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510B1 -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가지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 Google Patents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가지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510B1
KR101472510B1 KR1020130060385A KR20130060385A KR101472510B1 KR 101472510 B1 KR101472510 B1 KR 101472510B1 KR 1020130060385 A KR1020130060385 A KR 1020130060385A KR 20130060385 A KR20130060385 A KR 20130060385A KR 101472510 B1 KR101472510 B1 KR 101472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structure
pattern
liquid crystal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174A (ko
Inventor
김학린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60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510B1/ko
Priority to CN201380076991.5A priority patent/CN105247402A/zh
Priority to EP13885904.6A priority patent/EP3006987A4/en
Priority to US14/786,645 priority patent/US9869806B2/en
Priority to PCT/KR2013/009358 priority patent/WO2014193048A1/ko
Publication of KR20140140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02B27/28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comprising arrays of elements, e.g. micro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02B3/0068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arranged in a single integral body or plate, e.g. laminates or hybrid structures with othe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는, 제1 이상굴절률축 방향을 갖는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로 형성되고 장축이 제1 정렬 방향으로 정렬된 제1 렌티큘라 렌즈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1 렌즈 구조체; 및 제1 렌즈 구조체의 빔 출사면에 적층되고, 제2 이상굴절률축 방향을 갖는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로 형성되고 장축이 제2 정렬 방향으로 정렬된 제2 렌티큘라 렌즈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2 렌즈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정렬 방향 및 제2 정렬 방향은 서로 수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는, 상기 제1 렌즈 구조체로 입사되는 입사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 제2 렌즈 구조체에서 출력되는 빛의 빔패턴이 결정된다.

Description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가지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Incident beam polarization dependent optical device with variable focusing beam pattern}
본 발명은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편광 의존성 집광 특성을 갖는 2개의 렌티큘라 렌즈 어레이를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입사광의 편광 방향을 가변시킴에 따라 다양한 집광 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오목 렌즈 형상의 투명한 고분자층 상에 형성된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로 제작된 볼록 렌즈 형상의 렌티큘라 렌즈 어레이는 입사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 렌즈로서의 기능을 결정하게 된다. 예컨대, 오목 렌즈 형상의 고분자층의 굴절률과 볼록 렌즈 형태로 그 위에 형성되는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상굴절률(ordinary refractive index)이 광학적 굴절률 정합(refractive index matching)이 되고, 고분자층의 굴절률 보다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이상굴절률(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이 큰 경우, 입사광의 편광이 이상굴절률축 방향에 평행하도록 빔이 입사되었을 때, 렌티큘라 렌즈 어레이가 볼록 렌즈로서의 기능을 하여 빛이 집광되어 출력된다. 하지만, 입사광의 편광이 상굴절률축 방향에 평행한 경우, 렌티큘라 렌즈 어레이는 볼록 렌즈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여 빛이 집광되지 못하며 광선으로 직진하게 된다.
전술한 렌티큘라 렌즈 어레이로 이상굴절률축 방향에 평행한 편광을 갖는 빛이 입사되면, 초점 거리만큼 지난 지점에서 렌즈 어레이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갖는 집광된 라인 어레이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갖는 렌티큘라 렌즈 어레이를 이용하여 입사광에 대한 편광에 따라 다양한 집광 패턴을 제공하는 광 소자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618911 호 한국공개특허 제 10-2009-0047933호 한국공개특허 제 10-2010-0139017호
기존의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를 이용한 편광 의존성 렌즈 어레이의 경우, 입사광의 편광 조건에 따라 한 가지 패턴의 집광 특성이 단순히 스위칭되는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된 편광의존성 렌티큘라 렌즈 어레이를 이용하여 입사광에 편광 조건에 따라 다양한 집광 패턴이 가변되는 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는,
제1 이상굴절률축 방향을 갖는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로 형성되고 장축이 제1 정렬 방향으로 정렬된 제1 렌티큘라 렌즈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1 렌즈 구조체; 및 제1 렌즈 구조체의 빔 출사면에 적층되고, 제2 이상굴절률축 방향을 갖는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로 형성되고 장축이 제2 정렬 방향으로 정렬된 제2 렌티큘라 렌즈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2 렌즈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렌즈 구조체의 제1 정렬 방향과 제2 렌즈 구조체의 제2 정렬 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렌즈 구조체로 입사되는 입사광의 편광 방향, 상기 제1 및 제2 렌즈 구조체의 제1 및 제2 이상굴절률축 방향에 따라, 제2 렌즈 구조체에서 출력되는 빛의 빔패턴이 결정된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있어서, 제1 렌즈 구조체 및 제2 렌즈 구조체는 초점이 맺히는 지점(focal plane)이 동일하도록 설계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있어서, 제1 렌즈 구조체 및 제2 렌즈 구조체는,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로 이루어지고 볼록 렌즈 형상을 갖는 렌즈층; 및 광학적 등방성을 갖는 고분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층의 역상의 형태를 갖는 기판층; 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렌즈층의 이상굴절률은 기판층의 굴절률보다 크고, 상기 렌즈층의 상굴절률은 기판층의 굴절률과 같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있어서, 제1 렌즈 구조체의 제1 이상굴절률축 방향과 제2 렌즈 구조체의 제2 이상굴절률축 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있어서, 제1 및 제2 렌티큘라 렌즈들은 GRIN 렌즈 또는 프레넬(Fresnel) 렌즈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는 적층되는 제1 렌즈 구조체와 제2 렌즈 구조체는 입사되는 광의 편광을 조절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집광 패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있어서, 제1 렌즈 어레이와 제2 렌즈 어레이의 장축들의 정렬 방향을 서로 수직되게 배치하고,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이상굴절률 축방향을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입사광의 편광에 따라 집광된 점패턴 2차원 어레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있어서, 제1 렌즈 어레이와 제2 렌즈 어레이의 장축들의 정렬 방향을 서로 수직되게 배치하고,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이상굴절률 축방향도 서로 수직되게 배치함으로써, 입사광의 편광에 따라 x 축 방향 또는 y 축 방향의 선 어레이 집광 패턴, 또는 선 체크 어레이 집광 패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특히 제1 렌즈 어레이와 제2 렌즈 어레이의 장축들의 정렬 방향을 서로 수직되게 배치하고,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이상굴절률 축방향을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하여, 입사광의 편광에 따라 집광된 점패턴 2차원 어레이가 형성된 집광 패턴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소자에 대한 일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를 구성하는 제1 렌즈 구조체 및 제2 렌즈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및 입사빔의 편광에 따라 다른 집광 동작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와 (b)는 프레넬 렌즈 어레이로 구현한 실시 형태이며 (c)와 (d)는 GRIN 렌즈로 구현한 형태이다.
도 3은 입사빔의 편광각(θp)을 표시한 좌표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소자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입력 편광에 대하여 초점거리 면상의 출력빔 패턴들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소자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입력 편광에 대하여 초점거리 면상의 출력빔 패턴들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소자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입력 편광에 대하여 초점거리 면상의 출력빔 패턴들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소자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입력 편광에 대하여 초점거리 면상의 출력빔 패턴들을 도시한 도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는 편광의존성을 갖는 렌티큘라 렌즈(lenticular lens)로 구성되는 제1 렌즈 구조체와 제2 렌즈 구조체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는, 상기 제1 렌즈 구조체로 입사되는 입사광의 편광 방향, 제1 및 제2 렌즈 구조체의 이상굴절률축 방향에 따라, 제2 렌즈 구조체에서 출력되는 출력광의 빔패턴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1)는 제1 렌티큘라 렌즈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1 렌즈 구조체(10) 및 제2 렌티큘라 렌즈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2 렌즈 구조체(20)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제1 렌즈 구조체(10)는 제1 이상굴절률축 방향을 갖는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로 형성되고 장축이 제1 정렬 방향으로 정렬된 제1 렌티큘라 렌즈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제2 렌즈 구조체(20)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빔 출사면에 적층되고, 제2 이상굴절률축 방향을 갖는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로 형성되고 장축이 제2 정렬 방향으로 정렬된 제2 렌티큘라 렌즈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렌티큘라 렌즈들은 GRIN(Graded Refractive Index) 렌즈 또는 Fresnel 렌즈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a)와 도 2(b)는 Fresnel 렌즈로 구성된 렌티큘라 렌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c)와 도 2(d)는 GRIN 렌즈로 구성된 렌티큘라 렌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는 상기 제1 렌즈 구조체로 입사되는 입사광의 편광 방향, 상기 제1 및 제2 렌즈 구조체의 제1 및 제2 이상굴절률축 방향 및 상기 제1 및 제2 렌즈 구조체의 장축에 대한 제1 및 제2 정렬 방향에 따라, 제2 렌즈 구조체에서 출력되는 빛의 빔패턴이 결정된다.
상기 제1 렌즈 구조체와 제2 렌즈 구조체는 기본 구조가 동일하며, 다만 실시예에 따라 액정이나 액정상 고분자의 배향방향이나 그 배열 주기만이 상이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를 구성하는 제1 렌즈 구조체 및 제2 렌즈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들로서, (a)와 (b)는 Fresnel 렌즈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c)와 (d)는 GRIN 렌즈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의 제1 렌즈 구조체(10) 및 제2 렌즈 구조체(20)는, 일면이 볼록 렌즈 형상을 갖는 렌즈층(12) 및 일면이 상기 렌즈층의 역상의 형상을 갖는 기판층(14)을 구비한다. 상기 렌즈층(12)은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기판층(14)은 광학적 등방성을 갖는 고분자로 이루어진다.
도 2의 (a)와 (b)는 Fresnel 렌즈로 구성된 렌즈 구조체에 상굴절률축 방향과 동일한 편광이 입사되는 경우와 이상굴절률축 방향과 동일한 편광이 입사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 것이며, (c)와 (d)는 GRIN 렌즈로 구성된 렌즈 구조체에 상굴절률축 방향과 동일한 편광이 입사되는 경우와 이상굴절률축 방향과 동일한 편광이 입사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렌즈층이 액정으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의 상하에 배향막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렌즈층이 액정상 고분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상 고분자와 기판층 경계면에만 배향막층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배향막 형성없이 광경화 과정을 통해 배향될 수 있다.
상기 렌즈층의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이상굴절률(ne)은 기판층의 등방성 고분자의 굴절률(np)보다 크고( ne > np ), 상기 렌즈층의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상굴절률(no)은 기판층의 등방성 고분자의 굴절률(np)과 같아서 광학적 굴절률 정합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no = np ).
따라서, 도 2의 (b)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 구조체 또는 제2 렌즈 구조체로 입사된 빛의 편광이 이상 굴절률 축 방향에 평행한 경우 빛은 볼록 렌즈 효과에 의해 집광된다. 이때, 편광 의존성을 갖는 렌티큘라 렌즈들로 구성되는 제1 렌즈 구조체 또는 제2 렌즈 구조체를 통과한 빛은 초점 거리만큼 지난 지점에서 렌티큘라 렌즈들의 정렬 방향(L)과 평행한 방향을 갖는 집광된 라인 어레이 패턴(line array pattern)을 형성한다.
한편, 도 2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 구조체 또는 제2 렌즈 구조체로 입사된 빛의 편광이 상 굴절률 축 방향에 평행한 경우 빛은 볼록 렌즈 효과가 없기 때문에 집광되지 못하며, 광선(optic ray)은 직진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소자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제1 렌즈 구조체와 제2 렌즈 구조체가 적층되며, 적층된 제1 렌즈 구조체 및 제2 렌즈 구조체에 대해 입사광은 제1 렌즈 구조체를 먼저 투과하며 이후 제2 렌즈 구조체를 투과하게 된다.
제1 렌즈 구조체 및 제2 렌즈 구조체는 초점이 맺히는 지점(focal plane)이 동일하도록 설계됨으로써, 하나의 초점면(focal plane)에 출력광의 빔패턴이 형성된다. 즉, 제2 렌즈 구조체의 초점 거리는 제1 렌즈 구조체의 초점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아야 한다.
제1 렌즈 구조체의 제1 정렬 방향과 제2 렌즈 구조체의 제2 정렬 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렌즈 구조체의 제1 이상굴절률축 방향과 제2 렌즈 구조체의 제2 이상굴절률축 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렌즈 구조체들의 축 방향과 이상굴절률축 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렌즈 구조체들의 장축의 정렬 방향들이 서로 평행하고 제1 및 제2 렌즈 구조체의 이상굴절률축 방향들은 서로 수직한 경우, 제2 렌즈 구조체의 제2 렌티큘라 렌즈의 배열 주기는 제1 렌즈 구조체의 제1 렌티큘라 렌즈의 배열 주기의 정수 배수 또는 제1 렌즈 구조체의 제1 렌티큘라 렌즈의 배열 주기는 제2 렌즈 구조체의 제2 렌티큘라 렌즈의 배열 주기의 정수 배수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소자는 제1 렌즈 구조체와 제2 렌즈 구조체의 이상굴절률축 방향 및 배열 주기의 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빔패턴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소자에 있어서, 제1 렌즈 구조체와 제2 렌즈 구조체의 이상굴절률축 방향의 조합, 및 배열주기의 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 실시 형태들을 설명하고, 이들 각각에 대하여 입사되는 편광에 따라 출력되는 빔 패턴을 설명한다. 여기서, 렌티큘라 렌즈의 정렬 방향은 L로 표기하며, 이상굴절률축 방향은 n으로 표기하며, 렌즈의 배열주기는 W로 표기하며, 제1 렌즈 구조체는 1로 표기하며 제2 렌즈 구조체는 2로 표기한다. 여기서, 제1 렌즈 구조체 및 제2 렌즈 구조체는 x-y 평면상에 평행하게 놓여 있으며, 빛은 z축상으로 진행하며, 제1 및 제2 렌즈 구조체로 입사되는 빛이 선편광된 빛인 경우 편광각(θp )는 도 3과 같이 설정한다.
< 제1 실시형태 >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소자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입력 편광에 대하여 초점거리 면상의 출력빔 패턴들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형태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렌티큘라 렌즈의 정렬 방향(L1)은 x 방향에 평행하고(L1//x), 제1 렌즈 구조체의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이상굴절률축 방향(n1)도 x 방향에 평행하고(n1//x), 제2 렌즈 구조체의 렌티큘라 렌즈의 정렬 방향(L2)은 y 방향에 평행하고(L2//y), 제2 렌즈 구조체의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이상굴절률축 방향(n2)도 x 방향에 평행하여(n2//x), 제1 렌즈 구조체와 제2 렌즈 구조체의 축 방향들을 서로 수직이며(L1⊥L2), 이상굴절률축 방향들은 서로 평행하게 구성된다(n1//n2). 그리고, 제1 렌즈 구조체는 배열 주기 W1 을 가지며, 제2 렌즈 구조체는 배열 주기 W2를 가진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있어서, 입력 편광이 x 축 선편광(θp = 0°)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집광된 점패턴이 2차원 어레이로 나타나게 된다(실시예 1-1). 이때, 집광된 2차원 점패턴 어레이의 x축 주기는 제2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2)를 따르며 y축 주기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1)를 따른다.
입력 편광이 y 축 선편광(θp = 90°)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집광되지 않은 입사광 패턴으로 나타나게 된다(실시예 1-2).
입력 편광이 ±45도 선편광(θp = ± 45°)이거나 무편광 또는 원편광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x축 선편광에 따른 출력빔 패턴(1-1)과 y축 선편광에 따른 출력빔 패턴(1-2)의 평균 광세기를 갖는 집광된 점패턴이 2차원 어레이로 나타나게 된다(실시예 1-3). 이때, 집광된 2차원 점패턴 어레이의 x축 주기는 제2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2)를 따르며 y축 주기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1)를 따른다.
입력 선편광이 45°<θp < 90°또는 -90°<θp < -45°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출력빔 패턴(1-3)보다 낮은 집광도를 갖는 점패턴이 2차원 어레이로 나타나게 된다(실시예 1-4). 이때, 집광된 2차원 점패턴 어레이의 x축 주기는 제2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2)를 따르며 y축 주기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1)를 따른다.
입력 선편광이 -45°<θp < 45°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출력빔 패턴(1-3)보다 높은 집광도를 갖는 점패턴이 2차원 어레이로 나타나게 된다(실시예 1-5). 이때, 집광된 2차원 점패턴 어레이의 x축 주기는 제2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2)를 따르며 y축 주기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1)를 따른다.
< 제2 실시형태 >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소자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입력 편광에 대하여 초점거리 면상의 출력빔 패턴들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형태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렌티큘라 렌즈의 정렬 방향(L1)은 x 방향에 평행하고(L1//x), 제1 렌즈 구조체의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이상굴절률축 방향(n1)은 y 방향에 평행하고(n1//y), 제2 렌즈 구조체의 렌티큘라 렌즈의 정렬 방향(L2)은 y 방향에 평행하고(L2//y), 제2 렌즈 구조체의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이상굴절률축 방향(n2)도 y 방향에 평행하여(n2//y), 제1 렌즈 구조체와 제2 렌즈 구조체의 축 방향들을 서로 수직이며(L1⊥L2), 이상굴절률축 방향들은 서로 평행하게 구성된다(n1//n2). 그리고, 제1 렌즈 구조체는 배열 주기 W1 을 가지며, 제2 렌즈 구조체는 배열 주기 W2를 가진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있어서, 입력 편광이 x 축 선편광(θp = 0°)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집광되지 않은 입사광 패턴으로 나타나게 되며, (1-2) 출력빔 패턴과 동일하다(실시예 2-1).
입력 편광이 y 축 선편광(θp = 90°)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집광된 점패턴이 2차원 어레이로 나타나게 되며 (1-1) 출력빔 패턴과 동일하다(실시예 2-2).
입력 편광이 ±45도 선편광(θp = ± 45°)이거나 무편광 또는 원편광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x축 선편광에 따른 출력빔 패턴(2-1)과 y축 선편광에 따른 출력빔 패턴(2-2)의 평균 광세기를 갖는 집광된 점패턴이 2차원 어레이로 나타나게 되며 (1-3) 출력빔 패턴과 동일하다(실시예 2-3).
입력 선편광이 45°<θp < 90°또는 -90°<θp < -45°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출력빔 패턴(2-3)보다 높은 집광도를 갖는 점패턴이 2차원 어레이로 나타나게 되며 (1-5) 출력빔 패턴과 동일하다(실시예 2-4).
입력 선편광이 -45°<θp < 45°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출력빔 패턴(2-3)보다 낮은 집광도를 갖는 점패턴이 2차원 어레이로 나타나게 되며 (1-4) 출력빔 패턴과 동일하다(실시예 2-5).
< 제3 실시형태 >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소자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입력 편광에 대하여 초점거리 면상의 출력빔 패턴들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형태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렌티큘라 렌즈의 정렬 방향(L1)은 x 방향에 평행하고(L1//x), 제1 렌즈 구조체의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이상굴절률축 방향(n1)도 x 방향에 평행하고(n1//x), 제2 렌즈 구조체의 렌티큘라 렌즈의 정렬 방향(L2)은 y 방향에 평행하고(L2//y), 제2 렌즈 구조체의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이상굴절률축 방향(n2)도 y 방향에 평행하여(n2//y), 제1 렌즈 구조체와 제2 렌즈 구조체의 축 방향들을 서로 수직이며(L1⊥L2), 이상굴절률축 방향들도 서로 수직하게 구성된다(n1⊥n2). 그리고, 제1 렌즈 구조체는 배열 주기 W1 을 가지며, 제2 렌즈 구조체는 배열 주기 W2를 가진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있어서, 입력 편광이 x 축 선편광(θp = 0°)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집광된 x 축 방향의 선 어레이로 나타나게 된다(실시예 3-1). 이때, 집광된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1)를 따른다.
입력 편광이 y 축 선편광(θp = 90°)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집광된 y 축 방향의 선 어레이로 나타나게 된다(실시예 3-2). 이때, 집광된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2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2)를 따른다.
입력 편광이 ±45도 선편광(θp = ± 45°)이거나 무편광 또는 원편광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x축 선편광에 따른 출력빔 패턴(3-1)과 y축 선편광에 따른 출력빔 패턴(3-2)의 평균 광세기를 갖는 집광된 선 체크 패턴 어레이로 나타나게 되며, 이때 x 축 방향의 선 패턴 어레이의 집광도(I1)와 y 축 방향의 선 패턴 어레이의 집광도(I2)는 동일하다(실시예 3-3). 또한, x 축 방향의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1)를 따르며, y 축 방향의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2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2)를 따른다.
입력 선편광이 45°<θp < 90°또는 -90°<θp < -45°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집광된 선 체크 패턴 어레이로 나타나게 되며, 이때 x 축 방향의 선 패턴 어레이의 집광도(I1)는 출력빔 패턴 (3-3) 보다 약화되고, y축 방향의 선 패턴 어레이의 집광도(I2)는 출력빔 패턴(3-3)보다 강화된다( I1 < I2 )(실시예 3-4). 또한, x 축 방향의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1)를 따르며, y 축 방향의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2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2)를 따른다.
입력 선편광이 -45°<θp < 45°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집광된 선 체크 패턴 어레이로 나타나게 되며, 이때 x축 방향의 선 패턴 어레이의 집광도(I1)는 출력빔 패턴 (3-3) 보다 강화되고, y축 방향의 선 패턴 어레이의 집광도(I2)는 출력빔 패턴(3-3)보다 약화된다( I1 > I2 )(실시예 3-5). 또한, x 축 방향의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1)를 따르며, y 축 방향의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2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2)를 따른다.
< 제4 실시형태 >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소자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입력 편광에 대하여 초점거리 면상의 출력빔 패턴들을 도시한 도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실시형태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렌티큘라 렌즈의 정렬 방향(L1)은 x 방향에 평행하고(L1//x), 제1 렌즈 구조체의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이상굴절률축 방향(n1)은 y 방향에 평행하고(n1//y), 제2 렌즈 구조체의 렌티큘라 렌즈의 정렬 방향(L2)은 y 방향에 평행하고(L2//y), 제2 렌즈 구조체의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의 이상굴절률축 방향(n2)은 x 방향에 평행하여(n2//x), 제1 렌즈 구조체와 제2 렌즈 구조체의 축 방향들을 서로 수직이며(L1⊥L2), 이상굴절률축 방향들도 서로 수직하게 구성된다(n1⊥n2). 그리고, 제1 렌즈 구조체는 배열 주기 W1 을 가지며, 제2 렌즈 구조체는 배열 주기 W2를 가진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에 있어서, 입력 편광이 x 축 선편광(θp = 0°)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집광된 y 축 방향의 선 어레이로 나타나게 된다(실시예 4-1). 이때, 집광된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2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2)를 따른다.
입력 편광이 y 축 선편광(θp = 90°)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집광된 x 축 방향의 선 어레이로 나타나게 된다(실시예 4-2). 이때, 집광된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1)를 따른다.
입력 편광이 ±45도 선편광(θp = ± 45°)이거나 무편광 또는 원편광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x축 선편광에 따른 출력빔 패턴(4-1)과 y축 선편광에 따른 출력빔 패턴(4-2)의 평균 광세기를 갖는 집광된 선 체크 패턴 어레이로 나타나게 되며, 이때 x 축 방향의 선 패턴 어레이의 집광도(I1)와 y 축 방향의 선 패턴 어레이의 집광도(I2)는 동일하다(실시예 4-3). 또한, x 축 방향의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1)를 따르며, y 축 방향의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2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2)를 따른다.
입력 선편광이 45°<θp < 90°또는 -90°<θp < -45°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집광된 선 체크 패턴 어레이로 나타나게 되며, 이때 y 축 방향의 선 패턴 어레이의 집광도(I2)는 출력빔 패턴 (4-3) 보다 약화되고, x 축 방향의 선 패턴 어레이의 집광도(I1)는 출력빔 패턴(4-3)보다 강화된다( I1 > I2 )(실시예 4-4). 또한, x 축 방향의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1)를 따르며, y 축 방향의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2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2)를 따른다.
입력 선편광이 -45°<θp < 45°인 경우, 초점 거리면상의 출력빔 패턴은 집광된 선 체크 패턴 어레이로 나타나게 되며, 이때 x축 방향의 선 패턴 어레이의 집광도(I1)는 출력빔 패턴 (4-3) 보다 약화되고, y축 방향의 선 패턴 어레이의 집광도(I2)는 출력빔 패턴(4-3)보다 강화된다( I1 < I2 )(실시예 4-5). 또한, x 축 방향의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1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1)를 따르며, y 축 방향의 선 어레이 패턴의 주기는 제2 렌즈 구조체의 배열 주기(W2)를 따른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 응용 분야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는 적층된 제1 및 제2 렌즈 구조체의 이상굴절률축 방향과 배열 주기의 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각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는 입사광의 편광에 따라 다양한 빔패턴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의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대한 응용 분야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는 입사광의 편광에 따라 다양한 빔패턴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출력광의 빔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입사광의 편광 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편광 측정기로 응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의 경우, 입사광의 편광에 따라 출력 빔 패턴에서의 background intensity 대비 focusing intensity 가 달라지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입사광의 편광을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제3 및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의 경우, 입사광의 편광에 따라 x축 집광 패턴과 y축 집광 패턴의 집광도(intensity)가 달라지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입사광의 편광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중 제3 및 제4 실시 형태는 양안시차를 이용한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수직/수평 전환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는 입사광의 편광에 따라 x축 방향의 선 어레이 또는 y축 방향의 선 어레이의 집광 패턴이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응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열 방향에 따라 제안된 광소자에 입사되는 입사광의 편광을 변화시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빔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안시차 형성 방향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3D 화면이 자동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들의 제3 내지 제4 실시 형태는 빔 패턴 형성기로 응용될 수 있다. 규칙적인 주기를 가지는 광패턴을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 표면에 조사한 후, 표면 굴곡에 따라 광패턴이 왜곡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비접촉 방법으로 광학식 3차원 표면 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3차원 표면 형상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의 광패턴이 아닌 복수의 규칙적 광패턴을 요구하게 된다. 기존의 광학식 3차원 표면 형상 측정 방식에서는 고가의 SLM (Spatial Light Modulator)를 이용하여 복수의 광패턴을 구현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의 경우 입사광의 편광의 조합에 의하여 복수의 규칙적인 집광 패턴 출력이 가능하여 편광제어 광소자와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의 조합을 이용하여 기존 기술 대비 간단한 광학 소자 조합으로 광학식 3차원 표면 형상 측정기를 구현하기 위한 빔 패턴 형성기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들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는 입사되는 광의 편광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TN LC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소자와 같은 광소자를 입사면에 더 구비하는 경우, 입사 편광이 바뀜에 따라 2차원 배열 구조의 집광 렌즈 특성이 on/off 스위칭되는 효과가 있어 집적영상방식과 같은 무안경식 2D/3D 전환형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는 3D 디스플레이 분야에 사용되거나, 3차원 표면 형상 측정기, 편광 측정기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1 :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10 : 제1 렌즈 구조체
20 : 제2 렌즈 구조체
12: 렌즈층
14 : 기판층

Claims (13)

  1. 제1 이상굴절률축 방향을 갖는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로 형성되고 장축이 제1 정렬 방향으로 정렬된 제1 렌티큘라 렌즈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1 렌즈 구조체; 및
    제1 렌즈 구조체의 빔 출사면에 적층되고, 제2 이상굴절률축 방향을 갖는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로 형성되고 장축이 제2 정렬 방향으로 정렬된 제2 렌티큘라 렌즈들이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2 렌즈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렌즈 구조체의 제1 정렬 방향 및 제2 렌즈 구조체의 제2 정렬 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렌즈 구조체로 입사되는 입사광의 편광 방향에 따라, 제2 렌즈 구조체에서 출력되는 출력광의 빔패턴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렌즈 구조체 및 제2 렌즈 구조체는 초점이 맺히는 지점(focal plane)이 동일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렌즈 구조체 및 제2 렌즈 구조체는,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액정 또는 액정상 고분자로 이루어지고 볼록 렌즈 형상을 갖는 렌즈층; 및
    광학적 등방성을 갖는 고분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층의 역상의 형태를 갖는 기판층;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층의 이상굴절률은 기판층의 굴절률보다 크고,
    상기 렌즈층의 상굴절률은 기판층의 굴절률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렌즈 구조체의 제1 이상굴절률축 방향과 제2 렌즈 구조체의 제2 이상굴절률축 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렌티큘라 렌즈들은 GRIN 렌즈 또는 프레넬(Fresnel) 렌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갖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060385A 2013-05-28 2013-05-28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가지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KR101472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385A KR101472510B1 (ko) 2013-05-28 2013-05-28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가지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CN201380076991.5A CN105247402A (zh) 2013-05-28 2013-10-18 具有取决于入射光的偏振的、用于改变聚焦后光图案的光学元件
EP13885904.6A EP3006987A4 (en) 2013-05-28 2013-10-18 Optical element having polarization dependence on incident light, for varying focused light pattern
US14/786,645 US9869806B2 (en) 2013-05-28 2013-10-18 Incident beam polarization dependent optical device with variable focusing beam pattern
PCT/KR2013/009358 WO2014193048A1 (ko) 2013-05-28 2013-10-18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가지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385A KR101472510B1 (ko) 2013-05-28 2013-05-28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가지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174A KR20140140174A (ko) 2014-12-09
KR101472510B1 true KR101472510B1 (ko) 2014-12-15

Family

ID=5198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385A KR101472510B1 (ko) 2013-05-28 2013-05-28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가지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69806B2 (ko)
EP (1) EP3006987A4 (ko)
KR (1) KR101472510B1 (ko)
CN (1) CN105247402A (ko)
WO (1) WO20141930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793B1 (ko) * 2017-02-23 2018-08-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프리즘 구조체
US10466569B2 (en) 2015-09-21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 steering device, optical apparatus including beam steering device, and beam steer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225B1 (ko) * 2013-11-29 2015-07-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절광 노이즈를 제거한 액정상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6405717A (zh) * 2016-11-24 2017-02-15 宁波视睿迪光电有限公司 屈光单元及屈光单元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5147A1 (ja) * 2005-04-25 2006-11-02 Asahi Glass Company, Limited 撮像レンズ
JP2009237461A (ja) * 2008-03-28 2009-10-15 Toshiba Corp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立体映像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3815A (en) * 2003-07-10 2005-01-12 Ocuity Ltd Birefringent lens array structure
GB2410339A (en) 2004-01-21 2005-07-27 Sharp Kk Three lens arrays optical system, light source and projection display
JP4501611B2 (ja) * 2004-09-15 2010-07-14 旭硝子株式会社 液晶レンズ素子および光ヘッド装置
KR100605507B1 (ko) 2004-11-08 2006-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 상태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JP2006227036A (ja) * 2005-02-15 2006-08-31 Citizen Watch Co Ltd 液晶光学レン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128519B1 (ko) * 2005-08-04 2012-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해상도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US20070153402A1 (en) * 2005-12-30 2007-07-05 Destain Patrick R Fresnel lens combination
TWI437273B (zh) * 2011-04-15 2014-05-11 Nat Univ Tsing Hua 可切換光聚焦位置之系統
KR101495758B1 (ko) * 2013-05-29 2015-02-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편광 의존형 렌즈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5147A1 (ja) * 2005-04-25 2006-11-02 Asahi Glass Company, Limited 撮像レンズ
JP2009237461A (ja) * 2008-03-28 2009-10-15 Toshiba Corp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立体映像表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6569B2 (en) 2015-09-21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m steering device, optical apparatus including beam steering device, and beam steering method
KR101886793B1 (ko) * 2017-02-23 2018-08-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프리즘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174A (ko) 2014-12-09
US20160070032A1 (en) 2016-03-10
US9869806B2 (en) 2018-01-16
CN105247402A (zh) 2016-01-13
EP3006987A1 (en) 2016-04-13
WO2014193048A1 (ko) 2014-12-04
EP3006987A4 (en)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1124B2 (en) Robust architecture for large field of view components
CN210129072U (zh) 一种3d摄像头
KR101472510B1 (ko) 입사광에 대한 편광 의존성을 가지는 집광 패턴 가변 광 소자
JP2016519327A5 (ko)
KR20120091646A (ko) 프레넬 렌즈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2d/3d 전환 영상표시장치
US20200142276A1 (en) Compact polarization-based multi-pass optical architectures
KR20140016991A (ko) 공진 서브파장 렌즈 층을 구비하는 다수의 뷰어들을 위한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WO202003794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6257322B (zh) 影像显示装置
CN103234635B (zh) 弹光调制型傅里叶变换干涉成像光谱仪
CN104820292A (zh) 一种基于视差的裸眼三维显示方法及其装置
US20110235865A1 (en) Adjustable range finder and the method thereof
CN106814419B (zh) 光学元件
CN109856710A (zh) 一种产生远距离高分辨贝塞尔光束的双胶合轴锥镜及方法
JPH01265206A (ja) 偏光素子
US20140055854A1 (en) Optical sheet and display device
CN211577658U (zh) 一种基于双层双折射柱透镜的投影立体显示装置
Zhang et al. Optical design of microlens array for CMOS image sensors
US11156755B2 (en) Aligning a polarization device using a spatially variant polarization element
JP2012098657A (ja) 位相差板
CN111258167A (zh) 一种基于双层双折射柱透镜的投影立体显示装置
JPWO2015132820A1 (ja) 光学素子
KR102595351B1 (ko) 얇은 광시야각 근안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방법
Ma et al. Design of a compound eye system with planar micolens array and curved folded mirrors
JP2014025957A (ja) 光学素子および眼鏡、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