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253B1 -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 - Google Patents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3253B1 KR101433253B1 KR1020140068060A KR20140068060A KR101433253B1 KR 101433253 B1 KR101433253 B1 KR 101433253B1 KR 1020140068060 A KR1020140068060 A KR 1020140068060A KR 20140068060 A KR20140068060 A KR 20140068060A KR 101433253 B1 KR101433253 B1 KR 1014332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lower chamber
- oil mist
- filter
- 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75—Other waste gases from food processing plants or kitch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오일 미스트에 함유된 기름과 공기를 효율적으로 분리 및 배출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집진기를 통해 기름과 정화된 공기를 별도로 배출시켜주는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배출구(111)가 형성되는 상부챔버(110)와 흡입구(121)가 형성되는 하부챔버(120)와 제2배출구(131)가 형성되는 포집챔버(130)가 상호 적층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흡입구(121)의 전단에서 하부챔버(120)의 내측 후면을 따라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200);와, 상기 하부챔버(120)의 외측 후면에서 돌출형성되고 가이드부(200)와 연통되는 개구(310)가 형성되며 제1배출구(330)가 구비되는 차단분리부(300);와, 상기 하부챔버(120)의 내부에 설치되되 후면에는 가이드부(200)와 연통하는 흡입공(410)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흡입임펠러(420)가 결합되는 원심분리부(400);와, 상기 하부챔버(120)의 양측 벽면을 따라 밀폐 형성되어 포집챔버(130)와 상부챔버(110)를 연통시키는 이송부(500);와, 상기 상부챔버(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여과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배출구(111)가 형성되는 상부챔버(110)와 흡입구(121)가 형성되는 하부챔버(120)와 제2배출구(131)가 형성되는 포집챔버(130)가 상호 적층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흡입구(121)의 전단에서 하부챔버(120)의 내측 후면을 따라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200);와, 상기 하부챔버(120)의 외측 후면에서 돌출형성되고 가이드부(200)와 연통되는 개구(310)가 형성되며 제1배출구(330)가 구비되는 차단분리부(300);와, 상기 하부챔버(120)의 내부에 설치되되 후면에는 가이드부(200)와 연통하는 흡입공(410)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흡입임펠러(420)가 결합되는 원심분리부(400);와, 상기 하부챔버(120)의 양측 벽면을 따라 밀폐 형성되어 포집챔버(130)와 상부챔버(110)를 연통시키는 이송부(500);와, 상기 상부챔버(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여과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오일 미스트에 함유된 기름과 공기를 효율적으로 분리 및 배출하기 위해서 수개의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의 내부에 가이드부, 차단분리부, 원심분리부, 이송부, 필터여과부를 포함하는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집진기를 통해 오일 미스트의 흡입에서 배출까지 이어지는 다단계의 분리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기름과 정화된 공기를 별도로 배출시켜주는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 미스트 집진기는 각종 산업현장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기름 입자가 다량 함유된 공기, 즉 오일 미스트를 흡입하여 기름과 공기를 각각 분리해 별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다. 배출되는 기름은 별도로 포집 및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므로 작업환경을 상쾌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 그 활용도가 매우 높아 다양한 분야의 산업현장에서 오일 미스트 집진기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오일 미스트 집진기는 크게 필터여과방식과 원심분리방식과 정전기력분리방식의 집진기로 구분할 수 있다. 필터여과방식의 집진기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집진기 구성으로써 본체 내부에 송풍팬과 여과필터가 장착되어 오일 미스트를 흡입하여 필터에 의해 불투과성인 기름 입자는 걸러내고 정화된 공기만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높은 여과효율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필터를 빈번하게 교체해주어야 하므로 유지비용면에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원심분리방식의 집진기는 원심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기류를 형성하여 원심력을 이용하여 기름과 공기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원심분리 장치의 형태 및 구성은 분리 대상의 성질에 따라 다양하게 차별화할 수 있으므로 가장 적합하고 효율적인 구성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원심분리방식은 상기한 필터여과방식에 비해 유지비용은 낮출 수 있으나 여과효율 역시 떨어지므로 미세입자가 분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전기력분리방식의 집진기는 오일 미스트를 하전시켜 기름 입자를 응집시킨 후 분리하도록 구성되는바, 일반적으로 상기한 필터여과방식이나 원심분리방식과 함께 사용되어야 완성될 수 있는 방식이다.
한편, 이와 같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8713호가 공지된 바 있는데, 상기한 원심분리방식과 필터여과방식을 함께 구성한 집진기의 형태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본체의 내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에 송풍팬을 각각 설치하여 하부에서 오일 미스트를 원심분리하고 상부에서 필터에 의해 여과한 후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하였다. 두 가지 상이한 분리 방식을 접목하여 여과효율의 증대를 도모하였으나 내부 구성요소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하부와 상부 간에 기류의 원활한 흐름이 형성되지 않아 결국 하나 이상의 송풍팬의 설치가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가 기류의 유로 상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흡착되는 기름때 등에 의해 장치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집진기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오일 미스트에 함유된 기름과 공기를 분리 및 배출하기 위해서 수개의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의 내부에 가이드부, 차단분리부, 원심분리부, 이송부, 필터여과부를 포함하는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집진기를 구현하여 흡입에서 배출까지 이어지는 다단계의 분리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가의 소모품인 필터의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내부로 흡입되는 오일 미스트의 기류가 원활하게 형성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설치되는 흡입임펠러의 수를 최소화하도록 하며, 아울러 흡입임펠러를 구동하는 흡입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는, 공기배출구(111)가 형성되는 상부챔버(110)와 흡입구(121)가 형성되는 하부챔버(120)와 제2배출구(131)가 형성되는 포집챔버(130)가 상호 적층 형성되고, 상부챔버(110) 및 하부챔버(120)를 각각 개폐하는 개폐도어(110a, 120a)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상기 흡입구(121)의 전단에서 하부챔버(120)의 내측 후면을 따라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200);와, 상기 하부챔버(120)의 외측 후면에서 돌출형성되고 가이드부(200)와 연통되는 개구(310)가 형성되며 오일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330)가 구비되는 차단분리부(300);와, 상기 하부챔버(120)의 내부에 설치되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부(200)와 연통하는 흡입공(410)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흡입임펠러(420)가 결합되어 나선형의 내부구조를 통해 오일 미스트를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부(400);와, 상기 하부챔버(120)의 양측 벽면을 따라 밀폐 형성되어 포집챔버(130)와 상부챔버(110)를 연통시키는 이송부(500);와, 상기 상부챔버(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로 이루어지는 필터여과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부(400)의 말단에는 배출덕트(440)가 하향 형성되어 포집챔버(1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구(310)의 입구에는 가이드부(200)의 유로 일부를 차단하도록 사선배치되는 차단판(320)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흡입임펠러(420)은 원심분리부(400)의 내측에 삽입되어 밀폐 결합되고 흡입임펠러(420)를 구동하는 흡입모터(430)는 원심분리부(400)의 외측에 배치되어 흡입모터(430)가 오일 미스트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챔버(110)의 내측에는 제1고정대(112) 및 제2고정대(113)가 측면을 따라 구비되어 필터여과부(600)가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오일 미스트에 함유된 기름과 공기를 분리 및 배출하기 위해서 수개의 챔버가 형성되는 본체의 내부에 가이드부, 차단분리부, 원심분리부, 이송부, 필터여과부를 포함하는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집진기를 제공하여 흡입에서 배출까지 이어지는 다단계의 분리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이고 특히, 분리단계의 마지막에 사용되는 필터의 수명을 더욱 연장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로 흡입되는 오일 미스트의 기류가 원활하게 형성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설치되는 흡입임펠러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흡입임펠러를 구동하는 흡입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형성하여 흡입모터의 수명 역시 연장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전반을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의 원심분리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의 실시예에서 하부챔버의 단면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의 원심분리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의 실시예에서 하부챔버의 단면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오일 미스트에 함유된 기름과 공기를 효율적으로 분리 및 배출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오일 미스트의 흡입에서 배출까지 이어지는 다단계의 분리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기름과 정화된 공기를 별도로 배출시켜주는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의 원심분리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의 실시예에서 하부챔버의 단면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는 크게 상부챔버(110)와 하부챔버(120)와 포집챔버(130)로 이루어지는 본체(100)와, 가이드부(200)와, 차단분리부(300)와, 원심분리부(400)와, 이송부(500)와, 필터여과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타워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부챔버(110)와 하부챔버(120)와 포집챔버(130)가 상호 적층 형성되고 상부챔버(110) 및 하부챔버(120)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구성요소의 관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도록 각각의 챔버를 개폐하는 개폐도어(110a,120a)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챔버(120)는 본체(100)의 최하부에 구비되는 포집챔버(130)의 상측에 배치되어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21)를 통해 오일 미스트를 흡입한다. 흡입구(121)는 본체(100)의 설치환경에 따라 양측면 중 일측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00)는 흡입구(121)의 전단에서부터 하부챔버(120)의 내측 후면을 따라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흡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 미스트의 흐름을 가이드 한다. 상술하였듯이 상기 흡입구(121)는 설치환경에 따라 양측면 중 일측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부(200)를 'ㄷ'자로 형성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상기 차단분리부(300)는 하부챔버(120)의 외측 후면에서 돌출형성되되 가이드부(200)와의 연접면에 형성되는 개구(310)를 통해 가이드부(200)와 연통되고 저면에는 제1배출구(330)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개구(310)의 입구에는 차단판(320)이 구비되되 가이드부(200)의 유로 일부를 차단하도록 사선배치되어 흡입구(121)를 통해 가이드부(200)로 유도된 오일 미스트가 차단분리부(300)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흡입구(121)를 통해 가이드부(200)를 따라 빠른 속도로 흡입되는 오일 미스트는 차단판(320)에 충돌되면서 1차적으로 많은 양의 기름 입자가 분리되어 차단분리부(300)의 저면에 형성된 제1배출구(330)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1배출구(330) 상에는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필요시에 밸브를 개방하여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심분리부(400)는 하부챔버(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단분리부(300)를 통해 1차적으로 분리된 오일 미스트가 유입되어 원심분리의 방식으로 기름과 공기를 재차 분리한다. 나선형의 내부구조로 이루어지는 원심분리부(400)의 후면에는 흡입공(410)이 형성되어 가이드부(200)와 연통하고 전면에는 흡입모터(430)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임펠러(420)가 밀폐 결합되어 흡입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나선형 구조의 말단부에는 상기 포집챔버(130)에 연결되는 배출덕트(440)가 하향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임펠러(420)에 의해 회전기류를 형성하며 흡입된 오일 미스트는 흡입공(410)을 통해 원심분리부(400)로 유입되고 원심력에 의해 나선형의 내부구조 내에서 선회하면서 측벽에는 공기보다 무거운 기름 입자가 결집된다. 결집된 기름은 배출덕트(440)를 통해 포집챔버(130)로 흘러들어가고 제2배출구(131)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2배출구(131) 상에는 상기 제1배출구(330)와 마찬가지로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필요시 밸브를 개방해 포집챔버(130)에 채워진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집진기는 후술하게 될 필터여과부(600)에 오일 미스트가 진입하기 전에 차단분리부(300)와 원심분리부(400)를 통한 두 번의 분리단계를 거치도록 하여 필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고 아울러 분리된 기름은 별도로 포집하여 회수함으로써 재활용의 기회를 얻을 수 있어 환경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임펠러(420)는 결합된 흡입모터(430)를 제외한 흡입임펠러(420) 부분이 원심분리부(4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밀폐 결합되도록 하여 흡입모터(430)가 오일 미스트의 유로 상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 흡입모터(430)의 수명을 연장시켜주고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부(500)는 하부챔버(120)의 양측 벽면을 따라 밀폐 형성되어 상기 포집챔버(130)와 상부챔버(110)를 연통시킨다. 즉, 원심분리부(400)를 거쳐 포집챔버(130)에 유입된 오일 미스트 중 분리된 기름은 제2배출구(131)를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 오일 미스트는 이송부(500)를 통해 상부챔버(110)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챔버(110)는 하부챔버(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내부의 저면에 연결된 이송부(500)를 통해 오일 미스트를 유입받게된다. 상부챔버(110)의 내부에는 제1고정대(112) 및 제2고정대(113)가 구비되어 후술하게 될 필터여과부(600)가 설치되도록 하고 공기배출구(111)가 상면에 형성되어 여과과정을 거친 후 정화된 공기가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필터여과부(600)는 제1필터(610), 제2필터(620), 제3필터(630)로 이루어져 상부챔버(110)로 유입되는 오일 미스트를 단계별로 여과시켜준다.
상기 제1고정대(112)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제1필터(610)는 이송부(500)를 거쳐 상부챔버(110)의 저면으로 유입되는 오일 미스트를 여과한다. 통상의 집진기에 주로 사용되는 HEPA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를 제1필터(610)로 사용하여 0.3㎛의 크기를 가지는 입자를 99.9%까지 여과할 수 있는 고효율의 여과기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상기 제1필터(610)를 통과하며 여과된 오일 미스트는 제2고정대(113)에 결합되어 상부챔버(110)의 중심공간에 구비되는 제2필터(620)를 통해 재차 여과된다. 제2필터(620)는 포켓형태로 형성되는 표면 확대식의 드라이팩 필터(Dry Pack Filter)를 수개 구비하여 유입되는 오일 미스트의 유량이 균등하게 통과되면서 여과되도록 한다. 드라이 팩 필터는 상기 HEPA 필터에 비해 포집량이 풍부하고 유속의 감속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함께 사용할 경우 여과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필터(610) 내지 제3필터(630)를 활성탄이 포함된 카본 필터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한바, 활성탄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나 유해 가스를 제거해주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카본 필터를 사용한 집진기를 식당에 설치하면 오일 미스트의 분리효과는 물론이고 숯불구이 등에서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 제거에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620)를 통과하며 여과된 오일 미스트는 상기 제1필터(610)와 동일한 구성의 제3필터(630)를 통과하도록 하여 마지막으로 여과과정을 한 번 더 거친 후 상기 공기배출구(111)를 통해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는 상기 흡입임펠러(420)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구(121)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임펠러(420)가 결합된 원심분리부(400)와 가이드부(200) 및 흡입구(121)에 이르는 유로는 밀폐형으로 형성되므로 본체(100) 외부의 공기 중에 분포된 오일 미스트는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121)를 통과하여 가이드부(200)로 유입된 오일 미스트는 상기 차단판(320)에 충돌되면서 개구(310)를 통과해 차단분리부(300)로 유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기름 입자가 1차적으로 분리되어 제1배출구(330)를 통해 배출된다.
기름이 분리된 오일 미스트는 가이드부(200)를 따라 흡입공(410)을 통과하여 원심분리부(400)로 유입되고 원심력에 의해 나선형의 내부구조를 따라 선회하면서 측벽에 기름 입자가 결집된다. 결집된 기름은 배출덕트(440)를 따라 포집챔버(130)로 흘러들어가고 제2배출구(131)를 통해 배출되며 기름이 분리된 오일 미스트는 이송부(500)를 통해 상부챔버(110)로 유입된다.
상기 상부챔버(110)로 유입된 오일 미스트는 제1필터(610)와 제2필터(620) 및 제3필터(630)로 이루어지는 필터여과부(600)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미세한 기름 입자까지 여과되어 공기배출구(111)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는 흡입에서 배출까지 이어지는 다단계의 분리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이고 특히, 분리단계에 사용되는 필터의 수명을 연장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오일 미스트의 기류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는 내부구조로 이루어져 장치 전반을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상부챔버 111: 공기배출구
112: 제1고정대 113: 제2고정대
120: 하부챔버 121: 흡입구
110a,120a: 개폐도어
130: 포집챔버 131: 제2배출구
200: 가이드부
300: 차단분리부 310: 개구
320: 차단판 330: 제1배출구
400: 원심분리부 410: 흡입공
420: 흡입임펠러 430: 흡입모터
440: 배출덕트
500: 이송부
600: 필터여과부 610: 제1필터
620: 제2필터 630: 제3필터
110: 상부챔버 111: 공기배출구
112: 제1고정대 113: 제2고정대
120: 하부챔버 121: 흡입구
110a,120a: 개폐도어
130: 포집챔버 131: 제2배출구
200: 가이드부
300: 차단분리부 310: 개구
320: 차단판 330: 제1배출구
400: 원심분리부 410: 흡입공
420: 흡입임펠러 430: 흡입모터
440: 배출덕트
500: 이송부
600: 필터여과부 610: 제1필터
620: 제2필터 630: 제3필터
Claims (5)
- 공기배출구(111)가 형성되는 상부챔버(110)와 흡입구(121)가 형성되는 하부챔버(120)와 제2배출구(131)가 형성되는 포집챔버(130)가 상호 적층 형성되고, 상부챔버(110) 및 하부챔버(120)를 각각 개폐하는 개폐도어(110a, 120a)를 구비하는 본체(100);와,
상기 흡입구(121)의 전단에서 하부챔버(120)의 내측 후면을 따라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200);와,
상기 하부챔버(120)의 외측 후면에서 돌출형성되고 가이드부(200)와 연통되는 개구(310)가 형성되며 오일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330)가 구비되는 차단분리부(300);와,
상기 하부챔버(120)의 내부에 설치되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부(200)와 연통하는 흡입공(410)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흡입임펠러(420)가 결합되어 나선형의 내부구조를 통해 오일 미스트를 원심분리하는 원심분리부(400);와,
상기 하부챔버(120)의 양측 벽면을 따라 밀폐 형성되어 포집챔버(130)와 상부챔버(110)를 연통시키는 이송부(500);와,
상기 상부챔버(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로 이루어지는 필터여과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부(400)의 말단에는 배출덕트(440)가 하향 형성되어 포집챔버(1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310)의 입구에는 가이드부(200)의 유로 일부를 차단하도록 사선배치되는 차단판(320)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임펠러(420)은 원심분리부(400)의 내측에 삽입되어 밀폐 결합되되, 흡입임펠러(420)을 구동하는 흡입모터(430)는 원심분리부(400)의 외측에 배치되어 흡입모터(430)가 오일 미스트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의 내측에는 제1고정대(112) 및 제2고정대(113)가 측면을 따라 구비되어 필터여과부(600)가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8060A KR101433253B1 (ko) | 2014-06-05 | 2014-06-05 |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8060A KR101433253B1 (ko) | 2014-06-05 | 2014-06-05 |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3253B1 true KR101433253B1 (ko) | 2014-09-25 |
Family
ID=5175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8060A KR101433253B1 (ko) | 2014-06-05 | 2014-06-05 |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325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543102B2 (ja) | 2020-11-20 | 2024-09-02 | ミドリ安全株式会社 | オイルミスト捕集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4029A (ko) * | 2001-07-02 | 2003-01-14 | 가부시키가이샤 구라코 | 오일 미스트 제거기 |
KR20090061742A (ko) * | 2007-12-12 | 2009-06-17 | (주)새롬환경기술 |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
KR20120126732A (ko) * | 2011-05-12 | 2012-11-21 | 주식회사 삼화이엔지 | 오일 미스트 집진장치 |
-
2014
- 2014-06-05 KR KR1020140068060A patent/KR1014332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4029A (ko) * | 2001-07-02 | 2003-01-14 | 가부시키가이샤 구라코 | 오일 미스트 제거기 |
KR20090061742A (ko) * | 2007-12-12 | 2009-06-17 | (주)새롬환경기술 | 오일 미스트 포집 장치 |
KR20120126732A (ko) * | 2011-05-12 | 2012-11-21 | 주식회사 삼화이엔지 | 오일 미스트 집진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543102B2 (ja) | 2020-11-20 | 2024-09-02 | ミドリ安全株式会社 | オイルミスト捕集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51573B1 (en) | Two-stage dust-air separation structure and dust cup comprising same | |
CN101535730B (zh) | 空气净化器 | |
KR100767122B1 (ko) |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 |
JP5140143B2 (ja) | コンクリートカッター用集塵装置 | |
WO2016197546A1 (zh) | 一种具有螺旋式二级龙卷风尘气分离结构的手持式吸尘器 | |
US7815702B2 (en) | Multi cyclone collector | |
WO2020138929A1 (en) | Dust container and cleaner including | |
CN112351717B (zh) | 真空吸尘器 | |
CN1322834C (zh) | 旋风集尘装置和具有该装置的真空吸尘器 | |
EP1683459A2 (en) | Central vacuum system with secondary ariflow path | |
CN112043204B (zh) | 空气处理组件及具有其的清洁设备 | |
CN106308681A (zh) | 气尘分离装置及吸尘器 | |
CN110772168A (zh) | 清洁设备及吸尘器 | |
CN205107561U (zh) | 真空吸尘器用集尘装置及真空吸尘器 | |
KR101433253B1 (ko) | 오일 미스트 및 식당용 집진기 | |
CN109692527B (zh) | 旋风除尘管及除尘过滤设备 | |
EP3005924A1 (en) |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 |
JP2017035677A (ja) | 6サイクロンダストクリーナー | |
CN108888181B (zh) | 一种旋风分离装置及旋风分离方法 | |
KR20090084616A (ko) | 사이클론 집진장치 | |
CN211324705U (zh) | 清洁设备及吸尘器 | |
CN209809738U (zh) | 旋风除尘管及除尘过滤设备 | |
KR100789837B1 (ko) | 싸이클론 집진장치 | |
AU2016361458B2 (en) | A cyclonic vacuum cleaner | |
CN104068794A (zh) | 吸尘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