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983B1 - A chair with improved waist bearing power - Google Patents
A chair with improved waist bearing pow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9983B1 KR101479983B1 KR20130121125A KR20130121125A KR101479983B1 KR 101479983 B1 KR101479983 B1 KR 101479983B1 KR 20130121125 A KR20130121125 A KR 20130121125A KR 20130121125 A KR20130121125 A KR 20130121125A KR 101479983 B1 KR101479983 B1 KR 1014799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backing
- plate
- straddle type
- back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착석자의 자중에 의해 등판링크가 회전되어 시트부의 위치 및 등판의 장력이 조절되어 착석자의 허리부분을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리부에 연결설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선단 하부가 연결설치되는 시트부와, 지지부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는 등판포스트와, 등판포스트의 상단에 상부 일측이 연결되는 등판프레임과, 등판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돌출형성된 결합봉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장홈을 구비하고, 시트부 후단 하부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등판링크와, 등판프레임에 상단과 양측단이 고정되고, 등판링크에 하단이 고정되어 등판링크의 회전이동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는 등판과, 등판포스트에 고정설치되고 등판링크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축에 의해 연결되는 링크고정대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in which a waist supporting force is strengthened by its own weight, and its object is to rotate the back link by the self weight of a seated person an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part and the tension of the back plate to stably and firmly support the waist of the seated person So that the waist supporting force is strengthened by the weight of the chai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re fixed to the back plate fram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fixed to the lower plate and the lower plate, respectively, A lower plate fixed to the back plate link so that the tension is adjust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ack plate link and a link plate fixed to the back plate post and connected by a coupling shaft so that the back plate link is rotata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시트부에 앉는 착석자의 자중에 의해 등판 장력이 조절되어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는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whose waist support force is strengthened by its own weigh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 back support force is strengthened by a self-weight capable of supporting a waist of a seated person by adjusting a back tension by a self- .
일반적으로, 의자는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현장 등에서 매우 장시간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의자프레임과, 상기 의자프레임에 배치되는 시트부, 등받이부 및 팔걸이부 등으로 구성된다.Generally, a chair is widely used for a very long time in a home, an office, a field, or the like, and is composed of a chair frame, a seat part arranged on the chair frame, a backrest part and an armrest part.
최근,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서, 착석시 사용자로 하여금 최선의 착석감과 편안함을 제공하여 장시간 앉아 있더라도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도를 덜어 줄 수 있는 의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need for a chair that can provide a user with the best feeling of seating and comfort during sitting, which can relieve the fatigue of the user even if he or she sits for a long time.
특히, 장시간동안 공부나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므로, 이러한 올바르지 못한 자세는 척추에 무리를 주게 되어 디스크나 척추의 휨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착석자가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도록 유도하거나, 착석자의 허리부분을 지지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In particular, if you study or work for a long time, your posture will be disturbed, and this incorrect posture may cause a strain on your spine, which can cause disc or vertebral flexion, It is very important to induce or support the waist of the seated person.
착석자의 피로감을 덜어주기 위하여,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의자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의자는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면서 허리를 받쳐주는 부분이 없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허리부분이 오히려 더 불편하게 되고 편안한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는 등받이와 사용자의 허리 사이에 보조쿠션을 넣어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사용하여 하며 이러한 보조쿠션은 분실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보조쿠션을 오래 사용할 경우 쿠션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납작하게 변하여 보조쿠션의 재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새로운 쿠션으로 교체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relieve the fatigue of a seated person, a chair with its backrest tilted backward is widely used. However, the chair with its backrest is tilted backward, so that the backrest support portion is lost and the waist of the user is more inconvenient In order to take a comfortable rest, an auxiliary cushion is placed between the backrest and the user's back so as to support the back of the user. This auxiliary cushion has a problem of being lost, and when the auxiliary cushion is used for a long time, So that the auxiliary cushion does not play the role of a new cushion.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자의 자중에 의해 등판링크가 회전되어 시트부의 위치 및 등판의 장력이 조절되어 착석자의 허리부분을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r in which the backing link is rotated by the self weight of a seated pers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portion and the tension of the backing plate so that the waist supporting force is strengthened by self weight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waist portion of the seated person will b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착석자세에 따라 시트부가 앞쪽으로 소정각도가 회전되도록 하여, 장기간 착석에 따른 사용자의 허리 및 둔부부담을 줄이고, 사용자의 업무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t occupancy control apparatus and a seat occupancy control method for a seat occupant,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waist and foot load of a user due to long- Thereby providing a chair with enhanced bearing capacity.
본 발명은 다리부에 연결설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선단 하부가 연결설치되는 시트부와, 지지부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는 등판포스트와, 등판포스트의 상단에 상부 일측이 연결되는 등판프레임과, 등판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돌출형성된 결합봉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장홈을 구비하고, 시트부 후단 하부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등판링크와, 등판프레임에 상단과 양측단이 고정되고, 등판링크에 하단이 고정되어 등판링크의 회전이동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는 등판과, 등판포스트에 고정설치되고 등판링크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축에 의해 연결되는 링크고정대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straddle type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re fixed to the back plate fram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fixed to the lower plate and the lower plate, respectively, A lower plate fixed to the back plate link so that the tension is adjust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ack plate link and a link plate fixed to the back plate post and connected by a coupling shaft so that the back plate link is rotatable.
본 발명은 시트부와 등판프레임이 등판링크에 의해 연결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등판프레임 및 등판링크에 연결되어 신축성을 구비한 등판이 설치되므로, 사용자의 시트부 착석시, 사용자의 자중에 의해 등판링크가 회전되어 등판프레임을 소정거리 이동시킴과 동시에 등판의 장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적당한 압력으로 사용자의 허리부분이 자연스럽게 지지되게 되며, 착석만으로도 사용자의 허리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seat portion and the backrest frame are constructed such that the connection portion is rotatable by the backrest link and the backrest plate is connected to the backrest frame and the backrest link to provide elasticity, The backing link is rotated to move the backing frame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t the same time the tension of the backing plate is increased so that the waist portion of the user is naturally supported by an appropriate pressure and the waist of the user can be supported efficiently by just sitting,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등판은 등판프레임에 상부 및 양측부가 고정되고, 하부가 등판링크에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착석에 따른 자중으로 인하여, 등판의 하부가 당겨지게 될 경우, 등판의 증가된 장력은 사용자의 등 및 허리 접촉부분에 집중되게 되므로, 사용자의 허리부분이 탄탄하게 지지되며, 허리 위쪽에 위치하는 등판의 일측은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상태를 구비하게 되어 사용자의 등 윗부분에 대해서는 편안하고 안정적인 지지감을 부여하게 된다.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ing plate is pulled due to the weight of the user due to the sitting of the user, the increased tension of the backing plate is lower than that of the user So that the waist portion of the user is firmly supported, and the one side of the back plate located above the waist has a relatively soft state, so that a comfortable and stable supporting feeling is provided to the user's upper back portion .
본 발명은 등판링크에 의해 신축성을 구비하는 등판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의 등 및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과도하게 등판의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등판프레임에 조립하지 않아도 되므로, 등판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tension of the back plate having elasticity is controlled by the back plate link and it is not necessary to assemble the back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of the back plate is excessively maintained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user's back and waist, The assemblabi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등판이 신축력을 구비하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장력 및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다. Since the back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t is possible to more securely suppor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user's waist portion by the tension and the elastic for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여, 안락감을 높이고, 장기간 착석하여도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중에 따라 허리지지력이 변화되므로, 인체공학적으로 또한 최적압력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통증을 예방 및 완화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ositively support the waist portion of the user, improve the comfort, prevent the posture from being disturbed even if the user is se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change the waist supporting force according to the user's own we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alleviate the pain of the user.
본 발명은 시트부와, 등판이 설치된 등판프레임이 등판링크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시트부에 착석한 사용자가 상체를 앞부분으로 기울일 경우, 시트부가 앞쪽으로 하향 기울어지도록 되어, 사용자가 포워드 자세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ortion and the backing frame provided with the backing plate are rotatably connected by the backrest link so that when the user who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tilts the upper body toward the front portion, the seat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forward, The posture can be easily maintained.
즉, 본 발명은 시트부가 앞쪽으로 하향 기울어지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의 허리부담을 줄이고, 둔부 및 허벅지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포워드 자세의 유지는 신체의 부담을 최소화시키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자세이므로, 사용자의 업무 집중력 향상을 통해, 업무능률 및 공부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to the front side, so that the load on the user's waist can be reduced, the pressure felt on the buttocks and thighs can be reduced, and the fatigue of the user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maintaining the forward posture minimizes the burden on the body and improves the concentration, it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and the study efficiency by improving the work concentr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은 시트부와 등판프레임이 등판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어 사용자의 옷 등으로 인한 문제(걸림, 찢어짐 등등)가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시각디자인 측면에서도 심플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seat portion and the backing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acking plate link, so that the assembling time can be shortened,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the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 is not only a problem (hanging, tearing, etc.) caused by the user's clothes, etc., but also a simple appearance in terms of visual design can be realize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등판링크와 링크고정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고정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 등판링크의 작동에 따른 등판 장력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대한 사용자 미착석시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스프링 미설치)
도 7 은 본 발명에 대한 사용자 미착석시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스프링설치)
도 8 은 본 발명에 대한 사용자 착석시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대한 사용자 착석시의 포워드 자세상태를 보인 예시도1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ck link and a link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ink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a back plate tens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ck plate lin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user in the non-se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ring-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n a user is not seated (spring installa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at the time of user se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forward posture state at the time of user se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등판링크와 링크고정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고정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 등판링크의 작동에 따른 등판 장력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대한 사용자 미착석시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스프링 미설치)를, 도 7 은 본 발명에 대한 사용자 미착석시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스프링설치)를, 도 8 은 본 발명에 대한 사용자 착석시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에 대한 사용자 착석시의 포워드 자세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back link and a link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back link and a link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ink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ack plate tension s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back l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FIG. 7 is an exemplary view (spring mounted state) showing a state when the user is not se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user is seated in th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orward posture state at the time of user se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리부(10)에 연결설치되는 지지부(20)와, 지지부(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선단 하부가 연결설치되는 시트부(30)와, 지지부(20)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는 등판포스트(40)와, 등판포스트(40)의 상단에 상부 일측이 연결되는 등판프레임(50)과, 등판프레임(50)의 하단 양측에 돌출형성된 결합봉(51)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장홈(61)을 구비하고, 시트부(30) 후단 하부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등판링크(60)와, 등판프레임(50)에 상단과 양측단이 고정되고, 등판링크(60)에 하단이 고정되어 등판링크(60)의 회전이동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는 등판(70)과, 등판포스트(40)에 고정설치되고 등판링크(6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축(81)에 의해 연결되는 링크고정대(80)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본 발명은 링크고정대(80)내에 일측단이 접촉지지되고 타측단이 링크고정대(80)를 관통하여 등판링크(60) 일측에 접촉지지되며, 결합축(81)에 의해 링크고정대(80)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contactably supported in the
상기 다리부(10)는 지지프레임(11) 하단에 복수의 회전바퀴(12)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1)의 중앙에 시트부(30)와 지지부(20)를 지지 및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중앙지주(13)가 설치되어 있다. The
상기 중앙지주(13)는 가스압, 유압, 공압 등에 의해 구동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은 다리부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상기 지지부(20)는 일측이 시트부(30)에 연결되고, 타측이 등판포스트 및 다리부(10)에 연결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부(20)는 다리부의 중앙지주(13) 상단에 연결설치되어, 중앙지주의 작동에 의해 상하이동된다.
One side of the
상기 시트부(3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31)과, 상기 좌판 하부면에 고정설치되어 선단시트축(33)에 의해 지지부(20)와 연결되고, 후단시트축(34)에 의해 등판링크(60)와 연결되는 고정브래킷(32)을 포함한다.
The
상기 등판포스트(40)는 지지부에 연결되는 하부포스트(41)와, 상기 하부포스트(41)와 소정경사각을 구비하도록 굴곡을 구비하며 일체로 형성되고 등판프레임(50)이 등판축(43)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포스트(42)를 포함한다. The
즉, 상기 등판포스트(40)는 상부포스트(42)의 상단이 등판프레임(50)과 등판축(43)에 의해 힌지축 결합되고, 상부포스트(42)와 하부포스트(41)가 연결되는 연결부분(44)이 의자의 후단방향(B)으로 후퇴하면서 지지부(20) 방향으로 하향 굴곡지도록 구부러지며, 하부포스트(41)의 하단이 지지부(20)에 고정설치된다.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upper post 42 is hinge-shaft-coupled to the lower end post 42 by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등판포스트(40)는 하부포스트(41)와 상부포스트(42)가 전체적으로 경사진 'ㄴ'자 형상을 구비하며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된다.
The
상기 등판프레임(50)은 등판의 상단 및 양측이 고정지지되는 것으로, 상부가 등판축(43)에 의해 등판포스트(40)에 연결되고, 등판링크(60)가 삽입결합되도록 하부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하부의 양측단에는 서로 마주보며 결합봉(51)이 돌출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되는 접촉부(52)가 선단방향(F) 즉, 착석한 사용자의 등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지어 돌출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즉, 상기 등판프레임(50)은 상부 일측이 등판축(43)에 의해 등판포스트(40) 상단에 연결되고, 하부의 개방된 부위에 등판링크(60)가 삽입되며, 하부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봉(51)이 등판링크(60)의 장홈(61)내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등판프레임의 결합봉(51)은 부시, 와셔 등에 의해 장홈(61)내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되며, 이와 같은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등판링크(6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프레임(50)에 연결되는 상부링크(62)와, 상기 상부링크(62)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부 끝단이 후단 시트축(34)에 의해 시트부(30)에 연결되며 결합축(81)에 의해 링크고정대(80)에 연결되는 하부링크(6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상기 상부링크(62)는 링크몸체(64)와, 상기 링크몸체(64)와 볼트결합되는 링크커버(65)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링크(62)는 링크커버(65)와 링크몸체(64)의 결합에 의해 양측에 등판프레임의 결합봉(51)이 삽입되는 장홈(61)을 구비하게 된다. The
상기 하부링크(63)는 일측이 상부링크(62)의 링크몸체(64)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이 후단시트축(34)에 의해 시트부(30)의 고정브래킷(32)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또다른 일측이 결합축(81)에 의해 링크고정대(8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부링크(63)는 전체적으로 'C'형상을 구비한다.
One sid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판링크는 결합축(81)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등판프레임(50)에 연결되는 상부링크(62)와 시트부(30)에 연결되는 하부링크의 끝단이 결합축(81)을 중심으로 시소작용하게 된다. The
또한, 상기 등판링크(60)는 결합축(81)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하부링크(63)의 일측이 링크고정대(80)에 접촉되어 등판링크의 회전반경이 제한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상기 등판(70)은 직물, 망사 등의 후렉시블하고 신축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정의 장력을 구비하도록 등판프레임(50)에 상부와 양측부가 고정설치되고, 하부가 등판링크(60)에 연결설치된다. 상기 등판(70)의 연결설치는 볼트결합, 끼움결합 등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등판(70)은 시트부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자중에 의해 등판의 장력 특히, 사용자의 허리접촉부분에 대한 장력이 조절되어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The
즉, 상기 등판(7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프레임(50)에 상부 및 양측부가 연결설치되고, 하부만이 등판링크(60)에 연결되어 있어, 등판소재의 탄성(신축성)으로 인하여 등판의 중앙방향으로 장력이 일정하게 작용하게 되며, 이와 같은 등판의 장력은 결합축을 중심으로 등판링크의 상부링크가 위로 상승하려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힘을 발생시켜, 등판링크(60)의 장홈(61) 하단에 등판프레임(50)의 결합봉(51)이 위치하도록 등판프레임(50)과 등판링크(60)의 위치가 조절된다. 5, the
또한, 등판링크(60)의 상부링크(62)가 결합축(81)을 중심으로 하강하려는 방향으로 회전이동될 경우, 등판(70)의 하부가 등판링크(60)와 함께 하향 회전이동되므로, 등판링크(60)에 연결된 등판(70)의 하부가 당겨지게 되어 등판의 장력이 증가되게 된다.
When the
상기 링크고정대(80)는 등판포스트(40)와 등판링크(60) 사이에 위치하도록 등판포스트(40)에 고정설치되며, 등판포스트(40)에 몸체(82)가 볼트고정되고, 등판링크와 결합축(81)에 의해 결합되는 돌출결합대(83)가 몸체(82)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 The link fixing table 80 is fixed to the
즉, 상기 등판링크(6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축(81)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링크고정대(80)의 돌출결합대(83)에 축결합되어 있으며, 결합축(8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등판링크(60)는 돌출결합대(83)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링크고정대(80)의 일측에 접촉되어 회전각도가 제한되게 된다.
1 to 4,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의자(100)는 다리부(10)에 지지부(20)가 결합되고, 지지부(20)에 등판포스트(40)가 결합되며, 등판포스트(40)와 등판프레임(50)이 등판축(43)에 의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In the
또한, 지지부(20)와 시트부(30)가 선단시트축(33)에 의해 연결되고, 시트부와 등판링크(60)가 후단시트축(34)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등판링크(60)가 결합축(81)에 의해 등판포스트(40)에 고정설치된 링크고정대(8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또한, 상기 등판프레임(50)과 등판링크(60)는 등판프레임의 결합봉(51)이 등판링크의 장홈(61)내로 삽입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30), 등판링크(60), 등판프레임(50), 등판포스트(40) 및 지지부(20)가 각각의 연결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할 뿐 아니라, 상호 연동에 의해 등판프레임(50)과 시트부(30)의 위치가 상호 가변되게 된다. The
또한, 상기 등판프레임(50) 및 등판링크(60)에는 신축성을 구비하는 등판(70)이 연결설치되어 있어, 등판링크(60)의 회전이동시, 등판의 장력이 가변되게 된다.
Since the
또한, 본 발명은 링크고정대(80)와 등판링크(60) 사이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90)이 더 설치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스프링(90)은 결합봉(81)을 중심으로 등판링크의 하부링크를 시트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결합축(81)에 의해 링크고정대(80)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스프링(90)은 양측단이 링크고정대(80)에 접촉지지되고, 중앙부분이 등판링크(60)의 일측에 접촉지지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90)은 토션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스프링(90)의 설치시, 스프링의 탄력이 등판링크(60)에 전달되도록 링크고정대(80)내에 스프링이 설치되면 되므로, 링크고정대(80)의 구성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고정대(80)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 설치홈(84)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설치홈(84)과 연통되도록 링크고정대의 돌출결합대(83)에 스프링의 일측이 관통되어 등판링크(60)에 접촉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 관통홀(8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에서와 같이 링크고정대가 형성될 경우, 상기 스프링은 결합봉을 중심으로 등판링크의 하부링크를 시트부 방향으로 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중앙홀을 관통하는 결합봉에 의해 링크고정대내 즉, 스프링 설치홈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양측단이 스프링 설치홈내 일측에 접촉지지되며, 중간부가 스프링 돌출홈을 관통하여 링크고정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 돌출홈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스프링의 중간부는 등판링크의 하부링크 후면 일측에 접촉지지되게 된다.
Since the spring is installed in the
이와 같이 등판링크(60)와 링크고정대(80) 사이에 스프링(90)이 더 설치될 경우, 스프링(90)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축(81)을 중심으로 등판링크(60)의 하부링크(63)가 시트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등판링크(60)를 회전시키는 힘이 더욱 강해지게 된다. When the
즉, 등판 장력 및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등판링크(60)가 결합축(8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시트부(30)의 후단부를 들어올리게 되므로, 시트부(30)가 앞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사용자가 바른자세로 착석하기 편리한 상태)를 구비하게 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시트부 착석시 등판링크(60)가 스프링(90)을 압축하며 회전되게 되므로, 각 구성부품들간의 충돌력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함께 구비하게 된다. That is, the
미설명부호 110 은 의자팔걸이부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사용자 미착석시- When the user is not sitting
도 6 은 본 발명(스프링 미설치)에 대한 사용자 미착석시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등판프레임, 등판, 등판포스트, 링크고정대 및, 등판링크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등판의 신축성(탄성)으로 인하여 등판의 중앙방향으로 장력이 일정하게 작용하게 되며, 이와 같은 등판의 장력은 결합축을 중심으로 등판링크의 하부링크가 시트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pring uninstalled state) when the user is not seated. In a state where the back frame, the back plate, the back plate post, the link fixture and the back plate link are assembled, The tensile force of the back plate generates a force that causes the lower link of the back link to rotate in the sheet direction about the coupling axis.
즉, 등판의 장력에 의해 등판프레임의 결합봉이 등판링크의 장홈 하단에 위치하도록 등판링크와 등판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구비하게 되며, 이와 같이 등판링크와 등판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구비할 경우, 등판링크의 상부링크가 상부방향이로 이동되도록 결합축을 중심으로 등판링크가 회전한 상태가 되므로, 후단시트축에 의해 등판링크와 연결된 시트부의 후단부가 들어올려져 시트부가 앞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를 구비하게 된다. That is, the back plate link and the back plate frame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ngaging rod of the back plate frame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plate link by the tension of the back plate. If the back plate link and the back plate frame are combined, The back link of the back link is rotated about the coupling axis so that the upper link of the back link is moved to the upper direction, so that the rear end of the seat connected to the back link is lifted by the rear seat shaft and the seat is inclined downward .
이와 같은 시트부의 상태는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이 등받이부에 바짝 붙이는 바른자세로 쉽게 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Such a state of the seat portion is for allowing the user to sit comfortably in a right posture where the user's hips are tightly attached to the backrest portion when the user is seated.
또한, 상기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등판링크는 일측이 링크고정대에 접촉되어 소정각도까지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미착석시 시트부는 항상 동일한 상태를 구비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back link rotating around the coupling shaft is rotated only to a predetermined angle by contacting the link fixture on one side, the seat portion always has the same state when the user is not seated.
도 7 은 본 발명(스프링설치)에 대한 사용자 미착석시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스프링의 탄력력에 의해 결합축을 중심으로 등판링크의 하부링크가 시트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등판링크를 회전시키는 힘이 등판의 장력과 함께 작용하여, 후단시트축에 의해 등판링크와 연결된 시트부의 후단부가 들어올려져 시트부가 앞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를 구비하게 된다.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where the user is not seated when the seat is not in th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ring mounted), and the seat back link is rotated in the seat direction by the resilient force of the spring, The rotating force acts together with the tension of the back plate so that the rear end of the seat portion connected to the back plate link is lifted by the rear seat shaft so that the seat portion is inclined downwardly inclined forward.
- 사용자 착석시- When you are seated
도 8 은 본 발명에 대한 사용자 착석시의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시트부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자중에 의해 전단시트축을 중심으로 시트부가 다리부 방향으로 회전되고, 시트부의 회전에 의해 등판링크의 하부링크가 결합축을 중심으로 등판포스트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등판링크의 상부링크는 결합축을 중심으로 시트부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므로, 상부링크와 연결된 등판이 하부방향, 정확하게는 선단 하부방향으로 당겨지게 됨과 동시에, 등판프레임이 선단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된다.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when the user is se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portion, the seat portion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leg portion around the front- The lower link of the backing link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backing post about the coupling axis by the rotation.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link of the backing link is rotated toward the seat portion about the coupling axis, the back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link is pulled downwardly, more precisely toward the lower end, and at the same time, the backing frame is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
이와 같이 등판링크의 회전에 의해, 등판프레임이 이동 및 등판의 하부가 등판링크에 의해 당겨지게 되면, 등판의 장력 특히, 접촉부 부분에 연결설치된 등판의 장력이 증가되어 시트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허리에 대한 지지력이 강화된다. When the backing frame is mov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ing plate is pulled by the backing plate link by the rotation of the backing link in this way, the tension of the backing plate, especially the tension of the backing plate connected to the contacting portion is increased, The bearing capacity is enhanced.
또한, 상기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등판링크는 하부링크 일측이 등판포스트 또는 링크고정대에 접촉되게 되므로, 사용자의 착석시 시트부가 소정각도까지만 회전되어 일정한 상태를 구비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back link rotating about the coupling shaf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ck plate post or the link fixing table, the seat portion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angle only when the user is seated, so that the back link has a constant state.
- 사용자의 포워드자세 유지- Keep your forward position
도 9 는 본 발명에 대한 사용자 착석시의 포워드 자세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포워드 자세는 사용자의 업무집중력을 높이고 신체의 부담을 최소화시켜주는 자세로, 사용자의 허리부담을 줄이고, 둔부 및 허벅지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자세이다. FIG.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orward posture state when the user is se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 posture is a posture that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s work and minimizes the burden on the user, And reducing the pressure on the thighs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user.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트부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를 앞쪽으로 기울이게 되면, 사용자의 무게중심 이동에 의해 전단시트축을 중심으로 시트부가 회전이동되어 시트부의 후단부가 들어올려지게 되므로, 시트부가 앞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는 착석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ilts the upper body forward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seat portion, the seat portion is rotationally moved about the front end seat shaft by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so th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at portion is lifted. The user can keep the seated state while maintaining the inclined downward inclination.
이와 같은 시트부의 자세상태는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허리부담을 줄이고, 허벅지에 가해지는 압박을 줄이게 되므로, 사용자의 신체 부담을 최소화시키고 집중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Such a posture of the seat portion naturally reduces the load on the user's back and reduc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highs, thereby minimizing the burden on the user and improving the concentr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다리부 (11) : 지지프레임
(12) : 회전바퀴 (13) : 중앙지주
(20) : 지지부 (30) : 시트부
(31) : 좌판 (32) : 고정브래킷
(33) : 선단시트축 (34) : 후단시트축
(40) : 등판포스트 (41) : 하부포스트
(42) : 상부포스트 (43) : 등판축
(44) : 연결부분 (50) : 등판프레임
(51) : 결합봉 (52) : 접촉부
(60) : 등판링크 (61) : 장홈
(62) : 상부링크 (63) : 하부링크
(64) : 링크몸체 (65) : 링크커버
(70) : 등판 (80) : 링크고정대
(81) : 결합축 (82) : 몸체
(83) : 돌출결합대 (84) : 스프링 설치홈
(85) : 스프링 관통홀 (90) : 스프링
(100) : 의자(10): leg portion (11): support frame
(12): rotating wheel (13): central holding
(20): Support part (30): Sheet part
(31): a seat (32): a fixing bracket
(33): front end seat shaft (34): rear end seat shaft
(40): backing post (41): lower post
(42): upper post (43): back plate shaft
(44): connecting portion (50): backing frame
(51): connecting rod (52): contact
(60): a back link (61): a groove
(62): upper link (63): lower link
(64): Link body (65): Link cover
(70): back plate (80): link fixture
(81): coupling shaft (82): body
(83): protruding coupling base (84): spring mounting groove
(85): Spring through hole (90): Spring
(100): Chair
Claims (8)
지지부(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선단 하부가 연결설치되는 시트부(30)와,
지지부(20)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는 등판포스트(40)와,
등판포스트(40)의 상단에 상부 일측이 연결되는 등판프레임(50)과,
등판프레임(50)의 하단 양측에 돌출형성된 결합봉(51)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장홈(61)을 구비하고, 시트부(30) 후단 하부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등판링크(60)와,
등판프레임(50)에 상단과 양측단이 고정되고, 등판링크(60)에 하단이 고정되어 등판링크(60)의 회전이동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는 등판(70)과,
등판포스트(40)에 고정설치되고 등판링크(6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축(81)에 의해 연결되는 링크고정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A support portion 20 connected to the leg portion 10,
A seat portion 30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tip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20,
A backing plate 4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upport 20,
A backing frame 50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backing post 40,
A back plate link 60 having an elongated groove 61 into which engaging rods 51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backing frame 50 are fitted and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30 so as to be rotatable, Wow,
A back plate 70 having upper and both ends fixed to the backing frame 50 and fixed to the backing link 60 so that the tension is controll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acking link 60,
And a link fixture (80) fixed to the backing post (40) and connected by an engagement shaft (81) so that the backrest link (60) is rotatable.
링크고정대(80)내에 일측단이 접촉지지되고 타측단이 링크고정대(80)를 관통하여 등판링크(60) 일측에 접촉지지되며, 결합축(81)에 의해 링크고정대(80)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link plate 80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plate 80 passes through the link plate 80 to be contacted with one side of the back plate link 60 and is installed in the link plate 80 by the coupling shaft 81 And a spring (90)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seat (10).
상기 링크고정대(80)는,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 설치홈(84)이 형성되고, 스프링의 일측이 관통되어 등판링크(60)에 접촉지지되도록 또한, 스프링 설치홈(84)과 연통되도록 스프링 관통홀(85)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The method of claim 2,
The link fixture 80 is formed with a spring mounting groove 84 into which a spring is inserted so that one side of the spring penetrates and is held in contact with the back plate link 60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spring mounting groove 84 And a spring through hole (85) is further formed.
상기 등판포스트(40)는, 지지부에 연결되는 하부포스트(41)와, 상기 하부포스트(41)와 소정경사각을 구비하도록 굴곡을 구비하며 일체로 형성되고 등판프레임(50)이 등판축(43)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포스트(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ing post 40 includes a lower post 41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and a lower frame 41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post 41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the backing frame 50 supporting the backing shaft 43, And an upper post (42) connected by a lower end of the upper post (42).
상기 등판프레임(50)은, 등판축(43)에 의해 상부가 등판포스트(40)에 연결되고, 등판링크(60)가 삽입결합되도록 하부 중앙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하부에 위치하는 양측단에는 서로 마주보며 결합봉(51)이 돌출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되는 접촉부(52)가 선단방향(F)으로 볼록하게 굴곡지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ing frame 50 is connected to the backing plate 40 by the backing plate shaft 43 and the lower center is opened so that the backing plate link 60 is inserted and coupled. And a contact portion (5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waist of the user is protruded and formed so as to be convexly bent in the tip direction (F), and the waist supporting force is strengthened by the self weight The chair.
상기 등판링크(60)는, 등판프레임(50)에 연결되는 상부링크(62)와,
상기 상부링크(62)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부 끝단이 후단시트축(34)에 의해 시트부(30)에 연결되며 결합축(81)에 의해 링크고정대(80)에 연결되는 하부링크(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ing link 60 includes an upper link 62 connected to the backing frame 50,
A lower link 63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link 62 and connected at its lower end to the seat portion 30 by a rear end seat shaft 34 and connected to the link fixture 80 by an engagement shaft 81, And a waist supporting force is strengthened by the self weight.
상기 상부링크(62)는, 링크몸체(64)와, 상기 링크몸체(64)와 볼트결합되는 링크커버(6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링크커버(65)와 링크몸체(64)의 결합에 의해 양측에 등판프레임의 결합봉(51)이 삽입되는 장홈(61)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링크(63)는 일측이 상부링크(62)의 링크몸체(64)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이 후단시트축(34)에 의해 시트부(30)의 고정브래킷(32)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또다른 일측이 결합축(81)에 의해 링크고정대(80)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The upper link 62 includes a link body 64 and a link cover 65 bolted to the link body 64 so that the link body 65 and the link body 64 And an elongated groove (61) into which the engaging rod (51) of the backing frame is inserted on both sides,
One side of the lower link 6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ink body 64 of the upper link 62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rotatable to the fixing bracket 32 of the seat portion 30 by the rear end seat shaft 34. [ ,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ink fixture (80) by a coupling shaft (81).
상기 등판(70)은 신축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The method of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plate (70) has elasticity, and the waist supporting force is strengthened by its own weigh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1125A KR101479983B1 (en) | 2013-10-11 | 2013-10-11 | A chair with improved waist bearing pow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1125A KR101479983B1 (en) | 2013-10-11 | 2013-10-11 | A chair with improved waist bearing pow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9983B1 true KR101479983B1 (en) | 2015-01-08 |
Family
ID=5258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1125A Active KR101479983B1 (en) | 2013-10-11 | 2013-10-11 | A chair with improved waist bearing pow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9983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1073B1 (en) | 2004-06-07 | 2006-09-08 | 주식회사 퍼시스 | Tilting device for chairs with seat plate, lumbar spine and back plate tilted at different angles |
JP2008295515A (en) | 2007-05-29 | 2008-12-11 | Itoki Corp | Rocking chair |
KR101107615B1 (en) | 2011-07-06 | 2012-01-30 | 주식회사 다원산업 | Chair with lumbar support |
KR101209211B1 (en) | 2011-09-09 | 2012-12-06 | 주식회사 리바트 | Chair |
-
2013
- 2013-10-11 KR KR20130121125A patent/KR1014799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1073B1 (en) | 2004-06-07 | 2006-09-08 | 주식회사 퍼시스 | Tilting device for chairs with seat plate, lumbar spine and back plate tilted at different angles |
JP2008295515A (en) | 2007-05-29 | 2008-12-11 | Itoki Corp | Rocking chair |
KR101107615B1 (en) | 2011-07-06 | 2012-01-30 | 주식회사 다원산업 | Chair with lumbar support |
KR101209211B1 (en) | 2011-09-09 | 2012-12-06 | 주식회사 리바트 | Chai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3820632U (en) | Chair | |
CN215875425U (en) | Massage chair and support frame thereof | |
CN104323615A (en) | Anti-gravity household relaxation health-preserving chair | |
KR101105780B1 (en) | Backrest for chair with lumbar support | |
KR101313685B1 (en) | Functional chair for elastic of seat board | |
CN209694604U (en) | Seat | |
KR200421443Y1 (en) | Chair with backrest | |
KR101374075B1 (en) | A chair with improved waist bearing power | |
CN214760136U (en) | Crossed rocking chair | |
KR100886181B1 (en) | Chair for the disabled | |
KR101074020B1 (en) | Chair with automatically adjustable back slope | |
CN106108444B (en) | Frame structure for reclining chair | |
KR200323355Y1 (en) | The back of a chair equipped high and gap adjustment | |
KR101479983B1 (en) | A chair with improved waist bearing power | |
KR20090082162A (en) | Composite Resilient Support Backrest Chair | |
KR101056745B1 (en) | Chair seat tilting device | |
WO2023061066A1 (en) | Seat | |
KR101591947B1 (en) | Chair of up-down and revolution a board back | |
KR101056076B1 (en) | Chairs with backing members compatible with waist and headrest | |
CN212878495U (en) | Back seat linkage device for chair | |
CN204862099U (en) | Adjustable saddle form seat of striding face width degree | |
CN203538793U (en) | Swinging sofa chair | |
KR101320049B1 (en) | Seat chair capable of adjusting angle | |
CN219020652U (en) | Backrest inclination adjustable seat | |
CN221307704U (en) | Deck chair sup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