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071B1 - W자형 책상 - Google Patents

W자형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071B1
KR101421071B1 KR1020120023215A KR20120023215A KR101421071B1 KR 101421071 B1 KR101421071 B1 KR 101421071B1 KR 1020120023215 A KR1020120023215 A KR 1020120023215A KR 20120023215 A KR20120023215 A KR 20120023215A KR 101421071 B1 KR101421071 B1 KR 10142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sk
desk top
arms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014A (ko
Inventor
정동수
Original Assignee
정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수 filed Critical 정동수
Priority to KR102012002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07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0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0Tops characterised by shape, other than circular or rectangul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책상에 앉아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책상 상판에 밀착될 수 있어 사용 중 사용자의 허리가 굽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 양팔의 팔꿈치가 몸통수용부에 위치하면 자연스럽게 동시 지지되며,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부분은 줄이고 손이 자연스럽게 위치하는 곳에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한정된 책상 상판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면서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원과 직선을 조합한 부채꼴 등 다양한 형태로 책상 상판을 형성할 수 있고 특히, 사각형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한 2인용 책상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각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하면서도 공간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책상설치 공간 및 상판의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각형, 원형, 원형과 직선을 조합한 부채꼴 등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하여 1~2인용의 다양한 책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좌측대각연장부-왼팔지지부-몸통수용부-오른팔지지부-우측대각연장부가 W자 형태를 이루어 인체공학적으로 책상상판이 부합되어져 사용자의 바른 자세 유도 및 유지를 자연스럽게 돕고 책상 상판의 공간효율성과 이용편의성을 추구하는 목적의 사용자 상체 밀착형 맞춤구성의 W자형 책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W자형 책상{A W-Type Desk}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책상에 앉아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책상 상판에 밀착될 수 있어 사용 중 사용자의 허리가 굽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 양팔의 팔꿈치가 몸통수용부에 위치하면 자연스럽게 동시 지지되며,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부분은 줄이고 손이 자연스럽게 위치하는 곳에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한정된 책상 상판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면서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원과 직선을 조합한 부채꼴 등 다양한 형태로 책상 상판을 형성할 수 있고 특히, 사각형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한 2인용 책상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각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하면서도 공간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책상설치 공간 및 상판의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각형, 원형, 원형과 직선을 조합한 부채꼴 등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하여 1~2인용의 다양한 책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좌측대각연장부-왼팔지지부-몸통수용부-오른팔지지부-우측대각연장부가 W자 형태를 이루어 인체공학적으로 책상상판이 부합되어져 사용자의 바른 자세 유도 및 유지를 자연스럽게 돕고 책상 상판의 공간효율성과 이용편의성을 추구하는 목적의 사용자 상체 밀착형 맞춤구성의 W자형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사용자가 앉아 작업을 수행하는 가구로, 그 상부에는 사용자가 물건을 올려놓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책상 상판이 넓은 판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사각형 책상 상판을 갖는 책상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책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책상 상판을 갖는 것이 통례이며, 이때 사용자는 사각형 책상 상판의 일면에 의자를 놓고 착석하여 책상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책상 상판의 일면에서 작업의 편의를 위해 책상에 좀 더 가깝게 다가가기 위해 대부분 팔을 내밀어 올려 놓거나 팔꿈치를 괘고 허리를 굽히게 되는데, 허리를 굽히는 자세는 사용자의 척추에 무리를 가하게 되고, 이러한 자세가 오랫동안 거듭 반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척추 형태가 변형되어 거북목이나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등과 같은 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책상에서 작업하는 사용자가 팔을 자연스럽게 벌리게 되면, 양팔은 각각 대각선으로 통상 45도 방향으로 펼쳐지게 되어 양팔 사이가 90도 간격을 유지하며 팔이 벌려지게 된다. 즉, 사용자는 책상에서 작업하는 동안 양팔이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양팔 사이의 간격 내에서 주로 작업을 수행하게 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펼친 양팔의 간격을 벗어난 'A'부분의 책상 상판 부분의 활용도는 극히 떨어져 거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이 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펼친 양팔의 간격 내에 위치하게 되는 'B'부분의 경우에는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사각형 형태의 전형적인 책상 상판의 형태로 인해 필요한 면적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전형적인 사각형 책상 상판 형태를 갖는 종래의 책상의 경우, 책상 상판에서 활용도가 극히 떨어지는 부분('A'부분)의 존재와 활용도가 높은 부분('B'부분)에서의 필요한 면적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책상 상판 면적의 평균 활용도가 떨어져 인간의 보편적 심리현상인 주어진 책상 상판 내에서 모든 업무를 해결하려는 경향에 반해 책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으로 인해 심리적 압박과 스트레스가 유발되며 또한, 위 내용을 종합해 보면 종래 책상 상판은 상판의 공간 활용 효율성은 물론 편하고 안정된 바른 자세 유도 및 유지에 책상 상판이 형태적,구조적으로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형적인 사각형 책상 상판을 갖는 책상의 경우, 2인용 책상을 제조하거나 또는 책상을 붙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정면으로 서로 마주보게 되거나 또는 바로 옆에 인접하여야 할 수밖에 없어 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에 앉아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책상 상판에 자연스럽게 밀착될 수 있어 사용 중 사용자의 허리가 굽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자 양팔의 팔꿈치가 지지되며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공간은 줄이고 손이 자연스럽게 위치하는 곳에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한정된 책상 상판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W자형 책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면서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원형과 직선을 조합한 부채꼴 등 정형화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로 책상 상판을 형성할 수 있는 W자형 책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각형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한 2인용 책상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각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하면서도 공간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이는 W자형 책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각형, 원형, 원형과 직선을 조합한 부채꼴 등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하여 2인용의 다양한 책상을 형성할 수 있는 W자형 책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W자형 책상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자형 책상은 비원형의 책상 상판에 있어 책상 상판의 일면에서 함입되어 사용자가 책상에 밀착되도록 사용자 몸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양팔이 지지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최외곽 좌우 측면에서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통해 책상 상판의 면적이 전방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좌우로 각각 확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지지된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렸을 때 손이 닿는 위치에 물건을 놓을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한 쌍의 대각연장부를 포함하며, 좌측대각연장부-왼팔지지부-몸통수용부-오른팔지지부-우측대각연장부가 순서대로 W자 형태를 이루어 책상 상판에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후방방향의 좌우 모서리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좌우에는 면적을 줄이고, 활용도가 높은 전방방향의 좌우 모서리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대각연장부에서는 면적을 늘려 책상 상판의 면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책상에 앉아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다 자연스럽게 책상 상판에 밀착될 수 있어 사용 중 사용자의 허리가 굽어지는 요인을 줄여줌은 물론, 사용자 양팔의 팔꿈치가 자연스럽게 사용범위 내에서 지지되며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상판부분은 없애는 대신 손이 위치하는 곳에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한정된 책상 상판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전체적으로 안정된 편한 자세를 갖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바른 자세 유도 및 유지에 도움을 주고 추가적으로 책상 상판의 이용 효율과 편의성 및 심적 안정감을 주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면서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원형과 직선을 조합한 부채꼴 등 다양한 형태로 책상 상판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사각형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한 2인용 책상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각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하면서도 공간낭비를 줄이고 각 사용자가 양팔을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손이 위치하는 곳에 물건을 놓아 둘 수 있도록 면적을 추가로 확보하여 책상설치 공간 및 상판의 공간활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사각형, 원형, 원형과 직선을 조합한 다양한 부채꼴 등의 책상 상판 형태를 활용하여 2인용의 다양한 책상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사각형 책상 상판을 갖는 책상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자형 책상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책상 상판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책상 상판의 다른 형태들을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W자형 책상의 사시도(2인용)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자형 책상의 책상 상판(10)은 사용자가 책상에 밀착되도록 책상상판 일면에서 함입되어 정면에서 바라본 사용자의 관상면(coronal plane) 즉 어깨를 펴고 똑바로 세운 사용자의 머리위쪽에서 바라본 양쪽어깨의 가운데(위팔뼈머리의 가운데)를 기준삼아 서로 연결한 수평선상 안쪽으로 함입되어 형성된 공간에는 책상상판의 크기와 형태에 상관없이 반드시 상판에 밀착 수용되는 사용자의 몸통 이외에 사용자의 한쪽 팔 또는 그 이상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옆으로 폭이 넓은 수용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또한 사용자가 대면하는 일면 전체가 함입되는 형태로 수용공간이 구성되지 않도록 하여 한 쌍의 팔지지부(120) 공간을 확보해주면서 사용자의 양팔을 제외한 몸통만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통수용부(110)와, 상기 몸통수용부(110)의 양측에서 각각 옆으로 폭이 있는 후방돌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몸통수용부(110)에 위치한 사용자의 양팔이 동시에 지지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한 쌍의 팔지지부(120)와, 상기 한 쌍의 팔지지부(120)에서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양팔을 벌렸을 때 손이 닿는 위치에 물건을 놓을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대각연장부(130)-왼팔지지부(120)-몸통수용부(110)-오른팔지지부(120)-우측대각연장부(130)가 순서대로 W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수용부(110)는 사용자(30)가 책상에 밀착되도록 사용자의 관상면(coronal plane) 안쪽으로 함입된 형태로 구성되는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반드시 사용자의 양팔을 제외한 몸통만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통수용부(110)의 깊이(D)정도는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의 책상 상판(10)의 일측면에서 일정 공간 즉, 책상을 사용하는 사용자(30)의 몸통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통상적으로 사람 몸의 두께는 15~50㎝ 내에 일반적으로 포함됨으로 사용자의 관상면(coronal plane)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몸통의 두께 정도가 바람직하며, 즉 옆에서 본 사용자의 몸통두께의 1/2정도에 해당하는 깊이 정도로 사용자의 몸통이 수용될 수 있도록 책상 상판(10)의 일측면에서 함입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인 인체공학적 깊이다. 그 이상 후방으로 연장되는 깊이는 상판면의 연장으로 규정하여 상기 몸통수용부(110)의 정의와는 무관하다. 상기 몸통수용부(110)가 책상 상판(10)의 일측면에서 일정 공간 함입되어 형성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사람의 허리(척추)는 S자로 곧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책상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책상에 가깝게 다가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의자에 엉덩이를 둔 채로 팔을 앞으로 내밀고 허리를 앞으로 구부려 작업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책상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허리는 항상 앞으로 굽어져 있게 된다. 특히, 책상 상판(10)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사용자의 양팔의 팔꿈치는 책상 상판(10) 위에 기대어져야 하는데, 사용자가 자신의 양 팔꿈치를 책상 상판(10)에 기대기 위해서도 역시 허리를 앞으로 구부려야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책상 상판(10)의 일측면에서 사용자(30)의 몸통이 보다 책상 상판에 자연스럽게 인체공학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책상 상판(10)의 일측면의 일부를 함입되는 형태로 빈 공간을 형성시켜 사용자의 양팔을 제외한 몸통 일부가 상판에 수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을 사용하는 사용자(30)는 상기 몸통수용부(110) 내에 몸통의 일부를 수용시켜 몸을 보다 책상에 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몸통수용부(110)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팔지지부(120) 위에 양팔(310)의 팔꿈치를 동시에 자연스럽게 지지될 수 있게 되어, 책상에 가깝게 가기 위해 몸을 구부릴 필요도, 양팔(310)의 팔꿈치를 책상에 얹어놓기 위해서 몸을 앞으로 구부릴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책상에서 작업하는 과정에서도 자연스럽게 몸통과 허리(척추)를 곧게 유지하는데 용이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통수용부(110)가 함입되는 크기 경우, 먼저 함입되는 깊이(D)는 사용자(30) 몸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사용자마다 몸통두께가 다르므로 상체의 몸통 두께의 1/2에 해당하는 5~20cm정도 범위에 대부분의 사용자가 해당된다고 보면 되고, 정확하게는 각 사용자의 관상면(coronal plane) 안쪽의 몸통의 두께에 해당된다. 그 두께정도의 깊이 까지의 수용부구성이 몸통수용부의 구성범위라고 보면 된다. 결론적으로 몸통수용부에 밀착 위치한 사용자의 관상면(coronal plane) 안쪽으로 형성되는 깊이까지를 몸통수용부로 규정하며, 그 이상 연장되는 것은 상판의 확장면으로 간주하며, 몸통수용부로 보지 않는다. 몸통수용부(110)의 폭(H1)은 사용자(30) 몸통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양팔을 제외한 몸통의 가로 폭 미만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통수용부(110)에 위치한 사용자가 상체를 똑바로 세운상태에서 사용자의 관상면(coronal plane) 즉 사용자의 머리위쪽에서 바라본 양쪽어깨의 가운데(위팔뼈머리 가운데) 부분을 기준삼아 서로 연결한 수평선상 안쪽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모든 몸통수용부(110)에는 상판의 크기와 형태에 상관없이 반드시 상판에 밀착된 사용자의 몸통 이외에 사용자의 한쪽 팔 또는 그 이상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옆으로 폭이 넓은 수용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며, 또한 사용자가 대면하는 일면 전체가 몸통수용부로 구성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몸통수용부(110)의 양단에서 각각 좌우측에 위치하는 후술할 팔지지부(120)와 연결되는 부분은 대략 135도의 완만한 경사각(θ1)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몸통수용부(110)에 작업하는 사용자(30)가 자신의 상체를 위치시키게 되면, 사용자(30) 몸통은 자연스럽게 책상상판(10)과 더욱 가깝게 밀착되게 되며 사용자 양팔(310)의 팔꿈치는 몸통수용부(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후술할 팔지지부(120)에 자연스럽게 올려놓고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30)는 허리를 구부릴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허리를 편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팔지지부(120)는 앞서 설명한 상기 몸통수용부(110)의 양단 측면에서 각각 좌우옆으로 확장되고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몸통수용부(110)에 위치한 사용자의 양팔(310)의 팔꿈치가 지지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한 쌍의 팔지지부(120)의 각 측면에는 상기 몸통수용부(110) 내에 몸을 위치시킨 사용자(30) 몸의 측면과 접하게 되고, 사용자(30)가 자연스럽게 양팔(310)을 내리게 되면 양팔(310)의 팔꿈치는 상기 한 쌍의 팔지지부(120)에 각각 자연스럽게 위치하여 동시에 지지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팔지지부(120)가 각각 상기 몸통수용부(1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앞서 설명한 상기 몸통수용부(110)의 함입되는 깊이(D)와 동일하며, 양팔(310)의 팔지지부(120) 각각의 돌출 마무리 옆으로 폭(H2)은 사용자의 신장과 몸통의 모양과 팔의 길이를 고려하여 사용자(30)의 팔꿈치를 수용할 정도 즉, 지나치게 뾰족하여 위험하지 않을 정도부터 상판의 크기와 용도에 따라 균형잡아 구성할 수 있는 범위인 3~60㎝ 정도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뾰족한 방향이 사용자가 몸통수용부(110)를 벗어났을 때는 마주보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구조상 안전을 고려해야 하며, 상판의 크기와 용도 및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몸통수용부(110)의 옆으로의 폭 구성이 달라지는 사용자 신체 밀착형 맞춤 몸통수용부(110)와 연계되어 하나의 일면에 함께 유기적으로 공간배치가 이뤄지는 구성상의 특성을 갖고 있어서, 좌우 팔지지부(120) 각각의 돌출 마무리 옆으로 폭(H2)은 같은 크기의 책상상판이더라도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몸통수용부(110) 크기가 달라 유동적이지만 바람직한 범위는 아주 작은 책상의 경우 돌출 마무리 옆으로 폭(H2)은 최소 3㎝이상 ~ 큰 책상의 경우는 돌출 마무리 옆으로 폭(H2)은 최대 60㎝까지 구성가능하며, 사용자가 몸퉁수용부(110)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양팔을 각각 팔꿈치쪽의 좌우 아래팔이 각각 좌우의 팔지지부(120)에 자연스럽게 동시 지지될 수 있는 면적이 제공되는 형태로 3~60㎝범위 내에서 다양한 사용자의 신장과 팔의 길이 및 몸통의 조건을 고려하고 책상상판의 크기와 형태 및 용도를 포함한 전체적인 조건을 모두 고려하여 팔지지부(120) 각각의 돌출 마무리 옆으로 폭(H2)은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통수용부(110) 양측으로부터 각각 한 쌍의 팔지지부(120)가 돌출형태로 옆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통수용부(110) 내에 몸을 위치시키고 작업하는 사용자(30)는 자신의 양팔(310) 팔꿈치를 자연스럽게 상기 한 쌍의 팔지지부(120)에 위치시키고 작업할 수 있게 되므로 몸을 구부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허리를 편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각연장부(130)는 상기 한 쌍의 팔지지부(120)에서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30)가 자연스럽게 양팔(310)을 벌렸을 때 손이 닿는 위치에 물건을 놓을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앞서 종래의 전형적인 사각형 책상 상판을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점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책상에서 작업하는 사용자의 팔은 자연스럽게 벌린 상태에서 각각 대각선으로 45도 방향으로 펼쳐지게 되어 양팔 사이가 90도 간격이 유지되도록 자연스럽게 벌려지게 되어, 사용자가 책상에서 작업하는 동안 양팔이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양팔 사이의 간격 내에서 주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반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각형 형태의 책상 상판의 경우,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펼친 양팔의 간격을 벗어난 'A'부분의 활용도는 극히 떨어져 거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이 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펼친 양팔의 간격 내에 위치하게 되는 'B'부분의 경우에는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전형적인 사각 형태로 인해 필요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종래의 전형적인 사각 형태의 책상 상판이 갖는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를 구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팔지지부(120)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팔지지부(120)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한 쌍의 팔지지부(120)에서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각도(θ2)는 사선이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45도 각도의 대각선 방향으로) 직선 또는 밖으로 볼록한 원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좌측대각연장부(130)-왼팔지지부(120)-몸통수용부(110)-오른팔지지부(120)-우측대각연장부(130)가 순서대로 'W자' 형태를 이루게 되어, 사용자(30)의 팔꿈치 좌,우측의 극히 활용도가 떨어지는 부분에서는 불필요한 상판을 제거하고, 양팔(310)이 자연스럽게 펼쳐져 벌려졌을 때의 양팔(310) 사이의 간격 내 즉, 사용자가 쉽게 팔을 뻗어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부분에서는 상기 대각연장부(130)가 위치하여 상판의 필요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30)는 기존의 책상 상판(10) 정면부 뿐만 아니라, 팔을 자연스럽게 펼쳐 닿을 수 있는 대각 방향의 책상 상판(10)에 존재하는 상기 대각연장부(130)에도 물건을 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동일 비율의 책상 상판(10) 면적에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책상 상판(10)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책상 상판(10)은 다양한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원형과 직선을 조합한 부채꼴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의 평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이 책상 상판(10)이 원형,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원형과 직선을 조합한 부채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형성하더라도,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특징 즉, 상기 좌측대각연장부(130)-왼팔지지부(120)-몸통수용부(110)-오른팔지지부(120)-우측대각연장부(130)가 순서대로 'W자' 형태를 이루게 되어, 사용자의 팔꿈치 좌,우측의 극히 활용도가 떨어지는 부분에서는 불필요한 상판을 제거하고, 양팔이 자연스럽게 펼쳐져 벌려졌을 때의 양팔 사이의 간격 내 즉, 사용자가 쉽게 팔을 뻗어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부분에서는 상기 대각연장부(130)가 위치하여 상판의 필요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몸통수용부(110), 한 쌍의 팔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는 상기 책상 상판(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을 활용하여 2인용 책상을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2인용 책상 역시 기존 책상과는 다른 특유의 특징과 효과를 갖게 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W자형 책상을 활용한 2인용 책상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2인용 책상은 상기 도 4의(3)에 도시되어 있던 1인용 책상 2개를 좌우로 각각 연결시킨 형태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책상 상판(10)은 정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몸통수용부(110), 한 쌍의 팔지지부(120), 한 쌍의 대각연장부(130)는 상기 책상 상판(10)의 마주보는 꼭지점을 연결하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일 W자형 책상의 우측 대각연장부(130)가 위치하는 면과 타 W자형 책상의 좌측 대각연장부(130)가 위치하는 면을 서로 접합시키는 형태를 갖게 된다.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각형 책상 상판을 갖는 책상을 붙여 2인용 책상으로 활용하는 예들에서는 책상을 좌우로 붙이게 되면 양 사용자의 시선이 서로 동일 방향을 보게 되어 인접한 사용자가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하는 경우에는 허리를 거의 90도 각도로 틀어 마주보고 대화를 나누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함은 물론, 여기서도 역시 사용자의 팔이 자연스럽게 벌려진 상태를 벗어난 부분의 책상 상판은 사용되지 않게 되는 문제를 여전히 내포하게 된다. 그에 반해,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인용 책상은 인접한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시선을 마주치지 않게 하면서도 대략 45도 각도로만 시선이나 몸을 틀면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됨은 물론, 사각형 책상 2개를 맞댄 것에 비해 보다 작은 책상 상판 면적을 갖으면서도 책상 상판(10)의 모든 부분이 자연스럽게 벌린 사용자의 양팔 간격 내에 포함되어 활용빈도가 높게 되어 활용성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인용 책상에서 사용자들의 정면 측 즉, 접합된 일 W자형 책상의 좌측 대각연장부(130)와 타 W자형 책상의 우측 대각연장부(130) 전체를 연하여 형성되는 부분에는 별도의 수납부(140) 즉, 책장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책상 상판
110: 몸통수용부[사용자가 밀착되는 책상 상판의 일면 일부가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양팔을 제외한 몸통만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관상면(coronal plane) 안쪽으로 형성되는 몸통을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부분]
120: 팔지지부[몸통수용부에 밀착 위치한 사용자의 양팔을 자연스럽게 아래로 내리면 자연스럽게 동시 지지되게 해주는 옆으로 폭이 있는 후방돌출 상판면]
130: 대각연장부[사용자의 좌우 팔지지부의 외측면 모서리에서 시작하여 각각 대각 방향의 직선 또는 밖으로 볼록한 원형으로 연장되는 상판면]
140: 수납부
20: 대각선 30: 사용자 310: 양팔

Claims (8)

  1. 책상 상판에 있어서,
    사용자가 밀착되는 책상 상판 일면의 하기 한 쌍의 팔지지부의 좌우 외측면 모서리에서 각각 대각 방향의 직선 또는 밖으로 볼록한 원형으로 연장되는 면을 통해 책상 상판의 면적이 전방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좌우로 각각 확장되도록 하는 한 쌍의 대각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대각연장부의 시작부위인 사용자가 밀착되는 책상 상판의 일면 일부가 함입되는 형태로 사용자의 양팔을 제외한 몸통만을 수용할 수 있도록 빈 공간을 형성하는 몸통수용부와,
    상기 몸통수용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통수용부에 밀착 위치한 사용자의 양팔이 각각 팔꿈치를 축으로 반 정도 접은 상태로 자연스럽게 아래로 내리면 인체공학적으로 상판위에 양팔의 팔꿈치와 아래팔이 자연스럽게 동시에 지지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는 후방돌출 형태의 옆으로 폭이 있는 한 쌍의 팔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대각연장부-왼팔지지부-몸통수용부-오른팔지지부-우측대각연장부가 순서대로 W자 형태를 이루어 책상 상판에서 상기 몸통수용부에 밀착 위치한 사용자의 좌우측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팔지지부의 좌우에는 면적을 줄이고, 사용자가 상기 한 쌍의 팔지지부에 지지된 양팔을 인체공학적 신체구조의 특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벌렸을 때 손이 닿거나 향하는 대각전방방향의 좌우 모서리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대각연장부에서는 각각 대각 방향의 직선 또는 밖으로 볼록한 원형으로 상기 한 쌍의 팔지지부의 좌우 외측면 모서리에서 시작하여 연장되는 면을 통해 책상 상판의 면적이 전방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좌우로 각각 확장되면서 면적이 늘어나게 하고,
    상기 한 쌍의 대각연장부는 각각 대각으로 직선 또는 밖으로 볼록한 원형으로 연장됨으로써 두 개의 W자형 책상을 좌우로 연결해 설치하더라도 양 책상이 맞닿는 부위에 또 다른 몸통수용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몸통수용부에는 몸통수용부에 밀착 위치한 사용자의 관상면(coronal plane) 안쪽으로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된 모든 수용공간에는 책상상판의 크기와 형태에 상관없이 반드시 사용자의 몸통 이외에 사용자의 한쪽 팔 또는 그 이상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옆으로 폭이 넓은 수용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좌우 대각연장부와 만나는 지점까지 함입되는 형태로 사용자가 대면하는 일면 전체가 몸통수용부로 구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한 쌍의 팔지지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좌우 대각연장부와 상기 몸통수용부가 직접 만나는 형태로 뾰족하게 구성되지 않도록 하며, 상판의 크기나 형태에 상관없이 몸통수용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양팔의 팔꿈치가 상기 한 쌍의 팔지지부에 자연스럽게 동시 지지될 수 있도록 반드시 옆으로의 폭이 확보되는 구성의 한 쌍의 팔지지부를 특징으로 하는 W자형 책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023215A 2012-03-07 2012-03-07 W자형 책상 Active KR10142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215A KR101421071B1 (ko) 2012-03-07 2012-03-07 W자형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215A KR101421071B1 (ko) 2012-03-07 2012-03-07 W자형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014A KR20130119014A (ko) 2013-10-31
KR101421071B1 true KR101421071B1 (ko) 2014-07-18

Family

ID=4963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215A Active KR101421071B1 (ko) 2012-03-07 2012-03-07 W자형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789B1 (ko) * 2019-07-01 2020-06-01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작업자 공간이 형성되어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한 봉제테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6029U (ko) * 1985-09-10 1987-03-20
KR200262902Y1 (ko) * 2001-11-15 2002-03-18 유재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040106842A (ko) * 2003-06-11 2004-12-18 주식회사 유일산업 테이블용 상판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6029U (ko) * 1985-09-10 1987-03-20
KR200262902Y1 (ko) * 2001-11-15 2002-03-18 유재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040106842A (ko) * 2003-06-11 2004-12-18 주식회사 유일산업 테이블용 상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789B1 (ko) * 2019-07-01 2020-06-01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작업자 공간이 형성되어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한 봉제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014A (ko)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815650U (zh) 一种可调节的枕头
JP2008259811A (ja) 背凭れ部に形状記憶スポンジが設けられた椅子
KR100839364B1 (ko) 안면 쿠션
TWM640897U (zh) 坐墊塑形調節構造
US20140312659A1 (en) Chair with cold protection hand pockets
KR101421071B1 (ko) W자형 책상
USD977872S1 (en) Portable and adjustable leg-supporting seat cushion
CN206197536U (zh) 一种多功能新型沙发
CN204698189U (zh) 一种底部易清理式沙发
CN210471745U (zh) 一种组合枕
CN104523024A (zh) 阅读平台
JP2022111176A (ja) 家具
CN204995002U (zh) 办公椅
TWI759222B (zh) 摺疊椅
TWI830518B (zh) 坐墊塑形調節構造
CN202843021U (zh) 一种可拆卸式的沙发扶手套
CN203597662U (zh) 多功能午休枕
CN201996032U (zh) 一种多功能羽绒靠毯
CN202981081U (zh) 可坐可平睡两用办公椅
CN203028630U (zh) 一种多功能电脑椅
CN200987774Y (zh) 一种边沿内凹式按摩床
KR20100134197A (ko) 의자 수납식 테이블
CN203153088U (zh) 一种靠背式座椅
JP3173635U (ja) 机上仮眠用胸部支持台
CN105902014A (zh) 一种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5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7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21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0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7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20529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1023

Appeal identifier: 2012101010617

Request date: 20121220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3101001610

Request date: 20130304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PJ0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30304

Appeal identifier: 20131010016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20

Effective date: 2013102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21220

Decision date: 20131023

Appeal identifier: 2012101010617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1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8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