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856B1 -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856B1
KR101559856B1 KR1020140032002A KR20140032002A KR101559856B1 KR 101559856 B1 KR101559856 B1 KR 101559856B1 KR 1020140032002 A KR1020140032002 A KR 1020140032002A KR 20140032002 A KR20140032002 A KR 20140032002A KR 101559856 B1 KR101559856 B1 KR 101559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lower flange
upper flange
support piec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9512A (ko
Inventor
김은수
홍기채
이정영
황순종
Original Assignee
시지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지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시지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40032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85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빈 통공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되, 그 둘레면에 복수의 볼트 결합공들과, 복수의 지지편 삽입공들이 형성된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와; 상기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지지편 삽입공들에 각각 삽입되는 돌출편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지지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에 개재되어 항타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지지편들이,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에 대하여 종방향 결속은 물론 횡방향으로도 결속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지지편의 이탈방지에 따른 찌그러짐이 예방되고, 이에 따라 연결된 콘크리트 파일들의 휨 발생이 예방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Fixture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 보강 공사 시 지반에 타공되는 콘크리트 파일들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 시에 지반 보강을 위하여 일정 깊이로 파일을 박게 되는데, 파일로는 재료에 따라 강관 또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이용된다.
여기서,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이하, 콘크리트 파일이라 함)은 내측에 스트레스가 인가된 강선을 삽입한 후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틀에 넣고 돌려 제작함으로써, 강도를 높인 파일이다.
이와 같이 제작된 콘크리트 파일은 건축물의 규모나 지반의 상태에 따라서 일정 깊이 이상 박게 되며, 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기 위해서는 이음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파일(20,30)들의 각 단부에 금속 재질의 조인트캡(21,31)들을 각각 씌운 후에, 이들 조인트캡(21,31)들을 용접(W)함으로써 콘크리트 파일(20,30)의 이음 시공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을 조인트캡의 용접으로 연결할 경우, 이음하고자 하는 두 개의 콘크리트 파일(20,30)에 각각의 금속성 조인트캡(21,31)을 끼운 후에 두 조인트캡을 용접(W)하여 이음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그 작업에 따른 시공성이 좋지 못하여 과다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축물에서 가장 중요한 강도문제에 있어서도 용접(W) 부위가 먼저 산화함으로써, 구조 강도면에서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가 특허로 제안되어 등록(특허 제0976563호)된 바 있다.
이하, 상기 특허 제0976563호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10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100)는 상부 콘크리트 파일(30)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가 빈 통공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110)와, 각각 플랜지 형상이면서 복수개의 볼트 결합공(121,131)을 갖고 몸체부(110)의 상하 양측단에 결합되는 상,하부 플랜지부(120,1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의 외주연에는 상,하부 플랜지부(120,130)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편(112)이 돌출되어 수직 및 수평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부 콘크리트 파일(30)과 하부 콘크리트(20) 파일에는 각각 조인트캡(31,21)들이 씌워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조인트캡(31,21)들에는 각각 볼트 체결공(32,2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콘크리트 파일(30) 및 하부 콘크리트 파일(20)의 조인트캡(31,21)에 체결구(100)를 맞대고, 체결구(100)의 상부 플랜지부(120)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21)과 상부 콘크리트 파일(30)의 조인트캡(31)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32), 체결구(100)의 하부 플랜지부(130)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131)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20)의 조인트캡(21)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2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각각 볼트(50)들을 삽입하여 체결시키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복수의 콘크리트 파일(20,30)을 연결하는 체결구(100)에 있어서, 상부 플랜지부(120)와 하부 플랜지부(130)에 개재되어 콘크리트 파일의 강타시 수직 및 수평 하중을 흡수하는 지지편(112)이 몸체부(110)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부 플랜지부(120) 및 하부 플랜지부(130)와는 용접에 의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바, 항타에 따른 충격시 그 일체 결합부위 및 용접부위가 균열 발생으로 인해 파손될 우려가 크게 된다.
즉, 체결구(100)에 의해 연결된 콘크리트 파일을 지중에 박고자 항타를 할 경우, 큰 하중이 체결구(100)에 가해지게 되며, 이때 체결구(100)의 상부 플랜지부(120)와 하부 플랜지부(130)에 개재되는 지지편(112)에 하중이 집중되는바, 이 지지편(112)과 몸체부(110)의 일체 결합부위, 지지편(112)과 상부 플랜지부(120)의 용접 결합부위 및 지지편(112)과 하부 플랜지부(130)의 용접 결합부위에 균열 발생에 따른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편(112)의 각 결합부위가 파손될 경우, 지지편(112)이 옆(수평)방향으로 이탈될 우려가 크며, 이의 경우 체결구(100)가 더 이상 수직 및 수평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상부 플랜지부(120)와 하부 플랜지부(130)의 간격유지가 이루어지지 않고 찌그러짐이 발생하게 되는바, 서로 연결된 콘크리트 파일(20,30)이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휘어지게 될 우려가 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에 개재되어 항타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지지편을,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에 대하여 종방향 결속은 물론 횡방향으로도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편의 이탈방지에 따른 찌그러짐을 예방하고, 이에 따라 결국 연결된 콘크리트 파일들의 휨 발생을 예방하도록 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는, 내부가 빈 통공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되, 그 둘레면에 복수의 볼트 결합공들과, 복수의 지지편 삽입공들이 형성된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와; 상기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지지편 삽입공들에 각각 삽입되는 돌출편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지지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 경우, 상기 지지편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외주면 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설치되도록 바(ba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과 상부 플랜지부의 당접부위, 상기 지지편과 하부 플랜지부의 당접부위 및 상기 지지편과 몸체부의 당접부위는 각각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편은, 일단 및 타단의 중앙부위에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을 사이에 두는 양 안착면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지지편 삽입공 양측에는 상기 나사공에 대응되는 볼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볼팅홀은, 볼트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통과홀과,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2단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부가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외면으로 상기 볼트의 머리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편은, 상기 환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과 하면의 안착면 중앙에 각각 돌출편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편과 상부 플랜지부의 당접부위, 상기 지지편과 하부 플랜지부의 당접부위는 각각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는, 내부가 빈 통공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되, 그 둘레면에 복수의 볼트 결합공들이 형성되고, 그 내측 둘레면에는 복수의 지지편 삽입홈들이 형성된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와; 상기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지지편 삽입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돌출편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지지편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편의 돌출편에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지지편 삽입홈을 관통하는 볼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팅홀은, 볼트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관통공과,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2단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부가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외면으로 상기 볼트의 머리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에 의하면,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에 개재되어 항타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지지편들이,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에 대하여 종방향 결속은 물론 횡방향으로도 결속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지지편의 이탈방지에 따른 찌그러짐이 예방되고, 이에 따라 연결된 콘크리트 파일들의 휨 발생이 예방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파일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분리 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는, 내부가 빈 통공(212)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210)와, 각각 플랜지 형상이면서 복수개의 볼트 결합공(222,232)을 갖고 몸체부(210)의 상하 양측단에 결합되는 상,하부 플랜지부(220,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하부 플랜지부(220,230)에는 복수의 볼트 결합공(222,232)들 사이에 일정간격마다 지지편 삽입공(224,23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200)는, 상부 플랜지부(220)와 하부 플랜지부(230)에 개재되어 항타에 따른 수직 및 수평 하중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편(240)들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복수의 지지편(240)은 상부 플랜지부(220)와 하부 플랜지부(230) 및 몸체부(210)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기 위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과 하면의 안착면(244)에는 상기 상부 플랜지부(220) 및 하부 플랜지부(230)의 지지편 삽입공(224,234)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편(24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로, 몸체부(210)의 직경보다 상,하부 플랜지부(220,230)의 직경이 더 큰 것이 적용되는바, 바 형태의 지지편(240)들은 그 일면이 몸체부(210)의 외면에 밀착되고, 상,하면의 안착면(244)이 각각 상부 플랜지부(220) 및 하부 플랜지부(230)의 내면에 밀착되어 마치 방사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몸체부(210)의 상하로 각각 상부 플랜지부(220) 및 하부 플랜지부(230)를 결합하기에 앞서, 상부 플랜지부(220) 또는 하부 플랜지부(230)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부를 먼저 결합시키고, 이와 같이 먼저 결합된 플랜지부의 지지편 삽입공에 지지편(240)의 일측 돌출편(242)을 삽입시킨 후, 다른 하나의 플랜지부를 결합시키게 되면, 지지편(240)이 상,하부 플랜지부(220,230)에 대하여 종방향 결속은 물론 횡방향으로도 결속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지지편(240)과 상부 플랜지부(220)의 당접부위, 지지편(240)과 하부 플랜지부(230)의 당접부위 및 지지편(240)과 몸체부(210)의 당접부위는 각각 용접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몸체부(210)와 상,하부 플랜지부(220,230) 및 지지편(240)들은 상호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일체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몸체부(210)와 상부 플랜지부(220) 및 몸체부(210)와 하부 플랜지부(230)의 당접부위 또한 용접으로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 당접부위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상호 나사체결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210)와, 상부 플랜지부(220) 및 하부 플랜지부(230)와, 지지편(240)들이 결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체결구(200)를 제작하고, 이 체결구(200)를 이용하여 두 개의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된 콘크리트 파일을 지중에 박고자 선단을 항타하게 되면, 상기 체결구(200)에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지지편(240)과 상부 플랜지부(220) 및 하부 플랜지부(230)와의 용접부위에 균열 발생에 따라 파손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지지편(240)의 돌출편(242)들이 각각 상부 플랜지부(220) 및 하부 플랜지부(230)의 지지편 삽입공(224,234)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상기 지지편(240)이 옆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이탈됨이 예방되어 제위치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부 플랜지부(220)와 하부 플랜지부(230)의 간격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결국 연결된 콘크리트 파일의 휨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제 2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200)는, 앞선 제 1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와 그 구성은 동일하며, 그 결합관계에만 차이가 있는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앞선 제 1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200)의 경우, 지지편(240)과 상부 플랜지부(220), 지지편(240)과 하부 플랜지부(230)의 당접부위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인 반면, 제 2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200)의 경우는, 지지편(240)과 상부 플랜지부(220), 지지편(240)과 하부 플랜지부(230)가 각각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200)는, 내부가 빈 통공(212)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210)와, 각각 플랜지 형상이면서 복수개의 볼트 결합공(222,232)을 갖고 몸체부(210)의 상하 양측단에 결합되는 상,하부 플랜지부(220,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하부 플랜지부(220,230)에는 복수의 볼트 결합공(222,232)들 사이에 일정간격마다 지지편 삽입공(224,23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편 삽입공(224,234)의 양쪽에는 각각 볼팅홀(25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200)는, 상부 플랜지부(220)와 하부 플랜지부(230)에 개재되어 항타에 따른 수직 및 수평 하중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편(240)들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복수의 지지편(240)은 상부 플랜지부(220)와 하부 플랜지부(230) 및 몸체부(210)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기 위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과 하면의 안착면(244)에는 상기 상부 플랜지부(220) 및 하부 플랜지부(230)의 지지편 삽입공(224,234)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편(24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지지편(240)의 안착면(244)에는 상기 상,하부 플랜지부(230)의 볼팅홀(250)에 대응하는 나사공(246)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몸체부(210)의 직경보다 상,하부 플랜지부(220,230)의 직경이 더 큰 것이 적용되는바, 바 형태의 지지편(240)들은 그 일면이 몸체부(210)의 외면에 밀착되고, 상,하면의 안착면(244)이 각각 상부 플랜지부(220) 및 하부 플랜지부(230)의 내면에 밀착되어 마치 방사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몸체부(210)의 상하로 각각 상부 플랜지부(220) 및 하부 플랜지부(230)를 결합하기에 앞서, 상부 플랜지부(220) 또는 하부 플랜지부(230)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부를 먼저 결합시키고, 이와 같이 먼저 결합된 플랜지부의 지지편 삽입공에 지지편(240)의 일측 돌출편(242)을 삽입시킨 후, 다른 하나의 플랜지부를 결합시키게 되면, 지지편(240)이 상,하부 플랜지부(220,230)에 대하여 종방향 결속은 물론 횡방향으로도 결속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하부 플랜지부(220,230)의 지지편 삽입공(224,234) 양쪽에 형성된 볼팅홀(250)을 통해 볼트(260)를 삽입하여 체결시키게 되면, 볼트(260)가 지지편(240)의 안착면(244)에 형성된 나사공(246)과 체결을 이룸으로써, 상,하부 플랜지부(220,230)에 대하여 지지편(240)들이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하부 플랜지부(220,230)에 형성되는 볼팅홀(25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60)의 나사부가 통과되는 통과홀(254)과,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홈(252)의 2단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볼트(260)가 상,하부 플랜지부(220,230)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지지편(240)의 일면과 몸체부(210)의 당접부위는 용접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몸체부(210)와 상,하부 플랜지부(220,230) 및 지지편(240)들은 상호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일체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몸체부(210)와 상부 플랜지부(220) 및 몸체부(210)와 하부 플랜지부(230)의 당접부위 또한 용접으로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 당접부위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상호 나사체결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210)와, 상부 플랜지부(220) 및 하부 플랜지부(230)와, 지지편(240)들이 결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체결구(200)를 제작하고, 이 체결구(200)를 이용하여 두 개의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된 콘크리트 파일을 지중에 박고자 선단을 항타하게 되면, 상기 체결구(200)에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지지편(240)은 상부 플랜지부(220) 및 하부 플랜지부(230)와 볼트체결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고, 또한 지지편(240)의 돌출편(242)들이 각각 상부 플랜지부(220) 및 하부 플랜지부(230)의 지지편 삽입공(224,234)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상기 지지편(240)이 옆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이탈됨이 예방되어 제위치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부 플랜지부(220)와 하부 플랜지부(230)의 간격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결국 연결된 콘크리트 파일의 휨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제 3실시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300)는, 앞선 제 1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와 비교할 때, 지지편(340)이 바 형태가 아닌 환봉형태로 이루어진 것에 차이가 있을 뿐, 그 외의 나머지 구성 및 결합관계는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300)는, 내부가 빈 통공(312)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310)와, 각각 플랜지 형상이면서 복수개의 볼트 결합공(322,332)을 갖고 몸체부(310)의 상하 양측단에 결합되는 상,하부 플랜지부(320,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하부 플랜지부(320,330)에는 복수의 볼트 결합공(322,332)들 사이에 일정간격마다 지지편 삽입공(324,33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300)는, 상부 플랜지부(320)와 하부 플랜지부(330)에 개재되어 항타에 따른 수직 및 수평 하중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편(340)들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복수의 지지편(340)은 상부 플랜지부(320)와 하부 플랜지부(330)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기 위한 환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과 하면의 안착면에는 상기 상부 플랜지부(320) 및 하부 플랜지부(330)의 지지편 삽입공(324,334)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편(34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부(310)의 상하로 각각 상부 플랜지부(320) 및 하부 플랜지부(330)를 결합하기에 앞서, 상부 플랜지부(320) 또는 하부 플랜지부(330)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부를 먼저 결합시키고, 이와 같이 먼저 결합된 플랜지부의 지지편 삽입공에 지지편(340)의 일측 돌출편(342)을 삽입시킨 후, 다른 하나의 플랜지부를 결합시키게 되면, 지지편(340)이 상,하부 플랜지부(320,330)에 대하여 종방향 결속은 물론 횡방향으로도 결속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지지편(340)과 상부 플랜지부(320)의 당접부위, 지지편(340)과 하부 플랜지부(330)의 당접부위는 각각 용접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상,하부 플랜지부(330) 및 지지편(340)들은 상호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일체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몸체부(310)와 상부 플랜지부(320) 및 몸체부(310)와 하부 플랜지부(330)의 당접부위 또한 용접으로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 당접부위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상호 나사체결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310)와, 상부 플랜지부(320) 및 하부 플랜지부(330)와, 지지편(340)들이 결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체결구(300)를 제작하고, 이 체결구(300)를 이용하여 두 개의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된 콘크리트 파일을 지중에 박고자 선단을 항타하게 되면, 상기 체결구(300)에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지지편(340)과 상부 플랜지부(320) 및 하부 플랜지부(330)와의 용접부위에 균열 발생에 따라 파손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지지편(340)의 돌출편(342)들이 각각 상부 플랜지부(320) 및 하부 플랜지부(330)의 지지편 삽입공(324,334)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상기 지지편(340)이 옆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이탈됨이 예방되어 제위치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부 플랜지부(320)와 하부 플랜지부(330)의 간격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결국 연결된 콘크리트 파일의 휨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제 4실시 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300)는, 앞선 제 3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와 그 구성은 동일하며, 그 결합관계에만 차이가 있는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앞선 제 3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의 경우, 지지편(340)과 상부 플랜지부(320), 지지편(340)과 하부 플랜지부(330)의 당접부위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인 반면, 제 4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300)의 경우는, 지지편(340)과 상부 플랜지부(320), 지지편(340)과 하부 플랜지부(330)가 각각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300)는, 내부가 빈 통공(312)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310)와, 각각 플랜지 형상이면서 복수개의 볼트 결합공(322,332)을 갖고 몸체부(310)의 상하 양측단에 결합되는 상,하부 플랜지부(320,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하부 플랜지부(330)에는 복수의 볼트 결합공(322,332)들 사이에 일정간격마다 지지편 삽입홈(324a,33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편 삽입홈(324a,334a)과 동일선상에는 직경이 작은 볼팅홀(35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300)는, 상부 플랜지부(320)와 하부 플랜지부(330)에 개재되어 항타에 따른 수직 및 수평 하중을 흡수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편(340)들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복수의 지지편(340)은 상부 플랜지부(320)와 하부 플랜지부(330)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기 위한 환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상면과 하면의 안착면에는 상기 상부 플랜지부(320) 및 하부 플랜지부(330)의 지지편 삽입홈(324a,334a)에 삽입되기 위한 돌출편(34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편(342)에는 수직선상으로 나사공(34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편(340)의 돌출편(342)에 형성된 나사공(344)은, 상,하부 플랜지부(320,330)의 볼팅홀(350)과 대응된다.
몸체부(310)의 상하로 각각 상부 플랜지부(320) 및 하부 플랜지부(330)를 결합하기에 앞서, 상부 플랜지부(320) 또는 하부 플랜지부(330) 중 어느 하나의 플랜지부를 먼저 결합시키고, 이와 같이 먼저 결합된 플랜지부의 지지편 삽입공에 지지편(340)의 일측 돌출편(342)을 삽입시킨 후, 다른 하나의 플랜지부를 결합시키게 되면, 지지편(340)이 상,하부 플랜지부(320,330)에 대하여 종방향 결속은 물론 횡방향으로도 결속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하부 플랜지부(330)의 돌출편 삽입홈(324a,334a)과 동일선상에 형성된 볼팅홀(350)을 통해 볼트(360)를 삽입하여 체결시키게 되면, 볼트(360)가 지지편(340)의 돌출편(342)에 형성된 나사공(344)과 체결을 이룸으로써, 상,하부 플랜지부(320,330)에 대하여 지지편(340)들이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하부 플랜지부(320,330)에 형성되는 볼팅홀(35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60)의 나사부가 통과되는 통과홀(352)과,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홈(354)의 2단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볼트(360)가 상,하부 플랜지부(320,330)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몸체부(310)와 상부 플랜지부(320) 및 몸체부(310)와 하부 플랜지부(330)의 당접부위 또한 용접으로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 당접부위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상호 나사체결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310)와, 상부 플랜지부(320) 및 하부 플랜지부(330)와, 지지편(340)들이 결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체결구(300)를 제작하고, 이 체결구(300)를 이용하여 두 개의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된 콘크리트 파일을 지중에 박고자 선단을 항타하게 되면, 상기 체결구(300)에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지지편(340)은 상부 플랜지부(320) 및 하부 플랜지부(330)와 볼트체결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고, 또한 지지편(340)의 돌출편(342)들이 각각 상부 플랜지부(320) 및 하부 플랜지부(330)의 지지편 삽입홈(324a,334a)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상기 지지편(340)이 옆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이탈됨이 예방되어 제위치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부 플랜지부(320)와 하부 플랜지부(330)의 간격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결국 연결된 콘크리트 파일의 휨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따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서 상,하부 플레이트에 각각 지지편 삽입공을 형성하지 않고,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서와 같이 지지편 삽입홈을 형성하고, 이 지지편 삽입홈과 동일선상에 볼팅홀을 형성하며, 지지편의 돌출편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와 같은 볼트 체결방식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300 : 체결구 210,310 : 몸체부
220,320 : 상부 플랜지부 222,232,322,332 : 볼트 결합공
224,234,324,334 : 지지편 삽입공 324a,334a : 지지편 삽입홈
240,340 : 지지편 242,342 : 돌출편

Claims (10)

  1. 내부가 빈 통공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되, 그 둘레면에 복수의 볼트 결합공들과, 복수의 지지편 삽입공들이 형성되며, 이음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파일들의 서로 이음할 단부에 각각 상기 복수의 볼트 결합공들을 통하여 볼트로 체결되는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와;
    상기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지지편 삽입공들에 각각 삽입되는 돌출편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하부 플랜지부와 결속되어 항타 충격에 따른 위치 이탈이 방지되는 지지편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외주면 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설치되도록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 및 타단의 중앙부위에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을 사이에 두는 양 안착면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지지편 삽입공 양측에는 상기 나사공에 대응되는 볼팅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팅홀은, 볼트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통과홀과,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2단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부가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외면으로 상기 볼트의 머리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과 상부 플랜지부의 당접부위, 상기 지지편과 하부 플랜지부의 당접부위 및 상기 지지편과 몸체부의 당접부위는 각각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내부가 빈 통공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되, 그 둘레면에 복수의 볼트 결합공들이 형성되고, 그 내측 둘레면에는 복수의 지지편 삽입홈들이 형성되며, 이음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파일들의 서로 이음할 단부에 각각 상기 복수의 볼트 결합공들을 통하여 볼트로 체결되는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와;
    상기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지지편 삽입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돌출편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하부 플랜지부와 결속되어 항타 충격에 따른 위치 이탈이 방지되는 지지편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의 돌출편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지지편 삽입홈을 관통하는 볼팅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팅홀은, 볼트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관통공과, 머리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2단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부가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외면으로 상기 볼트의 머리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32002A 2014-03-19 2014-03-19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KR101559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02A KR101559856B1 (ko) 2014-03-19 2014-03-19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02A KR101559856B1 (ko) 2014-03-19 2014-03-19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512A KR20150109512A (ko) 2015-10-02
KR101559856B1 true KR101559856B1 (ko) 2015-10-15

Family

ID=5434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002A KR101559856B1 (ko) 2014-03-19 2014-03-19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8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408Y1 (ko) * 2001-06-04 2001-10-29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강관파일 두부 결합구
KR100976563B1 (ko) * 2007-11-13 2010-08-18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408Y1 (ko) * 2001-06-04 2001-10-29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강관파일 두부 결합구
KR100976563B1 (ko) * 2007-11-13 2010-08-18 삼부건설공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512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358B1 (ko)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
US9151010B2 (en) Article for joining concrete piles
KR100976563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KR100835777B1 (ko) 콘크리트파일과 강관 파일의 이음장치
KR101207092B1 (ko)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
KR101418978B1 (ko) 무용접 직결식 수평 볼팅 말뚝 이음 구조
JP2016164452A (ja) 張力調節装置及びブレース
KR101498480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 방법
KR101521263B1 (ko) Phc 말뚝 조인트
KR101773434B1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KR200480962Y1 (ko) 파일 연결용 무용접 연결구
JP6253630B2 (ja) 合成セグメント、リング及び沈設構造物
KR101858024B1 (ko) 철근이음장치
KR101559856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KR101577727B1 (ko) 피에이치씨 파일 이음 장치 및 그 이음 방법
KR101496413B1 (ko) 강관 연결 구조체
KR101579269B1 (ko) 탈부착형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강구조체
KR101018006B1 (ko) 파일 연결방법
US20220127838A1 (en) Steel reinforced joint, steel reinforced assembly, and precast steel reinforced concrete body
KR101207194B1 (ko) 콘크리트파일의 이음장치
KR102031188B1 (ko)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KR101597895B1 (ko) 흙막이 벽체 지지용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방법
JP6792338B2 (ja) 木質構造材補強構造
KR101674306B1 (ko) 합성거더 구조체
KR102321284B1 (ko) 기둥과 보부재의 접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