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231B1 - Apparatus for fixing reinforced retainaing wall bloc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xing reinforced retainaing wall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3231B1 KR101463231B1 KR20140079163A KR20140079163A KR101463231B1 KR 101463231 B1 KR101463231 B1 KR 101463231B1 KR 20140079163 A KR20140079163 A KR 20140079163A KR 20140079163 A KR20140079163 A KR 20140079163A KR 101463231 B1 KR101463231 B1 KR 1014632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collet
- nail
- reinforcing
-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78 shot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토부와 옹벽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옹벽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고정 장치의 조립성이 간편하고, 특히 절토부에 보강토 옹벽 블록을 인장시키기 위한 네일과의 연결이 보다 신속하고 견고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어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공법을 간소화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 시공이 효율적인 것은 물론,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보강 사면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는, 보강토 옹벽 구조체를 이루도록 몸체의 횡방향으로 양측 말단 부분까지 이어진 횡방향요홈이 형성되고, 다단으로 적층 시공되는 다수의 옹벽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절토부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천공의 입구로 소정 돌출되게 그라우팅 처리되는 네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네일부와; 상기 옹벽블록의 횡방향요홈에 안착되어 상기 다수의 옹벽블록 서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옹벽블록의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블록고정바와; 상기 옹벽블록이 절토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네일부와 상기 블록고정바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보강부는, 일측이 상기 네일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고리 지지체와, 일단부가 상기 고리 지지체에 걸림 지지되는 제1후크가 구비된 제1 연결체와, 중공형의 나사공이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1 연결체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는 제2 연결체와, 일단부가 상기 블록고정바에 걸리는 제2후크가 구비된 제3 연결체와,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체 및 상기 제3 연결체에 양측이 연결되는 보강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클램프를 회전시킨 경우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가 상호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block which is positioned between a cut-off portion and a retaining wall to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retaining wall.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method of reinforcing soil using a reinforcing material because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connection with the nail for tensioning the reinforcing soil more quickly and in a robust manner so that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on is efficient and the safety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reinforcing slope can be greatly improved To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block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ransverse grooves extending to both side end portio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ody are formed so as to form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block for fix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And a nail which is inserted into a perforation formed in the cut-out portion and is grouted so that one end thereof is protruded to a predetermined opening of the perforation; A block fixing bar placed in a transverse groov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to connect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to each other; A connection reinforcing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quadruple portion and the block fixing bar so that the retaining block is stably supported on the cut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reinforcing portion includes a first link body having a ring support body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portion of the nail and a first hook having one end portion engaged with the ring support body and a hollow screw hole A second connecting body screwed to the other side of the clamp, a third connecting body having a second hook at one end thereof engaged with the block fixing bar, And a reinforcing bar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to connect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the third connecting body, wherein when the clamp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are mutually tensioned .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토부와 옹벽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옹벽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고정 장치의 조립성이 간편하고, 특히 절토부에 보강토 옹벽 블록을 인장시키기 위한 네일과의 연결이 보다 신속하고 견고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어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공법을 간소화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 시공이 효율적인 것은 물론,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보강 사면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block, which is positioned between a cut-off portion and a retaining wall to improve the fixing force of the retaining wall,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method of reinforcing soil using a reinforcing material because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connection with the nail for tensioning the reinforcing soil more quickly and in a robust manner so that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on is efficient and the safety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reinforcing slope can be greatly improved To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블록은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된 절개지의 경사면이나 법면을 지탱하여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물로, 지형적 요인과 시공 후 옹벽에 가해지는 압력 분포 등을 고려하여 시공하게 된다.Generally,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is a structure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soil by supporting the inclined surface or the flat surface of the cut-out formed by the civil engineering work, and it is constructed considering the topographic factors and the pressure distribution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after the construction.
기존의 보강토옹벽의 축소공법은 크게 두가지 유형이 있다. 그 하나는 콘크리트판넬을 옹벽전면판(Concerete facing)으로 하면서 콘크리트판넬의 이면에 설치된 연결고리에 P.E.T재질의 보강띠(Strip)을 연결시키고 이를 뒷채움 보강토 구간에 일직선상으로 포설한 후, 보강띠의 끝부분을 쐐기형 앵커로 고정하는 방법이다. 지오그리드나 보강띠와 같은 보강수단은 인장신율이 적지 않으므로 옹벽전면부의 배불음 현상이나 옹벽 상면부의 휨 현상, 옹벽전면부 일부 구간의 블록 또는 콘크리트판넬의 이탈 현상 등 수평변위가 발생하고 옹벽 설치구간에서의 침하현상 및 미끄러짐 현상과 같은 수직변위에 취약한 것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강토 옹벽의 일반적인 설계기준은 극한 평행법에 기초하여 옹벽을 기성하는 재료의 강도와 안전율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보강토 옹벽의 설계기준은 옹벽 및 성토의 높이 토양의 전단력, 보강재의 강도 및 길이, 하중, 과중하중과 경사도에 의거하여 설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보강재의 길이를 산정할 때 현장 여건에 따라 뒷공간이 충족되지 못한 경우, 토지매입이 어렵기 때문에 대지 또는 도로폭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There are two types of reduction method of exis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One of them is a concrete panel, which is used as a concrete wall facing a concrete wall, and a PET reinforcing strip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ring provided on a back surface of a concrete panel. And the end portion is fixed with a wedge type anchor. Since the tensile elongation of the reinforcement means such as the geogrid or the reinforcing belt is not so large, horizontal displacement occurs such as a back-boring phenomenon at the front wall of the retaining wall, a warping phenomenon of the upper wall of the retaining wall, a block or a detachment phenomenon of a block or a concrete panel at a front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a vertical displacement such as a slip phenomenon. The general design criteria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s described above are generally applied to the strength and the safety factor of the material forming the retaining wall based on the strict parallel method. The design criteria of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are the shear force of the retaining wall, The strength, the length, the load, the heavy load and the inclination of the load. Therefore, when the length of the stiffener i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when the back space is not satisfied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it is difficult to purchase the land, so that the problem of securing the land or the road width has arisen.
이처럼, 종래의 보강토 옹벽과 그 시공법은 특히, 절토부의 경우 보강토 옹벽의 축조 높이에 따라 뒷공간이 일정 넓이(높이의 70%정도)가 확보되어야 하지만, 도로의 협소한 공간에 따라 넓이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시공이 어렵게 되고, 보강재로 일반 그리드를 설치하게 되면 인장력이 부족하게 되어 보강토 블록 자체가 틀어지거나, 사면이 붕괴될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need to secure a certain width (about 70% of the height) of the rear spac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n the case of the cut soil portion, but the width is secured according to the narrow space of the road If the grid is installed as a reinforcing material, the tensile force will be insufficient and the reinforcing soil block itself may be twisted or the slope may collapse.
한편, 성토부의 경우, 배면 토사의 재료와 지층을 설계 및 시공자가 선정한 균질한 재료에 의해 시공이 된다. 하지만, 절토부의 경우 원지반의 지층 및 지반조건(토층 성상, 지하수 등)이 불균질하여 설계와 실제 시공시에 상당한 격차를 보여 설계조건대로 시공하지 않고 현장에서 지반조건에 맞추어 변경 시공하는 일이 빈번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mbankment, the material and the ground layer of the back soil are constructed by the homogeneous materials selected by the design and the constructor. However, in the case of the cut-out portion, the ground and ground conditions of the ground floor (such as soil composition, groundwater, etc.) are inhomogeneous and a considerable gap is observed at the time of design and actual construction. .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1496호(2010.12.08 등록) "보강토 옹벽블록 고정장치"에서는 옹벽블록을 후방으로 당기는 인장력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옹벽블록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in the 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1001496 entitled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Fixing Device ", a technique capable of easily securing a retaining wall block to adjust a tensile force to pull the retaining wall block backward is disclosed .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보강토 옹벽블록 고정장치는 옹벽블록(131)의 걸림로드홈(131a)에 끼워지는 걸림로드(133)와, 상기 걸림로드(133)에 연결되며 후방으로 연장되고 각 옹벽블록(131)의 인장와이어홈(131b)에 일부가 걸쳐지는 인장와이어(135)와, 상기 인장와이어(135)에 링크되고 인장와이어(135)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앵커볼트(137)와, 상기 앵커볼트(137)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중량블록(139)과, 상기 중량블록(139)을 통과한 앵커볼트(137)의 단부에 결합함으로서 앵커볼트(137)를 후방으로 인장하는 조절너트(143)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너트(143)와 중량블록(139)의 사이에는 지지판(141)이 위치되어 상기 조절너트(143)의 결합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인장와이어(135)에 전달되는 인장력을 조절하며 옹벽블록을 축조하도록 하고 있다.8, the conventional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fixing device includes a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블록 고정장치는 보강토 옹벽 구조체를 이루도록 무수하게 많이 사용되는 블록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중량블록이 시공되어야 하는 것으로, 그에 따른 자재비용이 상당히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fix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weight block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locks used in myriad ways to construct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must be installed, thereby causing a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material cost Lt; / RTI >
또한, 각각의 블록마다 상기 중량블록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는 보강토 옹벽 시공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을 유발시킬 수 있는 단점 또한 갖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construct the weight block for each block, which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causing a rise in the labor cost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블록 고정장치는 노동의 강도와 자재비용의 상승 또한 가져올 수 있는 매우 비효율적인 시공 공법으로 보강토 옹벽블록이 축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fix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can be constructed by a very inefficient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increase labor intensity and material c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절토부와 옹벽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옹벽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고정 장치의 조립성이 견고하고 간편해짐에 따라 시공의 경제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a retention wall, Which is capable of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block and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soil retaining wall block.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절토부에 보강토 옹벽 블록을 인장시키기 위한 네일과의 연결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어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공법을 간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이 매우 효율적인 것은 물론,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보강 사면의 안전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inforc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which can more easily and fastly connect a nail for tensioning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to a cut soil portion, simplifying the method of reinforcing soil using a reinforcing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which can remarkably improve the safety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the reinforcing slope as well as being very effici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 장치의 조립은 물론, 보강토 옹벽 블록을 절토부 방향으로 당기는 인장력의 조절이 편리하게 됨으로써 고정 장치의 체결에 따른 노동 강도의 절감과 동시에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ssembling a fixing device and facilitating adjustment of a tensile force for pull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toward a cut-out portion, thereby reducing labor intensity due to fastening of a fixing device and shortening a construction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that are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는, 보강토 옹벽 구조체를 이루도록 몸체의 횡방향으로 양측 말단 부분까지 이어진 횡방향요홈이 형성되고, 다단으로 적층 시공되는 다수의 옹벽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절토부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천공의 입구로 소정 돌출되게 그라우팅 처리되는 네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네일부와; 상기 옹벽블록의 횡방향요홈에 안착되어 상기 다수의 옹벽블록 서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옹벽블록의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블록고정바와; 상기 옹벽블록이 절토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네일부와 상기 블록고정바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보강부는, 일측이 상기 네일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고리 지지체와, 일단부가 상기 고리 지지체에 걸림 지지되는 제1후크가 구비된 제1 연결체와, 중공형의 나사공이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1 연결체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는 제2 연결체와, 일단부가 상기 블록고정바에 걸리는 제2후크가 구비된 제3 연결체와,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체 및 상기 제3 연결체에 양측이 연결되는 보강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클램프를 회전시킨 경우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가 상호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comprising: a transverse groove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ody so as to form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to both side ends thereof;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for fixing a block, comprising: a nail which is inserted into a pore formed in a cut-out portion and includes a nail whose one end is grooved so as to protrude to the entrance of the pore; A block fixing bar placed in a transverse groov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to connect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to each other; A connection reinforcing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quadruple portion and the block fixing bar so that the retaining block is stably supported on the cut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reinforcing portion includes a first link body having a ring support body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portion of the nail and a first hook having one end portion engaged with the ring support body and a hollow screw hole A second connecting body screwed to the other side of the clamp, a third connecting body having a second hook at one end thereof engaged with the block fixing bar, And a reinforcing bar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to connect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the third connecting body, wherein when the clamp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are mutually tension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는, 상기 고리 지지체는, 일측 내부로 테이퍼면이 형성된 콜릿수용부가 구비되고 타측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구와, 상기 네일이 통과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구의 일측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콜릿 조인트와, 상기 네일이 통과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콜릿 조인트가 상기 걸이구로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콜릿수용부 내측으로 가압되며 상기 테이퍼면 형상에 대응하게 조임되는 콜릿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block, wherein the collar support includes a collet receiving portion formed with a tapered surface at one side thereof and a hook formed at one end thereof in a ring shape, A collet joint which is screw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hanger; a collet which is pressurized inward of the collet receiving portion as the collet joint is screwed to the hanger and which is tightened corresponding to the tapered surface shape; 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는, 상기 제2 연결체 및 제3 연결체는, 상기 보강바의 양측이 통과되는 각각의 중공이 형성된 콜릿과, 내부에 각각의 테이퍼면이 형성된 콜릿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바의 양측에서 대향되게 상기 제2 연결체 및 상기 제3 연결체 각각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콜릿을 상기 테이퍼면 형상에 대응하게 조임시키는 콜릿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the third connecting body includes a collet formed with a hollow through which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ar are passed, and a tapered surface And a collet joint which is provided with a collet receiving portion and is screwed to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the third connecting body so as to oppose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ar, thereby tightening the collet corresponding to the tapered surface shap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는, 상기 네일부는, 상기 네일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천공으로 충전되는 그라우트에 의해 지지되는 네일장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네일장착구는, 외부 표면에 쐐기면이 형성된 정착체와, 상기 네일이 통과되는 중공이 형성된 콜릿과, 내부에 테이퍼면이 형성된 콜릿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정착체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콜릿을 상기 테이퍼면 형상에 대응하게 조임시키는 콜릿 조인트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wherein the nail portion includes a nail mount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nail and supported by a grout filled with the perforation, A collet with a hollow formed thereon for passing the nail and a collet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tapered surface formed therein, and the collet is screwed to the fixing body to correspond to the tapered surface shape And a collet joint for tightening the collet joi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는, 상기 클램프는, 회전을 위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구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has a tool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a tool for rotation can be insert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는 절토부에 보강토 옹벽 블록을 인장시키기 위한 네일과의 연결과 고정 장치의 조립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어 시공의 경제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device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quickly and easily fasten the connection of the nail and the fixing device for tension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to the cut soil portion, It has an advantage that it improves the property and shortens the 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는 조립의 간편함은 물론, 보강토 옹벽 블록을 절토부 방향으로 당기는 인장력의 조절이 편리하게 됨으로써 고정 장치의 체결에 따른 노동 강도를 절감시킴으로써 안전사고의 예방과 시공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fixing device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ssemble, and it is easy to control the tensile force pull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in the direction of the cut soil portion, thereby reducing labor intensity due to fastening of the fixing device,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great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가 조립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제1 연결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연결보강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네일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네일부가 시공되는 공정을 도시한 설치공정도.
도 8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록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irst connection body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ion reinforcing portion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struction of four parts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n installation process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nail portion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block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시공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가 조립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제1 연결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연결보강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FIG.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assembl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irst connecting body of a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ion reinforcing portion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는, 보강토 옹벽 구조체를 이루도록 몸체의 횡방향으로 양측 말단 부분까지 이어진 횡방향요홈(1a)이 형성되고, 다단으로 적층 시공되는 다수의 옹벽블록(1)을 고정하기 위한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네일부(10)와, 블록고정바(20)와, 연결보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ansverse grooves la extending to both ends of the body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
우선, 상기 다수의 옹벽블록(1)은 블록 몸체의 전면부에 형성된 핀삽입공에 상하로 삽입되며, 상하 이웃하는 옹벽블록(1)끼리 고정시키는 고정핀(1b)에 의해 다단으로 적층 시공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다수의 옹벽블록(1)은 종래에 개시된 다양한 시공 방법을 통해 뒷물림 경사각 등의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옹벽블록의 시공법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rst, the plurality of
한편, 상기 네일부(10)는 보강재 역할을 하도록 절토부(2)에 형성된 천공(2a)에 삽입되는 네일(11)이 그라우팅 처리되어 인발저항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Meanwhile, the
상기 네일(11)은 그라우팅 공법에 사용되는 소일 네일(Soil nail)일 수 있으며, 상기 네일(11)은 상기 천공(2a)으로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천공(2a)의 입구 로 소정 돌출되게 그라우팅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네일부(1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에서 상기 네일부(10)가 시공되는 공정과 함께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The
상기 블록고정바(20)는 상기 옹벽블록(1)의 횡방향요홈(1a)에 안착되어 상기 다수의 옹벽블록(1) 서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옹벽블록(1)의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성이다.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블록고정바(20)는 상기 횡방향요홈(1a)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상기 연결보강부(30)에 의해 후방으로 인장되며 상기 다수의 옹벽블록(1) 전체의 전단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1 and 2, the
상기 블록고정바(20)는 일정 직경을 갖는 봉형 부재로써,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강봉 또는 철근이 사용될 수 있고, 그 재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설계치 내에서 허용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The
상기 연결보강부(30)는 상기 옹벽블록(1)이 상기 절토부(2)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네일부(10)와 상기 블록고정바(20)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이다,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는, 상기 연결보강부(30)의 조립 구성이 간편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보강부(30)와 상기 옹벽블록(1) 및 상기 네일부(10)와의 체결을 위한 시공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fixing device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이에,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보강부(30)는 고리 지지체(31)와, 제1 연결체(32)와, 클램프(33)와, 제2 연결체(34)와, 제3 연결체(35)와, 보강바(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he
상기 고리 지지체(31)는 상기 절토부(2)의 천공(2a) 입구로 일단부가 돌출된 상기 네일(11)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The
이때, 상기 고리 지지체(31)는 상기 천공(2a)의 입구 주변지반을 고정하는 지압판(15)이 설치된 상태에서 그라우팅이 실시된 이후에 상기 네일(11)과 연결되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서와 같은 상기 네일부(10)의 설치 공정 이후에 상기 연결보강부(30)가 설치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고리 지지체(31)는 걸이구(311)와, 콜릿 조인트(312), 콜릿(3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콜릿 조인트(312)와 상기 콜릿(313)은 바 형태로 상기 네일(11)이 최대한 신속하고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걸이구(311)에 일체로 나사 결합되며 상기 천공(2a)의 입구로 일부가 돌출된 상기 네일(11)과 연결된다.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걸이구(311)는 일측 내부로 갈수록 공간이 협소해지도록 테이퍼면이 형성된 콜릿수용부(311a)가 구비되고, 타측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4, the
또한, 상기 콜릿 조인트(312)는 소정 내부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네일(11)이 통과될 수 있는 삽입공(312a)이 그 내부공간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걸이구(311)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In addition, the
이에, 상기 콜릿(313)은 상기 콜릿 조인트(312)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콜릿 조인트(312)가 상기 걸이구(311)로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콜릿수용부(311a)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되고, 상기 콜릿수용부(311a) 내부의 테이퍼면과 대응되게 외면이 압축되면서 확장이 제한되어 상기 보강바(36)를 조임시키는 상태로 고정된다.The
이때, 상기 콜릿(313)은 상기 네일(11)이 통과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네일(11)은 상기 콜릿(313)의 중공으로 통과되어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콜릿(313)의 중공이 축소된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상기 보강바(36)를 인장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콜릿(313)의 중공 내주면에는 상기 네일(11)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나사산 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콜릿(313)은 외면이 상기 콜릿수용부(311a)의 테이퍼면과 대응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도록 일측 직경이 타측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콜릿(313)은 중공으로 상기 네일(11)이 삽입되는 경우 그 내경이 소정 확장되며 상기 네일(11)의 단면과 대응하는 원주를 이루게 되는데, 고무링에 의해 3개의 조각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게 분할 지지되어 그 내경이 확장 및 축소될 수 있게 된다.The
따라서, 상기 고리 지지체(31)는 상기 네일(11)이 상기 콜릿 조인트(312) 및 상기 콜릿(313)을 연속하여 통과하도록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콜릿 조인트(312)를 상기 걸이구(311)로 나사 결합시키는 간편하고 신속한 동작으로 상기 네일(11)을 상기 절토부(2)의 외측으로 팽팽하게 인장시킬 수 있게 된다.The
한편, 상기 제1 연결체(32)와, 클램프(33)와, 제2 연결체(34)와, 제3 연결체(35) 및 상기 보강바(36)는 상기 네일(11)과 연결된 상기 고리 지지체(31)와 일자로 배열되어 조립된다.The first connecting
우선, 상기 제1 연결체(32)는 일단부가 상기 고리 지지체(31)에 걸림 지지되는 제1후크(32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소정 길이로 연장된 제1 나사결합부(3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후크(321)가 상기 고리 지지체(31)의 걸이구(311)에 걸리게 된다.The
그 다음, 상기 클램프(33)는 중공형의 나사공(331)이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1 연결체(32)의 제1 나사결합부(322)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2 연결체(34)는 일측에 소정 길이로 연장된 제2 나사결합부(341)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33)의 타측에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연결체(32) 및 상기 제2 연결체(34)는 상기 클램프(33)의 양측 각각에서 상호 대향되게 나사 결합되며 상기 클램프(33)가 회전됨에 따라 각각 조임 및 풀림될 수 있게 된다.The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프(33)는 회전을 위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구삽입공(332)이 관통 형성된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공구삽입공(332)은 보강 강도를 위해 고중량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클램프(33)를 작업자가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 공구를 통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바 형태의 삽입부를 갖도록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 공구(도면미도시)를 상기 공구삽입공(332)에 삽입시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클램프(33)의 회전 조절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e
또한, 상기 제3 연결체(35)는 일단부에 상기 블록고정바(20)에 걸리는 제2후크(35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3 연결체(35)는 상기 제2 연결체(34)와 함께 상기 보강바(36)를 인장시키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보강바(36)는 소정 길이로 연장된 바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체(34) 및 상기 제3 연결체(36)에 양측이 일자로 연결된다.The third connecting
상기 보강바(36)는 상기 네일부(10)와 상기 블록고정바(20) 사이를 길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옹벽시공 현장 즉, 절토부(2)와 상기 옹벽블록(1) 사이의 간격에 구애없이 자유롭게 길이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보강바(36)는 상기 절토부(2)와 상기 옹벽블록(1)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바람직한 길이의 여러 사이즈로 미리 제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연결체(34) 및 제3 연결체(35)는 콜릿(322,352)과, 콜릿 조인트(323,35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상기 콜릿(322,352)과 상기 콜릿 조인트(323,353)는 상기 고리 지지체(31)의 구성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바(36)를 인장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상기 콜릿 조인트(323,353)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콜릿(322,352)이 상기 보강바(36)를 조임시키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연결체(34) 및 상기 제3 연결체(35)의 상기 콜릿 조인트(323,353)는 상기 고리 지지체(31)와는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연결체(34) 및 제3 연결체(35)는 상기 보강바(36)가 연결되는 부분 내측으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콜릿 조인트(323,353)의 일측 외주면이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된다.5, the second connecting
또한, 상기 콜릿 조인트(323,353) 내부에는 상기 콜릿(322,352)의 외면과 대응하게 테이퍼면이 형성된 콜릿 수용부(323a,353a)가 구비된다.The collet joints 323 and 353 are provided with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콜릿(322,352)과 상기 콜릿 조인트(323,353)는 상기 보강바(36)의 양측이 상기 콜릿(322,352)의 중공으로 간편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콜릿 조인트(323,353)를 나사 결합시키는 편리한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연결체(34) 및 상기 제3 연결체(35) 사이에 상기 보강바(36)를 연결 조립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는 제1 연결체(32)와, 클램프(33)와, 제2 연결체(34)와, 제3 연결체(35) 및 상기 보강바(36)를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매우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조립된 상기 연결보강부(30)의 구성을 통해 상기 네일부(10)와 상기 옹벽블록(1)이 연결된 상태에서 외력으로 상기 클램프(33)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연결체(32) 및 제2 연결체(34)를 상호 인장시킴에 따라 상기 옹벽블록(1)을 상기 절토부(2)에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With the above construction, the fixing device for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irst connecting
이와 같은 작용효과는 본 발명을 이루는 상기 네일부(10)와 상기 블록고정바(20) 및 상기 연결보강부(30)를 이루는 구체적인 구성들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발휘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는 시공 장소에서 보다 신속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주요 구성들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시공의 경제성 및 편리성이 향상되어 공기를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보강토 옹벽 블록을 절토부 방향으로 당기는 인장력의 조절이 매우 편리하기 때문에 보강토 옹벽 축조 작업에 따른 노동 강도의 절감 및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 또한 갖게 되는 것이다.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rted through the organic b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기 연결보강부(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형성된 기초 콘크리트 상에 상기 다수의 옹벽블록(1)이 일정한 단수로 축조되는 작업과 병행되며 일정 높이와 일정 폭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이에, 상기 연결보강부(30)는 절토부(2) 혹은 성토부에 지반의 안전성 설계에 따라 다수의 천공(2a)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고리 지지체(31)의 연결을 시작으로 상기 네일부(10)와 체결되는 작업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네일부(10)의 설치 공정은 상기 연결보강부(30)의 시공을 위해 선행되는 것이 당연할 것이며, 상기 연결보강부(30)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절토부(2) 혹은 성토부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뒷채움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뒷채움의 과정은 기존에 이미 공개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necting reinforcing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네일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네일부(10)가 시공되는 공정을 도시한 설치공정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four parts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ur
통상, 절취사면 보강토 옹벽 조성시 보강재의 배면 길이가 보강토 옹벽 높이만큼 나오지 않아, 절취사면에 앵커 등의 고정부재를 박아 부족한 보강재 길이 만큼의 마찰력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보강재의 길이가 긴 만큼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보강토 옹벽의 원리로서,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의 높이만큼 보강재의 길이가 나와야 하는데, 절취사면 보강토 옹벽에서는 보강재의 길이가 길어지지 못하여 절취사면에 고정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절취사면에 삽입된 앵커 등의 고정부재가 상기 보강재를 팽팽하게 고정하여 마찰력을 극대화시키며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Generally, when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s cut, the length of the backing of the reinforcing material does not reach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Therefore, it plays the role of supplementing the frictional force as much as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sufficient by inserting the fixing member such as anchor on the cut slope. In other words, as long as the length of the stiffener is long, it is the principl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that the frictional force acts largely to ensure stability. Generally, the length of the stiffener should be increased by the height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xing member on the cut slope and to secure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by fixing the reinforcing member in a tight state by maximizing the frictional force by a fixing member such as an anchor inserted into the cut slope.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의 길이 및 설치 간격은 지반 조사를 실시하여 안정성을 검토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and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fix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by examining the ground and examining stability.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네일부(10)가 상기 고정부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일부(10)가 상기 네일(11)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천공(2a)으로 충전되는 그라우트에 의해 지지되는 네일장착구(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
또한, 상기 네일장착구(12)는 정착체(121)와, 콜릿(122)과, 콜릿 조인트(1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Th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정착체(121)는 외부 표면에 쐐기면(121a)이 형성되고 상기 네일(11)이 연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콜릿(122) 및 상기 콜릿 조인트(123)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수용공간의 내주면에는 상기 콜릿 조인트(123)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콜릿 조인트(123)가 일체로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된다.6, the
이때, 상기 콜릿(122) 및 상기 콜릿 조인트(123)는 상기 제2 연결체(34) 및 제3 연결체(35)의 상기 콜릿(322,352) 및 콜릿 조인트(323,353)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동일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The
즉, 상기 네일부(10)의 조립 설치시 상기 네일(11)의 타단부가 콜릿 조인트(123)와 상기 콜릿(122)의 중공 내부를 통과하도록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콜릿(122)은 상기 네일(11)에 의해 중공이 확장되며 상기 네일(11)과 상호 맞물리게 되고, 상기 콜릿 조인트(123)가 상기 정착체(121)의 수용공간으로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콜릿(122)이 테이퍼면이 형성된 상기 콜릿 조인트(123)의 콜릿수용부(123a)에 의해 지지되며 확장이 제한된다.That is, the other end of the
따라서, 상기 콜릿(122)은 상기 네일(11)을 조임시키는 상태로 견고하게 맞물리며 인장 지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콜릿(122)의 중공 내주면에는 상기 네일(11)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나사산 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네일부(10)는 상기 네일장착구(12)를 통해 상기 네일(11)이 최대한 신속하고 간편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정착체(121)는 상기 천공(2a)이 그라우팅 처리된 상태에서 다수의 요철을 갖도록 형성된 상기 쐐기면(121a)이 그라우트에 의해 인발저항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절토부(2)의 천공(2a) 내부에서 상기 네일(11)의 인장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네일부(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해 상기 절토부(2)에 시공된다.The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우선 상기 절토부(2)에는 일정 높이와 폭의 간격으로 다수의 상기 천공(2a)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네일부(10)의 조립을 실시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네일(11) 및 상기 네일장착구(12)를 연결하는 작업과 함께 상기 네일(11)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스페이서(13)를 끼우게 된다.Referring to FIG. 7, a plurality of the
이때 상기 스페이서(13)는 상기 그라우팅 작업이 진행되기 전에 상기 네일(11)이 상기 천공(2a)의 내벽에 고착되는 현상 등을 예방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더불어, 그라우팅 호스를 상기 네일(11)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그라우팅 호스를 통하여 상기 각 천공(2a)에 충진재를 그라우팅(grouting)하게 되며, 1차 숏크리트면에 와이어 메쉬 및 상기 천공(2a)의 입구에 상기 네일(11)을 고정시키는 상기 지압판(15)을 설치하는 공법으로 절토부(2)의 지반에 네일(11)을 고정하게 된다.The grouting hose is extended along the
이와 같이 상기 네일부(1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고리 지지체(31)를 상기 지압판(15)에 밀착되게 상기 네일(11)의 일단부에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보강부(30)를 상기 네일부(10)와 상기 옹벽블록(1) 사이에 간편하게 신속하게 조립 및 연결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Th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fixing device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embodiments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옹벽블록 1a 횡방향요홈
2 절토부 2a 천공
10 네일부 11 네일
12 네일장착구 121 정착체
122 콜릿 123 콜릿 조인트
13 스페이서 15 지압판
20 블록고정바 30 연결보강부
31 고리 지지체 311 걸이구
312 콜릿 조인트 313 콜릿
32 제1 연결체 33 클램프
34 제2 연결체 35 제3 연결체
36 보강바1 retaining
2 Cutting of
10 yes some 11 nail
12
122 Collet 123 Collet joint
13
20
31
312 Collet joint 313 Collet
32 first connecting
34 second connecting
36 Reinforcing Bar
Claims (5)
절토부에 형성된 천공에 삽입되고, 일단부가 상기 천공의 입구로 소정 돌출되게 그라우팅 처리되는 네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네일부와;
상기 옹벽블록의 횡방향요홈에 안착되어 상기 다수의 옹벽블록 서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옹벽블록의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블록고정바와;
상기 옹벽블록이 절토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네일부와 상기 블록고정바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보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보강부는, 일측이 상기 네일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고리 지지체와, 일단부가 상기 고리 지지체에 걸림 지지되는 제1후크가 구비된 제1 연결체와, 중공형의 나사공이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제1 연결체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타측에 나사 결합되는 제2 연결체와, 일단부가 상기 블록고정바에 걸리는 제2후크가 구비된 제3 연결체와,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체 및 상기 제3 연결체에 양측이 연결되는 보강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클램프를 회전시킨 경우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가 상호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A fixing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for fix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formed with lateral grooves extending transversely to both side ends of the body so as to form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nail which is inserted into a perforation formed in the cut-out portion and grooved in such a manner that one end of the nail protrudes to the inlet of the perforation;
A block fixing bar placed in a transverse groov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to connect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to each other;
A connection reinforcing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quadruple portion and the block fixing bar so that the retaining block is stably supported on the cut portion; Including,
Wherein the connection reinforc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ody having a ring support body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portion of the nail and a first hook having one end portion engaged with the ring support body, A second connecting body screwed to the other side of the clamp, a third connecting body having a second hook at one end thereof engaged with the block fixing bar, and a third connecting bod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reinforcing bar which is extended to connect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and the third connecting body,
Wherein when the clamp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mutually tensioned.
상기 고리 지지체는,
일측 내부로 테이퍼면이 형성된 콜릿수용부가 구비되고 타측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구와,
상기 네일이 통과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구의 일측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콜릿 조인트와,
상기 네일이 통과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콜릿 조인트가 상기 걸이구로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콜릿수용부 내측으로 가압되며 상기 테이퍼면 형상에 대응하게 조임되는 콜릿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ing-
A collet receiving portion having a tapered surfac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collet joint in which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nail passes is formed and screw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hook,
And a collet to which the nail passes is formed and the collet is urged to the inside of the collet receiving portion as the collet joint is screwed into the catching hole and is tighten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apered surface. Fixing device.
상기 제2 연결체 및 제3 연결체는,
상기 보강바의 양측이 통과되는 각각의 중공이 형성된 콜릿과, 내부에 각각의 테이퍼면이 형성된 콜릿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바의 양측에서 대향되게 상기 제2 연결체 및 상기 제3 연결체 각각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콜릿을 상기 테이퍼면 형상에 대응하게 조임시키는 콜릿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A collet formed with hollows through which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ar are passed and a collet receiving portion formed with respective tapered surfac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bar, And a collet joint for tightening the collet in accordance with the tapered surface shape when the collet is threaded.
상기 네일부는,
상기 네일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천공으로 충전되는 그라우트에 의해 지지되는 네일장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네일장착구는, 외부 표면에 쐐기면이 형성된 정착체와, 상기 네일이 통과되는 중공이 형성된 콜릿과, 내부에 테이퍼면이 형성된 콜릿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정착체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콜릿을 상기 테이퍼면 형상에 대응하게 조임시키는 콜릿 조인트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nail portion
And a nail moun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nail and supported by the grout to be filled with the perforation,
The nail mount includes a fixture having a wedge surface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 collet formed with a hollow through which the nail passes, and a collet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tapered surface formed therein. When the collet is screwed to the fixture, And a collet joint for tightening the collar in correspondence with the tapered surface shape.
상기 클램프는, 회전을 위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구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블록의 고정 장치.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lamp is formed with a tool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a tool for rotation can be inser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79163A KR101463231B1 (en) | 2014-06-26 | 2014-06-26 | Apparatus for fixing reinforced retainaing wall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79163A KR101463231B1 (en) | 2014-06-26 | 2014-06-26 | Apparatus for fixing reinforced retainaing wall bl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3231B1 true KR101463231B1 (en) | 2014-11-21 |
Family
ID=5229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79163A Active KR101463231B1 (en) | 2014-06-26 | 2014-06-26 | Apparatus for fixing reinforced retainaing wall b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3231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6151B1 (en) | 2018-03-19 | 2018-08-07 | 주식회사 동림이엔지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190108963A (en) * | 2018-03-16 | 2019-09-25 | 주식회사동림이엔지 | Apparatus for fixing reinforced retainaing wall block |
KR102034558B1 (en) * | 2018-09-18 | 2019-10-21 | 박서현 | Retaining wall structure of block integrative |
KR102159398B1 (en) | 2020-05-18 | 2020-09-24 | 심석래 | Fixing device for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soil nailing method |
CN114411767A (en) * | 2021-11-30 | 2022-04-29 |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 Construction method of loose deformation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
KR102661589B1 (en) | 2022-11-08 | 2024-04-29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Vertical pipe fixing bracket for installing safety handrail of reinforcement block |
KR102759221B1 (en) * | 2024-10-15 | 2025-01-23 | 라파이엔씨 주식회사 |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Blocks for Cut and Fill section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1356B1 (en) | 2007-12-20 | 2008-08-08 | 이근선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090020082A (en) * | 2007-08-22 | 2009-02-26 | (주) 공인건설 | Tension soil nail for slope stab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lock using same |
KR101072527B1 (en) | 2010-07-30 | 2011-10-12 | 주식회사 브룸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Stranded Underground Anchors |
KR101360288B1 (en) | 2013-05-10 | 2014-03-14 | (주)에스오씨산업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 method of construction |
-
2014
- 2014-06-26 KR KR20140079163A patent/KR10146323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20082A (en) * | 2007-08-22 | 2009-02-26 | (주) 공인건설 | Tension soil nail for slope stab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lock using same |
KR100851356B1 (en) | 2007-12-20 | 2008-08-08 | 이근선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1072527B1 (en) | 2010-07-30 | 2011-10-12 | 주식회사 브룸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Stranded Underground Anchors |
KR101360288B1 (en) | 2013-05-10 | 2014-03-14 | (주)에스오씨산업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 method of constructio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8963A (en) * | 2018-03-16 | 2019-09-25 | 주식회사동림이엔지 | Apparatus for fixing reinforced retainaing wall block |
KR102107793B1 (en) * | 2018-03-16 | 2020-05-07 | 주식회사동림이엔지 | Apparatus for fixing reinforced retainaing wall block |
KR101886151B1 (en) | 2018-03-19 | 2018-08-07 | 주식회사 동림이엔지 |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034558B1 (en) * | 2018-09-18 | 2019-10-21 | 박서현 | Retaining wall structure of block integrative |
KR102159398B1 (en) | 2020-05-18 | 2020-09-24 | 심석래 | Fixing device for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soil nailing method |
CN114411767A (en) * | 2021-11-30 | 2022-04-29 |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 Construction method of loose deformation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
KR102661589B1 (en) | 2022-11-08 | 2024-04-29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Vertical pipe fixing bracket for installing safety handrail of reinforcement block |
KR102759221B1 (en) * | 2024-10-15 | 2025-01-23 | 라파이엔씨 주식회사 |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Blocks for Cut and Fill section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3231B1 (en) | Apparatus for fixing reinforced retainaing wall block | |
KR101072527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Stranded Underground Anchors | |
KR100985817B1 (en) | A retaining walls of the fixed device | |
KR101510297B1 (en) | A removable prestressing steel pipe soil nailing structure | |
KR100904857B1 (en) |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pipe and segment | |
KR101793533B1 (en) | Anchor support system with reinforcement function | |
KR20170051951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supporting beam | |
JP6621243B2 (en) | Yamadome fr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90107354A (en) | Multi-Purpose Earth Anchor Bracket | |
JP3479516B2 (en) | Slope stabilization method and slope stabilization device | |
KR101926160B1 (en) | Method and wale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KR102107793B1 (en) | Apparatus for fixing reinforced retainaing wall block | |
KR101364586B1 (en) | Nail assembly, reinforcement installation for method of slope reinforcement | |
KR101628079B1 (en) | Retaining panel assembly for reinforcing slo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607850B1 (en) | bracket assembly for constructing self-supporting soil barrier with enhanced tension force transferring capability | |
KR100862387B1 (en) | Top down construction method of tension kit for top down construction of acupressure permanent anchor | |
KR101720213B1 (en) | C.i.p. method using pile assembly | |
KR102506979B1 (en) | Socket Structure for Blast-Stone Wall Fixture of Earth Cutting Part, and Blast-Stone Wall Construction Method by Using This | |
KR101656015B1 (en) | Natural Panel type retaining wall | |
KR102652914B1 (en)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block fixing device | |
KR101297679B1 (en) | Self-support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Steel Wire And Method Of The Same | |
KR200378292Y1 (en) | Strengthened Implement of Tension type Soil Nail | |
KR101445369B1 (en) | Soil Nailing Device Using Connecto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213588B1 (en) | Tie Cable for Ground Embankment | |
KR101771423B1 (en) | Anchor body for slope reinforc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7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