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384B1 - 재봉기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384B1
KR101533384B1 KR1020130144415A KR20130144415A KR101533384B1 KR 101533384 B1 KR101533384 B1 KR 101533384B1 KR 1020130144415 A KR1020130144415 A KR 1020130144415A KR 20130144415 A KR20130144415 A KR 20130144415A KR 101533384 B1 KR101533384 B1 KR 101533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presser foot
shaft
needle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138A (ko
Inventor
오영곤
Original Assignee
오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곤 filed Critical 오영곤
Priority to KR1020130144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3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 D05B63/02Loop-taker thread take-up levers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퍼를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했을 때 와이퍼 및 와이퍼 회전축이 노루발의 중앙홈과 바늘 중심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와이퍼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절곡부는 중앙홈 상에 있을 때 가장 낮게 위치하고, 그 결과 절곡부가 가장 낮게 위치하는 중앙홈 상에서 바늘에 연결된 실을 걷어내게 되므로, 절곡부와 바늘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절곡부가 항상 노루발과 바늘 사이에 위치하므로, 와이퍼의 작동과정에서 절곡부가 바늘에 부딪혀 바늘 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봉제된 제품에 바늘자국 올이 생기지 않고 다음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재봉기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중앙홈(103)을 구비하는 노루발(102); 노루발(102)의 상단에 연결되어 노루발(102)을 지지하는 노루발 축(108); 노루발 축(108)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클램프(114); 클램프(114)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중앙홈(103)과 노루발 축(108)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위치하는 와이퍼 회전축(110); 와이퍼 회전축(110)에 결합되어 와이퍼 회전축(110)의 회전에 연동되어 노루발(102)의 상부를 회동하되, 왕복운동에 의해 실을 걷어내는 와이퍼(106); 및클램프(114)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와이퍼 회전축(110)과 연결되는 와이퍼 구동부(112)를 포함하는 재봉기 와이퍼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재봉기 와이퍼 장치{Wiper device for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기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퍼를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했을 때 와이퍼 및 와이퍼 회전축이 노루발의 중앙홈과 바늘 중심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와이퍼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절곡부는 중앙홈 상에 있을 때 가장 낮게 위치하고, 그 결과 절곡부가 가장 낮게 위치하는 중앙홈 상에서 바늘에 연결된 실을 걷어내게 되므로, 절곡부와 바늘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절곡부가 항상 노루발과 바늘 사이에 위치하므로, 와이퍼의 작동과정에서 절곡부가 바늘에 부딪혀 바늘 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봉제된 제품에 바늘자국 올이 생기지 않고 다음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재봉기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봉기(재봉틀, 미싱)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진화되고 있는 대표적인 정밀기계이다. 재봉기는 재봉 대상물의 소재에 있어서도 사용 제한의 벽을 허물고 있고, 그 적용에 있어서 더욱 다양화되고 전문화되고 있다.
재봉기는 구동수단, 용도, 회전속도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는데, 통상 상부를 이루고 전후 방향으로 뻗는 암(arm)과, 하부를 이루고 전후방향으로 뻗는 베드(bed), 암과 베드를 연결하는 컬럼(colulm)으로 이루어져, 외형이 대략 "ㄷ" 자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프레임에는 통상 바늘을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재봉 대상물(대표적으로 원단)을 누르는 노루발, 바늘과 노루발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북기구(베드내) 등이 설치된다.
와이퍼(wiper)는 노루발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특정 지점까지 봉제 작업이 완료된 후 제품에서 실을 걷어내기 위한 부품이다. 일련의 봉제 작업에서 다음 작업을 하기 전에 적시적소에 와이퍼가 실을 걷어내지 않으면 다음 작업을 진행하는 데 지장을 주게 된다.
도 1과 도 2는 일반적인 재봉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 중 와이퍼와 그 주변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재봉기는 노루발(2), 바늘(4), 와이퍼(6), 노루발 축(8), 와이퍼 회전축(10), 와이퍼 구동부(12), 클램프(14)를 구비한다.
와이퍼(6)는 와이퍼 회전축(10)에 연결되어 회동하면서 실을 걷어내며, 와이퍼 회전축(10)은 와이퍼 구동부(12)에 의해 회전한다. 이러한 와이퍼 회전축(10)과 와이퍼 구동부(12)는 클램프(14)에 의해 노루발 축(8)에 고정된다.
와이퍼(6)는 1회 구동으로 왕복운동을 수행하면서 실을 걷어낸다.
이 경우, 와이퍼 회전축(10)이 클램프(14)에 의해 노루발 축(8)에 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와이퍼 회전축(10)은 노루발 축(8)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퍼(6)를 수직으로 배치하였을 때 와이퍼(6)와 노루발 축(8)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되며, 그 결과 바늘(4)과 와이퍼(6)도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된다.
와이퍼(6)가 바늘(4)이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궤적을 그리면 와이퍼(6)의 회전공간이 작고 와이퍼(6)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야 바늘(4)이 있는 위치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와이퍼(6)가 바늘(4) 끝에 부딪히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봉제는 반복 작업이므로 와이퍼(6)가 바늘(4)에 지속적으로 부딪히면 바늘(4) 끝이 손상 또는 파손되거나 휘게 되어, 바늘(4)의 수명이 짧아지고 교체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봉제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46609호(1999.6.15.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와이퍼의 작동과정에서 와이퍼와 바늘의 충돌에 의해 바늘이 손상 또는 파손되거나 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바늘의 수명을 연장하고 교체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봉제 제품에서 바늘 자국 올이 생기지 않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재봉기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 와이퍼 장치는 중앙홈(103)을 구비하는 노루발(102); 노루발(102)의 상단에 연결되어 노루발(102)을 지지하는 노루발 축(108); 노루발 축(108)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클램프(114); 클램프(114)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중앙홈(103)과 노루발 축(108)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위치하는 와이퍼 회전축(110); 와이퍼 회전축(110)에 결합되어 와이퍼 회전축(110)의 회전에 연동되어 노루발(102)의 상부를 회동하되, 왕복운동에 의해 실을 걷어내는 와이퍼(106); 및 클램프(114)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와이퍼 회전축(110)과 연결되는 와이퍼 구동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와이퍼 회전축(110)과 와이퍼 구동부(112)는 연결축(116)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축(116)은 클램프(114) 내부에 위치하여 노루발 축(108)을 관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퍼를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했을 때 와이퍼 및 와이퍼 회전축이 노루발의 중앙홈과 바늘 중심 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와이퍼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절곡부는 중앙홈 상에 있을 때 가장 낮게 위치하며, 그 결과 절곡부가 가장 낮게 위치하는 중앙홈 상에서 바늘에 연결된 실을 걷어내게 되므로, 절곡부와 바늘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절곡부가 항상 노루발과 바늘 사이에 위치하므로, 와이퍼의 작동과정에서 절곡부가 바늘 끝을 파손시키는 것을 해결함으로써 바늘의 수명을 연장하고 제품에서 바늘자국 올 생김이 해결되어 불량제품의 생산을 방지하고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일반적인 재봉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 중 와이퍼와 그 주변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 와이퍼 장치의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5 중 노루발과 와이퍼 및 그 주변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 중 와이퍼와 클램프를 도시한 상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 와이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5 중 노루발과 와이퍼 및 그 주변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 중 와이퍼와 클램프를 도시한 상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기 와이퍼 장치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노루발(102), 중앙홈(103), 바늘(104), 와이퍼(106), 노루발 축(108), 와이퍼 회전축(110), 와이퍼 구동부(112), 클램프(114), 및 연결축(116)을 포함한다.
노루발(102)은 원단 상에 위치하여 재봉 대상물을 누른다. 노루발(102)에는 중앙홈(103)이 구비되어 바늘(104)이 통과하면서 재봉 대상물을 봉제한다. 노루발(102)은 노루발 축(108)에 결합되는 상부(A)와 원단(천)과 접촉하는 하부(B)를 구비한다.
와이퍼(106)는 와이퍼 회전축(110)에 결합되어 회동한다.
구체적으로 와이퍼(106)의 일측 단부(도 8에서 상단)는 와이퍼 회전축(110)에 결합되고, 와이퍼(106)의 타측 단부(도 8에서 하단)에는 실을 걷어내기 위한 절곡부(107)가 구비된다.
절곡부(107)는 바늘(104)과 노루발(102) 사이의 공간에서 좌우로 회동하면서 실을 걷어낸다.
와이퍼(106)는 와이퍼 회전축(110)의 회전에 연동되어 노루발(102)의 상부를 회동하되, 왕복운동에 의해 실을 걷어낸다. 와이퍼(106)는 와이퍼 구동부(112)에 의해 구동되며, 와이퍼 구동부(112)의 1회 구동에 의해 1회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와이퍼(106)를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했을 때 와이퍼(106)는 노루발(102)의 중앙홈(103) 상에 위치한다. 즉, 와이퍼(106)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절곡부(107)는 중앙홈(103) 상에 있을 때 가장 낮게 위치한다. 절곡부(107)가 가장 낮게 위치하는 중앙홈(103) 상에서 바늘(104)에 연결된 실을 걷어내게 되므로, 절곡부(107)와 바늘(104)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즉, 절곡부(107)는 항상 노루발(102)과 바늘(104) 사이에 위치하므로, 와이퍼(106)의 작동과정에서 절곡부(107)가 바늘(104)에 부딪히는 상황이 방지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와이퍼(106)의 작동 궤적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노루발 축(108)은 노루발(102) 상단에 연결되어 노루발(102)을 지지한다.
와이퍼 회전축(110)은 클램프(114)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와이퍼(106)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와이퍼 회전축(110)으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은 와이퍼 구동부(112)에 의해 제공된다.
와이퍼 회전축(110)은 중앙홈(103)과 노루발 축(108)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위치한다. 즉, 와이퍼 회전축(110)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노루발 축(108)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퍼(106)가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면 와이퍼 회전축(110)과 와이퍼(106)와 중앙홈(103) 및 노루발 축(108)이 모두 하나의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와이퍼 구동부(112)는 클램프(114)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와이퍼 회전축(110)과 연결된다. 와이퍼 구동부(112)의 1회 작동으로 와이퍼(106)는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와이퍼 구동부(112)는 모터 등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재봉기의 작동방식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클램프(114)는 노루발 축(108)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클램프(114)의 일측에는 와이퍼 회전축(110)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클램프(114)의 타측에는 와이퍼 구동부(112)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연결축(116)은 와이퍼 회전축(110)과 와이퍼 구동부(112)를 연결하여, 와이퍼 구동부(112)의 회전동력을 와이퍼 회전축(110)을 거쳐 와이퍼(106)로 전달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축(116)은 클램프(114) 내부에 위치하여 노루발 축(108)을 관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와이퍼(106)의 회전시 절곡부(107)가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때 바늘(104)의 하부를 통과하게 되므로, 절곡부(107)가 바늘(104)의 끝을 타격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 노루발 103 - 중앙홈
104 - 바늘 106 - 와이퍼
108 - 노루발 축 110 - 와이퍼 회전축
112 - 와이퍼 구동부 114 - 클램프
116 - 연결축

Claims (2)

  1. 중앙홈(103)을 구비하는 노루발(102);
    노루발(102)의 상단에 연결되어 노루발(102)을 지지하는 노루발 축(108);
    노루발 축(108)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클램프(114);
    클램프(114)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중앙홈(103)과 노루발 축(108)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위치하는 와이퍼 회전축(110);
    와이퍼 회전축(110)에 결합되어 와이퍼 회전축(110)의 회전에 연동되어 노루발(102)의 상부를 회동하되, 왕복운동에 의해 실을 걷어내는 와이퍼(106); 및
    클램프(114)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와이퍼 회전축(110)과 연결되는 와이퍼 구동부(112)
    를 포함하는 재봉기 와이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와이퍼 회전축(110)과 와이퍼 구동부(112)는 연결축(116)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축(116)은 클램프(114) 내부에 위치하여 노루발 축(108)을 관통하는 재봉기 와이퍼 장치.

KR1020130144415A 2013-11-26 2013-11-26 재봉기 와이퍼 장치 KR101533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415A KR101533384B1 (ko) 2013-11-26 2013-11-26 재봉기 와이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415A KR101533384B1 (ko) 2013-11-26 2013-11-26 재봉기 와이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138A KR20150061138A (ko) 2015-06-04
KR101533384B1 true KR101533384B1 (ko) 2015-07-03

Family

ID=5349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415A KR101533384B1 (ko) 2013-11-26 2013-11-26 재봉기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361Y1 (ko) 2016-04-27 2016-09-22 박인철 재봉기 와이퍼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586U (ja) * 1992-10-21 1994-05-17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糸払い装置
JPH0984986A (ja) * 1995-09-20 1997-03-31 Kanto Sheet Seisakusho:Kk ミシン縫製の糸ダレ防止装置
KR20080084747A (ko) * 2007-03-15 2008-09-19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식 재봉틀의 실 제거 장치
KR101031088B1 (ko) * 2008-11-22 2011-04-26 오영곤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586U (ja) * 1992-10-21 1994-05-17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糸払い装置
JPH0984986A (ja) * 1995-09-20 1997-03-31 Kanto Sheet Seisakusho:Kk ミシン縫製の糸ダレ防止装置
KR20080084747A (ko) * 2007-03-15 2008-09-19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식 재봉틀의 실 제거 장치
KR101031088B1 (ko) * 2008-11-22 2011-04-26 오영곤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361Y1 (ko) 2016-04-27 2016-09-22 박인철 재봉기 와이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138A (ko)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0946201Y (zh) 缝纫机的对被缝附件的切断装置
US2239603A (en) Driving and stopping mechanism for shoe sewing machines
JP2017029337A (ja) ミシン
CN1093898C (zh) 有多根针的缝纫机及用其执行不同缝纫作业模式的方法
KR101533384B1 (ko) 재봉기 와이퍼 장치
CN110241523A (zh) 开孔装置
JP2009195464A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CN101187115A (zh) 刺绣缝纫机
CN109112738B (zh) 一种自动换针装置
CN101067263B (zh) 数控缝纫机转刀装置
CN110629418B (zh) 缝纫机
CN101338495B (zh) 缝纫机的半旋转釜装置
CN1164590A (zh) 带有纱线切断装置的缝纫机
CN110699868A (zh) 一种转筒式缝纫设备
JP3866970B2 (ja) 布端裁断装置付本縫ミシン
JP2010035990A (ja) 刺繍ミシンの布押え体
CN1861885A (zh) 钉扣缝纫机的布保持器具
KR101796099B1 (ko) 기모가 가능한 환편기
CN203866532U (zh) 地毯绣花机动态调线机构
CN209602767U (zh) 魔术贴自动切缝一体机
US2035206A (en) Sewing and embroidering machine with top feed and oscillating needle
JP2010063571A (ja) ミシン
CN210856539U (zh) 一种针织大圆机除尘装置
CN101525822A (zh) 缝纫机的面线保持装置
JP4095130B2 (ja) 自動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