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491B1 - 맛을 내는 병뚜껑 - Google Patents

맛을 내는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491B1
KR101569491B1 KR1020080121546A KR20080121546A KR101569491B1 KR 101569491 B1 KR101569491 B1 KR 101569491B1 KR 1020080121546 A KR1020080121546 A KR 1020080121546A KR 20080121546 A KR20080121546 A KR 20080121546A KR 101569491 B1 KR101569491 B1 KR 101569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contents
bottle cap
space
su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753A (ko
Inventor
이정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근 filed Critical 이태근
Priority to KR1020080121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491B1/ko
Priority to PCT/KR2008/007518 priority patent/WO2010050646A1/en
Priority to US13/517,353 priority patent/US20120279939A1/en
Publication of KR2010006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provided with a preformed weakened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맛을 내는 병뚜껑
(2)발명의 목적
종래의 기술로는 미국특허 6,109,538호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의 개선에 그 목적이 있다.
(3)발명의 구성
음료 용기의 배출구에 적용되는 병뚜껑은 용기내부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병뚜껑의 내부에 맛을 내는 내용물을 넣고, 상기한 내용물은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과정에 용해되고 희석되어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저장공간과 흡배출구를 형성하며, 또한 유체를 인위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배출로를 형성한 것이다.
(4)발명의 효과
병뚜껑의 저장공간에 향이나 맛을 내는 내용물이 들어 있어 언제 어디서나 신선한 혼합된 내용물을 음용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병뚜껑, 맛, 음료, 저장공간

Description

맛을 내는 병뚜껑{omitted}
본 발명은 맛을 내는 내용물이 든 맛을 내는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는, 미국특허6,109,538호 및 6,333,050호 및 6,482,451호 그리고 미국특허 5,156,335호 및 5,989,590호가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의 개량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인 미국특허 6,109,538호 및 6,333,050호의 경우는 스트로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는 내용물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장공간(스트로 내부)에 있던 내용물(향이나 맛을 함유한 볼 형태의 고체)이 배출되지 않고 상기한 내용물이 유속에 의해 용대되면서 서서히 배출되도록 저장공간의 상하 단부를 필터로 마감 처리하였으나, 상기한 필터에서 부하가 걸리는 폐단이 있었다.
또 다른 기술로는, 미국특허 6,482,451호가 있으나, 상기한 기술은 필터에 해당하는 별도의 마개를 제작하여 스트로의 상하단 내부에 조립하여야 하고 또한 상기한 조립체가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 방식을 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리고 상기한 방식은 그 제작비용이 과다 소요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 다른 기술로는, 미국의장등록 487,375호가 있으며, 상기한 기술은 저장공간의 내용물이 용해되지 않고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스트로의 상단을 접착시키고 동시 측방이나 어느 표면을 천공하여 미세공을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기술은 그 과정이 복잡함은 물론 흡음 시에 저장공간에 있던 볼 형태의 내용물이 빨려들어 그 미세공을 막아 버릴 수 있는 폐단이 있다.
그리고 미국의장등록 487,375호의 부연 설명으로서, 스트로의 단부를 압착하는 방식으로 하여 저장공간의 내용물이 용해되는 것을 돕는 방식을 취했으나, 스트로는 성격상 매우 얇게 압출되고, 일정 크기로 절단되며, 그 후에 구멍을 천공하거나 또는 별도의 프레스 또는 롤러에 의해 접철부 등이 형성되는 방식을 취하는 형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얇은 스트로의 임의 단부를 단순하게 압착하면 흡음 시에 압착면의 공간이 더욱 압착되어 밀폐되고 말기 때문에 스트로의 두께를 매우 두껍게 하거나 또는 사출하여야 하는 폐단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의 기술적 변형에 관한 것으로서, 패트나 유리 또는 지관이나 파우치 또는 금속캔 등등의 용기에 사용가능하도록 뚜껑형태로 제작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수단으로서는, 각종 뚜껑으로 적용되는 병뚜껑은 용기의 형태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할 수 있고, 구성의 일 방법으로는 스크류방식으로 개폐하거나 또는 원터치방식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상황에 따라 접착 등의 방법으로 용기 에 뚜껑(병뚜껑)을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형태의 병뚜껑(뚜껑) 내부 저장공간에는 볼 형태의 고체를 넣고 상기한 내용물이 상하 어느 방향으로 이탈하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멍(배출구멍, 흡입구멍)을 두고 그 단부를 밀봉 처리한 것이나, 이는 외관 포장 방법에 따라 그 설계를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병뚜껑(뚜껑)은 용기에 조립된 체로 유통되고, 이를 소비자가 구입하여 이용 가능한 용기에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용기의 마감부에 조립하여 유통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병뚜껑은 다양한 형태의 용기목에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본체는 다중 병목 채용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병뚜껑의 내부 저장공간에 들어 가는 내용물은 직경이 5mm이상인(경우에 따라서는 2mm내지 5mm인 것도 무방) 것이 좋으며, 그리고 내용물에는 발포제 성분이 들어 있어 용기내의 내용물이 접촉되면 서서히 스스로 발포되어 용해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향만 들어 있게 하고 아주 서서히 그 향이 베어나오도록 할 수 있되, 상기한 내용물은 향이 있는 플라스틱이거나 또는 광물일 수 있고, 광물일 경우 액체를 자화시킬 수 있는 자성을 갖고 있을 수 있다.
병뚜껑의 저장공간에 향이나 맛을 내는 내용물이 들어 있어 언제 어디서나 신선하고 또한 그 혼합된 내용물을 음용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를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도 1에서 보인바와 같이, 병뚜껑 (1)은 본체(100)와 덮개(200) 그리고 수용부(300)로 구성되며, 상기한 수용부(300)는 도 5에서와 같이 내부로 나선형으로 연결된 제1저장공간(301)과 제2저장공간(302)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저장공간(301)의 하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필터형의 흡입구멍(30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1저장공간(301)과 제2저장공간(302)에는 맛이나 향이 든 볼 형태의 내용물을 넣고, 그 내용물은 과립이나 정제 등 볼 형태가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용물의 사이로 유체의 흐름이 있을 정도면 되고, 또한 상기한 내용물은 유체의 이동 사이에 내용물이 용해될 수 있거나 또는 향이 베어나 올 수 있을 정도면 형태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제1저장공간(301)과 제2저장공간(302)에 든 내용물이 상하 어느 방향으로 든 이탈되지 않도록 필터형의 배출구멍(201)과 흡입구멍(303)을 둔 것이며, 상기한 배출구멍(201)과 흡입구멍(303)의 형태는 다양한 설계 변형이 가능하며, 일예로는 도 1에서 보인바와 같이 제1저장공간(301)을 통한 유체가 제2저장공간(302)을 원활하게 경유할 수 있도록 수용부(300)의 상부에 공간밀폐부(304)를 두고, 상기한 유체가 또한 상기한 유체가 배출구멍(201)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배출부(305)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병뚜껑(1)의 상단 구부(101)에 입을 대고 빨 때에 상기한 수용부(300)에 든 내용물이 용해되어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구부(101) 형태를 하고 있으면 되고, 상기한 구부(101)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를 설명하면, 도 1 과 같은 상태에서, 본체(100) 의 하부에 형성된 향 보존용 밀폐부(102)를 제거하고, 이를 용기(400)의 구부에 결합하며, 상기한 상태에서, 병뚜껑(1)을 일측으로 기울이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흡입구멍(303)을 통해 수용부(300)의 내부로 이동된다.(도 3 참고)
그리고 수용부(300)로 이동하는 유체는 제1저장공간(301)에 있던 내용물을 용해시키거나 향이나 맛이 베어 나오게 하면서 즉시 제2저장공간(302)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배출부(305)를 통해 배출구멍(201)으로 이동하여 구부(101)의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한 수용부(300)에는 용해되는 속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내용물을 적층시킬 수 있는 것이고, 참고적으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구멍(201)의 하방에 또 하나의 저장공간인 상부공간(103)을 형성하고 또 다른 내용물을 넣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병뚜껑(1)이 용기에 결합되어 유통될 때에는 흡입구멍(303)과 배출구멍(201)을 밀폐시키는 것이 좋고, 그 일예를 보이면 도 1에서와 같이 상부 구부(101)는 각양의 덮개(200)로, 그리고 하부의 수용부(300)에 형성된 흡입구멍(303)은 은박지 등의 밀폐부(102)로서 기밀처리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는 별도의 포장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로서, 응용의 방법으로서, 수용부(300)의 하단부 하부공간(306)에 스트로(5000를 길게 연장하거나 또는 별도 조립할수 있도록 하여 빨아 먹을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이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 도 2와 같고, 상기한 상태에서 구부(101)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스트로(500)를 통해 용기(400) 내부의 내용물이 수용부(300)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300)로 이동한 유체는 도 1에서와 같이 제1저장공간(301)과 제2저장공간(302)을 경유 최종 구부(101)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한 스트로(500)는 하부공간(306)의 내측이나 외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이고, 그 길이는 용기(4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로서, 응용의 방법으로서,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덮개(3)를 올리면 연결대(8)가 밀폐부(13)를 들어 올리면서 흡입구멍(6)을 열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용기를 일측으로 기울이면 흡입구멍(6)과 통해 배출홈(14)을 통해 용해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며, 이 역시 수용부(10)의 하단부에 스트로를 연장하거나 또는 연장할 수 있는 부위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로서, 응용의 방법으로서,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체(100)는 다양한 용기(400) 목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도시하여 예시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4에서 보인 용기(400) 목이 다른 것을 알 수 있고, 그 설명을 부연하면 본체(100)의 내벽에 형성된 제1나사산(104)과 제2나사산(105)이 각기 다르게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용기 목의 형태에 따라 그 나사산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걸림턱이나 걸림홈 등이 형성될 수 도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 응용의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수용부(300)는 도 6에서 보인바와 같이 제1저장공간(301)의 용해된 내용물이 제2저장공간(302)으로 이동하는 배출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방법으로 트이거나 구멍이 형성된 형태로 또는 필터형의 연결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수용부 (300)의 상단은 도 7에서 보인 데로 다양한 형태의 배출부(305)가 있는 공간밀폐부(304)를 둘 수 있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배출부(305)는 수용부(300)에 형성된 제2저장공간(302)이 끝나는 부위의 상방에 상기 배출부(305)가 위치되는 것이 좋은 예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 응용의 방법으로서, 도 8에서 보인바와 같이, 수용부(300)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 및 배출로는 다양한 형태를 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으로서, 당 설명에서는 제1저장공간(301)이 외측향에 형성되고, 다음의 공간이 내측 향에 형성되게 하여 계속적으로 제2저장공간(302)과 제3저장공간(307)을 형성한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 11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음과 그 각각의 공간 상방은 본체(100)의 설계 기법에 따라 배출로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제1저장공간(301)의 시작되는 부위에는 필터형의 흡입구멍(303)을 형성하며, 다르게는 도 9에서 보인 것과 같이 제1저장공간(301)이 중앙에 오게 하고 제2저장공간(302)과 제3저장공간(307)이 각각 외측 방향으로 위치되게 할 수 있고, 상기한 수용부(300)의 저장공간의 형태 및 수량은 저장공간의 크기에 따라 임의 조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흡입구멍(303)의 하방에 스트로(5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용부(300)의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도 12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각의 제1저장공간(301)을 복수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제1저장공간(301)을 통한 유체는 상방의 배출부(305)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수용부(300)의 내부에 든 저장공간은 그 설계 변경을 달리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3에서와 같이 제1저장공간(301)에서 제2,제3저장공간(302,307)으로 연결되는 것이 상하로 휘어진 형태로 하며, 각각의 연결은 배출부(305)를 통해 이루어지며, 최종 배출구멍(201)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한 흡입구멍(303)의 하단은 밀폐부(102)에 의해 밀폐되데, 바람직하게는 밀폐부(102)를 제거하면, 하방의 배출부(305)를 형성시키고 그 부위를 밀폐시키고 있는 밀폐부(102')만이 남고 나머지 밀폐부(102)는 제거될 수 있도록 절취선(L)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병뚜껑(1)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지만, 도 14에서 보인 바와 같이 구부(101)의 상방에 조립되는 배출수단은 원처형의 밀폐마개인 덮개(200)를 둘 수 있고, 사용 시는 덮개(200)를 들어 올리면 배출구멍(201)이 외기에 노출되며, 반대로 덮개(200)를 내리면 배출구멍(201)이 외기와 차단되는 것임과, 또한 상기한 덮개(200)는 회전형으로 들어 올리고 내리거나 또는 힌지 형태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5), 수용부(300)가 본체(100)의 저부공간에 일체로 형성되게 한 것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각각의 저장공간 하방은 공간밀폐부(304)로서 밀폐시킨 것을 보인 것이며, 공간밀폐부(304)에는 선택된 위치에 흡입구멍(303)을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6), 본 발명의 병뚜껑(1)은 덮개(200)가 없이도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며, 또한 도 15의 내용에 있어서, 하방에 스트로(5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도 예시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7), 본 발명의 수용부(300)의 내부 저장공간은 나선형으로, 또는 계단형 나선형 등으로 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7에서는 계단식 나선형으로 제1저장공간(301)을 형성한 것을 보이고 있다.
병뚜껑의 저장공간에 향이나 맛을 내는 내용물이 들어 있어 언제 어디서나 신선한 혼합된 내용물을 음용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병뚜껑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병뚜껑에 스트로가 결합된체로 사용된 상태이며,
도 3 은 구부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상태이며,
도 4 는 용기 목에 다른 규격에 병뚜껑을 조립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5 는 수용부의 바람직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6 은 수용부의 변형된 예를 보인 것이며,
도 7 은 수용부의 저장공간에 배출로를 형성하기 위해 공간밀폐부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병뚜껑 100 : 본체
101 : 구부 102 : 밀폐부
103 : 상부공간 104 : 제1나사산
105 : 제2나사산 200 : 덮개
201 : 배출구멍 300 : 수용부
301 : 제1저장공간 302 : 제2저장공간
303 : 흡입구멍 304 : 공간밀폐부
305 : 배출부 306 : 하부공간
307 : 제3저장공간 400 : 용기
500 : 스트로 L : 절취선

Claims (11)

  1. 병뚜껑은 본체와 덮개 그리고 수용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수용부는 내부로 나선형으로 연결된 제1저장공간과 제2저장공간 또는 제3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저장공간의 하부에는 필터형의 흡입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제1저장공간과 제2저장공간 또는 제3저장공간에는 맛이나 향이 든 볼 또는 과립 또는 정제 형태의 내용물을 넣고,
    상기 내용물의 사이로 유체의 흐름이 있고, 또한 상기한 내용물은 유체의 이동 사이에 내용물이 용해될 수 있거나 또는 향이 베어나 올 수 있게 하며,
    상기 제1저장공간과 제2저장공간 또는 제3저장공간에 든 내용물이 상하 어느 방향으로 든 이탈되지 않도록 필터형의 배출구멍과 흡입구멍을 둔 것이며,
    상기 배출구멍과 흡입구멍의 형태는, 제1저장공간을 통한 유체가 제2저장공간 또는 제3저장공간을 원활하게 경유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병뚜껑의 상단에는 구부를 두고,
    상기 구부는, 상기 구부에 입을 대고 빨 때에 상기한 수용부에 든 내용물이 용해되어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구부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맛을 내는 병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공간을 통한 유체가 제2저장공간 또는 제3저장공간을 원활하게 경유할 수 있도록 수용부(300)의 상부에 공간밀폐부를 두고, 또한 상기한 유체가 배출구멍으로 이동하는 경로인 배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맛을 내는 병뚜껑.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의 흡입구멍과 배출구멍은 사용전까지 기밀처리된 것을 특징으로한 맛을 내는 병뚜껑.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뚜껑의 흡입구멍 하단으로는 스트로를 연장하거나 또는 조립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한 맛을 내는 병뚜껑.
  10. 삭제
  11. 삭제
KR1020080121546A 2008-10-27 2008-12-01 맛을 내는 병뚜껑 KR101569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546A KR101569491B1 (ko) 2008-12-01 2008-12-01 맛을 내는 병뚜껑
PCT/KR2008/007518 WO2010050646A1 (en) 2008-10-27 2008-12-18 Bottle cap
US13/517,353 US20120279939A1 (en) 2008-10-27 2008-12-18 Bottle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546A KR101569491B1 (ko) 2008-12-01 2008-12-01 맛을 내는 병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753A KR20100062753A (ko) 2010-06-10
KR101569491B1 true KR101569491B1 (ko) 2015-12-30

Family

ID=4236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546A KR101569491B1 (ko) 2008-10-27 2008-12-01 맛을 내는 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4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750Y1 (ko) * 2001-10-12 2002-01-26 반채일 용기 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0315B1 (en) * 2000-06-30 2002-05-21 Sherrie L. Giddings Retrofittable cap
KR20050074938A (ko) * 2005-06-20 2005-07-19 이정민 스트로를 구비한 이종물질을 수용한 뚜껑
KR20080062990A (ko) * 2006-12-28 2008-07-03 이성재 이종물질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750Y1 (ko) * 2001-10-12 2002-01-26 반채일 용기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753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353B2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separable working member
US8944244B2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movable working member
US6945393B2 (en) Cap device for attachment to a container
US20120279939A1 (en) Bottle cap
JP5020969B2 (ja) 作動部一体形の異種物質貯蔵空間を有する受容装置
US20080277310A1 (en) Segregated Container Packaging for Liquids
CN107529873B (zh) 具有多功能杯盖的多功能水杯
KR101569491B1 (ko) 맛을 내는 병뚜껑
KR101133406B1 (ko) 별도의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병뚜껑
KR20100061250A (ko) 맛을 내는 병뚜껑
KR20100065000A (ko) 맛을 내는 병뚜껑
KR20100047092A (ko) 병뚜껑
KR20100049467A (ko) 맛을 내는 음료용 스트로
KR20100061248A (ko) 맛을 내는 병뚜껑
KR20100052368A (ko) 맛을 내는 음료용 스트로
KR20130056126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40011409A (ko) 별도의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병뚜껑
US20220315872A1 (en) Liquid preservation device and method
KR101096509B1 (ko) 별도의 내용물 저장 공간을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80062990A (ko) 이종물질 배출장치
JP2007276827A (ja) カプセル容器、カプセル、及びカプセル付き液体容器包装体
KR20080073609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00050359A (ko) 맛을 내는 음료용 스트로
KR100969425B1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구조
KR101459738B1 (ko) 용기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