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542B1 - 동박 복합체 - Google Patents

동박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542B1
KR101443542B1 KR1020137000012A KR20137000012A KR101443542B1 KR 101443542 B1 KR101443542 B1 KR 101443542B1 KR 1020137000012 A KR1020137000012 A KR 1020137000012A KR 20137000012 A KR20137000012 A KR 20137000012A KR 101443542 B1 KR101443542 B1 KR 10144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resin layer
composite
copper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9325A (ko
Inventor
가즈키 감무리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9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22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ecursors of printed circuits, i.e. copper-clad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08PCBs, i.e.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45Polyester,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4Polyim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35Layered conductors or foils
    • H05K2201/0358Resin coated copper [RC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가공 등과 같은 1 축 굽힘과 상이한 과혹 (복잡) 한 변형을 실시해도 동박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가공성이 우수한 동박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박과 수지층이 적층된 동박 복합체로서, 동박의 두께를 t2 (㎜), 인장 변형 4 % 에 있어서의 동박의 응력을 f2 (㎫), 수지층의 두께를 t3 (㎜), 인장 변형 4 % 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응력을 f3 (㎫) 으로 하였을 때, 식 1 : (f3×t3)/(f2×t2) ≥ 1 을 만족하며, 또한, 동박과 수지층의 180°박리 접착 강도를 f1 (N/㎜), 동박 복합체의 인장 변형 30 % 에 있어서의 강도를 F (㎫), 동박 복합체의 두께를 T (㎜) 로 하였을 때, 식 2 : 1 ≤ 33f1/(F×T) 를 만족하는 동박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박 복합체 {COPPER FOIL COMPLEX}
본 발명은, 동박과 수지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동박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동박과 수지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동박 복합체는, FPC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전자파 실드재, RF-ID (무선 IC 태그), 면상 발열체, 방열체 등에 응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FPC 의 경우, 베이스 수지층 상에 동박의 회로가 형성되고, 회로를 보호하는 커버레이 필름이 회로를 덮고 있어, 수지층/동박/수지층의 적층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동박 복합체의 가공성으로서, MIT 굴곡성으로 대표되는 절곡성, IPC 굴곡성으로 대표되는 고사이클 굴곡성이 요구되고 있고, 절곡성이나 굴곡성이 우수한 동박 복합체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3). 예를 들어, FPC 는 휴대 전화의 힌지부 등의 가동부에서 절곡되거나, 회로의 소(小)스페이스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절곡하여 사용되는데, 변형 모드로는, 상기한 MIT 굴곡 시험이나, IPC 굴곡 시험으로 대표되듯이 1 축의 굽힘이고, 과혹한 변형 모드가 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0088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1120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07812호
그러나, 상기한 동박 복합체를 프레스 가공하거나 하면, MIT 굴곡 시험이나, IPC 굴곡 시험과 상이한 과혹 (복잡) 한 변형 모드가 되기 때문에, 동박이 파단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동박 복합체를 프레스 가공할 수 있으면, 회로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제품 형상에 맞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스 가공 등과 같은 1 축 굽힘과 상이한 과혹 (복잡) 한 변형을 실시해도 동박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가공성이 우수한 동박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수지층의 변형 거동을 동박에 전하여, 수지층과 동일하게 동박도 변형시킴으로써, 동박의 잘록부를 잘 생기지 않게 하여 연성이 향상되고, 동박의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요컨대, 수지층의 변형 거동이 동박에 전해지도록, 수지층 및 동박의 특성을 규정하였다.
즉, 본 발명의 동박 복합체는, 동박과 수지층이 적층된 동박 복합체로서, 상기 동박의 두께를 t2 (㎜), 인장 변형 4 % 에 있어서의 상기 동박의 응력을 f2 (㎫), 상기 수지층의 두께를 t3 (㎜), 인장 변형 4 % 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층의 응력을 f3 (㎫) 으로 하였을 때, 식 1 : (f3×t3)/(f2×t2) ≥ 1 을 만족하며, 또한, 상기 동박과 상기 수지층의 180°박리 접착 강도를 f1 (N/㎜), 상기 동박 복합체의 인장 변형 30 % 에 있어서의 강도를 F (㎫), 상기 동박 복합체의 두께를 T (㎜) 로 하였을 때, 식 2 : 1 ≤ 33f1/(F×T) 를 만족한다.
상기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에 있어서, 상기 식 1 및 식 2 가 성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박 복합체의 인장 파단 변형 (l) 과, 상기 수지층 단체(單體)의 인장 파단 변형 (L) 의 비 (l/L) 가 0.7 ∼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스 가공 등과 같은 1 축 굽힘과 상이한 과혹 (복잡) 한 변형을 실시해도 동박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가공성이 우수한 동박 복합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f1 과 (F×T) 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가공성의 평가를 실시하는 컵 시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동박 복합체는, 동박과 수지층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동박 복합체는, 예를 들어, FPC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전자파 실드재, RF-ID (무선 IC 태그), 면상 발열체, 방열체에 적용할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박>
동박의 두께 (t2) 는, 0.004 ∼ 0.05 ㎜ (4 ∼ 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t2 가 0.004 ㎜ (4 ㎛) 미만이면 동박의 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동박 복합체의 가공성이 향상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동박은 4 % 이상의 인장 파단 변형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2 가 0.05 ㎜ (50 ㎛) 를 초과하면, 동박 복합체로 하였을 때에 동박 단체의 특성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 동박 복합체의 가공성이 향상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동박으로는, 압연 동박, 전해 동박, 메탈라이즈에 의한 동박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재결정에 의해 가공성이 우수하면서, 강도 (f2) 를 낮게 할 수 있는 압연 동박이 바람직하다. 동박 표면에 접착, 방청을 위한 처리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것들도 동박에 포함시켜 생각한다.
<수지층>
수지층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수지 재료를 동박에 도포하여 수지층을 형성해도 되지만, 동박에 첩부 가능한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으로는,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PEN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I (폴리이미드) 필름, LCP (액정 폴리머) 필름, PP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과 동박의 적층 방법으로는, 수지 필름과 동박 사이에 접착제를 사용해도 되고, 수지 필름을 동박에 열압착해도 된다. 또, 접착제층의 강도가 낮으면, 동박 복합체의 가공성이 향상되기 어렵기 때문에, 접착제층의 강도가 수지층의 응력 (f3) 의 1/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는, 수지층의 변형 거동을 동박에 전하여, 수지층과 동일하게 동박도 변형시킴으로써, 동박의 잘록부를 잘 생기지 않게 하여 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어, 접착제층의 강도가 낮으면 접착제층에서 변형이 완화되어 버려, 동박에 수지의 거동이 전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후술하는 수지층의 특성은, 접착제층과 수지층을 합한 것을 대상으로 한다.
수지층의 두께 (t3) 는, 0.012 ∼ 0.12 ㎜ (12 ∼ 1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t3 이 0.012 ㎜ (12 ㎛) 미만이면, (f3×t3)/(f2×t2) < 1 이 되는 경우가 있다. t3 이 0.12 ㎜ (120 ㎛) 보다 두꺼우면, 수지층의 유연성 (플렉시블성) 이 저하되고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가공성이 열화된다. 수지층은 40 % 이상의 인장 파단 변형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박 복합체>
상기한 동박과 수지층을 적층하는 동박 복합체의 조합으로는, 동박/수지층의 2 층 구조나, 수지층/동박/수지층, 또는 동박/수지층/동박의 3 층 구조를 들 수 있다. 동박의 양측에 수지층이 존재하는 (수지층/동박/수지층) 경우, 전체의 (f3×t3) 의 값은, 2 개의 수지층의 각각에 대하여 계산한 각 (f3×t3) 의 값을 가산한 것으로 한다. 수지층의 양측에 동박이 존재하는 (동박/수지층/동박) 경우, 전체의 (f2×t2) 의 값은, 2 개의 동박의 각각에 대하여 계산한 각 (f2×t2) 의 값을 가산한 것으로 한다.
<180°박리 접착 강도>
동박은 그 두께가 얇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 잘록부를 생기게 하기 쉽다. 잘록부가 생기면 동박은 파단되기 때문에, 연성은 저하된다. 한편, 수지층은, 인장시에 잘록부가 잘 생기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균일 변형의 영역이 넓다). 그 때문에, 동박과 수지층의 복합체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변형 거동을 동박에 전하여, 수지와 동일하게 동박도 변형시킴으로써, 동박에 잘록부가 잘 생기지 않게 되어, 연성이 향상된다. 이 때, 동박과 수지층의 접착 강도가 낮으면, 동박에 수지층의 변형 거동을 전하지 못하여, 연성은 향상되지 않는다 (박리되어 구리가 갈라진다).
그래서, 접착 강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게 된다. 접착 강도로는, 전단 접착력이 직접적인 지표로 생각되지만, 접착 강도를 높게 하여, 전단 접착력을 동박 복합체의 강도와 동등 레벨로 하면, 접착면 이외의 장소가 파단되기 때문에 측정이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180°박리 접착 강도 (f1) 의 값을 사용한다. 전단 접착 강도와 180°박리 접착 강도는 절대치가 전혀 상이하지만, 가공성이나 인장 신도와, 180°박리 접착 강도 사이에 상관이 보였기 때문에, 180°박리 접착 강도를 접착 강도의 지표로 하였다.
여기서, 실제로는, 「파단되었을 때의 강도 = 전단 밀착력」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되고, 예를 들어 30 % 이상의 인장 변형을 필요로 하는 것과 같은 경우, 「30 % 의 유동 응력 ≤ 전단 밀착력」이 되고, 50 % 이상의 인장 변형을 필요로 하는 것과 같은 경우, 「50 % 의 유동 응력 ≤ 전단 밀착력」이 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하면, 인장 변형이 30 % 이상이 되면 가공성이 양호해졌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박 복합체의 강도 (F) 로서, 인장 변형 30 % 에 있어서의 강도를 채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1 은, f1 과 (F×T) 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후술하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f1 과 (F×T) 의 값을 플롯하고 있다. (F×T) 는 인장 변형 30 % 에서 동박 복합체에 가해지는 힘이고, 이것을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최저한의 전단 접착 강도로 간주하면, f1 과 (F×T) 의 절대치가 동일하면, 양자는 기울기 1 로 상관이 보이게 된다.
단, 도 1 에 있어서는, 모든 데이터의 f1 과 (F×T) 가 동일한 상관은 되지 않고, 가공성이 열등한 각 비교예는, (F×T) 에 대한 f1 의 상관 계수 (요컨대, 도 1 의 원점을 지나고, (F×T) 에 대한 f1 의 기울기) 가 작고, 그 만큼 180°박리 접착 강도가 열등하다. 한편, 각 실시예의 기울기는 각 비교예의 기울기보다 크지만, 가장 기울기가 작은 실시예 18 (정확히 변형 30 % 에서 파단된 것) 의 기울기가 1/33 이었기 때문에, 이 값을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최저한의 전단 접착 강도와 180°박리 접착 강도 사이의 상관 계수로 간주하였다. 즉, 전단 접착력을, 180°박리 접착 강도 (f1) 의 33 배로 간주하였다.
또한, 비교예 3 의 경우, 도 1 의 기울기가 1/33 을 초과하였지만, 후술하는 식 1 : (f3×t3)/(f2×t2) 가 1 미만이 되었기 때문에, 가공성이 열화되어 있다.
180°박리 접착 강도는, 단위 폭당의 힘 (N/㎜) 이다.
동박 복합체가 3 층 구조로서 접착면이 복수 존재할 때에는, 각 접착면 중, 180°박리 접착 강도가 가장 낮은 값을 사용한다. 이것은, 가장 약한 접착면이 박리되기 때문이다. 또, 동박은 통상 S 면, M 면을 갖는데, S 면은 밀착성이 열등하기 때문에, 동박의 S 면과 수지의 밀착성이 약해진다. 그 때문에, 동박의 S 면의 180°박리 접착 강도를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동박과 수지층의 접착 강도를 높게 하는 방법으로는, 동박 표면 (수지층측의 면) 에 크로메이트 처리 등에 의해 Cr 산화물층을 형성하거나, 동박 표면에 조화(粗化) 처리를 실시하거나, 동박 표면에 Ni 피복한 후에 Cr 산화물층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Cr 산화물층의 두께는, Cr 중량으로 5 ∼ 100 ㎍/dm2 로 하면 된다. 이 두께는, 습식 분석에 의한 크롬 함유량으로부터 산출한다. 또, Cr 산화물층의 존재는, X 선 광전자 분광 (XPS) 으로 Cr 을 검출할 수 있는지 여부로 판정할 수 있다 (Cr 의 피크가 산화에 의해 시프트된다).
Ni 피복량은, 90 ∼ 5000 ㎍/dm2 로 하면 된다. Ni 피복의 부착량이 5000 ㎍/dm2 (Ni 두께 56 ㎚ 에 상당) 를 초과하면, 동박 (및 동박 복합체) 의 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동박과 수지층을 적층 복합시킬 때의 압력이나 온도 조건을 바꾸어 접착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수지층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층시의 압력, 온도를 함께 크게 하는 편이 좋다.
<(f3×t3)/(f2×t2)>
다음으로, 특허 청구의 범위의 ((f3×t3)/(f2×t2)) (이하, 「식 1」이라고 칭한다) 의 의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박 복합체는, 동일한 폭 (치수) 의 동박과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식 1 은 동박 복합체를 구성하는 동박과 수지층에 가해지는 힘의 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비가 1 이상인 것은, 수지층측으로 보다 많은 힘이 가해지는 것을 의미하고, 수지층측이 동박보다 강도가 높게 된다. 그리고, 동박은 파단되지 않고 양호한 가공성을 나타낸다.
한편, (f3×t3)/(f2×t2) < 1 이 되면, 동박측으로 보다 많은 힘이 가해져 버리므로, 수지층의 변형 거동을 동박에 전하여, 수지와 동일하게 동박을 변형시킨다는 상기한 작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f2 및 f3 은, 소성 변형이 일어난 후의 동일한 변형량에서의 응력이면 되는데, 동박의 인장 파단 변형과, 수지층 (예를 들어 PET 필름) 의 소성 변형이 시작되는 변형을 고려하여 인장 변형 4 % 의 응력으로 하고 있다. 또한, f2 및 f3 (그리고 f1) 은, 모두 MD (Machine Direction) 의 값으로 한다.
<33f1/(F×T)>
다음으로, 특허 청구의 범위의 (33f1/(F×T)) (이하, 「식 2」라고 칭한다) 의 의의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최저한의 동박과 수지층의 접착 강도를 직접 나타내는 전단 접착력은, 180°박리 접착 강도 (f1) 의 약 33 배이기 때문에, 33f1 은 동박과 수지층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최저한의 접착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F×T) 는 동박 복합체에 가해지는 힘이기 때문에, 식 2 는, 동박과 수지층의 접착 강도와, 동박 복합체의 인장 저항력의 비가 된다. 그리고, 동박 복합체가 인장되면, 동박과 수지층의 계면에서, 국소 변형을 하고자 하는 동박과 인장 균일 변형을 하고자 하는 수지에 의해 전단 응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이 전단 응력보다 접착 강도가 낮으면 구리와 수지층이 박리되어 버리고, 동박에 수지층의 변형 거동을 전할 수 없게 되어, 동박의 연성이 향상되지 않는다.
요컨대, 식 2 의 비가 1 미만이면, 접착 강도가 동박 복합체에 가해지는 힘보다 약해져 동박과 수지가 박리되기 쉬워지고, 동박이 프레스 성형 등의 가공에 의해 파단된다.
식 2 의 비가 1 이상이면, 구리와 수지층이 박리되지 않고 수지층의 변형 거동을 동박에 전할 수 있어, 동박의 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식 2 의 비는 높을수록 바람직하지만, 10 이상의 값을 실현하는 것은 통상적으로는 곤란하기 때문에, 식 2 의 상한을 10 으로 하면 된다.
또한, 33f1/(F×T) 가 클수록 가공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수지층의 인장 변형 (l) 과 33f1/(F×T) 는 비례하지 않는다. 이것은 (f3×t3)/(f2×t2) 의 크기, 동박, 수지층 단체의 연성의 영향에 의한 것인데, 33f1/(F×T) ≥ 1, (f3×t3)/(f2×t2) ≥ 1 을 만족하는 동박과 수지층의 조합이면, 필요로 하는 가공성을 갖는 복합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동박 복합체의 강도 (F) 로서, 인장 변형 30 % 에 있어서의 강도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인장 변형이 30 % 이상이 되면 가공성이 양호해졌기 때문이다. 또, 동박 복합체의 인장 시험을 한 결과, 인장 변형 30 % 까지는 변형에 의해 유동 응력에 큰 차가 생겼지만, 30 % 이후에서는 인장 변형에 의해서도 유동 응력에 큰 차가 생기지 않았기 (다소 가공 경화되었지만 곡선의 기울기는 상당히 작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동박 복합체의 인장 변형이 30 % 미만인 경우, 동박 복합체의 인장 강도를 F 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동박 복합체는, 프레스 가공 등과 같은 1 축 굽힘과 상이한 과혹 (복잡) 한 변형을 실시해도 동박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가공성이 우수하다. 특히 본 발명은, 프레스 가공과 같은 입체 성형에 적절하다. 동박 복합체를 입체 성형함으로써, 동박 복합체를 복잡한 형상으로 하거나, 동박 복합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동박 복합체 자신을 각종 전원 회로의 케이스로 할 수도 있어, 부품 점수나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l/L>
동박 복합체의 인장 파단 변형 (l) 과, 수지층 단체의 인장 파단 변형 (L) 의 비 (l/L) 가 0.7 ∼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동박의 인장 파단 변형보다 수지층의 인장 파단 변형이 압도적으로 높고, 마찬가지로 수지층 단체의 파단 변형 쪽이 동박 복합체의 인장 파단 변형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박에 수지층의 변형 거동을 전하여 동박의 연성을 향상시키고 있고, 그에 따라 동박 복합체의 인장 파단 변형을 수지층 단체의 인장 파단 변형의 70 ∼ 100 % 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 (l/L) 가 0.7 이상이면, 프레스 성형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동박 복합체의 인장 파단 변형 (l) 은, 인장 시험을 실시하였을 때의 인장 파단 변형으로, 수지층과 동박이 동시에 파단되었을 때에는 그 값으로 하고, 동박이 먼저 파단되었을 때에는 동박이 파단된 시점의 값으로 한다. 또, 수지층 단체의 인장 파단 변형 (L) 은, 동박 양면에 수지층이 있는 경우, 양방의 수지층의 각각에 대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인장 파단 변형을 측정하고, 값이 큰 쪽의 인장 파단 변형을 L 로 한다. 동박 양면에 수지층이 있는 경우, 동박을 제거하여 발생한 2 개의 수지층의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다.
<수지층의 Tg>
통상, 수지층은 고온에서 강도가 저하되거나 접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고온에서는 (f3×t3)/(f2×t2) ≥ 1 이나, 1 ≤ 33f1/(F×T) 를 만족하기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수지층의 Tg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수지층의 강도나 접착력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지만, Tg 미만의 온도이면 수지층의 강도나 접착력을 유지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요컨대, 수지층의 Tg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 (예를 들어 5 ℃ ∼ 215 ℃) 이면, 동박 복합체가 (f3×t3)/(f2×t2) ≥ 1, 및 1 ≤ 33f1/(F×T) 를 만족하기 쉬워진다. 또한, Tg 미만의 온도에 있어서도, 온도가 높은 쪽이 수지층의 강도나 밀착력이 작아지고,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된다 (후술하는 실시예 20 - 22 참조).
또한,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는 경우, 수지층의 Tg 미만의 비교적 높은 온도 (예를 들어 40 ℃ ∼ 215 ℃) 에서도 동박 복합체의 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수지층의 Tg 미만의 비교적 높은 온도 (예를 들어 40 ℃ ∼ 215 ℃) 에서도 동박 복합체의 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 온간 프레스 등의 공법에 있어서도 우수한 가공성을 나타낸다. 또, 수지층에 있어서는 온도가 높은 쪽이 성형성이 좋다. 또, 프레스 후에 형상을 더듬어 조사하기 위해서 (탄성 변형으로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도록) 온간에서 프레스되는 것이 실시되므로, 이 점에서도 수지층의 Tg 미만의 비교적 높은 온도 (예를 들어 40 ℃ ∼ 215 ℃) 에서도 동박 복합체의 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동박 복합체가 접착제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경우나, 3 층 구조의 동박 복합체와 같이 수지층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가장 Tg (유리 전이 온도) 가 낮은 수지층의 Tg 를 채용한다.
실시예
<동박 복합체의 제조>
터프 피치 구리로 이루어지는 잉곳을 열간 압연하고, 표면 절삭으로 산화물을 제거한 후, 냉간 압연, 어닐링과 산세를 반복하여, 표 1 의 두께 (t2) (㎜) 까지 얇게 하고, 마지막으로 어닐링을 실시하여 가공성을 확보하고, 벤조트리아졸로 방청 처리하여 동박을 얻었다. 동박이 폭방향에서 균일한 조직이 되도록, 냉간 압연시의 텐션 및 압연재의 폭방향의 압하 조건을 균일하게 하였다. 다음의 어닐링에서는 폭방향에서 균일한 온도 분포가 되도록 복수의 히터를 사용하여 온도 관리를 실시하고, 구리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하였다.
또한, 얻어진 동박 표면에 대하여 표 1 에 나타내는 표면 처리를 실시한 후, 표 1 에 나타내는 수지 필름 (수지층) 을 사용하고, (수지층의 Tg + 50 ℃) 이상의 온도에서 진공 프레스 (프레스 압력 200 N/㎠) 에 의해 수지 필름을 적층하고, 표 1 에 나타내는 층 구조의 동박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동박의 양면에 수지 필름을 적층한 경우, 양면의 f1 을 측정하고, f1 이 작은 쪽 (접착 강도가 약한 쪽) 면의 동박의 표면 처리를 표 1 에 기재하였다.
또한, 표 1 중, Cu 는 동박을 나타내고, PI 는 폴리이미드 필름, PET 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나타낸다. 또, PI, PET 의 Tg 는, 각각 220 ℃, 70 ℃ 였다.
또한, 표면 처리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크로메이트 처리 : 크로메이트욕 (K2Cr2O7 : 0.5 ∼ 5 g/ℓ) 을 사용하고, 전류 밀도 1 ∼ 10 A/dm2 로 전해 처리하였다.
Ni 피복 + 크로메이트 처리 : Ni 도금욕 (Ni 이온 농도 : 1 ∼ 30 g/ℓ 의 와트욕) 을 사용하고, 도금액 온도 25 ∼ 60 ℃, 전류 밀도 0.5 ∼ 10 A/dm2 로 Ni 도금을 실시한 후, 상기와 동일하게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하였다.
조화 처리 : 처리액 (Cu : 10 ∼ 25 g/ℓ, H2SO4 : 20 ∼ 100 g/ℓ) 을 사용하고, 온도 20 ∼ 40 ℃, 전류 밀도 30 ∼ 70 A/dm2, 전해 시간 1 ∼ 5 초에 전해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Ni-Co 도금액 (Co 이온 농도 : 5 ∼ 20 g/ℓ, Ni 이온 농도 : 5 ∼ 20 g/ℓ, pH : 1.0 ∼ 4.0) 을 사용하고, 온도 25 ∼ 60 ℃, 전류 밀도 : 0.5 ∼ 10 A/dm2 로 Ni-Co 도금을 실시하였다.
<인장 시험>
동박 복합체로부터 폭 12.7 ㎜ 의 단책(短冊)상의 인장 시험편을 복수 제작하였다. 동박, 및 수지 필름의 인장 시험에 대해서는, 적층 전의 동박 단체 및 수지 필름 단체를 12.7 ㎜ 의 단책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인장 시험기에 의해, JIS-Z 2241 에 따라, 동박의 압연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장 시험하였다. 인장 시험시의 시험 온도를 표 1 에 나타낸다.
<180°필 시험>
180°필 시험을 실시하여, 180°박리 접착 강도 (f1) 를 측정하였다. 먼저, 동박 복합체로부터 폭 12.7 ㎜ 의 단책상의 필 시험편을 복수 제작하였다. 시험편의 동박면을 SUS 판에 고정시키고, 수지층을 180°방향으로 벗겨내었다. 수지층이 동박의 양면에 존재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수지층+동박을 SUS 판에 고정시키고, 반대측의 수지층을 180°방향으로 벗겨내었다. 동박이 수지층의 양면에 존재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편면의 동박을 제거한 후에 반대면의 동박측을 SUS 판에 고정시키고, 수지층을 180°방향으로 벗겨내었다. 그 밖의 조건은 JIS-C 5016 에 따랐다.
또한, JIS 의 규격에서는 동박층을 벗겨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실시예에서 수지층을 벗겨낸 것은 동박의 두께, 강성에 의한 영향을 작게 하기 위해서이다.
<가공성의 평가>
도 2 에 나타내는 컵 시험 장치 (10) 를 사용하여 가공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컵 시험 장치 (10) 는, 대좌(臺座) (4) 와 펀치 (2) 를 구비하고 있고, 대좌 (4) 는 원뿔대형의 경사면을 갖고, 원뿔대는 위에서 아래를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고 있어, 원뿔대의 경사면의 각도는 수평면으로부터 60°를 이루고 있다. 또, 원뿔대의 하측에는, 직경 15 ㎜ 이고 깊이 7 ㎜ 인 원구멍이 연통하고 있다. 한편, 펀치 (2) 는 선단이 직경 14 ㎜ 인 반구상의 원기둥을 이루고, 원뿔대의 원구멍에 펀치 (2) 선단의 반구부를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원뿔대의 끝이 가늘어진 선단과, 원뿔대의 하측의 원구멍의 접속 부분은 반경 (r) = 3 ㎜ 로 둥글게 하고 있다.
그리고, 동박 복합체를 직경 30 ㎜ 의 원판상의 시험편 (20) 에 타발(打拔)하고, 대좌 (4) 의 원뿔대의 경사면에 동박 복합체를 재치하고, 시험편 (20) 상으로부터 펀치 (2) 를 압하하여 대좌 (4) 의 원구멍에 삽입하였다. 이로써, 시험편 (20) 이 코니칼 컵상으로 성형되었다.
또한, 동박 복합체의 편면에만 수지층이 있는 경우, 수지층을 위로 하여 대좌 (4) 에 재치한다. 또, 동박 복합체의 양면에 수지층이 있는 경우, M 면과 접착하고 있는 수지층을 위로 하여 대좌 (4) 에 재치한다. 동박 복합체의 양면이 Cu 인 경우에는 어느 쪽이 위여도 된다.
성형 후의 시험편 (20) 내의 동박의 갈라짐의 유무를 육안으로 판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가공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 : 동박이 갈라지지 않고, 동박에 주름도 없다
○ : 동박이 갈라지지 않았지만, 동박에 약간의 주름이 있다
× : 동박이 갈라졌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의 시험 온도는, F, f1, f2, f3, 및 가공성의 평가를 실시한 온도를 나타낸다.
Figure 112013000069698-pct00001
Figure 112013000069698-pct00002
표 1, 표 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경우, (f3×t3)/(f2×t2) ≥ 1, 및 1 ≤ 33f1/(F×T) 를 모두 만족하고, 가공성이 우수한 것이 되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의 동박 적층체를 사용한 실시예 6 과 실시예 20 을 비교하면, 실온 (약 25 ℃) 에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F 등을 측정한 실시예 6 쪽이, 실시예 20 보다 (f3×t3)/(f2×t2) 의 값이 크고, 실시예 20 에서는 시험 온도 상승에 의해 수지층이 약해 (f3 이 작아) 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동박에 표면 처리를 하지 않고 수지 필름을 적층한 비교예 1 의 경우, 접착 강도가 저하되고, 33f1/(F×T) 의 값이 1 미만이 되어, 가공성이 열화되었다.
적층시의 프레스 압력을 100 N/㎠ 로 저감시킨 비교예 2, 5 의 경우도 접착 강도가 저하되고, 33f1/(F×T) 의 값이 1 미만이 되어, 가공성이 열화되었다.
수지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한 비교예 3 의 경우, 수지 필름의 강도가 동박에 비해 약해지고 (f3×t3)/(f2×t2) 의 값이 1 미만이 되어, 가공성이 열화되었다.
수지 필름과 동박을 열융착하지 않고 접착제로 적층한 비교예 4 의 경우, 접착 강도가 저하되고, 33f1/(F×T) 의 값이 1 미만이 되어, 가공성이 열화되었다.

Claims (7)

  1. 동박과 수지층이 적층된 동박 복합체로서,
    상기 동박의 두께를 t2 (㎜), 인장 변형 4 % 에 있어서의 상기 동박의 응력을 f2 (㎫), 상기 수지층의 두께를 t3 (㎜), 인장 변형 4 % 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층의 응력을 f3 (㎫) 으로 하였을 때, 식 1 : (f3×t3)/(f2×t2) ≥ 1 을 만족하며,
    또한, 상기 동박과 상기 수지층의 180°박리 접착 강도를 f1 (N/㎜), 상기 동박 복합체의 인장 변형 30 % 에 있어서의 강도를 F (㎫), 상기 동박 복합체의 두께를 T (㎜) 로 하였을 때, 식 2 : 1 ≤ 33f1/(F×T)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복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 미만의 온도에 있어서, 상기 식 1 및 식 2 가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복합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박 복합체의 인장 파단 변형 (l) 과, 상기 수지층 단체의 인장 파단 변형 (L) 의 비 (l/L) 가 0.7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 복합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7000012A 2010-07-15 2011-06-16 동박 복합체 KR101443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1029A JP5325175B2 (ja) 2010-07-15 2010-07-15 銅箔複合体、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JP-P-2010-161029 2010-07-15
PCT/JP2011/063770 WO2012008260A1 (ja) 2010-07-15 2011-06-16 銅箔複合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325A KR20130039325A (ko) 2013-04-19
KR101443542B1 true KR101443542B1 (ko) 2014-09-22

Family

ID=4546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012A KR101443542B1 (ko) 2010-07-15 2011-06-16 동박 복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49471B2 (ko)
EP (1) EP2581220B1 (ko)
JP (1) JP5325175B2 (ko)
KR (1) KR101443542B1 (ko)
CN (1) CN102985252B (ko)
TW (1) TWI435803B (ko)
WO (1) WO2012008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16639B1 (en) 2009-03-31 2018-11-28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JP5325175B2 (ja) 2010-07-15 2013-10-23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銅箔複合体、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529417B1 (ko) 2011-05-13 2015-06-16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구리박 복합체 및 그에 사용되는 구리박, 그리고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JP5770113B2 (ja) * 2012-01-13 2015-08-26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金属箔複合体、並びに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35692B1 (ko) * 2012-01-13 2016-07-01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동박 복합체, 그리고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RU2570030C1 (ru) * 2012-01-13 2015-12-10 ДжейЭкс НИППОН МАЙНИНГ ЭНД МЕТАЛЗ КОРПОРЕЙШН Композит с медной фольгой, формованный продукт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KR101626691B1 (ko) * 2012-01-13 2016-06-01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동박 복합체, 그리고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JP6240376B2 (ja) * 2012-07-13 2017-11-29 タツタ電線株式会社 シールドフィルム、及び、シールドプリント配線板
KR20150039711A (ko) * 2012-12-27 2015-04-13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저반발성 전해 동박, 상기 전해 동박을 사용한 배선판 및 플렉시블 배선판
JP6147559B2 (ja) * 2013-05-07 2017-06-14 Jx金属株式会社 積層体、銅張積層体、フレキシブル配線板及び立体成型体
JP5497949B1 (ja) * 2013-07-03 2014-05-21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用金属箔、電磁波シールド材及びシールドケーブル
JP5887305B2 (ja) 2013-07-04 2016-03-16 Jx金属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用金属箔、電磁波シールド材、及びシールドケーブル
EP3150746A4 (en) 2014-05-30 2018-07-04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Metal foil for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and shielded cable
JP6883449B2 (ja) * 2017-03-13 2021-06-09 Jx金属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材
JP6883456B2 (ja) * 2017-03-31 2021-06-09 Jx金属株式会社 積層体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2044A (ja) * 1983-01-15 1984-09-12 アクゾナ・インコ−ポレ−テッド 厚いポリイミドと支持基材とから成る剥離強度の大きいラミネート
JP2002249835A (ja) * 2001-02-26 2002-09-06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積層板用銅合金箔

Family Cites Families (9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3875B2 (ja) 1978-06-14 1984-12-27 株式会社東芝 感熱記録ヘツド
SU994306A1 (ru) 1980-10-13 1983-02-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904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дл печатных плат
EP0167020B1 (de) 1984-06-30 1988-11-23 Akzo Patente GmbH Flexible Polyimid-Mehrschichtlaminate
US4749625A (en) 1986-03-31 1988-06-07 Hiraoka & Co., Ltd. Amorphous metal laminate sheet
JPH01163059A (ja) 1987-12-21 1989-06-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金属箔張り積層板
JPH0297097A (ja) 1988-10-03 1990-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波シールド材
US4965408A (en) 1989-02-01 1990-10-23 Borden, Inc. Composite sheet material for electromagnetic radiation shielding
JPH03112643A (ja) 1989-09-27 1991-05-14 Hitachi Chem Co Ltd 銅張積層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93496B2 (ja) 1990-10-04 1995-10-0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銅張積層板用銅箔樹脂接着層
JPH04223006A (ja) 1990-12-25 1992-08-12 Sumitomo Bakelite Co Ltd 難燃型導電性銅ペースト組成物
JPH073237A (ja) 1993-06-15 1995-01-06 Toray Ind Inc 接着剤
JPH0751283B2 (ja) 1993-07-19 1995-06-05 有限会社棚倉物産開発 寄木細工による線形模様板材の製法
JPH0758477A (ja) 1993-08-11 1995-03-03 Dainippon Printing Co Ltd 一体型電磁波シールド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809059B2 (ja) 1993-10-06 1998-10-08 東レ株式会社 カバーレイ
JPH07290449A (ja) 1994-04-27 1995-11-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ート状の電磁波シールド成形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6132851A (en) 1994-06-28 2000-10-17 Ga-Tek Inc. Adhesive compositions and copper foils and copper clad laminates using same
JPH0853789A (ja) 1994-08-09 1996-02-27 Furukawa Circuit Foil Kk 電解銅箔の製造方法
JP3208029B2 (ja) 1994-11-22 2001-09-1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静電チャック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AU2896995A (en) 1995-07-20 1997-02-18 Circuit Foil S.A. Copper foil for the manufacture of printed circuit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H0953162A (ja) 1995-08-18 1997-02-25 Nippon Foil Mfg Co Ltd 軟質銅箔の製造方法
US5573857A (en) 1995-09-29 1996-11-12 Neptco Incorporated Laminated shielding tape
JPH09270593A (ja) 1996-03-29 1997-10-14 Nisshin Steel Co Ltd 室内用電磁波シ−ルド鋼板
JPH1056289A (ja) 1996-05-28 1998-02-24 Nissha Printing Co Ltd 透光性電磁波シールド材料とその製造方法
JPH1058593A (ja) 1996-08-27 1998-03-03 Hitachi Chem Co Ltd 銅張積層板
JPH10173385A (ja) 1996-12-09 1998-06-26 Kitagawa Ind Co Ltd 電線等の電磁シールド部材及び電磁シールド方法
US6143399A (en) * 1997-03-03 2000-11-07 Ube Industries, Ltd. Aromatic polyimide film
JP4122541B2 (ja) 1997-07-23 2008-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シ−ルド材
JP3346265B2 (ja) * 1998-02-27 2002-11-18 宇部興産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イ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の積層体
JP3009383B2 (ja) 1998-03-31 2000-02-14 日鉱金属株式会社 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34711B2 (ja) 1998-09-24 2003-08-11 株式会社巴川製紙所 放熱シート
JP4147639B2 (ja) 1998-09-29 2008-09-10 宇部興産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金属箔積層体
JP3856582B2 (ja) 1998-11-17 2006-12-13 日鉱金属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用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50155B2 (ja) 1998-12-11 2006-11-29 日本電解株式会社 電解銅箔、二次電池の集電体用銅箔及び二次電池
JP4349690B2 (ja) 1999-06-29 2009-10-21 日本電解株式会社 電解銅箔の製造方法
JP2002019023A (ja) 2000-07-03 2002-01-22 Toray Ind Inc 金属箔積層フィルム
JP3994696B2 (ja) * 2000-10-02 2007-10-24 宇部興産株式会社 線膨張係数を制御したポリイミド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2002144510A (ja) 2000-11-08 2002-05-21 Toray Ind Inc 樹脂シートおよび金属積層シート
JP3768104B2 (ja) 2001-01-22 2006-04-19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CN1195395C (zh) 2001-01-30 2005-03-30 日鉱金属股份有限公司 积层板用铜合金箔
US20040094512A1 (en) 2001-02-21 2004-05-20 Kazuhiro Ono Wiring boar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polyimide film for use in the wiring board, and etchant for use in the process
JPWO2002071824A1 (ja) 2001-03-02 2004-07-02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ム、電磁波シールド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
JP2002319319A (ja) 2001-04-23 2002-10-31 Sumitomo Electric Ind Ltd 平行2心シールド電線
JP3962291B2 (ja) 2001-07-17 2007-08-22 日鉱金属株式会社 銅張積層板用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14168A (ko) * 2001-08-10 2003-02-15 닛코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적층판용 구리합금박
JP2003193211A (ja) 2001-12-27 2003-07-09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銅張積層板用圧延銅箔
JP2004060018A (ja) 2002-07-30 2004-02-26 Hitachi Cable Ltd 電子部品用銅箔
AU2003254833A1 (en) 2002-08-08 2004-02-25 Dai Nippon Printing Co., Lt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heet
US6703114B1 (en) 2002-10-17 2004-03-09 Arlon Laminate structures,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s therefor
JP2004256832A (ja) 2003-02-24 2004-09-1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黒色化処理面を備える表面処理銅箔及びその表面処理銅箔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前面パネル用の磁気遮蔽導電性メッシュ
JP4059150B2 (ja) 2003-06-05 2008-03-12 日立電線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用銅合金箔及びその製造方法
JP3879850B2 (ja) 2003-06-10 2007-02-14 ソニー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4202840B2 (ja) 2003-06-26 2008-12-24 日鉱金属株式会社 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JP4162087B2 (ja) 2003-08-22 2008-10-08 日鉱金属株式会社 高屈曲性圧延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91443A (ja) 2003-12-26 2005-07-14 Hitachi Chem Co Ltd 電磁波シールド用積層体
JP4458521B2 (ja) 2004-03-02 2010-04-28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灰色化処理面を備える表面処理銅箔、その表面処理銅箔の製造方法及びその表面処理銅箔を用い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前面パネル用の電磁波遮蔽導電性メッシュ
JP4734837B2 (ja) * 2004-03-23 2011-07-27 宇部興産株式会社 接着性の改良されたポリイミ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KR100633790B1 (ko) 2004-06-02 2006-10-16 일진소재산업주식회사 전자파 차폐용 흑화표면처리 동박의 제조방법과 그 동박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복합재료
JP4371234B2 (ja) 2005-03-03 2009-11-2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金属箔ポリイミド積層板
JP4695421B2 (ja) 2005-03-29 2011-06-08 新日鐵化学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
TWI406757B (zh) * 2005-04-04 2013-09-01 Ube Industries 包銅之疊層基板
JP4522972B2 (ja) 2005-04-28 2010-08-11 日鉱金属株式会社 銅張積層基板用高光沢圧延銅箔
JP4681936B2 (ja) 2005-05-20 2011-05-11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電磁波シールドフィルター用銅箔
JP2007110010A (ja) 2005-10-17 2007-04-26 Shindo Denshi Kogyo Kk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7146258A (ja) 2005-11-30 2007-06-14 Furukawa Circuit Foil Kk 電解銅箔、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4683640B2 (ja) 2006-01-31 2011-05-18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基板用銅箔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基板
JP2008053789A (ja) 2006-08-22 2008-03-06 Sanyo Electric Co Ltd Icカード付き携帯電話機
JP2008088492A (ja) 2006-09-29 2008-04-17 Nikko Kinzoku Kk 銅合金箔および銅−樹脂有機物フレキシブル積層体
WO2008050584A1 (fr) 2006-10-24 2008-05-02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Feuille de cuivre enroulee presentant une excellente resistance a la flexion
US7789977B2 (en) 2006-10-26 2010-09-07 Hitachi Cable, Ltd. Rolled copper fo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024930B2 (ja) 2006-10-31 2012-09-12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極薄プライマ樹脂層付表面処理銅箔及びその表面処理銅箔の製造方法並びに極薄プライマ樹脂層付表面処理銅箔の製造方法
JP4629717B2 (ja) 2006-11-11 2011-02-09 ジョインセット株式会社 軟性金属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66655A (ja) 2007-01-05 2008-07-17 Nippon Denkai Kk 電磁波シールド材用銅箔
JP5181618B2 (ja) * 2007-10-24 2013-04-10 宇部興産株式会社 金属箔積層ポリイミド樹脂基板
JP5055088B2 (ja) 2007-10-31 2012-10-24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銅箔及びそ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5057932B2 (ja) 2007-10-31 2012-10-24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圧延銅箔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09161068A (ja) 2008-01-08 2009-07-23 Toyota Central R&D Labs Inc 車両用安全装置
JP2009286868A (ja) 2008-05-28 2009-12-10 Jfe Chemical Corp 線状ポリイミド前駆体、線状ポリイミド、その熱硬化物、製造方法、接着剤および銅張積層板
WO2009144973A1 (ja) 2008-05-30 2009-12-03 日鉱金属株式会社 Sn又はSn合金めっき被膜、それを有する複合材料、及び複合材料の製造方法
US20110171491A1 (en) 2008-07-07 2011-07-14 Furukawa Electric Co., Ltd. Electrodeposited copper foil and copper clad laminate
CN102165105B (zh) 2008-07-22 2014-01-29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柔性镀铜层压板
JP5185066B2 (ja) * 2008-10-23 2013-04-17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屈曲性に優れた銅箔、その製造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銅貼積層板
JP5349076B2 (ja) 2009-02-23 2013-11-20 新日鉄住金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容器用樹脂被覆ステンレス鋼箔
EP2416639B1 (en) 2009-03-31 2018-11-28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JP4563495B1 (ja) 2009-04-27 2010-10-13 Dowaメタルテック株式会社 銅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439063B1 (en) * 2009-07-07 2015-02-25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Copper foil composite
JP5461089B2 (ja) 2009-07-13 2014-04-02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銅箔複合体
JP2010006071A (ja) 2009-08-21 2010-01-1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表面処理銅箔、キャリア付き極薄銅箔、フレキシブル銅張積層板及びポリイミド系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KR101363183B1 (ko) 2010-03-30 2014-02-13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전자파 실드용 복합체
CN102241950A (zh) 2010-05-14 2011-11-16 3M创新有限公司 电磁屏蔽胶带
JP5325175B2 (ja) 2010-07-15 2013-10-23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銅箔複合体、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5127086B1 (ja) 2011-03-31 2013-01-23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金属箔複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並びに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29417B1 (ko) 2011-05-13 2015-06-16 제이엑스 닛코 닛세키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구리박 복합체 및 그에 사용되는 구리박, 그리고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RU2570030C1 (ru) 2012-01-13 2015-12-10 ДжейЭкс НИППОН МАЙНИНГ ЭНД МЕТАЛЗ КОРПОРЕЙШН Композит с медной фольгой, формованный продукт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KR101635692B1 (ko) 2012-01-13 2016-07-01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동박 복합체, 그리고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2044A (ja) * 1983-01-15 1984-09-12 アクゾナ・インコ−ポレ−テッド 厚いポリイミドと支持基材とから成る剥離強度の大きいラミネート
JP2002249835A (ja) * 2001-02-26 2002-09-06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積層板用銅合金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49471B2 (en) 2017-01-17
EP2581220A4 (en) 2014-05-14
JP5325175B2 (ja) 2013-10-23
TWI435803B (zh) 2014-05-01
TW201217157A (en) 2012-05-01
EP2581220A1 (en) 2013-04-17
EP2581220B1 (en) 2016-04-20
CN102985252A (zh) 2013-03-20
US20130071676A1 (en) 2013-03-21
WO2012008260A1 (ja) 2012-01-19
CN102985252B (zh) 2014-12-10
KR20130039325A (ko) 2013-04-19
JP2012020528A (ja)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542B1 (ko) 동박 복합체
KR101628590B1 (ko) 동박 복합체, 그리고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635692B1 (ko) 동박 복합체, 그리고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8995B1 (ko) 금속박 복합체 및 그것을 사용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그리고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626691B1 (ko) 동박 복합체, 그리고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628591B1 (ko) 금속박 복합체, 동박, 그리고 성형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539839B1 (ko) 구리박, 구리 피복 적층체, 플렉시블 배선판 및 입체 성형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