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090B1 -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for mushroom - Google Patents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for mush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090B1
KR101424090B1 KR1020130109616A KR20130109616A KR101424090B1 KR 101424090 B1 KR101424090 B1 KR 101424090B1 KR 1020130109616 A KR1020130109616 A KR 1020130109616A KR 20130109616 A KR20130109616 A KR 20130109616A KR 101424090 B1 KR101424090 B1 KR 101424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rail
rails
conveyance
conve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6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회
Original Assignee
이영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회 filed Critical 이영회
Priority to KR1020130109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0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09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2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travelling on a belt or the like, or conveyed by cha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섯재배상자를 탑재하는 복수의 캐리어, 캐리어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며, 제1 내지 제N(N은 자연수)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레일, 레일로부터 이송된 캐리어를 탑재하거나, 탑재된 캐리어를 레일로 이송시키는 제1 및 제2 이송부, 복수의 레일 일단에 설치되어 제1 이송부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부; 및 복수의 레일 타단에 설치되어 제1 이송부와 동일한 레일에 제2 이송부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부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 이송부를 상기 복수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로 승강하고, 제1 이송부에 탑재된 캐리어를 해당 레일로 이송하며, 이와 동시에 제2 이송부에 해당 레일의 끝단에 위치하는 캐리어가 제2 이송부에 탑재된 후, 제1 및 제2 이송부가 다른 레일로 승강한 후, 상기 제2 이송부에 탑재된 캐리어를 레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carriers and carriers carrying at least one mushroom cultivation box are transported horizontally, and the first to Nth (N is a natural number) First and second conveying sections for mounting a plurality of rails and a carrier conveyed from the rails or conveying the mounted carrier to the rails, a first elevating section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rails to elevate the first conveying section, And a second lift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rails for elevating the second conveyance portion to the same rail as the first conveyance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portions are raised and lower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ails, The carrier mounted on the conveying unit is transferred to the corresponding rail, and at the same time, the carrier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rail is mounted on the second conveying unit,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units are raised and lowered to the other rail, And the carrier mounted on the second transfer unit is transferred to the rail.

Description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FOR MUSHROOM}{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FOR MUSHROOM}

본 발명은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의 전력 과부하를 방지하며,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power overload of a system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버섯은 생나무의 뿌리에 균근을 형성하는 환물기생균은 인공재배가 어렵지만, 고목이나 유기질에 기생하는 사물기생성인 버섯은 배양종균에 의한 인공재배가 가능하다.It is difficult to artificially grow parasitic bacillus that forms mycorrhiza in the roots of the tree. However, it is possible to cultivate the mushroom which is parasitic to the dead wood or organic matter by cultivated bacillus.

종래 버섯 재배 장치는 한국등록특허 제10-0899347 '수평이동방식의 버섯재배 자동화시스템'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생육실 내에 버섯재배판을 복층으로 형성하여 좁은 공간에서 다량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Conventional mushroom cultivation apparatuses have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No. 10-0899347 'Horizontal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which is capable of cultivating a large amount of mushroom in a narrow space by forming a mushroom cultivation plate in the growth chamber The device was developed.

한국등록특허 제10-0899347의 '수평이동방식의 버섯재배 자동화시스템' 버섯 재배 상자들을 수평이동 및 층간 이동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수의 모터, 기어 및 체인을 구비한다. 그리고 일측에 승강엘리베이터가 구비되어 최상위층의 버섯재배상자를 최하층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이때, 각 층의 버섯재배상자를 상층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기어가 사용되며, 버섯재배상자는 기어를 돌아 상층으로 이송된다. 또한, 버섯재배상자는 각 층별로 구비된 컨베어에 의해 이송된다. 여기서, 컨베어는 각 층별로 설치된 기어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따라, 버섯재배상자를 하층에서 상층으로 이송하는데 지속적으로 기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기어회전 및 컨베어 회전을 위한 대전력이 소모되며, 전력부하량이 큰 문제점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99347 entitled " Horizontal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 A plurality of motors, gears, and chains are provided for horizontal and interlayer mushroom cultivation boxes. An elevator elevator is provided on one side to transport the mushroom cultivation box of the uppermost layer to the lowest layer. At this time, a gear is used to transport the mushroom cultivation box of each layer to the upper layer, and the mushroom cultivation box is transported to the upper layer around the gear. In addition, the mushroom cultivation box is transported by the conveyor provided for each layer. Here, the conveyor is driven by gears installed for each layer. Accordingly, since the mushroom cultivation box is continuously transported from the lower layer to the upper layer, large power is consumed for rotation of the gear and the conveyor, and the power load is large.

또한, 컨베어체인이 사용되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기어에 의한 마모로 인하여 체인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yor chain is used, problems such as chain breakage may occur due to abrasion due to the gear when used for a long ti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의 각 모터에 적용되는 전력 과부하를 방지하며, 소비전력을 경감할 수 있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power overload applied to each motor of a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버섯재배상자를 탑재하는 복수의 캐리어; 상기 캐리어를 수평으로 이송시키며, 제1 내지 제N(N은 자연수)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레일; 상기 레일로부터 이송된 캐리어를 탑재하거나, 탑재된 상기 캐리어를 상기 레일로 이송시키는 제1 및 제2 이송부; 상기 복수의 레일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부; 및 상기 복수의 레일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와 동일한 레일에 상기 제2 이송부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를 상기 복수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로 승강하고, 상기 제1 이송부에 탑재된 캐리어를 해당 레일로 이송하며, 이와 동시에 제2 이송부에 해당 레일의 끝단에 위치하는 캐리어가 상기 제2 이송부에 탑재된 후, 제1 및 제2 이송부가 다른 레일로 승강한 후, 상기 제2 이송부에 탑재된 캐리어를 레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shroom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carriers mounting at least one mushroom cultivation box; A plurality of rails that horizontally transport the carriers and are disposed in first to Nth (N is a natural number) layers; First and second conveyance units for mounting the carriers conveyed from the rails or for conveying the mounted carriers to the rails; A first elevating par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rails to elevate the first conveying part; And a second lift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rails to elevate the second conveyance portion to the same rail as the first conveyance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portions are raised and lowered by one of the plurality of rails The carrier mounted on the first conveyance unit is transferred to the corresponding rail, and at the same time, after the carrier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rail is mounted on the second conveyance unit,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units are mounted on the other rail, And then, the carrier mounted on the second transfer unit is transferred to the rail.

상기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를 상기 제N층의 레일 양단으로 승강한 후, 상기 제1 이송부에 탑재된 캐리어를 상기 제N 층의 레일로 이송하며, 상기 제N 층의 레일 끝단의 캐리어를 상기 제2 이송부에 탑재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를 상기 제1층 레일 양단에 하강한 후 상기 제2 이송부에 탑재된 캐리어를 상기 제1층의 레일에 이송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이송부에 상기 제1층의 레일 끝단의 캐리어를 탑재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를 상기 제1층의 상부로 1층씩 승강하면서 상기 제N층까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에 탑재되는 캐리어를 이송할 수 있다.Wherein the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elevates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portions to both ends of the rail of the Nth layer and then transfers the carriers mounted on the first transfer portion to the rails of the Nth layer, Wherein the carrier on the end of the rail is mounted on the second conveyance part, the carrier mounted on the second conveyance part is transferred to the rail of the first layer after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parts are lowered to both ends of the first layer rail, At the same time, the carrier at the end of the rail of the first layer is mounted on the first conveyance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parts are raised and lowered by one layer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layer, The carrier mounted on the transfer section can be transferred.

상기 캐리어는 상기 레일상으로 이동하는 상부캐리어; 및 상기 상부캐리어와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에 의해 상기 상부캐리어와 동시에 이동하되, 상기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rrier comprising: an upper carrier moving on the rail; And a lower carrier moving at the same time as the upper carrier by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carrier, the lower carrier being positioned below the rail.

상기 상부캐리어 또는 상기 복수의 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캐리어가 용이하게 상기 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carrier or the plurality of rails may further include rotating means for allowing the upper carrier to be easily transported along the rail.

상기 제1 승강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승강프레임과, 상기 제1 이송부를 승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승강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승강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 승강프레임과, 상기 제2 이송부를 승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승강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eleva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elevating fram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rails and a first elevating motor for providing power for elevating the first conveying portion, And a second lift motor that provides power to lift the second conveyance unit.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는 바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제1 회전롤러; 상기 제1 회전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롤러; 상기 제1 및 제2 회전롤러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모터의 구동에 따라 탑재된 캐리어를 레일로 이송시키는 컨베어밸트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parts comprise a body; A first rotating roller fixed to the body; A feed motor for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rotating roller; A second rotating roller fixed to the body and rotating; And a conveyor belt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rollers and conveying the loaded carrier to the rails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conveying motor.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는 상기 컨베어밸트에 부착되어 상기 컨베어밸트의 회전시 상기 캐리어를 상기 레일측으로 푸시하며, 상기 레일측에서 이송되는 캐리어가 상기 제1 또는 제2 이송부의 바깥쪽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푸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portions are attached to the conveyor belt and push the carrier toward the rail when the conveyor belt is rotated so that the carrier conveyed from the rail side is releas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or second conveyance portion And a pushing means for preventing the pushing force from being trans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은 승강부와 이송부의 피치 이동을 할 수 있어 캐리어 이송시 시스템에 구비되는 각 모터에 가중되는 부하가 경감되며, 전력소비 또한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hifting the pitch between the elevating portion and the conveying portion so that the weight load applied to each motor provided in the system during carrier conveyance is reduced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also reduced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은 제1 및 제2 이송부를 승강시키는데 체인을 사용하지 않아 체인 사용시 발생되는 체인 마모에 따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chain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parts, thereby preventing a failure due to chain wear caused when the chain is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의 상부를 도시한 상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이송부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상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의 캐리어 이동 방법을 도시한 정면도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shown in Fig. 1; Fig.
Figs. 3 and 4 are a front view and a top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rst conveyance unit shown in Figs. 1 and 2. Fig.
5 to 7 are front views showing a carrier moving method of the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various transformations can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can be mad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cover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ir own meaning,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 comprising, ""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ttached 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의 상면을 도시한 상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top view of a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은 제1 내지 제4 레일(510 내지 540), 제1 승강부(100), 제2 승강부(110), 제1 이송부(200), 제2 이송부(300) 및 복수의 캐리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to fourth rails 510 to 540, a first elevator 100, a second elevator 110, 1 transfer unit 200, a second transfer unit 300, and a plurality of carriers 400. [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레일(510 내지 540)은 각 층별로 2개의 바(bar)가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레일(510 내지 540)은 지주(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레일(510 내지 540)은 캐리어(400)에 구비된 바퀴가 궤도를 이탈하지 않도록 소정의 돌출부 또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내지 제4 레일(510 내지 540)이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4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to fourth rails 510 to 540 may be provided with two pairs of bars for each layer. The first to fourth rails 510 to 540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illars 600. The first to fourth rails 510 to 540 may be formed with protrusions or guide grooves so that the wheel of the carrier 400 does not deviate from the trac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rails 510 to 540 are install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four or less rails may be install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레일에는 2개의 레일바(540a, 540b)가 캐리어(400)의 양단이 위치하도록 수평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wo rail bars 540a and 540b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and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both ends of the carrier 400 are positioned.

한편, 본 발명에서 복수의 레일(510 내지 540)은 레일바에 복수의 회전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제1 또는 제2 이송부(300)에서 캐리어(400)를 밀어줄 경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캐리어(400)를 이송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ails (510 to 540) are provided on the rail bar so that when the carrier (400) is pushed by the first or second conveyance part (300) The carrier 400 may be transferred.

제1 승강부(100)는 제1 내지 제4 레일(510 내지 540)의 일단측에 설치된다. 제1 승강부(100)는 제1 승강프레임(104), 제1 승강모터(102) 및 제1 승강부회전축(10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levating part 100 is installed on one end side of the first to fourth rails 510 to 540. The first elevating part 100 may include a first elevating frame 104, a first elevating motor 102, and a first elevating part rotating shaft 106.

제1 승강프레임(104)은 제1 이송부(200)의 승강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승강프레임(104)은 2개의 레일바측에 각각 2개의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lifting frame 104 may serve as a lifting guide for the first transporting unit 200. The first lift frame 104 may be provided with two frames on each of the two rail bars.

제1 승강모터(102)는 제1 승강프레임(10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제1 이송부(200)를 승강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irst elevating motor 102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evating frame 104 to provide power to move the first conveying portion 200 up and down.

제1 승강부회전축(106)은 제1 승강모터(102)의 동력을 2개의 제1 승강프레임(104) 각각에 설치되는 제1 이송부(2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elevating part rotating shaft 106 can transmit the power of the first elevating motor 102 to the first conveying part 200 installed in each of the two first elevating frames 104.

제2 승강부(110)는 제1 내지 제4 레일(510 내지 540)의 타단측에 설치된다. 제2 승강부(110)는 제2 승강프레임(114), 제2 승강모터(112) 및 제2 승강부회전축(11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lift portion 110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first to fourth rails 510 to 540. The second elevating part 110 may include a second elevating frame 114, a second elevating motor 112, and a second elevating part rotating shaft 116.

제2 승강프레임(114)은 제2 이송부(300)의 승강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승강모터(112)는 제2 승강프레임(11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제2 이송부(300)를 승강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승강프레임(114)은 제1 승강프레임(104)과 마찬가지로 레일바측에 각각 2개의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lift frame 114 may serve as an elevation guide for the second conveyance unit 300. The second elevating motor 112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lift frame 114 to provide power to move the second transfer portion 300 up and down. The second lift frame 114 may be provided with two frames on the rail bar side, similar to the first lift frame 104.

제2 승강부회전축(116)은 제2 승강모터(112)의 동력을 2개의 제2 승강프레임(114) 각각에 설치되는 제2 이송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elevating part rotating shaft 116 can transmit the power of the second elevating motor 112 to the second conveying part 300 installed in each of the two second elevating frames 114.

이때, 제1 및 제2 승강부(100, 11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1 및 제2 이송부(200, 300)가 동일한 레일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lift portions 100 and 110 can be position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portions 200 and 300 ar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same rail by a control unit (not shown).

제1 이송부(200)는 제1 내지 제4 레일(510 내지 540) 중 어느 하나의 레일에 위치하는 캐리어(400) 또는 내부에 위치하는 캐리어(400)를 제1 내지 제4 레일(510 내지 540) 중 어느 하나의 레일로 이송시킬 수 있다.The first conveyance unit 200 may include a carrier 400 disposed on one of the first to fourth rails 510 to 540 or a carrier 400 disposed on the first to fourth rails 510 to 540 To the rail.

제1 이송부(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50), 컨베어밸트(210), 제1 및 제2 회전롤러(220, 240), 푸시수단(260), 제1 이송모터(270) 및 복수의 바퀴(2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이송부(200)는 2개의 제1 승강프레임(104) 각각에 형성될 쉬 있다.2 to 4, the first conveying unit 200 includes a body 250, a conveyor belt 210, first and second rotating rollers 220 and 240, a pushing unit 260, A feed motor 270 and a plurality of wheels 230. [ The first transfer part 200 is formed to be formed in each of the two first lift frames 104.

제1 이송부회전축(280)은 2개의 컨베어밸트(210)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제1 이송모터(2070)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veying unit rotary shaft 28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ing motor 2070 so as to simultaneously rotate the two conveyor belts 210.

컨베어밸트(210)는 제1 및 제2 회전롤러(220, 240)에 연결되어 제1 이송모터(27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적재된 캐리어(400)를 레일로 이송할 수 있다. The conveyor belt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rollers 220 and 240 and is capable of transferring the loaded carrier 400 to the rails while being rotated by driving the first conveying motor 270.

푸시수단(260)은 컨베어밸트(210)에 부착되어, 컨베어밸트(210) 회전시 이동하여 캐리어(400)를 레일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푸시수단(260)은 레일로부터 캐리어(400)가 이송되면 캐리어(400)가 제1 이송부(200)를 이탈하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pushing means 260 is attached to the conveyor belt 210 so that the pusher 260 can move when the conveyor belt 210 rotates to easily transfer the carrier 400 to the rails. The pushing unit 260 may serve as a stopper to prevent the carrier 400 from moving away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200 when the carrier 400 is transferred from the rail.

제1 이송부(200)는 제1 승강부(100)의 제1 승강프레임(104)을 따라 용이하게 승강하기 위한 복수의 바퀴(23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transfer par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heels 230 for easily ascending and descending along the first lifting frame 104 of the first lifting part 100.

한편, 제1 이송부(200)는 컨베어밸트가 구비되지 않고 단지 푸시부만 구비되는 푸시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송부(200)는 캐리어(400)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캐리어(400)를 레일로 밀어내는 푸시부(예를 들면, 실린더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conveyance unit 200 may be configured as a push type that does not have a conveyor belt but includes only a push portion. For example, the first conveyance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carrier 400 is seated and a push portion (e.g., a cylinder or the like) for pushing the carrier 400 to the rail.

상기 제1 이송부(200)는 위에서 언급한 수단들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veyance unit 200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means.

제2 이송부(300)는 제1 이송부(200)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제2 승강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이송부(300)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 이송부(2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transfer unit 300 has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transfer unit 200 and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elevation unit 110.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transfer unit 3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transfer unit 20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캐리어(400)는 적어도 하나의 버섯재배상자(10)를 탑재하도록 사각의 캐리어가 구비될 수 있다. 캐리어(400)는 레일(510 내지 540)을 따라 버섯재배상자(10)를 용이하게 이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바퀴(540)가 구비되며, 레일(510 내지 540)의 길이에 따라 복수개의 캐리어(400)가 구비될 수 있다.The carrier 400 may be provided with a rectangular carrier to mount at least one mushroom cultivation box 10 therein. The carrier 40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carrier wheel 540 for easily transporting the mushroom cultivation box 10 along the rails 510 to 540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rriers (400) may be provided.

캐리어(400)는 상부캐리어(410), 하부캐리어(430) 및 연결프레임(4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캐리어(410)는 레일(510 내지 540)을 따라 이동된다. 상부캐리어(410)에 상기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The carrier 400 may include an upper carrier 410, a lower carrier 430, and a connection frame 420. The upper carrier 410 is moved along the rails 510 to 540. The upper carrier 410 may be provided with the wheel.

상기 하부캐리어(430)는 연결프레임(420)에 의해 상부캐리어(410)에 연결되어 상부캐리어(410)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lower carrier 43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carrier 410 by a connection frame 420 and installed under the upper carrier 410.

상기 캐리어(400)의 크기에 따라 레일바의 폭이 정해지며, 제1 및 제2 이송부(200, 300)의 크기 및 동력이 정해질 수 있다.
The width of the rail ba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rrier 400 and the size and power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units 200 and 300 can be determined.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5 to 7. FI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은 각각의 레일별로 캐리어(400)에 탑재된 버섯재배상자를 다른 높이의 레일로 이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can transfer the mushroom cultivation box mounted on the carrier 400 to each rail, to different height rail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부(200)에 캐리어가 탑재되어 제4 레일(540)측으로 위치한다. 이때, 제2 이송부(300)도 함께 제4 레일(540)측으로 위치한다. 다음으로, 제1 이송부(200)의 A영역에 위치하는 캐리어를 제4 레일(540)로 이송시킨다. 이때, 제4 레일(540)의 반대편의 B영역에 위치하는 캐리어는 B'영역인 제2 이송부(300)에 탑재된다. 제2 이송부(300)에 탑재된 캐리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일(510)측으로 하강된다. 이때, 제1 이송부(200)도 제1 레일(510)측으로 하강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carrier is mounted on the first conveyance part 200 and positioned on the fourth rail 540 side. At this time, the second conveyance unit 300 is also located on the fourth rail 540 side. Next, the carrier positioned in the area A of the first transfer unit 200 is transferred to the fourth rail 540. At this time, the carrier located in the region B opposite to the fourth rail 540 is mounted on the second transfer portion 300, which is the region B '. The carrier mounted on the second transfer unit 300 is lowered toward the first rail 51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first transfer part 200 also descends toward the first rail 510 sid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일(510)의 일측단에 위치하는 제2 이송부(300)에 탑재된(영역C) 캐리어는 제2 이송부(300)가 구동됨에 따라 제1 레일(510)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이송부(200)측의 제1 레일(510)의 영역 D에 있는 캐리어는 제1 이송부(200)에 탑재된다. 5, the carrier (region C) mounted on the second conveying portion 300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rail 51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ail 510 as the second conveying portion 300 is driven . At this time, the carrier in the area D of the first rail 510 on the side of the first transfer part 200 is mounted on the first transfer part 200.

도 5에서 제1 이송부(200)에 탑재된 캐리어는 제2 레일(520)의 일측단에 위치하도록 승강되며, 이때, 제2 이송부(300) 또한 제2 레일(520)의 일측단에 위치하도록 승강된다. 5, the carrier mounted on the first transfer part 200 is raised and lowered at one end of the second rail 520. At this time, the second transfer part 300 is also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econd rail 520 .

이후, 도 6에서와 같이 제1 이송부(200)의 영역 E의 캐리어를 제2 레일(520)로 이송한다. 이때, 제2 레일(520)의 끝단의 영역 F에 위치하는 캐리어는 영역 F' 즉, 제2 이송부(300)에 탑재된다.Then, as shown in FIG. 6, the carrier of the area E of the first conveyance unit 20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rail 520. At this time, the carrier located in the region F at the end of the second rail 520 is mounted on the region F ', that is, the second transfer portion 300.

이후 제2 이송부(300)와 제1 이송부(200)는 제3 레일(530)의 위치로 이동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를 이송한다.Then, the second transfer unit 300 and the first transfer unit 200 move to the position of the third rail 530 to transfer the carrier, as shown in FIG.

도 7에서와 같이 제1 이송부(200)에 탑재되는 캐리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레일(540)측으로 승강하여 캐리어를 제4 레일(540)로 이송하며, 상기 도 1, 도 5 내지 도 7의 과정을 반복하여 제1 내지 제4 레일(510 내지 540)에 위치하고 있었던 캐리어들이 모두 다른 레일로 이송될 때 까지 반복 수행 된다.
As shown in FIG. 7, the carrier mounted on the first conveyance unit 200 ascends and descends to the fourth rail 540 side as shown in FIG. 1 to transfer the carrier to the fourth rail 540, 7 through 7 are repeated until all of the carriers located in the first to fourth rails 510 to 540 are transported to the different rail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에 비해 피치이동을 할 수 있어 캐리어 이송시 제1 및 제2 승강부와 제1 및 제2 이송부의 각 모터에 가중되는 부하가 경감되며, 전력소비 또한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hifting the pitch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so that the loads applied to the motors of the first and second lift por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portions are reduced during carrier transportation,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it can alleviate.

또한, 종래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과 대비하여 본 발명의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은 레일에 캐리어를 이송하는 체인 또는 컨베어밸트를 사용하지 않아 전력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the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ecause a chain or a conveyor belt for conveying a carrier to a rail is not used.

10: 버섯재배상자
100: 제1 승강부
102: 제1 승강모터
104: 제1 승강프레임
106: 제1 승강부회전축
110: 제2 승강부
112: 제2 승강모터
114: 제2 승강프레임
116: 제2 승강부회전축
200: 제1 이송부
210: 컨베어밸트
220: 제1 회전롤러
230: 제1 내지 제4 바퀴
240: 제2 회전롤러
250: 바디
260: 푸시수단
270: 제1 이송모터
280: 제1 이송부회전축
300: 제2 이송부
370: 제2 이송모터
380: 제2 이송부회전축
400: 캐리어
410: 상부캐리어
420: 연결프레임
430: 하부캐리어
510 내지 540: 제1 내지 제4 레일
600: 지주
10: mushroom cultivation box
100: first elevating portion
102: first elevating motor
104: first lift frame
106: first elevation part rotation axis
110: second lift portion
112: second lift motor
114: second lift frame
116: 2nd elevation part rotation axis
200: First conveying section
210: Conveyor belt
220: first rotating roller
230: first to fourth wheels
240: second rotating roller
250: Body
260: Push means
270: first feed motor
280: First conveying portion rotating shaft
300: Second transfer part
370: Second feed motor
380: second conveying section rotating shaft
400: Carrier
410: upper carrier
420: connection frame
430: Lower carrier
510 to 540: first to fourth rails
600: holding

Claims (7)

적어도 하나의 버섯재배상자를 탑재하는 복수의 캐리어;
상기 캐리어가 수평으로 이송되며, 제1 내지 제N(N은 자연수)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레일;
상기 레일로부터 이송된 캐리어를 탑재하고, 탑재된 상기 캐리어를 상기 레일로 이송시키는 제1 및 제2 이송부;
상기 복수의 레일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를 승강시키는 제1 승강부; 및
상기 복수의 레일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이송부와 동일한 레일에 상기 제2 이송부를 승강시키는 제2 승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를 상기 복수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로 승강하고, 상기 제1 이송부에 탑재된 캐리어를 해당 레일로 이송하며, 이와 동시에 제2 이송부에 해당 레일의 끝단에 위치하는 캐리어가 상기 제2 이송부에 탑재된 후, 제1 및 제2 이송부가 다른 레일로 승강한 후, 상기 제2 이송부에 탑재된 캐리어를 레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
A plurality of carriers carrying at least one mushroom cultivation box;
A plurality of rails that are transported horizontally and arranged in first to Nth (N is a natural number) layers;
First and second conveying units for mounting the carriers conveyed from the rails and conveying the mounted carriers to the rails;
A first elevating par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rails to elevate the first conveying part; And
And a second elevating part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rails to elevate the second conveying part to the same rail as the first conveying part,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units are raised and lowered by one of the plurality of rails, the carrier mounted on the first conveyance unit is transferred to the corresponding rail, and at the same time, the carrier, which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corresponding rail, Is mounted on the second conveyance unit, and after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units are raised and lowered to another rail, the carrier mounted on the second conveyance unit is transferred to the rai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를 상기 제N층의 레일 양단으로 승강한 후, 상기 제1 이송부에 탑재된 캐리어를 상기 제N 층의 레일로 이송하며, 상기 제N 층의 레일 끝단의 캐리어를 상기 제2 이송부에 탑재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를 상기 제1층 레일 양단에 하강한 후 상기 제2 이송부에 탑재된 캐리어를 상기 제1층의 레일에 이송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이송부에 상기 제1층의 레일 끝단의 캐리어를 탑재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를 상기 제1층의 상부로 1층씩 승강하면서 상기 제N층까지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에 탑재되는 캐리어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portions are raised and lowered to both ends of the Nth layer, and then the carriers mounted on the first conveyance portion are transferred to the rails of the Nth layer, Mounted on the second conveyance part,
The first and second conveyance portions are lowered to both ends of the first layer rail, and the carrier mounted on the second conveyance portion is transferred to the first layer rail, and at the same time, to the first conveyance portion, The carrier at the end is mounte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ransporting portions are moved upward and downward by one lay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ayer while transferring the carrier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transporting portions to the Nth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레일상으로 이동하는 상부캐리어; 및
상기 상부캐리어와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에 의해 상기 상부캐리어와 동시에 이동하되, 상기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캐리어를 포함하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rrier
An upper carrier moving on the rail; And
And a lower carrier moving at the same time as the upper carrier by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carrier, the lower carrier being positioned below the rai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캐리어 또는 상기 복수의 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캐리어가 용이하게 상기 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하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rotation means formed on the upper carrier or the plurality of rails to allow the upper carrier to be easily transported along the rai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의 일단에 위치하는 제1 승강프레임과, 상기 제1 이송부를 승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승강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승강부는
상기 복수의 레일의 타단에 위치하는 제2 승강프레임과, 상기 제2 이송부를 승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승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levating portion
A first elevating fram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rails and a first elevating motor for providing a power for elevating the first conveying section,
The second lift portion
A second lift frame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rails; and a second lift motor for providing a power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econd transfer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는
바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제1 회전롤러;
상기 제1 회전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롤러;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롤러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모터의 구동에 따라 탑재된 캐리어를 레일로 이송시키는 컨베어밸트를 포함하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parts
body;
A first rotating roller fixed to the body;
A feed motor for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rotating roller;
A second rotating roller fixed to the body and rotating; And
And a conveyor belt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rollers and conveying the carrier mounted on the conveyance motor to the rai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는
상기 컨베어밸트에 부착되어 상기 컨베어밸트의 회전시 상기 캐리어를 상기 레일측으로 푸시하며, 상기 레일측에서 이송되는 캐리어가 상기 제1 또는 제2 이송부의 바깥쪽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푸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버섯재배 자동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parts
And push means attached to the conveyor belt for pushing the carrier toward the rail when the conveyor belt is rotated so as to prevent the carrier conveyed from the rail side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or second conveyance portion Mushroom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KR1020130109616A 2013-09-12 2013-09-12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for mushroom Active KR1014240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616A KR101424090B1 (en) 2013-09-12 2013-09-12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for mush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616A KR101424090B1 (en) 2013-09-12 2013-09-12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for mushroo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090B1 true KR101424090B1 (en) 2014-08-01

Family

ID=5174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616A Active KR101424090B1 (en) 2013-09-12 2013-09-12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for mush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090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163B1 (en) 2017-09-08 2018-04-16 주식회사 표고애 Elevator unit of cultivation automatic system for mushroom
KR101849161B1 (en) 2017-09-08 2018-04-16 주식회사 표고애 Automatic system for bottle cultivation of mushroom
KR101849162B1 (en) 2017-09-08 2018-05-31 주식회사 표고애 Turner conveyor unit of cultivation automatic system for mushroom
KR20180061491A (en) 2016-11-29 2018-06-08 (주)다울 Mushroom cultivating system and method
KR20200143792A (en) 2019-06-17 2020-12-28 삼성팜 영농조합법인 A Smart Automatic Controlling System for Cultivating a Mushroom
KR20210003400A (en) * 2019-07-02 2021-01-12 박태건 Smart Farm System
KR102477296B1 (en) 2022-05-02 2022-12-13 이명수 The Smart Farm Block Automation Mushroom Cultiv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577U (en) * 1999-05-10 2000-12-05 지기배 A lifting apparatus of plate of mushroom
JP2001346442A (en) 2000-06-02 2001-12-18 Karuchia Machine:Kk Apparatus for culturing mushroom and method for culturing mushroo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577U (en) * 1999-05-10 2000-12-05 지기배 A lifting apparatus of plate of mushroom
JP2001346442A (en) 2000-06-02 2001-12-18 Karuchia Machine:Kk Apparatus for culturing mushroom and method for culturing mushroo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491A (en) 2016-11-29 2018-06-08 (주)다울 Mushroom cultivating system and method
KR101849163B1 (en) 2017-09-08 2018-04-16 주식회사 표고애 Elevator unit of cultivation automatic system for mushroom
KR101849161B1 (en) 2017-09-08 2018-04-16 주식회사 표고애 Automatic system for bottle cultivation of mushroom
KR101849162B1 (en) 2017-09-08 2018-05-31 주식회사 표고애 Turner conveyor unit of cultivation automatic system for mushroom
KR20200143792A (en) 2019-06-17 2020-12-28 삼성팜 영농조합법인 A Smart Automatic Controlling System for Cultivating a Mushroom
KR20210098879A (en) 2019-06-17 2021-08-11 삼성팜 영농조합법인 A Smart Automatic Controlling System for Cultivating a Mushroom
KR20210003400A (en) * 2019-07-02 2021-01-12 박태건 Smart Farm System
KR102303204B1 (en) * 2019-07-02 2021-09-16 박태건 Smart Farm System
KR102477296B1 (en) 2022-05-02 2022-12-13 이명수 The Smart Farm Block Automation Mushroom Cultiv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090B1 (en) Cultivation automation system for mushroom
CN1068292C (en) High-speed storage system
WO2021184670A1 (en) Lifting system
CN104058241B (en) Multilamellar intercommunication roller shutter jacking equipment
CN102730405B (en) Transfer mechanism at 90-degree corner of conveyor track
CN110834934A (en) Crankshaft type vertical lifting mechanism and working method
KR100487298B1 (en) Transporting apparatus for plate form body
KR20140061242A (en) Article transport apparatus and article storage facility having same
JP5314748B2 (en) lift device
JP6633964B2 (en) Transport system
CN105540122A (en) Jacking shifting device for intelligent three-dimensional warehouse
CN212174330U (en) Lifting system
JP2012250809A (en) Transfer device and conveyer device
CN104108596A (en) Automatic transfer lifting table
KR101373318B1 (en) Circulatable transfer apparatus
KR100702220B1 (en) Conveyor device
CN104108597A (en) Automatic load-shifting lifting platform lifting mechanism
CN203903439U (en) Automatic load-transferring lifting table
KR100591789B1 (en) Baggage loading device
CN206705597U (en) A kind of Double tabletop reciprocating lifting device
CN110893968B (en) Circulation continuous lifting mechanism
JP6218044B2 (en) Carriage transfer device
CN212607897U (en) Vehicle-mounted traffic cone conveyor
JPH02255418A (en) Continuous lifting and lowering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transferring the transport box to the continuous lifting and lowering transfer device
CN209889765U (en) Lifting transf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