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798B1 -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 Google Patents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798B1
KR101428798B1 KR1020130043177A KR20130043177A KR101428798B1 KR 101428798 B1 KR101428798 B1 KR 101428798B1 KR 1020130043177 A KR1020130043177 A KR 1020130043177A KR 20130043177 A KR20130043177 A KR 20130043177A KR 101428798 B1 KR101428798 B1 KR 101428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nel
hole
side plate
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문성
손종락
Original Assignee
고문성
손종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문성, 손종락 filed Critical 고문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7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1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7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plates, panels or slab 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현장에서 사용하는 판넬을 다음 시공 현장인 위층으로 신속하게 이송시키는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어 판넬 이송장치에 의해 판넬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되도록 한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박리제도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Form oil applicator which is installed panel carrier device }
본 발명은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현장에서 사용하는 판넬을 다음 시공 현장인 위층으로 신속하게 이송시키는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어 판넬 이송장치에 의해 판넬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되도록 한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내측에 먼저 철근 구조물을 형성한 후 내외면을 목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판넬을 대어 거푸집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 반죽 상태의 콘크리트를 주입 타설하여 굳혀 바닥, 벽체, 천장 등을 시공하고 있다.
상기 거푸집은 합판으로 틀을 짜 형성되거나, 유로품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기성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먼저, 합판으로 틀을 짜는 공법에 의한 거푸집은 기둥의 치수와 동일하게 기둥 주위 네 면의 거푸집을 합판과 각재로 틀을 짜서 설치하고, 그 내측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기둥(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둥을 예로 들어 설명함)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합판을 이용한 공법은 합판과 각재를 재사용할 수 있는 회수가 한정되고, 거푸집의 강성이 그다지 크지 않아 재사용에 따른 거푸집의 변형과 손상에 의해 콘크리트 기둥의 치수 정밀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거푸집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재료들은 타 공사 현장으로 전용이 어려워 전량 폐기 처리되는 바, 귀중한 자원의 낭비와 폐기물 처리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가 야기됨은 물론 강도상의 문제에 의해 소정의 높이를 갖는 기둥 등을 일시에 완성이 힘들게 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금속재의 유로품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유로품을 복수개 연결하여 소정의 높이를 갖는 기둥 등을 일시에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유로품은 일시에 연결시 수작업에 의한 이동이 불가능하여 유로품의 상부에 연결되는 걸이를 크레인에 연결한 후 이동시키면서 소정위치에서 기둥 등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로품 역시, 크레인에 의해 이동하여야 함으로써, 다수의 기둥 및 이를 연결하는 보의 철골구조가 먼저 설치되는 현장에서 그 이동작업이 번거롭게 됨은 물론 작업중 안전사고의 발생이 빈번하게 일어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거푸집을 크레인으로 인양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외곽으로 운반하여야 하는데, 건축 현장 내에는 각종 자재들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운반이 매우 불편하며, 크레인이 접근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적이므로 거푸집을 크레인에 연결할 수 있는 위치(건축물의 외곽)로 일차적으로 운반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위층과 아래층에서 각각 최소 1인의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거푸집을 잡아 주고받는 작업으로 운반함에 따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선등록된 특허등록 제10-0086634호 "판넬 이송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한편, 판넬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판넬을 설치하기 전에 판넬의 표면 보호 와 이형박리 효과를 주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감싸서 형상을 갖추게 하는 판넬을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 콘크리트 면에서 쉽게 탈형 할 수 있도록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하게 된다.
이때,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 판넬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박리제를 도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인력이 필요하게 되어 이로 인한 인력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박리제를 도포하는 작업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를 수작업으로 도포함으로써, 박리제를 판넬에 도포하는 소요 시간만큼 건설에 많은 기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작업에 의해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함으로써,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가 고르게 도포되지 않고 박리제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게 되어 콘크리트의 양생 후 판넬의 박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콘크리트의 표면이 매끄럽게 양생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판넬의 표면에 잔류하는 잔여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판넬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에 설치되어 판넬을 상층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판넬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됨과 동시에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판넬에 박리제를 도포하기 위한 인력이 필요 없게 되어 이로 인한 인력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판넬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됨과 동시에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별도로 박리제를 판넬에 도포하는 소요 시간만큼 건설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판넬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됨과 동시에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된 박리제 도포기의 도포롤러에 의해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가 골고루 도포되어 콘크리트의 양생 후 판넬의 박리가 잘 이루어지고, 콘크리트의 표면이 매끄럽게 양생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판넬의 표면에 도포롤러에 의해 박리제가 도포될 때 도포롤러의 마모 발생시 탄성지지부의 탄성지지에 의해 도포롤러가 본체의 측면판에 경사지게 형성된 수직관통공을 따라 하강하면서 인출롤러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포롤러가 마모되더라도 인출롤러와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용이하게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가 골고루 도포되게 되어 판넬의 박리 후 판넬의 표면에 콘크리트 잔여물이 남지않게 되어 신속하게 판넬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상층으로 판넬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체의 측면판에 일측이 개방된 수평관통공과 이 수평관통공과 연통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수직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수평관통공과 수직관통공에 도포롤러의 고정축이 결속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포롤러의 마모시 용이하게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박리제 도포기의 본체에 형성된 박리제 수용실에 박리제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이 박리제감지센서의 제어에 의해 박리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본체의 박리제 수용실에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박리제가 충전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도포롤러의 마모발생시 탄성지지부의 탄성지지에 의해 도포롤러가 경사지게 형성된 수직관통공을 따라 인출롤러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도포롤러와 대응되게 구비된 판넬 이송장치의 지지롤러와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도포롤러의 마모로 인해 직경이 작아지더라도 도포롤러와 판넬 이송장치의 지지롤러와의 간격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박리제도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양측부에 측면판이 구비되고, 내측에 박리제 수용실이 형성되며, 정면 상단부에 개방공이 형성된 본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의 측면판은 서로 대응면에 일측이 개방된 제1안착홀이 형성되고, 제1안착홀에는 수직 방향으로 단턱지게 제2안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안착홀에는 측면판의 정면이 개방되게 수평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관통공의 일측 끝단부에는 일측이 서로 연통되게 수직 방향으로 수직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직관통공은 전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측면판의 내측면에는 박리제감지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판에는 박리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박리제도포부는 본체부의 본체 박리제 수용실에 위치되게 측면판의 제2안착홀에 결속되는 인출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인출롤러에 접촉되되, 본체의 개방공으로 일측이 돌출되게 측면판의 제1안착홀에 결속되는 도포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출롤러는 양측부에 결속되는 제1고정축이 구비되고, 제1고정축에는 제2안착홀에 결속되는 제1베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도포롤러는 양측으로 돌출되게 내측을 관통하되, 본체부의 본체 측면판에 형성된 수평관통공에 결합되는 제2고정축이 구비되고, 제2고정축에 결합되어 측면판에 형성된 제1안착홀에 결속되는 제2베어링이 구비되며, 도포롤러의 내측에 위치되게 제2고정축에 결합되는 제3베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고정축은 본체의 측면판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포롤러는 실리콘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박리제 도포부의 도포롤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본체부의 본체 측면판 외측부에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에 일측부가 결속되고, 타측부는 도포롤러의 제2고정축에 결속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판넬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에 설치되어 판넬을 상층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넬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됨과 동시에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판넬에 박리제를 도포하기 위한 인력이 필요 없게 되어 이로 인한 인력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판넬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됨과 동시에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공정이 필요 없게 되어 별도로 박리제를 판넬에 도포하는 소요 시간만큼 건설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넬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됨과 동시에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된 박리제 도포기의 도포롤러에 의해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가 골고루 도포되어 콘크리트의 양생 후 판넬의 박리가 잘 이루어지고, 콘크리트의 표면이 매끄럽게 양생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판넬의 표면에 도포롤러에 의해 박리제가 도포될 때 도포롤러의 마모 발생시 탄성지지부의 탄성지지에 의해 도포롤러가 본체의 측면판에 경사지게 형성된 수직관통공을 따라 하강하면서 인출롤러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포롤러가 마모되더라도 인출롤러와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용이하게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판넬의 표면에 박리제가 골고루 도포되게 되어 판넬의 박리 후 판넬의 표면에 콘크리트 잔여물이 남지않게 되어 신속하게 판넬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상층으로 판넬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측면판에 일측이 개방된 수평관통공과 이 수평관통공과 연통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수직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수평관통공과 수직관통공에 도포롤러의 고정축이 결속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포롤러의 마모시 용이하게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박리제 도포기의 본체에 형성된 박리제 수용실에 박리제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이 박리제감지센서의 제어에 의해 박리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본체의 박리제 수용실에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박리제가 충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포롤러의 마모발생시 탄성지지부의 탄성지지에 의해 도포롤러가 경사지게 형성된 수직관통공을 따라 인출롤러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도포롤러와 대응되게 구비된 판넬 이송장치의 지지롤러와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도포롤러의 마모로 인해 직경이 작아지더라도 인출롤러와 판넬 이송장치의 지지롤러와의 간격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판을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박리제 도포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지지부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박리제 도포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지지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100)는 판넬 이송장치(102)에 설치되는 본체부(1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10)는 판넬 이송장치(102)의 제일 상단부에 위치한 지지롤러(104)와 대응되게 한 쌍의 몸체(미도시) 사이 일측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 고정된다.
또는, 상기 본체부(110)는 판넬 이송장치(102)의 상단부 일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는 정면 상단부가 개방되게 개방공(116)이 형성되고, 내측에 박리제가 수용되는 박리제 수용실(114)이 형성되며, 양측부가 측면판(120)에 의해 커버된 본체(1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측면판(120)에는 서로 대응되는 내측면에 제1안착홀(122)이 형성되고, 제1안착홀(122)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되, 제1안착홀(122)에 단턱지게 제2안착홀(12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안착홀(122)은 측면판(120)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제2안착홀(124)보다 깊게 형성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안착홀(122)에는 전방이 개방되게 수평 방향으로 수평관통공(126)이 형성되고, 이 수평관통공(126)의 끝단부, 즉 개방된 수평관통공(126)의 타측 끝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수직관통공(12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관통공(128))은 수평관통공(126)과 서로 연계되게 형성함과 동시에 본체(112)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2)의 양측부에 구비된 한 쌍의 측면판(1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판(120)에는 본체(112)의 박리제 수용실(114)에 수용된 박리제의 수위를 측정하는 박리제감지센서(1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12)의 양측부에 구비된 한 쌍의 측면판(1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판(120)에는 박리제감지센서(130)의 제어에 의해 박리제를 본체(112)의 박리제 수용실(114)로 자동 공급하는 공급부재(1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급부재(140)는 박리제감지센서(130)에서 감지한 정보는 별도로 구비된 제어수단(미도시)으로 전송되고, 이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공급부재(140)가 작동하여 본체(112)의 박리제 수용실(114)로 박리제를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박리제감지센서(130)에 의해 본체(112)의 박리제 수용실(114)에 수용된 박리제의 수위를 감지하여 박리제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공급부재(140)를 작동시켜 박리제를 자동으로 공급하고, 박리제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박리제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본체(112)의 박리제 수용실(114)에는 박리제가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부재(140)는 외측부에 박리제가 수용되는 수용통(미도시)과 연결관(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박리제감지센서(130)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어 박리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자동밸브가 적용되되, 자동으로 박리제를 공급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판넬(P)의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박리제 도포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박리제 도포부(210)는 본체(112)의 박리제 수용실(114)에 위치되게 측면판(120)의 제2안착홀(124)에 회동 가능하게 결속되는 인출롤러(2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인출롤러(212)의 하부는 본체(112)의 박리제 수용실(114)에 충진된 박리제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수몰되게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인출롤러(212)의 양측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축(214)이 구비되고, 제1고정축(214)에는 측면판(120)에 형성된 제2안착홀(124)에 결속되어 용이하게 인출롤러(212)가 회동할 수 있도록 제1베어링(216)이 결합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인출롤러(212)의 상부에 접촉되되, 본체(112)의 개방공(116)으로 일측부가 돌출되게 측면판(120)의 제1안착홀(122)에 결속되는 도포롤러(2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도포롤러(220)의 양측부에 결합 고정되되, 본체(112)의 측면판(120)에 형성된 수평관통공(126)에 결합되는 제2고정축(222)이 구비되되, 제2고정축(222)은 측면판(1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고, 제2고정축(222)에 결합되어 측면판(120)에 형성된 제1안착홀(122)에 결속되어 도포롤러(220)의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베어링(224)이 구비되며, 도포롤러의 내측에 위치되게 제2고정축에 결합 고정되는 제3베어링(22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포롤러(220)는 흡수력이 좋고, 판넬(P)의 표면에 균일하게 박리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실리콘 스펀지재질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판넬 이송장치(102)에 의해 상층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판넬(P)이 도포롤러(220)와 접촉하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제2고정축(222)은 고정된 상태에서 도포롤러(220)가 회전함과 동시에 인출롤러(212)가 회전하게 되어 박리제가 인출롤러(212)의 표면에 묻은 상태로 회전하면서 도포롤러(220)의 표면에 묻게 되며, 도포롤러(220)의 표면에 박리제가 묻은 상태에서 판넬(P)이 도포롤러(220)와 접촉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판넬(P)의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2)의 측면판(120) 외측부에 설치되어 박리제 도포부(210)의 도포롤러(22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부(310)는 측면판(120)의 외측부 하단부에는 고정구(3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측면판(12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결합 고정된 제2고정축(222)에 일측부가 결속되고, 타측부는 고정구(312)에 결속되는 탄성부재(3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축(222) 및 고정구(312)에는 원호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제2고정축(222) 및 고정구(312)에 형성된 홈에 탄성부재(314)의 양측부가 안착되게 결속되게 되어 탄성부재(314)가 제2고정축(222) 및 고정구(31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14)의 탄성력에 의해 도포롤러(220)는 인출롤러(21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도포롤러(220)의 마모시 탄성부재(314)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지게 형성된 수직관통공(128)의 안내에 따라 하부로 마모가 발생한 만큼 하강하여 인출롤러(212)에 접촉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100)는 먼저, 판넬(P)을 이송시키고자 하는 층에 설치하여 아래층의 판넬(P)을 위층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판넬 이송장치(102)를 설치한다.
이렇게, 상기 판넬 이송장치(102)를 설치한 후 판넬(P)을 판넬 이송장치(102)의 메인롤러와 이송롤러의 사이에 위치시키게 되면 판넬(P)이 아래층에서 상층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판넬(P)이 판넬 이송장치(102)에 설치된 박리제 도포기(100)의 도포롤러(220)와 접촉되면서 상층으로 이동시 판넬(P)과 접촉되는 도포롤러(220)가 회동하게 되고, 이 도포롤러(220)의 회동에 의해 박리제에 수몰되게 구비된 인출롤러(212)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출롤러(212)가 회전하면서 인출롤러(212)의 표면에 박리제가 묻게 되고, 박리제가 인출롤러(212)의 표면에 묻은 상태로 회전하면서 도포롤러(220)의 표면에 묻게 되며, 도포롤러(220)의 표면에 박리제가 묻은 상태에서 판넬(P)이 도포롤러(220)와 접촉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판넬(P)의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되게 된다.
즉, 상기 도포롤러(220)가 회전하게 되면 도포롤러(220)와 접촉되어 있는 인출롤러(212)가 회전하면서 박리제에 수몰된 인출롤러(212)의 표면에 박리제가 묻게 되고, 인출롤러(212)에 박리제가 묻은 상태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인출롤러(212)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도포롤러(220)의 표면에 인출롤러(212)의 표면에 묻은 박리제가 도포롤러(220)의 표면에 묻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포롤러(220)의 표면에 박리제가 묻은 상태에서 판넬 이송장치(102)에 의해 상층으로 이송되는 판넬(P)과 도포롤러(220)가 접촉하면서 상부로 이송되는 판넬(P)의 표면에 도포롤러(220)에 묻은 박리제가 도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판넬 이송장치(102)에 의해 상층으로 판넬(P)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판넬(P)의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 됨으로써, 판넬(P)에 박리제를 도포하는 별도의 도포과정이 생략되어 박리제를 판넬(P)에 도포하는 소요 시간만큼 건설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판넬 이송장치(102)에 의해 이송됨과 동시에 판넬(P)의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판넬(P)에 박리제를 도포하기 위한 인력이 필요 없게 되어 이로 인한 인력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넬 이송장치(102)에 의해 이송됨과 동시에 판넬 이송장치(102)에 설치된 박리제 도포기(100)의 도포롤러(220)에 의해 판넬(P)의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판넬(P)의 표면에 박리제가 골고루 도포되어 콘크리트의 양생 후 판넬(P)의 박리가 잘 이루어지고, 콘크리트의 표면이 매끄럽게 양생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2)의 박리제 수용실(114)에 박리제감지센서(130)가 구비되고, 이 박리제감지센서(130)의 제어에 의해 박리제를 자동 공급하는 (140)공급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본체(112)의 박리제 수용실(114)에 항상 일정한 수위의 박리제가 충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판넬 이송장치(102)의 반복 사용으로 인해 박리제 도포기(100)의 도포롤러(220)의 마모 발생시 탄성지지부(310)의 탄성부재(314)에 의해 도포롤러(220)는 인출롤러(212)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어 도포롤러(220)는 측면판(120)에 형성된 수평관통공(126)에 결속된 제2고정축(222)이 경사지게 형성된 수직관통공(128)을 따라 도포롤러(220)가 마모된 만큼 하강하게 되어 도포롤러(220)는 항상 인출롤러(21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포롤러(220)가 경사지게 형성된 수직관통공(128)을 따라 경사 이동하게 되어 도포롤러(220)의 마모로 인해 하부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본체(112)의 정면에 형성된 개방공(116)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판넬(P)의 표면에 박리제를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포롤러(220)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도포롤러(220)를 교체하지 않고도 항상 도포롤러(220)는 인출롤러(21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용이하게 판넬(P)의 표면에 박리제를 골고루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박리제 도포기 102 :판넬 이송장치
110 : 본체부 112 : 본체
114 : 박리제 수용실 116 : 개방공
120 : 측면판 122 : 제1안착홀
124 : 제2안착홀 126 : 수평관통공
128 : 수직관통공 130: 박리제감지센서
140 : 공급부재 210 : 박리제 도포부
212 : 인출롤러 214 : 제1고정축
216 : 제1베어링 220 : 도포롤러
222 : 제2고정축 224 : 제2베어링
226 : 제3베어링 310 : 탄성지지부
312 : 고정구 314 : 탄성부재
P : 판넬

Claims (14)

  1.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박리제도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부는 양측부에 측면판이 구비되고, 내측에 박리제 수용실이 형성되며, 정면 상단부에 개방공이 형성된 본체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측면판은 서로 대응면에 일측이 개방된 제1안착홀이 형성되고, 제1안착홀에는 수직 방향으로 단턱지게 제2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홀에는 측면판의 정면이 개방되게 수평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관통공의 일측 끝단부에는 일측이 서로 연통되게 수직 방향으로 수직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통공은 전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판의 내측면에는 박리제감지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판에는 박리제를 공급하는 공급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제도포부는 본체부의 본체 박리제 수용실에 위치되게 측면판의 제2안착홀에 결속되는 인출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인출롤러에 접촉되되, 본체의 개방공으로 일측이 돌출되게 측면판의 제1안착홀에 결속되는 도포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롤러는 양측부에 결속되는 제1고정축이 구비되고, 제1고정축에는 제2안착홀에 결속되는 제1베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롤러는 양측으로 돌출되게 내측을 관통하되, 본체부의 본체 측면판에 형성된 수평관통공에 결합되는 제2고정축이 구비되고, 제2고정축에 결합되어 측면판에 형성된 제1안착홀에 결속되는 제2베어링이 구비되며, 도포롤러의 내측에 위치되게 제2고정축에 결합되는 제3베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축은 본체의 측면판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롤러는 실리콘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제 도포부의 도포롤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본체부의 본체 측면판 외측부에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에 일측부가 결속되고, 타측부는 도포롤러의 제2고정축에 결속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KR1020130043177A 2013-02-01 2013-04-18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Active KR101428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1757 2013-02-01
KR1020130011757 2013-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798B1 true KR101428798B1 (ko) 2014-08-08

Family

ID=51750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177A Active KR101428798B1 (ko) 2013-02-01 2013-04-18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231A (ko) * 2021-12-17 2023-06-26 진형건설 주식회사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088B1 (ko) * 2009-09-22 2010-03-23 웰빙그린(주) 무늬 도장용 롤러
KR101030288B1 (ko) * 2010-09-27 2011-04-19 주식회사지엠피 자동 라미네이터
KR101067696B1 (ko) * 2010-09-03 2011-09-27 고문성 판넬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088B1 (ko) * 2009-09-22 2010-03-23 웰빙그린(주) 무늬 도장용 롤러
KR101067696B1 (ko) * 2010-09-03 2011-09-27 고문성 판넬 이송장치
KR101030288B1 (ko) * 2010-09-27 2011-04-19 주식회사지엠피 자동 라미네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231A (ko) * 2021-12-17 2023-06-26 진형건설 주식회사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
KR102643128B1 (ko) * 2021-12-17 2024-03-04 진형건설(주) 철근밀림 방지장치 및 거푸집 박리제 도포장치를 구비한 슬립폼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08716A3 (en) System and process for delivering building materials
JP5431876B2 (ja) 光硬化性プリプレグテープ貼付装置
KR101428798B1 (ko) 판넬 이송장치에 설치되는 박리제 도포기
CA2961399C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ted material
WO2011163096A2 (en) Method and system for installing a drain
CN107160703B (zh) 功能元件
KR101067696B1 (ko) 판넬 이송장치
JP2013169542A (ja) 塗装装置
US201601864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oated, and in particular painted, building boards and associated painted building board
KR20190022245A (ko) 방사선 폐기물 이송시스템용 폐기물 집하 안내장치
JP423309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システム
ITMO20060216A1 (it) Procedimento per il consolidamento di blocchi di pietra naturale da sottoporre a successiva segagione
KR200475296Y1 (ko) 케이블의 그리스 도포 장치
KR101111208B1 (ko) 도장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도장시공방법
JPH10156244A (ja) プライマー塗布装置
KR101067677B1 (ko) 전자제품 케이스의 연속 도장방법
JP3370560B2 (ja) 酸洗タンクの鋼帯支持装置の交換方法および交換治具
KR20090091398A (ko) 거푸집 재생방법
CN114700237B (zh) 一种涂布机以及涂布方法
KR101273878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신축이음부의 매립 프레임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매립 프레임 시공방법
JP2012056599A (ja) Ptpシート製造装置
CN216308800U (zh) 一种露天矿炮孔的护孔施工用辅助装置
CN217422435U (zh) 一种消防水管穿墙结构
KR101585727B1 (ko) 자력을 이용한 전송롤 수입수단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장치
CN218742930U (zh) 一种涂布线烘箱溶剂回收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5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