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288B1 -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Google Patents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7288B1 KR101517288B1 KR1020130093206A KR20130093206A KR101517288B1 KR 101517288 B1 KR101517288 B1 KR 101517288B1 KR 1020130093206 A KR1020130093206 A KR 1020130093206A KR 20130093206 A KR20130093206 A KR 20130093206A KR 101517288 B1 KR101517288 B1 KR 1015172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watering
- sieve
- food waste
- food
- worm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41001417527 Pempherid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033 desa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3 diox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0000000028 growth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4 osmo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도록 거름망을 구비한 탈수부와,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커터를 구비한 분쇄부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10)는 케이스로서의 탈수통(11)과, 그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이 다공망 구조로 되고 바닥에 인접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컷팅하는 커터(28)가 배치된 거름망(12)과, 탈수과정에서 거름망에 형성된 구멍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여져 탈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름망 내측면을 쓸어주도록 상기 거름망 내측에 접하여 배치되는 스위퍼(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음식물 탈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저수조를 구비하여 반복적으로 음식물 탈수와 탈염을 수행하여 효율적인 탈염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dewatering unit having a sieve network for dewatering food waste, and a crushing unit having a cutter for crushing dewatered food waste, wherein the dewatering unit (10) (12) having a dewatering cylinder (11) as a case and a cutter (28) arranged on the inner side in the form of a multi-mesh network structur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to cut food waste; And a sweeper (13)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sieve to sweep the inner side of the sieve mesh to solv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dewatering performance due to food wastes being caught in the formed holes. Thus, And it has a nozzle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and a water tank to repeatedly perform food dehyd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efficient desalination by performing a sal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전처리로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염분 농도를 감소시키고 일정 크기 이상으로 큰 쓰레기를 잘게 부수고 음식물 쓰레기에서 탈수시키는 개선된 탈수구조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reducing garbage concentration in a food garbage by pretreating food garbage as a pretreatment, crushing large garbage over a certain size and dehydrating it from food garbage, ≪ / RTI >
일반적으로 음식물 처리 방법은 매립과 소각에 의하고 있으나, 매립은 매립지의 고갈과 환경문제가 발생되고, 소각은 최종 처리하게 되는 량은 감소되지만 소각시 발생되는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문제와 함께 고비용의 문제가 있다. Generally, food processing methods are based on landfill and incineration, but landfill deple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are generated, and the amount of final disposal is reduced, but there ar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dioxins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and high cost problems have.
음식물 쓰레기와 관련하여 최선의 방법은 배출량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최근 정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과 관련하여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무게에 따라 수수료를 차등 부과하도록 관련법을 개정하였다.The best way to deal with food waste is to reduce emissions as much as possible. To this end, the government recently amended the relevant laws to charge fe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weight of food waste discharged in relation to the discharge of food waste.
음식물 쓰레기의 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탈수 및 건조하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음식물 쓰레기는 유기물로 퇴비로 재활용 가능한 것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탈염 과정을 필요로 하고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food waste, it is preferable to dehydrate and dry the food waste. In particular, food waste can be recycled as an organic material, but it requires a desalination process.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염분은 매립이나 소각시에 환경문제를 유발하고 염분 농도가 1% 이상이 되면 삼투압 현상으로 인한 식물의 성장 장애와 Na가 토양중의 Ca, Mg와 치환되어 토양의 입단 구조가 파괴되면서 단립구조로 되어 통기성 및 배수성의 불량으로 인하여 산소공급이 어렵게 되면서 농작물의 성장에 장애를 주기 때문에 염분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는 그대로 퇴비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법으로 퇴비로 사용가능한 음식물 쓰레기의 염분 함유량을 1% 이하로 규제하고 있다. Salinity in food waste causes environmental problems when landfilling or incineration, and when the salinity is above 1%, the growth disorder of the plant due to the osmotic phenomenon and the replacement of Na with Ca and Mg in the soil, It is impossible to compost the food waste without removing the salt because the oxygen supply becomes difficult due to the badness of the ventilation and drainage due to the disintegration of the food waste. The content of salt in the product is regulated to 1% or less.
이에 따라 각 가정이나 업소에서는 발생되는 음식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배출량을 최대한 감소시키도록 여러가지의 음식물 처리기가 시판되고 있으나 만족스럽지 못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household food and beverage processing machin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but are not satisfactory in order to efficiently process the food and to reduce the amount of the generated food.
이러한 종래 음식물 처리기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2006.05.12자 공개된 한국 특허공개 제10-2006-004228호의 "음식물 쓰레기 염분 제거시스템"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 및 염분을 제거하여 음식물 쓰레기 탈수케익을 형성하는 1차 탈수과정과, 이 음식물 쓰레기 탈수케익을 다시 염분제거장치에 투입하고 공정수와 1:1비율로 희석하여 수분 및 염분을 제거하는 2차 탈수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탈염 기술은 대규모의 시스템을 필요로 하므로 각 가정이나 업소에서 소량으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에 부적합하고, 근원적으로 각 가정에서 탈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었다.As a prior art for such conventional food processo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4228, published on May 05, 2006, entitled " Food Waste Salinity Removal System ", removes water and salt contained in food waste, And a second dehydration process for removing water and salt by diluting the dehydrated cake with the process water at a ratio of 1: 1.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desalination technique requires a large-scale system, it is inadequate to treat food waste generated in small quantities in each home or business, and a method for effectively treating desalination in each household has been required.
또한, 2012.12.03자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140376호의 "소용량 음식물 건조처리기"에는 음식쓰레기가 절단부로 내려와 2중으로 형성된 커터에 의해 절단되며, 하단커터와 일정 간격으로 타공이 되어 있는 원형 고정판과 교차되며 잔류물이 타공의 구멍보다 적은 것은 회전축에 고정된 커터의 회전운동에 의해 아래로 낙하되며, 하부의 연동되어 회전하는 임페라에 의해 압축 탈수되고, 압축 탈수된 잔류물은 건조 통 내부 상단에 있는 개폐 디스크가 열리고, 임페라의 회전 운동에 의해 건조부의 건조 통 내부로 낙하되며, 건조통의 일측면에는 열풍기가 있어 히터에 가열된 열을 팬으로 불어 건조 통 내부로 주입하며, 낙하된 잔류물은 건조 통의 중심에 있는 교반 축 하단의 커터에 의해서 회전되며 건조가 완료된 잔류물은 배출 모타의 축이 수직운동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피스톤에 의해 건조 통의 하부 배출구가 열리며 수납함으로 낙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Small Capacity Food Drying Processor "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40376 dated December 3, 2012, food waste is cut by a cutter formed into a double cutter and crossed with a circular stationary plate, And the residue is less than the hole of the perforation is dropped down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cutter fixed to the rotary shaft and is compressed and dewatered by the lowered interlocking rotating impeller, The opening / closing disk is opened, and the impeller rotates to fall into the drying cylinder of the drying unit. On one side of the drying cylinder there is a hot air blowing the heated heat to the inside of the drying cylinder by the fan, The dried residue is rotated by the cutter at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shaft in the center of the drying cylinder. Up and down a lower outlet of the drying cylinder by moving the piston is configured to be housed therein disclosed fall into opened.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탈수과정에서 음식물이 구멍에 끼여 탈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과, 탈염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there is a problem that dehydration can not be performed smoothly due to the food being caught in the hole in the dehydration process, and desalination can not be effectively perform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탈수통에서의 탈수과정에서 구멍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증진된 탈염효과를 갖도록 개선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which is improved to prevent a hole clogging in a dehydration process in a dehydration tank and to have an enhanced desalination effec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도록 거름망을 구비한 탈수부와,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커터를 구비한 분쇄부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dewatering unit having a dewatering device for dewatering food wastes; and a crushing unit having a cutter for dewatering the dewatered food wastes,
상기 탈수부는 케이스로서의 탈수통과, 그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이 다공망 구조로 되고 바닥에 인접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컷팅하는 커터가 배치된 거름망과, 탈수과정에서 거름망에 형성된 구멍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여져 탈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름망 내측면을 쓸어주도록 상기 거름망 내측에 접하여 배치되는 스위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ewatering unit includes a dewatering unit for dewatering as a case, a side surface disposed inside the dewatering unit, and a cutter for cutting food waste, the dewatering unit being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dewatering unit. And a sweeper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sieve to sweep the inner side of the siev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dehydra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상기 스위퍼는 그 상단에 톱니부가 형성되고 그 톱니부에 기어가 맞물려서 탈수통 외측에 제공된 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거름망 내측을 쓸어 거름망에 끼여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여 탈수 성능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The sweeper is formed with a toothed portion at the upper end thereof. The gear is engaged with the toothed portion of the sweeper, and is rotated by a motor provided outside the dehydrating bucket, thereby sweeping the inside of the sweeping net to remove debris from the food.
상기 탈수통에는 복수개의 세척 노즐들이 배치되어 거름망으로 물을 분사하여 거름망의 구멍에 끼여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거름망 내측으로 밀어 넣음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에서 염분을 희석하여 제거되도록 구성된다.A plurality of washing nozzles are disposed in the dewatering tank so that water is sprayed through a sieve screen to push food waste held in the sieve hole into the sludge screen and dilute the salt in the food waste.
상기 탈수통에는 상기 거름망에서 탈수된 물이 배출되는 탈수배출관이 제공되며 그 탈수배출관에는 저수통이 배치되고, 저수통을 통해 탈수된 물이 다시 탈수통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거름망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반복적으로 탈염시키도록 상기 저수통을 포함하여 탈수된 물이 배출되는 탈수배출관 수준까지 물이 찰 때까지 개방되지 않고 탈수배출관 이상의 수위에 대해서만 개방되도록 미리 설정된 부력을 갖는 밸브가 저수통 내에 제공된다.The dehydrating tub is provided with a dehydrating drain pipe through which the dehydrat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filtering net. The dehydrating drain pipe is provided with a low-water receptacle. The dehydrate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dehydrating tank again through the low- A valve having a predetermined buoyancy is provided in the reservoir such that the dehydrated water including the reservoir is discharged to the dehydration discharge pipe level until the water is discharged and only the water level above the dehydration discharge pipe is opened.
상기 탈수통의 바닥에서 일부분을 이루면서 개폐가능하게 게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저면의 일측부분이 웜의 상단에 일체화되어 있으며, 상기 웜은 분쇄부의 상부 내측에 장착된 웜기어에 의해 회전되어 게이트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Wherein the worm is rotated by a worm gear mount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crushing portion so that the gate is opened and closed, the gate is opened and closed, .
상기 웜은 내부의 홀에 나사가 형성되어 축부가 나사결합되어서 웜기어에 의해 웜이 회전될 때 축부를 중심으로 승하강하면서 게이트가 탈수통의 배출구를 밀폐하는 폐쇄위치와 음식물 쓰레기를 하측으로 배출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웜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축부는 분쇄부에서 메인 커터를 구동하는 메인 모터의 연장된 출력축에서 아이들링 상태로 지지되며, 웜기어와 맞물려서 메인 모터의 구동시에 회전되지 않고 탈수통 바닥을 밀폐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The worm is screwed into the hole of the worm so that the shaft is screwed. When the worm is rotated by the worm gear, the worm is moved up and down about the shaft, and the gate is closed at the closed position where the gate closes the discharge port of the dewatering device. And the shaft portion is supported in an idling state at an extended output shaft of the main motor that drives the main cutter in the crushing portion and is engaged with the worm gear so as not to rotate at the time of driving the main motor, In a clos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는 탈수통의 거름망에 스위퍼를 구비하여 거름망의 구멍 막힘을 방지하여 음식물 탈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저수조를 구비하여 반복적으로 음식물 탈수와 탈염을 수행하여 효율적인 탈염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pparatus for treating foodstuff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weeper provided in a sieve of a dewatering tank to prevent clogging of a sieve pipe to thereby perform dewatering of foodstuffs more efficiently and has a nozzle for spraying washing water and a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perform effective desalination by performing dehydration and desalting of fo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탈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탈수부의 탈수통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방수게이트 개폐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방수게이트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탈수통에서의 탈수 배출관 및 게이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od and bever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ehydrating section in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proof gate opening / closing structure for opening / closing an outle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ehydrating tub of the dehydrating sec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proof gate structure of Fig. 3;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hydration tube and a gate structure in a dehydrat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도 1 내지 5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에서 탈염과 컷팅을 함께 하는 탈수부(10)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상기 탈수부에서 탈염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는 분쇄부(40)를 포함한다. 1 to 5,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탈수부(10)는 케이스로서의 탈수통(11)과, 그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이 다공망 구조로 된 거름망(12)과, 탈수과정에서 거름망에 형성된 구멍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여져 탈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름망 내측면을 쓸어주도록 상기 거름망 내측에 접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스위퍼(13),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될 수 있는 안전 투입구(14)를 포함한다. The dewatering
상기 투입구(14)에는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돌출부(15)들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을 넣게 될 때 돌출부들에 걸려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A plurality of protruding
상기 거름망(12)은 다수의 구멍들이 측면과 바닥에 형성된 원통 형태로 되어 있고 저면의 중심부에서 탈수통에 제공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탈수통 하측에 제공된 분쇄부(40)의 커터(41)를 구동하는 메인 모터(44)의 연장된 출력축에 의해 고속 회전되면서 투입구를 통해 거름망으로 들어온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되게 한다. The
상기 탈수과정에서 탈수통 측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노즐(18)들로 부터 분사된 물이 거름망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거름망 측면 내측에 붙은 음식물 쓰레기로 향하여 거름망 측면에서 탈락시킴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염분을 희석하게 됨으로써 노즐로 부터의 물분사에 의한 염분 희석과 탈수작용이 반복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탈염작용이 향상된다.The water sprayed from the plurality of
상기 거름망의 바닥에는 일부분이 절취되어 개방된 상태의 배출구(2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이루는 거름망 바닥의 단부(23)는 탈수통의 바닥면에 대하여 근접하게, 바람직하기로는 0.2 ~ 0.5mm의 간격을 이루게 하향 경사짐으로써, 거름망이 고속회전할 때 거름망 바닥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는 원심력에 의해 거름망의 측면 내측으로 붙게 됨과 함께, 거름망 바닥의 개방된 부분으로 떨어져 탈수통 바닥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도 거름망의 고속회전시 상기 거름망의 개방된 배출구의 경사진 단부(23)에 의해 거름망 내부로 퍼 올려져서 음식물 쓰레기는 탈수와 탈염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단부가 경사지는 대신에 변형예로서 실리콘 재질의 경사진 주걱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An
상기 거름망 내측에 배치되는 스위퍼(13)는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수평지지부재(24)에 의해 연결된 환형의 하측 링부재(25)와, 하측 링부재의 상면에 복수개소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지지부재(26) 및 상기 수직지지부재(26)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측 링부재(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상기 스위퍼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측 링부재(27)의 상면에는 톱니부(36)가 형성되고 그 톱니부에는 적어도 두개의 대향된 위치에 배치된 기어(16, 16')가 맞물려 있으며, 그중 하나의 기어(16)는 탈수통 외측에 제공된 모터(17)에 의해 구동되어 스위퍼를 회전시키고, 상기 기어(16)와 대향측에 배치되는 기어(16')는 탈수통의 내측에서 공회전되게 장착되어 톱니부(36)와 맞물려 공회전됨으로써 스위퍼가 일측방으로 경사지지 않고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하고 스위퍼는 그 저면 중심부가 탈수통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In order to rotate the sweeper, a top portion of the
상기 스위퍼는 상하측 링부재(25,27)들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지지부재(26)가 거름망 내측에 접촉되어 스위퍼 회전시 거름망 내측면을 쓸어 거름망에 끼여 있거나 내측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거름망 바닥으로 탈락되게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탈염 및 탈수되지 않는 상태로 탈수통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The sweeper is configured such that a vertical support member (26) vertical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ring members (25, 27)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water line to sweep the inner side of the water line when the sweeper is rotated to squeeze food waste So that the food garbage is not discharged into the dehydrator in a state where the debris is not desalted and dehydrated.
또한, 상기 스위퍼의 하측의 링부재(25)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수평지지부재(24)는 스위퍼의 회전시 거름망(12)의 바닥에 근접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측의 링부재(25)의 수평지지부재에는 그 중심부에 커터(28)가 고정되어 스위퍼와 함께 회전하면서 분쇄부(40)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에 앞서 전처리로서 거름망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세절하게 된다. Further, the
상기 거름망에서 탈수 및 탈염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측에 제공된 분쇄부로 배출하는 배출모드에서는 상기 거름망은 정지되고 스위퍼는 저속 회전되며, 이때 탈수통 바닥의 일부분으로서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게이트(30)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부재(24)는 거름망의 바닥에 쌓인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통의 개방된 게이트(30)를 통해 분쇄부(40)로 배출하는 스크레퍼로서 작용하게 된다. In the drain mode in which the food debris drained and desorbed in the drainage network is discharged to the crusher provided at the lower side, the drainage network is stopped and the sweeper is rotated at a low speed. At this time,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스위퍼는 거름망이 탈수를 위하여 고속회전할 때에는 정지 상태로 유지되지만, 거름망이 정지되면 저속회전하게 되며, 이로써 거름망이 고속회전할 때 정지상태의 스위퍼의 수직지지부재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거름망 측면에서 바닥으로 탈락되고, 이때 수평지지부재의 중심부에 제공된 커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일차적으로 절단된다. 탈수작용이 완료되어 거름망이 정지된 때에는 스위퍼가 저속회전하여 수직지지부재가 거름망의 측면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거름망 바닥으로 탈락시킴과 함께 거름망 바닥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는 스위퍼의 하측 링부재(25)에 형성된 수평지지부재(24)의 스크레퍼 작용에 의해 탈수통 바닥의 일부분에서 개방된 게이트(30)를 통하여 분쇄부(40)로 배출하게 된다.For this purpose, the sweeper is kept stationary when the sewing network is rotated at a high speed for dewatering, but rotates at a low speed when the sewing network is stopped. As a result, when the sewing network is rotated at a high speed, The food waste is firstly cut by the cutte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When the dewater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sieving operation is stopped, the sweeper rotates at low speed and the vertical supporting member drops the food waste from the side of the sieve net to the sieve bottom floor, and the food waste on the bottom of the sieve ne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ring member And is discharged to the crushing
이와 같이 스위퍼에 의해 거름망은 내측면과 구멍들에 음식물 찌꺼기가 제거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거름망 내측면에 음식물 찌꺼기가 묻어 탈수 작용이 방해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탈수 성능이 유지된다.Thus, the sweeper can maintain the dehydration performance by preventing food debris from being remov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s and the holes, thereby preventing food debris from being interfered with the dehydration operation.
상기 탈수통(11)에는 상기 거름망에서 탈수된 물이 배출되는 탈수배출관(19)이 제공되고 그 탈수배출관에는 저수통(20)이 배치되어 저수통을 통해 다시 탈수통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마치 세탁기에서 세탁물을 세척하는 것과 같이 거름망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탈염되게 하여 탈염 효율을 향상시킨다.The dehydrating tube (11) is provided with a dehydrating tube (19) for discharging dehydrated water from the tub, and a dehydrating tube (20) is disposed in the dehydrating tube to allow the dehydrating tube So that the food waste in the sieve net is desalted to improve the desalination efficiency.
상기 탈수통의 바닥에서 일부분을 이루면서 개폐가능하게 제공된 게이트(30)는 저면의 일측부분이 웜(33)의 상단에 일체화되어 있으며, 상기 웜(33)은 분쇄부(40)의 상부 내측에 장착된 웜기어(34)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웜(33)은 내부의 홀에 나사가 형성되어 축부(29)가 나사결합되어서 웜기어(34)에 의해 웜(33)이 회전될 때 축부(29)를 중심으로 승하강하면서 탈수통의 배출구를 밀폐하는 폐쇄위치와 음식물 쓰레기를 하측으로 배출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상기 축부(29)는 분쇄부(40)에서 메인 커터를 구동하는 메인 모터(44)의 연장된 출력축에서 아이들링 상태로 지지되며, 웜기어(34)와 맞물려서 메인 모터의 구동시에서 회전되지 탈수통 바닥을 밀폐한 상태로 유지된다. The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부는 거름망 내측에서 스위퍼가 배치되어 거름망을 청소하여 탈수성능이 유지되게 하며, 세척수 분사노즐에 의해 그리고 저수조로 부터의 물이 유입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염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게 됨으로써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 등으로 재활용 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ewatering unit of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weeper disposed inside the sieve filter to clean the sieve filter to maintain the dewatering performance.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water tank by the washing water injection nozzle, The discharged food waste can be recycled as compost or the like.
상기 저수통(20)은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부에 밸브(35)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35)는 저수통을 포함하여 탈수된 물이 배출되는 탈수배출관(19) 수준까지 물이 찰 때까지의 개방되지 않고 그 이상의 수위에 대해서만 개방되도록 미리 설정된 부력을 갖는다. 이로써, 탈수된 물이 탈수배출관(19)의 수위 보다 높아질 때에만 저수통(20)에서 밸브(35)가 개방되어 배출되므로, 탈수배출관의 높이에서 물이 일부분 채워진 탈수통내의 물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염분이 더욱 희석되어 탈염작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
상기 탈수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분쇄부(40)는 메인 모터(44)에 의해 구동되는 커터가 제공되어 상측의 탈수부에서 탈염 및 탈수되어 개방된 게이트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다. 이러한 분쇄부의 구성은 도면에 일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rushing
상술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계의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예를들어,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정에서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탈수통과 건조통의 용량을 증대시켜 업소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drain hole of a sink in a home, or may be used for a business by increasing the capacity of the drain hol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에 의해서만 한정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정이나 업소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기에 앞서 전처리로서 효율적으로 탈수 및 탈염시켜 배출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탈염처리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용된다.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reduce dehydration and desalination as a pretreatment before grinding and discharging food waste generated in a home or business, To be recycled.
10 : 탈수부 11 : 탈수통
12 : 거름망 13 : 스위퍼
18 : 세척 노즐 19 : 탈수배출관
20 : 저수통 25 ; 하측 링부재
26 : 수직지지부재 27 : 상측 링부재
28 : 커터 30 : 게이트
33 : 웜 34 : 웜기어10: dehydrating unit 11: dehydrating tank
12: Filter 13: Sweeper
18: Cleaning nozzle 19: Dewatering pipe
20:
26: vertical support member 27: upper ring member
28: cutter 30: gate
33: Worm 34: Worm Gear
Claims (7)
상기 탈수통(11)에는 상기 거름망에서 탈수된 물이 배출되는 탈수배출관(19)이 제공되며 그 탈수배출관에는 저수통(20)이 배치되고, 저수통을 통해 탈수된 물이 다시 탈수통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거름망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반복적으로 탈염시키도록 상기 저수통을 포함하여 탈수된 물이 배출되는 탈수배출관(19) 수준까지 물이 찰 때까지 개방되지 않고 탈수배출관 이상의 수위에 대해서만 개방되도록 미리 설정된 부력을 갖는 밸브(35)가 저수통(20) 내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nd a crushing unit having a cutter for crushing the dewatered food waste. The dewatering unit (10) comprises a dewatering cylinder (11) as a case, and a dewatering unit (12) having a side surface made of a multi-mesh network structur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and cutting a food waste, and a filter (12)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lter net to remove food waste contained in holes formed in the filter net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sweeper (13) disposed in contact with an inside of a sieve to sweep,
The dehydrating tube (11) is provided with a dehydrating tube (19) for discharging dehydrated water from the tub, and a dehydrating tube (20) is disposed in the dehydrating tube for allowing the dehydrated water to flow into the dehydrating tube A buoyancy preset to be opened only to the level of the dewatering discharge pipe 19 including the low water outlet so as to repeatedly desorb the food wastes in the sieve net, Is provided in the reservoir (20). ≪ Desc / Clms Page number 19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3206A KR101517288B1 (en) | 2013-08-06 | 2013-08-06 |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3206A KR101517288B1 (en) | 2013-08-06 | 2013-08-06 |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7208A KR20150017208A (en) | 2015-02-16 |
KR101517288B1 true KR101517288B1 (en) | 2015-05-04 |
Family
ID=5304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3206A KR101517288B1 (en) | 2013-08-06 | 2013-08-06 |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728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46647A (en) * | 2018-06-28 | 2018-12-21 | 杨秋霞 | Kitchen garbage equipment for separating liquid from solid |
WO2021015504A1 (en) * | 2019-07-24 | 2021-01-28 | 주식회사 인트로팩 | Mixer and dewatering method thereof |
KR102302487B1 (en) * | 2019-09-05 | 2021-09-15 | 김광오 | Food Waste Treatment Method Using Food Waste Dispos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6577Y1 (en) | 2002-02-19 | 2002-05-24 | 유인섭 | Dishwasher Reuse System |
JP2005046833A (en) | 2003-06-13 | 2005-02-24 | ▲ソウ▼康善 | Garbage disposer and method |
-
2013
- 2013-08-06 KR KR1020130093206A patent/KR10151728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6577Y1 (en) | 2002-02-19 | 2002-05-24 | 유인섭 | Dishwasher Reuse System |
JP2005046833A (en) | 2003-06-13 | 2005-02-24 | ▲ソウ▼康善 | Garbage disposer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7208A (en) | 2015-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41570B1 (en) | food-trash processing unit for kitchen | |
KR101413883B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 |
KR100827452B1 (en) | Small-sized food waste disposer and removing method of water and salinity in the food waste | |
KR101517289B1 (en) |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
KR101841478B1 (en)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waste | |
KR100792851B1 (en) | Drying treatment apparatus of food wastes | |
KR101835559B1 (en) | Disposer with microorganism for Waste Food | |
KR101517288B1 (en) |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
CN103382058A (en) | Oil-water slag separation device for kitchen garbage | |
KR20160129293A (en) |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 |
KR100676729B1 (en) | A device for recycling a waste | |
CN208991438U (en) | A kind of refuse disposal installation | |
CN108838197A (en) | A kind of refuse disposal installation of horizontal cross-feed | |
JP2006095401A (en) | Screen residue treatment device | |
CN205550801U (en) | Kitchen garbage's sorting device | |
CN110447700B (en) | Mussel processing equipment | |
KR200345258Y1 (en) | food-trash processing unit for kitchen | |
KR200431009Y1 (en) | The garbage disposal equipment | |
KR200481337Y1 (en) | Food Waste Reducing Treatment Apparatus | |
KR101746184B1 (en) | Food wastes disposal equipment using grinding and drying, and food wastes disposal system | |
KR20120130376A (en) | Small size Food wast oven | |
KR101449642B1 (en) | Food wastes treater for sink mounting | |
KR20150017210A (en) |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
KR200405262Y1 (en) | Garbage disposer | |
KR102335929B1 (en)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