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371B1 -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6371B1 KR101556371B1 KR1020150039096A KR20150039096A KR101556371B1 KR 101556371 B1 KR101556371 B1 KR 101556371B1 KR 1020150039096 A KR1020150039096 A KR 1020150039096A KR 20150039096 A KR20150039096 A KR 20150039096A KR 101556371 B1 KR101556371 B1 KR 1015563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electrolytic
- supplied
- amount
- raw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SUKJFIGYRHOWBL-UHFFFAOYSA-N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Na+].Cl[O-] SUKJFIGYRHOWBL-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9000005708 Sodium hypochlori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8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0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19093 NaOC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ZPVPNZTYPUODG-UHFFFAOYSA-M sodium;chloride;dihydrate Chemical compound O.O.[Na+].[Cl-] XZPVPNZTYPUODG-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KZBUYRJDOAKODT-UHFFFAOYSA-N Chlorine Chemical compound ClCl KZBUYRJDOAKOD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5000020185 raw untreat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ZKQDCIXGCQPQNV-UHFFFAOYSA-N Calc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Ca+2].Cl[O-].Cl[O-] ZKQDCIXGCQPQ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44 bleach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309 chloro group Chemical group C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12 de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2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88 decontamin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WPPOHNGKGFGJK-UHFFFAOYSA-N hypochlorous acid Chemical compound ClO QWPPOHNGKGFG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010 microb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598 salt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550 sodium 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9 sod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25B1/265—Chlor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금과 원수(수도물)을 투입하여 소금물을 생성시키고, 이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일정한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수를 제조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는 생성수가 배출되는 출수단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부(10); 상기 유량조절밸브부와 상기 출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출수단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측정하는 원수 유량센서(20); 원수의 입수단과 전해조 사이에 설치되며, 전해조로 공급되는 전해수의 량을 측정하는 전해수 유량센서(30); 원수와 소금을 공급받아 소금물을 저장하는 소금물 저장탱크부(40); 상기 소금 저장탱크부에서 공급된 소금물과 상기 전해수 유량센서를 통과한 전해수를 공급받아, 전해용 전원공급기(54)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차염소산나트륨(NaOCl)을 생성하는 전해조(50); 및 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which is capable of supplying salt water and raw water (tap water) to produce salt water, and electrolyzing the salt water to supply sodium hypochlorite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dium hypochlorite water produc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by electrolyzing brine, comprising: a flow regulating valve unit (10)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raw water supplied to an outlet for discharging generated water; A raw water flow sensor (20) provided between the flow control valve unit and the discharging unit for measuring an amount of raw water supplied to the discharging unit; An electrolytic water flow rate sensor 30 installed between the inlet end of the raw water and the electrolytic bath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olytic water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bath; A brine storage tank part 40 for storing raw water by receiving raw water and salt; An electrolytic bath 50 which receives sodium chloride supplied from the salt storage tank and electrolytic water passing through the electrolytic water flow rate sensor and generates sodium hypochlorite (NaOCl) by the power supplied by the electrolytic power supply 54; And a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as a who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금과 원수(수도물)을 투입하여 소금물을 생성시키고, 이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일정한 농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which is capable of supplying salt water and raw water (tap water) to produce salt water, and electrolyzing the salt water to supply sodium hypochlorite To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water.
일반적으로 수처리에서의 염소투입은 산화제, 탈취제, 탈색제 등 여러 가지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병원성 미생물을 사멸 또는 불활성시키는 소독효과가 주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 염소는 기체, 액체, 고체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액화염소,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칼슘 등이 있다.Generally, chlorine input in water treatment can obtain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oxidizer, deodorant, decolorant, etc. However, the main purpose is to disinfect or sterilize pathogenic microorganisms. The chlorine having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liquefied chlorine, sodium hypochlorite, calcium hypochlorite and the like which are in the form of gas, liquid and solid.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은 정수장, 하수처리장의 살균장치, 일반화학 공장의 냉각용수 보일러, 담수화 공정 처리수, 발전소의 냉각수 처리, 음용수 처리, 식물 및 채소, 육류가공, 수영장외 세탁 및 제지, 가정용 표백제로 사용되는 강한 염소취를 갖는 무색투명 액체형태의 염소계 소독제이다.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기(발생장치)는 이와 같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시키는 장치이다. Sodium Hypochlorite (NaClO) is used in water purification plants, sewage disinfection systems, cooling water boilers in general chemical plants, desalination process water, cooling water treatment of power plants,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s and vegetables, meat processing, It is a chlorine disinfectant in the form of a colorless transparent liquid with strong chlorine odor used as a bleaching agent. A sodium hypochlorite generator (generator) is a device that produces such sodium hypochlorite.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어지는데, 그 과정을 살펴보면, 하기에 있는 화학식과 같이 우선 소금물을 전기분해 하게 되면 양전극(Anode)에서는 염소가스(Cl2)가 생성되고 음전극(Cathode)에서는 수산화나트륨(NaOH)과 수소가스(H2)가 생성되며, 상기 염소가스는 수산화나트륨과 반응하여 유효농도 1%미만 즉, 10,000ppm 미만의 차아염소나트륨((NaOCl) 용액을 생성한다.The sodium hypochlorite is obtained by electrolysis of salt water. As shown in the formula below, chlorine gas (Cl2) is produced in the anode and sodium hydroxide (Na2CO3) is generated in the cathode in electrolysis of the brine first, (NaOH) and hydrogen gas (H2) are generated. The chlorine gas reacts with sodium hydroxide to produce a hypochlorous sodium (NaOCl) solution having an effective concentration of less than 1%, that is, less than 10,000 ppm.
(+)극 : Cl- → ½Cl2 + e-(+) Pole: Cl- > Cl2 + e-
(-)극 : Na + H2O → NaOH + ½H2(-) Polar: Na + H2O → NaOH + ½H2
(+)극과 (-)극 반응 : NaOH + Cl2 → NaOCl + HCl(+) Pole and (-) pole reaction: NaOH + Cl2 → NaOCl + HCl
상기와 같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기 때문에, 상기 액화염소와 같이 위험물 취급에 따른 인력 및 운반 등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Since the sodium hypochlorite as described above electrolyzes salt water to produce sodium hypochlorite, it does not incur labor and transportation costs due to the handling of dangerous substances such as liquefied chlorine.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소금을 원수로 녹이는 소금물 저장조와, 소금물을 전기분해하는 전해조, 그리고 생성된 차아염소산나트륨수를 저장하는 차염 저장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간단한 구조의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는 전해조에서 전기분해시 일정한 농도의 소금물을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Generally, the sodium hypochlorite generator is composed of a brine reservoir for dissolving the salt with the raw water, an electrolytic cell for electrolyzing the brine, and a decontamination reservoir for storing the generated sodium hypochlorite. The sodium hypochlorite generating apparatus having such a simple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a certain concentration of salt water can not be used in electrolysis in an electrolytic cell.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한국특허10-0816099호(발명의 명칭: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시스템)는 일정한 농도의 전해질을 전해조에 공급하도록, 소금물 저장탱크 이외에 별도의 전해질 교반탱크(저류조)를 구비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즉, 소금물 저장탱크에서 공급된 소금물과 원수를 공급받아, 공급된 원수에 소금물이 잘 희석될 수 있도록 교반펌프를 구비한 전해질 교반탱크를 별도로 구비하여, 전해질 교반탱크에서 소금물을 교반 후, 전해조 이송 정량펌프를 통해 전해조에 전해질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소금물 저장탱크(소금물저장조) 이외에 별도의 전해질 교반탱크(저류조)를 구비하여야 함으로, 시설비가 추가적으로 소요되어 경제성이 낮으며, 장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에 불합리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conventional Korean Patent No. 10-0816099 (invention name: sodium hypochlorite generation system) has a separate electrolytic stirring tank (reservoir) in addition to the brine storage tank so as to supply electrolytes of constant concentration to the electrolytic bath . That is, an electrolytic stirring tank having a stirring pump is separately provided to receive the brine and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brine storage tank and to dilute the brine well in the supplied raw water. After stirring the brine in the electrolytic stirring tank, And the electrolyte is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ell through a metering pump. This method requires a separate electrolytic stirring tank (reservoir) in addition to the brine storage tank (salt water storage tank), which requires additional facility cost to lower the economical efficiency. As the size of the apparatus becomes larger, it is unreasonable to miniaturize the apparatus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금물 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소금물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해조에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량을 제어하고, 최종적으로 출수단에서 공급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sodium hypochlorite produced in an electrolytic bath, And to provide a sodium hypochlorite water 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of supplied sodium hypochlorite constant.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수를 제조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는 생성수가 배출되는 출수단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부(10); 상기 유량 조절 밸브부와 상기 출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출수단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측정하는 원수 유량센서(20); 원수의 입수단과 전해조 사이에 설치되며, 전해조로 공급되는 전해수의 량을 측정하는 전해수 유량센서(30); 원수와 소금을 공급받아 소금물을 저장하는 소금물 저장탱크부(40); 상기 소금 저장탱크부에서 공급된 소금물과 상기 전해수 유량센서를 통과한 전해수를 공급받아, 전해용 전원공급기(54)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차염소산나트륨(NaOCl)을 생성하는 전해조(50); 및 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dium hypochlorite water produc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water by electrolyzing brin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water, A flow rate regulating
상기 원수 유량센서에서 측정한 원수의 량과 상기 전해수 유량센서에서 측정한 전해수 량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전해용 전원공급기를 통해 상기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류의 량을 조절하여 전해조에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량을 조절함으로써 최종 생성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ell through the electrolytic power supply based on the amount of raw water measured by the raw water flow sensor and the amount of electrolytic water measured by the electrolytic water flow rate sensor, The concentration of the final product water is kept constant by adjusting the amount of sodium.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량 조절 밸브부(10)는 분기되는 다수개의 분기관을 포함하고, 각 분기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2)와 수동조절밸브(14)가 직렬로 연결되며, 각 분기관은 통과하는 원수의 량이 서로 상이하여, 각 수동조절밸브의 온오프를 조절함으로써, 출수단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조절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flow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금물 저장탱크부(40)는 소금물 저장탱크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41), 원수와 소금을 공급받아 소금물을 저장하는 소금물 저장탱크(42), 상기 소금물 저장탱크 내의 소금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43), 상기 소금물 저장탱크 내의 소금물을 전해조로 이송하는 정량펌프(44), 및 상기 소금물 저장탱크 내의 소금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5)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n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조는 전기 분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제1전해조와 제2전해조의 직렬 구조의 2단의 전해조이며, 상기 전해용 전원공급기를 통해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의 량을 측정하는 전류센서(53)를 포함하되, 상기 전류센서(53)에서 측정된 전류의 량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60)에서 상기 소금물을 전해조로 이송하는 정량펌프(44)를 제어하여 전해조 내의 농도를 변화시켜, 이에 따라 전해용 전원공급기(53)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electrolytic cell is a two-stage electrolytic cell having a series structure of a first electrolytic cell and a second electrolytic cell in order to increase the electrolysis efficiency. The electrolytic cell measures the amount of electric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ell through the electrolytic power supply Th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수 입수단과 상기 전해수 유량센서(30) 사이에는 감압밸브(70)가 설치되고, 상기 유량 조절 밸브부(10)와 상기 전해수 유량센서(30) 사이에는 니들 밸브(72)가 설치되고, 상기 감압밸브와 상기 니들 밸브를 통과한 전해수(원수)는 서로 합쳐져 상기 전해조에 공급되는 구조로서, 상기 출수단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상기 유량조절 밸브부(10)와 연결된 니들 밸브를 통해 전해수가 공급되고, 상기 출수단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상기 입수단과 직접 연결된 감압밸브(70)을 통해 전해수가 공급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는 소금물 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소금물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전해조에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량을 조절하고, 최종적으로 출수단에서 외부로 공급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concentration of the brine discharged from the brine storage tank at a constant level.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lyzing tank, the amount of sodium hypochlorite produced in the electrolytic bath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pochlorite suppli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charging means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또한, 별도의 소금물 교반탱크(저류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며, 소금물 저장탱크에 설치된 순환펌프를 통해 소금물 저장탱크내에 고형화된 소금을 녹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소형화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salt water agitation tank (storage tank), and it is economical, and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salt by melting the solidified salt in the brine storage tank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installed in the brine storage tank, Can be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수의 제조장치의 계통도이다. 1 is a flow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wa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나트륨수의 제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수의 제조장치의 계통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크게 유량조절 밸브부(10), 원수유량센서(20), 전해수 유량센서(30), 소금물 저장탱크부(40), 전해조(50) 및 제어부(60)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flow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장치의 기본구조인 소금물을 생성/저장하는 소금물 저장탱크(42), 소금물을 전기분해하는 전해조(50), 및 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0)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특징부인 유량조절 밸브부(10), 원수유량센서(20), 전해수 유량센서(30), 순환펌프(45), 전류센서(53), 감압밸브(70), 니들밸브(72)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A
입수단으로 공급되는 원수는 통상 수돗물이 사용되며, 출수단으로 배출되는 생성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를 의미한다. 전해조로 공급되는 물을 "전해수"라 하는 데, 전해수는 원수(통상 수돗물)로서 "전해원수"라고도 한다.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inlet means is usually tap water, and the produced water discharged to the outlet means "sodium hypochlorite". Water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ell is called "electrolytic water ", and electrolytic water is also referred to as" electrolytic water "as raw water (usually tap water).
차아염소산 나트륨수의 농도는 통상 10,000ppm이하이며,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100ppm, 200ppm, 1,000ppm으로 설정하여 공급할 수 있다.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pochlorite water is usually 10,000 ppm or les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can be preferably set to 100 ppm, 200 ppm, and 1,000 ppm.
입수단을 통해 원수가 최초로 공급되는 유량 조절 밸브부(10)는 생성수가 배출되는 출수단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The flow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 조절 밸브부(10)는 분기되는 다수개의 분기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분기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2)와 수동조절밸브(14)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12)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된다. 각 분기관은 통과하는 원수의 량이 서로 상이하여, 각 수동조절밸브의 온오프를 조절함으로써, 출수단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조절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flow
예컨데, 생성수의 농도가 100ppm일 때, 수동조절밸브 1을 열고 나머지 밸브(수동조절밸브2, 수동조절밸브3)을 닫고, 생성수의 농도가 200ppm일 때, 수동조절밸브 2는 열고 나머지 밸브(수동조절밸브1, 수동조절밸브3)을 닫고, 생성수의 농도가 1000ppm일 때, 수동조절밸브 3은 열고 나머지 밸브(수동조절밸브1, 수동조절밸브2)을 닫는 방식으로 출수단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centration of generated water is 100 ppm, the manual control valve 1 is opened and the remaining valves (manual control valve 2 and manual control valve 3) are closed. When the concentration of generated water is 200 ppm, the manual control valve 2 is opened, (Manual control valve 1 and manual control valve 3) are closed and the generated water concentration is 1000 ppm, the manual control valve 3 is opened and the remaining valves (manual control valve 1 and manual control valve 2) are clos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raw water.
본 발명에서는 원수유량센서(20)와 전해수유량센서(30)을 각각 설치하여, 원수 유량센서에서 측정한 원수의 량과 상기 전해수 유량센서에서 측정한 전해수 량을 바탕으로 전해조에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량을 조절함으로써 최종 생성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구조를 지닌다.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량은 제어부(60)에서 전해용 전원공급기(SMPS, 54)를 통해 상기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류의 량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w milk
다시 설명하면,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 장치에 유입되는 물(원수)은 주변장치에서 물을 사용할 경우 유입되는 물의 양은 항상 변할 수 있다. 유량이 적어지거나 많아질 경우 생성되는 생성수의 농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water (raw water) flowing into the sodium hypochlorite water producing apparatus can be always changed when water is used in the peripheral device. When the flow rate is reduced or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generated water produced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출수단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원수유량센서(20)에 의해 측정)과 전해조로 공급되는 전해수의 유량(전해수 유량센서(30)에 의해 측정)을 감지하여, 측정된 값을 바탕으로 전기분해시 전원공급기(SMPS, 54)를 통해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전해조에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량을 조절함으로써, 최종 생성수(차아염소산나트륨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of raw water (measured by the raw milk feed amount sensor 20) supplied to the discharging means and the flow rate of the electrolytic water (measured by the electrolytic water flow rate sensor 30) Based on the measured value,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ell through the power supply (SMPS) 54 is adjusted during the electrolysis to regulate the amount of sodium hypochlorite produced in the electrolytic cell, whereby the final product water (sodium hypochlorite) The concentration can be kept constant.
한편, 소금물의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는 전해조(50)에 공급하는 물(원수)의 량과 전해질(소금 및 기타 촉매)의 량은 항상 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특허 제10-0816099호에서는 일정한 농도의 전해질을 전해조에 공급하도록, 소금물 저장탱크 이외에 별도의 전해질 교반탱크(저류조)를 구비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the water (raw water) to be supplied to the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전해질 교반탱크(저류조)를 설치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전해수 유량센서(30)를 통해 전해조로 공급되는 전해수의 유량을 감지하여, 이를 바탕으로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소금물 저장탱크(42)에서 전해조(50)로 공급되는 전해질의 량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일정한 농도의 전해질 수용액(원수 + 전해질)을 전해조로 공급함으로써 불필요한 장치 및 공간을 줄이고 안정적인 차아염소산나트륨수를 생성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water
소금물 저장탱크부(40)는 원수와 소금을 공급받아 소금물을 만들어 소금물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소금물 저장탱크(NaCl Tank, 42) 이외에 원수의 입수단의 솔레노이드 밸브(41), 수위센서(43), 정량펌프(44), 순환펌프(45)를 포함한다. The brine
솔레노이드 밸브(41)는 소금물 저장탱크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조절하며, 수위센서(43)는 상기 소금물 저장탱크 내의 소금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The
소금물 저장탱크(42)에는 원수가 공급되는 데, 소금물 저장탱크의 전단에 솔레노이드 밸브(41)를 설치하고, 상기 소금물 저장탱크에는 수위센서(43)를 설치하여, 수위센서(43)에 의해 소금물 저장탱크(42)내의 소금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이를 바탕으로 제어부(60)를 통해 소금물 저장탱크(42) 전단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41)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금물 저장탱크(41)는 소금물의 수위가 낮을 경우 자동으로 원수를 소금물 저장탱크(41)로 공급할 수 있어, 전해질을 만들 때 사용자가 별도로 원수를 공급하는 수고를 아낄 수 있다. 소금물 저장탱크 내의 소금물(전해질)을 전해조로의 이송은 정량펌프(44)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정량펌프(44)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해질(소금물)의 량을 조절하게 된다. A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한편, 소금물 저장탱크 내의 소금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5)를 포함한다. 소금물 저장탱크(NaCl탱크, 42)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소금투입 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1회에 많은 양의 소금을 투입한다. 이 경우 소금이 일정량 녹은 후 더 이상 녹지 않고 결정상태로 유지된다. 결정상태로 유지된 소금은 사용량이 적거나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 소금은 단단하게 굳게 된다. 이 결과 사용자가 굳은 소금을 파쇄하여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금물 저장탱크에 순환 펌프(45)를 설치하여 소금물을 순환할 경우 소금을 굳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굳은 소금을 녹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ncludes a
소금물 저장탱크 내의 수위가 낮아져 원수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원수에 의하여 소금물 저장탱크(42)의 전해질(소금물)의 농도가 낮아지는데, 순환펌프(45)에 의해 소금물이 소금물 저장탱크 내를 순환할 경우 농도가 낮아진 소금물은 소금을 녹이면서 소금물의 농도가 다시 높아진다. 이에 따라, 소금물 저장탱크(42) 내에 굳은 소금을 파쇄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일정한 농도의 포화 소금물 용액을 만들 수 있어 전해조에 공급하는 소금물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water level in the brine storage tank is lowered and the raw water is supplied,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ic salt (brine) in the
전해조(50)는 소금물 저장탱크(42)에서 공급된 소금물(전해질)과 전해수 유량센서를 통과한 전해수(전해원수)가 합쳐져, 전해용 전원공급기(54)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전기분해되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는 부분이다. The
본 발명에서는 전해조(50)는 전기 분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제1전해조(51)와 제2전해조(52)의 직렬 구조의 2단의 전해조로 구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원수와 소금물을 전기분해 할 경우 100% 소금물이 전기분해되지 않고 생성수(차아염소산나트륨수)에 일부 수용액 상태로 함유된다. 이는 건조시 기구 등을 부식 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2단의 전해조를 거침으로써 생성수에 함유되는 소금물의 양을 줄이고자 한다. 원수와 소금물을 제1전해조(51)에서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저농도의 생성수를 제2전해조(52)에 투입하여 전기분해 함으로써, 고 농도의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해조에서 생성된 생성수에 함유된 소금물을 이용하여 추가 전기분해 함으로써 제2 전해조의 생성수는 제1 전해조 보다 더 적은 소금물을 함유한다. 따라서 일정농도의 생성수를 제조할 경우 소금 소비량을 더 줄일 수 있다.When the raw water and salt water are electrolyzed, 100% brine is not electrolyzed and is contained in the produced water (sodium hypochlorite) in a part of the aqueous solution. This may cause corrosion of the apparatus during drying. To improve this, we intend to reduce the amount of salt water contained in the product water by passing through a two-stage electrolytic cell. A high concentration of hypochlorous acid can be produced by charging low-concentration generated water generated by electrolyzing raw water and salt water in the first
전류센서(53)은 전해용 전원공급기(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통해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의 량을 측정하는 부분이다. 상기 전류센서(53)에서 측정된 전류의 량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60)에서 상기 전해용 전원공급기(54)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생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량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전류센서(53)에서 측정된 전류의 량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60)에서 상기 소금물을 전해조로 이송시키는 정량펌프(44)를 제어하여 전해조로 공급되는 소금물의 량을 조절한다. 그러면, 전해조 내의 소금물의 농도는 조절될 것이고,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전해용 전원공급기(54)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조절되게 된다. The
한편, 전해조에 공급되는 원수(전해수)는 감압밸브와 니들밸브를 통과한 후, 합쳐져 공급되는 구조를 지닌다. 원수 입수단과 상기 전해수 유량센서(30) 사이에는 감압밸브(70)가 설치되고, 상기 유량 조절 밸브부(10)와 상기 전해수 유량센서(30) 사이에는 니들 밸브(72)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독특한 구조를 지니는 이유는 생성수가 배출되는 출수단에 원격지로 연결하는 배관을 연결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출수단의 압력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전해조로 공급되는 전해수의 흐름방향을 달리하기 위해서이다. 즉, 출수단에 원격지로 연결하는 배관이 연결된 경우에는 출수단의 압력이 높아지고, 유량조절 밸브부(10)와 연결된 니들 밸브(72)를 통해 전해수가 공급되고, 출수단에 원격지로 연결되는 배관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출수단의 압력이 낮아지고, 상기 입수단과 직접 연결된 감압밸브(70)을 통해 전해수가 공급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aw water (electrolytic water)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bath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fed after being passed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the needle valve. A
일반적으로, 출수단에 원격지로 연결하는 배관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원수의 입수단과 생성수의 출수단 사이의 압력차이가 발생된다. 이 경우, 유량조절밸브부(10) 후단의 압력이 낮아 이와 연통된 니들밸브(72)를 통해서 전해수(원수)가 공급되지 못한다. 따라서, 전해수 솔밸브1와 전해수 조절밸브1(감압밸브, 70)을 통해서 전해수(원수)가 전해수 배관에 공급된다. In general, when a pipe connecting to the outlet means is not connected to the outlet means,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end of the raw water and the outlet means of the generated water is generated. In this case, since the pressure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flow
만약, 출수단에 원격지로 연결되는 배관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출수단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즉, 원격지로 생성수를 보내기 위해서는 출수단의 압력이 높아져야 한다. 이에 따라, 유량조절밸브부(10)의 후단의 압력 또한 높아지고, 이와 연통된 전해수조절밸브2(니들 밸브, 72)를 통하여 전해수(원수)가 전해수 배관에 공급된다. If a pipe connected to the remote means is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means, the pressure of the discharging means is increased. That is, the pressure of the ejecting means must be increased to send the generated number to the remote place. As a result, the pressure at the rear end of the flow
이와 같이, 출수단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니들 밸브(72)를 통해 전해수가 공급되고, 출수단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감압밸브(70)을 통해 전해수가 공급되는 구조를 지닌다. In this way, when the pressure of the discharging means is high, electrolytic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한편, 사용자가 장치를 동작 및 정지를 할 경우 장치에 부착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원격지(같은공간 또는 다른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가 무선(FM, AM, WIFI, 인터넷, 블루투스) 리모콘을 이용하여 기기를 작동 및 정지를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수단에 호스(배관)를 연결하여 원거리로 이송할 경우 리모콘이 없으면 장치를 조작하기 위하여 장치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조작하고 현장의 수위를 확인한 후, 다시 장치로 되돌아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원격 리모콘으로 현장에서 수위를 확인하고 바로 작동 및 정지를 할 수 있다. 양방향 무선(FM, AM, WIFI, 인터넷, 블루투스) 기능을 가진 리모콘을 이용할 경우 장치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확인 할 수 있으며 기기를 작동 또는 정지를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perates and stops the apparatus, it is troublesome to operate the apparatus using a switch attached to the apparatus. In order to improve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located in a remote place (same space or another space) operates and stops the device using a wireless (FM, AM, WIFI, Internet, . In addition, when the hose (piping) is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means and it is transported to a remote location, there is inconvenience to move the device to the place where the device is installed to check the water level of the device and then return to the device The remote control allows you to check the water level in the field and start and stop immediately. When using a remote controller with two-way radio (FM, AM, WIFI, Internet, Bluetooth), you can check the status of the device remotely and turn the device on or off.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illustrate them.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유량 조절 밸브부 12: 솔레노이드 밸브
14: 수동 조절밸브
20: 원수 유량센서
30: 전해수 유량센서
40: 소금물 저장탱크부 41: 솔레노이드 밸브
42: 소금물 저장탱크(NaCl Tank) 43: 수위센서
44: 정량펌프 45: 순환펌프
50: 전해조
51: 제1전해조 52: 제2전해조
53: 전류센서
54: 전해용 전원공급기(SMPS)
60: 제어부
70: 감압밸브 72: 니들밸브10: Flow control valve part 12: Solenoid valve
14: Manual control valve
20: Raw water flow sensor
30: electrolytic water flow sensor
40: brine storage tank part 41: solenoid valve
42: Brine storage tank (NaCl tank) 43: Water level sensor
44: metering pump 45: circulation pump
50: electrolytic cell
51: first electrolytic cell 52: second electrolytic cell
53: Current sensor
54: Electrolytic Power Supply (SMPS)
60:
70: Reducing valve 72: Needle valve
Claims (5)
생성수가 배출되는 출수단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부(10);
상기 유량 조절 밸브부와 상기 출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출수단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측정하는 원수 유량센서(20);
원수의 입수단과 전해조 사이에 설치되며, 전해조로 공급되는 전해수의 량을 측정하는 전해수 유량센서(30);
원수와 소금을 공급받아 소금물을 저장하는 소금물 저장탱크부(40);
상기 소금 저장탱크부에서 공급된 소금물과 상기 전해수 유량센서를 통과한 전해수를 공급받아, 전해용 전원공급기(54)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차염소산나트륨(NaOCl)을 생성하는 전해조(50); 및
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되,
원수 입수단과 상기 전해수 유량센서(30) 사이에는 감압밸브(70)가 설치되고, 상기 유량 조절 밸브부(10)와 상기 전해수 유량센서(30) 사이에는 니들 밸브(72)가 설치되고, 상기 감압밸브와 상기 니들 밸브를 통과한 전해수(원수)는 서로 합쳐져, 상기 전해수 유량센서를 통해서 상기 전해조에 공급되며,
상기 출수단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상기 유량조절 밸브부(10)와 연결된 니들 밸브를 통해 전해수가 공급되고, 상기 출수단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상기 입수단과 직접 연결된 감압밸브(70)을 통해 전해수가 공급되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소금물 저장탱크부(40)에서 상기 전해조(50)로 공급되는 전해질의 량을 조절하고,
상기 원수 유량센서에서 측정한 원수의 량과 상기 전해수 유량센서에서 측정한 전해수 량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전해용 전원공급기를 통해 상기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류의 량을 조절하여 전해조에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량을 조절함으로써 최종 생성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 A sodium hypochlorite water producing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water by electrolyzing brine water,
A flow regulating valve unit 10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raw water supplied to the discharging means through which the generated water is discharged;
A raw water flow sensor (20) provided between the flow control valve unit and the discharging unit for measuring an amount of raw water supplied to the discharging unit;
An electrolytic water flow rate sensor 30 installed between the inlet end of the raw water and the electrolytic bath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olytic water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bath;
A brine storage tank part 40 for storing raw water by receiving raw water and salt;
An electrolytic bath 50 which receives sodium chloride supplied from the salt storage tank and electrolytic water passing through the electrolytic water flow rate sensor and generates sodium hypochlorite (NaOCl) by the power supplied by the electrolytic power supply 54; And
And a controller (60)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as a whole,
A pressure reducing valve 70 is provided between the raw water inlet end and the electrolytic water flow sensor 30 and a needle valve 72 is provided between the flow control valve unit 10 and the electrolytic water flow sensor 30, The valve and the electrolytic water (raw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needle valve are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bath through the electrolytic water flow sensor,
When the pressure of the discharging means is high, the electrolytic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needle valve connected to the flow control valve unit 10. When the pressure of the discharging means is low, the electrolytic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reducing valve 70, Is supplied,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supplied from the brine storage tank unit 40 to the electrolytic bath 5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6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ell through the electrolytic power supply based on the amount of raw water measured by the raw water flow sensor and the amount of electrolytic water measured by the electrolytic water flow rate sensor, Wherein the concentration of the final product water is kept constant by adjusting the amount of sodium.
상기 유량 조절 밸브부(10)는 분기되는 다수개의 분기관을 포함하고,
각 분기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2)와 수동조절밸브(14)가 직렬로 연결되며,
각 분기관은 통과하는 원수의 량이 서로 상이하여, 각 수동조절밸브의 온오프를 조절함으로써, 출수단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control valve unit 10 includes a plurality of branched branch pipes,
A solenoid valve (12) and a manual control valve (14) are connected in series to each branch pipe,
Wherein each branch pipe is different in the amount of raw water passing therethrough so that the amount of raw water supplied to the discharging means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on / off of each manual control valve.
상기 소금물 저장탱크부는
소금물 저장탱크로 공급되는 원수의 량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 밸브(41),
원수와 소금을 공급받아 소금물을 저장하는 소금물 저장탱크(42),
상기 소금물 저장탱크 내의 소금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43),
상기 소금물 저장탱크 내의 소금물을 전해조로 이송하는 정량펌프(44), 및
상기 소금물 저장탱크 내의 소금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ine storage tank portion
A solenoid valve 41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raw water supplied to the brine storage tank,
A brine storage tank 42 for storing the brine by receiving the raw water and the salt,
A water level sensor 43 for sensing the level of brine in the brine storage tank,
A metering pump 44 for transferring the brine in the brine storage tank to the electrolytic bath,
And a circulation pump (45) for circulating the brine in the brine storage tank.
상기 전해조는 전기 분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제1전해조와 제2전해조의 직렬 구조의 2단의 전해조이며,
상기 전해용 전원공급기를 통해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의 량을 측정하는 전류센서(53)를 포함하되,
상기 전류센서(53)에서 측정된 전류의 량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60)에서 상기 소금물을 전해조로 이송하는 정량펌프(44)를 제어하여 전해조 내의 농도를 변화시켜, 이에 따라 전해용 전원공급기(53)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lytic cell is a two-stage electrolytic cell having a series structure of a first electrolytic cell and a second electrolytic cell in order to increase the electrolysis efficiency,
And a current sensor (53) for measuring an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cell through the electrolytic power supply,
Based on the amount of the current measured by the current sensor 53,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metering pump 44 for transferring the brine to the electrolytic bath to change the concentration in the electrolytic bath, 53). ≪ / RTI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9096A KR101556371B1 (en) | 2015-03-20 | 2015-03-20 |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9096A KR101556371B1 (en) | 2015-03-20 | 2015-03-20 |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6371B1 true KR101556371B1 (en) | 2015-09-30 |
Family
ID=5424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9096A Active KR101556371B1 (en) | 2015-03-20 | 2015-03-20 |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6371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483748A (en) * | 2015-12-28 | 2016-04-13 | 东莞市汇腾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 Disinfectant production equipment |
KR101737238B1 (en) * | 2015-12-31 | 2017-05-17 | 고호영 | Hypochlorous acid water generator |
KR20210010150A (en) * | 2019-07-19 | 2021-01-27 | 서순기 | High-capacity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production system |
KR102250773B1 (en) * | 2020-12-29 | 2021-05-11 |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 System for generating oxidizers |
KR20220144519A (en) * | 2021-04-20 | 2022-10-27 | 최경기 | Sterile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back flow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6215B1 (en) * | 2006-09-19 | 2007-04-13 | 표수길 | Chlorine Disinfection Water Generator |
-
2015
- 2015-03-20 KR KR1020150039096A patent/KR1015563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6215B1 (en) * | 2006-09-19 | 2007-04-13 | 표수길 | Chlorine Disinfection Water Generator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483748A (en) * | 2015-12-28 | 2016-04-13 | 东莞市汇腾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 Disinfectant production equipment |
KR101737238B1 (en) * | 2015-12-31 | 2017-05-17 | 고호영 | Hypochlorous acid water generator |
KR20210010150A (en) * | 2019-07-19 | 2021-01-27 | 서순기 | High-capacity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production system |
KR102282845B1 (en) * | 2019-07-19 | 2021-07-28 | 서순기 | High-capacity electrolysis sterilizing water production system |
KR102250773B1 (en) * | 2020-12-29 | 2021-05-11 |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 System for generating oxidizers |
KR20220144519A (en) * | 2021-04-20 | 2022-10-27 | 최경기 | Sterile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back flow |
KR102501728B1 (en) * | 2021-04-20 | 2023-02-17 | 최경기 | Sterile water dilution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back flow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6371B1 (en) | Apparatus for producing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 |
US5362368A (en) | Chlorine generator | |
JP3716042B2 (en) | Acid water production method and electrolytic cell | |
KR101226640B1 (en) | Device for generating high-concentrated sodium hypochlorite | |
US20130236569A1 (en) | Electrochemical device | |
EP1971553A1 (en) | Continuous hypochlorite generator | |
JP7267196B2 (en) |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 |
US20030029808A1 (en) | Water treatment system | |
KR101371616B1 (en) | Naocl dilution structure of generation-system for antiseptic solution including chlorine | |
EP2361227B1 (en) | Disinfection system | |
JP201011563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h | |
JP3818619B2 (en) | Hypochlorite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 |
JPH10121280A (en) | Hypochlorite producing device | |
KR101446571B1 (en) | Apparatus for simultaneous producing High concentrations of aqueous solution of sodium hypochlorite and low concentrations of aqueous solution of sodium hypochlorite | |
EP1461291B1 (en) | Electrolytic device and method for disinfecting water in a water supply system by means of the generation of active chlorine | |
KR100794732B1 (en) | Electrolytic Sterilization System with Sterilizer Concentration Control | |
KR101840234B1 (en) | Chlorine water electrolysis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chloride dosage and temperature | |
CN205472644U (en) | Energy -efficient many functional type chlorine dioxide generator disinfecting equipment | |
KR101891906B1 (en) | Seawater electrolysis system and electrolytic solution infusion method | |
KR101835629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aOCl based on process flexibility | |
KR20170047516A (en) | Apparatus for sterilization of ballast water | |
JP7329440B2 (en) | Ballast water treatment and neutralization | |
US20140332399A1 (en) | Low Capacity Sodium Hypochlorite Generation System | |
CA3194567A1 (en) | The process of using demineralized water for chlorate reduction in on-site brine electrochlorination systems | |
JP2002326086A (en) | Residual chlorine contro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3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