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139B1 -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 - Google Patents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139B1
KR101536139B1 KR1020130106380A KR20130106380A KR101536139B1 KR 101536139 B1 KR101536139 B1 KR 101536139B1 KR 1020130106380 A KR1020130106380 A KR 1020130106380A KR 20130106380 A KR20130106380 A KR 20130106380A KR 101536139 B1 KR101536139 B1 KR 101536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enter
elastic member
band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947A (ko
Inventor
이주현
구혜란
이정환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139B1/ko
Priority to EP14183768.2A priority patent/EP2845538B8/en
Priority to US14/478,701 priority patent/US10172554B2/en
Publication of KR20150027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2Holders for multipl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직물기반 생체신호 측정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직물전극 키트와, 상기 직물전극 키트가 의류에 장착되어, 무구속적 및 무자각적으로, 피검자의 심전도 등 생체신호를 일상 동작 중에도 동잡음이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검출하도록 하는 의복 구조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의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전극을 장착하기 위한 의복은, 좌우측 겨드랑이 밑에 각각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앞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는, 앞판중앙 띠; 앞판중앙 띠의 상단의 중앙에서 앞판의 목둘레선의 중앙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dart)인, 앞판상부 중앙다트;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뒷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는, 뒷판중앙 띠; 뒷판중앙 띠의 하단의 중앙에서 허리부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dart)인, 뒷판하부 중앙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앞판중앙 띠는, 중앙에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가슴중앙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된, 좌측 앞판중앙 띠;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된, 우측 앞판중앙 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Textile electrode kit, and the motion artifact-minimizing clothing installed with the kit}
본 발명은 전도성 직물기반 생체신호 측정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직물전극 키트와, 상기 직물전극 키트가 의류에 장착되어, 무구속적 및 무자각적으로, 피검자의 심박신호, 심전도 등 생체신호를 일상 동작 중에도 동잡음이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검출하도록 하는 의복 구조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의복에 관한 것이다.
심장질환 등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는 계속하여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직접 병원을 방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그 비용도 만만치 않다.
종래의 센서들은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전극과 인체의 접점이 벗어나면 심박신호 측정 정확도가 떨어지며, 인체를 압박하는 형태로 장시간 장착되어, 불편하였다. 이러한 센서들은 일상 생활에서 지속적인 측정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863064호 등은 전극이 장착된 생체 신호 측정용 의복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의복은 피부 표면과 접촉되도록 의복의 내부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센서를 구비하나, 의복과 일체화된 전극이, 인체에 접촉하여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동안, 인체가 움직이고 있으면, 동잡음 등이 많이 들어 있는 신호를 검출하게 되며, 이는 검출된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데 정확도, 정밀도를 떨어트리게 된다. 즉, 종래의 전극과 일체화된 의복을 통해 무구속적, 무자각적, 지속적으로 생체신호를 검출할 수는 있지만, 인체의 굴곡 등에의해 전극과 인체와의 사이에는 어쩔 수없는 틈새가 있으며, 이 틈새때문에 인체가 동작하면, 전극도 움직이게 됨으로써, 이에 따른 동잡음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생체 신호를 언제, 어디서나 의복을 통해 무구속적, 무자각적, 지속적으로 측정하되,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측정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의복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직물전극 키트에서는, 종래부터 널리 이용한 접촉식 전극을 사용하는 것이외에도, 비 접촉전극을 사용하는 방법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비 접촉전극으로서 코일형 자계 센서를 채용하되, 본 발명자들은 이 코일형 자계 센서에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1302600호의 전도성 직물기반 생체신호 측정 센서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302600호의 전도성 직물기반 생체신호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인덕턴스의 변화를 이용한 체적변화를 검출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유도용량성 생체신호 측정 센서(40)가 장착되고, 유도용량성 생체신호 측정 센서의 외측에는 신호 검출부(30)가 장착되며, 검출부에는 발진부(50), 복조부(50)를 포함한다.
발진부(50)는 L과 C로 이루어진 발진회로로 이루어져 진동신호를 유도용량성 생체신호 측정 센서(40)로 전송한다.
유도용량성 생체신호 측정 센서(40)는 코일의 중앙부위에 자속을 집속시킬 수 있는 강자성체의 코어를 배치하여 민감도(sensitivity)를 극대화 시킬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즉, 전도성 직물기반 생체신호 측정 센서(40)는 코일 센서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즉 자기가 영향을 미치는, 체적공간(VOI)이 시간적으로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하며 그 체적내 위치하는 물질의 전기전도도(conductivity)에 의한 와전류(eddy current)의 변화를 감지한다.
유도용량성 생체신호 측정 센서(40)가 진동신호를 수신하면 관심볼륨(VOI)(20)내의 생체에서 시변함수의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물질내 와전류(eddy current)를 생성하게 되며, 피검체의 움직임에 의하여 센서의 인덕턴스가 영향을 받게된다. 따라서, 심장 근육의 진동신호가 코일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야기하며, 이 신호는 발진부(50)를 통해 복조부(70)로 전송한다.
복조부(70)는 이신호 중 유도용량성 생체신호 측정 센서(40)에 가한 진동신호를 제거하여, 생체신호만을 검출한다.
부연설명하면, 유도용량성 생체신호 측정 센서(40)의 코일에 미세하게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는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은 검출 대상(인체내)에 와전류(eddy current)를 유도하게 되고, 이 형성된 유도 전류는 코일에서 생성된 자기장에 반대하는 방향으로 미세한 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유도용량성 생체신호 측정 센서(40)의 코일의 자기장을 변화시키는 현상이 궁극적으로는 코일의 인덕턴스(inductance, 유도자기장)를 변화 시키게 된다. 이를 검출하기 위하여, 유도용량성 생체신호 측정 센서(40)의 코일을 인덕터(inductor) 회로소자로 간주하는 발진회로인, 발진부(50)를 구성하게 되면, 대상물체(인체내)의 움직임에 의하여 발진자의 주파수가 변동하는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가 나타나게 된다. 복조부(70)에서, 이를 검출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PLL(Phase-Locked Loop)를 이용하여 변조된 주파수를 추적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주파수 복조를 이용하면 검출 대상의 움직임이 PLL 출력으로 나타나게 되어, 심장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도성 직물기반 생체신호 측정 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직물전극 키트와, 상기 직물전극 키트가 의복에 장착되어, 무구속적 및 무자각적으로, 피검자의 심전도 신호, 심박신호 등 생체신호를 일상 동작 중에도 동잡음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검출하도록 하는 의복 구조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의복에 장착된 직물전극 키트는 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 센서로 이루어지며, 봉제사 또는 기타 재료, 부자재를 사용하여 의복에 부착하도록 이루어진,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의복에 장착된 직물전극 키트는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 센서인 경우 봉제사 또는 기타 재료, 부자재를 사용하여 의복에 부착하거나, 의복 몸판에 터널(tunnel)을 만들어 삽입하도록 이루어지며,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 센서를 사용하는,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직물전극 키트를 의복에 장착하되, 직물전극이 인체의 굴곡에 잘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적 입체 조성 의복 구조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전극을 장착하기 위한 의복은, 좌우측 겨드랑이 밑에 각각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앞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는, 앞판중앙 띠; 앞판중앙 띠의 상단의 중앙에서 앞판의 목둘레선의 중앙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dart)인, 앞판상부 중앙다트;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뒷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는, 뒷판중앙 띠; 뒷판중앙 띠의 하단의 중앙에서 허리부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dart)인, 뒷판하부 중앙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판중앙 띠는, 중앙에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가슴중앙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된, 좌측 앞판중앙 띠;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된, 우측 앞판중앙 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앞판의 목둘레선의 중앙에서,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인, 앞판상부 중앙다트를 더 구비한다.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앞판에서 목둘레선 중앙에서부터 목둘레선이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중간부에 장착되어, 앞판중앙 띠의 상부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1수직지지부;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앞판중앙 띠의 하부의 중앙과, 앞판중앙 띠의 일단부 사이의 중간에서부터, 의복 앞판의 밑단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2수직지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의복은,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뒷판에서 목둘레선 중앙에서부터 목둘레선이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중간부에 장착되어, 뒷판중앙 띠의 상부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3수직지지부;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뒷판중앙 띠의 하부의 중앙과, 뒷판중앙 띠의 일단부 사이의 중간에서부터, 의복 뒷판의 밑단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4수직지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좌우측 옆선에서 허리부분에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허리 옆선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앞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는, 앞판복부띠;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뒷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는, 뒷판복부 띠;를 더 구비한다.
앞판중앙 띠 또는 뒷판중앙 띠에 전극이 장착될 수 있다.
앞판중앙 띠, 또는 뒷판중앙 띠, 또는 앞판복부띠에 전극이 장착될 수 있다.
앞판중앙 띠, 또는 뒷판중앙 띠, 또는 앞판복부띠, 또는 뒷판복부띠에 전극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극이 접촉식 전극인 경우, 전극은 피부에 접촉되는 면인, 의복의 내측면에 장착된다. 상기 전극이 비접촉식 전극인 경우, 전극은 의복의 외측면에 장착된다.
앞판중앙 띠, 뒷판중앙 띠, 앞판복부띠, 뒷판복부띠 중 하나 이상이 상부에 직물이 덧대어져 이루어진, 터널을 구비하고, 상기 터널에는 전극이 삽입된다.
상기 전극은 비접촉식 전극으로, 의복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전극은, 코일장착 직물지 위에 형성된 나선형 코일을 구비하며, 발진회로로부터 발진신호를 수신하고 생체신호를 포함한 발진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전극이 접촉식 전극일 경우, 상기 전극이 장착된, 의복 전극장착부의, 외측면에 장착된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 위에 위치되되, 하우징부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신호검출 모듈; 상기 신호검출 모듈의 외측을 둘러싸며, 테두리는 의복 전극장착부의 테두리와 함께 봉재되거나 부착되는 상부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극이 비접촉식 전극일 경우, 상기 전극의 위에 위치되는 쿠션부재; 하우징부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발진회로를 구비하여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전극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포함하는 발진신호로 부터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신호검출 모듈; 상기 신호검출 모듈의 외측을 둘러싸며, 테두리는, 상기 전극이 장착된, 의복 전극장착부의 테두리와 함께 봉재되거나 부착되는 상부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극이 비접촉식 전극일 경우, 상기 전극과, 상기 의복의 외측면의 사이에는, 쿠션부재가 삽입된다.
의복 전극장착부와 코일장착 직물지는 동일한 것이거나, 코일장착 직물지와 상기 의복의 외측면이 봉재되거나 부착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의복에 장착되어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직물전극 키트는,표면전극을 구비하여, 피부에 접촉되어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전극; 일면에 상기 전극이 장착되어 있는 하부 고정부재; 상기 하부 고정부재의 다른 일면에 장착되는 쿠션부재; 하우징부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신호검출 모듈; 상기 신호검출 모듈의 외측을 둘러싸며, 테두리는 하부 고정부재의 테두리와 함께 봉재되거나, 부착되는, 상부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의복에 장착되어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직물전극 키트는, 코일장착 직물지 위에 형성된 나선형 코일을 구비하며, 발진회로로부터 발진신호를 수신하고 생체신호를 포함한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전극; 상기 전극의 위에 위치되는 쿠션부재; 하우징부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발진회로를 구비하여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전극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포함하는 발진신호로 부터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신호검출 모듈; 상기 신호검출 모듈의 외측을 둘러싸며, 테두리는, 전극의 직물지의 테두리와 함께 봉재 또는 부착되거나, 전극 밑에 위치한 하부 고정부재와 함께 봉재 또는 부착되는, 상부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의복에 장착되어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직물전극 키트는, 코일장착 직물지 위에 형성된 나선형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발진회로로부터 발진신호를 수신하고 생체신호를 포함한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전극; 하부 고정부재의 위에 위치되되, 상기 전극의 밑에 위치되는, 쿠션부재; 상기 전극의 외측을 둘러싸며, 테두리는 하부 고정부재의 테두리와 함께 봉재되며, 직물을 포함하는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상부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의복에 장착되어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직물전극 키트에 는, 코일장착 직물지 위에 형성된 나선형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발진회로로부터 발진신호를 수신하고 생체신호를 포함한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전극; 상기 전극의 밑에 위치되는, 쿠션부재; 일면에 쿠션부재를 장착하고 있으며, 테두리는 코일장착 직물지의 테두리와 함께 봉재되는, 하부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한다.
하부 고정부재는, 상기 전극을 장착하고 있는 의복 직물일 수 있으며, 하부 고정부재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직물전극 키트는 의복에서, 2개의 직물이 위 및 아래가 봉재되며, 좌우가 개구부인 전극장착용 터널 내에 설치되거나, 직물전극 키트는 의복에서, 2개의 직물이 위 및 아래가 봉재되며, 좌우 중 일측이 봉재되고, 좌우 중 다른 일측이 개구부인 전극장착용 포켓 내에 설치된다.
상기 의복은, 좌우측 겨드랑이 밑에 각각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앞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는, 앞판중앙 띠; 앞판중앙 띠의 상단의 중앙에서 앞판의 목둘레선의 중앙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dart)인, 앞판상부 중앙다트;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뒷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는, 뒷판중앙 띠; 뒷판중앙 띠의 하단의 중앙에서 허리부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dart)인, 뒷판하부 중앙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앞판중앙 띠는 중앙에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가슴중앙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된, 좌측 앞판중앙 띠;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된, 우측 앞판중앙 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앞판의 목둘레선의 중앙에서,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인, 앞판상부 중앙다트를 구비한다.
상기 의복은,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앞판에서 목둘레선 중앙에서부터 목둘레선이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중간부에 장착되어, 앞판중앙 띠의 상부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1수직지지부;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앞판중앙 띠의 하부의 중앙과, 앞판중앙 띠의 일단부 사이의 중간에서부터, 의복 앞판의 밑단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2수직지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의복은,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뒷판에서 목둘레선 중앙에서부터 목둘레선이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중간부에 장착되어, 뒷판중앙 띠의 상부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3수직지지부;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뒷판중앙 띠의 하부의 중앙과, 뒷판중앙 띠의 일단부 사이의 중간에서부터, 의복 뒷판의 밑단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4수직지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좌우측 옆선에서 허리부분에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허리 옆선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앞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는, 앞판복부띠;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뒷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는, 뒷판복부 띠;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의복에서 전극장착부와 띠와 수직지지부(예로, 앞판의 경우 앞판중앙 띠와 앞판복부띠와 제1, 제2 수직지지부, 뒷판의 경우중 뒷판중앙 띠와 뒷판복부띠와 제3, 제4 수직지지부)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조합되어 이루는 의복구조는, 비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되, 십자형, 일자형, 'T'자형, 역'T'자형, 'ㅓ'자형, 'ㅏ'자형, 'O'자형, 사각형, 마름모형, 삼각형, 'V'자형, 역'V'자형, '二'자형, '三'자형, 王자형, '川'자형, 'X'자형, 방사형, 격자형, '田'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 또는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 고정부재의 일면에, 전극은, 봉재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스냅단추를 포함하는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장착될 수 있으며, 신호검출 모듈은 생체신호를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거나, 신호검출 모듈은 스냅단추 형태 또는 커넥터형태로 이루어진 유선 송신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의복에서 전극장착부와 터널과 띠와 수직지지부(예로, 앞판의 경우 앞판중앙 터널와 앞판복부띠와 앞판복부터널과 제1, 제2 수직지지부, 뒷판의 경우 뒷판중앙 터널와 뒷판복부띠와 뒷판복부터널과 제3, 제4 수직지지부)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조합되어 이루는 의복구조는, 십자형, 일자형, 'T'자형, 역'T'자형, 'ㅓ'자형, 'ㅏ'자형, 'O'자형, 사각형, 마름모형, 삼각형, 'V'자형, 역'V'자형, '二'자형, '三'자형, 王자형, '川'자형, 'X'자형, 방사형, 격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 또는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극은 직물지 위의 나선형 코일을 형성하되,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자수(embroidery) 또는 직조(weaving) 또는 편직(knitting)에 의해 제작하거나, 전도성 재료를 직물지에 접착함에 의해 제작하거나, 전도성 물질을 직물지에 프린팅 (Printing) 함에 의해 제작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의복에 따르면, 직물전극 키트는 전도성 직물기반 생체신호 측정 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무구속적으로 생체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직물전극 키트가 의복에 장착되되, 피검자의 심전도 등 생체신호를 일상 동작 중에도 동잡음이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검출하도록 하는 의복 구조를 구비하여, 무구속적 및 무자각적이면서도 정확도를 높이고 안정적인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복에 장착된 직물전극 키트가 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 센서인 경우, 동잡음 최소화를 위한 특정 의복구조뿐만 아니라, 봉제사를 사용하여 의복에 부착하도록 이루어져, 보다 동잡음을 최소화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복에 장착된 직물전극 키트가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 센서인 경우, 동잡음 최소화를 위한 특정 의복구조뿐만 아니라, 봉제사를 사용하여 의복에 부착하거나, 의복 몸판에 터널(tunnel)을 만들어 삽입하도록 이루어지며, 코일형 자계 센서 등의 비접촉식 생체 신호 측정 센서를 사용하도록 이루어져, 무구속적, 무자각적으로 신호를 검출하되, 보다 동잡음을 최소화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전극 키트를 의복에 장착되되, 직물전극이 인체의 굴곡에 잘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잡음 최소화를 위한 부분적 입체 조성용 의복 구조를 구비하여, 인체를 심하게 압박하는 구조가 아니라, 착용 쾌적성을 높이며, 활동하기 편리하면서도, 보다 동잡음을 최소화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국내 특허출원 제10-2012-0092695호의 전도성 직물기반 생체신호 측정 센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직물전극 키트의 장착을 위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구조를 나타낸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전극 키트의 장착을 위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구조를 나타낸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직물전극 키트의 장착을 위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구조들을 나타낸다.
도 2d는 본 발명에서의 가로띠에서의 수직 움직임에 따른 동잡음의 저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에서의 세로띠에서의 가로 움직임에 따른 동잡음의 저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f는 본 발명에서의 세로로 위치된 다트에서 가로 움직임에 따른 동잡음의 저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전극 키트의 일예이다.
도 3b는 도 3a의 직물전극 키트의 의복에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접촉식 전극의 밑에 쿠션부재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접촉식 전극의 밑에 쿠션부재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접촉식 전극의 상부에 쿠션부재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접촉식 전극의 상부에 쿠션부재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는 도 3a의 전극이 접촉식 전극으로 의복 천과 함께 봉재되어 있는 경우의 직물전극 키트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서, 전극의 상부에 쿠션부재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의 경우의, 쿠션부재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서, 전극의 하부에 쿠션부재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의 경우의, 쿠션부재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비접촉식 전극을 구비한 경우의 신호검출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9는 접촉식 전극을 구비한 경우의 신호검출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직물전극 키트를 의복에 장착하기 위한 직물전극용 터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직물전극용 터널에 직물전극 키트를 삽입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접촉 전극의 일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앞판 사각 비신축부를 구비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구조들을 나타낸다.
도 14a은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가슴부 터널을 구비한 경우의 일예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수직 지지부 및 가슴부 터널을 구비한 경우의 일예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수직 지지부 및 가슴부 터널을 구비한 경우의 다른 일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복부 터널을 구비한 경우의 일예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2개의 가슴부 전극장착용 포켓을 구비한 경우의 일예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앞판에 4개의 전극장착용 포켓을 구비한 경우의 일예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앞판에 3개의 전극장착용 포켓을 구비한 경우의 일예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완장형 띠를 구비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구조이다.
도 20의 (b)는 인자(人)형 가슴중간부(340), 인자형 등중간부(350)를 구비한 의복의 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의복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의복에 장착한 직물전극 키트는 접촉식 전극 또는 비접촉식 전극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며, 직물전극 키트는 동잡음을 줄이도록 이루어진 하부 고정부재와 부분적 입체 조성 의복구조를 구비하는 의복에 장착되되, 봉제에 의해 장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비접촉식 전극을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는 의복에 형성된 전극장착용 포켓 또는 전극장착용 포켓에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전극 키트는, 심박신호, 심전도, 근전도, 호흡 등의 다양한 생체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직물전극 키트의 장착을 위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구조를 나타낸다.
도 2a에서, 앞판중앙 띠(211)와 뒷판중앙 띠(231)가 좌우측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를 통해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앞판중앙 띠(211)는 중앙부에 가슴중앙 탄성부재(219)를 구비하며, 가슴중앙 탄성부재(219)의 좌측에는 좌측 앞판중앙 띠(215)를 구비하며, 가슴중앙 탄성부재(219)의 우측에는 우측 앞판중앙 띠(215)를 구비한다. 앞판의 목둘레선의 중앙에서, 앞판중앙 띠(211)의 하단, 즉, 가슴중앙 탄성부재(219)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절개선인, 앞판상부 중앙다트(227)를 구비하며, 뒷판중앙 띠(231)의 하단의 중앙에서 허리부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절개선인, 뒷판하부 중앙다트(228)을 구비한다. 경우에 따라서, 앞판상부 중앙다트(227)와 같이, 뒷판의 상부에도 뒷판상부 중앙다트(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는, 좌우측 겨드랑이 밑에 위치되며, 앞판중앙 띠(211)와 뒷판중앙 띠(231)를 연결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앞판과 뒷판에 비신축성소재의 앞판중앙 띠(211)와 뒷판중앙 띠(231)이 구비되더라도 움직임이 보다 수월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탄성재질은, 비신축성과 반대로 신축성이 좋은 재료를 말하며, 폴리우레탄(스판덱스) 3% 이상 함유한 편직물, rib 조직이나 아코디언 조직 등의 편성물, 탄성사 5% 이상을 함유한 자수물, 탄성 밴드(elastic band), 다양한 너비의 고무줄, 스모킹(smocking) 등을 말한다.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는, 고신축성소재 또는 탄성 소재로서, 폭(세로)은 최소 5cm~10cm이고, 너비(가로)는 최소 전체 가슴둘레의 1/8에서, 최대 전체 가슴둘레의 1/4까지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의 너비와 폭(세로)은 소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의 위치는 가슴둘레선(bust line)과 옆선(side seams)이 교차하는 곳에 위치한다
앞판중앙 띠(211)는 앞판에서 가슴부를 가로지르며 좌측 겨드랑이 밑에서 우측 겨드랑이 밑까지 연결되며, 띠모형을 이루되, 좌측 앞판중앙 띠(215), 우측 앞판중앙 띠(216), 가슴중앙 탄성부재(219)를 구비한다.
좌측 앞판중앙 띠(215)는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에 일단이 장착되고, 좌측가슴 하부를 가로질러, 다른 일단은 가슴중앙 탄성부재(219)의 일단에 장착된다.
우측 앞판중앙 띠(216)는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에 일단이 장착되고, 우측가슴 하부를 가로질러, 다른 일단은 가슴중앙 탄성부재(219)의 다른 일단에 장착된다.
좌측 앞판중앙 띠(215), 우측 앞판중앙 띠(216), 뒷판중앙 띠(231)는 전극들을 장착시키기 위한 부위로, 비신축성소재 또는 저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이를 제외한 부위는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져, 가능한한 전극이 인체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앞판중앙 띠(211)와 뒷판중앙 띠(231)에서, 폭(세로)은 최소 5cm~10cm이고, 너비(가로)는 최소 전체 가슴둘레의 1/4에서 최대 전체 가슴둘레의 3/4 너비까지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치는 가슴둘레선(bust line)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앞판중앙 띠(211)는 가슴둘레선(bust line)과 앞중심(Center Front)가 교차하는 점에서 착용자의 좌측으로 3~5cm 되는 점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앞판상부 중앙다트(227)는 가슴과 가슴사이의 가슴골 등을 고려하여 의복이 가슴골의 입체적 구조를 따라 가슴표면에 피트(fit)되도록(밀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의에서 가슴골 부위는 다른 부위보다, 인접부위와의 차가 크므로, 가슴중앙 탄성부재(219)를 구비하되, 가슴중앙 탄성부재(219)의 중앙부에 앞판상부 중앙다트(227)가 지나가도록하여, 몸(가슴)에 피트되면서 활동하기에 편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뒷판중앙 띠(231)는 뒷판에서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에 일단이 장착되고, 등판 중앙부를 가로질러,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에 다른 일단이 장착된다.
뒷판하부 중앙다트(228)는 등판하부와 허리사이에 척추를 따라 들어간 부분을 고려하여 허리부분 척추만곡의 입체적 구조를 따라 허리표면에 피트(fit)되도록(밀착되도록) 구비되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다트(dart)는 의복 패턴에 쓰이는 방식으로 평면적인 원단을 접어 연결하여 입체감을 주는 것을 말하며, 앞판상부 중앙다트(227)와 뒷판하부 중앙다트(228)는 의복과 인체표면 간의 밀착이 필요한 부위에 따라 그 위치와 크기를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가슴 굴곡, 척추 등 다양한 굴곡에 맞게 제작하여, 의복을 인체에 밀착시키게 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직물전극 키트의 장착을 위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구조를 나타낸다.
도 2b에서, 뒷판중앙 띠(231), 뒷판하부 중앙다트(228),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는 도 2a와 동일하다.
도 2b에서, 앞판중앙 띠(211)와 뒷판중앙 띠(231)가 좌우측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를 통해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며, 목둘레선에서 부터 앞판중앙 띠(211) 상부까지 수직으로 연결된 제1수직지지부(205)와, 앞판중앙 띠(211) 하부에서부터 앞판 밑단(209)까지 수직으로 연결된 제2수직지지부(206)을 구비한다.
여기서, 앞판중앙 띠(211)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은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의 일단에 장착된다.
뒷판중앙 띠(231)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뒷판에서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고, 등판 중앙부를 가로질러,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의 다른 일단이 장착된다.
앞판중앙 띠(211), 뒷판중앙 띠(231)는 전극들을 장착시키기 위한 부위로, 가능한한 전극이 인체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1수직지지부(205)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제2수직지지부(206)와 함께, 앞판중앙 띠(211)가 인체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을 줄이도록 앞판중앙 띠(211)를 지지하여 주는 수단으로, 앞판에서 목둘레선 중앙에서부터 목둘레선이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중간부에 장착되어, 앞판중앙 띠(211)의 상부까지, 수직으로 장착된다.
제2수직지지부(206)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제1수직지지부(205)와 함께, 앞판중앙 띠(211)가 인체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을 줄이도록 앞판중앙 띠(211)를 지지하여 주는 수단으로, 앞판중앙 띠(211) 하부에서, 제1수직지지부(205)의 대응부위(또는 앞판중앙 띠(211) 하부의 중앙에서부터 앞판중앙 띠(211)와 일단부 사이의 중간)로부터 앞판 밑단(209)까지 수직으로 장착된다.
제1수직지지부(205)와 제2수직지지부(206)는 비신축성소재 또는 저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폭(세로)은 앞목둘레선에서 가로선까지이며, 폭은 인체에 따라 달라진다. 너비(가로)는 2cm~10cm로 부착한 전극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제1수직지지부(205)와 제2수직지지부(206)는 앞판중앙 띠(211)에 장착한 전극의 중심과 일직선상을 이루도록 위치한다.
앞판에서 목둘레선 중앙에서부터 목둘레선이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중간부에 장착되어, 앞판중앙 띠(211)의 상부까지, 수직으로 장착된다.
앞판중앙 띠(211), 뒷판중앙 띠(231), 제1수직지지부(205), 제2수직지지부(206)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나머지의 부분은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 앞판의 제1수직지지부(205)에 대응되는 뒷판의 제3수직지지부(미도시)와 앞판의 제2수직지지부(206)에 대응되는 뒷판의 제4수직지지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전극 키트의 장착을 위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구조들을 나타낸다.
도 2c의 (a)는, 도 2b에서 제2수직지지부(206)가 제외하고, 모두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c의 (b)는 도 2b의 모든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게다가, 앞판복부띠(241), 허리 옆선 탄성부재(229)를 더 구비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뒷판복부띠(28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허리 옆선 탄성부재(229)는, 탄성재질(예로, 탄성밴드)로 이루어져, 좌우측 허리부분의 옆선부에 장착되되, 앞판복부띠(241)와 뒷판중앙 띠(미도시)를 연결하거나, 앞판복부띠(241)를 뒷판과 연결하며, 비신축성소재의 앞판복부띠(241)가 구비되더라도 움직임이 보다 수월하게 한다.
앞판복부띠(241)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좌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229)의 일단에 장착되고, 복부를 가로질러, 다른 일단은 우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229)의 일단에 장착된다.
뒷판복부띠(미도시)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뒷판에서 좌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229)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고, 등판 허리부를 가로질러, 우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229)의 다른 일단이 장착된다.
도 2c의 (c)는, 도 2c의 (b)에서 앞판중앙띠(211), 뒷판중앙 띠(231), 겨드랑이밑 탄성부재(221)를 제외한 것으로, 도 2c의 (c)의 모든 구성요소는 도 2c의 (b)의 것과 모두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2a 내지 도 2c에서, 앞판중앙 띠(211), 뒷판중앙 띠(231), 앞판복부띠(241), 뒷판복부띠(미도시) 부분에 접촉식전극 또는 비접촉식 전극을 장착하여 생체신호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식전극을 장착할 경우에는 앞판중앙 띠(211), 뒷판중앙 띠(231), 앞판복부띠(241), 뒷판복부띠(미도시) 부분에서 인체와의 접촉부에 접촉식전극을 장착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접촉식전극을 장착할 경우에는 앞판중앙 띠(211), 뒷판중앙 띠(231), 앞판복부띠(241), 뒷판복부띠(미도시) 부분의 겉면(즉, 인체와의 접촉되는 부분의 반대면)에 비접촉식전극을 장착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서, 앞판중앙 띠(211), 뒷판중앙 띠(231), 앞판복부띠(241), 뒷판복부띠(미도시) 부분을 포켓 또는 터널을 구비하게 하여, 상기 포켓 또는 터널 내에 비접촉식 전극을 장착하여 생체신호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전극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로, 앞판중앙 띠(211), 뒷판중앙 띠(231), 앞판복부띠(241), 뒷판복부띠(미도시)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전극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d는 본 발명에서의 가로띠에서의 수직 움직임(상하 움직임)에 따른 동잡음의 저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앞판중앙 띠(211), 뒷판중앙 띠(231), 앞판복부띠(241), 뒷판복부띠(미도시)와 같이, 의복에서 가로로 위치되며 비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진 가로띠가 장착되었을 경우, 가로띠 내에서, 가로로 연속되어 있으므로, 인체가 가로로 움직이는 것(가로 벡터)은 그대로 전달된다. 즉, 인체가 가로로 움직이는 것(즉, 좌우로 움직이는 것)(가로 벡터)에 대한 동잡음은 그대로 전달된다.
그러나 가로띠의 상단면(194)과 하단면(195)은 각각 신축성소재와 연결되어 있다. 상단면(194)과,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진 상단면(194)의 상부는 연결되어 있지만, 상기 연결부에서, 상단면(194)의 소재와, 상단면(194)의 상부의 소재가 연속되지 않는 부분으로 불연속되는 부분이다. 마찬가지로, 하단면(195)과,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진 하단면(195)의 하부가 연결된 연결부에서, 하단면(195)의 소재와, 하단면(195)의 하부의 소재가 더이상 연속되지 않는 부분으로, 불연속 부분이다.
인체가 세로로 움직이는 것(세로벡터)은, 상기 불연속 부분들을 만나면, 거의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체가 세로로 움직이는 것(즉, 상하로 움직이는 것)(세로 벡터)에 대한 동잡음은 저감된다.
도 2e는 본 발명에서의 세로띠에서의 가로 움직임(좌우 움직임)에 따른 동잡음의 저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1수직지지부(205), 제2수직지지부(206)와 같이, 의복에서 세로로 위치되며 비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진 세로띠가 장착되었을 경우, 세로띠 내에서, 세로로 연속되어 있으므로, 인체가 세로로 움직이는 것(세로 벡터)은 그대로 전달된다. 즉, 인체가 세로로 움직이는 것(즉, 상하로 움직이는 것)(세로 벡터)에 대한 동잡음은 그대로 전달된다.
그러나 세로띠의 좌측단면(196)과 우측단면(197)은 각각 신축성소재와 연결되어 있다. 좌측단면(196)과,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진 좌측단면(196)의 좌측부는 연결되어 있지만, 상기 연결부에서, 좌측단면(196)의 소재와, 좌측단면(196)의 좌측부의 소재가 각각 연속되지 않는 부분으로 불연속되는 부분이다. 마찬가지로, 우측단면(197)과, 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진 우측단면(197)의 우측부가 연결된 연결부에서, 우측단면(197)의 소재와, 우측단면(197)의 우측부의 소재가 더이상 연속되지 않는 부분으로, 불연속 부분이다.
인체가 가로로 움직이는 것(가로 벡터)은, 상기 불연속 부분들을 만나면, 거의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체가 가로로 움직이는 것(즉, 좌우로 움직이는 것)(가로 벡터)에 대한 동잡음은 저감된다.
도 2f는 본 발명에서의 세로로 위치된 다트에서 가로 움직임(좌우 움직임)에 따른 동잡음의 저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의복에서 길이방향(장방향)으로 위치된 다트를 구비한 경우, 상기 다트를 중심으로 양측이 불연속되게 된다. 즉, 세로로 위치된 다트이므로, 의복에서, 가로로 진행하는 인체의 움직임은, 상기 다트에 부딪치게 되면 저감되어 전달되게 된다. 그러나, 의복에서, 세로로 진행하는 인체의 움직임은, 방해요소가 없으므로 그대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세로로 위치된 다트를 구비할 경우, 인체가 가로로 움직이는 것(즉, 좌우로 움직이는 것)(가로 벡터)에 대한 동잡음은 저감된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직물전극 키트의 일예이고, 도 3b는 도 3a의 직물전극 키트의 의복에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직물전극 키트(10)는 전극(110)으로만 이루어지거나, 전극(110)과 쿠션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전극(110)과 쿠션부재(140)과 신호검출 모듈(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직물전극 키트(10)가 전극(110)으로만 이루어질 경우, 전극(110)이 의복 전극장착부(185)에 부착되거나, 봉재(190)되어진다. 전극(110)이 접촉식 전극일 경우는, 의복 전극장착부(185)에서 피부에 접하는 부분인, 의복 전극장착부(185)의 내측에 장착(부착되거나, 봉재(190)됨)된다. 전극(110)이 비접촉식 전극일 경우는, 의복 전극장착부(185)의 내측 또는 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의복 전극장착부(185)는 전극장착을 위해 비신축소재로 의복에 형성된 부분으로, 앞판중앙 띠(211), 뒷판중앙 띠(231), 앞판복부띠(241), 뒷판복부띠(미도시) 등등일 수 있으며, 이들에 형성된 포켓 또는 터널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의 편의상, 직물전극 키트를 원형으로 나타내었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직물전극 키트 및 직물전극은 다양한 형태를 갖출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전극(110)이 비접촉식 전극일 경우, 비접촉식 전극은 코일 장착 직물지(175)위에 나선형 코일(115)을 장착하여 형성한 것으로, 코일 장착 직물지(175)를 의복 전극장착부(185)로 하거나, 비접촉식 전극으로 형성된 직물전극 키트(10)를 의복 전극장착부(185)에 장착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접촉식 전극의 밑에 쿠션부재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접촉식 전극의 밑에 쿠션부재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코일장착 직물지(175)위에 나선형 코일(115)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비접촉식 전극인, 전극(110)의 밑에 쿠션부재(140)를 구비하고, 쿠션부재(140)의 밑에 의복 전극장착부(185)(또는 하부 고정부재)가 위치된다.
도 4a는 코일장착 직물지(175)의 테두리부와 의복 전극장착부(185)(또는 하부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코일장착 직물지(175)의 테두리부가 의복 전극장착부(185)(또는 하부 고정부재)에 봉재되거나, 부착되어진다.
도 4b는 상부 커버부재(170)를 더 구비하며, 상부 커버부재(170)의 테두리부와 의복 전극장착부(185)(또는 하부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부 커버부재(170)의 테두리부가 의복 전극장착부(185)(또는 하부 고정부재)에 봉재되거나, 부착되어진다.
쿠션부재(140)는 전극 안정폼(foam)(완충부재)으로, 전극(110)이 인체의 굴곡진 부분이 있더라도, 몸이 움직임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 몸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전극(110)에서의 동잡음을 줄이며, 외부의 압력을 완충하기 위한 수단으로, 메모리폼, 스폰지, 스티로폰, 직물 등 어떠한 쿠션부재라도 상관이 없다.
하나의 쿠션부재(140)는 하나의 연속된 재질로서, 인체의 움직임을, 쿠션부재(140)의 밑면과 피부와 닿은 부분에서 전달받아, 상기 하나의 쿠션부재(140)의 상면을 통해 전극(110)으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쿠션 부재(140)의 면적을 줄이고, 쿠션 부재(140)와 쿠션 부재(140)의 사이를 이격하여, 이격된 공간인 불연속 공간(147)을 구비하게 되면, 불연속 공간(147)에서는 동잡음은 전달되지 않게 되며, 결과적으로, 쿠션 부재(140)의 면적이 줄어든 만큼, 불연속 공간(147)이 커진 만큼 전극(110)으로 전달된 동잡음은 줄어든다.
하부 고정부재(미도시)는 쿠션부재(140)의 밑에 위치되어 직물전극 키트(10)의 하부를 커버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물, 고무, 비닐, 필름,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고정부재가 구비될 경우는 전극(110)이 의복 전극장착부(185)에 직접 장착되는 경우가 아니며, 직물전극 키트(10)를 개별적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상부 커버부재(170)는 나선형 코일(115) 위에 위치되어 직물전극 키트(10)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물, 고무, 비닐, 필름,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접촉식 전극의 상부에 쿠션부재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접촉식 전극의 상부에 쿠션부재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전극(110)이 위치되고, 그 위에 쿠션부재(140)가 위치되고, 그 위에 신호검출 모듈(130)이 위치되고, 그 위에 상부 커버부재(17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극(110)은 비접촉식 전극으로, 코일장착 직물지(175)위에 나선형 코일(115)을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도 5a는 코일장착 직물지(175)와 상부 커버부재(170)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코일장착 직물지(175)의 테두리부와 상부 커버부재(170)가 서로 봉재되거나, 부착되어진다. 이 경우는 전극(110)이 의복 전극장착부(185)에 직접 장착되는 경우가 아니며, 직물전극 키트(10)를 개별적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b는 상부 커버부재(170)가 의복 전극장착부(185)(또는 하부 고정부재)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 커버부재(170)의 테두리부가 의복 전극장착부(185)에 봉재되거나, 부착되어진다는 것은, 의복에 직접 장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호검출 모듈(130)은 전극(110)을 구동시켜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다. 비접촉식 전극일 경우의 신호검출 모듈(130)은 전극구동부(139), 신호전처리부(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극구동부(139)는 L과 C로 이루어진 발진회로를 구비하여, 진동신호를 비접촉전극인 코일로 전송한다.
신호전처리부(133)는 비접촉전극인 코일로부터 수신된 진동신호를 복조하여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이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한다.
도 5a에서와 같이, 전극(110)이 비접촉식 전극, 즉, 직물지 위에 나선형 코일을 형성하는 코일형 자계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는, 직물전극 키트(10)는 쿠션부재(140), 신호검출 모듈(130)를 내장한 채, 전극(110)의 직물지의 외곽부분(둘레부분)과 상부 직물지(170)의 외곽부분을 함께 봉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직물전극 키트(10)를 의복의 소정위치에 위치되는 전극장착용 터널 또는 포켓에 설치할 수 있다.
또는, 도 5b에서와 같이, 의복 전극장착부(185)와 상부 커버부재(170)의 외곽부분을 봉재하여, 의복의 소정위치에 직물전극 키트(10)를 고정,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극(110)에서 신호검출 모듈(130)로 연결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은 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스냅단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접촉식 전극의 상부에 쿠션부재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의복 전극장착부(185)에서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에, 접촉식 전극인, 전극(110)이 장착되고, 의복 전극장착부(185) 위에 쿠션부재(140)가 위치되고, 그 위에 신호검출 모듈(130)이 위치되고, 그 위에 상부 커버부재(170)를 구비한다. 상부 커버부재(170)와 의복 전극장착부(185)가 봉재되거나, 부착되어진다.
신호검출 모듈(130)은 전극(110)을 구동시켜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다. 접촉식 전극일 경우의 신호검출 모듈(130)은 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신호전처리부(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전극(110)은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접촉식 전극으로 이루어지거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코일형 자계 센서를 통해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비접촉식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의복 전극장착부(185) 중의 피부접촉부분에 전극(110)을 장착할 경우, 전극 소재에 따라, 봉재하거나, 접착하거나, 스냅단추 등을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장착하거나 할 수 있다.
도 3a에서와 같이, 전극(110)이 비접촉식 전극, 또는 접촉식 전극을 사용하던지 간에, 직물전극 키트(10)가 위치되는 의복 전극장착부(185) 부분은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의복은 이를 제외한 부분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신축성 소재로는 면, 마 등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축성 소재로는 폴리에스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텔과 폴리우레탄의 혼합재료 등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의 편의상, 하부 고정부재와 상부 커버부재를 직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하부 고정부재와 상부 커버부재는 필름, 비닐 등 유연한 다양한 소재일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에서, 전극의 상부에 쿠션부재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의 경우의, 쿠션부재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서, 전극의 하부에 쿠션부재를 구비한 직물전극 키트의 경우의, 쿠션부재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a는, 도 5a, 도 5b, 도 6에서와 같이, 인체의 굴곡진 부분에 전극(110)이 위치되게 되면, 피검자가 동작 중 모션 아티팩트 등의 잡음이 커져서, 제대로된 신호를 검출할 수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쿠션부재(140)를 전극(110)과 하우징되어 있는 신호검출 모듈(130)의 사이에 게제함에 의해, 전극(110)이 움직이지 않고, 인체에 피트될 수 있어, 피검자가 동작 중에도 모션 아티팩트를 줄이면서 안정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b는,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인체의 굴곡진 부분에 전극(110)이 위치되게 되면, 피검자의 조그만 움직임에도 전극(110)의 모션 아티팩트 등의 잡음이 커져서, 제대로된 신호를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도 7b에서는 비접촉식 전극인 전극(110)과 인체와의 사이에, 쿠션 부재(140)를 게제함에 의해, 비접촉식 전극인 전극(110)을 인체로부터 이격시켜 인체의 움직임에도 영향을 덜 받도록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쿠션 부재(140)의 면적을 줄이고, 쿠션 부재(140)와 쿠션 부재(140)의 사이를 이격하여, 이격된 공간인 불연속 공간(147)을 구비하게 되면, 불연속 공간(147)에서는 동잡음은 전달되지 않게 되며, 결과적으로, 쿠션 부재(140)의 면적이 줄어든 만큼, 불연속 공간(147)이 커진 만큼 전극(110)으로 전달된 동잡음은 줄어든다. 이렇게 함에 의해, 피검자가 동작 중에도 모션 아티팩트(동잡음)를 줄이면서 안정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비접촉식 전극을 구비한 경우의 신호검출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9는 접촉식 전극을 구비한 경우의 신호검출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8에서와 같이, 비접촉식 전극(즉, 유도용량성 생체신호 측정 센서)일 경우의 신호검출 모듈(130)은 전극구동부(139), 신호전처리부(133), 송신부(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극구동부(139)는 L과 C로 이루어진 발진회로를 구비하여, 진동신호를 비접촉전극(113)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비접촉전극(113)의 코일에 미세하게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는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은 검출 대상(인체내)에 와전류(eddy current)를 유도하게 되고, 이 형성된 유도 전류는 비접촉전극(113)의 코일에서 생성된 자기장에 반대하는 방향으로 미세한 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된다.
신호전처리부(133)는 복조부(미도시), 증폭부(미도시), 필터(미도시)를 포함하며, 비접촉전극(113)으로부터 수신된 진동신호를 복조하여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이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한다.
송신부(137)는 신호전처리부(133)에서 검출된 생체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이다. 송신부(137)는 무선 송신부로 이루어지거나, 유선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유선 송신포트일 수 있다. 유선 송신포트일 경우 스냅단추 형식, 커넥터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접촉식 전극(117)일 경우의 신호검출 모듈(130)은 신호전처리부(133), 송신부(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호전처리부(133)는 증폭부(미도시), 필터(미도시)를 포함하며, 접촉전극(117)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한다.
송신부(137)는 신호전처리부(133)에서 검출된 생체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으로, 송신부(137)는 무선 송신부로 이루어지거나, 유선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유선 송신포트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직물전극 키트를 의복에 장착하기 위한 직물전극용 터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직물전극용 터널에 직물전극 키트를 삽입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직물전극 키트(10)를 의복에 장착하기 위한 직물전극용 터널(또는 직물전극용 포켓)을 형성하되, 이는 2개의 직물지를 봉재하여 형성하며, 그 중 하부의 직물지는 비신축성 소재를 사용하며, 상부의 직물지는 신축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직물전극용 터널은 도 10에서와 같이 직물전극용 터널의 좌우를 봉재하여 형성하며,따라서 위, 아래에 있는 2개의 입구부를 구비한다.
직물전극용 포켓은 도 10에서와 같이 직물전극용 터널의 좌우를 봉재하며, 위, 아래 중 일측을 더 봉재하여 형성하며, 위, 아래 중 다른 일측에 입구부를 구비한다.
도 11에서와 같이, 직물전극용 터널의 입구부에서 직물전극 키트(10)를 밀어넣어 삽입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일직선의 터널구조를 나타내나, 본 발명을 이로써 한정하기위한 것이 아니며, 의복 앞, 뒤, 옆면 상에 십자형, 일자형, T자형, 역 T자형, ㅓ자형, ㅏ자형, O자형, 사각형, 마름모형, 삼각형, V자형, 二자형, 三자형, 王자형, X자형, 방사형 등 다양한 터널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접촉 전극의 일예이다.
도 12의 a)는 비접촉 전극은 직물지 위에 원형의 나선형 형태의 코일을 형성한 예이며, 도 12의 b)와 같이, 직물지 위에 나선형 형태의 코일을 형성하고, 코일선과 코일선의 사이를 절연사를 이용하여 스티치를 행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비접촉식 전극(113)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만 나타내고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 짓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의 비접촉식 전극(113)은 사각형, 마름모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직물지 위의 나선형 코일은,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자수(embroidery) 또는 직조(weaving) 또는 편직(knitting)에 의해 제작하거나, 또는, 전도성 재료를 직물지에 접착함에 의해 제작하거나, 또는 전도성 물질을 직물지에 프린팅 (Printing) 함에 의해 제작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앞판에 사각 비신축부를 구비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사각 비신축부(250)는 앞판에 위치되며, 비신축 소재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되, 다수의 절개선을 구비한다. 도 13의 (a)는 절개선에 의해 이루어진 '田'자형으로 이루어진 사각 비신축부(250)를 구비하며, 도 13의 (b)는 도 13의 (a)에서 사각형내 하부 수직지지부(254)가 없는 경우의 사각 비신축부(250)를 구비한다.
도 13의 (a)의 앞판에는 사각 비신축부(250) 내에 사각형 절개선(251)을 구비하며, 사각형 절개선(251)의 내측의 중간부에 수평으로 이루어진 2개의 절개선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내 수평지지부(252)를 구비한다. 사각형내 수평지지부(252)의 중간 상부에서, 사각형 절개선(251)의 상면 중간까지, 연결된 사각형내 상부 수직지지부(253)를 구비한다. 또한, 사각형내 수평지지부(252)의 중간 하부에서, 사각형 절개선(251)의 하면 중간까지, 연결된 사각형내 하부 수직지지부(254)를 구비한다. 사각형내 수평지지부(252)와, 사각형내 상부 수직지지부(253) 및 사각형내 하부 수직지지부(254)에 의해, 그 이외의 영역이, 사분면으로 나뉘게 되어, 즉, 일사분면부(271), 이사분면부(272), 삼사분면부(273), 사사분면부(274)을 구비하게 되어, '田'자형을 이룬다.
도 13의 (a)의 뒷판에서 좌우측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 뒷판중앙 띠(231), 허리 옆선 탄성부재(229), 뒷판하부 중앙다트(228)는 상술된 것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뒷판복부띠(281)는 앞판복부띠(241)의 연장선상에 위치된 것으로, 뒷판의 복부, 즉 뒷판의 허리부에 위치된다.
도 13의 (b)는 사각 비신축부(250) 내에서, 사각형 절개선(251), 사각형내 수평지지부(252), 사각형내 상부 수직지지부(253), 일사분면부(271), 이사분면부(272), 좌우측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221), 뒷판중앙 띠(231), 허리 옆선 탄성부재(229), 뒷판하부 중앙다트(228), 뒷판복부띠(281)를 구비한 것은 도 13의 (a)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의 (b)의 앞판에는, 사각형 절개선(251)의 내측의 사각형내 수평지지부(252)의 하부에, 사각형내 하부지지부(275)를 구비한다.
전극은 사각 비신축부(250)의 어디에도 장착될 수 있으며, 심전도신호, 또는 심박신호를 검출할 경우에는, 전극이 이사분면부(272), 또는 일사분면부(271), 또는 사각형내 수평지지부(252)에 장착된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가슴부 터널을 구비한 경우의 일예이고,도 14b는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수직 지지부 및 가슴부 터널을 구비한 경우의 일예이고 도 14c는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수직 지지부 및 가슴부 터널을 구비한 경우의 다른 일예이다.
도 14a의 의복은, 도 2a의 의복의 앞판중앙 띠(211)와 뒷판중앙 띠(231)의 앞면에 터널을 형성한 예이다. 앞판에서 가슴밑의 좌우측(보다 상세히는 앞판중앙 띠(211)의 위)에 좌측 가슴부 터널(213) 및 우측 가슴부 터널(214)를 구비하며, 뒷판에서 좌우측 가슴부 터널(213, 214)가 연장되는 위치(보다 상세히는 뒷판중앙 띠(231)의 위)에 등판 중간 터널(23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앞판의 중앙에 좌측 가슴부 터널(213) 및 우측 가슴부 터널(214)으로 삽입할 수 있는 중앙 입구부(220)를 구비하며, 좌측 가슴부 터널(213)의 좌측면, 우측 가슴부 터널(213)의 우측면, 등판 중간 터널(23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측면 입구부(222)를 구비하며, 중앙 입구부(220) 또는 측면 입구부(222)를 통해 직물전극 키트(10)을 원하는 위치에 잘 위치시킬 수 있다. 중앙 입구부(220) 및 측면 입구부(222)는 E-밴드(엘라스틱 밴드)가 장착되어, 직물전극 키트(10)의 삽입하거나, 빼낼때 편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4b는 도 2b의 의복의 앞판중앙 띠(211)와 뒷판중앙 띠(231)의 앞면에 터널을 형성한 예이고, 도 14c는 도 2c의 (a)에 의복의 앞판중앙 띠(211)와 뒷판중앙 띠(231)의 앞면에 터널을 형성한 예이다.
도 14b 및 도 14c의 의복은, 앞판에서 가슴밑(보다 상세히는 앞판중앙 띠(211)의 위)에 가슴부 터널(210)를 구비하며, 뒷판에서 가슴부 터널(210)이 연장되는 위치에 등판 중간 터널(230)을 구비한다. 또한, 앞판의 중앙에 가슴부 터널(2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측면 입구부(222)를 구비하며, 등판 중간 터널(23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도 측면 입구부(222)를 구비하여, 중앙 입구부(220) 또는 측면 입구부(222)를 통해 직물전극 키트(10)을 원하는 위치에 잘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의 좌측 가슴부 터널(213), 우측 가슴부 터널(214), 가슴부 터널(210)은 심전도 전극과 같이, 가슴의 좌우 양측에 전극을 부착하기 위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복부 터널을 구비한 경우의 일예들이다.
도 15의 (a)의 의복은 도 2c의 (c)의 앞판복부띠(241)에 복부 터널(240)을 구비한 경우로, 앞판에서 복부에 터널이 형성되며, 복부 터널(24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측면 입구부(222)를 구비한다. 이를 통해, 산모에게서 태아의 심전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5의 (b)는 도 2c의 (c)의 앞판중앙 띠(211)에 가슴부 터널(210)을 구비하며, 앞판복부띠(241)에 복부 터널(240)을 구비한 경우로, 이는 산모의 심전도 및 태아의 심전도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2개의 가슴부 전극장착용 포켓을 구비한 경우의 일예로, 가슴부에 전극을 장착하고자 하는 위치에 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포켓에 직물키트를 장착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6에서는 좌우 양측에 포켓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부에 포켓입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은 심전도를 검출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앞판에 4개의 전극장착용 포켓을 구비한 경우의 일예로, 도 13의 (a)의 의복에 포켓을 형성한 것이며, 가슴부에 2개의 전극장착용 포켓 및 복부에 2개의 전극장착용 포켓을 구비한다. 도 17에서는 중앙부에 포켓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좌우 양측에 포켓입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직물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서 앞판에 3개의 전극장착용 포켓을 구비한 경우의 일예로, 도 13의 (b)의 의복에 포켓을 형성한 것이며, 가슴부에 2개의 전극장착용 포켓 및 복부에 1개의 전극장착용 포켓을 구비한다.
도 17 및 도 18은 산모 심전도와 태아의 심전도를 검출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태아의 위치 등에 따라 전극 위치를 조정하기 쉽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전극장착용 포켓은 설명의 편의상 사각형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을 이로써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O자형, 사각형, 마름모형, 삼각형, 二자형, 三자형, 王자형, V자형, X자형, 방사형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완장형 띠를 구비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구조이다.
도 19는 팔에 전극이 장착되는 경우를 고려한 의복구조로, 완장형 띠(310)와 상부 팔 수직띠(305), 하부 팔 수직띠(306)를 구비하며, 완장형 띠(310)와 상부 팔 수직띠(305), 하부 팔 수직띠(306)를 제외한 부분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완장형 띠(310)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전극이 장착되는 부위의 팔부분을 둘러싸는 띠형태를 이루며, 그 폭은 전극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길이는 팔둘레에 해당한다.
상부 팔 수직띠(305), 하부 팔 수직띠(306)는 전극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수직 띠로,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그 폭은 전극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길이는 팔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완장형 띠(310)에 장착된 전극으로 근전도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형태의 가슴중간부를 구비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구조의 예이다.
도 20의 (a)는 에스테리스크형 가슴중간부(320), 에스테리스크형 등중간부(330)를 구비한 의복의 예이다.
에스테리스크(asterisk,*)형 가슴중간부(320)는 가슴의 중간에 1자형의 다트 또는 턱(Tucks)을 구비하고, 상기, 1자형의 다트 또는 턱과 겹쳐지는 X자형의 다트 또는 턱스(Tucks)를 구비하여, 가슴과 가슴의 사이에 우묵하게 들어간 부분에서, 의복의 여유분이 겉돌지 않고, 인체에 피트되게 한다.
에스테리스크형 등중간부(330)는 등판에서 척추를 따라 들어간 부분을 고려하여 의복이 인체에 피트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등판의 중간부에 1자형의 다트 또는 턱(Tucks)을 구비하고, 상기, 1자형의 다트 또는 턱과 겹쳐지는 X자형의 다트 또는 턱스(Tucks)를 구비한다.
도 20의 (b)는 인자(人)형 가슴중간부(340), 인자형 등중간부(350)를 구비한 의복의 예이다.
인자(人)형 가슴중간부(340)는 가슴의 중앙부에 1자형의 다트 또는 턱(Tucks)을 구비하고, 1자형의 다트 또는 턱(Tucks)의 중앙의 하부에 시옷(ㅅ)자형의 다트 또는 턱스(Tucks)를 구비하되, 1자형의 다트 또는 턱(Tucks)와 시옷(ㅅ)자형의 다트 또는 턱스(Tucks)가 겹쳐지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에 의해, 가슴과 가슴의 사이에 우묵하게 들어간 부분에서, 의복의 여유분이 겉돌지 않고, 인체에 피트되게 한다.
인자형 등중간부(350)는 등판에서 척추를 따라 들어간 부분을 고려하여 의복이 인체에 피트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등판의 중간부에 1자형의 다트 또는 턱(Tucks)을 구비하고, 이 1자형의 다트 또는 턱(Tucks)의 중앙의 하부에 시옷(ㅅ)자형의 다트 또는 턱스(Tucks)를 구비하되, 1자형의 다트 또는 턱(Tucks)과 시옷(ㅅ)자형의 다트 또는 턱스(Tucks)가 겹쳐지도록 이루어진다.
도 20의 (c)는 스모킹 가슴중간부(360)을 구비한 의복의 예이다.
스모킹 가슴중간부(360)는 가슴과 가슴의 사이에 스모킹부를 구비하여, 가슴과 가슴의 사이에 우묵하게 들어간 부분에서, 의복의 여유분이 겉돌지 않고, 인체에 피트되게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동잡음 최소화 의복과 일반 의복을 사용하여 심박신호를 검출하여 동잡음 저감 정도를 비교한 결과의 일예이다. 한 사람이 두 의복을 각각 입고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때 심박신호를 검출하였다.
도 21의 (a)는 앞판중앙 띠(211), 뒷판중앙 띠(231), 제1수직지지부(205) 등을 전혀 구비하지 않은 일반 의복에 비접촉전극을 장착하여 심박신호를 검출한 예로, 도 21의 (a)의 상부는 일반 의복에 장착된 비접촉전극에서 검출된 심박신호이고, 도 21의 (a)의 하부는 이 심박신호가 제대로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심전도 검출방식에 의해 심전도 신호를 기준신호로서 검출하였다.
도 21의 (b)는 앞판중앙 띠(211), 뒷판중앙 띠(231), 제1수직지지부(205)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동잡음최소화 의복에 비접촉전극을 장착하여 심박신호를 검출한 예로, 도 21의 (b)의 상부는 본 발명의 동잡음최소화 의복에 장착된 비접촉전극에서 검출된 심박신호이고, 도 21의 (a)의 하부는 이 심박신호가 제대로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심전도 검출방식에 의해 심전도 신호를 기준신호로서 검출하였다.
도 21의 (b)의 상부 그래프, 즉 본 발명의 동잡음최소화 의복에 장착된 전극에서 검출된 심박신호는, 도 21의 (a)의 상부 그래프, 즉, 일반 의복에 장착된 전극에서 검출된 심박신호보다 잡음이 많이 저감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1의 (c)는 도 21의 (b)의 상부 결과와, 도 21의 (a)의 상부 결과를 이용하여 신호대잡음비(SNR)를 구한 결과의 예로, 신호대잡음비가 도 21의 (b)의 상부 결과, 즉 본 발명의 동잡음최소화 의복에 장착된 전극에서 검출된 심박신호가 더 큰 신호대잡음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이로써 본 발명의 동잡음최소화 의복을 구비하면, 동잡음을 많이 저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직물전극 키트 110 : 전극
113 : 비접촉전극 115 : 나선형 코일
130 : 신호검출 모듈 133 : 신호전처리부
137 : 송신부 139 : 전극구동부
140 : 쿠션부재 147 : 불연속 공간
170 : 상부 커버부재 175 : 코일장착 직물지
185 : 의복 전극장착부 190 : 봉재
194 : 상단면 195 : 하단면
196 : 좌측단면 197 : 우측단면
205 : 제1수직지지부 206 : 제2수직지지부
209 : 앞판 밑단 210 : 가슴부 터널
211 : 앞판중앙 띠 213 : 좌측 가슴부 터널
214 : 우측 가슴부 터널 215 : 좌측 앞판중앙 띠
216 : 우측 앞판중앙 띠 219 : 가슴중앙 탄성부재
220 : 중앙 입구부 221 :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
222 : 측면 입구부 227 : 앞판상부 중앙다트
228 : 뒷판하부 중앙다트 229 : 허리 옆선 탄성부재
230 : 등판 중간 터널 231 : 뒷판중앙 띠
240 : 복부 터널 241 : 앞판복부띠
250 : 사각 비신축부 251 : 사각형 절개선
252 : 사각형내 수평지지부 253 : 사각형내 상부 수직지지부
254 : 사각형내 하부 수직지지부 271 : 일사분면부
272 : 이사분면부 273 : 삼사분면부
274 : 사사분면부 275 : 사각형내 하부지지부
281 : 뒷판복부띠 305 : 상부 팔 수직띠
306 : 하부 팔 수직띠 310 : 완장형 띠
320 : 에스테리스크형 가슴중간부 330 : 에스테리스크형 등중간부
340 : 인자(人)형 가슴중간부 350 : 인자형 등중간부
360 : 스모킹 가슴중간부

Claims (42)

  1.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전극을 장착하기 위한 의복에 있어서,
    좌우측 겨드랑이 밑에 각각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앞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는, 앞판중앙 띠;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뒷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는, 뒷판중앙 띠;
    뒷판중앙 띠의 하단의 중앙에서 허리부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dart)인, 뒷판하부 중앙다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앞판중앙 띠는
    중앙에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가슴중앙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된, 좌측 앞판중앙 띠;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된, 우측 앞판중앙 띠;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3. 제2항에 있어서,
    앞판의 목둘레선의 중앙에서,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인, 앞판상부 중앙다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4. 제1항에 있어서,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앞판에서 목둘레선 중앙에서부터 목둘레선이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중간부에 장착되어, 앞판중앙 띠의 상부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1수직지지부;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앞판중앙 띠의 하부의 중앙과, 앞판중앙 띠의 일단부 사이의 중간에서부터, 의복 앞판의 밑단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2수직지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5. 제4항에 있어서,
    좌우측 옆선에서 허리부분에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허리 옆선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앞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는, 앞판복부띠;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6. 제5항에 있어서,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뒷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는, 뒷판복부 띠;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7. 제1항에 있어서,
    앞판중앙 띠 또는 뒷판중앙 띠에 전극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8. 제5항에 있어서,
    앞판중앙 띠, 또는 뒷판중앙 띠, 또는 앞판복부띠에 전극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9. 제6항에 있어서,
    앞판중앙 띠, 또는 뒷판중앙 띠, 또는 앞판복부띠, 또는 뒷판복부띠에 전극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10. 제6항에 있어서,
    앞판중앙 띠, 뒷판중앙 띠, 앞판복부띠, 뒷판복부띠 중 하나 이상이 상부에 직물이 덧대어져 이루어진, 터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에는 전극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12. 제7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접촉식 전극으로, 피부에 접촉되는 면인, 의복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13. 제7항, 제8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비접촉식 전극으로, 의복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코일장착 직물지 위에 형성된 나선형 코일을 구비하며, 발진회로로부터 발진신호를 수신하고 생체신호를 포함한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장착된 의복 전극장착부에서, 상기 의복 전극장착부의 외측면에 장착된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 위에 위치되되, 하우징부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신호검출 모듈;
    상기 신호검출 모듈의 외측을 둘러싸며, 테두리는 의복 전극장착부의 테두리와 함께 봉재되거나 부착되는 상부 커버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위에 위치되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 위에 위치되되, 하우징부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발진회로를 구비하여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전극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포함하는 발진신호로 부터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신호검출 모듈;
    상기 신호검출 모듈의 외측을 둘러싸며, 테두리는, 상기 전극이 장착된, 의복 전극장착부의 테두리와 함께 봉재되거나 부착되는 상부 커버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과, 상기 의복의 외측면의 사이에는, 쿠션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18. 제16항에 있어서,
    의복 전극장착부와 코일장착 직물지는 동일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19. 제17항에 있어서,
    코일장착 직물지와 상기 의복의 외측면이 봉재되거나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20. 의복에 장착되어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직물전극 키트에 있어서,
    표면전극을 구비하여, 피부에 접촉되어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전극;
    일면에 상기 전극이 장착되어 있는 하부 고정부재;
    상기 하부 고정부재의 다른 일면에 장착되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 위에 위치되되, 하우징부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신호검출 모듈;
    상기 신호검출 모듈의 외측을 둘러싸며, 테두리는 하부 고정부재의 테두리와 함께 봉재되거나, 부착되는, 상부 커버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21. 의복에 장착되어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직물전극 키트에 있어서,
    코일장착 직물지 위에 형성된 나선형 코일을 구비하며, 발진회로로부터 발진신호를 수신하고 생체신호를 포함한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전극;
    상기 전극의 위에 위치되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 위에 위치되되, 하우징부 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발진회로를 구비하여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전극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를 포함하는 발진신호로 부터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신호검출 모듈;
    상기 신호검출 모듈의 외측을 둘러싸며, 테두리는, 전극의 직물지의 테두리와 함께 봉재 또는 부착되거나, 전극 밑에 위치한 하부 고정부재와 함께 봉재 또는 부착되는, 상부 커버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22. 의복에 장착되어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직물전극 키트에 있어서,
    코일을 장착하기 위한 코일장착 직물지와, 상기 코일장착 직물지 위에 구비된 나선형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나선형 코일은 발진회로로부터 발진신호를 수신하고 생체신호를 포함한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전극;
    상기 전극의 밑에 위치되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의 밑에 위치되는, 하부 고정부재;
    상기 전극의 외측을 둘러싸며, 테두리는 상기 하부 고정부재의 테두리와 함께 봉재되는, 상부 커버부재;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23. 의복에 장착되어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직물전극 키트에 있어서,
    코일을 장착하기 위한 코일장착 직물지와, 상기 코일장착 직물지 위에 구비된 나선형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나선형 코일은 발진회로로부터 발진신호를 수신하고 생체신호를 포함한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전극;
    상기 전극의 밑에 위치되는,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의 밑에 위치되며, 테두리는 코일장착 직물지의 테두리와 함께 봉재되는, 하부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24. 제20항, 제22항,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고정부재는, 상기 전극을 장착하고 있는 의복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25. 제20항, 제22항,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고정부재는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26.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전극 키트는, 의복에서, 2개의 직물이 위 및 아래가 봉재되며, 좌우가 개구부인 전극장착용 터널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27.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전극 키트는, 의복에서, 2개의 직물이 위 및 아래가 봉재되며, 좌우 중 일측이 봉재되고, 좌우 중 다른 일측이 개구부인 전극장착용 포켓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28.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은,
    좌우측 겨드랑이 밑에 각각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앞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는, 앞판중앙 띠;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뒷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는, 뒷판중앙 띠;
    뒷판중앙 띠의 하단의 중앙에서 허리부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dart)인, 뒷판하부 중앙다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앞판중앙 띠는
    중앙에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가슴중앙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좌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된, 좌측 앞판중앙 띠;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우측의 겨드랑이 밑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된, 우측 앞판중앙 띠;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30. 제29항에 있어서,
    앞판의 목둘레선의 중앙에서,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인, 앞판상부 중앙다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31. 제28항에 있어서,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앞판에서 목둘레선 중앙에서부터 목둘레선이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중간부에 장착되어, 앞판중앙 띠의 상부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1수직지지부;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앞판중앙 띠의 하부의 중앙과, 앞판중앙 띠의 일단부 사이의 중간에서부터, 의복 앞판의 밑단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2수직지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32. 제31항에 있어서,
    좌우측 옆선에서 허리부분에 위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허리 옆선 탄성부재;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앞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일단에 장착되는, 앞판복부띠;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의복 뒷판에 위치되되, 일단이 좌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고, 다른 일단이 우측의 허리 옆선 탄성부재의 다른 일단에 장착되는, 뒷판복부 띠;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33.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복은,
    전극이 장착되며 비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진 전극장착부,
    비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의복에 수평하게 장착되는 띠,
    비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의복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수직지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십자형, 일자형, 'T'자형, 역'T'자형, 'ㅓ'자형, 'ㅏ'자형, 'O'자형, 사각형, 마름모형, 삼각형, 'V'자형, 역'V'자형, '二'자형, '三'자형, 王자형, '川'자형, 'X'자형, 방사형, 격자형, '田'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는 비신축부를 구비하거나,
    십자형, 일자형, 'T'자형, 역'T'자형, 'ㅓ'자형, 'ㅏ'자형, 'O'자형, 사각형, 마름모형, 삼각형, 'V'자형, 역'V'자형, '二'자형, '三'자형, 王자형, '川'자형, 'X'자형, 방사형, 격자형, '田'자형 중 하나 이상과 조합된 형태로 이루는 비신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34. 제20항에 있어서,
    하부 고정부재의 일면에, 전극은, 봉재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스냅단추를 포함하는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35. 제20항 또는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검출 모듈은 생체신호를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36. 제20항 또는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검출 모듈은 스냅단추 형태 또는 커넥터형태로 이루어진 유선 송신포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3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은,
    상기 전극장착용 터널,
    비신축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의복에 수직하게 장착되는 수직지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십자형, 일자형, 'T'자형, 역'T'자형, 'ㅓ'자형, 'ㅏ'자형, 'O'자형, 사각형, 마름모형, 삼각형, 'V'자형, 역'V'자형, '二'자형, '三'자형, 王자형, '川'자형, 'X'자형, 방사형, 격자형, '田'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는 비신축성부를 구비하거나,
    십자형, 일자형, 'T'자형, 역'T'자형, 'ㅓ'자형, 'ㅏ'자형, 'O'자형, 사각형, 마름모형, 삼각형, 'V'자형, 역'V'자형, '二'자형, '三'자형, 王자형, '川'자형, 'X'자형, 방사형, 격자형, '田'자형 중 하나 이상과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 비신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38.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극은 직물지 위의 나선형 코일을 형성하되,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자수(embroidery) 또는 직조(weaving) 또는 편직(knitting)에 의해 제작하거나, 전도성 재료를 직물지에 접착함에 의해 제작하거나, 전도성 물질을 직물지에 프린팅 (Printing) 함에 의해 제작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39. 제2항에 있어서,
    뒷판의 목둘레선의 중앙에서, 가슴중앙 탄성부재의 하단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인, 뒷판상부 중앙다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40. 제1항에 있어서,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뒷판에서 목둘레선 중앙에서부터 목둘레선이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중간부에 장착되어, 뒷판중앙 띠의 상부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3수직지지부;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뒷판중앙 띠의 하부의 중앙과, 뒷판중앙 띠의 일단부 사이의 중간에서부터, 의복 뒷판의 밑단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4수직지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41. 제28항에 있어서,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뒷판에서 목둘레선 중앙에서부터 목둘레선이 어깨선과 만나는 지점까지의 중간부에 장착되어, 뒷판중앙 띠의 상부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3수직지지부;
    비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띠형태를 이루며, 뒷판중앙 띠의 하부의 중앙과, 뒷판중앙 띠의 일단부 사이의 중간에서부터, 의복 뒷판의 밑단까지 수직으로 장착되는, 제4수직지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전극 키트.
  42. 제1항에 있어서,
    앞판중앙 띠의 상단의 중앙에서 앞판의 목둘레선의 중앙까지 수직으로 이루어진 다트(dart)인, 앞판상부 중앙다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KR1020130106380A 2013-09-05 2013-09-05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 KR101536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380A KR101536139B1 (ko) 2013-09-05 2013-09-05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
EP14183768.2A EP2845538B8 (en) 2013-09-05 2014-09-05 Clothing with textile electrode kit
US14/478,701 US10172554B2 (en) 2013-09-05 2014-09-05 Clothing with minimized motion artifact having textile electrode kit mount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380A KR101536139B1 (ko) 2013-09-05 2013-09-05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947A KR20150027947A (ko) 2015-03-13
KR101536139B1 true KR101536139B1 (ko) 2015-07-13

Family

ID=5156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380A KR101536139B1 (ko) 2013-09-05 2013-09-05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72554B2 (ko)
EP (1) EP2845538B8 (ko)
KR (1) KR1015361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0762B2 (en) 2014-10-30 2023-01-03 West Affum Holdings Dac Wearable cardioverter defibrtillator with improved ECG electrodes
US11745006B2 (en) 2014-10-30 2023-09-05 West Affum Holdings Dac Wearable cardiac defibrillation system with electrode assemblies having pillow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3751B2 (en) 2013-09-25 2019-10-08 Bardy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cardiac rhythm disorder diagnosis based on subcutaneous cardiac monitoring data
US9655538B2 (en) 2013-09-25 2017-05-23 Bardy Diagnostics, Inc. Self-authenticating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circuit
US10251576B2 (en) 2013-09-25 2019-04-09 Bardy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ECG data classification for use in facilitating diagnosis of cardiac rhythm disorders with the aid of a digital computer
US9717433B2 (en) 2013-09-25 2017-08-01 Bardy Diagnostics, Inc. Ambulatory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patch optimized for capturing low amplitude cardiac action potential propagation
US10888239B2 (en) 2013-09-25 2021-01-12 Bardy Diagnostics, Inc. Remote interfacing electrocardiography patch
US11213237B2 (en) 2013-09-25 2022-01-04 Bardy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cloud-based physiological data processing and delivery
US9717432B2 (en) 2013-09-25 2017-08-01 Bardy Diagnostics, Inc. Extended wear electrocardiography patch using interlaced wire electrodes
US10806360B2 (en) 2013-09-25 2020-10-20 Bardy Diagnostics, Inc. Extended wear ambulatory electrocardiography and physiological sensor monitor
US9615763B2 (en) 2013-09-25 2017-04-11 Bardy Diagnostics, Inc. Ambulatory electrocardiography monitor recorder optimized for capturing low amplitude cardiac action potential propagation
US10820801B2 (en) 2013-09-25 2020-11-03 Bardy Diagnostics, Inc. Electrocardiography monitor configured for self-optimizing ECG data compression
US9408551B2 (en) 2013-11-14 2016-08-09 Bardy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iagnosis of cardiac rhythm disorders with the aid of a digital computer
US10165946B2 (en) 2013-09-25 2019-01-01 Bardy Diagnostics, Inc.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 mobile device-triggered medical intervention
US9345414B1 (en) 2013-09-25 2016-05-24 Bardy Diagnostics, Inc.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gain over electrocardiographic data with the aid of a digital computer
US9433380B1 (en) 2013-09-25 2016-09-06 Bardy Diagnostics, Inc. Extended wear electrocardiography patch
US10433748B2 (en) 2013-09-25 2019-10-08 Bardy Diagnostics, Inc. Extended wear electrocardiography and physiological sensor monitor
US10799137B2 (en) 2013-09-25 2020-10-13 Bardy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 cardiac rhythm disorder diagnosis with the aid of a digital computer
US9775536B2 (en) 2013-09-25 2017-10-03 Bardy Diagnostics, Inc. Method for constructing a stress-pliant physiological electrode assembly
US9408545B2 (en) 2013-09-25 2016-08-09 Bardy Diagnostics, Inc. Method for efficiently encoding and compressing ECG data optimized for use in an ambulatory ECG monitor
US9700227B2 (en) 2013-09-25 2017-07-11 Bardy Diagnostics, Inc. Ambulatory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patch optimized for capturing low amplitude cardiac action potential propagation
US9504423B1 (en) 2015-10-05 2016-11-29 Bardy Diagnostics, Inc. Method for addressing medical conditions through a wearable health monitor with the aid of a digital computer
US10736531B2 (en) 2013-09-25 2020-08-11 Bardy Diagnostics, Inc. Subcutaneous insertable cardiac monitor optimized for long term, low amplitude electrocardiographic data collection
US9433367B2 (en) 2013-09-25 2016-09-06 Bardy Diagnostics, Inc. Remote interfacing of extended wear electrocardiography and physiological sensor monitor
US10667711B1 (en) 2013-09-25 2020-06-02 Bardy Diagnostics, Inc. Contact-activated extended wear electrocardiography and physiological sensor monitor recorder
US9655537B2 (en) 2013-09-25 2017-05-23 Bardy Diagnostics, Inc. Wearable electrocardiography and physiology monitoring ensemble
US10736529B2 (en) 2013-09-25 2020-08-11 Bardy Diagnostics, Inc. Subcutaneous insertable electrocardiography monitor
US10624551B2 (en) 2013-09-25 2020-04-21 Bardy Diagnostics, Inc. Insertable cardiac monitor for use in performing long term electrocardiographic monitoring
US20190167139A1 (en) 2017-12-05 2019-06-06 Gust H. Bardy Subcutaneous P-Wave Centric Insertable Cardiac Monitor For Long Term Electrocardiographic Monitoring
US9364155B2 (en) 2013-09-25 2016-06-14 Bardy Diagnostics, Inc. Self-contained personal air flow sensing monitor
US10463269B2 (en) 2013-09-25 2019-11-05 Bardy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learning-based atrial fibrillation detection
US9619660B1 (en) 2013-09-25 2017-04-11 Bardy Diagnostics, Inc. Computer-implemented system for secure physiological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US9737224B2 (en) 2013-09-25 2017-08-22 Bardy Diagnostics, Inc. Event alerting through actigraphy embedded within electrocardiographic data
US9545204B2 (en) 2013-09-25 2017-01-17 Bardy Diagnostics, Inc. Extended wear electrocardiography patch
US10052042B2 (en) 2014-09-23 2018-08-21 Rr Sequences Inc. Contactless electric cardiogram system
US10548495B2 (en) * 2015-04-01 2020-02-04 Xtrava Inc. Contactless or non-invasive physical properties measurement instrument using eddy current-reduced high Q resonant circuit probe
WO2016201118A1 (en) * 2015-06-09 2016-12-15 Bardy Diagnostics, Inc. Wearable electrocardiography and physiology monitoring ensemble
US10561342B2 (en) 2015-09-21 2020-02-18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tremors
KR102570068B1 (ko) * 2015-11-20 202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인식 방법, 동작 인식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
US10758184B2 (en) * 2016-06-30 2020-09-01 Washington State University Self-operable, non-invasive, non-contact bio-signal monitoring
WO2018019648A1 (en) * 2016-07-27 2018-02-01 Koninklijke Philips N.V.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a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of a subject
US10641734B2 (en) * 2016-08-28 2020-05-05 Xtrava Inc. Micro powered ultra-high resolution electromagnetic sensor with real time analog circuitry based artifact cancellation
US11490827B2 (en) * 2017-01-09 2022-11-08 Koninklijke Philips N.V. Inductive sensing system for sensing electromagnetic signals from a body
US11896393B1 (en) 2017-03-01 2024-02-13 CB Innovations, LLC Wearable diagnostic electrocardiogram garment
US20190008454A1 (en) * 2017-07-06 2019-01-10 Sabrina Fashion Industrial Corp. Smart clothing
KR101988017B1 (ko) * 2018-12-11 2019-06-11 국방과학연구소 흡기 호흡수 모니터링 장치
US11116451B2 (en) 2019-07-03 2021-09-14 Bardy Diagnostics, Inc. Subcutaneous P-wave centric insertable cardiac monitor with energy harvesting capabilities
US11696681B2 (en) 2019-07-03 2023-07-11 Bardy Diagnostics Inc. Configurable hardware platform for physiological monitoring of a living body
US11096579B2 (en) 2019-07-03 2021-08-24 Bardy Diagno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ECG data streaming in real-ti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449A (ko) * 2005-05-11 2006-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스마트 의복
KR20070060971A (ko) * 2005-12-08 2007-06-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의 측정을 위한 스마트 의복
KR20090009645A (ko) * 2007-07-20 2009-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신호 측정의복과 생체신호 처리시스템
JP2011098214A (ja) * 2004-03-24 2011-05-19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センサを有する生体情報計測用衣服、生体情報計測システムおよび生体情報計測装置、および装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01378A (fr) * 1968-12-03 1971-01-15 Belpaume Charles Article vestimentaire tricoté, notamment sous-vêtement du genre gilet, pull-over
CH655430B (ko) * 1983-04-27 1986-04-30
US20080218180A1 (en) * 2005-07-13 2008-09-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Apparatus, a System and a Method for Enabling an Impedance Measurement
KR100863064B1 (ko) 2007-08-03 2008-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측정용 의복 및 그 제조 방법
KR101009541B1 (ko) * 2008-11-26 2011-0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신호 측정모듈용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생체신호 측정모듈용 센서를 부착한 의류
US9259036B2 (en) * 2009-10-30 2016-02-16 Outlier Incorporated Pivot sleeve
UA108867C2 (uk) 2009-12-08 2015-06-25 Похідні азолу, спосіб їх одержання (варіанти), проміжні продукти, засіб для сільського господарства і садівництва
US20120144551A1 (en) * 2010-12-09 2012-06-14 Eric Guldalian Conductive Garment
JP2014514032A (ja) * 2011-03-11 2014-06-19 プロテウス デジタル ヘル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様々な物理的構成を備えた着用式個人身体関連装置
KR101302600B1 (ko) 2012-05-21 2013-08-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성 직물기반 유도용량성 생체신호 측정 센서
EP2994041B1 (en) * 2013-05-09 2019-10-23 Garmin Switzerland GmbH Swimming heart rate moni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8214A (ja) * 2004-03-24 2011-05-19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センサを有する生体情報計測用衣服、生体情報計測システムおよび生体情報計測装置、および装置制御方法
KR20060117449A (ko) * 2005-05-11 2006-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스마트 의복
KR20070060971A (ko) * 2005-12-08 2007-06-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신호의 측정을 위한 스마트 의복
KR20090009645A (ko) * 2007-07-20 2009-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신호 측정의복과 생체신호 처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0762B2 (en) 2014-10-30 2023-01-03 West Affum Holdings Dac Wearable cardioverter defibrtillator with improved ECG electrodes
US11745006B2 (en) 2014-10-30 2023-09-05 West Affum Holdings Dac Wearable cardiac defibrillation system with electrode assemblies having pillow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5538A1 (en) 2015-03-11
EP2845538B1 (en) 2019-11-13
US20150065842A1 (en) 2015-03-05
US10172554B2 (en) 2019-01-08
EP2845538B8 (en) 2019-12-25
KR20150027947A (ko) 2015-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139B1 (ko) 직물전극 키트 및 이를 장착한 동잡음 최소화 의복
KR101854230B1 (ko) 심장 박동 또는 전극 접촉이 양호한지를 탐지하는 물품, 방법 및 시스템
US10278643B2 (en) Belt for electro impedance measurement and method using such belt
US20210353228A1 (en) System for physiological monitoring
Catrysse et al. Towards the integration of textile sensors in a wireless monitoring suit
EP2716172B1 (en) Item of clothing
ES2372590T3 (es) Prenda de vestir para detectar un movimiento respiratorio.
ES2705168T3 (es) Prenda torácica para colocar transductores electromagnéticos (EM) y métodos para utilizar dicha prenda torácica
ES2715386T3 (es) Sensor para medir señales eléctricas fisiológicas
US10172553B2 (en) Conductive textile-based inductance-type electrode apparatus for bio-signal detection
JP2009518057A (ja) 生理機能モニタのためのバンド状衣服
EP3340860A1 (en) Physiological monitoring garments with enhanced sensor stabilization
EP3515300A1 (en) Wearable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one or more vital signs of a human body
WO2011131233A1 (en) Sensor apparatus
WO2022174568A1 (zh) 心电监测服
CN203524668U (zh) 胸带
US20230145601A1 (en) Wearable Articl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215017636U (zh) 心电监测服
KR101833119B1 (ko) 인체 동작 시의 형태 변형을 최소화하는 스마트 의복 및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CN210384043U (zh) 一种医疗携带包及动态血压检测仪
CN107361420A (zh) 一种儿童智能一体式内衣
WO2023013249A1 (ja) 生体情報計測用衣類
CN215270704U (zh) 智能服装
CN214907088U (zh) 一种心电监测系统固定装置及心电衣
JP2018016917A (ja) 姿勢検出衣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