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342B1 -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 Google Patents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342B1
KR101418342B1 KR1020130042513A KR20130042513A KR101418342B1 KR 101418342 B1 KR101418342 B1 KR 101418342B1 KR 1020130042513 A KR1020130042513 A KR 1020130042513A KR 20130042513 A KR20130042513 A KR 20130042513A KR 101418342 B1 KR101418342 B1 KR 10141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ample
core
epoxy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식
오청록
조주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42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5/00Apparatus for obtaining or removing undisturbed cores, e.g. core barrels or core extra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퇴적층의 시료를 채취하는 캔코어; 상기 채취된 시료가 노출되는 상기 캔코어의 상부에 구비되되 캔코어와 외관 형상이 동일한 중공의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구비되되 상기 캔코어에서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시료를 구획하는 파티션;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되 시료의 퇴적구조를 본뜬 모양이 형성되는 천이 구비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Restoration apparatus for a sedimentary structure of an undisturbed layer of recent intertidal sediments}
본 발명은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태계에서 토양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토양 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명확히 구명하기 위해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러한 토양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토층지반의 현장조건이 유지되도록 불교란 상태의 시료채취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퇴적층의 구조 및 입도 조성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를 입체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방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대상 퇴적층의 표면을 평탄하게 한 다음, 에폭시를 가한 후에 광목천을 덧대어 복원한다.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시 퇴적층의 암상에 따라 공극이 큰 조립질 입자는 에폭시가 깊게 투과하고, 공극이 작은 세립질 입자는 에폭시가 얕게 투과하게 되며, 에폭시의 경화가 이루어진 후 광목천을 퇴적층으로부터 제거하면 에폭시의 침투 정도에 따라 조립질 입자는 두꺼운 층으로 세립질 입자는 얇은 층으로 광목천에 부착된 상태로 회수된다.
그러나, 이러한 퇴적층의 입체적인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공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조간대 퇴적층과 같이 불교란 암상이 산출되는 퇴적층의 경우엔 불균질 암상을 고려한 체계화된 복원 기술의 부재로 인해 일관된 품질의 복원 구조의 제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1452호(2012.03.16. 공고)에 개시되어 있는 토양 시료 보관 상자용 토양 시료 채취 시스템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간대 퇴적층과 같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를 입체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복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퇴적층의 시료를 채취하는 캔코어; 상기 채취된 시료가 노출되는 상기 캔코어의 상부에 구비되되 캔코어와 외관 형상이 동일한 중공의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구비되되 상기 캔코어에서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시료를 구획하는 파티션;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되 시료의 퇴적구조를 본뜬 모양이 형성되는 천이 구비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캔코어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캔코어에서 수코어가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프레임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채취된 시료의 표면에서부터 1 내지 2 ㎝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티션은 ┏┓ 형상이고, 상기 ┏┓ 형상의 파티션에 상기 캔코어에서 채취된 시료를 수용하도록 ┏┓ 형상의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티션의 양측에는 제1프레임에 고정되도록 ┏┓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프레임에 포함되는 천은 광목천, 삼베천, 모시천 및 내열합섬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프레임에 포함되는 천은 상기 제2 프레임의 가로 및 세로 길이보다 각각 5 내지 10 ㎝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퇴적층의 시료가 채취된 캔코어에서 수코어를 분리한 후 상기 캔코어의 상부에 제1 프레임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캔코어에서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를 구분하여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파티션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파티션으로 구획된 시료에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파티션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프레임 상부에 상기 시료의 퇴적구조를 본뜬 모양이 형성되는 천이 구비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시료에 도포된 에폭시 또는 혼합용액을 상온에서 건조시킨 후 제2 프레임을 회수하여 천에 형성된 시료의 퇴적구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채취된 시료의 입도는 상기 시료에서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 모래 및 진흙이 교호된 부분 및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티션은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과 모래와 진흙이 교호된 부분의 경계 및 모래와 진흙이 교호된 부분과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의 경계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에는 에폭시 총무게에 대해 0 ~ 3%의 아세톤이 첨가된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래 및 진흙이 교호된 부분에는 에폭시 총무게에 대해 3 ~ 10%의 아세톤이 첨가된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에는 에폭시 총무게에 대해 7 ~ 10%의 아세톤이 첨가된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X-선 및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웠던 퇴적구조를 3차원 구조로 복원할 수 있어 선명하고 정밀하게 퇴적구조를 분석할 수 있고,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다양한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비율을 제시함으로써 퇴적구조의 입체화가 극대화된 양질의 결과물을 획득하여 영구보존할 수 있다.
또한,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을 위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다량으로 퇴적구조를 복원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품질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서 캔코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서 캔코어, 제1 프레임 및 파티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서 제2 프레임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서 캔코어, 제1 프레임 및 파티션이 구비되는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서 캔코어,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이 구비되는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퇴적층의 시료를 채취하는 캔코어;
상기 채취된 시료가 노출되는 상기 캔코어의 상부에 구비되되 캔코어와 외관 형상이 동일한 중공의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구비되되 상기 캔코어에서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시료를 구획하는 파티션;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되 시료의 퇴적구조를 본뜬 모양이 형성되는 천이 구비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는 종래 X-선 및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웠던 퇴적구조를 3차원 구조로 복원할 수 있어 선명하고 정밀하게 퇴적구조를 분석할 수 있고,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다양한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비율을 제시함으로써 퇴적구조의 입체화가 극대화된 양질의 결과물을 획득하여 영구보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에서의 아세톤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시료의 퇴적구조 형성에 대한 실패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다량으로 퇴적구조를 복원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품질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100)는 캔코어(110), 제1 프레임(120), 파티션(130) 및 제2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현생 조간대는 해수의 만조(滿潮)·간조(干潮)의 평균해수면(平均海水面) 사이에 끼어있는 뭍과 바다의 경계 부분에 존재하는 퇴적층을 나타내며,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인 요인 등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환경이다. 또한,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전이지대는 퇴적물의 집적 및 이동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곳으로 이러한 지역에서 채취한 퇴적층은 모래 및 진흙과 같은 다양한 입자들에 의해 퇴적구조들이 생성되며, 이러한 퇴적구조들은 현생 퇴적환경 평가 및 저류층 모델링에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상기 캔코어(110)는 암코어 및 수코어로 구성되며, 현생 조간대의 불교란 퇴적층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고, 암코어에서 수코어를 분리하여 채취된 시료의 퇴적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어 육안으로 퇴적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20)은 상기 채취된 시료가 노출되는 캔코어(110)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캔코어(110)의 외관과 형상이 동일하고, 속이 빈 중공 형상이다.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내부 모서리 부분에는 돌출부(12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캔코어(1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고).
상기 파티션(130)은 상기 제1 프레임(120) 상에 구비되되 상기 캔코어(110)에서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채취된 시료를 구획할 수 있고,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140)은 상기 제1 프레임(120)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1 프레임(120)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시료의 퇴적구조를 본뜬 모양이 형성되는 천(150)이 구비된다.
상기 채취된 시료는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111)과 모래 및 진흙이 교호된 부분(112) 및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113)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육안으로도 충분히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130)은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111)과 모래와 진흙이 교호된 부분(112)의 경계 및 모래와 진흙이 교호된 부분(112)과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113)의 경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서 캔코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캔코어(110)는 암코어(110a) 및 수코어(110b)로 구성되며, 도 2의 (b)을 참고하면 수코어(110b)는 암코어(110a)를 수용하면서 포개져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캔코어(110)는 암코어(110a) 및 수코어(110b)로 구성되어 상기 캔코어(110)에서 채취된 시료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상기 암코어(110a)에서 상기 수코어(110b)를 분리하여 실시간으로 채취된 시료의 퇴적구조를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서 캔코어, 제1 프레임 및 파티션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A'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를 참고하면, 파티션(130)은 ┏┓ 형상이고, 상기 ┏┓ 형상의 파티션(130)에 상기 캔코어(110)에서 채취된 시료 표면을 수용하도록 ┏┓ 형상의 수용부(132)가 형성되어 채취된 시료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시료에 도포되는 용액이 서로 상이하므로 이들 용액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130)의 양측에는 제1프레임(120)에 고정되도록 ┏┓ 형상의 고정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32) 양측에는 상기 캔코어(11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1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b)를 참고하면, 상기 캔코어(110)의 상부에는 제1 프레임(120)이 구비되고, 상기 캔코어(110)에서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120)을 구획하는 파티션(130)이 상기 제1 프레임(120) 상에 구비된다.
도 3의 (c)는 상기 캔코어(110), 제1 프레임(120) 및 파티션(130)이 결합된 모양을 나타낸다. 상기 제1 프레임의 수직 방향의 높이(도 3의 (c)에서 h)는 채취된 시료의 표면에서부터 1 내지 2 ㎝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가 1 ㎝ 미만인 경우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누출될 수 있고, 2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료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제2 프레임에 구비된 천이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에 충분히 침지되지 않아 시료의 가장자리의 퇴적구조가 복원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서 제2 프레임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40)은 제2 프레임 상부(140a) 및 제2 프레임 하부(140b)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상부(140a)와 제2 프레임 하부(140b) 사이에 천(150)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프레임 상부(140a)와 제2 프레임 하부(140b)의 모서리 부분에는 연결돌기 및 연결홈이 각각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2 프레임 상부(140a) 및 제2 프레임 하부(140b)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프레임 상부(140a)와 제2 프레임 하부(140b)의 연결에 의해 고정되는 천(150)은 채취된 시료의 모든 면적을 복원하기 위해 너무 팽팽하게 구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천은 광목천, 삼베천, 모시천, 내열합섬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광목천이 가장 적절하다.
도 4의 (b)는 천(150)이 구비된 제2 프레임(140)을 나타내며, 상기 제2 프레임(140)에 구비된 천(150)은 상기 제2 프레임(140)의 가로 및 세로 길이보다 각각 5 내지 10 ㎝ 범위로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가 5 ㎝ 미만인 경우에는 시료의 모서리 부분에서의 퇴적구조를 본뜨기 어렵고 천을 회수하기 어려워 복원된 퇴적구조가 손상될 수 있으며, 1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큰 크기의 천으로 인해 천을 회수하기 어렵고 복원된 부분만을 회수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천이 소모된다.
또한, 본 발명은 퇴적층의 시료가 채취된 캔코어에서 수코어를 분리한 후 상기 캔코어의 상부에 제1 프레임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캔코어에서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를 구분하여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파티션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파티션으로 구획된 시료에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파티션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프레임 상부에 상기 시료의 퇴적구조를 본뜬 모양이 형성되는 천이 구비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시료에 도포된 에폭시 또는 혼합용액을 상온에서 건조시킨 후 제2 프레임을 회수하여 천에 형성된 시료의 퇴적구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은 퇴적층의 시료가 채취된 캔코어에서 수코어를 분리한 후 상기 캔코어의 상부에 제1 프레임을 구비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캔코어로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시료를 채취하게 되고, 상기 캔코어에서 수코어를 분리하여 채취된 시료가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상기 수코어가 분리된 캔코어의 상부에 제1 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채취된 시료는 스파출라(spatula)를 이용하여 시료의 표면을 고르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은 상기 캔코어에서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를 구분하여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파티션을 구비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상기 채취된 시료는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과 모래 및 진흙이 교호된 부분 및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육안으로도 충분히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은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과 모래와 진흙이 교호된 부분의 경계 및 모래와 진흙이 교호된 부분과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의 경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은 조립사(coarse sand, 입도: 0.5 ~ 1 ㎜)이상인 부분과 중립사(fine-medium sand, 입도: 0.25 ~ 0.5 ㎜) 부분으로 구분하여 조립사 부분과 중립사 부분의 경계에 파티션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모래 및 진흙이 교호된 부분은 진흙의 입도가 0.0039 ㎜ 이상인 부분과 0.0039 ㎜ 이하인 부분으로 구분하여 경계에 파티션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은 모래가 소량이 혼합되어 있는 부분과 세립한 진흙만으로 이루어진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고 경계에 파티션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서 캔코어, 제1 프레임 및 파티션이 구비되는 모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퇴적층의 시료가 채취된 캔코어(110)에서 수코어를 제거한 후 상기 캔코어(110)의 상부에 제1 프레임이 구비된다. 채취된 퇴적층의 시료는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111)과 모래 및 진흙이 교호된 부분(112) 및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113)으로 구분되고,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111)과 모래와 진흙이 교호된 부분(112)의 경계 및 모래와 진흙이 교호된 부분(112)과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113)의 경계에 파티션(13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파티션(130)은 제1 프레임(120) 상에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은 상기 파티션으로 구획된 시료에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을 도포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파티션이 구비되고, 각각의 구획된 시료에는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도포되고,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도포되는 용액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도포되는 용액이 달라지지만 파티션에 의해 서로 섞이지 않고 제1 프레임은 용액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에는 에폭시 총무게에 대해 0 ~ 3%의 아세톤이 첨가된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도포된다. 또한, 모래 및 진흙이 교호된 부분에는 에폭시 총무게에 대해 3 ~ 10%의 아세톤이 첨가된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도포되고,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에는 에폭시 총무게에 대해 7 ~ 10%의 아세톤이 첨가된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도포된다. 상기 입도 분포에 따른 아세톤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시료의 퇴적구조를 본뜰 수 없어 퇴적구조를 복원하지 못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적용되는 아세톤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단, 에폭시는 경화제와 주제가 1: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이다.
입도 분포 아세톤량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 조립사 이상인 경우 아세톤을 혼합하지 않음
중립사인 경우 에폭시 총무게의 3% 이하로 아세톤 첨가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 소량의 모래가 혼합된 경우 에폭시 총무게의 7%로 아세톤이 첨가된 혼합용액
세립한 진흙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에폭시 총무게의 10%로 아세톤이 첨가된 혼합용액
모래와 진흙이 교호된 부분 진흙의 입도가 0.0039 ㎜ 이상인 경우 모래: 에폭시 총무게의 3%로 아세톤이 첨가된 혼합용액
진흙: 에폭시 총무게의 10%로 아세톤이 첨가된 혼합용액
진흙의 입도가 0.0039 ㎜ 이하인 경우 에폭시 총무게의 5%로 아세톤이 첨가된 혼합용액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에서 조립사(coarse sand, 입도: 0.5 ~ 1 ㎜)이상인 부분과 중립사(fine-medium sand, 입도: 0.25 ~ 0.5 ㎜) 부분으로 구분된 부분, 모래 및 진흙이 교호된 부분에서 진흙의 입도가 0.0039 ㎜ 이상인 부분과 0.0039 ㎜ 이하인 부분 및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에서 모래가 소량이 혼합되어 있는 부분과 세립한 진흙만으로 이루어진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표 1을 참고하여 혼합용액을 시료에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은 상기 파티션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프레임 상부에 상기 시료의 퇴적구조를 본뜬 모양이 부착되는 천이 구비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시료의 퇴적구조를 본뜬 모양이 부착되는 천은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의 가사시간 및 경화시간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용액이 시료 위에 도포된 직후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료에 에폭시 또는 혼합용액이 도포되면 파티션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프레임 상부에 천이 구비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천은 에폭시 또는 혼합용액이 도포된 시료 위에 놓이게 되고, 캔코어와 시료가 맞닿은 가장자리 부분은 천이 잘 닿지 않을 수 있으므로 에폭시 또는 혼합용액이 천에 잘 묻어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공기방울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은 상기 시료에 도포된 에폭시 또는 혼합용액을 상온에서 건조시킨 후 제2 프레임을 회수하여 천에 형성된 시료의 퇴적구조를 얻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시료에 도포된 에폭시 또는 혼합용액은 상온에서 4 ~ 6시간 정도 건조시킨 후 제2 프레임을 회수하여 천을 뜯어내는데 이때 캔코어의 시료가 한꺼번에 천에 붙어나오는 경우를 대비하여 스파출라로 에폭시 및/또는 혼합용액이 시료와 섞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캔코어 내부로 떨쳐내며 뜯어내도록 하고, 복원된 퇴적구조가 손상되지 않도록 흐르는 물에 씻어주고 상온에서 건조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서 캔코어,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이 구비되는 형상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111)에는 에폭시 총무게에 대해 0 ~ 3%의 아세톤이 첨가된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도포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으로 구획된 시료에서 모래 및 진흙이 교호된 부분(112)에는 에폭시 총무게에 대해 3 ~ 10%의 아세톤이 첨가된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도포되고, 상기 파티션으로 구획된 시료에서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113)에는 에폭시 총무게에 대해 7 ~ 10%의 아세톤이 첨가된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도포된다. 상기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을 시료에 도포한 다음 상기 파티션(130)을 제거하며, 상기 제1 프레임(120) 상부에 상기 시료의 퇴적구조를 본뜬 모양이 형성되는 천(150)이 구비된 제2 프레임(140)을 구비한다.
상기 시료에 도포된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에 상기 천(150)을 침지시킨 후 상온에서 건조시켜 천(150)에 시료의 퇴적구조를 형성시키고 제2 프레임(140)을 회수한 다음 시료를 천(150)과 분리하여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를 복원한다(미도시).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110: 캔코어 110a: 암코어
110b: 수코어 111: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
112: 모래 및 진흙이 교호된 부분 113: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
120: 제1 프레임 121: 돌출부
130: 파티션 131: 고정홈
132: 수용부 133: 고정부재
140: 제2 프레임 140a: 제2 프레임 상부
140b: 제2 프레임 하부 150: 천

Claims (15)

  1. 퇴적층의 시료를 채취하는 캔코어;
    상기 채취된 시료가 노출되는 상기 캔코어의 상부에 구비되되 캔코어와 외관 형상이 동일한 중공의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구비되되 상기 캔코어에서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에 따라 시료를 구획하는 파티션;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되 시료의 퇴적구조를 본뜬 모양이 형성되는 천이 구비된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 모서리에는 상기 캔코어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코어에서 수코어가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수직 방향의 높이는 채취된 시료의 표면에서부터 1 내지 2 ㎝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 형상의 파티션에 상기 캔코어에서 채취된 시료를 수용하도록 ┏┓ 형상의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양측에는 제1프레임에 고정되도록 ┏┓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 포함되는 천은 광목천, 삼베천, 모시천 및 내열합섬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 포함되는 천은 상기 제2 프레임의 가로 및 세로 길이보다 각각 5 내지 10 ㎝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10. 퇴적층의 시료가 채취된 캔코어에서 수코어를 분리한 후 상기 캔코어의 상부에 제1 프레임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캔코어에서 채취된 시료의 입도 분포를 구분하여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파티션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파티션으로 구획된 시료에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파티션을 제거한 후 상기 제1 프레임 상부에 상기 시료의 퇴적구조를 본뜬 모양이 형성되는 천이 구비된 제2 프레임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시료에 도포된 에폭시 또는 혼합용액을 상온에서 건조시킨 후 제2 프레임을 회수하여 천에 형성된 시료의 퇴적구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된 시료의 입도는 상기 시료에서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 모래 및 진흙이 교호된 부분 및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과 모래와 진흙이 교호된 부분의 경계 및 모래와 진흙이 교호된 부분과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의 경계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가 90% 이상인 부분에는 에폭시 총무게에 대해 0 ~ 3%의 아세톤이 첨가된 에폭시 또는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 및 진흙이 교호된 부분에는 에폭시 총무게에 대해 3 ~ 10%의 아세톤이 첨가된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흙이 90% 이상인 부분에는 에폭시 총무게에 대해 7 ~ 10%의 아세톤이 첨가된 에폭시와 아세톤의 혼합용액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방법.
KR1020130042513A 2013-04-17 2013-04-17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KR101418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513A KR101418342B1 (ko) 2013-04-17 2013-04-17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513A KR101418342B1 (ko) 2013-04-17 2013-04-17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342B1 true KR101418342B1 (ko) 2014-07-10

Family

ID=5174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513A KR101418342B1 (ko) 2013-04-17 2013-04-17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3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610A (ko) * 1986-07-10 1988-04-25 기오르기 패케테, 에바 프리이드만 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H0613474Y2 (ja) * 1987-09-08 1994-04-06 英夫 中島 地層サンプル収納容器の構造
JPH06272224A (ja) * 1993-03-19 1994-09-27 Off Maccaferri Spa 保護植物性防壁用マットレス型土嚢の構築方法
KR101121450B1 (ko) 2011-10-19 2012-03-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양 시료 보관 상자용 포터블 시료채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610A (ko) * 1986-07-10 1988-04-25 기오르기 패케테, 에바 프리이드만 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H0613474Y2 (ja) * 1987-09-08 1994-04-06 英夫 中島 地層サンプル収納容器の構造
JPH06272224A (ja) * 1993-03-19 1994-09-27 Off Maccaferri Spa 保護植物性防壁用マットレス型土嚢の構築方法
KR101121450B1 (ko) 2011-10-19 2012-03-1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토양 시료 보관 상자용 포터블 시료채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rssen et al. Upper Palaeozoic lithostratigraphy of the Southern Norwegian Barents Sea
Semeniuk et al. Calcrete in Quaternary coastal dunes in southwestern Australia; a capillary-rise phenomenon associated with plants
Lehrmann et al. Controls on facies architecture of a large Triassic carbonate platform; the Great Bank of Guizhou, Nanpanjiang Basin, South China
Boixadera et al. Loess and soils in the eastern Ebro Basin
Shigeta et al. The Lower Triassic System in the Abrek Bay Area, South Primorye, Russia
Badía et al. Soil evolution over the Quaternary period in a semiarid climate (Segre river terraces, northeast Spain)
Pimentel Pedogenic and early diagenetic processes in Palaeogene alluvial fan and lacustrine deposits from the Sado Basin (S Portugal)
Xu et al. Sedimentary facies of the subaqueous Changjiang River delta since the late Pleistocene
KR101418342B1 (ko) 현생 조간대 불교란 퇴적층의 퇴적구조 복원 장치
Veneman et al. Chemical and morphological soil characteristics in a New England drainage‐toposequence
Bouma Characterization of flow processes during drainage in some Dutch heavy clay soils
Blume et al. Subsurface water movement in an upland coastal plain soil as influenced by plinthite
Bosellini et al. Coral facies and cyclicity in the Castelgomberto Limestone (Early Oligocene, Eastern Lessini Mountains, Northern Italy).
Johnson et al. Lake Theo: Late quaternary paleoenvironmental data and new plainview (Paleoindian) date
Billeaud et al. The carbonate-evaporite lagoon of Al Dakhirah (Qatar): an example of a modern depositional model controlled by longshore transport
Barta The structure and origin of loess dolls: a case study from the loess-paleosoil sequence of Süttő, Hungary
Senut Fossil ratite eggshells: a useful tool for Cainozoic biostratigraphy in Namibia
Jacob The Agroecological Evolution of Cobweb Swamp, Belize
Huh Mississippian stratigraphy and sedimentology, across the Wasatch line, east-central Idaho and extreme southwestern Montana
Supko Depositional and diagenetic features in subsurface Bahamian rocks
Wendorf et al. Middle Paleolithic lakes in the southwestern Desert of Egypt
Al-Juboury et al. Middle Miocene evaporites from northern Iraq: Petrography, geochemistry, and cap rock efficiency
Carrara et al. Calcareous tufa deposits of the Aniene valley between Vallepietra and Mandela-Vicovaro (Latium, Central Italy)
Brinkman et al. Problem hydromorphic soils in north-east Thailand. 1. Environment and soil morphology.
Niebieszczański et al. Coastal changes and human occupation in the eastern part of Thessaloniki Bay: Geo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of Toumba Go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