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010B1 -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돌미역 짬뽕 - Google Patents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돌미역 짬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1010B1 KR101461010B1 KR1020130070291A KR20130070291A KR101461010B1 KR 101461010 B1 KR101461010 B1 KR 101461010B1 KR 1020130070291 A KR1020130070291 A KR 1020130070291A KR 20130070291 A KR20130070291 A KR 20130070291A KR 101461010 B1 KR101461010 B1 KR 1014610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boiling
- seaweed
- broth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10000002969 Egg Yolk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3345 egg yo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722363 Piper Species 0.000 claims 3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15090 marinades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41000219198 Brassic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abstract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abstract 1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5042 Zier Kohl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51511 Holothur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1949 Taraxacum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242 dandel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079 dandel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536 Mytilus edu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38 muss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9899 Alar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DLGJWSVWTWEWBJ-HGGSSLSASA-N Chondroitin Chemical compound CC(O)=N[C@@H]1[C@H](O)O[C@H](CO)[C@H](O)[C@@H]1OC1[C@H](O)[C@H](O)C=C(C(O)=O)O1 DLGJWSVWTWEWBJ-HGGSSLSA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67 Chondroi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60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243 Daucus carota subsp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876 Haliotis corrug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9900 Laminarial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01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91 charge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9 cl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7 edible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NDPGZBMCMUPRI-UHFFFAOYSA-N iodine Chemical compound II PNDPGZBMCMUP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75 iod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92 potato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1 rice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5 wild carro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Abstract
본 발명의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돌미역 분말 3 내지 7중량부를 첨가하여 2 내지 4시간을 끓여서 돌미역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돌미역추출수 100중량부에 대해 오징어, 게를 포함한 해산물 20 내지 40중량부를 넣어 1 내지 2시간 끓여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 돌미역을 포함한 야채, 고추기름, 술, 마늘, 생강, 소금, 후추, 설탕 및 고춧가루를 혼합한 양념혼합물을 볶는 단계; 상기 육수에 상기 양념혼합물을 첨가하여 1 내지 2시간 끓여 짬뽕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면을 상기 돌미역추출수에 삶은 후 찬물로 씻어내는 단계; 상기 짬뽕국물에 면을 첨가하여 1 내지 2분 동안 끓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짬뽕국물과 면에 돌미역의 맛과 향이 우러나도록 하여 단백한 식감을 배가시킴으로써 향과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돌미역 짬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화요리로서 짬뽕은 제철 채소, 각종 해산물 등 다양한 재료로 섞어 만들기에, 여러 가지를 섞어 만든다는 의미로 '짬뽕'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짬뽕의 경우, 오징어, 홍합, 새우 등 해산물을 끓는 물에 미리 삶아 놓고 식용유를 이용하여 양파, 생강, 배추, 당근 등 제철 채소를 볶으면서 물을 붓고 설탕, 후추 가루, 고춧가루 등을 첨가하여 간을 한 후, 미리 삶은 해산물을 넣고 끊이는 형태로 짬뽕 국물을 만드는 데,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짬뽕 국물에 면이나 밥을 추가한 형태의 국물요리를 말한다.
이러한 짬뽕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2011-0054227호에서는 뚝배기에 사골국물을 넣고 6분 내지 8분 동안 끓이는 단계; 면을 100 내지 120℃의 물에 12초 내지 18초간 데치는 방법으로 삶은 후, 찬물에 씻고,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끓는 물에 오징어, 홍합, 새우, 조개, 대합, 낙지, 전복 및 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해산물을 삶아 해산물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 버섯, 양파, 호박, 고추, 양배추, 파 및 대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야채류와 고추기름, 정종, 마늘, 생강, 소금, 후추, 설탕 및 고춧가루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조미료를 혼합하고 볶은 후, 상기 해산물 육수를 첨가하고 다시 끓이는 방법으로 짬뽕육수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6분 내지 8분 동안 끓인 사골국물에 상기 물기를 제거한 면과 상기 짬뽕육수를 첨가하고 1 내지 2분 동안 끓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짬뽕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기술은 해산물의 시원한 맛에 사골국물이 첨가되도록 하여 국물 맛을 향상시킨 다는 것인데, 이러한 기술에 의해서도 단백한 맛을 향상시키는 데는 어딘가 부족함이 있고, 특히 면의 식감에서 단백한 맛이 도출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짬뽕국물은 물론 면에도 돌미역의 향 및 맛이 우러나도록 하여 단백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짬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짬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돌미역 분말 3 내지 7중량부를 첨가하여 2 내지 4시간을 끓여서 돌미역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돌미역추출수에 해산물을 넣어 1 내지 2시간 끓여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 돌미역을 포함한 야채, 고추기름, 술, 마늘, 생강, 소금, 후추, 설탕 및 고춧가루를 혼합한 양념혼합물을 볶는 단계; 상기 육수에 상기 양념혼합물을 첨가하여 1 내지 2시간 끓여 짬뽕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면을 상기 돌미역추출수에 삶은 후 찬물로 씻어내는 단계; 상기 짬뽕국물에 면을 첨가하여 1 내지 2분 동안 끓이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은 돌미역추출수에 의해 육수제조는 물론 면을 삶도록 함으로써 짬뽕국물은 물론 면에도 돌미역 특유의 향과 맛이 우러나도록 하여 해산물의 시원한 맛과 더불어 단백한 맛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재료서 돌미역은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에 속하는 1년생 대형 조류(藻類)로서 특히 마라도 돌미역은 그 맛이 여타 미역과 대비 깊고 구수하며, 그 향이 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돌미역에는 풍부한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칼슘, 요오드 등의 영양소가 다양하게 함유되어 있다.
상기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에는, 상기 돌미역추출수 100중량부에 대해 오징어, 게를 포함한 해산물 20 내지 40중량부를 넣어 1 내지 2시간 끓여 육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념혼합물을 볶는 단계에는, 돌미역을 포함한 야채 100중량부에 대해 고추기름 1 내지 3중량부, 술 0.5 내지 1.5중량부, 마늘 1 내지 3중량부, 생강 0.5 내지 2중량부, 소금 1 내지 2중량부, 후추 1 내지 2중량부, 설탕 1 내지 2중량부, 고춧가루 3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10분 내지 15분 볶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양념혼합물에는 돌미역을 포함한 야채 100중량부에 대해 녹말분말 1 내지 2중량부가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녹말분말이 더 첨가되도록 하는 것은 고추기름, 술, 마늘 등 양념이 돌미역을 포함한 야채에 점성에 의해 충분히 스며들도록 하여 재료자체에서 맛이 우러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짬뽕국물을 제조하는 단계에는, 육수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양념혼합물 20 내지 30중량부를 첨가하고 이에 더하여 계란노란자 1 내지 3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1 내지 2시간 끓여 짬뽕국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계란노란자가 소량 첨가되도록 하는 것은 맛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도 얌념혼합물의 맛이 육수에 균일하게 배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돌미역 짬뽕에 대해서도 제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돌미역 짬뽕은 돌미역추출액에 의해 육수를 제조하고 면을 삶아 국물은 물론 면에도 돌미역 특유의 향과 맛이 배이도록 하여 해산물의 시원한 맛에 더하여 단백한 맛이 우러나도록 함으로써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실험 예를 설명한다.
<
실시예
>
<
실시예
1> 짬뽕의
제조예
1
물 100중량부에 대해 돌미역 분말 4중량부를 첨가하여 2시간을 끓여서 돌미역추출수를 제조한 후에 상기 돌미역추출수 100중량부에 대해 오징어, 게, 해삼을 30중량부 넣어 2시간 끓여 육수를 제조한다. 이어 돌미역, 버섯, 양배추를 포함한 야채 100중량부에 대해 고추기름 2중량부, 술 1중량부, 마늘 1중량부, 생강 1중량부, 소금 2중량부, 후추 1중량부, 설탕 2중량부, 고춧가루 4중량부를 혼합하여 12분 동안 볶아 양념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육수 100중량부에 양념혼합물 25중량부를 첨가하여 1시간 끓여 짬뽕국물을 제조한다. 또한 면을 상기 돌미역추출수에 삶은 후 찬물로 씻어내어 면을 제조하고, 상기 짬뽕국물에 면을 첨가하여 1 내지 2분 동안 끓여서 짬뽕을 제조한다.
<
실시예
2> 짬뽕의
제조예
2
본 실시 예에서는 물 100중량부에 대해 돌미역 분말 4중량부를 첨가하여 2시간을 끓여서 돌미역추출수를 제조한 후에 상기 돌미역추출수 100중량부에 대해 오징어, 게, 해삼을 30중량부를 넣어 2시간 끓여 육수를 제조한다. 이어 돌미역, 버섯, 양배추를 포함한 야채 100중량부에 대해 고추기름 2중량부, 술 1중량부, 마늘 1중량부, 생강 1중량부, 소금 2중량부, 후추 1중량부, 설탕 2중량부, 고춧가루 4중량부를 혼합하여 12분 동안 볶아 양념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육수 100중량부에 양념혼합물 25중량부를 첨가하여 1시간 끓여 짬뽕국물을 제조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면을 물에 삶은 후 찬물로 씻어내어 면을 제조하고, 상기 짬뽕국물에 면을 첨가하여 1 내지 2분 동안 끓여서 짬뽕을 제조한다.
<
실시예
3> 짬뽕의
제조예
3
본 실시 예에서는 물 100중량부에 대해 돌미역 분말 4중량부를 첨가하여 2시간을 끓여서 돌미역추출수를 제조한 후에 상기 돌미역추출수 100중량부에 대해 오징어, 게, 해삼을 30중량부를 넣어 2시간 끓여 육수를 제조한다. 이어 돌미역, 버섯, 양배추를 포함한 야채 100중량부에 대해 고추기름 2중량부, 술 1중량부, 마늘 1중량부, 생강 1중량부, 소금 2중량부, 후추 1중량부, 설탕 2중량부, 고춧가루 4중량부를 혼합하여 12분 동안 볶아 양념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육수 100중량부에 양념혼합물 25중량부를 첨가하고, 이에 더하여 계란노란자 2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1시간 끓여 짬뽕국물을 제조한다. 또한 면을 상기 돌미역추출수에 삶은 후 찬물로 씻어내어 면을 제조하고, 상기 짬뽕국물에 면을 첨가하여 1 내지 2분 동안 끓여서 짬뽕을 제조한다.
<
비교예
>
돌미역추출수를
이용하지 않은 짬뽕의 제조
물 100중량부에 대해 오징어, 게, 해삼 30중량부를 넣어 2시간 끓여 육수를 제조한다. 이어 버섯, 양배추를 포함한 야채 100중량부에 대해 고추기름 2중량부, 술 1중량부, 마늘 1중량부, 생강 1중량부, 소금 2중량부, 후추 1중량부, 설탕 2중량부, 고춧가루 4중량부를 혼합하여 12분 동안 볶아 양념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육수 100중량부에 양념혼합물 25중량부를 첨가하여 1시간 끓여 짬뽕국물을 제조한다. 또한 면을 물에 삶은 후 찬물로 씻어내어 면을 제조하고, 상기 짬뽕국물에 면을 첨가하여 1 내지 2분 동안 끓여서 짬뽕을 제조한다.
<
실험예
>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훈련된 패널 10명을 상대로 하여 맛, 냄새의 중화 정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아래의 5점 척도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1점: 매우 나쁨 2점: 나쁨
3점: 보통 4점: 좋음
5점: 매우 좋음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괄호 안의 점수는 5점 척도법에 따른 평균값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맛의 좋고 냄새의 중화 정도가 우수하며, 기호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분 | 맛 | 냄새 | 기호도 |
실시예 1 | 4.5 | 4.4 | 4.5 |
실시예 2 | 4.4 | 4.3 | 4.4 |
실시예 3 | 4.6 | 4.4 | 4.7 |
비교예 | 3.0 | 3.1 | 3.1 |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여 보면, 실시 예 1,2,3의 경우가 비교 예에 비해 맛, 냄새, 기호도에서 훨씬 우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실시 예의 경우 돌미역추출액을 사용하여 육수 또는 면을 삶아 짬뽕에서 돌미역 특유의 향이 배이도록 함과 동시에 단백한 맛이 우러나도록 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실시 예 1 내지 3을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실시 예 3 > 실시 예 1 > 실시 예 2 순으로 맛, 냄새, 기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실시 예 2의 경우 실시 예 1 및 실시 예 3과 다르게 면을 삶는 과정에 돌미역추출수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 방식과 같이 물을 이용하여 삶은 후 찬물로 씻어내어 제조되도록 함에 기인 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실시 예 1 및 3의 경우 면에도 돌미역 향과 맛이 우러나도록 하여 식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반면 실시 예 2의 경우는 짬뽕국물에만 한정하여 돌미역 향과 맛이 우러나도록 하여 식감, 향에서 실시 예 1 및 3보다 약간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 예 3이 실시 예 2보다 기호도 등에서 앞서는 것을 알 수 있는 바, 이는 짬뽕국물 제조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실시 예 3은 육수에 양념혼합물을 첨가하고 이에 더하여 계란노란자가 첨가되도록 하였는데, 여기서 계란노란자는 분산제로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육수에서 양념혼합물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식감이 발현되도록 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 물 100중량부에 대해 돌미역 분말 3 내지 7중량부를 첨가하여 2 내지 4시간을 끓여서 돌미역추출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돌미역추출수 100중량부에 대해 오징어, 게를 포함한 해산물 20 내지 40중량부를 넣어 1 내지 2시간 끓여 육수를 제조하는 단계;
돌미역을 포함한 야채, 고추기름, 술, 마늘, 생강, 소금, 후추, 설탕 및 고춧가루를 혼합한 양념혼합물을 볶는 단계;
상기 육수에 상기 양념혼합물을 첨가하여 1 내지 2시간 끓여 짬뽕국물을 제조하는 단계;
면을 상기 돌미역추출수에 삶은 후 찬물로 씻어내는 단계;
상기 짬뽕국물에 면을 첨가하여 1 내지 2분 동안 끓이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양념혼합물을 볶는 단계에는,
돌미역을 포함한 야채 100중량부에 대해 고추기름 1 내지 3중량부, 술 0.5 내지 1.5중량부, 마늘 1 내지 3중량부, 생강 0.5 내지 2중량부, 소금 1 내지 2중량부, 후추 1 내지 2중량부, 설탕 1 내지 2중량부, 고춧가루 3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는 10분 내지 15분 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혼합물에는 돌미역을 포함한 야채 100중량부에 대해 녹말분말 1 내지 2중량부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짬뽕국물을 제조하는 단계에는,
육수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양념혼합물 20 내지 30중량부를 첨가하고, 이에 더하여 계란노란자 1 내지 3중량부를 첨가하여 1 내지 2시간 끓여 짬뽕국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
-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돌미역 짬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0291A KR101461010B1 (ko) | 2013-06-19 | 2013-06-19 |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돌미역 짬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0291A KR101461010B1 (ko) | 2013-06-19 | 2013-06-19 |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돌미역 짬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1010B1 true KR101461010B1 (ko) | 2014-11-20 |
Family
ID=5229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0291A KR101461010B1 (ko) | 2013-06-19 | 2013-06-19 |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돌미역 짬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101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178B1 (ko) | 2019-03-27 | 2019-07-11 | 박정욱 | 염지수단에 의해 염지된 돼지고기를 이용한 짬뽕소스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4227A (ko) * | 2009-11-17 | 2011-05-25 | 김학열 | 뚝배기 짬뽕의 제조방법 |
KR20120124131A (ko) * | 2011-05-03 | 2012-11-13 | 이근영 | 유탕 블랜칭 야채를 이용한 짬뽕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211202B1 (ko) * | 2012-03-19 | 2012-12-11 | 권혁남 | 짬뽕국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짬뽕국물 제조방법 |
KR101217884B1 (ko) * | 2012-09-05 | 2013-01-02 | 안송자 | 짬뽕 순두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짬뽕 순두부 |
-
2013
- 2013-06-19 KR KR1020130070291A patent/KR1014610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4227A (ko) * | 2009-11-17 | 2011-05-25 | 김학열 | 뚝배기 짬뽕의 제조방법 |
KR20120124131A (ko) * | 2011-05-03 | 2012-11-13 | 이근영 | 유탕 블랜칭 야채를 이용한 짬뽕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211202B1 (ko) * | 2012-03-19 | 2012-12-11 | 권혁남 | 짬뽕국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짬뽕국물 제조방법 |
KR101217884B1 (ko) * | 2012-09-05 | 2013-01-02 | 안송자 | 짬뽕 순두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짬뽕 순두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9178B1 (ko) | 2019-03-27 | 2019-07-11 | 박정욱 | 염지수단에 의해 염지된 돼지고기를 이용한 짬뽕소스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742809A (zh) | 一种油泼笋丝的制备方法 | |
CN103393061A (zh) | 一种鸭肉调理品去腥味工艺 | |
KR101836155B1 (ko) | 어간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간장 | |
KR101511987B1 (ko) | 돼지감자 발효액을 포함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 |
KR101461010B1 (ko) | 돌미역 짬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돌미역 짬뽕 | |
CN104172072A (zh) | 一种肉制品调味汁的制备方法 | |
KR101521167B1 (ko) | 토마토 소스를 이용한 우동 스프 및 그 제조방법 | |
KR20180104884A (ko) | 조리용 혼합양념 및 혼합양념 제조방법 | |
KR101903716B1 (ko) | 감자 탕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자 탕수 | |
KR102134517B1 (ko) | 청양고추와 젓갈을 이용한 무채김치의 제조방법 | |
KR101515528B1 (ko) | 소 양지 육수를 포함하는 김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30069230A (ko) | 한방 저염 김치의 제조방법 | |
KR20110097544A (ko) | 우리쌀 스파게티 | |
CN104970332A (zh) | 芫荽、香葱和孜然的复合香辛料香精的制法及产品的应用 | |
KR101866365B1 (ko) | 콩나물 짬뽕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578869B1 (ko) | 연 떡갈비 제조방법 | |
KR101678633B1 (ko) | 복어회 새싹 비빔밥의 제조방법 | |
KR101819137B1 (ko) | 게국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855807B1 (ko) | 비릿한 맛이 제거된 알탕 제조방법 | |
JP6823558B2 (ja) | もやしの青臭さを低減する調味料 | |
KR20100048172A (ko) | 해물찜 제조방법 | |
KR101697756B1 (ko) | 비릿한 맛이 제거된 알탕 제조방법 | |
KR100642319B1 (ko) | 굴육수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77676A (ko) | 붉은 대게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82666B1 (ko) | 칼국수용 홍게 육수의 제조방법 및 그 칼국수용 홍게 육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