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986B1 -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 - Google Patents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986B1
KR101429986B1 KR1020120157143A KR20120157143A KR101429986B1 KR 101429986 B1 KR101429986 B1 KR 101429986B1 KR 1020120157143 A KR1020120157143 A KR 1020120157143A KR 20120157143 A KR20120157143 A KR 20120157143A KR 101429986 B1 KR101429986 B1 KR 101429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tructure
steel pipe
horizontal
pipe column
upper fl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1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7311A (en
Inventor
김진원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7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986B1/en
Publication of KR20140087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3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98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슬릿이 형성된 강관 기둥과, 상기 강관 기둥의 슬릿으로 삽입되는 수평구조물 및, 상기 수평구조물이 상기 강관 기둥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구조물의 일측과 상기 강관 기둥 내벽 사이에 설치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관 접합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관 접합 구조체에 의하면, 다이아프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강관 기둥의 좌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column in which a hollow is formed and a slit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horizontal structure inserted into a slit of the steel pipe column, and a horizontal structure, And a fixing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inner walls of the steel tube columns.
According to the steel pipe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buckling of the steel pipe column without providing a diaphragm separately.

Description

강관 접합 구조체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0001]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 [0002]

본 발명은 강관 접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강관 기둥 내부에 삽입되는 강관을 연결함으로써, 내다이아프램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내다이아프램이 설치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는 강관 접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joint structure that connects the steel pipe inserted into a steel pipe column to provide the same effect as the effect of installing the inner diaphragm without providing an inner diaphragm .

다이아프램은 힘을 받는 단면 부재의 좌굴 형상을 방지하고 부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강관 내부 또는 외부에 판재가 설치되는 구조를 말한다.The diaphragm is a structure in which plate members ar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steel pipe to prevent the buckling shape of the cross-sectional member subjected to the force an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member.

그런데, 상기 다이아프램은 복수개의 강관 등을 연결시 중심이 되는 강관 내부에 구비되는 내다이프램과 강관 기둥 외부에 구비되는 외다이어프램이 있다.Meanwhile, the diaphragm has an inner diaphragm provided in a steel pipe which becomes a center when a plurality of steel pipes are connected, and an outer diaphragm provided outside the steel pipe.

이때, 종래의 내다이어프램은 상기 강관 기둥의 일측을 절단하여 판재를 설치하고 내부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여 용접시 작업 공간이 협소한 상태에서 제작하여야 하므로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삽입된 판재를 접합시 용접량이 많아 용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inner diaphragm is manufactured by cutting one side of the steel pipe column, installing a plate material, and welding it internally.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welding is not easy because the amount of welding is large when the inserted plate material is joined.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내다이어프램을 설치하지 않고 강관 기둥 내에 삽입되는 브라켓 또는 보부재와 같은 수평구조물을 서로 접합함으로써 내다이아프램을 설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는 강관 기둥 접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nal diaphragm which is installed by joining a horizontal structure such as a bracket or a beam member inserted into a column of a steel pipe without providing an inner diaphrag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pipe column joint structure which provides the same effect as the steel pipe column joint structure.

그리고,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강관 기둥 내부에 삽입되는 브라켓 또는 보부재를 접합시 용접 부위를 최소화 하는 강관 기둥 접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l pipe column joint structure that minimizes a welded portion when a bracket or a beam member inserted into a steel pipe column is join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슬릿이 형성된 강관 기둥과, 상기 강관 기둥의 슬릿으로 삽입되는 수평구조물 및, 상기 수평구조물이 상기 강관 기둥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구조물의 일측과 상기 강관 기둥 내벽 사이에 설치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관 접합 구조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el pipe pillar having a hollow inside and a slit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horizontal structure inserted into the slit of the steel pipe pillar, And a fixing part provided between one side of the horizontal structure and the inner wall of the steel pipe column so that the steel pipe can be fixed.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평구조물의 하부와 상기 강관 기둥의 내벽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xing portion may be provided such that concrete is plac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structure and an inner wall of the steel pipe column.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구조물은, 일측에서 상기 강관 기둥으로 삽입되는 제1수평구조물과, 일측이 상기 제1수평구조물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수평구조물 및, 일측이 상기 제2수평구조물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3수평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수평구조물 및 상기 제3수평구조물은 단부가 서로 접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orizontal structure includes a first horizontal structure inserted into the column of the steel pipe from one side, a second horizontal structure having one side perpendicularly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and a second horizontal structure having one sid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horizontal structure,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and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may have end portions connected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구조물은 H 빔으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orizontal structure may be provided with an H beam.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수평구조물의 상부플랜지와 상기 제3수평구조물의 상부플랜지는 서로 접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are joined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 상기 제1수평구조물의 상부플랜지와 상기 제3수평구조물의 상부플랜지의 접합부분은 용접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joining portion of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may be welded together.

바람직하게, 상기 제2수평구조물의 측면 웨브는 상부면이 상기 제1수평구조물의 상부 플랜지 또는 상기 제3수평구조물의 상부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면에 접합 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ide web of the second horizontal structure ha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bonded to the lower flang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or the upper flange of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구조물은 상기 제3수평구조물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4수평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수평구조물은 상기 제1수평구조물과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orizontal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fourth horizontal structu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and the fourth horizontal structure may b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바람직하게, 상기 제4수평구조물의 측면 웨브는 상부면이 상기 제1수평구조물의 상부 플랜지 또는 상기 제3수평구조물의 상부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면에 접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ide web of the fourth horizontal structure has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joined to the lower flang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or the upper flange of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양 단부가 접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lso, preferably,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may be provided such that both ends are joined to each oth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아프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강관 기둥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column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diaphragm.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관 내부에 다이아프램의 설치 비용 및 설치 기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cost and installation period of the diaphragm are shortened within the steel pip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아프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강관 기둥에 보부재를 연결시 용접 부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diaphragm, which provides an effect of minimizing a welded portion when connecting a beam member to a steel pipe colum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관 접합 구조체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의 A-A, B-B, C-C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강관 접합 구조체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3의 A-A, B-B, C-C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to 2 (c) are sectional views of AA, BB, and CC, respectively,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joint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 to 4 (c) are sectional views of AA, BB, and CC, respectively,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강관 접합 구조체를 구비하는 교량을 이해시키는데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embodiments suitable for understanding a bridge having a steel pipe joi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관 접합 구조체(1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강관 기둥(110), 상기 강관 기둥(110)에 삽입된 수평구조물(200)과, 상기 수평구조물(200)을 상기 강관 기둥(110)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teel pipe joint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l pipe column 110 having a hollow therein, a horizontal structure 200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a fixing part (120) for fixing to the inside of the steel tube column (110).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강관 기둥(11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강관 기둥(110)의 일측에서 상기 수평구조물(200)이 삽입되도록 슬릿(112)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steel tube column 110 has a hollow therein and a slit 112 is formed to insert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from one side of the steel tube column 110.

이 경우, 상기 강관 기둥(110)의 일측에 형성된 슬릿(112)은 삽입되는 상기 수평구조물(200)의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t 112 formed on one side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is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to be inserted.

그리고, 상기 강관 기둥(1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사각형 강관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형 강관 뿐만 아니라, 사각형 이외의 다른 각형 강관도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1 to 4, various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as long as hollows are formed not only in the round steel pipe but also in other rectangular steel pipes other than the square pipe.

그리고,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평구조물(200)은 강관, 보와 같은 보부재 뿐만 아니라, 일측에서 보부재를 접합하는 브라켓으로 구비될 수 있다.1 and 3,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racket for joining the beam member at one side as well as a beam member such as a steel pipe and a beam.

그리고, 도 1 및 도 2(c)와 도 3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평구조물(200)의 일측과 상기 강관 기둥(110) 내벽(11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1, 2, 3, and 4 (c), the fixing portion 120 is disposed between one side of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and the inner wall 111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As shown in FIG.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수평구조물(200)의 하부와 상기 강관 기둥(110) 내벽(111)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fixing par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uch that concrete is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and the inner wall 111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그래서, 상기 콘크리트가 삽입된 상기 수평구조물(200)의 하부를 일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강관 기둥(110)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in which the concrete is inserted can be supported from one side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그런데, 상기 강관 기둥(110)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각형 강관으로 구비되고, 상기 강관 기둥(110)의 각각의 면에서 상기 수평구조물(200)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120)는 삽입되는 수평구조물(200)의 하부 양쪽에서 설치되어 상기 수평구조물(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steel pipe column 110 is formed as a square-shaped rectangular steel pipe, and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is inserted from each surface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The fixing part 12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to fix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즉, 도 1 및 도 2(c)와, 도 3 및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수평구조물(200)이 H빔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수평구조물(200)의 하부 플랜지(212, 222, 232, 242)의 양쪽에 고정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구조물(200)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other words, referring to FIGS. 1 and 2 (c), and FIGS. 3 and 4 (c), when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n H beam, Fixing portions 1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langes 212, 222, 232 and 242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200 to fix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이 경우, 상기 고정부(120)는 콘크리트가 상기 하부 플랜지(212, 222, 232, 242)와 상기 강관 기둥(110) 내벽 사이에 타설되어, 상기 수평구조물(200)의 양쪽에 상부로 콘크리트가 돌출된 형상으로 타설되어, 상기 수평구조물(200)이 상기 고정부(120)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part 120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lower flanges 212, 222, 232, 242 and the inner wall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concrete i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So that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can be fixed between the fixing portions 120.

그 결과,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강관 기둥(110)에 형성된 슬릿(112)에 삽입된 수평구조물(200)을 상기 강관 기둥(110)의 일측에 고정하며, 상기 수평구조물(200)과 상기 고정부(120)가 접합되는 부분에 마찰력이 발생된다.As a result, the fixing part 120 fixes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inserted in the slit 112 formed in the steel pipe column 110 to one side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at a portion where the fixing portion 120 is joined.

그래서, 상기 강관 기둥(110)과, 상기 강관 기둥(110)의 슬릿(112)에 삽입된 수평구조물(200)을 용접하여 상기 수평구조물(200)을 상기 강관 기둥(110)에 고정시, 용접부위에 집중되는 응력을 상기 고정부(120)와 상기 수평구조물(200)의 접합 부분으로 분산시켜, 상기 강관 기둥(110)에 접합된 상기 수평구조물(200)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도 상기 강관 기둥(110)과 상기 수평구조물(200)의 접합부위가 파손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When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welded to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the slit 112 of the steel pipe column 110 is welded to the steel pipe column 110, Even if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bonded to the steel pipe column 110 by dispersing the stress concentrated on the steel pipe column 110 at the joining portion between the fixing portion 120 and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110 and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are not easily broken.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서는 4개의 상기 수평구조물(200)이 상기 강관 기둥(110) 중심에서 서로 접촉하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고정부(120)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관 접합 구조체(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FIGS. 1 to 4, the four horizontal structures 200 are shown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center of the steel tube column 110.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el pipe joint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그래서, 상기 수평 구조물(200)이 서로 이격되는 경우라 하여도 상기 강관 기둥(110) 내부에서 상기 고정부(120)와 접합되는 한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refore, even if the horizontal structures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y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as long as they are joined with the fixing portion 120 inside the steel tube column 110, and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즉,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 상기 제2수평구조물(220),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 상기 제4 수평 구조물(240)은 각각 상기 강관 기둥 내부에서 접합되지 않고 상기 강관 기둥(110) 중심에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 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the second horizontal structure 220,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and the fourth horizontal structure 240 are not joined to each other within the steel pipe column, A case where a spac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110 may also b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수평구조물(200)은, 상기 강관 기둥(110)으로 삽입되는 제1수평구조물(210) 및 상기 제1 수평구조물(200)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수평구조물(220)과, 상기 제2수평구조물(220)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3수평구조물(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4,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and a second horizontal structure 210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column 110, And a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connected to the second horizontal structure 2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horizontal structure 220.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수평구조물(200)은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4수평구조물(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수평구조물(240)과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은 수직으로 연결된다.The horizontal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horizontal structure 240 vert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In this case, the fourth horizontal structure 240 and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are vertically connected.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수평구조물(200)은 H 빔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수평구조물(200)은 상부 플랜지(211, 221, 231, 241), 하부 플랜지(212, 222, 232, 242), 측면 웨브(213, 223, 233, 243)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may include upper flanges 211, 221, 231, and 241, a lower flange 212, 222, 232, and 242, and side webs 213, 223, 233, and 243.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의 상부 플랜지(211)와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의 상부 플랜지(231)는 서로 접합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의 상부플랜지(211)와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의 상부플랜지(231)의 접합부위(260)는 용접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upper flange 211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and the upper flange 231 of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may be join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upper flange 211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and the bonding region 260 of the upper flange 231 of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may be welded together.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강관 접합 구조체(100)는, 상기 제2수평구조물(220)의 측면 웨브(223)는 상부면이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의 상부 플랜지(211) 또는 상기 제2수평구조물(220)의 상부 플랜지(221)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면에 접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251)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steel pipe joint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surface web 223 of the second horizontal structure 220 has an upper surface connected to the upper flange 211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Or a first protrusion 251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joined to a low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s 221 of the second horizontal structure 220.

이 경우,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돌출부(251)의 상부면은 상기 수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의 상부 플랜지(211)의 하단면 또는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의 상부 플랜지(231)의 하단면과 접하게 된다.4A and 4B,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5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upper flange 211 of the vertically connected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Or the lower end face of the upper flange 231 of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그리고, 전술한 제1돌출부(251)와 같이, 상기 제4수평구조물(240)의 측면 웨브(243)는 상부면이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의 상부 플랜지(211) 또는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의 상부 플랜지(231)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면에 접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252)를 구비할 수 있다.The side surface web 243 of the fourth horizontal structure 240 may have an upper surface such as the upper flange 211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or the third horizontal And a second protrusion 252 protruding longitudinally to be joined to the low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s 231 of the structure 230.

즉,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의 상부 플랜지(211)와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의 상부 플랜지(231)가 서로 접합 되는 경우, 상기 제2돌출부(252)는 상기 제1수평구조물(211) 또는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의 상부 플랜지(231)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면에 구비된다.That is, when the upper flange 211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and the upper flange 231 of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are joined to each other,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1) or the upper horizontal flange (231) of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그래서, 상기 제2돌출부(252)는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 또는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의 상부 플랜지(211,231)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252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or the upper flanges 211 and 231 of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따라서, 상기 강관 기둥(110) 외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2수평구조물(220)의 일측이 상부로 힘을 받게 되는 경우, 상기 제2수평구조물(220)의 측면 웨브(223)는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 또는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refore, when one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structure 220 provided outside the steel pipe column 110 is subjected to an upward force, the side webs 223 of the second horizontal structure 220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horizontal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structure (210) or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and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upward.

한편, 상기 제2수평구조물(220)은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 및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과 별도의 용접을 통하지 않고서도 상기 제1돌출부(251)에 의해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 및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horizontal structure 2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by the first projection 251 without welding to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and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 (210) and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그래서, 용접부위를 최소화 하면서 상기 제2수평구조물(220)을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 내지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과 서로 견고하게 서로 연결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cond horizontal structure 220 can be firmly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to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while minimizing the welding area.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평구조물(200)이 제4수평구조물(240)을 더 구비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2돌출부(252)는 상기 제1돌출부(251)와 같이, 상기 제4수평구조물(240)을 나머지 수평구조물(200)과 용접하지 않아도 상기 제1수평구조물(210)과 상기 제3수평구조물(230)을 연결할 수 있다.Even if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fourth horizontal structure 240,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252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251,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210 and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230 without welding the fourth horizontal structure 240 to the remaining horizontal structures 200.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수평구조물(200)은 상기 제1돌출부(251)와 상기 제2돌출부(252)의 단부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더욱 상기 수평구조물(200)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251 and the second protrusion 25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is more firmly fixed Can be combin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관 접합 구조체(100)는 상기 제1돌출부(251)와 상기 제2돌출부(252)를 구비함에 따라 용접부위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수평구조물(200)을 상기 강관 기둥(110)에 접합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steel pipe joint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rst protrusions 251 and the second protrusions 252, It can be joined to the steel pipe column 110.

또한, 상기 강관 기둥(110) 내에 별도의 내다이어프램을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상기 수평부재의 접합으로써 상기 강관 기둥(110)이 상기 수평구조물(200)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상기 강관 기둥(110) 내부에 내다이어프램을 구비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inner diaphragm is not provided in the steel pipe column 110, the steel pipe column 110 is firm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tructure 200 by the joining of the horizontal member, The same effect as that of providing the inner diaphragm in the inner space 110 can be obtained.

그래서, 별도의 내다이어프램을 설치하지 않고 내다이어프램을 구비하는 것 이상의 효과가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관 접합 구조체(100)는 시공 비용 감소 및 시공 기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refore, it is more effective to provide the diaphragm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inner diaphragm, so that the steel pipe joint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is intended that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know easily.

100: 강관 접합 구조체 110: 강관 기둥
111: 내벽 112: 슬릿
120: 고정부 200: 수평구조물
210: 제1수평구조물 220: 제2수평구조물
230: 제3수평구조물 240: 제4수평구조물
211, 221, 231, 241: 상부 플랜지
212, 222, 232, 242: 하부 플랜지
213. 223, 233, 243 : 측면 웨브
251: 제1돌출부 252: 제2돌출부
100: Steel pipe joint structure 110: Steel pipe column
111: inner wall 112: slit
120: Fixing part 200: Horizontal structure
210: first horizontal structure 220: second horizontal structure
230: Third horizontal structure 240: Fourth horizontal structure
211, 221, 231, 241: upper flange
212, 222, 232, 242: Lower flange
213. 223, 233, 243:
251: first protrusion 252: second protrusion

Claims (10)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슬릿이 형성된 강관 기둥;
상기 강관 기둥의 슬릿으로 삽입되는 제1수평구조물과, 상기 제1수평구조물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수평구조물과, 상기 제2수평구조물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3수평구조물 및, 상기 제3수평구조물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4수평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수평구조물 및 상기 제3수평구조물은 단부가 서로 접합되는 H 빔 형상의 수평구조물; 및
상기 수평구조물이 상기 강관 기둥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구조물의 일측과 상기 강관 기둥 내벽 사이에 설치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수평구조물의 상부플랜지와 상기 제3수평구조물의 상부플랜지는 서로 용접 방식으로 접합되며,
상기 제2수평구조물의 측면 웨브는,
상부면이 상기 제1수평구조물의 상부 플랜지 또는 상기 제3수평구조물의 상부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면에 접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을 구비하고,
상기 제4수평구조물의 측면 웨브는,
상부면이 상기 제1수평구조물의 상부 플랜지 또는 상기 제3수평구조물의 상부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면에 접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양 단부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접합 구조체.
A steel pipe column in which a hollow is formed and a slit is formed on one side;
A first horizontal structure inserted into the slit of the steel pipe column, a second horizontal structu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a third horizontal structu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horizontal structure, And a fourth horizontal structu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tructure,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and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are H-beam-shaped horizontal structures having end portions joined to each other; And
And a fixing part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horizontal structure and the inner wall of the steel pipe column so that the horizontal structure can be fixed in the steel pipe column,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are welded to each other,
Wherein the side web of the second horizontal structure comprises:
And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or the upper flange of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The side webs of the fourth horizontal structur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horizontal structure or the upper flange of the third horizontal structure,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re joined at both ends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평구조물의 하부와 상기 강관 기둥의 내벽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접합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such that concrete is plac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structure and an inner wall of the column of the steel pi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57143A 2012-12-28 2012-12-28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 Active KR1014299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143A KR101429986B1 (en) 2012-12-28 2012-12-28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143A KR101429986B1 (en) 2012-12-28 2012-12-28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311A KR20140087311A (en) 2014-07-09
KR101429986B1 true KR101429986B1 (en) 2014-08-18

Family

ID=5173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143A Active KR101429986B1 (en) 2012-12-28 2012-12-28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98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7209B2 (en) * 2004-06-04 2009-06-10 清水建設株式会社 Build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7209B2 (en) * 2004-06-04 2009-06-10 清水建設株式会社 Build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311A (en)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463B1 (en) Steel assembly of column for filling concrete
KR101428322B1 (en)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
KR101544803B1 (en) Joint System of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s and Column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O2013039128A1 (en) Joining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and joining member
KR101880490B1 (en)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 And Composite Beam For Deep Deck
KR101880492B1 (en) Structure Of Connecting Colum And Composite Beam
JP4040639B2 (en) Corrugated steel web bridge
KR101482979B1 (en)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with cap plate and structure system thereof
JP7070890B2 (en) Joint structure
KR101483362B1 (en)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profiled plate
KR101222320B1 (en) Composite beam using built-up beam of C-shaped member and inverse T-shaped member
KR101409796B1 (en) Unit modular house connection structure using bent column for unit modular house
KR101429986B1 (en)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
KR101482977B1 (en)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profiled plate
JP2015074928A (en) Steel earthquake-resisting wall
JP5774979B2 (en) Column structure
KR101417507B1 (en)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
JP5759317B2 (en) Beam-column connection structure and member
JP5371390B2 (en) Building unit reinforcement structure and unit building
JP6555529B2 (en) Steel plate concrete structure
JP7127835B2 (en) Building reinforcement structure
JP2019031815A (en) Structur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JP5431202B2 (en) Floor structure, structure
JP2017066607A (en) Joining structure of column
JP5598007B2 (en) Partition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