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585B1 -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for Bathtub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for Bathtub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6585B1 KR101426585B1 KR1020110136375A KR20110136375A KR101426585B1 KR 101426585 B1 KR101426585 B1 KR 101426585B1 KR 1020110136375 A KR1020110136375 A KR 1020110136375A KR 20110136375 A KR20110136375 A KR 20110136375A KR 101426585 B1 KR101426585 B1 KR 1014265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temperature
- unit
- bathtub
- suppli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95—Arrangements for vary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54—Water heaters for bathtubs or pools; Water heaters for reheating the water in bathtubs or poo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는 욕조부, 상기 욕조부에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욕조부에 수용된 물의 수온이 설정온도가 되도록 상기 물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설정온도보다 낮은 제1온도의 물이 상기 욕조부에 먼저 공급된 후,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의 물이 상기 욕조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온도센서부와 수위센서부를 이용하여 욕조부에 공급되는 물의 수온 및 수위를 자동으로 제어하되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사용자가 설정한 수온이 유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초기 고온수의 공급에 따른 배관 및 욕조부의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automatic water dispenser for a batht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thtub part, a water supply part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cold water and hot water to the bath part, and a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art so that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th part becomes a set temperature Wherein the controller supplies water of a first temperature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first to the bathtub portion and then supplies water of a second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to the bathtub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utomatic water fee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tub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unit and the water level sensor unit, And the water temperature set by the user is maintained so that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piping and the tub part due to the supply of the initial high temperature water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욕조의 자동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조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 및 수위센서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욕조에 공급되는 물의 수온 및 수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욕조의 자동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which ar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a water temperature and a water level of water supplied to a bath using a temperature sensor and a water level sens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 들어, 여가시간이 늘고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스파, 사우나, 대중목욕탕 등과 같이 욕조를 이용한 목욕문화를 즐기는 수요자 계층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욕조에 물을 공급함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온수 및 냉수의 급수밸브를 손수 개폐하여 물의 수온 및 수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In recent years, as the leisure time has increased and the living standard has increased, there has been a tendency that the user who enjoys the bath culture using the bath such as the spa, the sauna and the public bath is gradually increasing. It is common for the manager to manually open and close the hot water and cold water supply valves to appropriately adjust the water temperature and water level.
그러나, 이러한 수동식 급수장치의 경우 매 급수시 마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직접 수온과 수위를 체크하면서 온수 및 냉수의 급수밸브를 적절히 개폐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나아가 급수단계에서 적절한 수온을 맞추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되어 불필요한 온수 또는 냉수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manual water supply device, the user or the manager must directly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valve of hot water and cold water while checking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water level at every watering time, thereby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water temperature, which results in a waste of hot water or cold water.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욕조에 공급되는 물의 수온 및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장치들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문헌 1]과 [문헌 2] 등에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water temperature and water level of water supplied to the bathtub has been develope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such devices is disclosed in [Document 1] and [Document 2].
그러나, 상기 [문헌 1]의 경우 초기 급수가 완료된 이후에 욕조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히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적절한 수온을 맞추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경과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욕조의 크기가 증가될 수도 더욱 가중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1],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siderable time has to be elapsed in order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because the water is heated by using the heater while circulating the water in the bath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itial water supply. May be increased in size.
또한, 상기 [문헌 2]의 경우에도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는 전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나, 급수관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샘플링 타임과 전자밸브의 반응속도를 고려할 때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의 물을 공급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in the case of [2] above, a method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electromagnetic valve for supplying hot water and cold water and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at a temperature set by the user is applied. However, the sampling time of the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water pi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substantially supply water at a temperature set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reaction speed of the solenoid valve.
또한, 상기 [문헌 2]의 경우 급수관의 입구에 바로 냉수관과 온수관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관을 통과한 온수 및 냉수가 미처 섞이기도 전에 욕조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사용자가 온수 또는 냉수에 갑작스럽게 노출되어 놀라거나 화상과 같은 신체적 손상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In the case of [Document 2], since the cold water pipe and the hot water pipe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water pipe, the hot water and the cold water passed through the water pipe ar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ath before being mixed, There is also the problem that it can receive the physical damage such as the surprise or the image.
또한, 상기 [문헌 2]는 욕조 내부에 온수를 먼저 공급하게 될 경우 고온의 온수가 직접 배관을 통해 욕조 내부로 공급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배관이나 욕조의 열 변형이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Further, in the above-mentioned [2], when the hot water is first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athtub, hot water of high temperature is direct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athtub through the pipe, which may cause thermal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pipe or bathtub .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09-40975호 (2009. 4. 28. 공개)[Patent Document 1] Publishe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9-40975 (Published on April 28, 2009)
[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2006-106533호(2006. 10. 12. 공개)
[Patent Document 2] Publishe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6-106533 (published on October 12, 2006)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센서와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욕조에 공급되는 물의 수온 및 수위를 자동으로 제어하되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사용자가 설정한 수온이 유지되도록 하는 욕조의 자동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level sensor and a water level sensor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water temperature and a water level of water supplied to a bath,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of the bathtub.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되는 냉수 및 온수가 욕조 내부로 공급되기 이전에 별도로 구성한 버퍼공간 내부에서 완전히 희석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미처 섞이지 않은 냉수 또는 온수에 갑작스럽게 노출되어 발생되는 신체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욕조의 자동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cold water and hot water in a buffer space before being supplied into a bathtub, And to provide a bath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revent damage in adv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는 욕조부, 상기 욕조부에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욕조부에 수용된 물의 수온이 설정온도가 되도록 상기 물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설정온도보다 낮은 제1온도의 물이 상기 욕조부에 먼저 공급된 후,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의 물이 상기 욕조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of a batht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thtub unit,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cold water and hot water to the bathtub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wherein after the water of the first temperature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is first supplied to the bathtub unit, water of the second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s supplied to the bathtub unit To be supplied.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온수관에 설치된 제1개폐부재, 냉수관에 설치된 제2개폐부재, 및 상기 온수관과 냉수관에서 각각 공급된 온수와 냉수를 욕조부에 공급하는 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개폐부재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1온도 또는 제2온도의 물이 욕조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in the hot water pipe,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in the cold water pipe, and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hot water and cold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pipe and the cold water pipe to the bathtub unit,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open / close members so that the water of the first temperature or the second temperature is supplied to the bathtub unit.
또한, 상기 급수관의 중도에 설치된 버퍼용기부와, 상기 욕조부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여 상기 버퍼용기부에 공급하는 제1물순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제2온도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 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과 제1물순환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버퍼용기부의 내부에서 서로 희석되어 상기 욕조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1물순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container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a first water circulation unit for extracting the water stored in the tub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buffer container, And the operation of the first water circulation unit is controlled so tha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and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circulation unit are diluted with each other in the buffer container unit and supplied to the bathtub unit.
또한, 상기 버퍼용기부는 물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제1출수공과 제1물순환부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제2출수공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ffer container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outflow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flows and the second outflow hol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circulation unit flows are oppos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출수공과 제2출수공에는 각각 물을 분사하는 노즐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water discharging hole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ing hole are each provided with a nozzle device for spraying water.
또한, 상기 욕조부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수위센서부에서 감지된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한 경우 온수 및 냉수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물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in the bathtub for sensing the level of water contained t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ater supply controller to stop supply of hot water and cold water when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reaches a predetermined water leve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욕조부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수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부와, 상기 욕조부 내부의 물을 인출하여 가열한 후 상기 욕조부에 재공급하는 제2물순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온수와 냉수의 공급이 차단된 후 상기 온도센서부에서 감지된 수온이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이면 상기 제2물순환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bathtub unit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water contained in the bathtub unit, and a second water circulation unit for drawing out the water in the bathtub unit, When the water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after the supply of the hot water and the cold water is cut off, the second water circulation unit is operated.
또한, 상기 제2물순환부는 상기 욕조부 내부의 물을 외부의 물순환관을 통해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물순환관의 중도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물을 가열하는 보조히터, 및 상기 물순환관의 중도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water circulation unit may include a circulation pump circulating water in the bathtub through an external water circulation pipe, an auxiliary heater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circulation pipe to heat the circulated water, And a filtering devic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circulating wat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irculated water.
또한, 상기 물공급부와 욕조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욕조부에 공급되는 물을 연수로 변화시키는 연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shing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oftener installed between the water supply part and the bathtub part to change the water supplied to the bathtub part into soft water.
또한, 상기 욕조부는 물이 수용되는 욕조와, 상기 욕조의 테두리 일측에 설치된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명장치는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상기 광이 조사되는 면에 문양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htub unit may include a bathtub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nd an illuminator installed at a side of the rim of the bathtub. The illuminator selectively transmit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보다 낮은 제1온도의 물을 물공급부를 통해 욕조에 공급하는 제1단계, 상기 욕조에 수용된 물의 수온이 설정온도가 되도록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의 물을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욕조에 공급하는 제2단계, 상기 욕조에 수용된 물이 설정수위에 도달할 경우 물 공급을 차단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물 공급을 차단한 후 측정한 욕조 내부의 수온이 상기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욕조 내부의 물을 인출하여 가열한 후 욕조에 재공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water supply control method for a bathtub, comprising: a first step of supplying water of a first temperature lower than a set temperature set by a user to a bath through a water supply unit; A second step of supplying water of a second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to the bath through the water supply part, a third step of shutting off the water supply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th reaches the set water level, And a fourth step of withdrawing and heating the water in the bath when the measured water temperature in the bath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then supplying the heated water to the bath.
또한, 상기 제2단계는 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2온도의 물에 상기 욕조에서 인출한 물을 희석하여 상기 욕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withdrawn from the bath is supplied to the bath at a second temperatur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온도센서와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욕조부에 공급되는 물의 수온 및 수위를 자동으로 제어하되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사용자가 설정한 수온이 유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초기 고온수의 공급에 따른 배관 및 욕조부의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bathtub unit by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water level sensor, So that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piping and the tub part due to the supply of the initial high temperature water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냉수 및 온수가 욕조부에 공급되기 이전에 제1버퍼용기부에서 완전히 희석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미처 섞이지 않은 냉수 또는 온수에 사용자가 갑작스럽게 노출되어 발생되는 신체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are completely diluted in the first buffer container before being supplied to the bathtub,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hysical damage caused by the exposu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한 욕조의 자동급수장치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3은 도1에 도시한 욕조의 자동급수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4는 도1에 도시한 욕조의 자동급수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batht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a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bath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of the bathtub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of the bathtub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욕조의 자동급수장치의 동작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또한, 도3은 도1에 도시한 욕조의 자동급수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4는 도1에 도시한 욕조의 자동급수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batht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onal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for a bathtub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of the bathtub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of the bathtub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1)는 내부에 물이 공급되는 욕조부(10), 상기 욕조부(10)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20), 상기 욕조부(10)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부(30), 상기 욕조부(10)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부(40), 및 상기 욕조부(10)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utomatic water feed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먼저, 상기 욕조부(10)는 일반 가정, 스파, 사우나 또는 대중목욕탕 등에서 목욕, 반신욕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욕조로서 합성수지 또는 세라믹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First, the
또한, 상기 온수공급부(20)는 중도에 제1전자밸브(21)가 설치된 제1온수관(22)과, 상기 제1온수관(22)에 병렬로 연결되고 중도에 제1개폐밸브(23)가 설치된 제2온수관(24)으로 구성된다.The hot
또한, 상기 냉수공급부(30)는 중도에 제2전자밸브(31)가 설치된 제1냉수관(32)과, 상기 제1냉수관(32)에 병렬로 연결되고 중도에 제2개폐밸브(33)가 설치된 제2냉수관(34)으로 구성된다.The cold
이때, 상기 제1온수관(22)과 제1냉수관(32)은 주된 물공급관으로 기능하며, 상기 제2온수관(24)과 제2냉수관(34)은 주된 물공급관에 이상이 있는 경우를 대비한 보조 물공급관으로 기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hot water pipe (22) and the first cold water pipe (32) function as a main water pipe, and the second hot water pipe (24) and the second cold water pipe (34) It functions as an auxiliary water supply line in cas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2전자밸브(21,31)가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각각 제1온수관(22)과 제1냉수관(32)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공지된 다른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또한, 상기 제1개폐밸브(23)와 제2개폐밸브(33)는 보조 개폐수단이기 때문에 전술한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통상의 수동식 개폐밸브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
상술한 바와 같이 온수공급부(20)와 냉수공급부(30)를 통해 각각 공급되는 온수와 냉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2급수관(61a,61b)을 통하여 상기 욕조부(10)에 공급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제2급수관(61b)이 욕조부(1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Hot water and cold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t
또한, 상기 수위센서부(40)는 욕조부(10)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로터(floater) 방식, 초음파 방식, 압력방식 등 공지된 수위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water
이때, 상기 수위센서부(40)는 센서의 종류의 따라 설치위치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욕조부(10)의 상측 벽면, 구체적으로는 욕조부(10)의 만수수위 부근에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또한, 상기 온도센서부(50)는 욕조부(10)의 하측 벽면에 설치된 제1온도센서(51)와, 상기 제1온도센서(51)의 상부에서 상기 욕조부(10)의 벽면에 설치된 제2온도센서(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수온을 감지할 수 있는 통상의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온도센서부(50)는 욕조부(10)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수온을 감지할 수 있도록 욕조부(10) 내부 공간의 깊이에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욕조부(1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제1,2온도센서(51,52)가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1)는 상기 제1급수관(61a)과 제2급수관(61b) 사이에 설치된 제1버퍼용기부(60), 상기 욕조부(10)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여 상기 제1버퍼용기부(60)에 공급하는 제1물순환부(70), 상기 욕조부(10)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여 가열한 후 상기 욕조부(10)에 재공급하는 제2물순환부(80), 및 상기 욕조부(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utomatic water dispens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제1버퍼용기부(6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밀폐용기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급수관(61a)을 통해 온수공급부(20)와 냉수공급부(30)에서 각각 공급되는 온수와 냉수를 희석하여 제2급수관(61b)을 통해 상기 욕조부(1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또한, 상기 제1물순환부(70)는 후술하는 배수관과 연통되는 제1물순환관(71)과 상기 제1물순환관(71)의 중도에 설치된 제1순환펌프(7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순환펌프(72)에 의하여 배수관을 통해 인출한 욕조부(10) 내부의 물을 제1버퍼용기부(6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1)는 온수공급부(20) 및 냉수공급부(3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물순환부(70)를 통해 공급되는 욕조부(10) 내부의 물과 상기 제1버퍼용기부(60)의 내부에서 희석되어 욕조부(10)에 공급될 수 있다.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such that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t
또한, 상기 제1버퍼용기부(60)는 온수공급부(20) 및 냉수공급부(30)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제1출수공(62)과 제1물순환부(70)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제2출수공(63)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교차 열전달 효과에 의하여 전술한 물의 희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또한, 상기 제1,2출수공(62,63) 각각에는 공급되는 물을 분사 또는 직사하는 노즐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교차 열전달이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술한 물의 희석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ater outlet holes 62 and 63 is provided with a nozzle device for spraying or directing water to be supplied, so that the above-described cross-heat transfer can be performed within a short time, .
이와 같이 상기 제1버퍼용기부(60)의 내부에서 희석된 물은 온수공급관(20)과 냉수공급관(30)에서 공급하는 물의 수압 및 제1순환펌프(72)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욕조부(10)로 공급된다.The water diluted in the
또한, 상기 제1급수관(61a) 또는 제2급수관(61b)의 중도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욕조부(10)에 공급되는 물을 연수로 변화시키는 연수기(65)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제2급수관(61a)의 중도에 설치하였다.A
이때, 상기 연수기(65)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는 공지된 통상의 연수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제2물순환부(80)는 욕조부(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인출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가열에 의해 온도를 상승시킨 후 다시 상기 욕조부(10)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water circulation unit 80 removes foreign substances by drawing out the water in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제2물순환부(80)는 욕조부(10) 상측에 연결되어 욕조부(10) 내부의 물을 인출하는 제1배관(81), 하부가 상기 제1배관(81)에 연결되어 인출된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기(82), 상기 여과기(82)의 상부에 연결되어 여과기(82)를 통과한 물을 상기 욕조부(10)로 공급하는 제2물순환관(83), 상기 제2물순환관(83)의 중도에 설치되어 제1배관(81)과 제2물순환관(83)을 통해 물을 순환시키는 제2순환펌프(84), 상기 제2물순환관(83)의 중도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물을 가열하는 보조히터(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water circulation unit 8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또한, 상기 배수부(90)는 욕조부(10)의 하부의 연결된 배수관(91), 상기 배수관(91)의 중도에 설치된 배수밸브(92), 상기 배수관(91)의 중도에서 욕조부(10)와 배수밸브(92) 사이에 설치된 제2버퍼용기부(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제2버퍼용기부(93)는 전술한 제1물순환관(71) 및 제2물순환관(83)과 연통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물순환부(70)는 배수관(91), 제2버퍼용기부(93), 및 제1물순환관(71)을 통하여 욕조부(10)의 물을 인출하여 제1버퍼용기부(60)에 공급하게 된다.Since the
또한, 상기 제2물순환부(80)는 제1배관(81)을 통하여 인출한 물을 제2물순환관(83), 제2버퍼용기부(93), 및 배수관(91)을 통하여 상기 욕조부(10)에 재공급하게 된다.The second water circulation unit 80 supplies the water drawn out through the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제2버퍼용기부(93)를 통하여 상기 배수관(91), 제1물순환관(71) 및 제2물순환관(83)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배수부(90), 제1물순환부(70) 및 제2물순환부(80)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거나 다른 어느 하나와만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1)는 욕조부(10)의 상측 벽면과 상기 배수밸브(92)의 하부 배수관(91)을 연결하는 오버플로우관(95)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자동급수장치의 오류나 사용자의 부력에 의하여 물이 욕조부(10)의 만수수위를 넘치게 되는 경우 이를 오버플로우관(95)을 통해 자연배수 시킴으로써 욕조부(10)의 외부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automatic water dispens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또한, 상기 제2물순환부(80)에는 제1배관(81)과 연통되고 여과기(82)의 하부와 오버플로우관(95)을 연결하는 제2배관(86)과, 상기 제2배관(86)의 중도에 설치된 이물질배출밸브(87)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water circulation unit 80 includes a
따라서, 상기 제1배관(81)을 통과한 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은 여과기(82)를 통과하기 이전에 1차적으로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2배관(86)에 모여지게 되며, 추후 청소 등의 목적으로 이물질배출밸브(87)를 개방하는 경우 물과 함께 배수관(9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1)에 대한 동작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설정하고 급수개시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메모리부(120)에 미리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욕조의 자동급수장치(1)를 동작시키게 된다.First, when the user sets the temperature of water to be supplied by the user through the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수위센서부(40), 제1,2온도센서(51,52)에서 검출한 욕조부(10) 내부의 수위 및 온도를 이용하여 제1,2전자밸브(21,31), 보조히터(85), 제1,2순환펌프(72,84)를 각각 동작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the
한편, 도3에는 도1에 도시한 욕조의 자동급수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었는데, 이 경우 상기 욕조부(10)의 테두리 부분에는 욕조부(10)가 설치된 공간의 천정면(C), 벽면(W) 또는 바닥면(F)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장치(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3 show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of the bathtub shown in Fig. 1. In this case, the top surface C of the space in which the
상기 조명장치(15)는 욕조부(10)가 설치된 공간 내부의 조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색상이나 문양을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이를 위하여 상기 조명장치(15)는 일예로서 광원(미도시)에서 방출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상기 광이 조사되는 면에 색그림자에 의한 문양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조명장치(15)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무드램프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1)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온도설정 및 급수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제1단계의 저온급수를 실시하게 된다(S10,S20).When the temperature setting and the water supply start signal are inputted from the user through the
이때, 상기 저온급수는 미리 정해진 온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저온급수는 20도의 온도에서 수초 내지 수분간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하였다.At this time, the low-temperature water supply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temperature water supply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20 degrees for several seconds to several minutes.
이와 같이 저온급수를 먼저 실시하는 이유는 급수 초기에 고온의 물이 공급됨으로써 배관, 욕조부(10) 내부, 및 배관과 욕조부(10) 사이의 연결부위가 고온수에 노출되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급수초기에 과도한 냉수나 온수가 갑작스럽게 유입되어 욕조부(10) 내부에 위치한 사용자가 신체적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low-temperature water supply is performed first is that high-temperature water is supplied at the beginning of the water supply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ipe, the
따라서, 상기 저온급수의 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low-temperature water supply is set to be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set by the user.
또한, 상기 저온급수시 제어부(100)는 상기 제1,2전자밸브(21,31)의 동작을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의 물이 급수되도록 하는데, 이는 온수급수부(20) 및 냉수급수부(30)의 단위 시간당 유량, 온수 및 냉수의 온도, 욕조부(10)의 체적 등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제1,2전자밸브(21,31)의 개폐시간을 제어하는 방식이나 온도센서부(50)에서 측정한 욕조부(10) 내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2전자밸브(21,31)의 개폐시간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가 미리 정해진 제1,2전자밸브(21,31)의 개폐시간을 제어하여 상기 저온급수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한다.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한편, 상기 S2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미리 정해진 저온급수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0), 경과되지 않은 경우이면 S20 단계를 계속 수행하고 경과한 경우이면 저온급수를 종료하게 된다(S40).On the other hand, when the step S20 is completed, the
상기 S4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 제2단계 고온급수를 실시하게 되는데(S50), 상기 고온급수도 미리 정해진 온도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step S40 is completed, the
이때, 상기 고온급수의 수온은 설정온도 이상으로 정해져서 고온급수를 통해 욕조부(10) 내부의 수온이 설정온도에 바로 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설정온도보다 다소 낮게(일예로서 약 2~3도 낮은 온도) 정해져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온급수가 완료된 이후에 제2물순환부(80)를 통하여 욕조부(10) 내부의 수온이 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high-temperature water may be set to be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water temperature inside the
또한, 상기 고온급수시 제어부(100)는 상기 제1,2전자밸브(21,31)의 동작을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의 물이 급수되도록 하는데, 이는 저온급수시와 마찬가지로 온수급수부(20) 및 냉수급수부(30)의 단위 시간당 유량, 온수 및 냉수의 온도, 욕조부(10)의 체적 등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제1,2전자밸브(21,31)의 개폐시간을 제어하는 방식이나 온도센서부(50)에서 측정한 욕조부(10) 내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1,2전자밸브(21,31)의 개폐시간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온수공급부(20)와 냉수공급부(30)에서 공급되는 온수 및 냉수는 제1출수공(62)을 통과하여 제1버퍼용기부(60) 내에 분사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냉온수의 온도가 희석된다.The hot water and the cold water supplied from the hot
또한, 상기 고온급수시 제어부(100)는 제1순환펌프(72)도 함께 동작시키게 되는데, 그 결과 제1버퍼용기부(60) 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희석된 물이 제2출수공(63)을 통해 분사되는 상대적으로 저온인 욕조부(10) 내부의 물과 2차적으로 희석됨으로써 항상 적절한 온도의 물이 욕조부(10) 내부로 공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S5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욕조부(1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설정수위(즉, 만수수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60), 도달하지 않은 경우이면 S50 단계를 계속 수행하고 도달한 경우이면 고온급수를 종료하게 된다(S70).When the step S50 is completed, the
이때, 상기 S70 단계에서 고온급수를 종료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온수공급부(20)와 냉수공급부(30)의 제1,2전자밸브(21,31)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 제1물순환부(70)의 동작도 중지시키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high-temperature water supply is terminated in step S70, the
또한, 상기 S7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욕조부(10) 내부의 수온이 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75), 도달한 경우이면 제어를 종료하고 도달하지 않은 경우이면 보조히터(85)와 제2순환펌프(84)를 작동시켜 욕조부(10)에서 인출한 물을 가열하여 제2물순환부(80)를 통해 욕조부(10)에 재공급한다(S80).When the step S70 is completed, the
상기 S8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욕조부(10) 내부의 수온이 설정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90), 도달하지 않은 경우이면 상기 S80 단계를 계속 수행하고 도달한 경우이면 보조히터(85)와 제2순환펌프(84)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제어를 종료한다(S100).
When the water temperature has reached the set temperature in step S90,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수위센서부(40)와 온도센서부(50)를 이용하여 욕조부(10)에 공급되는 물의 수온 및 수위를 자동으로 제어하되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사용자가 설정한 수온이 유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초기 고온수의 공급에 따른 배관 및 욕조의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 batht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water level of water supplied to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욕조의 자동급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냉수 및 온수가 욕조부(10)에 공급되기 이전에 제1버퍼용기부(60)의 내부에서 완전히 희석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미처 섞이지 않은 냉수 또는 온수에 갑작스럽게 노출되어 발생되는 신체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are completely diluted in the first
10 : 욕조부 20 : 온수공급부
30 : 냉수공급부 40 : 수위센서부
50 : 온도센서부 60 : 제1버퍼용기부
70 : 제1물순환부 80 : 제2물순환부
90 : 배수부10: bath part 20: hot water supply part
30: cold water supply unit 40: water level sensor unit
50: temperature sensor part 60: first buffer container part
70: first water circulation part 80: second water circulation part
90:
Claims (12)
상기 욕조부에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하여 온수관에 설치된 제1개폐부재, 냉수관에 설치된 제2개폐부재, 및 상기 온수관과 냉수관에서 각각 공급된 온수와 냉수를 욕조부에 공급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물공급부;
상기 급수관의 중도에 설치된 버퍼용기부;
상기 욕조부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여 상기 버퍼용기부에 공급하는 제1물순환부; 및
상기 욕조부에 수용된 물의 수온이 설정온도가 되도록 상기 물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개폐부재의 동작을 제어하여 설정온도보다 낮은 제1온도의 물이 상기 욕조부에 먼저 공급된 후,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의 물이 상기 욕조부에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욕조부에 수용된 물의 수온이 상기 설정온도가 되도록 하되, 상기 제2온도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물과 제1물순환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버퍼용기부의 내부에서 서로 희석되어 상기 욕조부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1물순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의 자동급수장치.Bath part;
A first opening / closing member provided on the hot water pipe,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 provided on the cold water pipe, and hot water and cold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pipe and the cold water pipe, respectively, to the tub portion A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A buffer container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supply pipe;
A first water circulation part for draw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tub part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buffer container par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such that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th unit becomes a se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 and closing members so that water having a first temperature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is first supplied to the tub portion and water having a second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s supplied to the tub portio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circulation unit are supplied to the buffer container, And the operation of the first water circulation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water circulation unit is diluted with each other and supplied to the bathtub unit.
상기 버퍼용기부는 물공급부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제1출수공과 제1물순환부에서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제2출수공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의 자동급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ffer container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first water outlet hol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ortion flows and a second water outlet hol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circulation portion flows are opposed to each other.
상기 제1출수공과 제2출수공에는 각각 물을 분사하는 노즐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의 자동급수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nozzle device for spraying water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water discharging hole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ing hole.
상기 욕조부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수위센서부에서 감지된 수위가 설정수위에 도달한 경우 온수 및 냉수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물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의 자동급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and 5,
And a water level sensor unit installed inside the bathtub unit for sensing the level of water contained t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ater supply unit such that supply of hot water and cold water is interrupted when the water level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or unit reaches a predetermined water level.
상기 욕조부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된 물의 수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부;와
상기 욕조부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여 가열한 후 상기 욕조부에 재공급하는 제2물순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온수와 냉수의 공급이 차단된 후 상기 온도센서부에서 감지된 수온이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이면 상기 제2물순환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의 자동급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temperature sensor unit installed inside the bathtub unit for sensing water temperature of the water contained therei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water circulation unit for drawing out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thtub unit, heating the water, and re-supplying the heated water to the bathtub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second water circulation unit when the water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after the supply of hot water and cold water is cut off.
상기 제2물순환부는, 상기 욕조부 내부의 물을 외부의 물순환관을 통해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물순환관의 중도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물을 가열하는 보조히터, 및 상기 물순환관의 중도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의 자동급수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water circulation unit may include a circulation pump for circulating water in the tub part through an external water circulation pipe, an auxiliary heater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circulation pipe for heating the circulated water, And a filtr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middl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irculated water.
상기 물공급부와 욕조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욕조부에 공급되는 물을 연수로 변화시키는 연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의 자동급수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water softener installed between the water supply part and the bathtub part to change water supplied to the bathtub part into soft water.
상기 욕조부는 물이 수용되는 욕조와, 상기 욕조의 테두리 일측에 설치된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명장치는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상기 광이 조사되는 면에 문양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의 자동급수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athtub part comprises a bathtub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nd an illumination devi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im of the bathtub,
Wherein the illumination device selectively transmit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so that a pattern is formed on a surface irradiated with the light.
상기 욕조에 수용된 물의 수온이 설정온도가 되도록 상기 제1온도보다 높은 제2온도의 물을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욕조에 공급하는 제2단계;
상기 욕조에 수용된 물이 설정수위에 도달할 경우 물 공급을 차단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물 공급을 차단한 후 측정한 욕조 내부의 수온이 상기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욕조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여 가열한 후 욕조에 재공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단계는, 물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2온도의 물에 상기 욕조에서 인출한 물을 희석하여 상기 욕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의 자동급수 제어방법.A first step of supplying water of a first temperature lower than a set temperature set by a user to the bath through a water supply unit;
A second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bath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at a second temperatur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so that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th becom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third step of shutting off the water supply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th reaches the set water level; And
And a fourth step of extracting and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tub when the water temperature inside the bath measured after cutting off the water supply in the third step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Wherein the second step comprises diluting the water withdrawn from the bath with water at a second temperature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and supplying the diluted water to the ba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3610 | 2011-10-11 | ||
KR20110103610 | 2011-10-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9284A KR20130039284A (en) | 2013-04-19 |
KR101426585B1 true KR101426585B1 (en) | 2014-08-06 |
Family
ID=4843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6375A KR101426585B1 (en) | 2011-10-11 | 2011-12-16 |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for Bathtub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658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8673B1 (en) * | 2013-11-05 | 2014-12-04 | 황병설 |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for bath |
CN103790277B (en) * | 2014-02-26 | 2017-01-04 | 嘉兴格勒集成吊顶科技有限公司 | Assembled ceiling structure |
KR101716466B1 (en) * | 2015-12-18 | 2017-03-27 | 평산전력기술(주) | A System for Collecting and Supplying Precipitation Integrated with a Solar Generating Facility |
KR102322771B1 (en) * | 2016-04-18 | 2021-11-09 | 전대연 | Smart bathtube system |
JP7034783B2 (en) * | 2018-03-16 | 2022-03-14 |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 Hot water supply control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5717A (en) * | 2006-09-18 | 2006-10-11 | 김영진 | Sliding door bath |
KR20060106533A (en) * | 2005-04-09 | 2006-10-12 | 윤창용 | Heating water control system |
KR20070122116A (en) * | 2006-06-25 | 2007-12-28 | 한홍근 | A water heating device for bath |
KR20100010541U (en) * | 2009-04-17 | 2010-10-27 | 홍종혁 | Bathtub for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ing and water purifying |
-
2011
- 2011-12-16 KR KR1020110136375A patent/KR10142658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6533A (en) * | 2005-04-09 | 2006-10-12 | 윤창용 | Heating water control system |
KR20070122116A (en) * | 2006-06-25 | 2007-12-28 | 한홍근 | A water heating device for bath |
KR20060105717A (en) * | 2006-09-18 | 2006-10-11 | 김영진 | Sliding door bath |
KR20100010541U (en) * | 2009-04-17 | 2010-10-27 | 홍종혁 | Bathtub for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ing and water purify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9284A (en) | 2013-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6585B1 (en) | 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for Bathtub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2705824A1 (en) | Automatic liquid handling and temperature control for a spa | |
JP5655722B2 (en) | Hot water storage water heater | |
KR101713620B1 (en) | Conservation control device of the toilet cleaning wat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
JP5772048B2 (en) | Bathtub cleaning equipment | |
KR101285033B1 (en) | Automat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dogs | |
JP3664690B2 (en) | Control method of boiling washing machine | |
KR101733476B1 (en) | A Rotating Spar Apparatus | |
JP2007170741A (en) | Drain treatment device, heat source device and drain treatment method | |
JP2008164247A (en) | Storage type water heater | |
KR20050081194A (en) | Water saving system of boiler for at home and it's method | |
JP5122261B2 (en) | Bath facilities | |
KR100682363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water temperature and water level in a bathtub | |
JP2002364933A (en) | Drainage equipment for bathtub | |
JP2003287281A (en) | Electric water heater | |
JP6013542B2 (en) | Heat source device, drain discharge system, drain discharge program, and drain discharge method | |
JP5776659B2 (en) | Water heater | |
JP2582338B2 (en) | Bath equipment | |
JP2018179451A (en) | Hot water supply device | |
KR20130052086A (en) | A hot water supplier for prohibiting waste of water | |
JP2929017B2 (en) | How to fill a bathtub with bath equipment | |
JP2005052749A (en) | Water softener | |
JP2006329542A (en) | Bath device | |
KR101636894B1 (en) | Control system of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 |
JP5239844B2 (en) | Clea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