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180B1 -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취 간장 소스 - Google Patents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취 간장 소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1180B1 KR101421180B1 KR1020120121891A KR20120121891A KR101421180B1 KR 101421180 B1 KR101421180 B1 KR 101421180B1 KR 1020120121891 A KR1020120121891 A KR 1020120121891A KR 20120121891 A KR20120121891 A KR 20120121891A KR 101421180 B1 KR101421180 B1 KR 1014211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sauce
- soy sauce
- seaweed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6
- 241000527163 Aster scaber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5000005276 Doellingeria scabra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2
- 241000132092 Aster Species 0.000 title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0000007119 Malus pumil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1430 Malus pumil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5103 Malus silvestr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59 sesam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1803 sesame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4678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5035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0000001987 Pyrus communi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40000002799 Prunus avi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9693 cherri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40000005926 Hamelia paten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75 Argi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230 Asparag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838 Ast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989 Glutam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233 Headach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DCXYFEDJOCDNAF-REOHCLBHSA-N L-asparag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N)=O DCXYFEDJOCDNAF-REOHCLBHSA-N 0.000 description 2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2
- ROHFNLRQFUQHCH-YFKPBYRVSA-N L-leucine Chemical compound CC(C)C[C@H](N)C(O)=O ROHFNLRQFUQHCH-YFKPBYRVSA-N 0.000 description 2
- FFEARJCKVFRZRR-BYPYZUCNSA-N L-methionine Chemical compound CSCC[C@H](N)C(O)=O FFEARJCKVFRZRR-BYPYZUCNSA-N 0.000 description 2
- COLNVLDHVKWLRT-QMMMGPOBSA-N L-phenylala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C=C1 COLNVLDHVKWLRT-QMMMGPOBSA-N 0.000 description 2
- KZSNJWFQEVHDMF-BYPYZUCNSA-N L-valine Chemical compound CC(C)[C@H](N)C(O)=O KZSNJWFQEVHDMF-BYPYZUCN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190 Phenylalan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381 Plasm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599 Verbascum thaps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82 asparag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68 concentrated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41 hydrogen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99 nebu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74 v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NICGTIQUHHISW-SSDOTTSWSA-N (2S)-2,6-diamino-2-(difluoromethyl)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NCCCC[C@@](N)(C(F)F)C(O)=O WNICGTIQUHHISW-SSDOTTSW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2091 Anaesth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24076 Aphid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820 Arth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451 Bronch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458 Bronchitis chron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36 Cas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451 Chronic Bronch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MTCFGRXMJLQNBG-UWTATZPHSA-N D-serine Chemical compound OC[C@@H](N)C(O)=O MTCFGRXMJLQNBG-UWTATZPH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85 Decidu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11 Dysgeu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N HCl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511 Holothur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QNAYBMKLOCPYGJ-REOHCLBHSA-N L-alanine Chemical compound C[C@H](N)C(O)=O QNAYBMKLOCPYGJ-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ODKSFYDXXFIFQN-BYPYZUCNSA-P L-argininium(2+) Chemical compound NC(=[NH2+])NCCC[C@H]([NH3+])C(O)=O ODKSFYDXXFIFQN-BYPYZUCNSA-P 0.000 description 1
- HNDVDQJCIGZPNO-YFKPBYRVSA-N L-histid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N=CN1 HNDVDQJCIGZPNO-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YFKPBYRVSA-N L-lysine Chemical compound NCCCC[C@H](N)C(O)=O KDXKERNSBIXSRK-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JZKXXXDKRQWDET-QMMMGPOBSA-N L-m-tyrosine zwitterion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C(O)=C1 JZKXXXDKRQWDET-QMMMGPOBSA-N 0.000 description 1
- ONIBWKKTOPOVIA-BYPYZUCNSA-N L-proline Chemical compound OC(=O)[C@@H]1CCCN1 ONIBWKKTOPOVIA-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AYFVYJQAPQTCCC-GBXIJSLDSA-N L-threonine Chemical compound C[C@@H](O)[C@H](N)C(O)=O AYFVYJQAPQTCCC-GBXIJSLD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110 Mg K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323 Muscle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112 My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8319 Oropharynge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85694 Polypodiopsi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422 Rhododendr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19815 SRRT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00037877 SRRT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247145 Sebastes goode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670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3 Threo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79 ala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05 anaesthes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21 argin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25 brain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9 carrier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71 col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3146 cys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7 g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2465 ginger roo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64 hum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616 inductively coupled plasm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36 leu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646 lys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30 nitrogen compound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49 nutrient cont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72 peristal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100 pharyn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6 salt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295 va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41 zingiber officina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간장, 참취, 설탕, 양파, 사과, 배, 생강, 통후추, 다시마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킨 후 끓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취 간장 소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간장, 참취, 설탕, 양파, 사과, 배, 생강, 통후추, 다시마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킨 후 끓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취 간장 소스에 관한 것이다.
참취(Aster scaber)는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취나물, 암취 또는 나물취라고도 하며 그 종이 100여 종이나 되며 우리나라 자생종은 60여 종이고 식용이 가능한 것은 24종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취나물은 참취, 개미취, 각시취, 곰취, 미역취, 가얌취, 수리취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참취가 향기가 독특하고 수확량이 많기 때문에 농가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취나물은 자연상태에서는 30% 정도 차광이 되는 시원한 반음지에서 잘 자라며 부식질이 풍부하면서 습도유지가 잘되면서도 물 빠짐이 잘되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참취는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줄기는 윗부분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지며 잎은 꽃이 필 때쯤 떨어지고 잎자루가 길고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높이 1~1.5 m, 길이 9~24 ㎝, 나비 6~18 ㎝의 심장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날개가 있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가끔 잎에 무성아(無性芽)처럼 보이는 벌레집이 생긴다. 꽃은 8~10월에 흰색으로 피며, 설상화(舌狀花)와 관상화(管狀花)로 이루어진 두화(頭花)가 산방 꽃차례로 달린다. 설상화는 6~8개로서 흰색이며, 관상화는 노란색이다. 총포(總苞)는 길이가 4~5 ㎜의 반구형이며 포편이 3줄로 배열된다. 열매는 수과(瘦果)이며 긴타원형 바소꼴로 회색의 관모(冠毛)가 있고 산지에서 자란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민간에서 전초(全草)를 두통, 현기증, 수렴, 방광염 등의 약재로 쓴다. 국화과 식물 가운데 유일하게 무성아로 번식하며, 잎에서 새싹이 돋아 이것이 땅에 떨어지면 곧 뿌리가 내린다.
참취에는 단백질 2.3 g, 탄수화물 6.3 g, 칼슘 8 mg, 인 80 mg, 철 0.5 mg이 함유되어 있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근육이나 관절이 아플 때, 요통, 두통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참취는 민간요법으로 가래를 삭히고, 기침을 멈추게 하는 효과, 만성기관지염이나 인후염의 치료 효과, 변비치료, 숙취해소와 간의 해독작용, 뇌 기능을 향상 및 당뇨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한국등록특허 제0545298호에는 육류조리용 간장양념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972885호에는 간장 숙성소스 제조방법 및 그 간장 소스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장 소스 내에 무기질 및 아미노산 등의 영양성분 함량을 증진시키면서 참취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기호도가 우수한 참취 간장 소스를 제조하기 위해, 참취의 전처리 방법, 재료, 배합비 및 숙성조건을 최적화하여 품질 및 기호도가 증진되면서 단기간에 제조할 수 있는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간장, 참취, 설탕, 양파, 사과, 배, 생강, 통후추, 다시마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킨 후 끓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취 간장 소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참취 간장 소스는 기존의 간장에 비해 참취의 기능성 성분과 영양성분이 가미되어 품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육류, 생선, 야채류 등에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맛간장과 같은 간장 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반 간장에 비해 간장 특유의 강한 짠맛과 향을 감소시키고 단맛, 감칠맛 등을 증진시켜 국내요리뿐만 아니라 서양요리의 다양한 맛과 영양 및 약리작용과 풍미를 가미할 수 있어, 해외시장에도 수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는 간장 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장, 참취, 설탕, 양파, 사과, 배, 생강, 통후추, 다시마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킨 후 끓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참취는 바람직하게는 1~2%(w/v) 소금물을 참취에 첨가하여 90~100℃에서 4~6분간 끓인 후 참취를 건져내어 찬물로 헹구고, 물을 뺀 후 45~55℃에서 6~10시간 동안 건조한 참취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w/v) 소금물을 참취에 첨가하여 100℃에서 5분간 끓인 후 참취를 건져내어 찬물로 헹구고, 물을 뺀 후 50℃에서 8시간 동안 건조한 참취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참취를 전처리함으로써, 참취의 이미와 이취를 완화시키면서 참취 고유의 맛과 향을 유지하고, 참취의 영양성분 파괴 및 수용성 성분의 용출을 막아 영양성분이 높고 간장 소스 제조에 적합한 참취를 준비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간장 45~55 중량부, 참취 8~12 중량부, 설탕 7~9 중량부, 양파 2~4 중량부, 사과 4~6 중량부, 배 4~6 중량부, 생강 2~4 중량부, 통후추 0.4~0.6 중량부, 다시마 1.2~1.8 중량부 및 물 12~16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간장 50 중량부, 참취 10 중량부, 설탕 8 중량부, 양파 3 중량부, 사과 5 중량부, 배 5 중량부, 생강 3 중량부, 통후추 0.5 중량부, 다시마 1.5 중량부 및 물 14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재료 및 혼합비율로 혼합한 혼합물로 간장 소스를 제조할 경우 순간장이 가지는 고유의 짠맛을 중화시켜 짜지 않으며, 단맛 및 감칠맛 등의 맛의 조화를 이뤄 풍미가 증진된 간장 소스로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는
(a) 1~2%(w/v) 소금물을 참취에 첨가하여 90~100℃에서 4~6분간 끓인 후 참취를 건져내어 찬물로 헹구고, 물을 뺀 후 45~55℃에서 6~10시간 동안 건조한 참취를 준비하는 단계;
(b)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간장 45~55 중량부, 상기 (a)단계의 준비한 참취 8~12 중량부, 설탕 7~9 중량부, 양파 2~4 중량부, 사과 4~6 중량부, 배 4~6 중량부, 생강 2~4 중량부, 통후추 0.4~0.6 중량부, 다시마 1.2~1.8 중량부 및 물 12~16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제조한 혼합물을 8~12℃에서 3~5일간 숙성시킨 후, 1~3시간 동안 끓이고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a) 1.5%(w/v) 소금물을 참취에 첨가하여 100℃에서 5분간 끓인 후 참취를 건져내어 찬물로 헹구고, 물을 뺀 후 50℃에서 8시간 동안 건조한 참취를 준비하는 단계;
(b)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간장 50 중량부, 상기 (a)단계의 준비한 참취 10 중량부, 설탕 8 중량부, 양파 3 중량부, 사과 5 중량부, 배 5 중량부, 생강 3 중량부, 통후추 0.5 중량부, 다시마 1.5 중량부 및 물 14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제조한 혼합물을 10℃에서 3~5일간 숙성시킨 후, 2시간 동안 끓이고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취 간장 소스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간장 소스는 총 질소 함량, 무기질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분포하여 품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짠맛, 단맛 및 감칠맛이 조화를 이뤄 간장 소스의 맛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간장 소스를 음식에 첨가할 경우 누린맛, 비린맛 등을 감소시키면서 음식의 맛을 한층 더 높여, 음식의 풍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
1. 참취 전처리
참취 간장 소스를 제조하기 위한 참취는 억센 부분을 제거하고 수돗물에 3회 세척한 후 1.5% 소금물(참취 무게의 4배의 양)을 첨가하여 100℃에서 5분간 끓여 데치고 즉시 찬물에 헹궈 냉각시킨 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물빼기를 한 후 50℃의 열풍건조기에서 8시간 건조하여 수분함량 9.5% 정도가 되도록 건조시켜 참취를 준비하였다.
2. 재료 혼합 및 간장 소스 제조
청정원 자연 숙성 양조간장, 다시마(기장, 국내산), 설탕, 양파, 씨 부분만 제거한 사과, 씨 부분만 제거한 배, 생강, 통후추 및 물과 상기 준비한 참취를 하기 표 1의 배합비로 혼합하여 10℃ 냉장 온도에서 5일간 숙성시켰다. 그 후 숙성시킨 혼합물을 센 불에서 끓이다가 끓으면 즉시 약 불로 하여 2시간 동안 끓인 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4℃ 냉장 온도에서 여과하였다. 여과한 참취 간장 소스를 4℃ 냉장고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원재료 | 배합비(%) |
간장 | 50 |
참취 | 10 |
설탕 | 8 |
양파 | 3 |
사과 | 5 |
배 | 5 |
생강 | 3 |
통후추 | 0.5 |
다시마 | 1.5 |
물 | 14 |
합계 | 100 |
실험방법
1. pH
숙성 기간 동안에 따른 참취 간장 소스의 pH를 pH meter(Orio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총 질소(total nitrogen) 함량
참취 간장 소스의 총 질소 함량은 참취 간장 소스 10 mL에 증류수를 가해 100 mL가 되도록 정용한 다음, 그 중에서 10 mL를 취해 Tecato 2020 digester를 사용하여 420℃에서 40분간 분해하였다. 그 후 실온에서 방냉한 다음 Kjeltec Auto 1035 sampler system analyzer(Tecato, Sweden)를 사용하여 총 질소함량을 측정하였다.
3. 염도
염도 측정은 디지털 염도계(Atago PAL-03S,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고형분 함량 및 비중
고형분 함량은 정제해사 5 g을 증발접시에 취하고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한 후 참취 간장 소스 5 mL를 가하여 수욕상에서 저으면서 증발 건조하였다. 그 후 105℃ 건조기에서 3~4시간 동안 건조하고 방냉한 후 칭량하여 엑기스분을 구하고 여기에 염도를 빼, 고형분 양으로 나타내었다. 비중은 100 mL 메스 실린더에 참취 간장 소스를 넣은 후 Baume. 비중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 무기질 함량
무기질은 시료 1 g을 회분 도가니에 넣고 105℃ 건조기에서 건조시킨 다음 550℃ 전기 회화로에서 20시간 회화시켰다. 실온에서 방냉한 후 회화된 시료에 6N-HCl 4.2 mL를 넣어 용해시키고 1% LaCl3 2.5 mL를 가하여 회화한 시료를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100 mL volumetric에 정용하여 시료 원액으로 하였다. 이것을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용한 기기 및 분석 조건은 표 2와 같다.
Items | Condition |
R.F. generator | PERKIN ELMER OPTIMA 3000, 40, 68 MHz |
R.F. power | 1.3 KW |
Plasma torch | Quartz glass torch |
Peristaltic pump | Gilson Miniplus 2, Ten Rollers |
Nebulizing system | Gem Tip Cross-Flow Pneumatic Nebulizer |
Argon gas flow rate |
Carrier gas 1.1 L/min |
Coolant gas 15 L/min | |
Plasma argon gas : 15 L/min | |
Auxilaiary argon gas : 0.5 L/min | |
Nebulizer argon gas : 0.8 L/min |
6. 아미노산 함량
참취 간장 소스 중의 아미노산 함량은 희석 전에 열처리하여 단백질을 응고시켜 제거한 다음 0.02N HCl로 500배 희석한 후 아미노산 자동 분석계(Beckman system 6300)를 사용하여 3 반복 분석하였다.
7.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25명의 대학원생을 관능검사 요원으로 선발하여 본 실험의 목적과 평가방법 및 측정항목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 후 실시하였다. 평가 항목은 색상, 냄새,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 대해 5점 척도법(1점 : 매우 약하다 또는 매우 싫다, 3점 : 보통, 5점 : 매우 강하다 또는 매우 좋다)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참취
간장소스의
pH
1.5% 소금 용액에서 3분간 데친 후 냉각시키고 50℃의 열풍건조기에서 8시간 동안 열풍 건조시킨 참취를 양조간장에 혼합하여 제조한 참취 간장소스의 pH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참취 간장 소스의 pH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pH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제조 당일 pH 5.81에서 숙성 5일째에는 pH 5.43으로 낮아졌다. 그러나 숙성 3일째의 pH와 숙성 5일째의 pH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ging period(days) | ||||
0 | 1 | 3 | 5 | |
pH | 5.81±0.021)a | 5.53±0.02b | 5.47±0.04c | 5.43±0.03c |
1)Mean±SD.
같은 줄 내에 다른 문자는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의미함(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실시예
2:
참취
간장 소스의 총 질소(
total
nitrogen
) 함량
참취 간장 소스의 총 질소 함량은 숙성 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숙성 5일에는 제조 당일에 비해 총 질소 함량이 0.1% 증가를 나타내었다(표 4). 이는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재료의 질소 화합물이 용출되어 분해된 결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ging period(days) | ||||
0 | 1 | 3 | 5 | |
Contents of total nitrogen(%) | 1.37±0.021)b | 1.43±0.05a | 1.44±0.03a | 1.47±0.03a |
1)Mean±SD.
같은 줄 내에 다른 문자는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의미함(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실시예
3:
참취
간장 소스의 염도
참취 간장 소스의 염도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5).
Aging period(days) | ||||
0 | 1 | 3 | 5 | |
NaCl(%) | 15.95±0.071)a | 15.88±0.12a | 15.87±0.08a | 15.83±0.14a |
1)Mean±SD.
같은 줄 내에 다른 문자는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의미함(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실시예
4:
참취
간장 소스의 고형분 함량과 비중
참취 간장 소스의 고형분 함량은 숙성 3일째의 고형분 함량과 숙성 5일째의 고형분 함량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숙성 기간 동안 8.52%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참취를 비롯한 재료로부터 함유된 성분이 간장으로 용출된 것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중은 숙성 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표 6).
Aging period(days) | ||||
0 | 1 | 3 | 5 | |
Total solid(%) | 17.84±0.071)c | 18.85±0.12b | 19.27±0.14a | 19.36±0.08a |
specific gravity | 1.17 | 1.17 | 1.16 | 1.16 |
1)Mean±SD.
같은 줄 내에 다른 문자는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의미함(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실시예
5:
참취
간장 소스의 무기질 함량
5일간 숙성시킨 참취 간장 소스의 무기질 함량은 시판 양조간장의 경우보다 칼슘(Ca)의 경우 171.4%, 칼륨(K)의 경우 166%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7).
Mineral contents(mg/mL) | ||||
Ca | Mn | Mg | K | |
참취 간장 소스 | 0.48 | 0.017 | 0.782 | 6.34 |
시판 양조간장 | 0.28 | 0.010 | 0.582 | 3.82 |
실시예
6:
참취
간장 소스의 아미노산 함량
5일간 숙성시킨 참취 간장 소스의 아미노산 조성은 표 8에 나타내었다. 아스파라긴(Asparagine), 글루탐산(glutamic acid), 발린(valine), 류신(leuc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라이신(lysine) 및 아르기닌(arginine) 등의 함량이 높고 필수아미노산이 고루 함유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미노산 종류 | 아미노산 함량(mg/100 mL) |
Asparagine | 514.9 |
Threonine | 327.3 |
Serine | 371.6 |
Glutamic acid | 1125.4 |
Proline | 248.7 |
Glycine | 379.8 |
Alanine | 428.9 |
Valine | 624.1 |
Methionine | 124.3 |
Ile | 426.4 |
Leucine | 624.3 |
Tyrosine | 113.7 |
Phenylalanine | 504.2 |
Lysine | 459.9 |
Histidine | 92.7 |
Arginine | 617.8 |
실시예
7: 관능검사
참취 간장 소스의 관능적 특성은 표 9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색, 향미 및 종합적인 품질에서 숙성 3일에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맛의 경우는 숙성 5일에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색, 향미, 맛, 및 종합적인 품질과 같은 측정 항목 모두에서 숙성 3일과 숙성 5일의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숙성 기간(일) | ||||
0 | 1 | 3 | 5 | |
색 | 3.13±0.211)b | 3.27±0.17b | 4.13±0.18a | 4.11±0.12a |
향미 | 3.12±0.07c | 3.83±0.12b | 4.35±0.21a | 4.26±0.16a |
맛 | 3.17±0.23c | 3.71±0.17b | 3.96±0.15a | 4.02±0.13a |
종합적인 품질 | 3.24±0.24c | 3.64±0.11b | 4.17±0.18a | 4.12±0.23a |
1)Mean±SD.
같은 줄 내에 다른 문자는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의미함(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Claims (5)
- (a) 1~2%(w/v) 소금물을 참취에 첨가하여 90~100℃에서 4~6분간 끓인 후 참취를 건져내어 찬물로 헹구고, 물을 뺀 후 45~55℃에서 6~10시간 동안 건조한 참취를 준비하는 단계;
(b)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간장 45~55 중량부, 상기 (a)단계의 준비한 참취 8~12 중량부, 설탕 7~9 중량부, 양파 2~4 중량부, 사과 4~6 중량부, 배 4~6 중량부, 생강 2~4 중량부, 통후추 0.4~0.6 중량부, 다시마 1.2~1.8 중량부 및 물 12~16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a)단계의 제조한 혼합물을 8~12℃에서 3~5일간 숙성시킨 후, 1~3시간 동안 끓이고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참취 간장 소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1891A KR101421180B1 (ko) | 2012-10-31 | 2012-10-31 |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취 간장 소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1891A KR101421180B1 (ko) | 2012-10-31 | 2012-10-31 |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취 간장 소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5281A KR20140055281A (ko) | 2014-05-09 |
KR101421180B1 true KR101421180B1 (ko) | 2014-07-22 |
Family
ID=5088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1891A KR101421180B1 (ko) | 2012-10-31 | 2012-10-31 |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취 간장 소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118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3668A (ko) * | 1999-12-01 | 2001-07-02 | 박철완 | 수용성 키토산을 함유한 고기 양념소스 |
KR100667922B1 (ko) * | 2005-07-21 | 2007-01-16 | 양우직 | 산채가 함유된 된장의 제조방법 |
KR20120079945A (ko) * | 2011-01-06 | 2012-07-16 | 경상북도 영양군 | 고추씨유를 이용한 드레싱소스 및 그 제조방법 |
-
2012
- 2012-10-31 KR KR1020120121891A patent/KR10142118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3668A (ko) * | 1999-12-01 | 2001-07-02 | 박철완 | 수용성 키토산을 함유한 고기 양념소스 |
KR100667922B1 (ko) * | 2005-07-21 | 2007-01-16 | 양우직 | 산채가 함유된 된장의 제조방법 |
KR20120079945A (ko) * | 2011-01-06 | 2012-07-16 | 경상북도 영양군 | 고추씨유를 이용한 드레싱소스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5281A (ko) | 2014-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1276B1 (ko) | 녹차, 감식초와 죽염을 이용한 초고추장양념소스 및 그의제조방법 | |
CN106490501A (zh) | 一种酱卤鸭的加工方法 | |
KR20100006459A (ko) | 비타민나무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된장 | |
CN106579103A (zh) | 一种即食盐地碱蓬凉菜及其制作方法 | |
KR20100107862A (ko) | 함초 유래의 소금 및 된장의 제조 방법 | |
KR100485791B1 (ko) | 상어연골을 이용한 상어연골액의 제조방법 | |
KR101421180B1 (ko) | 참취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취 간장 소스 | |
KR101636877B1 (ko) | 양파소금 제조방법 | |
CN107801978A (zh) | 一种鲜椒豆瓣及其制备方法 | |
KR101184778B1 (ko) | 장어 분말 스프의 제조방법 | |
KR102144104B1 (ko) | 와송을 함유하는 기능성 소금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96716B1 (ko) | 아로니아 조미액의 제조방법 | |
KR101074735B1 (ko) | 된장콜라비장아찌의 제조방법 | |
KR101413235B1 (ko) | 육질과 기호성이 향상된 반건조 어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반건조 어류 | |
KR101977941B1 (ko) | 속성 자연발효 고칼슘 어류 액젓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40695B1 (ko) | 땅콩새싹을 이용한 생선 비린내 제거용 조성물 | |
KR101799815B1 (ko) | 갯기름나물을 이용한 돌산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 |
KR20090008049A (ko) | 녹차잎 장아찌의 제조방법 | |
KR101776079B1 (ko) | 나트륨-칼륨 비율이 조절된 김치의 제조방법 | |
KR20040106941A (ko) | 미꾸라지 된장의 제조방법 | |
KR20120077700A (ko) | 함초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금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57520B1 (ko) | 전복 및 얼갈이를 이용한 우복토장탕의 제조방법 | |
KR101914196B1 (ko) | 황칠간장의 제조방법 | |
KR101089204B1 (ko) | 흑마늘을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 |
KR101125783B1 (ko) | 식품 첨가용 천연 저염고미 용액, 그의 제조방법 및 붉은 색 소금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