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622B1 - Vegetation and port, a method of cultivating aquatic plants using this port - Google Patents
Vegetation and port, a method of cultivating aquatic plants using this po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9622B1 KR101459622B1 KR1020130133655A KR20130133655A KR101459622B1 KR 101459622 B1 KR101459622 B1 KR 101459622B1 KR 1020130133655 A KR1020130133655 A KR 1020130133655A KR 20130133655 A KR20130133655 A KR 20130133655A KR 101459622 B1 KR101459622 B1 KR 1014596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
- soil
- water
- plant
- aquatic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9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698 Polyethylene (P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3165 Abomasum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882 bottom as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453636 Salvin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100 immobiliz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19000 Pop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0254171 Curculio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04 biodegradable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363 herbicid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849 Cucumis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608 Fece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92 Genitali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554 Ir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4 acut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50 fec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09 herb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281 long blac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9 trace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3 trace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17 Anser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917 Bambusa tul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18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432 Carica papay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67 Carica papay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32536 Cirs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87 Fa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547 Hallucina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435 Li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504 Po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029 Prunus persica var nucipers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866 Prunus persica var. nuciper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1 Venom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87 bubb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354 carica papay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10 lig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477 pH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91 sco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82 stem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용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상광하협의 형태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물 식재를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압입을 통해 토양으로 상기 몸체가 매립되도록 하는 첨예부; 상기 몸체 외주에 토양을 헤쳐 상기 몸체가 토양으로 매립되도록 하는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을 따라 형성된 통공;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용 포트는 원추형 몸체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토양은 물론 수역으로의 매립과 적출이 용이하여, 육상뿐만 아니라, 수역으로의 녹지조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생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수생식물이 수중 지반에 뿌리를 내려야 하는 생육환경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생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생육환경의 고려 없이 토양과 물이라는 두 개의 조건만 만족하는 곳이라면 장소를 불문하고 수생식물의 생육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port, comprising: a body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n interior space for a plant material, A pointed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allow the body to be embedded into the soil through press-fitting; A screw threading the soil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so that the body is buried in the soil; And a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thread.
The vegetation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ical body so that it can be easily buried and extracted into the water as well as the soil. This not only facilitates the formation of greenery to the land as well as the land,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that the aquatic plant can grow sufficiently even if it is not a growing environment in which the root is to be rooted in the underwater ground. In other words, it is easy to grow aquatic plants regardless of the place where only two conditions of soil and water are satisfie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growing environ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생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식물이 식재되는 포트의 단부가 첨예하고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토양으로의 매립이 용이하고, 수변 및 수중은 물론, 매트를 통해 수면으로의 부유한 식재가 가능하여, 육상 및 수역에 대한 녹지 조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역에서 식물의 안정적 재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식생용 포트와 이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 for vegetation, which has a sharp edge at the end of a pot and has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ereof so as to be easily buried in soil, To a vegetation port and a method of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the vegetation port capable of forming a stable cultivation environment of a plant in a waterside.
일반적으로 식생용 포트는 종자의 발아와, 발아된 식물을 토양으로의 안정적 이식 또는 매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general, the vegetation port is intended to facilitate germination of the seed and stable implantation or landfilling of the germinated plant into the soil.
이러한 포트는 토양으로의 이식이 용이하도록 상광하협의 형태를 갖으며, 그 일례로 국내 등록실용 제20-377759호 이탈방지 식생포트가 등록된 바 있다.These ports have the form of a light tunnel to facilitate the transfer to the soil. For example, the registration port 20-377759 has been registered in the domestic registration office.
종래의 포트는 하부가 원추형으로 이루어져, 토양으로의 매립이 용이하고, 또한, 이탈방지부재가 마련되어, 포트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정된 매립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port has a conical shape in its lower part and is easy to be buried in the soil.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departure-preventing member is provided to prevent the port from being released and a stable buried state can be maintained.
그러나, 종래의 포트는 토양 특성에 따라 포트의 매립과 매립 상태에서 재이식 내지는 적출이 용이하지 못하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ort is not easy to re-implant or extract in the landfill and buried state depending on the soil characteristics.
즉, 종래의 포트는 첨예한 단부를 이용한 압입 방식에 의해 토양으로 매립된다. 따라서 토양이 밀도가 높은 경질 상태일 경우, 포트의 매립이 용이하지 못하고,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를 필요로 하여, 포트의 매립이 수월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공에 번거로움이 발생하여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That is, the conventional port is embedded in the soil by the press-fitting method using the sharp ends. Therefore, when the soil is densely densified, the port is not easy to be fille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 separate tool is required, so that not only the port is easily buried but also the efficiency is lowered there is a problem.
또한, 포트를 재이식하거나, 철거 등의 이유로 적출해낼 경우, 이탈방지부재로 인해 적출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주변 토양을 해쳐야 하는 별도의 작업을 추가로 진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rt is re-implanted or removed due to dismantling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remove due to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and further work is required to separate the surrounding soil.
따라서 포트를 토양에 매립할 때, 보다 폭넓은 토양의 밀도범위에 대응이 가능한 포트의 개발이 시급하며, 나아가 포트에 대한 매립은 물론, 적출이 용이한 포트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다.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port that can cope with a wider range of soil density when landing the port in the soil. Further, it is urgent to develop a port that can be easily taken out as well as being buried in the port.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원추형 몸체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토양은 물론 수변과 수중으로의 매립과 적출이 용이하여, 육상뿐만 아니라, 수역으로의 녹지조성이 용이한 식생용 포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hread on the outer periphery of a conical body and facilitating landfilling and extraction into water and water as well as soil, And to provide a vegetation port in which the green area can be easily formed.
또한, 본 발명은 몸체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별도의 굴토작업 없이도 종래의 포트보다 폭넓은 밀도범위의 토양은 물론, 수변과 수중으로의 매립이 용이한 식생용 포트를 제안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getation port which is easy to land in waterside and underwater as well as in a soil having a wider range of density than a conventional port through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은 개방된 몸체 상부가 탈착 가능한 덮개 또는 캡으로 폐쇄되므로, 포트로부터 토양이 유실되거나, 실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씨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녹지의 훼손을 예방하고, 이를 장기화시켜 유지보수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식생용 포트를 제안하는 데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ned top of the body is closed by the removable lid or cap, the soi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from the port o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ort, , And propose a vegetation port that can reduce the economic burden of maintenance by prolonging it.
또한, 본 발명은 몸체에 통공이 구비되어, 포트로의 수분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통공을 통한 뿌리의 확장은 물론, 식물과 토양의 융화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식물의 안정적 생육이 가능한 식생용 포트를 제안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asy to supply and discharge moisture to the pot, but also to enhance the ability of plant and soil to fuse, as well as to expand roots through through holes. And a vegetation port.
또한, 본 발명의 포트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서, 토양과의 융화력을 향상시키고, 자연비료로 활용되어 식물로의 양분공급을 통한 양질의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포트에 의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식생용 포트를 제안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odegradable plastic using natural materials, which improves the melting power with the soil and can be utilized as a natural fertilizer to provide a high-quality growth environment by supplying nutrients to plants. Further, Which can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vegetation.
또한, 본 발명은 포트 외곽에 포스트 설치를 위한 지지홀이 마련되어, 포스트를 통한 식물 줄기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고, 따라서 줄기식물의 성장유도는 물론, 식물의 줄기를 곧게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토마토 내지는 가지 및 오이 등과 같이 열매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여 안정적 재배가 가능한 식생용 포트를 제안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hole for installing a post on the outer side of a port, and can stably support the plant stem through the post, thereby inducing the growth of the stem plant as well as keeping the stem of the plant straight, And a vegetable port capable of supporting stable loads by supporting loads such as branches and cucumbers.
또한, 본 발명은 수생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수단으로 포트를 이용함으로써, 수생식물이 수중 지반에 뿌리를 내려야 하는 생육환경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생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생육환경의 고려 없이 토양과 물이라는 두 개의 조건만 만족하는 곳이라면 장소를 불문하고 수생식물의 생육이 용이하도록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have an effect of allowing the aquatic plant to grow sufficiently even if it is not in a growing environment where roots need to be roots in an aquatic plant, by using a pot as a means by which aquatic plants can take roo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vegetable pot so that aquatic plants can grow easily regardless of a place where only two conditions such as soil and water are satisfied without consideration of a growing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초기 배양된 수생식물의 생육환경 변화의 필요성에 의해 이식하는 경우, 포트의 적출만으로 천연 또는 인공 토양으로의 재이식이 가능하여 성장에 대응하는 맞춤형 환경 제공이 가능한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getation port capable of providing a customized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growth by allowing the port to be re-implanted into natural or artificial soil only when the port is removed by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initially cultivated aquatic plant And to propose a method of cultivating aquatic plants.
또한, 본 발명은 수생식울의 초기 생장환경을 타 경쟁종 또는 잡초가 생육할 수 없는 환경으로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생식물의 종의 복원에 유리하게 하고, 원활히 생장하도록 하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즉, 수생식물 중, 자연환경에서 발아 및 생육이 용이하지 못한 식물(예를 들어, 독미나리)을 생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후 천연 수변과 수중에서 경쟁종과 함께 자연 생장하는 경우 생존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dopt the initial growth environment of the male genital wool as an environment in which no other competitive species or weeds can grow,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dvantageously restore the species of aquatic plants, And to propose a method of cultivating aquatic plants using.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grow plants that are not easy to germinate and grow in a natural environment (for example, poplar butterfly) among the aquatic plants, thereby ensuring survival competitiveness in case of natural growth along with competitors in the future. .
또한, 본 발명은 독미나리와 같이 수면을 따라 성장하는 줄기가 수중으로 가라않는 것을 방지하여 식물의 침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poses a method of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vegetation pot that prevents stem from growing along the water surface, such as poplar plants, from being submerged in water, thereby preventing inundation damage of the plant.
또한, 본 발명은 천연 또는 인공 수변 또는 논 등에서 수생식물을 생육할 때, 수생식물이 식재된 부분 이외의 부분의 바닥 토양부를 보다 더 깊에 파도록 함으로써 일정 깊이 이상에서는 생육하기 어려운 수생식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수생식물의 줄기가 타 경쟁종 또는 잡초의 방해 없이 정상적으로 생육되도록 하여 종의 복원에 기여되도록 하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bottom soil portion of a portion other than the planted portion of aquatic plants to be digged deeper when growing aquatic plants in natural or artificial waterside or paddy field, so that the influx of aquatic plants To thereby allow the stem of the aquatic plant to normally grow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 competing species or weed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restoration of the species.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식생용 포트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상광하협의 형태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물 식재를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압입을 통해 토양으로 상기 몸체가 매립되도록 하는 첨예부; 상기 몸체 외주에 토양을 헤쳐 상기 몸체가 토양으로 매립되도록 하는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을 따라 형성된 통공;을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getation port, comprising: a body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n interior space for a plant material, A pointed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allow the body to be embedded into the soil through press-fitting; A screw threading the soil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so that the body is buried in the soil; And a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thread.
상기 포트는, 개방된 상부의 일부를 내지는 그 전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ort further comprises a cover which opens or closes a part of the opened upper part or the whole part thereof.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와 자웅의 탈착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li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through a detachment means of the body and the male.
상기 덮개는,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상부를 일부 또는 전체를 폐쇄하되, 식물 줄기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천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id is formed of at least one pair, and a part or all of the open upper part is closed, and a perforation is form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lant stem.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 일면을 폐쇄하는 제1덮개; 및 상기 몸체의 타면을 폐쇄하는 제2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는 상호 자웅의 결합수단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includes: a first cover that closes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 second lid for closing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wherein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are detachably coupled through mutual joining means.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몸체와 덮개를 탄력적 구조 이루어져, 상기 몸체와 덮개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수단; 및 상기 몸체와 덮개를 자웅의 끼움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와 덮개의 결합을 보강하는 제2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means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body and the lid so that the body and the lid are resiliently structured; And a second means for reinforc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lid, wherein the body and the lid comprise a fitting structure of the male body.
제1수단은, 상기 몸체 상부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결합홀; 및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는 상기 덮개 밑면에 마련된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means comprises: a coupling hole provided at least one radially above the body; And a hook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id corresponding to the engagement hole.
상기 제2수단은, 상기 결합홀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상기 덮개 밑면에 마련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econd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holes; And a protrusion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id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groove.
상기 포트는, 사면 또는 직면에 설치될 경우, 우수에 의해 상기 몸체로부터 토양 내지는 식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캡;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ort further comprises a cap for preventing the loss of soil or vegetation from the body by the rain when installed on a sloping or facing surface.
상기 캡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하되는 반구의 형태를 갖으며, 일면에 식물 성장에 있어, 줄기에 대응하는 영역에 천공이 형성되고, 타면은 토양 내지는 식물의 유실을 방지하고, 우수에 대한 집수가 이루어지는 만곡부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ap has a hemispherical shape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an open top of the body. On one side, a perforation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tem in plant growth, and the other surface prevents loss of soil or plants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in which the number of grooves for the storm is formed.
상기 첨예부는, 상기 포트가 수면을 부유하는 매트 또는 수중으로 투척되는 담체와 체결될 경우, 상기 매트 또는 담체와의 핀 또는 링을 통해 결합을 보강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poin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rtion for reinforcing the coupling through the pin or the ring with the mat or the carrier when the port is fastened to a mat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or to a carrier to be thrown into water.
상기 포트는, 외곽 테두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홀은, 상기 식물 성장에 대응하여 줄기를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가 설치되는 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or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upport hole penetrating the outer frame, wherein the support hole is a hole in which a post for supporting the stem is install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ant growth.
상기 지지홀은, 상기 포스트의 외곽을 감싸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포스트의 외곽을 감싸 상기 포스트의 수직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hol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surround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post, wherein the guide portion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st to maintain the vertical state of the post.
포트 내부 공간부에 수생식물을 식재하고, 상기 공간부에 토양 또는 수태를 채우는 제1단계; 상기 개방된 상부를 덮개로 폐쇄하는 제2단계; 및 수생식물이 식재된 상기 포트를 천연 또는 인공으로 조성된 수역의 토양에 매립하거나, 매개체를 통해 수역에 고정하는 제3단계;를 통해 달성된다.A first step of planting aquatic plants in the port internal space and filling the space with soil or impurities; A second step of closing the open top with a cover; And a third step in which the port in which aquatic plants are planted is buried in a soil of a natural or artificial water body or is fixed to a water body through a medium.
수생식물이 씨앗일 때, 수생식물을 발아 및 생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germinating and growing an aquatic plant when the aquatic plant is a seed.
상기 수생식물을 발아 및 생육하는 단계 이후, 성장한 수생식물을 천연 또는 인공으로 조성된 수역의 토양으로 이식하거나, 상기 매개체를 통해 수역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of germinating and growing the aquatic plan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planting the grown aquatic plant into a soil of a natural or artificially formed water body or immobilizing it in a water body through the medium.
상기 매개체는, 수역에 고정되고, 수중으로 침강되거나, 부유하는 담체 또는 부유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edium is a carrier or float mat fixed to a water body, settled in water, floated or floated.
상기 담체는, 다공성 콘크리트 또는 발포성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인공물이거나, 황토, 제올라이트, 왕겨, 굴패각, 맥반석 및 바텀애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된 성형물 또는 혼합물인 것이며, 상기 포트와 나사체결되어 수중으로 침강되는 중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arrier may be an artifact made of porous concrete or foamable polyethylene or a molded product or a mixtur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loess, zeolite, rice husk, oyster shell, elvan stone and bottom ash, And is preferably a weight which is precipitated in water.
상기 담체는, 내부에 토양을 수용할 수 있도록 포켓 형태로 구성되며, 수심 1미터 이하의 수역에 고정하되, 바닥과 밀착되거나, 천연 또는 인공의 부유체를 통해 부유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arri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cket so as to be able to receive the soil therein and is fixed to a water body of less than 1 meter in depth and is adhered to the floor or floated through a natural or artificial float.
상기 담체가 배치된 천연 또는 인공 수역의 바닥 부분 이외의 수중 바닥 부분을 상기 담체가 고정된 바닥부 보다 30 ~ 60cm 더 깊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ortion of the water other than the bottom portion of the natural or man-made water body in which the carrier is disposed is 30 to 60 cm deeper than the bottom portion to which the carrier is fixed.
상기 담체는, 복수개로 설치하며, 상호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부에 의해 수역 토양에 고정되어, 전도되거나, 설치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arrier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terconnecting member and is fixed to the watery soil by the fixing portion so as to prevent it from being conducted or separated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상기 부유매트는, 내부에 부력을 갖는 매트로서, 내부에 천연 또는 인공토양과 함께 부력수단이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loating mat is a mat having buoyancy therein and filled with buoyancy means together with natural or artificial soil.
상기 부력수단은, 천연의 갈대 또는 볏짚이거나, 인공의 발포성 폴리에틸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uoyancy means is any one selected from natural reed or rice straw or artificial foamable polyethylene.
상기 부유매트는, 식재된 수생식물의 주변에 물이끼를 더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oating mat further plants water moss around the planted aquatic plants.
상기 포트가 매립되는 인근 영역에 대해 식물의 뿌리나 돌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removing the roots or stones of the plant in the vicinity of the area where the port is buried.
수생식물이 수면을 따라 성장하는 종일 경우, 줄기가 수면을 따라 성장할 수 있도록 줄기를 부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floating the stem so that the stem grows along the water surface when the aquatic plant grows along the water surfac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추형 몸체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토양은 물론 수역으로의 매립과 적출이 용이하여, 육상뿐만 아니라, 수역으로의 녹지조성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ical body, it is easy to embed and remove the water into the water as well as the soil, and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facilitating the formation of the green area to the water body as well as the land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은 몸체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별도의 굴토작업 없이도 종래의 포트보다 폭넓은 밀도범위의 토양은 물론, 수역으로의 매립이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facilitate the landfill into a body of water as well as a soil having a wider range of density than conventional ports, through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은 개방된 몸체 상부가 탈착 가능한 덮개 또는 캡으로 폐쇄되므로, 포트로부터 토양이 유실되거나, 실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홀씨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녹지의 훼손을 예방하고, 이를 장기화시켜 유지보수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ned top of the body is closed by the removable lid or cap, the soi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from the port o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ort,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conomic effect of reducing the economic burden due to the maintenance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은 몸체에 통공이 구비되어, 포트로의 수분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통공을 통한 뿌리의 확장은 물론, 식물과 토양의 융화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식물의 안정적 생육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asy to supply and discharge moisture to the pot, but also to enhance the ability of plant and soil to fuse, as well as to expand roots through through holes. Effect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의 포트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서, 토양과의 융화력을 향상시키고, 자연비료로 활용되어 식물로의 양분공급을 통한 양질의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포트에 의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odegradable plastic using natural materials, which improves the melting power with the soil and can be utilized as a natural fertilizer to provide a high-quality growth environment by supplying nutrients to plants. Further,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that can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water.
또한, 본 발명은 포트 외곽에 포스트 설치를 위한 지지홀이 마련되어, 포스트를 통한 식물 줄기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고, 따라서 줄기식물의 성장유도는 물론, 식물의 줄기를 곧게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토마토 내지는 가지 및 오이 등과 같이 열매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여 안정적 재배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hole for installing a post on the outer side of a port, and can stably support the plant stem through the post, thereby inducing the growth of the stem plant as well as keeping the stem of the plant straight,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stable growth by supporting the load by the fruit such as branches, cucumbers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수생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수단으로 포트를 이용함으로써, 수생식물이 수중 지반에 뿌리를 내려야 하는 생육환경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생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생육환경의 고려 없이 토양과 물이라는 두 개의 조건만 만족하는 곳이라면 장소를 불문하고 수생식물의 생육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have an effect of allowing the aquatic plant to grow sufficiently even if it is not in a growing environment where roots need to be roots in an aquatic plant, by using a pot as a means by which aquatic plants can take root. In other words, it is easy to grow aquatic plants regardless of the place where only two conditions of soil and water are satisfie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growing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초기 배양된 수생식물의 생육환경 변화의 필요성에 의해 이식하는 경우, 포트의 적출만으로 천연 또는 인공 토양으로의 재이식이 가능하여 성장에 대응하는 맞춤형 환경 제공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provide a customized environment in which growth can be accommodated by allowing the port to be re-implanted into a natural or artificial soil only by the removal of the port when the plant is transplanted by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initially cultivated aquatic plant have.
또한, 본 발명은 수생식울의 초기 생장환경을 타 경쟁종 또는 잡초가 생육할 수 없는 환경으로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생식물의 종의 복원에 유리하게 하고, 원활히 생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수생식물 중, 자연환경에서 발아 및 생육이 용이하지 못한 식물(예를 들어, 독미나리)을 생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후 천연 수역에서 경쟁종과 함께 자연 생장하는 경우 생존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dopt the initial growth environment of the male genital wool as an environment in which other competitive species or weeds can not grow, thereby making it advantageous for restoration of species of aquatic plants, . That is, it is possible to grow aquatic plants which are not easy to germinate and grow in a natural environment (for example, poplar butterfly), so that they can secure survival competitiveness in case of natural growth along with competitive species in natural waters .
또한, 본 발명은 독미나리와 같이 수면을 따라 성장하는 줄기가 수중으로 가라않는 것을 방지하여 식물의 침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tem growing along the water surface from falling into the water, such as poplar plants, thereby preventing the flooding damage of the plant.
또한, 본 발명은 천연 또는 인공 수역의 가장자리 또는 논 등에서 수생식물을 생육할 때, 수생식물이 식재된 부분 이외의 부분의 바닥 토양부를 보다 더 깊에 파도록 함으로써 일정 깊이 이상에서는 생육하기 어려운 수변식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수생식물의 줄기가 타 경쟁종 또는 잡초의 방해 없이 정상적으로 생육되도록 하여 종의 복원에 기여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ter-borne plant which is difficult to grow at a certain depth or more by making the bottom soil portion of the portion other than the planted portion of the aquatic plant grow more deeply when the aquatic plant is grown on the edge of natural or man-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stem of the aquatic plant is normally grown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 competing species or weed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restoration of the speci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포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적용한 포트의 설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나사산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홀을 설명하기 위해 식생용 포트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싱예에 따른 포스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첨예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초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1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2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3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담체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1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일 실시예에 따른 담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2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일 실시예에 따른 담체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3실시예,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일 실시예에 따른 담체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4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매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실시예,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매트의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whole view for explaining a vegetation 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xemplary installation of a port to which a c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threa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port for explaining a support h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 po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o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pos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cute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fecification she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vegetation 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method of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carri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shown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arri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carri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carri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floating ma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tout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state of a floating mat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and the definition is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포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이다.1 is a general view illustrating a vegetation 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00)는 토양으로의 매립이 용이하고, 수역 가장자리는 물론, 매트를 통해 수면으로의 부유한 식재가 가능하여, 육상 및 수역에 대한 녹지 조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역에서 식물의 안정적 재배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특히, 수생식물 대한 양호한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이러한 포트는 몸체(110), 몸체(110) 하부에 형성된 첨예부(117), 몸체(110)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121) 및 나사산(121)을 따라 형성된 통공(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se ports include a
몸체(110)는 상광하협의 형태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토양 또는 수태와 식물 식재를 위한 공간부(111)가 형성된다.The
이러한 몸체(110)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서, 토양과의 융화력을 향상시키고, 자연비료로 활용되어 식물로의 양분공급을 통한 양질의 생확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포트(100)에 의한 환경오염 즉, 종래 합성수지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천연소재의 일례로는 펙틴, 전분, 셀룰로스 및 리그닌 등이 있다.
Such a
공간부(111)는 몸체(110)에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으로, 하부가 좁고 상부로 갈수록 넓게 확장되어 식물의 뿌리와 토양이 식재되는 영역인 것이다.The
여기서 토양은 황토 내지는 인공토양일 수 있으며, 인공토양으로는 식물생육에 필요한 양분(N,P,K 및 Mg, Ca, Na 등의 미량원소)이 고루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유기불순물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Herein, the soil may be yellow soil or artificial soil, and artificial soil preferably contains nutrients (trace elements such as N, P, K and Mg, Ca and Na) necessary for plant growth, and organic impurities It is highly desirable to avoid inclusion.
첨예부(117)는 몸체(110)의 하부를 이루며, 토양 내지는 수역으로 매립할 때, 도 6과 같이 토양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70) 등으로의 용이한 진입은 물론, 체결부(119)를 통해 매립 상태를 보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pointed
나사산(121)은 몸체(110)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토양으로의 진입을 더욱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00)를 토양(230)으로 매립할 때, 포트(100)로 하여금 토양(230)을 해치며 매립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이러한 나사산(121)은 포트(100)로 하여금 토양을 해치며 매립되므로, 토양(230)으로의 매립과, 다른 토양(예를 들어, 장소변경 및 수역 등)으로 이식할 경우, 적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These
즉, 포트(100)를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성을 주어 회전을 시키면 나사산(121)에 의해 토양(230)으로의 매립은 물론, 적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나사산(121)이 토양을 해치며 매립되므로 비교적 경질의 토양으로의 매립이 더욱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또한, 나사산(121)이 몸체(110) 외주에 형성되어, 매립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데, 이는, 몸체(110) 외주로부터 돌출 형성된 나사산(121)이 토양(230)과 이물림이 되어 포트(100)와 토양(230)과의 결속력을 강화함으로써, 포트(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즉, 본 발명의 포트(100)는 종래와 달리 나사산이 형성되어, 토양(230)은 물론, 수역으로 포트(100)를 매립하거나, 적출할 경우, 별도의 굴토작업이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매립과 적출이 용이하여, 녹지 조성의 편의와, 그로 인한 빠른 시공이 가능하여 경제적 이점은 물론, 공사 기간 단축을 통한 경쟁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한편, 나사산(121)의 피치간 거리는 토양의 밀도에 따라 달리할 수 있으며, 도시된 간격에 제한되지 아니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itch distance between the
또한, 나사산(121)은 외곽의 형상은 토양 밀도에 따라 만곡하게 형성되거나, 첨예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매립 영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The outer shape of the
통공(123)은 나사산(121)을 따라 형성되어, 식물로 하여금 토양이 머금고 있는 수분을 공급받거나, 포트(100) 내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식물의 건조 및 과습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The through
또한, 통공(123)은 식물 성장에 있어, 뿌리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하여, 토양과의 융화력을 향상시켜 식물이 안정적 생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through
한편,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일부 내지는 그 전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덮개(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덮개(130)는 원반의 형상을 갖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져,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 또는 전체를 폐쇄하되, 식물 줄기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중심부에는 덮개 천공부(131)이 형성된다. 이때, 덮개(130)는 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덮개 천공부(131)은 포트(100)에 식재된 식물 줄기의 둘레에 대응하는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며, 매우 바람직하게는 줄기 성장에 대응하는 가변적 크기일 수도 있다. 즉, 도시하지 않았으나, 덮개 천공은 성장에 따라 가변하는 줄기 둘레에 대응하여 확장성을 갖는 구조(예들 들어, 조리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적 구조인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ver perforations 131 are preferably diameters corresponding to the perimeter of the plant stem planted in the
이와 같은 덮개(130)는 몸체(110) 상부와 자웅의 탈착수단(140)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그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43)와 결합홀(142)의 결합구조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43)는 덮개(130)의 밑면에 결합홀(142)은 몸체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또한, 탈착수단(140)은 도시된 결합구조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esorption means 140 is preferably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coupling structure, and can be applied as shown in Fig. 3,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다.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l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30)는 제1덮개(133)와 제2덮개(135)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제1덮개(133)와 제2덮개(135)는 서로 마주하는 일면이 자웅의 결합부재(137)가 마련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이러한 결합부재(137)는 탈착수단(140)과 같이 상호 탄력적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Such a
즉, 제1덮개(133) 또는 제2덮개(135)에 후크 형태의 양각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흠각이 형성되어 양각이 흠각으로 탄력적 결합되는 구조인 것이다.
That is, the
한편, 덮개(130)와 몸체(110)의 결합에 있어, 통상의 다양한 방식이 대체 적용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결합구조가 함께 적용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oupling of the
즉, 후크(143)와 결합홀(142)에 의한 탄력적 결합구조와 돌기(147)와 결합홈(145)의 끼움구조가 동시에 적용되어, 몸체(110)와 덮개(130)의 결합상태를 더욱 보강하여, 덮개(130)가 몸체(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That is, the elastic coupling structure by the
이때, 탄력적 결합구조 즉, 후크(143)와 결합홀(142)의 결합구조는 제1수단(141)이라 하고, 끼움 구조 즉 돌기(147)와 결합홈(145)의 끼결합구조는 제2수단(144)이라 한다. That is,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그러나, 몸체(110)와 덮개(130)를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때, 도시된 결합구조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그 이외에도 통상의 결합구조, 예를 들어, 슬라이드 및 나사체결 등 통상의 자웅 결합구조를 적용하여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However, when the
한편,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수단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50)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도 4과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4, a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5는 캡을 적용한 포트의 설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4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port to which a cap is applied.
캡(150)은 도 5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00)가 사면 또는 직면에 설치될 경우, 몸체(110)로부터 토양 내지는 식물의 유실을 방지하거나, 우수 등을 집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포트(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초시트(180)를 통해 토양(230)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러한 캡(150)은 몸체(110)의 개방된 상부와 탈착수단(140)을 통해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의 형상을 가지되, 일면에 식물 성장에 있어, 줄기에 대응하는 영역에 캡 천공부(151)이 마련되고, 타면은 토양 내지는 식물의 유실을 방지하고, 우수에 대한 집수가 이루어지는 만곡부(153)가 형성되어 있다.The
이때, 캡 천공부(151)과 만곡부(153)의 영역은 도시된 바와 같이 5:5의 비율이거나, 적어도 캡 천공부(151)이 만곡부(153) 영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한편, 적어도 몸체(110)에는 식물 성장에 있어, 줄기 내지는 가지 등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홀(113)이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t least a supporting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홀을 설명하기 위해 식생용 포트의 분리 사시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getation port for explaining a support ho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 상부 외곽에 형성된 지지홀(113)은 식물 성장에 있어, 줄기 내지는 가지 등을 지탱하기 위한 포스트(160)가 설치되는 홀로서, 몸체(110) 상부와 이에 대응하는 영역인 나사산(121) 일부를 함께 관통하여 형성된 홀인 것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이때, 나사산(121) 영역을 관통하는 영역은 포스트(160)의 외곽을 감싸 수직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영역인 것이며, 이를 가이드부(115)라 한다.
At this time, the region passing through the
이러한 지지홀(113)은 몸체(110) 외곽에 서로 대향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지지홀(113)에는 도 9와 같이 바 형태를 갖는 한 쌍의 포스트(160)가 나란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도 10과 같이 ㄷ 내지는 U 형태의 포스트(16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물의 줄기와 가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넝쿨식물의 경우, 줄기의 성장을 유도할 수 있어, 경작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녹지조성이 가능하며, 특히, 넝쿨식물을 통해 벽면녹화는 물론 펜스의 기반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The support holes 113 are preferably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한편, 포스트(160)는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홀(113)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으며, 재질은 포트(100)와 동일하거나, 금속 내지는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 줄기에 대응하는 길이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8 to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포스트(160)는 토양으로 매립되는 단부가 첨예한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포스트(160) 외주에는 몸체(110)와 같이 일부 내지는 전체 구간에 나사산이 더 형성되어, 토양으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지지홀(11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30)가 적용될 경우, 몸체(110)에 형성된 지지홀(113)에 대응하는 위치의 덮개(130)에도 지지홀(113)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when the
한편, 첨예부(117)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몸체(110) 하부에 형성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70)와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체결부(119)를 더 포함하는데, 이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11, the pointed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첨예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cute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첨예부(117)에는 소정두께의 매트(170)를 관통할 경우, 매트(170)와 포트(100)간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체결부(119)가 마련된다.The pointed
체결부(1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핀(P)이 삽입되는 홀로서 존재하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고정링이 체결되는 홈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The
여기서, 매트(170)는 내부에 천연 또는 인공의 토양이 채워져, 법면, 녹지대에 잡초의 생장을 막기 위해 토양에 도포 시공되는 고분자 시트인 것이며, 방초기능과 동시에 하부 토양의 산성화 및 붕괴방지와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Here, the mat (170) is a polymer sheet which is filled with natural or artificial soil and applied to the soil to prevent weeds from growing on the surface of the green area. The
또한, 매트(170)는 녹지 조성 영역이 토양층이 아닌 경우, 즉, 콘크리트 내지는 보도블록 및 아스팔트 등과 같이 토양층이 존재하지 않은 영역에 토양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요소로 존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이때, 매트(170)는 내부 토양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폐쇄된 고분자 시트로서, 포트(100)를 매립할 때는 도 21과 같이 절개부(C)를 통해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개부(C)는 포트(10) 직경에 대응하는 십자형태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포트(100)를 토양으로 매립할 때, 그 주변으로 홀씨 등과 같은 경쟁종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초시트(180)를 통해 토양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트(100)를 매립 시, 매트(170)와 함께 포트(10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소정 절취한 절개부(C)를 통해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When the
이러한 방초시트(180)는 포트(100)를 토양(230)에 매립할 때, 적용할 수 있으며, 도 5와 6 그리고, 도 8 내지 10에서도 방초시트(180)를 적용하여 포트(100)를 토양(230)에 매립시킬 수 있다.
5 and 6 and FIGS. 8 through 10, applying the
이상과 같은 식생용 포트(100)를 이용하여, 육상 식물은 물론, 다양한 수생식물에 대한 재배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재배방법은 도 13을 참조하여 수생식물에 대한 재배방법을 설명하되, 미 도시된 구성과 부호는 도 1 내지 12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Using the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vegetation 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00) 내부 공간부(111)에 수생식물을 식재하고, 공간부(111)에 토양 또는 수태를 채우는 제1단계, 개방된 상부를 덮개(130)로 폐쇄하는 제2단계 및 수생식물이 식재된 포트(100)를 천연 또는 인공으로 조성된 수역의 토양에 매립하거나, 매개체를 통해 수역에 고정하는 제3단계를 통해 달성된다.
A first step of planting the aquatic plants in the
제1단계는 독미나리, 낙지다리 및 조름나물, 긴흑삼릉, 흑삼릉 등의 수변 내지는 수중식물과 덩쿨식물을 포트에 식재한 후, 공간부(111)에 천연 또는 인공의 토양을 채워 식물의 뿌리를 고정하는 과정인 것이며, 이때, 토양은 식물생장에 필요한 양분(N, P, K, Mg, Ca, Na 등의 미량원소)이 고루 함유되어야 하며, 흙 및 기타 유기물이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tep is to plant the waterside or aquatic plants and duck plants such as poplar, octopus legs, and prawns, long black gruel, and black gruel into the pot, fill the
또한, 토양은 경량이며, 보수성, 통기성, 배수성, 보비성 및 비산방지성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전체의 성질을 갖춘 토양인 것이 좋다.
Further, the soil is lightweight, and is preferably a soil having at least one or all of the properties of water retention, permeability, drainage, bubbling and scattering resistance.
제2단계는 포트(10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여 홀씨 등의 타 경쟁종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며, 폐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30)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step is to close the open top of the
제3단계는 식물이 식재된 포트(100)를 수역에 고정하는 것으로, 수역의 토양 또는 매개체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step is to fix the
즉, 도 14과 15와 같이 포트(100)가 수중 바닥에 직접 고정되거나, 도 16 내지 21과 같이 매개체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이때, 매개체는 담체(250) 또는 부유매트(210)인 것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medium is the
한편, 수생식물이 씨앗 또는 성체가 아닐 경우, 포트(100)에서 수생식물을 발아 및 생육하는 단계와, 이후, 수생식물을 천연 또는 인공으로 조성된 수역의 토양으로 이식하거나, 매개체를 통해 수역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quatic plant is not a seed or an adult, the step of germinating and growing the aquatic plant in the
즉, 수생식물이 성체가 아니므로, 천연 내지는 인공으로 조성된 수역에서 타종과의 경쟁력이 부족하므로, 별도로 조성된 공간에서 안정적인 생육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별도로 조성된 공간에서 일정기간 포트(100)에서 수생식물을 발아 및 생육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That is, since the aquatic plant is not an adult, it lacks competitiveness with other species in a natural or artificially constructed watershed, so that a stable growth process is required in a separate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erminate and grow aquatic plants in the
또한, 포트(100)에서 수생식물을 방아 및 생육하는 단계에 의해 성장하면, 천연 내지는 인공으로 조성된 수역의 토양으로 이식하거나, 매개체를 통해 수역에 고정하여 타종과 어울려 녹지를 조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aquatic plants are grown by the step of cultivating and growing aquatic plants in the
한편, 포트(100)의 매립 내지는 부양 상태에 따라 수생식물 중, 독미나리 내지는 조름나물 등과 같이 수면을 따라 성장하는 종일 경우, 포트(100)의 부양이 가능하도록 줄기를 부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포트(100) 자체의 부양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식물의 줄기에 부양력을 높여 식물의 침수피해(예를 들어, 홍수 내지는 수의 급변)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일반적으로 독미나리 내지는 조름나물은 자체가 수면에서 부유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수중식물로서, 이는 포트(100) 자중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uspending the stem so as to float the
이상과 같은 수생식물 재배방법에 한 실시예에 상세한 설명은 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cultivating aquatic plants in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respective drawings.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1실시예이고, 도 15와 도 16은 제2실시예이다.FIG. 14 is a first embodimen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5 and 16 are the second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생식물(200)이 식재된 포트(100)를 도 14와 같이 수면위로 부양시키거나, 또는 도 15 내지 16과 같이 수중 토양(230)에 직접 매립하여 수역의 녹지를 조성시킬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도 14는 포트(100)에 적어도 부력이 존재하는 수생식물(200, 예를 들어, 족미나리 내지는 조름나물 등)을 포트에 식재한 후, 수중으로 투척하거나, 수면으로 흘려 포트에 식재된 식물의 줄기가 수면을 부유하도록 한다.Fig. 1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planting of aquatic plants (200, for example, bamboo plants or nursery plants) having at least buoyancy in the
이때, 포트(100)의 중량 내지는 줄기의 부력에 따라, 부력이 낮을 경우, 줄기에 부력수단을 덧붙여 적어도 줄기가 침수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며, 부력수단으로는 발포성 인공체(예를 들어, 발포성 폴리에틸렌)을 적용하거나, 천연의 갈대 또는 볏짚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도 15와 16은 수생식물(200)이 식재된 포트(100)를 수변 토양에 매립하거나, 수중 토양에 직접 매립하여 수역의 녹지를 조성하도록 할 수 있다.15 and 16, the
이때, 포트(100)가 매립되는 인근 영역은 식물의 뿌리나 돌 등을 제거하고, 세굴지역 가급적 평탄화하며, 특수지역(고수부지, 제방, 호안가 및 농배수로 등) 적용 시, 수생식물(갈대, 부들, 창포 및 달뿌리풀 등)들은 지표면과 같도록 사전에 예취하거나, 절단 또는, 필요에 따라 제초제 살포 또는 토양 개량 등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neighboring area where the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포트(100)가 매립되는 영역에 경쟁종의 유입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2와 같이 방초시트(180)를 더 적용할 수도 있다.
Also, although not shown, the
이와 같은 포트(100)는 매개체를 통해 수역에 고정될 수도 있는 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각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Such a
여기서 매개체는 포트(100)가 수용되는 중량체 또는 부유체인 것이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 the mediator is a weight or suspension in which the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담체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1실시예이다.17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carri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담체(250)는 중량체로서, 포트(100)를 수면 바닥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천연의 환경, 즉, 토양으로의 안착은 물론, 인공적 환경, 예를 들어, 수조일 경우에도, 수중 바닥으로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the
이러한 담체(250)는 포트(250)에 마련된 나사산(121)와 자웅의 체결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례로, 담체(250)의 일면에 나사산에 대응하는 음각의 홈이 형성되어 상호 자웅 결합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때, 담체(250)는 다공성 큰크리트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공성 콘크리트는 물론, 황토, 제올라이트, 왕겨, 굴패각, 맥반석 및 바텀애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그 혼합에 의한 성형물 또는 이를 수용하는 수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또한, 담체(250)는 수중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이 수면을 향상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이 하부에 집중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례로 오뚝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담체(250)를 이용하여 수중으로 포트(100)를 개별적으로 안착시켜, 재배 존을 형성시킬 때, 재배 존으로 경쟁종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2와 같이 방초시트(180)를 재배 존에 미리 배치하여, 타 경쟁종의 종자(홀씨 등)의 유입을 방지하여 수생식물(200)에 대한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다. 이는 특히, 자연환경에서 별도의 재배 존을 조성할 때, 적용시킬 수도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2, when the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일 실시예에 따른 담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2실시예이다.18 is a secon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rri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담체(250)는 도 17과 달리 다수의 포트(100)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을 갖으며, 이를 통해 재배 존을 형성시킬 수 있다.As shown, the
이러한 담체(250)는 그 자체로 방초 기능이 부여된 것으로, 재배 존으로 경쟁종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수중으로의 안착상태를 유지시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생식물(200)의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이때, 담체(2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담체(250)를 통해 재배 존을 형성시키거나, 복수의 담체(250)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하여 넓은 면적의 재배 존을 형성 및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상호 연결 및 고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담체(250)는 수중식물은 물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변식물(예를 들어, 독미나리 내지는 조름나물 등)에 대한 재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Such a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일 실시예에 따른 담체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3실시에이다.19 is a thir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carrier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담체(250)는 호안에 배치되어, 수변식물에 대한 재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담체(250)를 배치하기 이전에, 인근 영역에 대한 정비, 즉, 수생식물(갈대, 부들, 창포 및 달뿌리풀 등)들은 지표면과 같도록 사전에 예취하거나, 절단 또는, 필요에 따라 제초제 살포 또는 토양 개량 등을 실시한 후에 담체(25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the
한편, 담체(250)를 호안으로 배치할 때, 자연환경에 식재된 수변식물(예를 들어, 독미나리 내지는 조름나물 등)의 정상적 복원을 위해 그 주변에 서식하는 타 경쟁종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230)에 단차를 형성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즉, 담체(250)가 안착되는 수중 바닥 토양부 이외의 부분에 대한 수심을 깊게 유지함으로써, 특히, 독미나리와 같은 정수성 식물의 식생 경쟁을 배제함과 동시에 독미나리의 줄기가 방해받지 않고 원활히 생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other words, by keeping the depth of the portion other than the soil under the floor in which the
이와 같이 수중 바닥 토양부를 가공하는 경우, 담체(250)가 고정 설치된 토양 바닥부와 인접한 바닥부의 단차를 대략 30 내지 60cm 정도가 되도록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processing the under-floor soil part, it is preferable to process the bottom part of the soil where the
한편, 수변식물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매트(210)를 통해 수중에 띄워 재배할 수 있는데, 이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front plants can be floated in water through the floating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매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4실시예이다.20 is a fourth embodiment for illustrating a floating ma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00)를 부유매트(210)에 매립시켜 수변식물이 수면에서 재배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the
이러한 부유매트(210)는 내부에 부력을 갖는 천연 내지는 인공물이 내재되어 있으며, 천연일 경우 갈대 또는 볏짚 등이 내재되고, 인공물일 경우에는 발포성 폴리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ating
이때, 부유매트(210)는 부력체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내부 수납공간이 형성된 포켓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포트(100)를 매립 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가 매립되는 일면을 소정 절취한 절개부(C)를 통해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loating
한편, 포트(100)가 매립된 주변에 이끼(240)를 더 식재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재배 존의 경관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건조피해, 즉 자외선 차단 효과를 통해 식물의 건조피해를 축소는 물론, 종의 다양성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ss (240) may be further planted around the port (100), thereby securing the landscape of the cultivation zone, and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drying damage of the plant through the drying damag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species diversity.
또한, 포트(100)를 부유매트(210)에 매립할 때, 양호한 매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도 11과 같이 체결부(119)를 통해 결합상태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그리고, 부유매트(210)는 재배 존에 따라 다수의 부유매트(210)를 도 23과 같이 상호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floating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2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11)는 도 18 내지 20에 나타낸 담체(250)는 물론, 도 21에 나타낸 부유매트(210)에 상호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이는 부유매트(210)를 기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ng
연결부재(211)는 다수의 부유매트(210)를 상호 연결하여, 재배 존의 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바인더 등과 같은 연결수단인 것이다. The connecting
이러한 연결부재(2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매트(210)의 각 모서리 영역을 상호 연결해줌으로써, 재배 존을 확장 조성시킬 수 있다.The connecting
이와 같이 연결부재(211)를 통해 조성된 재배 존은 풍압 내지는 유속에 의해 지정된 장소를 이탈할 수도 있으나, 이는 고정부(220)를 통해 해소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ultivation zone formed through the connecting
고정부(220)는 연결부재(211)와 토양(230) 사이에 설치되는 일종의 닻으로서, 부유매트(210)가 풍압 내지는 유속 등에도 재배 존의 이탈을 예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fixing
이때, 고정부(220)는 닻과 같이 중량체로서 존재하거나, 또는 단부가 토양으로 매립 고정되는 핀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부유매트(210)는 물론, 담체(250)에서 적용하여, 특히 담체(250)일 경우, 호안에서의 이탈을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ing
상술한 각 살시예를 통해 재배되는 식물은 육상 대부분의 식물 재배가 가능하며, 수상식물 중, 특히, 멸종위기에 처한 독미나리, 조름나물, 낙지다리, 긴흑삼릉 및 흑삼릉 등에 대한 복원이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이는 수상식물 중 독미나리를 일례로 하여 재배방법에 대해 설명하되, 이는 수변식물의 재배환경을 나타낸 도 14, 15 및 도 19 내지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plants cultivated through each of the above-described examples of livestock can be cultivated in most of the land, and the advantage of restoration of the water plants, especially the endangered venomous lilies, nectarines, octopus legs, long black gruel and black gruel, ,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and Figs. 19 to 21 showing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a waterside plant.
먼저, 독미나리는 물론, 수변식물은 통상 자연적으로 형성된 호안에서 자란다. 즉, 독미나리가 생장할 수 있는 환경은 육상층에 인접한 얕은 물가이며, 물가의 바닥 토양에서는 독미나리의 뿌리가 자라고, 수면 위로 수면을 따라서 줄기가 자라는데, 이때, 줄기를 러너라도고 한다.
First, waterfowl plants, as well as poplar plants, usually grow in naturally formed arcs. In other words,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poplar plant grows is the shallow water adjacent to the ground floor. In the bottom soil of the water, the root of the poplar plant grows, and the stem grows along the water surface above the water surface.
독미나리가 생장할 수 있는 수심은 통상 1미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나, 독미나리(200)가 생장하는 물가에서는 독미나리 뿐만 아니라, 타 경쟁종도 함께 생장되며, 어떠한 경쟁종은 그 생명력이 독미나리 보다 강하여 독미나리가 생존경쟁에서 밀려 정상적으로 생장하지 못하기도 한다.It is desirable that the depth of water in which the poplar butterfly can grow is usually less than 1 meter. However, in the price of the poplar butterfly (200), not only the poplar butterfly but also other competitive species grow together. Poisonous plants can not survive in the survival competition.
특히, 최근들어 수역의 환경이 급변하여 독미나리가 생장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며, 독미나리 생장이 위협받은 결과, 멸종될 위기에 놓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Especiall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space for growing poplar plants due to rapid change of water environment, and it is a reality that poplar plants are threatened with extinc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생식물 중 특히, 독미나리의 생장환경 주변에서 타 경쟁종이 자라지 못하도록 하거나, 수역의 중심부와 같이 또는 타 경쟁종이 생장할 수 없는 깊은 수심의 공간에서 독미나리를 생장시키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other competitors from growing around the growth environment of aquatic plants, in particular, a method of allowing the seedlings to grow in a deep water depth region such as a central part of a water body or where no other competitive species can grow .
이를 위하여, 먼저 독미나리가 재배되는 영역으로 타 경쟁종이 성장할 수 없도록 호안을 장비하고, 재배 존에 방초시트를 배치한 후, 독미나리가 식재된 포트 내지는 포트가 매립된 담체 또는 부유매트를 각각 투척, 매립 및 부유시켜 적어도 독미나리의 줄기가 수면 위로 부유하도록 한다.In order to do this, we first set up a revetment so that other competitive paper can not grow in the area where the weevil grows first, we place the weevil sheet in the cultivation zone, and then we throw the buried or floating mat on the pot or pot- , Buried and floated so that at least the stem of the poplar can float above the surface of the water.
즉, 도 14와 같이 독미나리가 식재된 포트를 수면위로 투척 내지는 흘려보내되, 줄기가 수면을 부유하도록 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14, the port in which the poplar plant is planted is poured over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the stem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부력은 독미나리의 줄기 부력을 이용하여 줄기가 수면을 부유할 수 있도록 하며, 만약, 포트 무게 대비 줄기의 부력이 낮을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줄기에 부력수단을 더 부가할 수도 있다.The buoyancy force allows the stem to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using the buoyancy force of the poisonous fauna. If the buoyancy of the stem is lower than the weight of the port, buoyancy means may be added to the stem as shown.
이때, 포트는 독미나리의 자체 부력에 의해 부유하도록 한 것으로, 수심에 제한없이 재배 존을 형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 port is floated by self-buoyancy of poplar flies,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ultivation zone can be formed without limitation on the depth of water.
또한, 도 19와 20에 나타낸 담체를 이용할 경우, 담체는 호안에 설치되는 중량체인 것이며, 이때, 담체는 그 자체로 방초기능과 포트의 매립이 가능하도록 토양층이 마련되어, 자연환경은 물론, 수조 즉, 무토양 상태의 인공적 환경에서도 독미나리에 대한 재배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19 and 20, the carrier is a weight provided on the revetment. At this time, the carrier is provided with a soil layer so as to be capable of performing a flap function and a port, , It is possible to create a cultivation environment for poplar plants even in an artificial environment with no soil condition.
이러한 담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심이 낮은 호안에 배치되고, 다수의 포트를 수용가능한 형태로 존재하여 그 자체로 재배 존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 23에 도시된 연결부재와 고정부를 통해 넓은 면적의 재배 존을 안정적으로 조성할 수도 있다.Such a carrier may be disposed in a low water depth revetment and may exist in a form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ports to form a repositioning zone by itself or may be formed by a connecting member and a fixing member as shown in FIG. The cultivation zone can be stabilized.
그리고 독미나리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매트를 통해 다양한 수심층에서의 재배가 가능하며, 이는 천연의 환경은 물론, 인공적 환경에서 재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심에 제한되지 않아, 호안은 물론, 통상 독미나리의 서식 환경인 1m 이상의 수심에서도 재배환경을 조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hown in FIG. 20, it is possible to cultivate a variety of water depth layers through a floating mat, and it is easy to cultivate in an artificial environment as well as a natural environment, and is not limited to a depth of water. ,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ultivation environment can be created even at a water depth of 1 m or more, which is a habitat environment of a common weevil.
한편, 부유매트는 수면으로 노출되는 상태이므로, 일조량이 클 경우, 식물의 건조피해 등 주변 경관을 해칠 수 있으므로, 노출된 부유매트의 일면 내지는 적어도 포트 주변에 이끼 등을 더 식재하여 경관성을 확보하고, 건조피해를 축소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loating mat is exposed to the water surface, if the amount of sunshine is large, the surrounding landscape such as the dry damage of the plant may be damaged. Therefore, one side of the exposed floating mat or at least the moss is planted around the port to secure a landscape , And reduce the damage caused by drying.
이와 같은 제반 생육방법은 독미나리(200)의 복원을 위하여 다양하게 강구된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룬다고 할 것이다.
Such various growth methods are variously adopt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pot plant (200), and will be described 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포트 110 : 몸체
111 : 공간부 113 : 지지홀
115 : 가이드부 117 : 첨예부
119 : 체결부 121 : 나사산
123 : 통공 130 : 덮개
131 : 덮개 천공부 133 : 제1덮개
135 : 제2덮개 133 : 결합수단
140 : 탈착수단 141 : 제1수단
142 : 결합홀 143 : 후크
144 : 제2수단 145 : 결함홈
147 : 돌기 150 : 캡
151 : 캡 천공부 153 : 만곡부
160 : 포스트 170 : 매트
180 : 방초시트 200 : 수생식물
210 : 부유매트 211 : 연결부재
220 : 고정부 230 : 토양
240 : 이끼 250 : 담체100: port 110: body
111: Space part 113: Support hole
115: guide part 117:
119: fastening part 121: threaded
123: through hole 130: cover
131: Cover piercing 133: First cover
135: second cover 133: engaging means
140: detachment means 141: first means
142: coupling hole 143: hook
144: second means 145: defect groove
147: projection 150: cap
151: Cap skipping 153: Bend
160: post 170: mat
180: feces sheet 200: aquatic plant
210: floating mat 211: connecting member
220: Fixed part 230: Soil
240: Moss 250: carrier
Claims (26)
상기 포트는,
상광하협의 형태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물 식재를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압입을 통해 토양으로 상기 몸체가 매립되도록 하는 첨예부;
상기 몸체 외주에 토양을 헤쳐 상기 몸체가 토양으로 매립되도록 하는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을 따라 형성된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In the vegetation port,
The port
A body having an open upper part and a space for a plant material inside,
A pointed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to allow the body to be embedded into the soil through press-fitting;
A screw threading the soil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so that the body is buried in the soil; And
And a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thread.
상기 포트는,
개방된 상부의 일부를 내지는 그 전체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
Further comprising: a cover for opening or closing a part of the opened upper part or the entire part thereof.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와 자웅의 탈착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ver comprises:
Wherein the vegetable po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through a detachment means of the body and the male.
상기 덮개는,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상부를 일부 또는 전체를 폐쇄하되, 식물 줄기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ver comprises:
Wherein at least one pair of openings is formed to partially or entirely close the open top, wherein a perforation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lant stem.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 일면을 폐쇄하는 제1덮개; 및
상기 몸체의 타면을 폐쇄하는 제2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는 상호 자웅의 결합수단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ver comprises:
A first cover closing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nd a second lid for closing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Wherein the first lid and the second lid are detachably coupled through mutual joining means.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몸체와 덮개를 탄력적 구조 이루어져, 상기 몸체와 덮개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수단; 및
상기 몸체와 덮개를 자웅의 끼움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와 덮개의 결합을 보강하는 제2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tachment means comprises:
A first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body and the lid to the body and the lid in a resilient manner; And
And a second means for joining the body and the lid to each other to reinfor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lid.
상기 제1수단은,
상기 몸체 상부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결합홀; 및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는 상기 덮개 밑면에 마련된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coupling hole formed radially above the body; And
And a hook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상기 제2수단은,
상기 결합홀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상기 덮개 밑면에 마련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holes; And
And a protrusion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id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groove.
상기 포트는,
사면 또는 직면에 설치될 경우, 우수에 의해 상기 몸체로부터 토양 내지는 식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캡;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
Further comprising: a cap for preventing soil or vegetation from being leaked from the body by rainfall when installed on a sloping or facing surface.
상기 캡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하되는 반구의 형태를 갖으며,
일면에 식물 성장에 있어, 줄기에 대응하는 영역에 천공이 형성되고, 타면은 토양 내지는 식물의 유실을 방지하고, 우수에 대한 집수가 이루어지는 만곡부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ap
A hemispherical shape which is detachably connected to an open top of the body,
Wherein a perforation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stem of the plant growth on one surface and a curved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o prevent loss of soil or vegetation and to collect water for storm.
상기 첨예부는,
상기 포트가 수면을 부유하는 매트 또는 수중으로 투척되는 담체와 체결될 경우, 상기 매트 또는 담체와의 핀 또는 링을 통해 결합을 보강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in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part for reinforcing the coupling through the pin or ring with the mat or carrier when the port is fastened to a mat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or to a carrier to be thrown into water.
상기 포트는,
외곽 테두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홀은, 상기 식물 성장에 대응하여 줄기를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가 설치되는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
And at least one support hole penetrating the outer frame,
Wherein the support hole is a hole in which a post for supporting the stem is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ant growth.
상기 지지홀은,
상기 포스트의 외곽을 감싸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포스트의 외곽을 감싸 상기 포스트의 수직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upport hole
And a guide portion surround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post,
Wherein the guide portion surrounds an outer periphery of the post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of the post.
포트 내부 공간부에 수생식물을 식재하고, 상기 공간부에 토양 또는 수태를 채우는 제1단계;
상기 개방된 상부를 덮개로 폐쇄하는 제2단계; 및
수생식물이 식재된 상기 포트를 천연 또는 인공으로 조성된 수역의 토양에 매립하거나, 매개체를 통해 수역에 고정하는 제3단계; 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13.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using the port of any one of claims 1 to 13,
A first step of planting aquatic plants in the port internal space and filling the space with soil or impurities;
A second step of closing the open top with a cover; And
A third step of embedding the port in which aquatic plants are planted into a soil of a natural or artificially formed water body or fixing it to a water body through a medium; Wherein the plant is cultivated in a vegetation port.
수생식물이 씨앗일 때, 수생식물을 발아 및 생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germinating and growing an aquatic plant when the aquatic plant is a seed.
상기 수생식물을 발아 및 생육하는 단계 이후, 성장한 수생식물을 천연 또는 인공으로 조성된 수역의 토양으로 이식하거나, 상기 매개체를 통해 수역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 재배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planting the grown aquatic plant into a soil of a natural or artificially formed water body or immobilizing the grown aquatic plant through the medium after the step of germinating and growing the aquatic plant, Way.
상기 매개체는,
수역에 고정되고, 수중으로 침강되거나, 부유하는 담체 또는 부유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medium comprises:
A method for cultivating aquatic plants using a vegetation port characterized by being fixed to a water body, being settled in water, floating on a carrier, or floating mat
상기 담체는,
다공성 콘크리트 또는 발포성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인공물이거나, 황토, 제올라이트, 왕겨, 굴패각, 맥반석 및 바텀애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된 성형물 또는 혼합물인 것이며, 상기 포트와 나사체결되어 수중으로 침강되는 중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arrier comprises:
Porous concrete or foamed polyethylene or a molded product or a mixtur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loess, zeolite, rice husk, oyster shell, elvan stone and bottom ash, or a combination thereof, Wherein the weight of the vegetable pot is in the range of 1: 1 to 1: 1.
상기 담체는,
내부에 토양을 수용할 수 있도록 포켓 형태로 구성되며, 수심 1미터 이하의 수역에 고정하되, 바닥과 밀착되거나, 천연 또는 인공의 부유체를 통해 부유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arrier compris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cket so as to accommodate the soil inside and is fixed to a water body having a depth of 1 meter or less and is fixed to the floor or floated through natural or artificial float. How to grow aquatic plants.
상기 담체가 배치된 천연 또는 인공 수역의 바닥 부분 이외의 수중 바닥 부분을 상기 담체가 고정된 바닥부 보다 30 ~ 60cm 더 깊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 bottom portion of the water other than the bottom portion of the natural or man-made water body in which the carrier is disposed is made 30 to 60 cm deeper than the bottom portion to which the carrier is fixed.
상기 담체는,
복수개로 설치하며, 상호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부에 의해 수역 토양에 고정되어, 전도되거나, 설치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arrier comprises:
And a plurality of watertight pots ar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mutual connection members and are fixed to the watery soil by the fixed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watertightness from being displaced or departing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
상기 부유매트는,
내부에 부력을 갖는 매트로서, 내부에 천연 또는 인공토양과 함께 부력수단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loating mat compri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oyancy means is filled with natural or artificial soil in the interior of the mat as buoyancy.
상기 부력수단은,
천연의 갈대 또는 볏짚이거나, 인공의 발포성 폴리에틸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buoyancy means comprises:
A natural reed or a rice straw, or an artificial expandable polyethylene. The method of culturing an aquatic plant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부유매트는,
식재된 수생식물의 주변에 물이끼를 더 식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floating mat comprises:
A method for cultivating an aquatic plant using a vegetable pot, characterized by further planting of water moss around the planted aquatic plant.
상기 포트가 매립되는 인근 영역에 대해 식물의 뿌리나 돌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용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moving roots or stones of the plant in the vicinity of the area where the port is buried.
수생식물이 수면을 따라 성장하는 종일 경우, 줄기가 수면을 따라 성장할 수 있도록 줄기를 부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floating the stem so that the stem grows along the surface when the aquatic plant grows along the surface of the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1076 | 2013-03-22 | ||
KR20130031076 | 2013-03-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6351A KR20140116351A (en) | 2014-10-02 |
KR101459622B1 true KR101459622B1 (en) | 2014-11-10 |
Family
ID=5199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3655A KR101459622B1 (en) | 2013-03-22 | 2013-11-05 | Vegetation and port, a method of cultivating aquatic plants using this po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962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79385B1 (en) * | 2018-03-27 | 2020-08-07 | Home Potager | ABOVE-GROUND CULTIVATION DEVICE WITH VERTICAL STRUCTURE AND PLANT CONTAINER |
USD963516S1 (en) | 2020-05-11 | 2022-09-13 | Gerald Johnson | Flowerpot with integral soil anchor |
USD963515S1 (en) | 2020-05-11 | 2022-09-13 | Gerald Johnson | Flowerpot with integral soil anchor |
USD951134S1 (en) | 2020-05-11 | 2022-05-10 | Gerald Johnson | Flowerpot with soil anchor |
USD951133S1 (en) | 2020-05-11 | 2022-05-10 | Gerald Johnson | Flowerpot with soil anchor |
USD951136S1 (en) | 2020-05-11 | 2022-05-10 | Gerald Johnson | Flowerpot with soil anchor |
USD951132S1 (en) | 2020-05-11 | 2022-05-10 | Gerald Johnson | Flowerpot with soil anch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30753U (en) * | 1974-08-28 | 1976-03-05 | ||
KR20120068244A (en) * | 2010-12-17 | 2012-06-27 | (주)에코원 | Ecopo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of |
KR20130042184A (en) * | 2011-10-18 | 2013-04-26 |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 A flowerpot |
-
2013
- 2013-11-05 KR KR1020130133655A patent/KR10145962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30753U (en) * | 1974-08-28 | 1976-03-05 | ||
KR20120068244A (en) * | 2010-12-17 | 2012-06-27 | (주)에코원 | Ecopo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of |
KR20130042184A (en) * | 2011-10-18 | 2013-04-26 |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 A flowerpo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6351A (en) | 2014-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9622B1 (en) | Vegetation and port, a method of cultivating aquatic plants using this port | |
KR101078073B1 (en) | The fixing apparatus of the vegetation mat for shore and slope protection | |
JP5345375B2 (en) | How to regenerate a submerged plant, how to cultivate a submerged plant used for it, plant regeneration base, floating island | |
KR101652102B1 (en) | Floating type artificial reef for protecting and floulishing fresh-water fish | |
JP4323769B2 (en) | Artificial floating island for aquatic plants and aquatic plant vegetation management method on artificial floating island | |
JP2006246757A (en) | Greening method of construction and greening structure by common perennial herb | |
KR101146786B1 (en) | Raising seedling device and method for planting plants by raising seedling device | |
JP5252199B2 (en) | Floating biotope | |
KR101742191B1 (en) | EcoLogical type artificial island | |
KR101127107B1 (en) | Unit for Artificial floating island | |
KR101321359B1 (en) | Cultivation method of bogbean | |
JP2018064474A (en) | Water accident prevention greening of artificial pond using waterproof sheet | |
JP2701136B2 (en) | Concrete planting base | |
KR200439588Y1 (en) | Vegetation block for tree-planting around the rivers | |
JP2001275502A (en) | Agricultural method of water surface floating bed type | |
KR101086096B1 (en) | Simplicity type ecological canal | |
JPH10276598A (en) | Floating planter and fixing method therefor | |
KR101580142B1 (en) | Planting method of artificial plant islands | |
JP2014073105A (en) | Vegetation mat | |
JP4217946B2 (en) | Reed raising and transplanting method | |
KR100297870B1 (en) | artificial floating island for afforesting an inclined plane of pond | |
KR19980014390U (en) | Hydroponic Cultivation | |
KR200461390Y1 (en) | Shore barrier | |
CN107853020B (en) | Desert plant planting box | |
JP4347722B2 (en) | Symbiosis of seaweeds such as Ryukyuusu Duck and Amamo, and methods for growing symbiotic group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