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771B1 - Head lamp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Head lamp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9771B1 KR101489771B1 KR20130158442A KR20130158442A KR101489771B1 KR 101489771 B1 KR101489771 B1 KR 101489771B1 KR 20130158442 A KR20130158442 A KR 20130158442A KR 20130158442 A KR20130158442 A KR 20130158442A KR 101489771 B1 KR101489771 B1 KR 1014897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ight source
- source module
- drl
- fo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abstract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442 weekl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700039143 LAMP2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21S41/334—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 F21S41/336—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with discontinuity at the junction between adjacent area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개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간운전시 자동차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주간주행등으로의 선택적 활용이 가능케 하는 자동차용 안개등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g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g lamp for an automobile which enables selective use of a vehicle during daytime running, which enables easy recognition of a car during daytime driving.
자동차에 설치되는 등화장치는 운전자의 시야확보와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 대하여 위치를 표시해주는 안전수단이다. An equalizer installed in an automobile is a safety measure for securing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and indicating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other vehicles or pedestrians.
특히 자동차의 안개등은 안개가 끼거나 비가 내릴 경우 교행차량 및 선행차량에게 자신의 차량위치를 알려주어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In particular, the fog lamp of a vehicle informs the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of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n case of fog or rain, so that the driver can safely drive the vehicle.
안개등은 투과성이 양호한 담황색의 전구를 사용하며, 빛이 위로 향하게 되면 안개등 입자에 의하여 난반사를 일으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기 때문에 주광축 위로 향하지 않도록 주로 낮은 위치의 앞범퍼 양측에 설치하며, 수평방향으로 확산각도를 넓히고 균일하게 배광되도록 한다. The fog lamp uses a light yellow light bulb with good transparency. When the light is directed upward, it causes diffuse reflection by the fog light particles to obstruct the view of the driver. Therefore,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bumper, Widen the angle of diffusion and distribute it uniformly.
이처럼 안개등의 빛이 전방으로 조사되는 각도는 자동차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일정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하며, 국내법규(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안개등의 광도기준[별표20]’에는 안개등이 전방으로 조사될 때 조사되는 구역별 광도(칸델라) 기준이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In this way, the angle at which the light of the fog light is irradiated forward should not deviate from a certain rang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and the fog light is forward The criteria for the area (candela) to be examined when surveyed is specified specifically.
한편 주간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amps)은 주간 점등을 위해 기존 등화장치 외에 별도의 전용 등화를 설치하는 것으로 시동과 동시에 점등이 되며, 그 목적은 주간 운행시 운전자나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켜주는 것은 물론 교통사고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며 사회적 손실비용 감소 및 선진교통문화조성에 앞장서기 위해서이다. On the other hand, DRL (Daytime Running Lamps)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as the start lighting by installing a separate exclusive lighting in addition to the existing lighting devices for lighting the daytime. The purpose is to alert the driver or pedestrian It is also necessary to secure the safety of the people from traffic accidents, to reduce social loss costs and to lead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ransportation culture.
이미 EU에서는 주간주행등 규정을 1992년부터 제정해 2011년부터 유럽전역으로 의무장착토록 되어 있으며, 최근 국내법규(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도 개정되면서 국내에서 출시되는 차량에도 주간주행등을 설치할 수 있는 조항(제38조의4 주간주행등)을 신설하였으며, ‘주간주행등의 광도기준[별표28의3]’에는 주간주행등의 광도(칸델라) 에 관한 기준이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Already in the EU, regulations on daytime driving have been enacted since 1992 and are mandatory to be applied throughout Europe from 2011. Recently, domestic regulations (regulations on automobile safety standards) have been revised, (Article 38, 4-week driving), and the criteria for brightness (candelas) such as daytime driving are specified in the light intensity criterion such as weekly driving [Appendix 28-3].
그에 따라 최근 출시된 국산차나 외제차는 주간주행등을 기본적으로 탑재하는 추세이다. Accordingly, recently launched domestic and foreign cars are basically equipped with weekly driving.
그러나 일반적으로 주간주행등을 별도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차량 앞면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야 한다. In general, however, a separate space must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in order to install the daytime running lights separately.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앞면에 주간주행등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치 않으며, 주간주행등으로의 선택적 활용이 가능케 하는 자동차용 안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obile fog lamp which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pace for installing a daytime running light on the front surface of a vehicle, and which enables selective use of the vehicle during daytime driv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개등에 있어서, 전면에 렌즈(10)가 결합되는 하우징(50) 내부에 방열판 조립체(40)와 내부 공간을 갖는 반구형의 리플렉터(20)가 순착적으로 내장되게 결합하되, 방열판 조립체(4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DRL(주간주행등)용 광원모듈(30)과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을 결합하고, 리플렉터(20)의 본체 내부에는 수평방향의 구획판(22)을 형성하여 상하로 구분되게 구성하고 리플렉터(20)의 내면에는 상기 구획판(22)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DRL반사판(24)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안개등 반사판(25)을 형성하며, 구획판(22)에는 상측 빛투과공(28)과 하측 빛투과공(29)를 형성하여 상기 DRL용 광원모듈(30)과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의 빛을 각각 DRL반사판(24)과 안개등 반사판(26)으로 빛이 조사되게 구성하여 운전시 주간주행등으로 선택적 이용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g lamp for an automobile, wherein a heat sink assembly (40) and a hemispherical reflector (20) having an internal space are arranged inside the housing (50) Th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개등을 구성함에 있어 내부공간을 갖은 반구형 리플렉터의 내부에 구획판 기준으로 상부의 DRL반사판과 하부의 안개등 반사판을 형성하고, DRL용 광원모듈과 안개등용 광원모듈의 빛을 각각 DRL반사판과 안개등 반사판으로 빛이 조사되게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앞면에 주간주행등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치 않고 안개등을 통해 운전시 주간주행등으로 선택적 이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DRL reflector on the upper side and a reflector on the lower side are formed on the basis of a partition plate in a hemispherical reflector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the lights of the light source module for DRL and the light source module for fog lamp are respectively DRL The light is irradiated by the reflector and the reflector of the fog light, so that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pace for installation of the daytime running light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ght can be selectively used by driving the vehicle during the daytime running through the fog ligh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개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구성도,
도 3은 안개등의 일부 절개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열판 조립체에 광원모듈이 결합되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개등의 리플렉터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빛의 진행 경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구성도,
도 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간주행등 모드시 전방 25m에 위치한 스크린에 나타나는 빛의 형상을 보여주는 광분포도,
도 7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개등 모드시 전방 25m에 위치한 스크린에 나타나는 빛의 형상을 보여주는 광분포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g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g lamp,
4 is a view illustrating a light source module coupled to a heat sin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flector of a fog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ght propagatio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A is a view illustrating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showing the shape of light appearing on a screen located 25 m ahead in the daytime running light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graph showing the shape of light appearing on a screen located 25 m ahead in the fog lamp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자동차용 안개등(2)은 주간운전시 자동차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앞면에 주간주행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현하되 법규 배광을 만족하기 위한 구성을 가진다. The automobile fog lamp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perform functions such as daytime running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hicle so as to easily recognize the automobile during the daytime operation, and has a configuration for satisfying the regulated light distribu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안개등(2)은 렌즈(10), 리플렉터(20), DRL용 광원모듈(30)과 안개등용 광원모듈(32), 방열판조립체(40), 하우징(50)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브라켓(60) 등을 매개로 차량 앞면의 범퍼 등에 결합고정된다. 1 to 3, a
상기 하우징(50)은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그 내부에 방열판 조립체(40)와 리플렉터(20)가 순착적으로 내장되어 결합되며, 하우징(50)의 전면에는 렌즈(10)가 결합된다. The
도 4를 참조하면 다수개의 방열판들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방열판 조립체(4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DRL(주간주행등)용 광원모듈(30)과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을 결합되며, 광원모듈(30)(32)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을 방출하는 기능을 한다. Referring to FIG. 4, a
상기 광원모듈(30)(32)들은 회로기판으로 구현할 수 있는 지지판(36)에 LED램프(34)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방열판 조립체(40)는 상기 광원모듈(30)(32)들을 결합하기 위한 안착홈(42)을 별도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리플렉터(20)는 방열판 조립체(40)의 전방에 결합되며 방열판 조립체(40)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광원모듈(30)(32)의 빛을 각각 반사하는 구성을 가진다. The
즉 도 5를 참조하면, 리플렉터(20)는 내부 공간을 갖는 반구 형상을 가지며, 리플렉터(20)의 본체 내부에는 수평방향의 구획판(22)을 형성하여 내부를 상하로 구분되게 한다. That is, referring to FIG. 5, the
리플렉터(20)의 본체 내면에는 상기 구획판(22)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DRL 반사판(24)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안개등 반사판(25)을 형성한다.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그리고 구획판(22)의 후방에는 상측 빛투과공(28)과 하측 빛투과공(29)를 각각 형성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 조립체(40)와 결합시에 상측 빛투과공(28)은 DRL용 광원모듈(30)의 상부에 대응되게 형성하고 하측 빛투과공(29)은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의 하부에 대응되게 형성한다. 3, an upper
따라서 도 6와 같이 DRL용 광원모듈(30)에서 발산되는 빛은 리플렉터(20)의 상측 빛투과공(28)을 지나 DRL반사판(24)에 의해 반사되어 “A”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고, 안개등용 광원모듈(32)에서 발산되는 빛은 리플렉터(20)의 하측 빛투과공(29)을 지나 안개등 반사판(25)에 의해 반사되어 “B”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6,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for
본 발명에서 리플렉터(20)의 구획판(22)은 바람직하게 상판(22a)과 하판(22b)으로 형성하고, 상판(22a)과 하판(22b)에 각각 상측 빛투과공(28)과 하측 빛투과공(29)를 형성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판(22a)과 하판(22b)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하여 이격공간부(27) 내에 DRL용 광원모듈(30)과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을 결합고정하는 방열판 조립체(40)의 선단부가 끼움결합되게 구성한다. The
이러한 구조적 결합은 하우징(50) 내부에 순차적으로 내장 결합되는 리플렉터(20)와 방열판 조립체(40) 및 방열판 조립체(40)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광원모듈(30)(32)이 서로 간에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50) 내부 공간을 최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주간주행등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도록 해준다.
Such a structural coupling is achieved by the
상기 구성의 자동차용 안개등(2)은 주간 운행시 주간주행등으로 사용하다가 안개가 끼거나 비 또는 눈이 많이 오는 날 안개등으로 사용이 가능토록 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조작으로 구현된다. The
먼저 자동차의 시동시에는 DRL용 광원모듈(30)과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이 모두 점등되어 주간주행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The
즉 도 6을 참조하면 주간주행등 모드시에는 두 개의 광원모듈(30)(32)이 모두 점등되어 나오는 빛이 각각 DRL 반사경(24)과 안개등 반사경(25)에서 반사된 후 “A”와“B” 방향으로 진행하여 합동으로 주간주행등의 광도기준(400칸델라∼1200칸델라)에 유효한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게 되며, 도 7a에서와 같이 안개등의 전방 25m에 위치한 스크린에 나타나는 빛의 형상으로 조사된다. That is, referring to FIG. 6, in the daytime running light mode, light emitted from both the
한편 국내법규(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안개등의 광도를 940칸델라 이상 1만칸델라 이하로 규정하고 있으며, 본원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의 밝기도 이에 준하여 설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uminance of the fog lamp is set at 940 candelas or more and 10,000 candelas or less in the domestic regulations (regulations on automobile safety standards), and the brightness of the
이럴 경우 주간주행등 모드시 안개등용 광원모듈(32)도 점등되는바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이 최대 밝기로 점등된다면 주간주행등의 광도 기준인 400칸델라∼1200칸델라보다 훨씬 밝은 빛으로 비추게 되어 주간주행등의 광도기준에 맞지 않게 된다. In this case, the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주간주행등 모드시에는 안개등용 광원모듈(32)에서 조사되는 빛이 최대 밝기로 조사되도록 하지 않고, 최대밝기의 광도(칸델라) 기준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밝기로 조사되게 하되, DRL용 광원모듈(30)과 합동하여 주간주행등의 광도기준(400칸델라∼1200칸델라)에 유효하도록 전방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ylight driving mo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fog lamp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의 광도를 밝게 또는 어둡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가변저항을 매개로 구현할 수 있다. In order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fog
다음으로 안개가 짙은 날이나 비 또는 눈이 많이 오는 날에는 안개등을 켜야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안개등(2)에서 안개등 모드시에는 자동적으로 DRL용 광원모듈(30)은 꺼지고, 안개등용 광원모듈(32)만 점등된다. Next, you should turn on the fog lights on foggy days or on rainy or snowy days. In the automobile fog lamp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L light source module (30) is automatically turned off and only the fog light source module (32) is lit up.
즉 도 6을 참조하면 주간주행등 모드시에는 DRL용 광원모듈(30)은 꺼지고 안개등용 광원모듈(32)만 점등되어 안개등 반사경(25)에 반사된 후 “B”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That is, referring to FIG. 6, in the daytime running light mode, the
이때는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이 설정된 최대의 밝기로 빛을 발산하게 되어 안개등의 광도기준에 유효하게 전방으로 조사되며, 도 7b에서와 같이 안개등의 전방 25m에 위치한 스크린에 나타나는 빛의 형상으로 조사된다.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module for a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안개등(2)은 차량의 앞면에 주간주행등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치 않으며, 안개등을 통해 주간 운행시 주간주행등으로 선택적 이용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obile fog
미설명 부호 (62)는 안개등의 조사각도 조절용 에이밍볼트이고, (64)는 광원모듈(30)(32)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커넥터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개등에 이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fog lamp of an automobile.
(2)--자동차용 안개등 (10)--렌즈
(20)--리플렉터 (22)--구획판
(24)--DRL 반사판 (25)--안개등 반사판
(27)--이격공간부 (28)--상측 빛투과공
(29)--하측 빛투과공 (30)--DRL용 광원모듈
(32)--안개등용 광원모듈 (40)--방열판 조립체
(50)--하우징 (60)--브라켓 (2) - Automotive fog lights (10) - Lens
(20) - reflector (22) - partition plate
(24) - DRL reflector (25) - Fog light reflector
(27) - spacing space (28) - upper light transmission hole
(29) - lower light transmission hole (30) - light source module for DRL
(32) a light source module (40) for a fog light - a heat sink assembly
(50) - housing (60) - bracket
Claims (3)
전면에 렌즈(10)가 결합되는 하우징(50) 내부에 방열판 조립체(40)와 내부 공간을 갖는 반구형의 리플렉터(20)가 순착적으로 내장되게 결합하되,
방열판 조립체(4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DRL(주간주행등)용 광원모듈(30)과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을 결합하고,
리플렉터(20)의 본체 내부에는 수평의 구획판(22)을 상판(22a)과 하판(22b)으로 상하 이격되게 구성하고 상기 구획판(22)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DRL반사판(24)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안개등 반사판(25)을 형성하며, 구획판(22)의 상판(22a)과 하판(22b)에는 각각 상측 빛투과공(28)과 하측 빛투과공(29)를 형성하여 상기 DRL용 광원모듈(30)과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의 빛을 각각 DRL반사판(24)과 안개등 반사판(26)으로 빛이 조사되게 구성하며, 상판(22a)과 하판(22b)의 이격공간부(27) 내에 DRL용 광원모듈(30)과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을 결합고정하는 방열판 조립체(40)의 선단부가 끼움결합되게 구성하여 운전시 주간주행등으로 선택적 이용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개등.
In automobile fog lights,
A heat sink assembly 40 and a hemispherical reflector 20 having an internal space are integrally embedded in the housing 50 to which the lens 10 is coupled,
The light source module 30 for the DRL (daytime running light) and the light source module 32 for the fog light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eat sink assembly 40,
A horizontal partition plate 22 is vertically spaced by a top plate 22a and a bottom plate 22b inside the main body of the reflector 20 and a DRL reflector 24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plate 22 The upper light shielding plate 28 and the lower light shielding plate 29 are formed on the upper plate 22a and the lower plate 22b of the partition plate 22, The light from the module 30 and the light source module for a fog lamp 32 is illuminated by the DRL reflector 24 and the fog light reflector 26 respectively and the space 27 And a front end portion of a heat sink assembly 40 for coupling and fixing the light source module 30 for a DRL and the light source module 32 for a fog light is fitted and fitted so that they can be selectively used for driving during the daytime during operation. Automotive fog lights.
자동차의 시동시 DRL용 광원모듈(30)과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이 모두 점등되게 하여 주간주행등의 광도기준에 유효하게 전방으로 조사되게 하되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은 설정된 최대 밝기의 광도(칸델라) 기준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밝기로 조사되게 하며, 안개등 모드시 DRL용 광원모듈(30)이 꺼지고 안개등용 광원모듈(32)은 설정된 최대 밝기의 광도(칸델라)로 조사되게 하여 안개등의 광도기준에 유효하게 전방으로 조사되게 구성하여 운전시 주간주행등으로 선택적 이용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개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source module for DRL 30 and the light source module for a fog lamp 32 are both turned on at the time of starting the vehicle so as to effectively illuminate forward light intensity standards such as daytime running, The light source module for DRL 30 is turned off and the light source module for a fog lamp 32 is illuminated with a light intensity of a set maximum brightness (candela) in the fog light mode, The fog lamp is configured such that it can be effectively irradiated forward in the standard, so that it can be selectively used for driving during the daytime during oper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58442A KR101489771B1 (en) | 2013-12-18 | 2013-12-18 | Head lamp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58442A KR101489771B1 (en) | 2013-12-18 | 2013-12-18 | Head lamp for vehic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9771B1 true KR101489771B1 (en) | 2015-02-04 |
Family
ID=5259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58442A KR101489771B1 (en) | 2013-12-18 | 2013-12-18 | Head lamp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977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2117B1 (en) * | 2019-01-31 | 2019-06-24 | (주)에이엠에스 | Fog light of vehicle equipped with halogen lamp capable of being replaced with led bulb as light source |
KR101992616B1 (en) | 2019-01-31 | 2019-06-25 | (주)에이엠에스 | Automobile fog light with a housing having a reflector integrally provided therei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1949Y1 (en) * | 2010-07-07 | 2012-08-16 | 주식회사 알리 | Fog lamp module for vehicle |
-
2013
- 2013-12-18 KR KR20130158442A patent/KR10148977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1949Y1 (en) * | 2010-07-07 | 2012-08-16 | 주식회사 알리 | Fog lamp module for vehic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2117B1 (en) * | 2019-01-31 | 2019-06-24 | (주)에이엠에스 | Fog light of vehicle equipped with halogen lamp capable of being replaced with led bulb as light source |
KR101992616B1 (en) | 2019-01-31 | 2019-06-25 | (주)에이엠에스 | Automobile fog light with a housing having a reflector integrally provided therei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61880B2 (en) | High efficiency light pipe—H.E.L.P. | |
US8057081B2 (en) | Light guide for vehicle lamp assembly | |
KR101235315B1 (en) | Automotive lamp | |
CN105090853B (en) | Lighting device and the automobile for possessing lighting device | |
US9506617B2 (en) | Combination LED fog lamp and daytime running lamp | |
US7635209B2 (en) | Lamp for vehicle and lamp-mounted vehicle | |
KR101410878B1 (en) | Head lamp for vehicles | |
KR20130044341A (en) | Signalling lamps for motor vehicle | |
KR101405385B1 (en) | Lamp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
EP2075500B1 (en) | Vehicle headlamp | |
US9765940B2 (en) | Lighting apparatus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 |
JPWO2019035433A1 (en) | Self-driving vehicle | |
CN109070795B (en) | Rear signal device with multiple lighting functions | |
KR101307976B1 (en) | Multi-layered led module and led headlamp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
KR20110061369A (en) | Head lamp of vehicles | |
KR101360345B1 (en) | Lamp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
KR101489771B1 (en) | Head lamp for vehicles | |
US20160243979A1 (en) | Headlight for a motor vehicle | |
JP2007196906A (en) | Vehicle equipped with lamp body | |
KR101416469B1 (en) | Lamp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
KR102250659B1 (en) | Optical lens for vehicles and vehicle lamp using the same | |
KR101472481B1 (en) | Fog lamp for car with led | |
JP4611935B2 (en) | Vehicle lamp | |
JP2020128104A (en) | Lighting fixture for vehicle | |
JP6162543B2 (en) | Vehicle headlam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