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186B1 -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186B1
KR101539186B1 KR1020140155233A KR20140155233A KR101539186B1 KR 101539186 B1 KR101539186 B1 KR 101539186B1 KR 1020140155233 A KR1020140155233 A KR 1020140155233A KR 20140155233 A KR20140155233 A KR 20140155233A KR 101539186 B1 KR101539186 B1 KR 101539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corresponding
corresponding portion
frame
stat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창수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5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18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는, 특정 외면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제1 상태로 유지되는 프레임; 및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이격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장착되는 제1 외면대응부 및 제2 외면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면대응부 및 상기 제2 외면대응부는, 상기 프레임이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이격공간이 제거되어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위치 변화되고 상기 특정 외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소정의 타설 공간이 제공되도록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내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Mold assembly for pouring concrete}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주형물의 형태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는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 유닛을 일정한 형태나 크기로 만들기 위하여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원하는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양생 및 지지하는 가설 유닛이다.
기존의 거푸집은 특정 크기의 평면형태, 원형, 타원형으로 정형화되어 있으며, 이를 연결하여 원하는 유닛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평면이 있는 경우는 평면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거푸집을 제작하여야 하며, 곡면이 있는 경우에는 단일곡률, 이중곡률 등에 따라 거푸집을 제작하여야 했다.
이렇게 정형화된 형상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거푸집을 제작하려면, 각각의 형상에 맞는 거푸집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거푸집 제작 비용이 급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유닛과 같은 경우에는 거푸집 비용의 제약으로 인해 설계 형상이 정형화될 수 밖에 없으며, 상기 콘크리트 유닛의 디자인은 한정될 수 밖에 없다.
나아가, 콘크리트 유닛에 문양이 들어가야 할 경우에는 제작 비용이 과다하게 되고 아주 부분적인 적용만 가능하였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거푸집에 있어서,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유닛의 형상 구현이 용이하고, 운반 및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는, 특정 외면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제1 상태로 유지되는 프레임; 및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이격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장착되는 제1 외면대응부 및 제2 외면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면대응부 및 상기 제2 외면대응부는, 상기 프레임이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이격공간이 제거되어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위치 변화되고 상기 특정 외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소정의 타설 공간이 제공되도록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내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의 상기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감소 폭이 증가하도록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는,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 외면대응부 및 상기 제2 외면대응부의 접촉면적과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 외면대응부 및 제2 외면대응부의 접촉면적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는, 상기 프레임이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제1 외면대응부 및 상기 제2 외면대응부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는 접촉시점과 상기 제1 외면대응부 및 상기 제2 외면대응부가 상기 프레임에 접촉되는 접촉시점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는, 상기 프레임이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특정 외면과 동일한 내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3 외면대응부 내지 제n(n은 3보다 큰 자연수) 외면대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외면대응부 내지 제n-1 외면대응부는,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이격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도중에 이격거리가 점차 좁아지다가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2 상태로 변형이 완료되면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n 외면대응부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된 후 상기 제1 외면대응부와 상기 제n-1 외면대응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에 의하면,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에 의해 제작된 콘크리트 유닛의 다양한 형상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운반이 용이하며, 조립이 간단하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유닛의 사이즈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의 프레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의 외면대응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의 외면대응부가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의 프레임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의 프레임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에 의해 제작되는 콘크리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1)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 (1, 이하, 조립체)는, 교각, 암거 부재, 거더, 또는, 건축물을 축조할 때 사용되는 콘크리트 유닛(U)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체(1)는, 원하는 모양과 크기를 갖는 콘크리트 유닛(U)을 제조하기 위해, 굳지 않은 콘크리트(C)를 부어 넣어, 원하는 강도에 도달할 때까지 양생 및 지지하는 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크리트 유닛(U)의 외면은 사용 위치 및 용도에 따라 특정 외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외면이란, 외관을 수려하게 하여 미감을 불러일으키게 하거나, 상기 콘크리트 유닛(U)의 역학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적인 형상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의 프레임(10)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의 외면대응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의 외면대응부가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1)는, 특정 외면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유닛(U)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0),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는 일측에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의 일부분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프레임(10)에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h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외면대응부(22)는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와 인접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일측에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의 일측의 형상과 연속적인 형상 즉,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의 또 다른 일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10)에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는 상기 콘크리트 유닛(U)이 특정 외면을 구비하도록 하는 틀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는 상기 콘크리트 유닛(U)을 제조하기 위한 틀을 분리시킨 복수개의 분리된 틀 중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와 제2 외면대응부(22)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외면의 콘크리트 유닛(U)을 제조하기 위해 3차원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3차원 프린터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은 형상 구현이 용이한 강판일 수 있으며 변형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조립체(1)의 외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0)이 원형으로 굴곡되면 상기 조립체(1)의 외형 또한 원형을 띠게 되고, 상기 프레임(10)이 다각형 형태로 절곡되면 상기 조립체(1)의 외형 또한 다각형 형태를 띨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체(1)의 외형은, 상기 프레임(10)이 변형되는 형태와 무관하게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프레임(10)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의 위치가 변화되어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는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의 변형에 의해 접촉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는 콘크리트(C)가 타설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는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이격 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프레임(1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의 일부분이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는 상기 이격 공간을 두고 서로 분리되어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가 장착되는 위치에 장착홀(h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에는 상기 장착홀(h1)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홈(h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홀(h1)의 개수는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는 외면대응부(20)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장착홈(h2) 또한 상기 장착홀(h1)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외면대응부(20)란, 이하 설명할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n 외면대응부(28) 중 어느 하나의 외면대응부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면대응부(20)에 형성되는 장착홈(h2)의 개수는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0)이 제공하는 공간 내에 위치하는 외면대응부(21~27)에는 상기 장착홈(h2)이 수직으로 일렬 배치(도 3(a) 참조)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에 변형된 후 삽입되어 장착되는 외면대응부(28)에는 상기 장착홈(h2)이 수직으로 이열 배치(도 3(b) 참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이점은 후술할 제n 외면대응부(28)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는 상기 장착홀(h1)과 상기 장착홈(h2)에 동시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T)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가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또는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는 굴곡되지 않은 평면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가 장착되는데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프레임(10)에 외력이 인가되어 굴곡 또는 절곡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가 접촉되도록 변형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의 이격 공간이 제거되어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는 서로 접촉되도록 위치 변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의 접촉에 의해 상기 특정 외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타설 공간(S, 도 1참조)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타설 공간(S)에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상기 특정 외면이 구비된 콘크리트 유닛(U)이 양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상기 프레임(10)과 그에 따른 외면대응부(20)의 위치 변화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의 프레임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조립체(1)는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이격 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제1 상태(도 4 참조)의 상기 프레임(10)의 일면에 장착되는 제3 외면대응부(23) 내지 제n 대응부(28)(n은 3보다 큰 자연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면에는 n이 8인 경우를 도시함).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외면대응부(23) 내지 제7 외면대응부(27)는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2 외면대응부(22)가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n 외면대응부(28)는 상기 프레임(10)이 제2 상태로 변형된 후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제7 외면대응부(27)가 제공하는 공간(P)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이 제2 상태(도 7 참조)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n 외면대응부(28)에 의해 형성되는 외면의 형상은 상기 특정 외면과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n 외면대응부(28) 중 어느 하나의 외면대응부는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n 외면대응부(28)에 의해 형성되는 외면의 형상은 상기 특정 외면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n 외면대응부(28)의 n은 8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n은 상기 조립체(1)의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7 외면대응부(27)가 장착된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기 위해 외력이 인가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은 인력 또는 기계적 장치에 의한 역학적 힘일 수 있다.
이하, 상기 프레임(10)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됨에 따라 위치 이동하는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7 외면대응부(27)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상태의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프레임(10)이 굴곡되어 변형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7 외면대응부(27) 각각의 이격된 공간이 좁아지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각의 외면대응부(20~27)의 대향면들은 가까워질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7 외면대응부(27)의 이격 공간이 제거될 때까지 굴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이 제2 상태로 변형되면,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7 외면대응부(27)는 각각의 이격 공간이 제거된 채 인접한 외면대응부와 접촉될 수 있다(도 7 참조).
예를 들면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는 인접한 상기 제2 외면대응부(22)와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외면대응부(22)는 인접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상기 제3 외면대응부(23)와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n 외면대응부(28)는 상기 프레임(10)이 제2 상태로 변형된 후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와 제7 외면대응부(27)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P)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여기서 상기 제n 외면대응부(28)는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공간(P)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및 상기 제7 외면대응부(27)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공간(P)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P)에 안착된 상기 제n 외면대응부(28)는 체결 부재(T)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제n 외면대응부(28)와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제2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n 외면대응부(28)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및 타측에 동시에 장착되기 위하여 수직 이열 배치(도 3(b) 참조)되는 장착홈(h2)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상기 제n 외면대응부(28)가 이격된 공간없이 상기 프레임(10)과 접촉되면 특정 외면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유닛(U)이 제작될 수 있는 틀의 형상을 갖출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된 후, 제n 외면대응부 및 제n-1 외면대응부는, 제1 외면대응부와 제n-2 외면대응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외면대응부 내지 제n-2 외면대응부는, 상기 프레임(10)이 제2 상태로 변형되기 전에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고, 상기 제n 외면대응부 및 제n-1 외면대응부는 상기 프레임(10)이 제2 상태로 변형된 후, 상기 제1 외면대응부와 제n-2 외면대응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이 제2 상태로 변형된 후,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는 외면대응부의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과 제반 상황에 부합하도록 유동적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의 프레임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7 외면대응부(20)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감소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이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10)과 가까운 영역보다 먼 영역으로 갈수록 감소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레임(10)의 제2 상태에서 접촉하게 되는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와 상기 제2 외면대응부(22)의 일정부분(A, B)을 추적해 나가면 A가 이격된 거리는 L1에서 L2로 변한 반면, B가 이격된 거리는 L3에서 L4로 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먼 위치의 A의 이격거리의 감소폭(L1 - L2)은,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B의 이격거리의 감소폭(L3 - L4)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7 외면대응부(27) 중 어느 하나의 접촉면적(P)은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7 외면대응부(27) 중 어느 하나의 접촉면적(Q)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면적은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1 상태일 때 최소값을 갖고,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선형 또는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2 상태일 때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이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7 외면대응부(27) 각각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는 접촉시점과 상기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7 외면대응부(27)가 상기 프레임(10)에 접촉되는 접촉시점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중에, 이격된 각각의 상기 외면대응부(21~27)의 대향면들이 접촉 완료되는 시점과 상기 프레임(10)과 각각의 상기 외면대응부(21~27)의 대향면들이 접촉 완료되는 시점은 동일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에 의해 제작되는 콘크리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된 조립체(1)에는 콘크리트 유닛(U)을 제작하기 위해 소정의 타설 공간(S)에 콘크리트(C)가 타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타설된 콘크리트(C)가 굳게 되면 상기 제2 상태의 프레임(10)을 상기 제1 상태로 변형시켜 상기 조립체(1)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유닛(U)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된 상기 콘크리트 유닛(U)은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n 외면대응부(28)에 의해 형성된 외면과 대응되는 특정 외면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기 조립체(1)를 재차 사용하여 동일한 콘크리트 유닛(U)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10)에서 상기 제1 외면대응부(21) 내지 제n 외면대응부(28) 중 적어도 하나를 또 다른 외면대응부와 교체하여 다른 특정 외면이 구비된 콘크리트 유닛을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
10: 프레임
20: 외면대응부
21: 제1 외면대응부
22: 제2 외면대응부
C: 콘크리트
U: 콘크리트 유닛

Claims (5)

  1. 특정 외면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평면 상태인 제1 상태로 유지되는 프레임; 및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이격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장착되는 제1 외면대응부 및 제2 외면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면대응부 및 상기 제2 외면대응부는, 상기 프레임이 굴곡 또는 절곡되어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이격공간이 제거되어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위치 변화되고 상기 특정 외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소정의 타설 공간이 제공되도록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내면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이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특정 외면과 동일한 내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3 외면대응부 내지 제n(n은 3보다 큰 자연수) 외면대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외면대응부 내지 제n-1 외면대응부는, 상기 특정 외면과 대응되는 외면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이격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도중에 이격거리가 점차 좁아지다가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2 상태로 변형이 완료되면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n 외면대응부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된 후 상기 제1 외면대응부와 상기 제n-1 외면대응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된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체결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감소 폭이 증가하도록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의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 외면대응부 및 상기 제2 외면대응부의 접촉면적과 상기 제2 상태에서의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 외면대응부 및 제2 외면대응부의 접촉면적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제2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제1 외면대응부 및 상기 제2 외면대응부의 대향면이 서로 접촉되는 접촉시점과 상기 제1 외면대응부 및 상기 제2 외면대응부가 상기 프레임에 접촉되는 접촉시점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
  5. 삭제
KR1020140155233A 2014-11-10 2014-11-10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 KR101539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233A KR101539186B1 (ko) 2014-11-10 2014-11-10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233A KR101539186B1 (ko) 2014-11-10 2014-11-10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186B1 true KR101539186B1 (ko) 2015-07-27

Family

ID=5387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233A KR101539186B1 (ko) 2014-11-10 2014-11-10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1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0818A (zh) * 2019-10-15 2020-03-24 吴紫阳 一种扩展式防损脱模的混凝土管状构件立式成型模具
WO2020126913A1 (de) 2018-12-17 2020-06-25 Basf Se Schalungssystem umfassend eine schalhaut, auf deren rückseite mindestens ein formelement angebracht is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130A (ja) * 1998-01-23 1999-10-05 Shibata Ind Co Ltd コンクリ―ト成形型枠
KR200213262Y1 (ko) * 2000-08-31 2001-02-15 주식회사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분리 및 보관이 용이한 거푸집
WO2005083199A1 (es) * 2004-02-24 2005-09-09 Sanchez Renasco Jesus Encofrado para columnas prismática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130A (ja) * 1998-01-23 1999-10-05 Shibata Ind Co Ltd コンクリ―ト成形型枠
KR200213262Y1 (ko) * 2000-08-31 2001-02-15 주식회사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분리 및 보관이 용이한 거푸집
WO2005083199A1 (es) * 2004-02-24 2005-09-09 Sanchez Renasco Jesus Encofrado para columnas prismática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BIM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14.05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6913A1 (de) 2018-12-17 2020-06-25 Basf Se Schalungssystem umfassend eine schalhaut, auf deren rückseite mindestens ein formelement angebracht ist
CN113227514A (zh) * 2018-12-17 2021-08-06 巴斯夫欧洲公司 包括至少一个成型元件附接至其后侧的模板衬砌的模板系统
US12018501B2 (en) 2018-12-17 2024-06-25 Basf Se Formwork system, comprising a form lining, on the rear side of which at least one molding element is attached
CN110900818A (zh) * 2019-10-15 2020-03-24 吴紫阳 一种扩展式防损脱模的混凝土管状构件立式成型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689B1 (ko) 3차원프린터를 이용한 거푸집용 3차원패널 출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US20120291512A1 (en) Sheet-material forming device and method
KR101539186B1 (ko)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조립체
US10974770B2 (en) Network structure, shock-absorbing body, vehicle, and design method of network structure
KR101302719B1 (ko) 긴장재의 프리텐션용 반력 거치대 일체형 프리텐션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프리텐션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법
KR101801270B1 (ko)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770172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546212B1 (ko) 정형 및 비정형 구조물용 거푸집 모듈 및 거푸집 어셈블리
JP2014181462A (ja) 鉄筋位置決め装置、及び、鉄筋位置決め装置を用いた曲面スラブ構築方法
WO2013191532A1 (en) Adjustable formwork for curved beam
JP5371876B2 (ja) 鉄筋用スペーサーおよび鉄筋用スペーサーの製造方法
KR101812955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CN103025448A (zh) 倒勾部的成形方法以及具有倒勾部的成形品的制造方法
SE425112B (sv) Koppling
CN212121578U (zh) 真空泵机座砂芯模具
JP2016215431A (ja) マクラギ用型枠
KR20180126863A (ko) 콘크리트 문양 형성 유닛 및 콘크리트 문양 형성 거푸집
JP6577744B2 (ja) ガスケットの成形型及び製造方法並びにガスケット
CN112776142A (zh) 用于加工塔筒塔片的模具
JP2018176584A (ja) 型枠装置
JP716136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型枠
KR200482779Y1 (ko) 조립식 거푸집용 수평 보강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거푸집
KR101442056B1 (ko) 표면 요철부 제작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프리캐스트 부재 및 그 시공방법
JP6401535B2 (ja) 基礎の構築に用いられ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
JP2019138004A (ja) 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