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258B1 -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 - Google Patents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258B1
KR101560258B1 KR1020150027865A KR20150027865A KR101560258B1 KR 101560258 B1 KR101560258 B1 KR 101560258B1 KR 1020150027865 A KR1020150027865 A KR 1020150027865A KR 20150027865 A KR20150027865 A KR 20150027865A KR 101560258 B1 KR101560258 B1 KR 101560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fire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득염
양정무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2001/949Construction elements filled with liquid, e.g. water, either permanently or only in case of fire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 현장에서 밀봉된 소화제가 해제되어 소화가 가능한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화장치에 의하면 화재발생이 예상되는 건축물의 곳곳에 구비될 수 있는바, 화재 현장에서 소화제의 밀봉이 해제됨으로써 소화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에 의하면 건식벽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별도의 소화기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내장된 소화제의 밀봉이 해제됨으로써 소화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Fire extinguishing equipment and drywall containing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본 발명은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 현장에서 밀봉된 소화제가 해제되어 소화가 가능한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초기 진압하지 못하면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는 발생 후 초기에 진압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건물에 배치되는 소화기의 경우, 평소 사용되지 않아 화재 발생시 소화기의 배치 장소를 잘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일반 사용자가 소화기를 사용할 경우 화원에 접근하여야 하므로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유독가스와 고열로부터의 부상 우려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건축물에 별도 장치로서 구비되는 소화기 이외에 자가 소화 기능을 갖는 소화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통 한옥과 같은 목조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물질을 제거한다는 것은 건축물을 파괴하거나 철거한다는 의미이므로 이에 적절한 소화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1120044호(2012.02.17. 등록) 등록특허번호 제10-1143844호(2012.04.24. 등록)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화재가 일어나고 있는 현장에서 소화가 가능한 소화장치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발생이 예상되는 건축물의 곳곳에 구비되어 있어 화재 현장에서 소화가 가능한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식벽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별도의 소화기를 이용하지 않고 내장된 소화제의 밀봉이 해제되어 소화가 가능한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화제가 각각 밀봉되어 있는 다수개의 소화제팩; 상기 소화제팩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소화제팩 및 상기 연결부재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도화선;을 포함하며, 화재발생 시 상기 소화제팩은 열 또는 상기 도화선에 의해 녹아 상기 소화제의 밀봉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팩은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열경화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는 액상의 소화약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팩은 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소화제팩을 일렬로 연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소화제팩을 시트 형태로 연결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외장패널과 내장패널 및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식벽체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장패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건식벽체의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설치되는 수직스터드; 상기 수직스터드 상호 간을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설치되는 수평스터드; 및 상기 수직스터드와 상기 수평스터드의 두께로 인해 형성된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장패널 사이의 빈공간에 설치되는 소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소화장치는 소화제가 각각 밀봉되어 있는 다수개의 소화제팩; 상기 소화제팩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소화제팩 및 상기 연결부재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도화선;을 포함하며, 화재발생 시 상기 소화제팩은 열 또는 상기 도화선에 의해 녹아 상기 소화제의 밀봉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는 화재 발생시 내장된 소화제팩의 밀봉이 해제되어 소화가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팩은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열경화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는 액상의 소화약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팩은 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소화제팩을 일렬로 연결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소화제팩을 시트 형태로 연결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소화장치에 의하면 화재발생이 예상되는 건축물의 곳곳에 구비될 수 있는바, 화재 현장에서 소화제의 밀봉이 해제됨으로써 소화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에 의하면 건식벽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별도의 소화기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자체적으로 내장된 소화제의 밀봉이 해제됨으로써 소화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에 의하면 한옥과 같은 건식벽체의 외관을 해치지 아니 하면서 소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조단열재로서의 기능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100)는 소화제팩(110), 연결부재(120) 및 도화선(1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화제팩(110)은 볼 형상의 팩으로서 다수개로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소화제를 밀봉하고 있다.
상기 소화제팩(110)은 평상시에는 소화제를 밀봉하고 있고 있어야 함과 함께, 화재 발생시에는 밀봉이 해제되어야 하므로 이에 적절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소화제를 밀봉하기에 적절한 내구성을 가지면서, 화재 발생시 열이나 상기 도화선(130)에 의해 밀봉이 해제될 수 있는 열가소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소화제팩(110)에 수용된 소화제는 액상의 소화약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으며 분말 형태의 소화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화제팩(110)에 수용된 액상의 소화제로서, 액상 상태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과 황산알루미늄수화물(Al(SO4)3)이 포함된 소화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액상 상태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과 황산(H2SO4)이 포함된 소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소화제팩(110) 각각을 서로 연결시켜 준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평상시에는 상기 소화제팩(110)을 지지하고 있어야 함과 함께, 화재 발생시에도 변형이 되지 않고 상기 소화제팩(110)을 지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에 적절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소화제팩(110)을 지지하기에 적절한 내구성을 가지면서, 화재 발생시 열이나 상기 도화선(130)에 의해 변형이 되지 않는 열경화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화선(130)은 상기 소화제팩(110)의 밀봉을 해제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소화제팩(110) 및 상기 연결부재(120)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화선(130)은 화재 발생시 점화가 되어 상기 소화제팩(110)의 밀봉을 해제시킬 수 있는 모든 재질과 형태의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상기 소화제팩(110) 및 상기 연결부재(120)의 표면을 따라 하나의 도화선 또는 둘 이상의 도화선이 직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곡선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100)는 다수개의 소화제팩(110)에 소화제를 밀봉하고 있고 상기 도화선(130)이 구비되어 있는바, 화재 발생시 상기 도화선(130)에 의해 상기 소화제팩(110)의 밀봉이 해제되면 누출되는 소화제로 인하여 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100)는 상기 소화제팩(110)이 일렬로 구비되어 있는바, 전통 한옥의 적심층 사이에 설치하거나 또는 숭례문과 같은 전통 양식 건축물의 출목 사이의 순각판 상부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200)는 소화제팩(210), 연결부재(220) 및 도화선(2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화제팩(210)은 볼 형상의 팩으로서 다수개로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소화제를 밀봉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220)는 상기 소화제팩(210) 각각을 서로 연결시켜 준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20)는 상기 소화제팩(210)을 시트형태로 연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200)는 상기 소화제팩(210)과 상기 연결부재(220)를 시트형태로 구비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의 소화제팩(210)을 구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소화제팩(210)의 지지를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도화선(230)은 상기 소화제팩(210)의 밀봉을 해제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소화제팩(210) 및 상기 연결부재(220)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200)는 소화제를 밀봉하고 있는 다수개의 소화제팩(210)과 연결부재(220)를 시트형태로 구비하였는바, 보다 넓은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200)는 한옥의 건식벽체 내부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100)와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300)는 외장패널(310), 내장패널(320), 단열재(330), 수직스터드(340), 수평스터드(350) 및 소화장치(100, 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건식벽체는 부재를 물을 사용하지 않고, 철골이나 접착재와 같은 고정수단을 활용하여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내부에 빈 공간이나 공기층이 형성되기 쉽다. 새로운 한옥에서도 건식벽체의 구성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건식벽체는 화재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건식벽체를 구성하는 부재들이 얇고 목재를 가공하여 생산한 제품들이라는 것뿐만 아니라, 습식과는 다르게 내부에 공기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발화가 되었을 때 산소를 공급하여 연소를 가속화하기 때문이다. 또한 건식벽체는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초기 진화가 어렵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벽체(300)는 소화장치(100, 200)를 건식벽체 내부에 내장하여, 화재 발생시 별도의 소화장치에 의하지 않고서도 내장된 상기 소화장치(100, 200)에 의해 소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단열재(330)는 외측으로는 상기 외장패널(310)이 구비되고, 내측으로는 상기 내장패널(3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직스터드(340)는 상기 단열재(330)와 상기 내장패널(320) 사이에 구비되는데, 상기 건식벽체(300)의 수직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수평스터드(350)는 상기 수직스터드(340) 상호간을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설치되는데, 상기 건식벽체(300)의 수평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소화장치(100, 200)는 상기 수직스터드(340)와 상기 수평스터드(350)의 두께로 인해 형성된 상기 단열재(330)와 상기 내장패널(320) 사이의 빈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소화장치(100, 2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렬 형태의 소화장치(100)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트형태의 소화장치(2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벽체(300)는 상기 소화장치(100, 20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360)은 상기 수직스터드(340) 및/또는 상기 수평스터드(35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소화장치(100, 200)를 고정할 수 있는 모든 재질과 형태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소화장치(100, 200)는 상기 단열재(330)와 상기 내장패널(320) 사이의 빈공간에 필요한 수만큼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100), 보다 넓은 공간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200)를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200)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바, 보조 단열재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200: 소화장치 110, 210: 소화제팩
120, 220: 연결부재 130, 230: 도화선
310: 외장패널 320: 내장패널
330: 단열재 340: 수직스터드
350: 수평스터드

Claims (11)

  1. 소화제가 각각 밀봉되어 있으며,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소화제팩;
    상기 소화제팩을 각각 연결하며, 열경화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소화제팩 및 상기 연결부재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도화선;을 포함하며,
    화재발생 시 상기 소화제팩은 열 또는 상기 도화선에 의해 녹아 상기 소화제의 밀봉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는 액상의 소화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팩은 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소화제팩을 일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소화제팩을 시트 형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
  6. 외장패널과 내장패널 및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식벽체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장패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건식벽체의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설치되는 수직스터드;
    상기 수직스터드 상호 간을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설치되는 수평스터드; 및
    상기 수직스터드와 상기 수평스터드의 두께로 인해 형성된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장패널 사이의 빈공간에 설치되는 소화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소화장치는
    소화제가 각각 밀봉되어 있으며,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소화제팩;
    상기 소화제팩을 각각 연결하며, 열경화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소화제팩 및 상기 연결부재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도화선;을 포함하며,
    화재발생 시 상기 소화제팩은 열 또는 상기 도화선에 의해 녹아 상기 소화제의 밀봉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는 액상의 소화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
  10.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팩은 볼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소화제팩을 일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
  11.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소화제팩을 시트 형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
KR1020150027865A 2015-02-27 2015-02-27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 KR101560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65A KR101560258B1 (ko) 2015-02-27 2015-02-27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65A KR101560258B1 (ko) 2015-02-27 2015-02-27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258B1 true KR101560258B1 (ko) 2015-10-15

Family

ID=5435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865A KR101560258B1 (ko) 2015-02-27 2015-02-27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2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619B1 (ko) * 2019-07-23 2020-03-06 정원건설 주식회사 건축용 내화 벽체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5940B2 (ja) 1990-12-19 1999-06-14 株式会社タイヘイ産商 壁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5940B2 (ja) 1990-12-19 1999-06-14 株式会社タイヘイ産商 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619B1 (ko) * 2019-07-23 2020-03-06 정원건설 주식회사 건축용 내화 벽체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1417B2 (en) Fire protection sleeve
KR102118661B1 (ko)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KR101697701B1 (ko) 건축패널의 화재 확산 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361647B1 (ko)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
JP2013023838A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KR101560258B1 (ko) 소화장치 및 소화장치가 내장된 건식벽체
JP5391134B2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60014155A (ko) 건축물의 바닥 슬라브용 고정구 일체형 내화충전재
US10596399B2 (en) Firestop collar
ES2876002T3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contra incendios
KR101262824B1 (ko) 방화구획체의 구조
KR20170022370A (ko) 샌드위치 패널용 소화장치
KR20180002416A (ko) 소화용 캡슐을 갖는 난연성 샌드위치패널
RU2690110C2 (ru) Огне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бельного перехода переборки
KR20190066388A (ko) 건식 내화 벽체
CA2982684A1 (en) Fire protection sleeve
JP2000297489A (ja) 建物の防火構造
KR20160088198A (ko) 스티로폼 단열재의 화재에 대비한 소화 장치의 방법
KR20170042030A (ko) 건축물 내외장용 패널
KR20160111051A (ko) 사용 중인 건축물에 이미 설치된 유기단열재에 대한 능동적 화재대비 방법.
JP6654049B2 (ja) 防炎シート及び防炎シートを用いた延焼防止方法
JP2011021312A (ja) 耐火ボックス
US11655919B2 (en) Fire protection sleeve
WO2011121359A3 (en) Fire protected structures and components for fire protection
KR20200136303A (ko) 내화충전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