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983B1 - Reinforced apparatus and reinforced method for concrete column - Google Patents
Reinforced apparatus and reinforced method for concrete colum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7983B1 KR101567983B1 KR1020130139733A KR20130139733A KR101567983B1 KR 101567983 B1 KR101567983 B1 KR 101567983B1 KR 1020130139733 A KR1020130139733 A KR 1020130139733A KR 20130139733 A KR20130139733 A KR 20130139733A KR 101567983 B1 KR101567983 B1 KR 1015679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umn
- reinforcing plate
- reinforcing
- fastening
-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0000004282 Grewia occidenta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41001136800 Anas acut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60 ara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94 fiber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3/0225—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of circular building elements, e.g. by circular bracing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둥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압축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력 보강장치 및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기둥의 내력 보강장치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기둥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을 갖는 체결봉과, 기둥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보강판과, 보강판을 관통해 단부가 체결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부와, 보강판의 외주면에 지지되도록 스크류부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를 구비하여 보강판을 기둥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체결봉은 상기 기둥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에 비해 짧게 형성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기둥의 내력 보강장치 및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방법은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콘크리트 기둥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콘크리트 기둥의 압축파괴를 방지하도록 효율적인 보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device for reinforcing a concrete column and a method for reinforcing a concrete column, which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compressive failure du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crete column, A screw portion which is threadedly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through the reinforcing plat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umn, And a joining member having a head portion larger in diameter than the screw portion to be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upling the reinforcing plate to the column, wherein the joining rod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olumn. The reinforcement of the concrete column and the reinforcement method of the concrete column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reinforce the concrete column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existing concrete structure and prevent the compression column of the concrete column due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oncrete column.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 및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콘크리트 기둥의 내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구속효과(confindment effect)를 도입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력 보강 장치 및 그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ment device for a concrete column and a method for reinforcing a concrete column,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ement device for a concrete column capable of introducing a confining effect to increase the strength of a conventional concrete column, To a reinforcing method.
건축물은 판상 내지 괴상의 구조물과,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들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building is generally composed of a plate-like or massive structure and a column physically supporting the structures located at the upper part.
따라서 기둥은 구조물의 하중 기타 그 위에서 가해지는 여러 하중들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지진이나 풍압 등 수평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서도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만일 기둥이 이를 견디지 못한다면 붕괴되며, 그 결과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상부구조물들 또한 붕괴를 면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 기둥의 지진에 대한 내진설계는 매우 중요하다.Therefore, the column should be able to withstand the loads of structures and various loads applied thereon, and also be able to withstand the external forces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uch as earthquake and wind pressure. If the column can not withstand it, it will collapse, and as a result, physically supported superstructures will also fail to collapse. Especially, seismic design of concrete columns is very important.
콘크리트 기둥을 보강하는 방법으로 섬유보강, 강판보강, 단면확대 등 여러 방법이 현장여건에 따라 적용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콘크리트 기둥의 외부를 일방향 섬유시트, 섬유판 및 강판, 콘크리트로 감싸는 형식이며, 에폭시수지를 이용하여 섬유시트 등을 콘크리트 기둥에 부착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Several methods such as fiber reinforcement, steel plate reinforcement, and section enlargement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ite. This method is to enclose the outside of the concrete column with a unidirectional fiber sheet, fiberboard, steel plate and concrete. It is common to attach a fiber sheet or the like to a concrete column.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 등의 섬유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방법은 기둥의 내하력증진 효과가 탁월한 반면에 횡방향의 유연성 증가에는 그 증진효과가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섬유시트를 일반적인 에폭시수지를 이용하여 기둥의 표면에 부착하는 경우, 시공시 부착면에 형성되는 기포를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method of reinforcing a concrete column using a fiber sheet such as a carbon fiber or an aramid fiber has an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the load carrying capacity of the column, but has a weak effect of increasing the flexibility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fiber shee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column using a general epoxy resi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troublesome to remove bubbles formed on the attachment surfac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시공된 기존의 콘크리트 기둥을 관통하는 체결봉을 삽입하고 보강판을 설치한 후 이를 이용하여 포스트 텐션을 도입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압축파괴 방직 및 내력을 보강할 수 있으며, 시공 편의성이 증진된 콘크리트 기둥의 내력 보강 장치 및 그 보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inserting a reinforcing plate through insertion of a fastening rod penetrating through a concrete colum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reinforcing a concrete column having improved ease of installation and a method of reinforc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내력 보강장치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기둥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을 갖는 체결봉과; 상기 기둥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을 관통해 단부가 상기 체결봉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부와, 상기 보강판의 외주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스크류부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보강판을 상기 기둥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봉은 상기 기둥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에 비해 짧게 형성되어 있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reinforcing concrete strength of a concrete column, comprising: a hollow bar having a hollow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extend across a column formed of concrete; A reinforcing plate fasten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 An engaging member having a screw portion through which the end portion passes through the reinforcing plate and is screwed to the engaging rod and a head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crew portion to be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to couple the reinforcing plate to the column; And the fastening rods are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pillar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체결봉은 상기 기둥을 가로지르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삽입 설치되는 제1 체결봉과, 상기 제1 체결봉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체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제1 체결봉에 대응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보강판과, 상기 제2 체결봉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보강판과 함께 상기 기둥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2 보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 체결홀 또는 제2 체결홀을 통해 상기 보강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봉 또는 제2 체결봉에 체결되도록 형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bar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bar inserted and extending to extend along a first direction across the column, a second fastening bar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bar, And the reinforcing plate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plate on which a first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rod is formed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on the side of the second fastening ro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rod,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 together with the first reinforcing plate, wherein the engaging member penetrates the reinforcing plate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or the second fastening hole, So as to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rod or the second fastening rod.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체결봉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봉과 상기 결합부재에 설정된 크기 이상의 인장력이 걸리면 상기 헤드부로부터 분리되는 핀테일을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engaging member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pin tail detached from the head portion when the engag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rod and a tensile forc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magnitude is applied to the engaging rod and the engaging member.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강판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다각기둥 형태의 상기 기둥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복수개의 보강판이 적용되고, 상기 보강판의 양 단이 상호 만나는 상기 기둥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모서리 커버부재;를 더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plate is formed of concrete,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to be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ismatic column are applied, and the edges of the reinforcing plate, And a corner cover member provided on the base.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봉은 상기 기둥을 가로지르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삽입 설치되는 제1 체결봉과, 상기 제1 체결봉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2 체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제1 체결봉에 대응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기둥의 상호 나란하게 위치하는 두 외주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제1 보강판과, 상기 제2 체결봉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보강판이 설치되지 않는 나머지 두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보강판과 함께 상기 기둥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 보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 커버부재는 상기 기둥의 네 모서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보강판과 제2 보강판은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모서리 커버부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Preferably, the column is formed of a quadrangular column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connecting rod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ng rod inserted into the column so as to extend along a first direction crossing the column, and a second connecting rod install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a second connecting rod extending across the column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has first fasten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rods, And a second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ba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lumn together with the first reinforcing plate, wherein the corner cover member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four corners of the column, Steel sheet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is formed so that both ends to each cover the edge of the cover member.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내력 보강 방법은 콘크리트로 형성된 기둥의 보강을 위한 것으로, 상기 기둥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관통홀을 천공하는 천공단계와; 상기 관통홀에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은 체결봉을 삽입 설치하는 체결봉 삽입단계와;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보강판을 덧대는 보강판 설치단계와; 상기 보강판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의 단부를 상기 체결봉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보강판을 상기 기둥에 고정시키고 상기 체결봉과 상기 결합부재 사이에 인장력을 도입하는 결합부재 체결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inforcing a concrete column, the method comprising: drilling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lumn; A fastening rod inserting step of inserting a fastening rod having a threa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through hole; A reinforcing plate attaching step of attaching a reinforcing plate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umn; And an engaging member engaging step of engaging an end of an engag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reinforcing plate with the engaging rod to fix the reinforcing plate to the column and introducing tensile force between the engaging rod and the engaging memb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둥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다각기둥 형상이며, 상기 체결봉 삽입단계와 상기 보강판 설치단계 사이에 상기 기둥의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 커버부재를 설치하는 커버부재 설치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 is formed of concrete and is polygonal, and a cover member is installed between the step of inserting the connecting rod and the step of installing the reinforcing plate. .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내력 보강장치 및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방법은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콘크리트 기둥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콘크리트 기둥의 압축파괴를 방지하도록 효율적인 보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ing device for reinforcing a concrete column and a reinforcing method for a concrete column have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reinforce the concrete column so as to prevent the compressive failure of the concrete column due to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oncrete column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existing concret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가 설치된 기둥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둥에 장착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를 통해 보강된 기둥의 평단면도,
도 4는 체결볼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체결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방법 중 천공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체결봉 설치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보강판 설치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원형 기둥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는 도 10의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가 설치된 기둥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 기둥에 장착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를 통해 보강된 기둥의 평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기둥에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시시도,
도 16은 모서리 커버부재 설치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모서리 커버부재 설치 이후 보강판 설치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umn provided with a reinforcing device for a concrete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crete column reinforcing device mounted on the column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a column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device of the concrete column of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olt,
FIGS.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fastening bolts of FIG. 4,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iercing step in a reinforcing method of a concrete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p of installing a fastening bar,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p of installing a reinforcing plat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crete column reinforcing apparatus installed on a circular colum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 column reinforcing apparatus of FIG. 10,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lumn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device for a concrete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crete column reinforcement device mounted on a column of Fig. 12, Fig.
FIG. 14 is a plan view of a column reinforced by the concrete column reinforcing apparatus of FIG. 13,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of joining the column of FIG. 12 through a coupling member;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corner cover member,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reinforcing plate after the corner cover member of FIG. 16 is instal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 및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1 to 3 show an
도면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100)는 콘크리트로 제작된 기둥(10)에 삽입 설치되는 제1, 제2 체결봉(111,112)과, 기둥(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제2 보강판(121,122)과, 제1, 제2 보강판(121,122)을 기둥(10)에 고정시키도록 제1, 제2 보강판(121,122)을 관통해 제1, 제2 체결봉(111,112)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재(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crete
본 실시예의 기둥(1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데, 제1 체결봉(111)은 기둥(10)의 상호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두 면을 관통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두 개가 나란하게 삽입 설치된다. 제1 체결봉(111)은 소정의 중공을 갖는 중공체이며 양측 가장자리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결합부재(130)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The
제2 체결봉(112)은 제1 체결봉(1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기둥(10)에 삽입 설치되며 제1 체결봉(111)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 측에는 결합부재(130)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The
제1 체결봉(111)과 제2 체결봉(112)은 모두 제1 체결봉(111)과 제2 체결봉(112)의 설치를 위해 기둥(10)에 각각 형성되는 제1 관통홀(141)과 제2 관통홀(14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The first and
보강판은 기둥(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것처럼 기둥(10)이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10) 형태이며 상호 나란한 방향에 위치하는 두 측면에 체결되는 제1 보강판(121)과 제1 보강판(121)이 체결되는 면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는 나머지 두 측면에 설치되는 제2 보강판(122)으로 되어 있다.The reinforcing plate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제1 보강판(121)은 제1 체결봉(111)의 설치를 위해 제1 관통홀(141)이 형성되는 두 측면에 체결되는 것으로 제1 체결봉(111)에 대응하는 제1 체결홀(123)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아울러 제2 보강판(122)은 제2 체결봉(112)의 설치를 위해 제2 관통홀(142)이 형성되는 두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 체결봉(112)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124)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제1 보강판(121) 및 제2 보강판(122)은 결합부재(130)에 의해 기둥(10)에 밀착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결합부재(130)는 상술한 것처럼 제1, 제2 보강판(121,122)을 각각 관통해 제1 체결봉(111) 또는 제2 체결봉(112)에 결합되어 제1, 제2 보강판(121,122)을 기둥(10)에 밀착 결합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결합부재(130)는 제1 체결홀(123) 또는 제2 체결홀(124)을 관통해 제1 체결봉(111) 또는 제2 체결봉(112)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부(131)와, 스크류부(131)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헤드부(132)로 되어 있다.The
스크류부(13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부(132)는 제1 체결홀(123) 또는 제2 체결홀(124)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헤드부(132)는 스패너와 같은 체결공구를 사용해 스크류부(13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기둥(10) 형태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었다.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제1 보강판(121) 및 제2 보강판(122)을 기둥(10)의 외주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결합부재(130)를 장착하면 제1 체결봉(111)의 경우 제1 체결봉(111)의 양측에서 제1 보강판(121)을 관통한 결합부재(130)가 각각 나사결합되며, 제2 체결봉(112)의 경우에도 제2 체결봉(112)의 양측에서 제2 보강판(122)을 관통한 결합부재(130)가 나사결합된다.When the
제1 체결봉(111) 또는 제2 체결봉(112)의 양측에서 결합부재(130)를 나사 결합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제1 체결봉(111) 및 제2 체결봉(112)의 양측이 당겨지면서 기둥(10)에 포스트 텐션이 걸리게 된다.When the
결합부재(13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포스트 텐션의 크기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핀테일(133)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핀테일(133)은 헤드부(132)에 부착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토크쉬어볼트(torque shear bolt)와 같이 일정 크기 이상의 토크가 걸리면 자동으로 핀테일(133)이 헤드부(132)로부터 분리되어 일정한 토크로 결합부재(13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즉, 본 실시예의 결합부재(130)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기구는 헤드부(132)를 클램핑하는 제1 클램핑부와, 핀테일(133)을 클램핑하는 제2 클램핑부가 마련되어 있고, 제1 클램핑부와 제2 클램핑부가 함께 회전하면서 헤드부(132)와 핀테일(133)을 돌려 결합부재(130)를 체결봉에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제1 클램핑부와 제2 클램핑부에 걸리는 토크의 크기가 점점 증가하게 되는데, 핀테일(133)은 설정된 크기 이상의 토크가 걸리면 헤드부(132)로부터 분리가 되고, 작업자는 핀테일(133)이 분리되는 시점에서 체결을 멈추게 됨으로써 일정한 크기의 포스트 텐션이 걸리도록 설치할 수 있다.That is, the fastening mechanism for mounting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100)를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10)의 보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먼저 콘크리트 기둥(10)에 제1 체결봉(111)과 제2 체결봉(112)을 설치하기 위한 제1 관통홀(141) 및 제2 관통홀(142)을 천공한다. (제1 천공단계, 제2 천공단계)The first through
본 단계에서는 콘트리트로 된 기둥(10)을 보링 가공하여 제1, 제2 체결봉(111,112)의 외경에 대응하는 제1, 제2 관통홀(141,142)을 천공한다. 제1, 제2 관통홀(141,142)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된다.In this step, the
제1, 제2 관통홀(141,142)이 천공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체결봉(111,112)을 제1, 제2 관통홀(141,142)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제1 체결봉 삽입단계, 제2 체결봉 삽입단계)When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본 단계에서는 먼저 제1, 제2 관통홀(141,142)에 제1 체결봉(111)을 제1 관통홀(141)에, 제2 체결봉(112)을 제2 관통홀(142)에 삽입 설치한다. 제1, 제2 체결봉(111,112)은 모두 제1 관통홀(141) 및 제2 관통홀(142)보다 길이가 짧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체결봉(111)과 제2 체결봉(112)의 단부가 각각 기둥(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한다. 제1, 제2 체결봉(111,112)은 기둥(10)의 내부에서 제1, 제2 관통홀(141,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또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매립 설치된다.The first connecting
제1, 제2 체결봉(111,112)의 설치가 끝난 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판(121)과 제2 보강판(122)을 각각 기둥(10)의 외면에 부착하고(제1 보강판 설치단계, 제2 보강판 설치단계), 결합부재(130)를 통해 제1, 제2 보강판(121,122)을 기둥(10)에 고정시킨다.(결합부재 체결단계)After the first and
결합부재(130)는 스크류부(131)가 제1 보강판(121) 또는 제2 보강판(122)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체결홀(123) 또는 제2 체결홀(124)을 관통해 제1 체결봉(111)의 중공이나 제2 체결봉(112)의 중공에 나사결합되고, 헤드부(132)가 제1 보강판(121) 또는 제2 보강판(122)을 기둥(10)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진다. The engaging
특히 결합부재(130)를 체결할 때에는 체결봉과 결합부재(130)에 기둥(10)의 보강을 위한 포스트 텐션이 걸릴 수 있도록 토크렌치와 같은 체결기구를 통해 설정된 크기의 힘이 가해지도록 결합부재(130)를 체결한다. Particularly, when fastening the
물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핀테일(133)이 부착된 결합부재(130)를 통해 별도의 측정기구 없이 일정 크기의 포스트 텐션이 걸리도록 결합부재(130)를 체결할 수도 있다.4 to 6, it is also possible to fasten the
도 10 및 도 11에는 원형 콘크리트 기둥(20)을 보강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20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10 and 11 show another embodiment of a concrete
본 실시예의 경우 기둥(2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기둥의 중심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복수개의 제3 관통홀(211)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제3 관통홀(211)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제3 관통홀(21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4 관통홀(212)이 마련되며, 제3 관통홀(211)과 제4 관통홀(212)에 삽입되도록 제3 체결봉(241)과 제4 체결봉(242)을 설치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제3 체결봉(241)과 제4 체결봉(242)은 모두 기둥(20)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The third and
기둥(20)의 외주면에는 제3 보강판(221)과 제4 보강판(222)이 설치되는데, 제3 보강판(221)과 제4 보강판(222)에는 각각 제3 체결봉(241) 및 제4 체결봉(242)과 대응하는 제3 체결홀(223) 및 제4 체결홀(224)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기둥(20)의 원점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3 보강판(221)과 두 개의 제4 보강판(222)이 기둥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A third reinforcing
그리고 결합부재(230)가 제3 체결홀(223) 또는 제4 체결홀(224)을 통해 제3 체결봉(241)과 제4 체결봉(242)의 중공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제3, 제4 보강판(221,222)을 기둥에 밀착시키게 된다.The
제3 보강판(221) 및 제4 보강판(222)은 각각 일측 가장자리에는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입된 제1 인입홈(225)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된 제2 인입홈(226)이 형성되어 있어서, 보강판의 일측 가장자리가 인접한 보강판의 타측 가장자리에 포개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third reinforcing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도 기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체결봉의 양단부에 결합부재(230)를 통해 보강판이 체결되면서 포스트텐션이 도입되고 보강판에 의해 기둥(20)이 가압됨으로써 보강이 이루어진다.In the reinforcing apparatus of the concrete colum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inforcing plate is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fastening rod extending across the column through th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Elements which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ose shown in the above-mention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100)는 제1 및 제2 보강판(121)(122)와 사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10) 사이의 기둥(10)의 네 모서리에 설치되는 모서리 커버부재(150)를 더 구비한다.12 to 14, a reinforcing
모서리 커버부재(150)는 기둥(10)의 네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모서리를 중심으로 인접한 양측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모서리 커버부재(150)는 제1, 제2 보강판(121,122)의 설치시 제1, 제2 보강판(121,122)의 양측 단부에 덮이게 됨으로서, 제1, 제2 보강판(121,122)과 함께 기둥(10)에 밀착됨으로서 기둥(10)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모서리 커버부재(150)는 제1, 제2 보강판(121,122)의 두께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한다. The
제1 보강판(121)의 모서리 커버부재(150)가 밀착되는 양측 가장자리영역은 두께가 얇게 내측이 인입되어 모서리 커버부재(150)가 안착될 수 있으면서 안착상태에서 제1보강판과 모서리 커버부재(150)의 중첩된 부분이 비 중첩된 부분과 두께가 같아질 수 있게 안착홈(121a)이 형성되어 있다.The side edge regions of the
아울러 제2 보강판(122)도 제2 보강판(122)의 모서리 커버부재(150)가 밀착되는 양측 가장자리영역은 두께가 얇게 내측이 인입되어 모서리 커버부재(150)가 안착될 수 있으면서 안착상태에서 제2보강판(122)과 모서리 커버부재(150)의 중첩된 부분이 비 중첩된 부분과 두께가 같아질 수 있게 안착홈(122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both side edges of the second reinforcing
이러한 제1 및 제2 보강판(121)(122)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핀테일(133)을 갖는 결합부재(130)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100)를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10)의 보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앞서 도 8을 통해 설명된 바와 같이 먼저 콘크리트 기둥(10)에 제1 체결봉(111)과 제2 체결봉(112)을 설치하기 위한 제1 관통홀(141) 및 제2 관통홀(142)을 천공하고, 제1, 제2 체결봉(111,112)을 제1, 제2 관통홀(141,142)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A first through
제1, 제2 체결봉(111,112)의 설치가 끝난 후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0)의 네 모서리에 모서리 커버부재(150)를 장착한다.(모서리 커버부재 설치단계)After the first and
모서리 커버부재(150)는 별도의 접착제 또는 결합수단을 통해 기둥(10)에 직접 결합시킬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보강판(121) 및 제1 보강판(121)에 접착 또는 결합시킬 수도 있다. The
모서리 커버부재(150)를 장착한 후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판(121)과 제2 보강판(122)을 각각 기둥(10)의 외면에 부착하고, 결합부재(130)를 통해 제1, 제2 보강판(121,122)을 기둥(10)에 고정시키면 된다.17, the first reinforc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기둥
100;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
111; 제1 체결봉 112; 제2 체결봉
121; 제1 보강판 122; 제2 보강판
123; 제1 체결홀 124; 제2 체결홀
130; 결합부재
131; 스크류부 132; 헤드부
133; 핀테일
141; 제1 관통홀 142; 제2 관통홀
20; 기둥
200;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
211; 제3 관통홀 212; 제4 관통홀
221; 제3 보강판 222; 제4 보강판
223; 제3 체결홀 224; 제4 체결홀
225; 제1 인입홈 226; 제2 인입홈
230; 결합부재
241; 제3 체결봉 242; 제4 체결봉10; Pillar
100; Reinforcement of Concrete Columns
111; A first connecting
121; A first reinforcing
123; A
130; [0034]
131;
133; Pin tail
141; A first through
20; Pillar
200; Reinforcement of Concrete Columns
211; A third through
221; A third reinforcing
223; A
225; A
230; [0034]
241; A third connecting
Claims (8)
상기 기둥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을 관통해 단부가 상기 체결봉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부와, 상기 보강판의 외주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스크류부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보강판을 상기 기둥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봉은 상기 기둥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에 비해 짧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판은 콘크리트로 형성되며 다각기둥 형태의 상기 기둥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복수개의 보강판이 적용되고,
상기 보강판의 양 단이 상호 만나는 상기 기둥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모서리 커버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기둥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사각기둥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봉은 상기 기둥을 가로지르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삽입 설치되는 제1 체결봉과, 상기 제1 체결봉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기둥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2 체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제1 체결봉에 대응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기둥의 상호 나란하게 위치하는 두 외주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제1 보강판과, 상기 제2 체결봉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보강판이 설치되지 않는 나머지 두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보강판과 함께 상기 기둥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 보강판을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 커버부재는 상기 기둥의 네 모서리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보강판과 제2 보강판은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모서리 커버부재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력 보강장치.A connecting rod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pillar formed of concrete and having a hollow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reinforcing plate form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umn;
An engaging member having a screw portion through which the end portion passes through the reinforcing plate and is screwed to the engaging rod and a head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crew portion to be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to couple the reinforcing plate to the column; And,
The fastening rods are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pillars,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is formed of concret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to be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ismatic column,
And a corner cover member provided at an edge of the column where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plate meet with each other,
The column is formed as a quadrangular column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first fastening bar being installed to extend along a first direction across the column and a second fastening ba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bar and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connecting rod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rod,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plate formed with first fasten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rods and closely attached to two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illars,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provided on the other two side surfaces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together with the first reinforcing plate,
Wherein the corner cover member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four corners of the column, and both ends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re formed so as to cover the edge cover member, respectively, .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9733A KR101567983B1 (en) | 2013-11-18 | 2013-11-18 | Reinforced apparatus and reinforced method for concrete column |
PCT/KR2014/011000 WO2015072792A1 (en) | 2013-11-18 | 2014-11-17 | Device for reinforcing resistance force of concrete post and method for reinforc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9733A KR101567983B1 (en) | 2013-11-18 | 2013-11-18 | Reinforced apparatus and reinforced method for concrete colum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8591A KR20150058591A (en) | 2015-05-29 |
KR101567983B1 true KR101567983B1 (en) | 2015-11-11 |
Family
ID=5305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9733A KR101567983B1 (en) | 2013-11-18 | 2013-11-18 | Reinforced apparatus and reinforced method for concrete column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7983B1 (en) |
WO (1) | WO2015072792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3005A (en) | 2017-06-30 | 2019-01-09 | 한국과학기술원 | Apparatus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Concrete Sturcure And Method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s U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77320B (en) * | 2020-05-29 | 2022-03-08 | 山东建筑大学 | Assembled steel underpinning device for concrete cylindrical underpinning and application thereof |
CN114033231A (en) * | 2021-11-29 | 2022-02-11 | 中冶华天南京工程技术有限公司 | Local reinforcing method for concrete sil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81018A (en) * | 2000-12-18 | 2002-06-26 | Nippon Steel Corp | Torque shear type high tension bolt and bolt joint method |
KR100647842B1 (en) * | 2006-09-05 | 2006-11-23 | (주)도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Pier structure of underground parking lot for building |
JP2011236618A (en) * | 2010-05-10 | 2011-11-24 | Eiji Makitani |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ncrete colum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14535A (en) * | 2012-04-09 | 2013-10-18 | 유한회사 케이테크코리아 | Concrete filled tubular for building pillar construction |
-
2013
- 2013-11-18 KR KR1020130139733A patent/KR101567983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11-17 WO PCT/KR2014/011000 patent/WO201507279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81018A (en) * | 2000-12-18 | 2002-06-26 | Nippon Steel Corp | Torque shear type high tension bolt and bolt joint method |
KR100647842B1 (en) * | 2006-09-05 | 2006-11-23 | (주)도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Pier structure of underground parking lot for building |
JP2011236618A (en) * | 2010-05-10 | 2011-11-24 | Eiji Makitani |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ncrete colum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3005A (en) | 2017-06-30 | 2019-01-09 | 한국과학기술원 | Apparatus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Concrete Sturcure And Method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s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072792A1 (en) | 2015-05-21 |
KR20150058591A (en) | 2015-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3201397B2 (en) | Wooden member assembly | |
KR102166001B1 (en) | Combination reinforcing coupler and column alignment device | |
KR101383814B1 (en) | Pretension reinforcement apparatus for masonry wall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masonry wall using that | |
JP4805619B2 (en) | Damper system | |
KR101568016B1 (en) | Reinforced apparatus and reinforced method for concrete column | |
KR101567983B1 (en) | Reinforced apparatus and reinforced method for concrete column | |
KR101719179B1 (en) | Column reinforced with spiral | |
JP5336125B2 (en) | Mounting structure for reinforcing members in structures | |
KR101508751B1 (en) | Reinforcement apparatus for masonry wall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masonry wall using that | |
KR20150061467A (en) | High tension anchor for connecting steel pier and concrete foundation and its asembly and steel pie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US20120255243A1 (en) | Seismic coupler | |
CN105735666A (en) |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column rapidly | |
RU149596U1 (en) | GLUED BEAM, ANCHOR FOR FASTENING IN GLUED BEAM, NODE CONNECTION OF GLUED BEAMS | |
KR20140020582A (en) | Concrete mold assembly | |
KR101581892B1 (en) | Concrete Filled Tube Reinforced with Tension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JP6351471B2 (en) | Connected structure | |
KR101518034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concrete column having self-restraint features | |
JP2015092054A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 |
KR101939020B1 (en) | Footing bar jointed pressure supporting unit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of caliber penetrator using the same | |
JP7266470B2 (en) | Column base joint structure | |
KR20140094178A (en) | tensile device for tensile angle adjustment and easy to re-tensile | |
KR100748079B1 (en) | Structure strengthening and repairing method using the anchorage apparatus for multi frp strip | |
KR101880630B1 (en) | a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of buildings and a Seismic strengthen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328685B1 (en) | Connection structure for concrete filled tubular column and flatplate | |
JP2006193996A (en) | Fixing structure of colum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