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985B1 -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985B1
KR101516985B1 KR1020120154413A KR20120154413A KR101516985B1 KR 101516985 B1 KR101516985 B1 KR 101516985B1 KR 1020120154413 A KR1020120154413 A KR 1020120154413A KR 20120154413 A KR20120154413 A KR 20120154413A KR 101516985 B1 KR101516985 B1 KR 10151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rame
fixed
support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114A (ko
Inventor
정태호
Original Assignee
정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호 filed Critical 정태호
Priority to KR102012015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9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9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간단하고 경량이면서 삼각형태의 4개소 고정구조를 이루어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고, 각종 태양전지 모듈에 적용이 가능하여 공용화를 기할 수 있으며, 슬라브 및 지붕 외벽부와 비남향 등 지지대의 변경없이 사용이 가능한 태양광 모듈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건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하단 지지프레임이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단 지지프레임의 전.후방측에 각각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의 하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의 상부는 태양광 모듈을 후방측에서 고정 및 지지하는 모듈 지지프레임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삼각형태의 4개소 고정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The solar module install aparratus at roof}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의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단하고 경량이면서 삼각형태의 4개소 고정구조를 이루어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고, 각종 태양전지 모듈에 적용이 가능하여 공용화를 기할 수 있으며, 슬라브 및 지붕 외벽부와 비남향 등 지지대의 변경없이 사용이 가능한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태양광 모듈은 수광된 태양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로 통상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태양광 모듈은 태양광의 원활한 수광을 위해 건물의 지붕이나 옥상 등에 설치되는데, 이때 태양광 모듈의 안전한 설치를 위해 별도의 태양광 모듈 지지대가 구비된다.
태양광 모듈 지지대는 통상 다수의 앵글을 조립하여 형성되고, 이렇게 조립된 태양광 모듈 지지대를 건물의 지붕이나 옥상에 먼저 설치하고, 태양광 모듈 지지대 상에 태양광 모듈을 고정함으로써 태양광 모듈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태양광 모듈 지지대는 중량의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의 불안전성 및 작업의 어려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설치의 원가 및 비용상승으로 경제성이 결여되고, 규격화 및 공용화가 되어 있지 않아 설치 조건에 따라 지지대를 변경하여 각각 별도로 제작 및 설치해야만 되므로 작업의 번거로움 및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물의 지붕은 건물의 구조적인 특성이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슬라브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그 중에 요철형 폼 강판으로 된 슬라브는 요철 형태의 칼라 강판에 폼이 부착되고 하부에 프레임이 장착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슬라브 상에 태양광 모듈 지지대를 설치한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종래에는 요철형 폼 강판으로 이루어진 슬라브에 태양광 모듈 지지대를 설치 및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난해하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치 및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설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태양광 모듈을 지붕의 슬라브에 설치할 때 위치 선정 및 이동이 불가능해 설치 작업의 번거로움 및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립이 간단하고 경량이면서 삼각형태의 4개소 고정구조를 이루어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고, 각종 태양전지 모듈에 적용이 가능하여 공용화를 기할 수 있으며, 슬라브 및 지붕 외벽부와 비남향 등 지지대의 변경없이 사용이 가능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 지지대를 요철형 강판 슬라브로 이루어진 지붕에 설치할 때 태양광 모듈 지지대의 위치 선정 및 이동이 자유롭고, 견고하면서도 간편한 모듈 조립으로 작업의 신속성과 함께 고정 및 설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지지대의 한 형태는, 태양광 모듈을 삼각형태의 4개소 고정구조로 지지하는 태양광 모듈 지지대와; 상기 태양광 모듈 지지대를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에 고정하는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모듈 지지대는 건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하단 지지프레임이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단 지지프레임의 전.후방측에 각각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의 하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과 후방 지지프레임의 상부는 태양광 모듈을 후방측에서 고정 및 지지하는 모듈 지지프레임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삼각형태의 4개소 고정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 지지프레임과 모듈 지지프레임 간의 각도(θ)는 20°~ 30°사이에서 5°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 지지프레임은 하단프레임 고정부에 의해 건물에 고정되고, 상기 하단프레임 고정부는 하단 지지프레임의 전.후방측에 장공 형태의 프레임 고정공을 형성하여 프레임 고정볼트를 이용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모듈은 모듈프레임 고정부에 의해 모듈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모듈프레임 고정부는 모듈 지지프레임의 전.후방측에 장공 형태의 모듈 고정공을 형성하여 모듈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모듈 지지프레임에 태양광 모듈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모듈 지지프레임의 일측단을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모듈 지지프레임의 타측단은 후방 지지프레임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각도조절공에 각도조절용 볼트로 체결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모듈 지지대를 고정하는 장치는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의 홈부를 따라 구비되는 종간 고정프레임과; 상기 종간 고정프레임을 상기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의 홈부 상에 고정하되, 상기 홈부의 양측 돌부에 양단이 지지되는 종간 고정부와; 상기 종간 고정프레임 상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하부가 횡간 고정브라켓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는 태양광 모듈 지지대의 전.후방 하단부에 결합되는 횡간 고정프레임과; 상기 태양광 모듈 지지대를 횡간 고정프레임 상의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횡간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간 고정부는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의 홈부로부터 양측 돌부의 상면까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돌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고정볼트에 의해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에 고정되는 슬라브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슬라브 고정플레이트에 상응하는 폭의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슬라브 고정플레이트 상에 고정되는 종간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종간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중간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단이 상부측으로 절곡된 금속편으로 형성되어 내부를 관통하는 종간 고정프레임을 양측의 절곡편을 관통하는 체결볼트로 고정하는 종간 고정브라켓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간 고정부는 슬라브 고정플레이트와 종간 지지플레이트 사이의 중간에 상기 종간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수직의 하중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횡간 고정부는 상부측으로 개방된 사각 단면 형태의 형강으로 이루어진 횡간 고정프레임의 개방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태양광 모듈 지지대가 결합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레일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횡간 고정브라켓트는 횡간 고정프레임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상.하부 지지편과, 상기 상.하부 지지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하 지지편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타측부 상.하부 지지편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부로 구성되고, 상부 지지편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조립볼트에 의해 횡간 고정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이 간단하고 경량이면서 삼각형태의 4개소 고정구조를 이루어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여 경량에 의한 원가절감 및 취급의 용이성과 제조 및 설치에 따른 비용절감으로 경제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종 태양전지 모듈에 적용이 가능하고 지지대의 변경없이 슬라브 및 지붕 외벽부와 비남향 등에 설치가 가능해 공용화 및 호환성에 따른 설치 및 작업의 간편성은 한층 증대시킬 수 있고, 천재지변에 의한 극한 상황시 모듈블록 단위로 소실되게 함으로써 천재지변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횡간 고정프레임 상에서 태양광 모듈 지지대의 횡간 이동이 가능하고 횡간 고정프레임을 종간 고정프레임 상의 횡간 고정브라켓트에 의해 위치가 선정된 후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태양광 모듈 지지대를 요철형 강판 슬라브로 이루어진 지붕에 설치할 때 태양광 모듈 지지대의 위치 선정 및 이동이 자유롭고,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의 양측 돌부를 통하여 홈부와 동일 형상의 슬라브 고정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간편한 모듈 조립으로 작업의 신속성과 함께 고정 및 설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하단프레임 고정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모듈프레임 고정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태양광 모듈 지지대가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로 된 지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
도 7은 도 5에서 태양광 모듈 지지대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5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B"부 확대도.
도 10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D"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L"자 형강으로 된 하단 지지프레임(1)이 적어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구비되고, 하단 지지프레임(1)의 전.후방에 구비된 하단프레임 고정부(5)에 의해 건물의 옥상이 지붕 또는 외벽면 등에 고정된다.
그리고, 하단 지지프레임(1)의 전.후방측에는 서로 길이를 달리하고 하단 지지프레임(1)과 마찬가지로 "L"자 형강으로 형성된 전방 지지프레임(2)과 후방 지지프레임(3)의 하부가 용접 등에 의한 통상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때 전방 지지프레임(2)은 후방 지지프레임(3)보다 길이가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전방 지지프레임(2)과 후방 지지프레임(3)의 상단부에는 역시 "L"자 형강으로 형성된 모듈 지지프레임(4)의 일측 및 타측단부가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삼각형태의 4개소 고정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때 하단 지지프레임(1)과 모듈 지지프레임(4) 간의 각도(θ)는 20°~ 30°사이에서 5°간격으로 이루고, 태양광 모듈(100)은 모듈프레임 고정부(6)에 의해서 모듈 지지프레임(4) 상에 고정된다.
도 3은 도 1의 하단프레임 고정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단프레임 고정부(5)는 하단 지지프레임(1)의 전.후방측에 프레임 고정공(51)을 형성하여 프레임 고정공(51)을 통해 건물의 옥상이 지붕 및 외벽부 등에 프레임 고정볼트(52)로 체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프레임 고정공(51)이 장공 형태를 이루므로 위치 이동 및 변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53은, 하부 지지링이다.
도 4는 도 1의 모듈프레임 고정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프레임 고정부(6)는 모듈 지지프레임(4)의 전.후방측에 모듈 고정공(61)을 형성하여 모듈 고정공(61)을 통해 태양광 모듈(100)의 배면에 모듈 고정볼트(62)로 체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역시 모듈 고정공(61)이 장공 형태를 이루므로 위치 이동 및 변동이 가능해 조립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63은, 모듈 고정너트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조립이 간단하고 경량이면서 삼각형태의 4개소 고정구조를 이루어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여 경량에 의한 원가절감 및 취급의 용이성과 제조 및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종 태양전지 모듈에 적용이 가능하고 지지대의 변경없이 슬라브 및 지붕 외벽부와 비남향 등에 설치가 가능하고, 천재지변에 의한 극한 상황시 모듈블록 단위로 소실되게 함으로써 천재지변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태양광 모듈 지지대(S)를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태양광 모듈 지지대(S)가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로 된 지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모듈(100)을 갖는 복수개의 태양광 모듈 지지대(S)가 본 발명에 의해 지붕을 형성하는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 상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 각각의 홈부(200a)에 구비되는 종간 고정프레임(110)과, 종간 고정프레임(110)을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홈부(200a) 상에 고정하는 종간 고정부(120)가 구비되고, 종간 고정프레임(110) 상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횡간 고정프레임(140)이 전.후 한 쌍으로 구비되며, 횡간 고정프레임(140)은 횡간 고정부(150)에 의해 종간 고정프레임(110) 상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51은 횡간 고정프레임(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측으로 형성된 개방부이고, 200c는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하부에 장착된 슬라브 고정프레임이다.
횡간 고정부(1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단면 형태의 형강으로 이루어진 횡간 고정프레임(140)의 상부측 개방부(151)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레일(153)을 형성하여 태양광 모듈 지지대(S)의 하단부가 결합볼트(152)에 의해 체결 및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결합볼트(152)는 횡간 고정프레임(140)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와셔(154)에 체결된다.
그리고, 횡간 고정브라켓트(130)는 횡간 고정프레임(140)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상.하부 지지편(131)(132)과, 상기 상.하부 지지편(131)(132)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하부 지지편(131)(132)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편(133)과, 상기 연결편(133)의 타측부 상.하부 지지편(131)(132)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부(134)로 구성되고, 상부 지지편(131)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조립볼트(135)에 의해 횡간 고정프레임(140)에 고정되는 것이다.(도 2 참조)
도 10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11는 도 10의 "D"부 확대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간 고정부(120)는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홈부(200a)에 고정되는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와 상기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 상에 고정되는 종간 지지플레이트(122) 및 종간 지지플레이트(122)의 상면 중간에 일체로 형성되어 종간 고정프레임(110)을 고정하는 종간 고정브라켓트(123)로 구성된다.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는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홈부(200a)로부터 양측 돌부(200b)의 상면까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돌부(200b)에 위치한 양단부는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돌부(200b)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슬라브 고정프레임(200c)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21a)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종간 지지플레이트(122)는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에 상응하는 폭의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양단부는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직의 고정볼트(121a)에 의해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와 함께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에 체결 및 고정된다.
종간 고정브라켓트(123)는 종간 지지플레이트(122)의 상면 중간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단이 상부측으로 절곡된 금속편으로 형성되어 내부를 관통하는 종간 고정프레임(110)과 종간 고정브라켓트(123)의 양측 절곡편(123b)을 체결볼트(23a)가 측방향에서 관통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24는 종간 지지플레이트(122)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중 지지플레이트이고, 하중 지지플레이트(124)는 종간 지지플레이트(122)의 중간에 수직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홈부(200a)에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를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의 양단이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돌부(200b)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의 상부에 종간 지지플레이트(122)를 올려 놓은 후 방수용 고무와셔(121b)와 함께 수직의 고정볼트(121a)를 이용하여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와 종간 지지플레이트(122)를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돌부(200b)를 관통하여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슬라브 고정프레임(200c)에 체결 및 고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종간 지지플레이트(122) 상의 종간 고정브라켓트(123)에 종간 고정프레임(110)을 삽입하고, 체결볼트(23a)를 종간 고정브라켓트(123)의 양측 절곡편(123)과 종간 고정프레임(110)의 측방향으로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종간 고정프레임(110)을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홈부(200a)에 고정 및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종간 고정프레임(110)을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홈부(200a)에 고정한 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간 고정프레임(110) 상에 고정된 횡간 고정브라켓트(130)의 삽입 공간부(134)를 통하여 횡간 고정프레임(140)을 삽입하게 된다. 이때 횡간 고정브라켓트(130)는 횡간 고정프레임(140)을 서로 반대방향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전.후에 대하여 삽입 공간부(134)가 서로 대향되게 고정되고, 횡간 고정프레임(140)은 횡간 고정브라켓트(130)의 상부 지지편(131)을 통하여 체결되는 조립볼트(135)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횡간 고정프레임(140)의 개방부(151) 및 고정레일(153)을 통하여 태양광 모듈 지지대(S)의 하단부를 결합볼트(152)로 체결함으로써 태양광 모듈 지지대(S)의 설치가 완료되는데, 이때 태양광 모듈 지지대(S)는 횡간 고정프레임(140)의 고정레일(153)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를 선정한 후 결합볼트(152)의 체결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같이 본 발명은 횡간 고정프레임 상에서 태양광 모듈 지지대의 횡간 이동이 가능하고 횡간 고정프레임을 종간 고정프레임 상의 횡간 고정브라켓트에 의해 위치가 선정된 후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태양광 모듈 지지대를 요철형 강판 슬라브로 이루어진 지붕에 설치할 때 태양광 모듈 지지대의 위치 선정 및 이동이 자유롭고,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의 양측 돌부를 통하여 홈부와 동일 형상의 슬라브 고정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간편한 모듈 조립으로 작업의 신속성과 함께 고정 및 설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하단 지지프레임 2: 전방 지지프레임
3: 후방 지지프레임 4: 모듈 지지프레임
5: 하단프레임 고정부
51: 프레임 고정공 52: 프레임 고정볼트
53: 하부 지지링
6: 모듈프레임 고정부
61: 모듈 고정공 62: 모듈 고정볼트
63: 모듈 고정너트
110: 종간 고정프레임
120: 종간 고정부
121: 슬라브 고정플레이트 121a: 고정볼트
121b: 방수용 고무와셔 122: 종간 지지플레이트
123: 종간 고정브라켓트 123a: 체결볼트
124: 하중 지지플레이트
130: 횡간 고정프레임
131,132: 상.하부 지지편 133: 연결편
134: 삽입 공간부 135: 조립볼트
140: 횡간 고정프레임
150: 횡간 고정부
151: 개방부 152: 결합볼트
153: 고정레일

Claims (10)

  1. 태양광 모듈(100)을 삼각형태의 4개소 고정구조로 지지하는 태양광 모듈 지지대(S)와;
    상기 태양광 모듈 지지대(S)를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에 고정하는 장치와;
    상기 태양광 모듈 지지대(S)를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에 고정하는 장치는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홈부(200a)를 따라 구비되는 종간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종간 고정프레임(110)을 상기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홈부(200a) 상에 고정하되, 상기 홈부(200a)의 양측 돌부(200b)에 양단이 지지되는 종간 고정부(120)와;
    상기 종간 고정프레임(110) 상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하부가 횡간 고정브라켓트(130)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는 태양광 모듈 지지대(S)의 전.후방 하단부에 결합되는 횡간 고정프레임(140)과;
    상기 태양광 모듈 지지대(S)를 횡간 고정프레임(140) 상의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횡간 고정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 지지대(s)는 건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하단 지지프레임(1)이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단 지지프레임(1)의 전.후방측에 각각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 전방 지지프레임(2)과 후방 지지프레임(3)의 하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2)과 후방 지지프레임(3)의 상부는 태양광 모듈(100)을 후방측에서 고정 및 지지하는 모듈 지지프레임(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삼각형태의 4개소 고정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지지프레임(1)과 모듈 지지프레임(4) 간의 각도(θ)는 20°~ 30°사이에서 5°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지지프레임(1)은 하단프레임 고정부(5)에 의해 건물에 고정되고, 상기 하단프레임 고정부(5)는 하단 지지프레임(1)의 전.후방측에 장공 형태의 프레임 고정공(51)을 형성하여 프레임 고정볼트(52)를 이용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100)은 모듈프레임 고정부(6)에 의해 모듈 지지프레임(4)에 고정되고, 상기 모듈프레임 고정부(6)는 모듈 지지프레임(4)의 전.후방측에 장공 형태의 모듈 고정공(61)을 형성하여 모듈 고정볼트(62)에 의해 상기 모듈 지지프레임(4)에 태양광 모듈(100)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간 고정부(120)는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의 홈부(200a)로부터 양측 돌부(200b)의 상면까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의 돌부(200b)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고정볼트(121b)에 의해 요철형 폼 강판 슬라브(200)에 고정되는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와;
    상기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에 상응하는 폭의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121b)에 의해 상기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 상에 고정되는 종간 지지플레이트(122)와;
    상기 종간 지지플레이트(122)의 상면 중간에 일체로 형성되고, 양단이 상부측으로 절곡된 금속편으로 형성되어 내부를 관통하는 종간 고정프레임(110)을 양측의 절곡편(123b)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3a)로 고정하는 종간 고정브라켓트(1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태양광 모듈의 설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간 고정부(120)는 슬라브 고정플레이트(121)와 종간 고정플레이트(110) 사이의 중간에 상기 종간 고정프레임(110)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수직의 하중 지지플레이트(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간 고정부(150)는 상부측으로 개방된 사각 단면 형태의 형강으로 이루어진 횡간 고정프레임(140)의 개방부(151)에 길이 방향을 따라 태양광 모듈 지지대(S)가 결합볼트(152)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레일(153)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간 고정브라켓트(130)는 횡간 고정프레임(140)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상.하부 지지편(131)(132)과, 상기 상.하부 지지편(131)(132)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하부 지지편(131)(132)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편(133)과, 상기 연결편(133)의 타측부 상.하부 지지편(131)(132)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부(134)로 구성되고, 상부 지지편(131)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조립볼트(135)에 의해 횡간 고정프레임(14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태양광 모듈 설치대의 지붕 설치장치.

KR1020120154413A 2012-12-27 2012-12-27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Active KR10151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413A KR101516985B1 (ko) 2012-12-27 2012-12-27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413A KR101516985B1 (ko) 2012-12-27 2012-12-27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114A KR20140087114A (ko) 2014-07-09
KR101516985B1 true KR101516985B1 (ko) 2015-05-04

Family

ID=5173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413A Active KR101516985B1 (ko) 2012-12-27 2012-12-27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688A (ko) 2022-02-15 2023-08-22 지천만 태양광 발전 모듈용 지지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3628B (zh) * 2016-06-22 2018-08-21 清华大学 一种集成屋顶装置
CN110797970A (zh) * 2019-11-27 2020-02-14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六氟化硫分解产物便携色谱仪的供电装置
CN114108968B (zh) * 2021-10-30 2023-04-14 中石化石油工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无配重基础的屋顶光伏支架结构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724A (ja) * 2000-04-20 2001-10-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03184235A (ja) * 2001-12-18 2003-07-03 Fuchimoto Ritsuko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3724A (ja) * 2000-04-20 2001-10-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03184235A (ja) * 2001-12-18 2003-07-03 Fuchimoto Ritsuko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支持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688A (ko) 2022-02-15 2023-08-22 지천만 태양광 발전 모듈용 지지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114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766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構造
JP4688951B1 (ja) 構造物設置架台、構造物設置用支持具、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WO2010064656A1 (ja) 構造物設置架台、及び太陽電池システム
KR101516985B1 (ko) 태양광 모듈의 지붕 설치장치
US20120312357A1 (en) Structural object supporting structure, structural object mount, method for installing structural object using the mount, and solar photovoltaic system
JP200821487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け構造
JP5912100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KR101421808B1 (ko) 태양광 모듈 설치를 위한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 설치 구조
JP5869331B2 (ja) ソーラパネル取付方法
JP6430721B2 (ja)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
KR20150112476A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EP2333453B1 (en) Supporting framework and device for fastening solar panels to the supporting framework
JP3869292B2 (ja) 太陽電池パネル取付用の支持金具
JP5622709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フレームの支持架台構造
KR101429244B1 (ko) 태양광 모듈 지지대의 지붕 고정장치
KR101427227B1 (ko) 태양전지 패널 장착 프레임
CN201708735U (zh) 太阳能组件安装用型材及太阳能组件安装支架
KR20230009586A (ko)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JP201325816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太陽電池システム
JP5916096B2 (ja) 太陽エネルギー利用装置の設置構造
JP6057365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方法
JP201706680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構造、設置方法、及びその設置構造を用い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6021579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支持構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方法
KR101493011B1 (ko) 태양광모듈 고정프레임
JP6346755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9111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