bus-bar)를 강제로 비틀 필요가 없어 작업자에게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안전사고 위험도도 낮출 수 있으며, 고변압기의 접촉 부위 발열로 인한 안전상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The
도 4는 도 1에 있는 부싱단자부와 단자세팅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있는 돌기라인의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의 구성과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으로 생략한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and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in FIG. 1,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projection line in FIG.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a portion similar to that of FIG. 1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부싱단자부(110)는, 단자세팅부(120)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돌기라인(111)을 하부면에 형성시켜 단자세팅부(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라인홈(121, 122) 중 하나에 삽입되어 단자세팅부(120)와 결합된다.4 and 5, the
일 실시 예에서, 부싱단자부(110)는, 단자세팅부(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라인홈(121, 122)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돌기라인(111)을 다수 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싱단자부(110)는, 두 개의 돌기라인(111)을 서로 수직 교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일 실시 예에서, 부싱단자부(110)는, 관통홀로서 다수 개의 암나사(112)를 형성시켜 볼트 등과 같은 다수 개의 체결수단(113)이 각각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해당 관통 결합된 체결수단(113)이 단자세팅부(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나사홈(123)에 각각 체결될 수 있으므로, 단자세팅부(120)와 보다 완벽하게 일체형과 같이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부싱단자부(110)에 형성된 돌기라인(111)과 단자세팅부(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라인홈(121, 122)을 이용하여 부싱단자부(110)의 세팅 방향을 변경한 후에, 다수 개의 체결수단(113)을 이용하여 부싱단자부(110)와 단자세팅부(120)를 일체형과 같이 체결할 수 있다.The
일 실시 예에서, 부싱단자부(110)는, 도 5의 (가), (나) 및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을 다양한 형태의 돌기라인(111)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자세팅부(120)도 돌기라인(111)의 형태에 대응하는 라인홈(121, 12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돌기라인(111) 및 라인홈(121, 122)은 전압 강하를 줄이면서 전압 강하 외에 리액턴스를 줄여 역률을 좋게 하기 위한 설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상부면의 라인홈(121, 122)뿐만 아니라 하부면 중심 부분의 암나사(124)를 형성하기 위해서 단자세팅부(120)가 두꺼워져야 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부싱단자부(110)는, 도 5의 (가), (나) 및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 중앙 부분에는 돌기라인(111)을 형성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자세팅부(120)의 상부면 중심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라인홈(121, 122)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부면 중앙 부분에는 암나사(124)를 형성할 수 있어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아도 된다.The
단자세팅부(120)는, 부싱단자부(110)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인홈(121, 122)을 상부면에 다수 개로 형성시켜 부싱단자부(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라인(111)을 삽입하여 부싱단자부(110)와 결합된다.The
일 실시 예에서, 단자세팅부(120)는, 일정한 각도 간격(예를 들어, 30도, 60도, 90도 등)을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라인홈(121, 122)을 상부면에 다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자세팅부(120)는, 두 개의 라인홈(121, 122)을 서로 수직 교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단자세팅부(120)는, 부싱단자부(11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암나사(112)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다수 개의 나사홈(암나사)(123)을 형성시켜, 부싱단자부(11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암나사(112)를 각각 관통한 체결수단(113)과 체결되어, 부싱단자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crew grooves (female threads) 123 are formed at positions opposed to the plurality of
일 실시 예에서, 단자세팅부(120)는, 하부면의 중심 부분에 암나사(124)를 형성시켜 중심도체부(13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수나사)와 결합되어, 중심도체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변압기 부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former bush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변압기 부싱(200)은, 변압기의 외부와 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면서 변압기 본체 및 기타 외부 장치들 간을 절연시켜 주는데, 부싱단자부(210), 단자세팅부(220), 중심도체부(230), 부싱부(240), 부싱체결부(25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의 구성과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으로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6, the
부싱단자부(210)는, 'ㄴ'자 형상의 도전성 금속 패널로서, 상부에 변압기 외부의 전선로를 연결하며, 단자세팅부(220)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부면에 단자세팅부(220)를 결합한다.The
일 실시 예에서, 부싱단자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세팅부(220)와의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도 5의 (가), (나) 및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다양한 형태의 돌기라인을 가질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도 7은 도 6에 있는 부싱단자부와 단자세팅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and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shown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부싱단자부(210)는, 다수 개의 돌기라인(211)을 하부면에 형성시켜 단자세팅부(2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라인홈(221, 222)에 삽입되어 단자세팅부(220)와 결합된다.7, the
일 실시 예에서, 부싱단자부(210)는, 관통홀로서 다수 개의 암나사(212)를 형성시켜, 볼트 등과 같은 다수 개의 체결수단(213)이 각각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해당 관통 결합된 체결수단(213)이 단자세팅부(2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나사홈(223)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자세팅부(220)와 보다 완벽하게 일체형과 같이 결합될 수 있다.The
일 실시 예에서, 부싱단자부(210)의 하부에는, 관통홀(214), 연결지지대(215), 탄성부재(2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부싱단자부(210)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때에는, 탄성부재(216)의 탄성력을 이기고 부싱단자부(210)를 들어 올려 부싱단자부(210)의 하부면(즉, 돌기라인(211))과 단자세팅부(220)의 상부면(즉, 라인홈(221, 222))을 분리시켜 준 후에, 부싱단자부(210)를 회전시켜 부싱단자부(210)의 세팅 방향을 변경한 후에, 다시 탄성부재(216)의 탄성력에 의해 부싱단자부(210)의 하부면과 단자세팅부(220)의 상부면이 결합되어 서로 밀착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portion of the
관통홀(214)은, 부싱단자부(210)의 하부 중앙 부분에 형성시켜 연결지지대(215)가 관통되도록 해 준다.The through
연결지지대(215)는, 부싱단자부(210)와 단자세팅부(220) 간의 세팅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 부싱단자부(210)와 단자세팅부(220)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동연결체로서, 표면에 탄성부재(216)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삽입홈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삽입홈의 하부 표면에 수나사를 형성시켜, 탄성부재(216)를 삽입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관통홀(214)을 관통함과 동시에 단자세팅부(2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3나사홈(225)에 결합된다.The
탄성부재(216)는, 압축스프링 등으로서, 연결지지대(215)의 표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관통홀(214)의 입구 부분과 연결지지대(215) 사이를 탄성 지지하여(즉, 연결지지대(215)에서 부싱단자부(210)를 단자세팅부(220) 측으로 밀어), 부싱단자부(210)의 하부면과 단자세팅부(220)의 상부면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해 준다.The
단자세팅부(220)는, 상부면에 다수 개의 라인홈(221, 222)을 형성시켜 부싱단자부(210)에 형성된 돌기라인(211)을 삽입하여 부싱단자부(210)와 결합된다.The
일 실시 예에서, 단자세팅부(220)는, 부싱단자부(21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암나사(212)에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다수 개의 제1나사홈(암나사)(223)을 형성시켜, 부싱단자부(21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암나사(212)를 각각 관통한 체결수단(213)과 체결되어, 부싱단자부(210)와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screw grooves (female threads) 223 are formed at positions opposed to the plurality of female threads 212 formed on the
일 실시 예에서, 단자세팅부(220)는, 하부면의 중심 부분에 제2나사홈(암나사)(224)을 형성시켜 중심도체부(23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수나사)와 결합되어, 중심도체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 예에서, 단자세팅부(220)는, 상부면의 중앙 부분에 제3나사홈(암나사)(225)을 형성시켜, 부싱단자부(210)의 연결지지대(215)에 형성된 삽입홈의 수나사와 결합되어, 부싱단자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부싱단자부(210)의 탄성부재(216)를 삽입하고 부싱단자부(210)의 관통홀(214)을 관통한 연결지지대(215)의 삽입홈의 수나사가 제3나사홈(225)에 결합되어, 단자세팅부(220)의 상부면이 부싱단자부(210)의 탄성부재(216)의 탄성력에 의해 부싱단자부(210)의 하부면과 서로 밀착될 수 있다.
A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200: 변압기 부싱
110, 210: 부싱단자부
111, 211: 돌기라인
112, 124, 212: 암나사
113, 213: 체결수단
120, 220: 단자세팅부
121, 122, 221, 222: 라인홈
123: 나사홈
130, 230: 중심도체부
140, 240: 부싱부
141: 제1패킹
142: 상부부싱
143: 제2패킹
144: 하부부싱
145: 제3패킹
150, 250: 부싱체결부
214: 관통홀
215: 연결지지대
216: 탄성부재
223: 제1나사홈
224: 제2나사홈
225: 제3나사홈100, 200: Transformer bushing
110, 210: Bushing terminal
111, 211: projection line
112, 124, and 212: female threads
113, 213: fastening means
120, 220: Terminal setting section
121, 122, 221, and 222: line grooves
123: screw groove
130, and 230:
140, 240: bushing portion
141: First packing
142: upper bushing
143: Second packing
144: Lower bushing
145: Third packing
150, 250: bushing fastening portion
214: Through hole
215: connection support
216: elastic member
223: first screw groove
224: second screw groove
225: third screw groove
Claims (10)
상기 부싱단자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상기 부싱단자부의 하부면에 결합된 단자세팅부;
일단부가 상기 단자세팅부의 하부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다른 일단부가 변압기의 2차측과 전극 연결되는 중심도체부;
중심 부분에 통공을 형성시켜 상기 중심도체부가 관통되는 부싱부; 및
상기 부싱부의 하부에서 상기 중심도체부의 다른 일단부를 관통 결합시켜 상기 부싱부를 고정하는 부싱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싱단자부는,
상기 단자세팅부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하여 결합하기 위한 돌기라인을 하부면에 형성시켜 상기 단자세팅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라인홈 중 하나에 삽입 결합되며, 다수 개의 암나사를 형성시켜 다수 개의 체결수단이 각각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관통 결합된 체결수단이 상기 단자세팅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나사홈에 각각 체결되는 변압기 부싱.
A bushing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a power line outside the transformer;
A terminal setting portion having an upper surfac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so as to change a setting direction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A central conductor par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A bush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central conductor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through hole in a central portion; And
And a bushing fastening part for fastening the bushing part by penetrating the other end of the central conductor part from the lower part of the bushing part,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A protruding line for connecting and changing the se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o as to be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line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Wherein the fastening means are fastened to a plurality of threaded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respectively.
하부면의 중심 부분에 암나사를 형성시켜 상기 중심도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Wherein a female screw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to be coupled with a male screw formed at one end of the central conductor.
중심 부분에 관통 암나사를 형성시켜 상기 중심도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와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상부면이 상기 부싱단자부의 하부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
Th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entral threaded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threaded portion formed on one end of the central conductor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is coupl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일단부에 수나사를 형성시켜 상기 단자세팅부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암나사를 관통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부싱단자부의 하부면 중심 부분에 형성된 암나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
2. The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le screw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and is inserted through a female screw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and is coupled to a female screw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상기 부싱단자부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하여 결합하기 위한 라인홈을 상부면에 다수 개로 형성시켜 상기 부싱단자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라인을 삽입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
Th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line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change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and to engage with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so that protrusion line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are inserted and coupled.
'ㄴ'자 형상으로 상부가 변압기 외부의 전선로와 연결되며, 하부면이 상기 단자세팅부와의 세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세팅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ormer bushing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line of the transform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ormer bushing is coupled to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so as to change a set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다수 개의 암나사를 형성시켜 다수 개의 체결수단이 각각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관통 결합된 체결수단이 상기 단자세팅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나사홈에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
9. The bushing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plurality of female screws ar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are respectively penetrated and fastened and fastening means that are fastened to each other are fastened to a plurality of first screw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하부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홀;
표면에 삽입홈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삽입홈의 하부 표면에 수나사를 형성시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세팅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3나사홈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세팅부와의 사이를 회동하도록 한 연결지지대; 및
상기 연결지지대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의 입구 부분과 상기 연결지지대 사이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부싱단자부의 하부면이 상기 단자세팅부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하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부싱.9. The bushing according to claim 8,
A through hole formed in a lower central portion;
And a male threa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and to be coupled to a third thread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A connection support member for pivoting the connection support member; And
And an elastic memb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onnection support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inlet portion of the through hole and the connection support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bushing terminal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setting portion. Transformer bush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8708A KR101575556B1 (en) | 2015-01-19 | 2015-01-19 | Bushing of transform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8708A KR101575556B1 (en) | 2015-01-19 | 2015-01-19 | Bushing of transform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5556B1 true KR101575556B1 (en) | 2015-12-11 |
Family
ID=5502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87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5556B1 (en) | 2015-01-19 | 2015-01-19 | Bushing of transform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5556B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558Y1 (en) * | 2017-04-12 | 2018-10-08 | (주)에스엠텍 | Bushing clamp for switch |
KR20190034366A (en) * | 2017-09-22 | 2019-04-02 | 한국전력공사 | Terminal apparatus for pad mounted transformer |
KR102005407B1 (en) * | 2019-05-29 | 2019-07-30 | 남도전기공업(주) | Drawing type bushing teminal with enhanced conductivity manufacturing method |
KR20200042315A (en) * | 2018-10-15 | 2020-04-23 | 한국전력공사 | Bushing connecting structure of transformer |
KR102136024B1 (en) * | 2019-02-11 | 2020-07-20 | 주식회사 에이아이이 | High voltage bushing assembly and atmospheric pressure plasma power supply having the same |
KR102261019B1 (en) * | 2021-04-16 | 2021-06-04 | 유한회사 티엠에스 | Low voltage secondary bushing metalic electric fitting for pole transformer and pole transformer using the same |
EP3806584A4 (en) * | 2018-05-25 | 2022-03-09 | Robotx Eletrônicos Ltda - Epp | PULSE GENERATING SYSTEM, INSULATING SLEEVE AND INDUCTIVE NETWORK WITH ANTI-BIRD REPELLENT ACTION,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NETWORK |
KR20240026156A (en) * | 2024-02-05 | 2024-02-27 | 유한회사 에스티 | Secondary bushing metalic electric fitting for civilian transformer and civilian transformer using the same |
KR102658674B1 (en) | 2023-10-11 | 2024-04-17 | 송홍준 | Low pressure bushing for a Transformer |
CN118508160A (en) * | 2024-07-18 | 2024-08-16 | 法拉迪电气有限公司 | A voltage regulating device for a new energy charging syste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8751Y1 (en) * | 2005-11-24 | 2006-02-16 | 동미전기공업(주) | Bushing for transformer |
-
2015
- 2015-01-19 KR KR1020150008708A patent/KR10157555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8751Y1 (en) * | 2005-11-24 | 2006-02-16 | 동미전기공업(주) | Bushing for transformer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558Y1 (en) * | 2017-04-12 | 2018-10-08 | (주)에스엠텍 | Bushing clamp for switch |
KR20190034366A (en) * | 2017-09-22 | 2019-04-02 | 한국전력공사 | Terminal apparatus for pad mounted transformer |
KR101964032B1 (en) | 2017-09-22 | 2019-04-03 | 한국전력공사 | Terminal apparatus for pad mounted transformer |
EP3806584A4 (en) * | 2018-05-25 | 2022-03-09 | Robotx Eletrônicos Ltda - Epp | PULSE GENERATING SYSTEM, INSULATING SLEEVE AND INDUCTIVE NETWORK WITH ANTI-BIRD REPELLENT ACTION,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NETWORK |
KR20200042315A (en) * | 2018-10-15 | 2020-04-23 | 한국전력공사 | Bushing connecting structure of transformer |
KR102121286B1 (en) | 2018-10-15 | 2020-06-11 | 한국전력공사 | Bushing connecting structure of transformer |
KR102136024B1 (en) * | 2019-02-11 | 2020-07-20 | 주식회사 에이아이이 | High voltage bushing assembly and atmospheric pressure plasma power supply having the same |
KR102005407B1 (en) * | 2019-05-29 | 2019-07-30 | 남도전기공업(주) | Drawing type bushing teminal with enhanced conductivity manufacturing method |
KR102261019B1 (en) * | 2021-04-16 | 2021-06-04 | 유한회사 티엠에스 | Low voltage secondary bushing metalic electric fitting for pole transformer and pole transformer using the same |
KR102658674B1 (en) | 2023-10-11 | 2024-04-17 | 송홍준 | Low pressure bushing for a Transformer |
KR20240026156A (en) * | 2024-02-05 | 2024-02-27 | 유한회사 에스티 | Secondary bushing metalic electric fitting for civilian transformer and civilian transformer using the same |
KR102707479B1 (en) | 2024-02-05 | 2024-09-19 | 유한회사 에스티 | Secondary bushing metalic electric fitting for civilian transformer and civilian transformer using the same |
CN118508160A (en) * | 2024-07-18 | 2024-08-16 | 法拉迪电气有限公司 | A voltage regulating device for a new energy charg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5556B1 (en) | Bushing of transformer | |
CN204516929U (en) | For the crimp connector of stube cable and busbar or bus | |
CN208548480U (en) | Multi-angle direction-adjustable high-voltage connecting the thin end of the scroll | |
CN207069188U (en) | A kind of safety-type termination | |
CN116031668A (en) | Screw-type low-voltage grounding rod | |
CN205539078U (en) | Alternating current -direct current voltage secondary circuit and test test device and switching cardboard thereof | |
US20210043355A1 (en) | Transformer Assembly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CN109004602B (en) | Bus duct convenient to it is fixed | |
CN105788773A (en) | Insulator capable of preventing broken line of insulated overhead conductor struck by lightning | |
CN202127101U (en) | Wiring board of separation switch | |
CN207116742U (en) | A kind of communication power supply DC master row simultaneously connects present, detachable cable | |
CN104577908A (en) | Easily-detachable fixed armor clamp for indoor rectangular bus | |
CN203895624U (en) | Fixed connector for high-voltage wire living working | |
CN206878277U (en) | A kind of adapting system of power distribution cabinet | |
KR101485148B1 (en) | Connector for transmitting incoming line of special high voltage substation facilities | |
CN203103553U (en) | High-altitude wiring device | |
CN204538640U (en) | A kind of cable joint | |
CN205595142U (en) | Prevent built on stilts insulated wire lightning -caused breaking insulator | |
CN215579307U (en) | Quick connecting device of distribution box and generator | |
KR200263314Y1 (en) | A Support Cross-Arm for Power Line Replacement in Hot-Line Work | |
CN204809460U (en) | Secondary plug is plug -in components terminal structure for seat | |
CN104078776B (en) | The fixing adapter of high-tension line electrified operation | |
CN210668763U (en) | Wire splice isolation assembly and wire splice isolation device | |
CN109149475A (en) | A kind of easy-to-dismount illumination busbar tank cover plate | |
CN117096689A (en) | Screen top small bus switch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03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503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5101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50805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5070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50507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8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7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5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10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8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7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5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