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292B1 -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 Google Patents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292B1
KR101531292B1 KR1020140018282A KR20140018282A KR101531292B1 KR 101531292 B1 KR101531292 B1 KR 101531292B1 KR 1020140018282 A KR1020140018282 A KR 1020140018282A KR 20140018282 A KR20140018282 A KR 20140018282A KR 101531292 B1 KR101531292 B1 KR 101531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eat exchanger
compressor
generator
suppli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인세환
윤호병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8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2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F17C5/04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filling with helium or hydro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증발가스 재액화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발가스 재액화장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서 배출된 증발가스(BOIL OFF GASS)가 1차로 통과하는 제 1 열교환기; 제 1 열교환기를 1차 통과한 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제 1 컴프레서; 및 제 1 열교환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제 1 컴프레서를 통과한 압축된 증발가스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2차로 제 1 열교환기를 통과한다.

Description

증발가스 재액화장치{BOIL OFF GAS RELIQUEFA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증발가스 재액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액화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며, 에탄, 프로판, 노멀부탄, 이소부탄, 펜탄 등과 같은 경질 파라핀계 탄화수소 및 질소를 함유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되는 액화천연가스는 대기압에서 대략 -163℃ 근처의 극저온 상태를 갖는다.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열이 지속적으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로 전달된다. 예컨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를 탑재한 엘엔지(LNG) 운반선이 운항하는 동안 태양열이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는 지속적으로 기화하여 증발가스(BOIL OFF GAS, BOG)가 발생한다. 한편, 증발가스의 발생으로 인하여 저장탱크의 압력이 설정된 안전압력 이상이 되면, 증발가스는 안전밸브를 통하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외부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배출된 증발가스는 선박의 연료로 사용되거나 재액화되어 다시 저장탱크로 회수된다.
이때, 증발가스를 재액화하기 위해 재액화장치가 사용된다. 그런데 재액화장치는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재액화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너지 효율이 좋은 증발가스 재액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서 배출된 증발가스(BOIL OFF GASS)가 1차로 통과하는 제 1 열교환기;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1차 통과한 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제 1 컴프레서; 및 상기 제 1 열교환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컴프레서를 통과한 압축된 증발가스는 상기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2차로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증발가스 재액화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2차 통과한 증발가스는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1차 통과한 증발가스 및 상기 냉매 공급 장치에서 공급된 냉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냉각되어 액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컴프레서를 통과한 증발가스의 일부는 엔진 및 제너레이터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2차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컴프레서를 통과한 증발가스는 제 1 용기에 모인 후 상기 엔진, 상기 제너레이터 및 상기 제 1 열교환기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 재액화장치는 상기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서 상기 제 1 용기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는 제 1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 재액화장치는 상기 제 1 컴프레서를 통과하여 상기 엔진으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제 2 컴프레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컴프레서를 통과한 증발가스의 일부는 상기 제너레이터로 공급 가능하다.
상기 제 1 컴프레서를 통과하여 상기 제너레이터로 직접 공급되는 증발가스와 상기 제 2 컴프레서를 통과하여 상기 제너레이터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는 제 2 용기에 모인 후 상기 제너레이터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컴프레서를 통과한 증발가스는 제 3 용기에 모인 후 상기 엔진 및 상기 제너레이터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증발가스 재액화장치는 상기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서 상기 제 3 용기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는 제 2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 가스를 액화하는 과정에서 냉매뿐만 아니라 제 1 열교환기를 1차 통과한 저온의 증발가스를 사용하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가스 재액화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발가스 재액화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가스 재액화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가스 재액화장치(100)는 제 1 열교환기(110), 제 1 컴프레서(121, 122), 냉매 공급 장치(130)를 포함한다.
제 1 열교환기(110)는 후술하는 냉매 공급 장치(130)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액화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에서 배출된 증발가스는 1차로 제 1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후 후술하는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한다. 그리고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한 증발가스는 2차로 제 1 열교환기(110)를 통과하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로 회수된다.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한 고온의 증발가스는 제 1 열교환기(110)를 2차로 통과하면서 1차로 제 1 열교환기(110)를 통과한 저온의 증발가스 및 냉매 공급 장치에서 공급된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액화된다.
이와 같은 제 1 열교환기(110)를 포함하는 증발가스 재액화장치(100)는 증발 가스를 액화하는 과정에서 냉매 및 제 1 열교환기(110)를 1차 통과한 저온의 증발가스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키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좋다.
제 1 컴프레서(121, 122)는 제 1 열교환기(110)를 1차 통과한 증발가스를 압축시킨다.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한 증발가스는 압축되고 그 온도는 상승한다.
제 1 컴프레서(121, 122)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 1 컴프레서(121, 122)는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110)를 1차 통과한 증발가스는 한 쌍의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해 효과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다만 압축 효율을 고려하여 제 1 컴프레서(121, 122)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해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증발가스는 냉각기(51, 52)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한 증발가스는 제 1 열교환기(110)를 2차 통과하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로 회수된다.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한 고온의 증발가스는 제 1 열교환기(110)를 2차 통과하면서 제 1 열교환기(110)를 1차 통과한 저온의 증발가스와 냉매 공급 장치(130)에서 공급되는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액화된다.
냉매 공급 장치(130)는 제 1 열교환기(110)로 냉매를 공급한다. 냉매 공급 장치(130)에 의해 공급되는 냉매는 질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한 증발가스의 일부는 엔진(20) 및 제너레이터(30)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제 1 열교환기(110)를 2차 통과한다.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한 증발가스는 제 1 용기(140)에 모인 후 엔진(20), 제너레이터(30) 및 제 1 열교환기(110)로 분기된다.
이와 같이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한 증발가스 중 일부를 엔진(20) 및 제너레이터(30)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엔진(20) 및 제너레이터(30)를 가동하기 위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한 증발가스 중 엔진(20) 및 제너레이터(30)의 연료로 사용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만을 제 1 열교환기(110)를 통해 재액화시키기 때문에 증발가스를 재액화하기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제 1 용기(140)와 제너레이터(3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과 제 1 용기(140)와 엔진(20)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에는 각각 유량제어밸브(61, 62)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하여 엔진(20) 및 제너레이터(3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는 엔진(20) 및 제너레이터(30)의 연료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가스 재액화장치(100)는 제 1 펌프(150)를 더 포함한다. 제 1 펌프(150)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에서 제 1 용기(140)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한다. 제 1 용기(140)에서 엔진(20) 및 제너레이터(3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에 함유된 메탄(CH4)의 양이 부족한 경우, 제 1 펌프(150)가 제 1 용기(140)로 액화천연가스를 펌핑하면 제 1 용기(140) 내의 메탄의 양을 증가한다. 이 경우, 메탄을 충분히 함유한 증발가스가 엔진(20) 및 제너레이터(30)로 공급될 수 있다.
제 1 펌프(150)와 제 1 용기(14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 상에는 가열기(53) 및 유량제어밸브(63)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가스 재액화장치(100)는 제 2 컴프레서(161, 162, 163)를 더 포함한다. 제 2 컴프레서(161, 162, 163)는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하여 엔진(20)으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압축한다. 제 2 컴프레서(161, 162, 163)를 통과한 증발가스는 압축되고 그 온도가 상승한다.
세 개의 제 2 컴프레서(161, 162, 163)가 증발가스 재액화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고, 세 개의 제 2 컴프레서(161, 162, 163)는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한 증발가스는 세 개의 제 2 컴프레서(161, 162, 163)를 통해 효과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다만 세 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축 효율을 고려하여 제 2 컴프레서(161, 162, 163)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제 2 컴프레서(161, 162, 163)를 통해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증발가스는 냉각기(54, 55, 56)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제 2 컴프레서(161, 162, 163)를 통과한 증발가스의 일부는 제너레이터(3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컴프레서(161, 162, 163)를 통과한 증발가스는 엔진(20)으로 공급되기 전에 일부가 분기되어 제너레이터(30)로 공급된다. 제 2 컴프레서(161, 162, 163)에서 제너레이터(30)로 분기된 분기라인 상에는 유량제어밸브(64)가 설치된다.
제 1 컴프레서(121, 122)를 통과하여 제너레이터(30)로 직접 공급되는 증발가스와 제 2 컴프레서(161, 162, 163)를 통과하여 제너레이터(3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는 제 2 용기(170)에 모인 후 제너레이터(30)로 공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발가스 재액화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가스 재액화장치(200)는 제 1 열교환기(210), 제 1 컴프레서(221, 222), 냉매 공급 장치(230), 제 1 용기(240), 제 1 펌프(250), 제 2 컴프레서(261, 262, 263), 제 2 용기(270), 냉각기(51. 52, 54, 55, 56), 가열기(53, 57), 제 3 용기(280) 및 제 2 펌프(2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열교환기(210), 제 1 컴프레서(221, 222), 냉매 공급 장치(230), 제 1 용기(240), 제 1 펌프(250), 제 2 컴프레서(261, 262, 263) 및 제 2 용기(27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제 1 열교환기(110), 제 1 컴프레서(121, 122), 냉매 공급 장치(130), 제 1 용기(140), 제 1 펌프(150), 제 2 컴프레서(161, 162, 163) 및 제 2 용기(170)와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컴프레서(261, 262, 263)를 통과한 증발가스는 제 3 용기(280)에 모인 후 엔진(20) 및 제너레이터(30)로 분기된다. 제 3 용기(280)에서 엔진(20) 및 제너레이터(30)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에 함유된 메탄(CH4)의 양이 부족한 경우, 제 2 펌프(290)가 제 3 용기(280)로 액화천연가스를 펌핑하면 제 3 용기(280) 내의 메탄의 양을 증가한다. 이 경우, 메탄을 충분히 함유한 증발가스가 엔진(20) 및 제너레이터(30)로 공급될 수 있다.
제 2 펌프(290)와 제 3 용기(28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 상에는 가열기(57) 및 유량제어밸브(65)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20 : 엔진
30 : 제너레이터 100 :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110 : 제 1 열교환기 121, 122 : 제 1 컴프레서
130 : 냉매 공급 장치 140 : 제 1 용기
150 : 제 1 펌프 161, 162, 163 : 제 2 컴프레서
170 : 제 2 용기

Claims (10)

  1.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서 배출된 증발가스(BOIL OFF GAS)가 1차로 통과하는 제 1 열교환기;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1차 통과한 증발가스를 압축시키는 제 1 컴프레서; 및
    상기 제 1 열교환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컴프레서를 통과한 압축된 증발가스의 일부는 엔진 및 제너레이터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1열교환기를 2차 통과하고,
    상기 제 1 컴프레서를 통과한 증발가스는 제 1 용기에 모인 후 상기 엔진, 상기 제너레이터 및 상기 제 1 열교환기로 분기되는,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2차 통과한 증발가스는 상기 제 1 열교환기를 1차 통과한 증발가스 및 상기 냉매 공급 장치에서 공급된 냉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냉각되어 액화되는,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서 상기 제 1 용기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는 제 1 펌프를 더 포함하는,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프레서를 통과하여 상기 엔진으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제 2 컴프레서를 더 포함하는,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컴프레서를 통과한 증발가스의 일부는 상기 제너레이터로 공급 가능한,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프레서를 통과하여 상기 제너레이터로 직접 공급되는 증발가스와 상기 제 2 컴프레서를 통과하여 상기 제너레이터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는 제 2 용기에 모인 후 상기 제너레이터로 공급되는,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컴프레서를 통과한 증발가스는 제 3 용기에 모인 후 상기 엔진 및 상기 제너레이터로 분기되는,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에서 상기 제 3 용기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는 제 2 펌프를 더 포함하는,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KR1020140018282A 2014-02-18 2014-02-18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Active KR101531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282A KR101531292B1 (ko) 2014-02-18 2014-02-18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282A KR101531292B1 (ko) 2014-02-18 2014-02-18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292B1 true KR101531292B1 (ko) 2015-06-24

Family

ID=5351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282A Active KR101531292B1 (ko) 2014-02-18 2014-02-18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2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5801A (ko) * 2010-11-01 2012-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1242949B1 (ko) * 2012-05-24 2013-03-12 한국가스공사 이산화탄소 재액화 공정
KR101309963B1 (ko) * 2013-06-27 2013-09-17 한국가스공사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KR101333932B1 (ko) * 2013-04-24 2013-11-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5801A (ko) * 2010-11-01 2012-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1242949B1 (ko) * 2012-05-24 2013-03-12 한국가스공사 이산화탄소 재액화 공정
KR101333932B1 (ko) * 2013-04-24 2013-11-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 처리 시스템
KR101309963B1 (ko) * 2013-06-27 2013-09-17 한국가스공사 증발 가스의 재액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386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078645B1 (ko) Lng/lpg 증발가스의 재액화 장치 및 재액화 방법
JP6986159B2 (ja) 液化ガス再気化システムの蒸発ガス処理装置及び蒸発ガス処理方法
KR101670872B1 (ko) 선박용 엔진의 연료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153624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83158B1 (ko) 연료 공급 시스템
JP2019509937A (ja) 蒸発ガスの再液化装置及び蒸発ガスの再液化方法
KR101711955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60082033A (ko)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661929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90080178A (ko) 액화가스 연료 선박의 연료 공급시스템
KR20160099211A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40146802A (ko)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763677B1 (ko) 재액화 시스템
KR101788753B1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31292B1 (ko)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KR20120010334A (ko) 냉열발전을 이용한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및 장치
KR20160014403A (ko) 선박용 엔진의 연료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11307A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1644389B1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20160073537A (ko)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KR102046600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20160137895A (ko)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556202B1 (ko)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KR101602209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의 보그 압축용 냉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