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768B1 -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768B1
KR101510768B1 KR20080095069A KR20080095069A KR101510768B1 KR 101510768 B1 KR101510768 B1 KR 101510768B1 KR 20080095069 A KR20080095069 A KR 20080095069A KR 20080095069 A KR20080095069 A KR 20080095069A KR 101510768 B1 KR101510768 B1 KR 101510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plate
flexible substrate
lower plate
elon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5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423A (ko
Inventor
마사히로 곤도
다쿠야 오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61831A external-priority patent/JP49147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61830A external-priority patent/JP491479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090035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8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comprising deformable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면이 상하 어느 쪽이더라도 접속 가능하며,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켜, 작업성도 향상시키도록 한 플랙시블 기판(10)과 단자 금구(1)의 접속구조이다. 그리고, 그 구성은, 상판(3)과 하판(4)을 구비한 단자 금구(1)의 하판에 배럴(5)을 기립하여 형성하고, 이 하판(4)의 배럴(5)이 삽입되는 구멍(11)을 플랙시블 기판(10)에 형성하고, 이 구멍(11)에 삽입된 배럴(5)을 구부려서 상판(3)과 하판(4)으로 플랙시블 기판(10)을 끼워 지지하는 플랙시블 기판(10)과 단자 금구(1)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판(3)과 하판(4)에 돌기부(6, 7)를 형성하고, 이들 돌기부 사이에 플랙시블 기판(10)을 끼워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판, 하판, 단자 금구, 배럴, 플랙시블 기판, 돌기부, 오목부

Description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구조{A STRUCTURE FOR CONNECTING A FLEXIBLE SUBSTRATE AND A TERMINAL FITTING}
본 발명은 멤브레인이나 플랙시블 회로 기판(FPC) 등의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접속구조로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판과 하판을 구비한 단자 금구(50)의 하판에 배럴(51)을 기립하여 형성하고, 이 하판의 배럴(51)이 삽입되는 구멍(52)을 회로기판(53)에 형성하고, 이들 구멍 형성 개소의 회로기판(53)에 동일한 구멍을 뚫은 보강판(54)을 설치하고, 상기 상판을 들어올려 회로기판(53)의 구멍(52)에 하판에 형성된 배럴(51)을 삽입한 후에 상판을 되돌려 하판과 상판으로 당해 기판(53)을 끼우고 배럴(51)을 구부려서 상판을 고정하고, 회로기판(53)의 인쇄면과 상기 하판이 접촉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예에 의하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회로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여, 접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종래예로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60)의 길이방향의 일단에 단자(61)가 설치되고, 베이스(60)의 설치면 상에 FPC(62)가 얹어지고, 이 베이스(6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한 양측으로부터 뻗어나와 설치면에 대향하여 설치된 내측에 원통 형상으로 구부려 형성된 배럴(63)의 외주면과 설치면에서 FPC(63)가 압착 고정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에 의해, 배럴(63)의 외주면이 FPC(62)에 면접촉하여, FPC(62)로의 응력집중이 완화되므로, FPC(6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년(經年) 변화로 인해 FPC(62)의 응력 완화에 의해 두께가 저하되어도, 배럴(63)보다 FPC(62)에 대하여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FPC(62)를 경시적으로 안정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 배럴(63)은 스프링 정수가 작으므로, FPC(62)의 두께 감소에 수반되는 탄성 가압력의 감소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종래예로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멤브레인 회로(70)를 끼워 지지하는 1쌍의 금속판(71, 72)과, 멤브레인 회로(70)를 개재시킨 상기 1쌍의 금속판(71, 72)을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2개의 결합부재(73, 74)와, 1쌍의 금속판(71, 72)의 적어도 한쪽에, 2개의 결합 부재(73, 74)의 중간에 위치하여, 멤브레인 회로(70)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1개의 볼록부(75)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종래예에서는, 단자의 상판 또는 하판만 볼록부를 설치하고, 플랙시블 기판의 회로와 단자를 접촉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단자의 볼록부가 설치되지 않은 면과 회로면을 접촉시킨 경우에 접속의 신뢰성이 부족하므로, 플랙시블 기판의 회로면에 맞추어, 단자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었다.
도 2에 도시하는 종래예에서는, 상부에는 볼록부를, 하부에는 구멍을 설치함 으로써 양면 접속을 행하는 구조인 경우, 접점 형상이 상하에서 상이하기 때문에 접촉력의 밸런스를 잡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밸런스를 잘 잡을 수 없는 경우, 환경시험 등을 행했을 때에 상이한 거동으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도 3에 도시하는 종래예에서는, 단자의 볼록부와 플랙시블 기판의 회로면을 일치시켜서 접촉을 행하므로, 작업성이 나쁜 것이었다. 또, 이 종래예의 구조로는, 다극화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플랙시블 기판의 회로면이 상하 어느 쪽이더라도 확실하게 회로기판과 단자를 접촉, 도통시킬 수 있고(플랙시블 기판의 양면접속이 가능), 종래의 단자형상인 채로(압착부만의 변경) 양면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상하의 접촉력의 밸런스를 잡기 쉽게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플랙시블 기판의 회로면을 신경쓰지 않고 단자 압착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어, 대폭적인 공수 삭감이 되도록 한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판과 하판을 구비한 단자 금구의 하판에 배럴을 기립하여 형성하고, 이 하판의 배럴이 삽입되는 구멍을 플랙시블 기판에 형성하고, 이 구멍에 삽입된 배럴을 구부려 상판과 하판으로 플랙시블 기판을 끼워 지지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들 돌기부 사이에 플랙시블 기판을 끼워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랙시블 기판의 회로면을 상하 어느 쪽이더라도 확실하게 회로기판과 단자를 접촉, 도통시킬 수 있음(플랙시블 기판의 양면 접속이 가능)과 아울러, 종래의 단자 형상인 채(압착부만의 변경)로 양면 접속이 가능하다. 또, 상하의 접촉력의 밸런스를 잡기 쉬워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플 랙시블 기판의 회로면을 신경쓰지 않고 단자 압착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어, 대폭적인 공수 삭감으로 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상판과 하판을 구비한 단자 금구의 하판에 배럴을 기립하여 형성하고, 이 하판의 배럴이 삽입되는 구멍을 플랙시블 기판에 형성하고, 이 구멍에 삽입된 배럴을 구부려서 상판과 하판으로 플랙시블 기판을 끼워 지지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에 형성된 돌기부 사이에 플랙시블 기판을 끼워 지지하고, 상판 또는 하판의 어느 한쪽의 폭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가 이웃하는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보다 길게 돌출하고, 다른 쪽의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가 이웃하는 폭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보다 길게 돌출하고, 이들 돌기부의 표면을 가늘고 길게 평탄한 면으로 형성하고, 아울러 가늘게 돌출하는 돌기부끼리 플랙시블 기판을 사이에 두고 압착할 때 폭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 중 2개의 장변의 중간부가 움푹 패여서 2개의 장변을 에지로 하여 플랙시블 기판으로 압접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랙시블 기판의 회로면을 상하 어느 쪽이더라도 확실하게 회로기판과 단자를 접촉, 도통시킬 수 있음(플랙시블 기판의 양단 접속이 가능)과 아울러, 종래의 단자 형상인 채(압착부만의 변경)로 양면 접속이 가능하다. 또, 상하의 접촉력의 밸런스를 잡기 쉬워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플랙시블 기판의 회로면을 신경쓰지 않고 단자 압착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어, 대폭적인 공수 삭감으로 된다. 특히, 돌기부의 장변이 에지가 되고, 이들 에지와 플랙시블 기판이 강한 응력으로 접속되게 되어, 신뢰성이 있는 전기적·기계적인 접속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는, 상판과 하판을 구비한 단자 금구의 하판에 배럴을 기립하여 형성하고, 이 하판의 배럴이 삽입되는 구멍을 플랙시블 기판에 형성하고, 이 구멍에 삽입된 배럴을 구부려서 상판과 하판으로 플랙시블 기판을 끼워 지지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에 형성된 돌기부 사이에 플랙시블 기판을 끼워 지지하고, 상판 또는 하판의 어느 한쪽의 폭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가 이웃하는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보다 길게 돌출하고, 다른 쪽의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가 이웃하는 폭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보다 길게 돌출하고, 이들 돌기부의 이면측에는 각각 오목부를 형성하고, 아울러 길게 돌출하는 돌기부끼리 플랙시블 기판을 사이에 두고 압접할 때 폭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의 표면이 원호상으로 둥근 모양을 형상으로 플랙시블 기판에 압접하고, 대향하는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의 표면을 평탄한 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랙시블 기판의 회로면을 상하 어느 쪽이더라도 확실하게 회로기판과 단자를 접촉, 도통시킬 수 있음(플랙시블 기판의 양면 접촉이 가능)과 아울러, 종래의 단자 형상인 채(압접부만의 변경)로 양면 접속이 가능하다. 또, 상하의 접촉력의 균형을 잡기 쉬워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플랙시블 기판의 회로면을 신경쓰지 않고 단자 압착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어, 대폭적인 공수 삭감으로 된다. 특히, 길게 돌출하는 폭방향으로 긴 돌기부의 표면은 원호상으로 둥근 모양을 띠고 있으므로, 둥근 모양을 띤 부분으로 플랙시블 기판을 압접하므로, 플랙시블 기판을 상처입히지 않고, 플랙시블 기판이 강한 응력으로 접속되게 되어, 신뢰성이 있는 전기적·기계적인 접속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랙시블 기판의 회로면을 상하 어느 쪽이더라도 확실하게 회로기판과 단자를 접촉, 도통시킬 수 있음(플랙시블 기판의 양면 접속이 가능)과 아울러, 종래의 단자 형상인 채(압착부만의 변경)로 양면 접속이 가능하다. 또, 상하의 접촉력의 밸런스를 잡기 쉬워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플랙시블 기판의 회로면을 신경쓰지 않고 단자 압착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되어, 대폭적인 공수 삭감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돌기부의 장변이 에지가 되고, 이들 에지와 플랙시블 기판이 강한 응력으로 접속되게 되어, 신뢰성이 있는 전기적·기계적인 접속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길게 돌출하는 폭방향으로 긴 돌기부의 표면은 원호상으로 둥근 모양을 띠고 있으므로, 둥근 모양을 띤 부분으로 플랙시블 기판을 압접하므로, 플랙시블 기판을 상처입히지 않고, 플랙시블 기판이 강한 응력으로 접속되게 되어, 신뢰성이 있는 전기적·기계적인 접속으로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 금구(1)를 도시하며, 도 4의 전체 사시도에 있어서, 수(雄) 단자 내지는 전선이 삽입 고정되는 통부(2)로부터 이어진 상판(3)과 하판(4)이 평행하게 연장되고, 하판(4)에 배럴(5)을 기립하여 형성하고, 상판(3)과 하판(4)의 서로 마주 향한 내면에 각각 돌기부(6, 7)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하는 것에서는 상기 배럴(5)은 2개 형성되고, 하판(4)의 돌기부(7)를 2개, 상판(3)의 돌기부(6)를 2개의 돌기부(7) 사이에 위치하도록 1개 형성하고 있다. 또, 이 돌기부(6) 형성 개소의 상판(3)에 스프링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돌기부(6)의 양측에 오목부(8)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 5의 배럴(5)을 생략한 단자 금구(1)의 A-A선 절단 단면을 도 6에 도시하고, 이 도 6에서 상판(3)의 2개의 오목부(8)의 하면보다 돌기부(6)가 약간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FPC 등의 플랙시블 기판(10)을 단자 금구(1)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며, 플랙시블 기판(10)에 형성된 구멍(11)에 하판(4)에 형성된 배럴(5)을 삽입하고, 이들 배럴(5)을 안쪽으로 구부려서 상판(3)을 끌어안도록 상판(3)을 하판(4)측으로 끌어당긴다.
도 8은, 도 7의 B-B선의 절단 단면이며, 상판(3)과 하판(4)으로 플랙시블 기판(10)을 끼워 지지하고, 돌기부(6, 7)로 플랙시블 기판(10)을 파형으로 변형시키고, 또한 오목부(8)의 바닥을 플랙시블 기판(10)에 강하게 누르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높이의 차이 때문에 상판(3)의 돌기부(6) 부위의 스프링성이 작용하여, 상방으로 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휨에 의해 돌기(6)에 의한 플랙시블 기판(10)으로의 압력이 높아져, 확실하게 끼워 지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플랙시블 기판(10)(특히 FPC에 유효) 에 경질의 보강판(12)을 설치하고, 이 보강판(12) 부위에서 단자 금구(1)와의 접속을 도모하도록 한 예를 도시한다. 보강판(12)의 하판(4)에 형성된 2개의 돌기부(7)에 닿는 개소는, 돌기부(7)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을 뚫어 둔다.
상하판(3, 4)에 형성된 3개의 돌기부(6, 7)는 2개의 돌기부(7)의 중앙에 돌기부(6)가 위치하고, 도 8의 단면 형상에서는 「W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W형 접속구조에 의해, 플랙시블 기판(10)(멤브레인 회로도 포함함)의 회로면이 상하 어느 쪽이더라도 확실하게 단자 금구(1)를 접촉시켜, 도통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플랙시블 기판(10)을 보다 한층더 강하게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접속을 강고하게 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하판(4)에 형성된 2개의 돌기부(7)의 간격을, 앞의 실시형태에 비해 넓게 하고, 이들 돌기부(7)의 중간에서 상판(3)의 돌기부(6)에 대향하는 하판(4) 부분에 길이방향으로 긴 중앙 돌기부(7A)를 형성한 것이다. 다른 돌기부(6, 7)는 상하판(3, 4)의 폭방향을 따라서 긴 것이며, 돌기부(6)와 중앙 돌기부(7A)는 十자로 겹치는 형태로 된다. 또, 돌기부(7)는 오목부(8)와 대향하고, 서로 十자로 겹치는 형태로 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단자 금구(1)는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수 단자 내지는 전선이 삽입 고정되는 통부(2)로부터 이어진 상판(3)과 하판(4)이 평행하게 연장되고, 하판(4)에 배럴(5)을 기립하여 형성하고, 상판(3)과 하판(4)의 서로 마주 향한 내면에 각각 돌기부(13∼18)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하는 것에서는, 상기 배럴(5)은 좌우에서 2개 1쌍의 것을 2조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돌기부(13 ∼18)는 상판(3)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것을 2개(돌기부(13, 15))와, 이것들의 중간에 폭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것을 1개(돌기부(14))를 형성하고, 하판(4)에 폭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것을 2개(돌기부(16, 18))와, 이들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것을 1개(돌기부(17))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돌기부(13∼18)의 표면을 가늘고 긴 평탄한 면으로 형성하고, 이면측에는 오목부(13A∼18A)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오목부(13A∼18A)는 금속제의 판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박아넣은 부위에 형성되고, 그 프레스되어 튀어나온 부분에 돌기부(13∼18)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3)의 중간에 위치하는 폭방향으로 가늘고 긴 돌기부(14)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14)에 이웃하는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13, 15)보다도 길게 돌출하고(도면에서는 아래쪽으로 길게 뻗음), 하판(4)의 중간에 위치하는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긴 돌기부(17)는 이 돌기부(17)에 이웃하는 폭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16, 18)보다 길게 돌출(도면에서는 상방으로 길게 뻗음)하고 있다.
도 18은 FPC 등의 플랙시블 기판(10)을 단자 금구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고, 플랙시블 기판(10)에 형성된 구멍(H)에 하판(4)에 형성된 배럴(5)을 삽입하고, 이들 배럴(5)을 내측으로 구부리고, 상판(3)을 끌어안도록 상판(3)을 하판(4)쪽으로 끌어당긴다.
도 19는 도 18의 B-B선의 절단 단면이며, 상판(3)과 하판(4)으로 플랙시블 기판(10)을 끼워 지지하고, 돌기부(14, 17)로 플랙시블 기판(10)을 파형으로 변형 시키고, 또한 오목부(13A, 15A)의 바닥을 플랙시블 기판(10)에 강하게 누르면,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높이의 차이 때문에 상판(3)의 돌기(14) 부위의 스프링성이 작용하여 위쪽으로 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휨에 의해 돌기(14)에 의한 플랙시블 기판(10)으로의 가압력이 높아져, 확실하게 끼워 지지할 수 있다.
도 20에서는, 돌기부(14)의 압접상태의 확대된 일부분을 도시하고, 가늘고 긴 형상의 돌기부(14)의 2개의 장변(x)과 이들 장변(x) 사이의 중간부(y)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장변(x)은, 압접되어 중간부(y)가 움푹 들어간 결과, 에지(x)로서 기능하며, 이 에지(x)가 플랙시블 기판(10)에 강하게 접촉한다.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하는 단자 금구는 제 5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수단자 내지는 전선이 삽입 고정되는 통부(2)로부터 이어진 상판(3)과 하판(4)이 평행하게 연장되고, 하판(4)에 배럴(5)을 기립하여 형성하고, 상판(3)과 하판(4)의 서로 마주 향한 내면에 각각 돌기부(13∼18)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하는 것에서는 상기 배럴(5)은 좌우에서 2개 1쌍의 것을 2조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돌기부(13∼18)는 상판(3)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것을 2개(돌기부(13, 15))와 이것들의 중간에 폭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것을 1개(돌기부(14))를 형성하고, 하판(4)에 폭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것을 2개(돌기부(16, 18))와, 이것들의 중간에 길이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것을 1개(돌기부(17))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돌기부(13∼18)의 표면을 가늘고 길게 평탄한 면에 형성하고, 이면측에는 오목부(13A∼18A)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오목부(13A∼18A)는 금속제의 판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박아넣은 부위에 형성되고, 이 프레스되어 튀어나온 부분에 돌기부(13∼18)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3)의 중간에 위치하는 폭방향으로 가늘고 긴 돌기부(14)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14)에 이웃하는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13, 15)보다 길게 돌출하고(도면에서는 하방으로 길게 뻗음), 하판(4)의 중간에 위치하는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긴 돌기부(17)는 이 돌기부(17)에 이웃하는 폭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16, 18)보다 길게 돌출(도면에서는 상방으로 길게 뻗음)해 있다.
도 24는 FPC 등의 플랙시블 기판(10)을 단자 금구(1)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며, 플랙시블 기판(10)에 형성된 구멍(H)에 하판(4)에 형성된 배럴(5)을 삽입하고, 이들 배럴(5)을 내측으로 구부려서 상판(3)을 끌어안도록 상판(3)을 하판(4)측으로 끌어당긴다.
도 25는 도 24의 B-B선의 절단 단면이며, 상판(3)과 하판(4)으로 플랙시블 기판(10)을 끼워 지지하고, 돌기부(14, 17)로 플랙시블 기판을 파형으로 변형시키고, 또한 오목부(13A, 15A)의 바닥을 플랙시블 기판(10)에 강하게 누르면,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높이의 차이 때문에 상판(3)의 돌기부(14) 부위의 스프링성이 작용하여 상방으로 휜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휨에 의해 돌기부(14)에 의한 플랙시블 기판(10)으로의 가압력이 높아져, 확실하게 끼워 지지할 수 있다.
도 26은 상판(3)의 중앙에 형성된 돌기부(14)의 표면 형상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원호상으로 둥근 모양을 띤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27은 이 둥근 모양을 띤 표면 형상이 플랙시블 기판(10)에 압접되었을 때의 형상을 도시하며, 압접부분은 둥근 모양을 보유한 상태이며, 뾰족해진 형태로 플랙시블 기판(10)에 압접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또 다른 종래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 금구의 사시도.
도 5는 배럴을 생략한 도 4에 도시하는 단자 금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으 A-A선 절단 단면도.
도 7은 접속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선 절단 단면도.
도 9는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자 금구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배럴을 생략한 단자 금구의 사시도.
도 12는 접속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C-C선 절단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D-D선 절단 단면도.
도 15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 금구의 사시도.
도 16은 배럴을 생략한 도 15에 도시하는 단자 금구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A-A선 절단 단면도.
도 18은 접속상태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B-B선 절단 단면도.
도 20은 돌기부 선단의 확대도.
도 21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 금구의 사시도.
도 22는 배럴을 생략한 도 21에 도시하는 단자 금구의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A-A선 절단 단면도.
도 24는 접속상태의 사시도.
도 25는 도 23의 B-B선 절단 단면도.
도 26은 돌기부 선단의 확대도.
도 27은 돌기부 선단을 압접한 상태의 확대도.

Claims (10)

  1.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 구조로서, 상기 단자 금구는:
    상판;
    하판;
    상기 하판에 기립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랙시블 기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배럴로서,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기 배럴을 구부려서 상기 플랙시블 기판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서 지지되는, 상기 배럴;
    상기 상판에 형성된 돌기부 및 상기 하판에 형성된 돌기부;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중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기부의 양측에 형성된 이웃하는 돌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기부는 상기 이웃하는 돌기부들보다 길게 돌출하고,
    상기 어느 한쪽에서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상판과 하판 중의 나머지 한쪽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휘어서,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플랙시블 기판을 가압하는 스프링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한쪽에는 두개의 돌기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돌기부들 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이웃하는 돌기부들 중의 어느 하나와 상기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기부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돌기부들 중의 나머지 하나는 상기 이웃하는 돌기부들 중의 나머지 하나와 상기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기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 구조.
  3.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 구조로서, 상기 단자 금구는:
    상판;
    하판;
    상기 하판에 기립하여 형성되고, 상기 플랙시블 기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배럴로서,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기 배럴을 구부려서 상기 플랙시블 기판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서 지지되는, 상기 배럴;
    상기 상판에 형성된 돌기부 및 상기 하판에 형성된 돌기부;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중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기부의 양측에 형성된 이웃하는 돌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한쪽에 형성된 돌기부는 상기 이웃하는 돌기부들보다 길게 돌출하고,
    상기 어느 한쪽에서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상판과 하판 중의 나머지 한쪽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휘어서,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플랙시블 기판을 가압하는 스프링성을 갖고,
    상기 상판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하판에 형성된 돌기부 중의 어느 한쪽은 판의 폭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이고,
    상기 상판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하판에 형성된 돌기부 중의 나머지 한쪽은 판의 길이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이고,
    상기 상판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하판에 형성된 돌기부는 서로 겹쳐졌을 때 십자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폭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돌기부의 양측에 형성된, 판의 길이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이웃하는 돌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판의 폭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돌기부는 상기 판의 길이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이웃하는 돌기부들보다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 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의 길이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돌기부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판의 폭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이웃하는 돌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판의 길이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돌기부는 상기 판의 폭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이웃하는 돌기부들보다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 구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하판에 형성된 돌기부는 각각의 표면이 가늘고 긴 형상의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 구조.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하판에 형성된 돌기부는 각각의 표면이 원호상으로 둥근 모양을 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 구조.
  8. 상판과 하판을 구비한 단자 금구의 하판에 배럴을 기립하여 형성하고, 이 하판의 배럴이 삽입되는 구멍을 플랙시블 기판에 형성하고, 이 구멍에 삽입된 배럴을 구부려서 상판과 하판으로 플랙시블 기판을 끼워 지지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 중의 어느 한쪽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상판과 하판 중의 나머지 한쪽의 폭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서로 십자형으로 겹치도록 대향시켜서 이들 돌기부 사이에 플랙시블 기판을 끼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길이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두개의 돌기부들을 형성하고, 상기 상판의 두개의 돌기부들 사이에 폭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한개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판에 폭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두개의 돌기부들을 형성하고, 상기 하판의 두개의 돌기부들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른 가늘고 긴 형상의 한개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판의 세개의 돌기부들과 상기 하판의 세개의 돌기부들을 각각 서로 십자형으로 겹치도록 대향시켜서 이들 돌기부 사이에 플랙시블 기판을 끼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에 형성된 각각의 세개의 돌기부들은, 중앙에 위치한 한개의 돌기부가 나머지 돌기부들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 구조.
KR20080095069A 2007-10-05 2008-09-29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구조 KR101510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61831A JP4914798B2 (ja) 2007-10-05 2007-10-05 フレキシブル基板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
JPJP-P-2007-00261831 2007-10-05
JP2007261830A JP4914797B2 (ja) 2007-10-05 2007-10-05 フレキシブル基板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
JPJP-P-2007-00261830 2007-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423A KR20090035423A (ko) 2009-04-09
KR101510768B1 true KR101510768B1 (ko) 2015-04-10

Family

ID=4026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5069A KR101510768B1 (ko) 2007-10-05 2008-09-29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80884B2 (ko)
EP (1) EP2051334A3 (ko)
KR (1) KR101510768B1 (ko)
CA (1) CA264564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6452A (ja) * 2009-10-28 2011-05-12 Yazaki Corp 圧着端子
JP5824369B2 (ja) 2012-01-18 2015-11-25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回路体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US11296441B2 (en) * 2020-07-02 2022-04-0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Electrical terminal for flat flexible cables
US11296440B2 (en) * 2020-07-02 2022-04-0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Electrical terminal for flat flexible cab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6422A2 (en) 1987-04-10 1988-10-1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P0926764A2 (en) 1997-12-26 1999-06-3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for flexible flat cable
JP2006172751A (ja) 2004-12-13 2006-06-29 Fujikura Ltd 回路基板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1925A (ja) 1990-03-20 1991-12-03 Fujitsu Ltd メモリーディスク装置
US5450664A (en) * 1993-11-18 1995-09-19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mid-cable termination
JPH10271925A (ja) 1997-03-28 1998-10-13 Hiroshi Goto 水耕栽培装置
JP3121591B1 (ja) 1999-08-04 2001-01-09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
WO2004084353A1 (de) * 2003-03-17 2004-09-30 Lear Corporation Elektrisches kontaktelement für einen flachlei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6422A2 (en) 1987-04-10 1988-10-1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4832620A (en) 1987-04-10 1989-05-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P0926764A2 (en) 1997-12-26 1999-06-3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for flexible flat cable
JP2006172751A (ja) 2004-12-13 2006-06-29 Fujikura Ltd 回路基板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45649C (en) 2013-10-29
US20090098752A1 (en) 2009-04-16
EP2051334A2 (en) 2009-04-22
CA2645649A1 (en) 2009-04-05
KR20090035423A (ko) 2009-04-09
EP2051334A3 (en) 2010-02-24
US7980884B2 (en)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2405A1 (e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connector using same
EP1075048A1 (en) Board-to-board connector capable of readily electrically connecting two parallel boards to each other
CN105934855B (zh) 连接器和用于这种连接器的插针接收接触件
KR101539873B1 (ko) 기판 접속용 단자
JP2007184222A (ja) コネクタ
KR20130124353A (ko)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EP3273157B1 (en) Led lamp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CN110165443B (zh) 一种电路板堆叠结构、安装方法及终端
JP491479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
KR101510768B1 (ko) 플랙시블 기판과 단자 금구의 접속구조
US20190020141A1 (en) Card edge connector
CN2571015Y (zh) 电连接器端子
JP488902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
KR20050026917A (ko) 수컷형 봉 모양 접속단자 및 그 제조방법
US2010006893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 sheath
KR101357166B1 (ko) 회로기판 실장용 커넥터 구조
JP4927454B2 (ja) コネクタ
JP6256129B2 (ja) 圧接端子
CN1241300C (zh) 用于印刷电路板的电连接器
JP4914798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
JP2014165065A (ja) コネクタ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JP4878615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3707016B2 (ja) コネクタ
WO2015136790A1 (ja) 圧接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