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992B1 -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992B1
KR101550992B1 KR1020130150420A KR20130150420A KR101550992B1 KR 101550992 B1 KR101550992 B1 KR 101550992B1 KR 1020130150420 A KR1020130150420 A KR 1020130150420A KR 20130150420 A KR20130150420 A KR 20130150420A KR 101550992 B1 KR101550992 B1 KR 101550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algae
drying
dewatering
harvesting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286A (ko
Inventor
송준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9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1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sterilisation, filtration or dialysis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사막과 근적위선을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건조된 바이오매스의 형태로 생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막여과법을 통해 함수율을 낮출 수 있고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함수율 저감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한편, 미세조류 수확 공정 및 건조 공정을 연계시켜 연속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바이오매스의 품질 확보는 물론 대량의 건조 바이오매스를 단시간에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Automatic system for harvesting and drying microalgae}
본 발명은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사막과 근적위선을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건조된 바이오매스의 형태로 생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석연료가 최근의 전세계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제한된 공급에 기인하는 에너지 위기와 다른 한편으로 화석연료의 연소에 기인하는 환경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대체연료 및 환경 친화적 바이오연료를 찾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 예로서, 미세조류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생존해온 생물 중의 하나로서, 바이오매스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대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잡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미세조류는 폐수에 존재하는 영양분을 이용하여 성장할 수 있다.
보통 바이오매스는 광합성을 하는 식물 자원 및 미세조류를 의미하며, 미세조류에서 유래된 바이오매스를 건조시키는 목적은 바이오디젤, 오메가3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 물질 전환에 있어 수율이 좋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10-2012-0055918호에는 [트라우스토키트리드계 미세조류를 이용한 섬유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오일의 제조방법], 한국 공개특허 10-2013-0125194호에는 [맥주 산업폐수에 미세조류를 배양하여 바이오매스를 생산하는 방법], 한국 등록특허 10-1298942호에는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매스의 생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건조 바이오매스를 생산하는 과정은 크게 배양한 미세조류를 수확하는 과정과, 수확된 미세조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건조 과정으로 구분된다.
건조 바이오매스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배양된 미세조류를 수확해야 한다.
미세조류를 수확하는 기술에는 막여과법, 응집법, 원심분리법 등이 있으며, 이 가운데 양산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로 막여과법이 주로 사용된다.
수확한 미세조류를 효과적으로 건조하기 위해서는 투입되는 미세조류의 함수율을 최대한 낮추어야 하며, 응집제와 같은 다른 화학물질 투입이 없는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향후 바이오매스를 인간에게 유용한 고부가가치 물질로 전환하는데 유리하다.
결국, 화학물질의 투입없이 농축된 형태의 미세조류를 얻을 수만 있다면 건조 바이어매스 생산에 에너지와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들은 대부분 미세조류를 수확하는 기술에 한정되어 있으며, 연구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조 바이오매스는 통상적으로 저온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동결 건조법과 대기 중에 태양광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자연 건조법을 통해 생산된다.
동결 건조법의 경우 에너지 소비량이 높고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자연 건조법의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 및 많은 부지를 필요로 하기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막여과법을 통해 함수율을 낮출 수 있고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함수율 저감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한편, 미세조류 수확 공정 및 건조 공정을 연계시켜 연속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바이오매스의 품질 확보는 물론 대량의 건조 바이오매스를 단시간에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은 막여과법 원리의 미세조류 수확장치를 이용하여 수확한 미세조류를 탈수 및 건조시키는 탈수/건조장치를 포함하는 한편, 특히 상기 탈수/건조장치는 미세조류 수확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고농도의 미세조류 농축액을 저장하는 농축조와, 상기 농축조의 후단에 위치되어 벨트상의 미세조류 농축액에 근적외선과 고온의 바람을 불어주어 탈수 및 건조시키는 탈수/건조부와, 상기 농축조가 있는 영역 및 상기 탈수/건조부가 있는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농축조에 있는 미세조류 농축액을 탈수/건조부의 작업영역까지 이송시켜주는 순환식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은 미세조류 수확 공정과 미세조류 탈수 및 건조 공정을 연계적으로 구성한 연속적인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대량의 건조 바이오매스를 단시간에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극세사 형태의 융 소재로 이루어지며, 미세조류가 벨트를 통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1∼15㎛ 수준의 포어 사이즈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은 탈수/건조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미세조류 농축액을 일정한 간격으로 모아주는 스크래퍼장치와, 탈수/건조부 영역 및 스크래퍼장치 영역을 경유하는 컨베이어 구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아래로 떨어지는 폐수를 저장하는 폐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근적외선(열원)과 블로어(풍속)를 활용하여 함수율 저감효과를 3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결건조나 자연건조에 비해 건조시간을 1/3로 단축시킬 수 있다.
둘째, 기존 대비 함수율이 적은 바이오매스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건조에 소요되는 부지면적을 감축시킬 수 있어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셋째, 근적외선을 열원으로 사용할 경우, 미세조류 농축액 내 박테리아의 살균효과가 있어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넷째, 근적외선은 열 손실율이 낮고, 전력사용량이 다른 열원에 비해 적기 때문에 열원 추가에 따른 운영비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미세조류 수확/건조 자동화 시스템 구현을 통해 손으로 직접 실시하던 건조공정을 자동화시킴으로써, 기존 기술 대비 편리성이 증대되며, 대량의 건조 바이오매스를 단시간에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양산 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의 미세조류 수확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의 미세조류 탈수/건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의 전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에서 근적외선 박테리아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의 미세조류 수확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의 미세조류 탈수/건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의 전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은 막여과법으로 수확한 농축 미세조류에 근적외선 및 바람을 가해서 탈수 및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막여과법 원리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수확하는 미세조류 수확장치(10)와. 근적외선 및 고온의 바람을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탈수 및 건조하는 탈수/건조장치(11)를 포함한다.
상기 미세조류 수확장치(10)는 미세조류 수확 및 농축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배양기(18)에서 배양된 미세조류는 펌프를 통해 농축 미세조류 저장조(19)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미세조류는 병렬로 설치되어 있는 중공사막, 즉 막여과기(21)를 통과하여 상부로는 미세조류 농축액이, 측면으로는 막을 통과한 여과액이 각각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막여과기(21)의 상부로 배출되는 미세조류 농축액은 농축 미세조류 저장조(19)에 재유입되고, 이러한 순환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쳐 미세조류 농도를 높이게 된다.
또한, 상기 막여과기(21)의 측면으로 배출되는 여과액은 역세조(20)로 유입되고, 이곳에서 영양분이 첨가된 후에 배양기(18)로 보내져 배양 시 재활용되며, 일부는 막여과기(21)를 세척하는데 역세액으로 사용된다.
즉, 상기 배양기(18)에서 일정기간 동안 배양된 미세조류는 펌프를 통해 농축 미세조류 저장조(17)로 이송되고, 다시 일정한 속도로 막여과기(21)에 공급된다.
계속해서, 상기 막여과기(21)에는 측면에 연결된 펌프에 의해 압력차가 형성되며, 여과액은 압력차에 의해 막을 투과하여 측면으로 배출되면서 역세조(20)로 이송됨과 더불어 배출된 여과액은 영양분이 첨가되어 다시 배양액으로 재활용되고, 일부는 중공사막 세척 시 역세액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농도가 짙어진 미세조류 농축액은 막 상단으로 빠져나와 농축 미세조류 저장조(19)로 재유입된다.
이러한 순환과정을 거쳐 생성된 미세조류 농축액은 탈수/건조장치(11)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 채택하고 있는 미세조류 수확장치는 막여과법을 통해 함수율을 낮추는 방식으로서, 한국 등록특허 10-0800453호의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을 적용할 경우, 배양된 미세조류를 50배 이상 농축할 수 있으며, 여과액을 재활용하여 중공사막 모듈을 세척하기 때문에 폐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세척과정을 통해 오염문제를 해결하여 장기간 중공사막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근적외선과 바람을 이용하여 미세조류의 함수율을 최대한 낮출 수 있는 수단으로 탈수/건조장치(11)를 제공한다.
상기 탈수/건조장치(11)는 열과 바람을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탈수 및 건조시키는 장치로서, 고농도의 미세조류 농축액 저장을 위한 농축조(12), 근적외선과 바람을 이용하여 미세조류 농축액을 탈수 및 건조하기 위한 탈수/건조부(13), 미세조류 농축액을 이송하기 위한 순환식의 컨베이어 벨트(14) 등을 포함한다.
상기 농축조(12)는 미세조류 수확장치(10)의 농축 미세조류 저장조(19)로부터 공급되는 고농도의 미세조류 농축액을 저장하는 곳으로서, 농축 미세조류 저장조(19)측과는 펌프가 있는 이송라인으로 연결되며, 펌프 가동 시 농축 미세조류 저장조(19) 내의 미세조류 농축액이 농축조(12)로 보내져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탈수/건조부(13)는 근적외선을 조사함과 더불어 바람을 송풍하여 미세조류를 탈수 및 건조하는 수단으로서, 컨베이어 벨트(14)의 상부에 위치되어 근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근적외선 히터(13b)나 근적외선 램프(미도시) 및 바람을 불어줄 수 있는 블로어(13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근적외선 히터(13b)나 블로어(13a)는 컨베이어 벨트(14)의 상부 적정 높이에서 지지수단(미도시)에 의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폐수슬러지를 건조하여 고형물을 에너지화 하는 경우와 달리, 본 발명의 탈수/건조장치(11)와 같이 미세조류로부터 고부가가치 물질을 생산하기 위해 미세조류를 건조하는 경우에는 고압이 가해지면 미세조류를 구성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성분이 물과 함께 밖으로 추출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함수율 80% 미만의 바이오매스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로, 살균 및 탈수 효과가 있는 근적외선을 장치 후단에 적용하여 미세조류 내부에 열을 가하도록 하고, 열에 의해 증발된 수증기는 블로워를 사용하여 외부로 배출시켜서 함수율 저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탈수/건조장치(11)의 탈수/건조부(13)에서 사용하는 근적외선은 파장이 0.8∼1.4㎛인 빛으로서, 직진성이 좋아 주변 공기나 물체 표면을 가열함없이 직접 물체 내부 10∼40mm 까지 깊숙히 침투하여, 물 분자와 공진현상을 일으켜 물체의 내부에 강한 열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원리로 세포 내부의 수분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근적외선 박테리아 살균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미세조류에 근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시간 경과 후 전체 박테리아 수가 줄어듬을 알 수 있게 된다.
아래의 표 1은 온도와 풍속이 함수율 저감에 미치는 영향(온도 62%, 풍속 38%)을 보여준다.

소요시간
(기준:hr)

온도(℃) & 풍속(m/s)
25℃
0.2m/s
30℃
0.8m/s
60℃
1.8m/s



도달함수율
(%)

83%

0

0

0

45%

38.0

19.5

12.5

30%

53.5

29.5

19.0

15%

68.5

39.0

24.5
위의 표 1은 온도와 풍속이 함수율 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값으로 60℃ 이상, 1.8m/s 조건에서 건조할 경우, 함수율 저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적외선의 경우 원적외선과 비교하여 열전달 거리가 2배이며 열손실이 50% 나 적기 때문에 운전비를 1/2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 침투거리가 6배 높아 박테리아와 같은 불순물의 살균효과가 높기 때문에 탈수된 폐수의 처리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열을 통해 수분을 저감하는 방법이라면 직접적인 화염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를 이용할 경우 미세조류가 탄화하면서 성분변화를 일으켜 부가가치화에 필요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의 성분별 함유량이 줄어들게 되고, 결국 수율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4)는 농축조(12)가 있는 영역 및 탈수/건조부(13)가 있는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농축조(12)에 있는 미세조류 농축액을 탈수/건조부(13)의 작업영역까지 이송시켜주는 수단이다.
예를 들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14)는 고농도의 미세조류 농축액이 들어 있는 농축조(12)의 내부에서부터 후술하는 스크래퍼장치(15)의 하부 영역, 탈수/건조부(13)의 하부 영역에 걸쳐 순환하는 방식의 벨트 컨베이어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컨베이어 벨트(14)의 순환식 구동방식은 공지의 구동방식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14)는 극세사 형태의 융 소재, 예를 들면 차량 세차에 주로 쓰이는 극세사 형태의 융 소재로 이루어져, 농축액의 흡수와 미세조류의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보통 1∼30㎛의 크기를 갖는 미세조류가 건조 시 벨트를 통과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 포어 사이즈(Pore size)를 1∼15㎛ 수준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14)에 의해 이송되는 미세조류 농축액을 일정한 간격으로 모아주는 수단으로 스크래퍼장치(15)과 마련된다.
상기 스크래퍼장치(15)는 체인 컨베이어 구동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탈수/건조부(13)의 전단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14)를 통해 이송되는 미세조류 농축액을 일정한 간격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크래퍼장치(15)는 컨베이어 벨트(14)의 상부에서 이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스크래퍼 컨베이어(15b)와 상기 스크래퍼 컨베이어(15b)에 어댑터(미도시) 등으로 연결되어 이동되면서 컨베이어 벨트(14)의 상면에 접하는 다수의 스크래퍼(15a)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14)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스크래퍼 컨베이어(15b) 또한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구동되고, 이때의 스크래퍼(15a)가 컨베이어 벨트(14)상의 미세조류를 긁어서 진행방향쪽으로 모아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크래퍼장치는 체인 형태로 설치되는 스크래퍼가 컨베이어 벨트에 흡수된 농축 미세조류가 근적외선과 블로어가 있는 탈수/건조부를 통과하기 전, 건조에 적합한 상태로 모아주는 역할과 추가적인 농축을 축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여기에서 탈수된 물은 벨트를 통과하여 장치 하부의 폐수조(16)로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탈수/건조부(13) 영역과 스크래퍼장치(15) 영역을 경유하는 컨베이어 구간의 하부에는 폐수조(16)가 설치되며, 이곳에는 윗쪽의 스크래퍼장치(15)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는 폐수가 모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장치의 후단부, 즉 탈수/건조부(13)의 후단부에는 건조 바이오매스 회수부(17)가 마련되고, 이곳으로는 탈수 및 건조를 마친 건조 바이오매스가 컨베이어 벨트(14)로부터 낙하되어 모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미세조류로부터 건조 바이오매스를 생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은 도 3의 개략도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미세조류로부터 고부가가치화 물질 생산 시 수율면에서 유리한 건조 형태의 바이오매스를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매스 생산은 미세조류 배양→수확 및 농축(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순환)→탈수 및 건조→(자연건조)→건조 바이오매스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순서를 각 과정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미세조류 수확 및 농축 과정
배양된 미세조류는 펌프를 통해 농축 미세조류 저장조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미세조류는 막여과기를 거쳐 미세조류 농축액과 여과액으로 분리 배출되며, 미세조류 농축액은 농축 미세조류 저장조로 재유입된다.
(나) 미세조류 탈수/건조 과정
수확 및 농축이 완료된 미세조류 농축액은 탈수/건조장치의 농축조로 이송되어 컨베이어 벨트에 흡수되고, 스크래퍼에 의해 근적외선과 블로어가 구비되어 있는 탈수/건조부 내부로 유입되기 전, 일정한 간격으로 모아지게 되며, 계속해서 탈수/건조부에서 열과 풍동에 의해 증발된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함수율이 저감된다.
(다) 자연건조 과정→건조 바이오매스
최종적으로 탈수된 건조 바이오매스는 태양광에 의해 자연건조되어 건조분말 형태의 바이오매스로 생산된다.
이와 같이, 미세조류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처리기술의 양산화 공정 설계 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이 활용되는 경우 기존 기술 대비 바이오매스 생산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10 : 미세조류 수확장치 11 : 탈수/건조장치
12 : 농축조 13 : 탈수/건조부
13a : 블로어 13b : 근적외선 히터
14 : 컨베이어 벨트 15 : 스크래퍼장치
15a : 스크래퍼 15b : 스크래퍼 컨베이어
16 : 폐수조 17 : 건조 바이오매스 회수부
18 : 배양기 19 : 농축 미세조류 저장조
20 : 역세조 21 : 막여과기

Claims (4)

  1. 막여과법 원리의 미세조류 수확장치(10)를 이용하여 수확한 미세조류를 탈수 및 건조시키는 탈수/건조장치(11)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건조장치(11)는 미세조류 수확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고농도의 미세조류 농축액을 저장하는 농축조(12)와, 상기 농축조(12)의 후단에 위치되어 벨트상의 미세조류 농축액에 근적외선 히터와 블로어로 바람을 불어주어 살균, 탈수 및 건조시키는 탈수/건조부(13)와, 상기 농축조(12)가 있는 영역 및 상기 탈수/건조부(13)가 있는 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농축조(12)에 있는 미세조류 농축액을 탈수/건조부(13)의 작업영역까지 이송시켜주는 순환식의 컨베이어 벨트(14)와, 상기 탈수/건조부(13)의 전단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14)의 상부에서 이 컨베이어 벨트(14) 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이동되면서 컨베이어 벨트(14) 상의 미세조류를 긁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모아주는 스크래퍼장치(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4)는 극세사 형태의 융 소재로 이루어지며, 미세조류가 벨트를 통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1∼15㎛ 수준의 포어 사이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수/건조부(13) 영역과 스크래퍼장치(15) 영역을 경유하는 컨베이어 구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아래로 떨어지는 폐수를 저장하는 폐수조(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
KR1020130150420A 2013-12-05 2013-12-05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 KR101550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20A KR101550992B1 (ko) 2013-12-05 2013-12-05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420A KR101550992B1 (ko) 2013-12-05 2013-12-05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286A KR20150065286A (ko) 2015-06-15
KR101550992B1 true KR101550992B1 (ko) 2015-09-07

Family

ID=5350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420A KR101550992B1 (ko) 2013-12-05 2013-12-05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254A1 (ko) * 2021-08-26 2023-03-02 한국지역난방공사 Lng발전소 배기가스 및 지역난방수 폐열을 활용한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265A (ko) 2016-07-05 2016-07-25 김영남 미세조류 고밀도배양을 위한 배양액살균, 공기압축, 공기냉각, 이산화탄소 자동공급, 밀폐 수직 광 생물 배양, 수확, 건조장치 와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바이오 매스 전환고정, 대기 및 수질정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N109971641B (zh) * 2019-04-23 2024-08-30 胡小军 封闭式微藻绿色采收烘存系统
KR102622378B1 (ko) * 2021-04-16 2024-01-09 주식회사 그레넥스 하폐수 처리용 미생물 담체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897B1 (ko) * 2007-09-28 2009-03-16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미세조류 및 미생물 분리 농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897B1 (ko) * 2007-09-28 2009-03-16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미세조류 및 미생물 분리 농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254A1 (ko) * 2021-08-26 2023-03-02 한국지역난방공사 Lng발전소 배기가스 및 지역난방수 폐열을 활용한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286A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992B1 (ko) 미세조류 수확 및 건조 자동화 시스템
JP2022107657A (ja) 微細藻類の高密度培養のための滅菌培地、および空気圧縮、空気冷却、二酸化炭素自動供給、密封式垂直型フォトバイオリアクター、収集、乾燥用の装置、ならびにこれらを使用した、二酸化炭素のバイオマス変換固定を提供することを特徴とする空気および水の浄化方法
CN103789195A (zh) 一种实现原位固液分离的膜微藻光生物反应器及其培养方法
CN103074231B (zh) 利用生物丁醇的工业废水废气生产微藻的方法及其应用
EP2448655A1 (de) Verfahren zur entnahme von co2 aus einem rauch-oder abgas eines verbrennungsprozesses
CN205412669U (zh) 一种恶臭气体处理系统
CN101856828B (zh) 一种竹材脱脂、染色、烘干一体化作业系统
WO2014057889A1 (ja) 微細藻類の培養装置及び微細藻類の培養方法
CN102934681A (zh) 一种食品烘干和保鲜一体化装置
KR101470078B1 (ko) 이산화탄소 포집ㆍ고정ㆍ전환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및 부가가치화 방법
CN102774915B (zh) 一种利用太阳能和热泵短流程处理餐厨垃圾的设备
CN103283582A (zh) 使二氧化碳去除率最大化的光生物藻类培养器以及使用其生产藻类的方法
CN209193755U (zh) 一种污水零排放处理设备
CN215288498U (zh) 一种污泥双重干燥装置
CN103966079A (zh) 一种微藻集成装置及方法
CN204763314U (zh) 水平履带式真空过滤洗涤脱水装置
CN104946402A (zh) 一种生物油料的预处理设备及其生产工艺
WO2015052759A1 (ja) 植物性油廃液の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CN109111247A (zh) 垃圾处理工艺
TWI820632B (zh) 微藻固碳養殖分離循環系統及使用方法
CN106118701A (zh) 一种高产炭量的生物质炭化工艺及系统
CN105582897A (zh) 一种吸附重金属的纤维素吸附材料
KR102200324B1 (ko) 미세조류 배양액의 재생 및 순환 공급 시스템
CN206624766U (zh) 一种污泥高干化集成装置
CN110184084A (zh) 一种微藻与白土油热解制备生物油的方法及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