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476B1 -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6476B1 KR101416476B1 KR1020130017492A KR20130017492A KR101416476B1 KR 101416476 B1 KR101416476 B1 KR 101416476B1 KR 1020130017492 A KR1020130017492 A KR 1020130017492A KR 20130017492 A KR20130017492 A KR 20130017492A KR 101416476 B1 KR101416476 B1 KR 1014164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groove
- stay rod
- machining
- rolle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4—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ro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테이로드의 하측 제1가공부와 제2가공부 저면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개의 설치홈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언더플레이트와, 상기 제1가공부와 제2가공부의 상면 한쪽과 대향된 상면 다른쪽 일부분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개의 설치홈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언더플레이트의 상부 양측에 각각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어퍼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가공부와 제2가공부의 간격과 상응하는 상하 간격을 가지면서 함께 수평방향으로 전후 왕복하는 제1,2고정부재; 및 외측둘레에 다수개의 압착부재가 일부분이 돌출된 형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조가공 로울러와, 외주면에 연마제가 도포된 연마가공 로울러가 상기 한 쌍의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구동수단을 통해 각각 구동되는 제1,2가공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스테이로드에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을 동시에 연속 가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스테이로드에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을 형성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어 스테이로드의 제작 효율성 또한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스테이로드에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을 동시에 연속 가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스테이로드에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을 형성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어 스테이로드의 제작 효율성 또한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등에 사용되는 스테이로드에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을 동시에 가공하면서 다수개의 스테이로드를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작업 효율성의 향상과 함께 대량 생산을 통한 생산성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는 등을 기댈 수 있는 시트 백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승객의 후두부를 받쳐주는 일종의 안전 및 편의장치로서, 차량의 추돌시 목의 부상을 방지하고, 머리를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헤드레스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일정한 형태로 재봉결합되어 내부에 발포액 주입공간을 가지는 쿠션체가 형성되고, 그 쿠션체의 저면으로 설치공을 형성한 후 그 설치공으로 시트 백과 헤드레스트를 연결해주는 스테이로드의 상단이 내설됨과 동시에 발포액이 충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스테이로드는 시트 백과 헤드레스트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면서 헤드레스트가 시트 백으로부터 상하방향 승강 및 탈착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줌에 따라 사용자의 키 높이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뒷좌석 승객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시트 백으로부터 헤드레스트를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스테이로드는 금속의 봉재로 구성되며, 상부는 헤드레스트의 쿠션체와 고정되고, 하부 양측은 시트 백에 끼워져 슬라이딩 되면서 높이가 조절됨과 동시에 탈착될 수 있도록 하부의 측면에 다수개의 길이조절용 홈과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 백에는 스테이로드의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홈을 제어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스테이로드의 하부에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홈을 가공하는 장치의 선행기술로는 국내특허 공개번호 10-2005-0091268호 "파이프재의 홈부 성형방법"이 이미 제안된 바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파이프재에 홈부를 형성하는 성형 방법으로서, 파이프재의 공동부에 홈부의 암형이 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오목부를 주단부에 갖는 코어를 삽입하여 양자를 고정하고, 회전 이동 가능하게 부착한 단수 또는 복수의 회전 수형을 파이프재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이동시키며, 회전 이동하는 회전 수형의 외주단부를 파이프재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주단부에, 코어가 갖는 오목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부터 접촉시키고, 파이프재의 주단부를 오목부로 밀어넣어, 홈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구성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홈부를 형성시키는 방법의 경우 파이프재의 성형가공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재 내부에 별도의 코어를 집어넣어 사용해야 하며, 상,하부 금형으로 파이프재 고정시킨 후 프레스를 작동시켜야 함에 따라 공정이 복잡해지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연속 공정이 어렵고, 대량생산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스테이로드를 동시에 고정시키고, 고정된 스테이로드에 전조가공과 연마가공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스테이로드에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도록 한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과 관련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은,
스테이로드의 하측 제1가공부와 제2가공부 저면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개의 설치홈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언더플레이트와, 제1가공부와 제2가공부의 상면 한쪽과 대향된 상면 다른쪽 일부분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개의 설치홈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언더플레이트의 상부 양측에 각각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어퍼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제1가공부와 제2가공부의 간격과 상응하는 상하 간격을 가지면서 함께 수평방향으로 전후 왕복하는 제1,2고정부재; 및 외측둘레에 다수개의 압착부재가 일부분이 돌출된 형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조가공 로울러와, 외주면에 연마제가 도포된 연마가공 로울러가 한 쌍의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구동수단을 통해 각각 구동되는 제1,2가공수단;을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제1,2가공수단의 전조가공 로울러는 외측둘레에 다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끼움홈에는 일부분이 전조가공 로울러의 외측둘레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압착부재를 설치하되, 전조가공 로울러의 측면을 통해 관통 설치되는 고정축에 압착부재의 중심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다수개의 압착부재는 전조가공 로울러 외측둘레의 축방향 동일선상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다수개의 압착부재는 전조가공 로울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의 축을 중심으로 전조가공 로울러 외측둘레에 방사형태로 구성하되, 각각의 압착부재가 동일 선상에서 서로 겹쳐지지 않으면서 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제1,2고정부재는 제자리에 고정되고, 제1,2가공수단은 각각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전후 왕복되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제1,2고정부재와 제1,2가공수단은 설치 바닥면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전조가공 로울러 외측둘레 한쪽에는 다수개의 압착부재가 배치되고, 압착부재와 대향된 전조가공 로울러 외측둘레의 반대쪽에는 일부 구간에 연마제가 구비된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은,
상측과 하측에 이격 되어 설치된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어퍼플레이트를 언더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키고, 제1고정부재의 언더플레이트에 형성된 설치홈에 스테이로드의 제1가공부를 올려놓고, 제2고정부재의 언더플레이트에 형성된 설치홈에는 스테이로드의 제2가공부를 올려놓은 후,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어퍼플레이트를 언더플레이트에 각각 결합시켜 제1,2고정부재에 스테이로드가 고정되도록 하는 스테이로드 고정단계;와
제1,2가공수단이 제1,2고정부재의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면서 각각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고, 제1,2고정부재는 전후왕복수단에 의해 일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가공 준비단계;와
제1,2고정부재의 수평 이동에 따라 제1가공부의 가공면과 제2가공부의 가공면이 제1,2가공수단의 전조가공 로울러의 압착부재에 의해 1차 가공되면서 제1,2가공부에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이 형성되는 전조 가공단계;와
전조 가공단계를 거친 제1,2가공부의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이 전조가공 로울러의 후방에 위치한 연마가공 로울러에 의해 2 차 가공되면서 제1,2가공부 표면으로부터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위가 제거되는 연마 가공단계; 및
제1,2고정부재의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던 제1,2가공수단이 제1,2고정부재로부터 벗어나고, 제1,2고정부재의 어퍼플레이트를 언더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킨 후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이 형성된 스테이로드를 제1,2고정부재로부터 분리시키는 스테이로드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가공방법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은 다수개의 스테이로드에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어 가공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해져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고, 가공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스테이로드에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을 형성위치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어 스테이로드의 제작에 따른 효율성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로드의 홈 가공장치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로드의 홈 가공장치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장치의 가공수단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c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공장치의 가공수단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와 요부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장치에 의해 스테이로드의 가공과정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른 가공장치와 그러한 가공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테이로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따른 가공장치와 그러한 가공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테이로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 따른 가공장치와 그러한 가공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테이로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 따른 가공장치와 그러한 가공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테이로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 따른 가공장치와 그러한 가공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테이로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로드의 홈 가공장치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장치의 가공수단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c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공장치의 가공수단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와 요부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장치에 의해 스테이로드의 가공과정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른 가공장치와 그러한 가공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테이로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따른 가공장치와 그러한 가공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테이로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 따른 가공장치와 그러한 가공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테이로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 따른 가공장치와 그러한 가공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테이로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 따른 가공장치와 그러한 가공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스테이로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의 구성을 보면 도 1 및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스테이로드(500)를 고정시켜주기 위하여 상하로 결합되는 어퍼플레이트(110)(210)와 언더플레이트(120)(220)를 포함하는 제1,2고정부재(100)(200)와,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와 연마가공 로울러(320)(420)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면서 제1,2고정부재(100)(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2가공수단(300)(400)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고정부재(100)는,
언더플레이트(110)와 어퍼플레이트(120)로 구성되며, 언더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스테이로드(500)의 제1가공부(510)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반원형 설치홈(121)이 등 간격을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언더플레이트(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플레이트(110)는 언더플레이트(120)의 전방 일부분과 후방 일부분에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분리되어 구성된 것이며, 어퍼플레이트(110)의 저면에는 스테이로드(500)의 제1가공부(510) 상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반원형 설치홈(111)이 등 간격을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언더플레이트(120)와 한쌍의 어퍼플레이트(110)가 서로 결합되면서 다수개 스테이로드(500)의 제1가공부(510)를 감싸면서 고정하게 되고, 이때 한쌍의 어퍼플레이트(110) 사이로 제1가공부(510)의 가공면(510a)이 노출되면서 제1가공수단(300)에 의해 가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2고정부재(200)는,
언더플레이트(220)와 어퍼플레이트(210)로 구성되며, 언더플레이트(220)의 상면에는 스테이로드(500)의 제2가공부(520)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반원형 설치홈(221)이 등 간격을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언더플레이트(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플레이트(210)는 언더플레이트(220)의 전방 일부분과 후방 일부분에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분리되어 구성된 것이며, 어퍼플레이트(210)의 저면에는 스테이로드(500)의 제2가공부(520) 상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반원형 설치홈(211)이 등 간격을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언더플레이트(220)와 한쌍의 어퍼플레이트(210)가 서로 결합되면서 다수개 스테이로드(500)의 제2가공부(520)를 감싸면서 고정하게 되고, 이때 한쌍의 어퍼플레이트(210)사이로 제2가공부(520)의 가공면(520a)이 노출되면서 제2가공수단(400)에 의해 가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스테이로드(500)의 제1가공부(510)와 제2가공부(520)가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에 각각 고정되면서 제1가공부(510)와 제2가공부(520)가 제1,2가공수단(300)(400)에 의해 가공되는 과정에서 제1가공부(510) 또는 제2가공부(520)가 회전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에 설치된 스테이로드(500)의 전후움직임에 대해서는 별도의 고정장치(도면중 미도시)를 통해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아울러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는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전후왕복수단(도면중 미도시)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함께 왕복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의 언더플레이트(120)(220)와 어퍼플레이트(110)(210)에 설치홈(121)(221)(111)(211)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언더플레이트(120)(220)와 어퍼플레이트(110)(210)의 설치홈(121)(221)(111)(211)을 반원형으로 각각 구성하되, 언더플레이트(120)(220)의 상부에 어퍼플레이트(110)(210)가 겹쳐져 고정되면 언더플레이트(120)(220)의 설치홈(121)(221)의 상면과 어퍼플레이트(110)(210)의 설치홈(111)(211)의 저면이 완전히 접면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스테이로드(500)의 제1,2가공부(510)(520)를 사이에 두고 언더플레이트(120)(220)와 어퍼플레이트(110)(210)가 결합되어 고정될 때 설치홈(121)(221)(111)(211)에 의해 제1,2가공부(510)(520)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언더플레이트(120)(220)에 형성되는 설치홈(121)(221)은 반원보다 크게 구성하고, 어퍼플레이트(110)(210)의 설치홈(111)(211)은 반원보다 작게 구성하게 되면 어퍼플레이트(110)(210)의 설치홈(111)(211)이 제1,2가공부(510)(520)의 상면을 더욱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이와 함께 언더플레이트(120)(220)의 설치홈(121)(221)에 올려진 제1가공부(510) 또는 제2가공부(520)가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에 의해 눌리면서 전조가공 될 때 제1가공부(510) 또는 제2가공부(520)의 원형상태가 찌그러지면서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므로서 제1,2가공부(510)(520)의 정확한 원형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제1,2고정부재(100)(200) 및 제1,2가공수단(300)(400)이 가공장치가 설치되는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를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의 배치는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장치의 설계조건과 설치공간 및 작업의 효율성을 감안하여 설치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배치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사지게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제1가공수단(300)은,
도 3a 와 같이 앞쪽으로부터 전조가공 로울러(310)와 연마가공 로울러(320)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면서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별도의 구동수단(도면중 미도시)에 축으로 각각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전조가공 로울러(310)와 연마가공 로울러(320)는 제1고정부재(100)의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있는 어퍼플레이트(110) 사이에 위치되면서 언더플레이트(120)와 어퍼플레이트(110)에 의해 고정된 제1가공부(510)의 가공면(510a)을 순차적으로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1가공수단(300)이 제자리 회전되는 상태에서 제1고정부재(100)가 제1가공수단(300)쪽으로 이동되면 제1고정부재(100)에 고정되어 있는 제1가공부(510)의 가공면(510a)이 제일 앞쪽에 위치한 전조가공 로울러(310)에 의해 1차 가공되고, 이후 연마가공 로울러(320)에 의해 2차로 가공이 되는 것이다.
제2가공수단(400)은,
도 3b 와 같이 앞쪽으로부터 전조가공 로울러(410)와 연마가공 로울러(420)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면서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별도의 구동수단(도면중 미도시)에 축으로 각각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전조가공 로울러(410)와 연마가공 로울러(420)는 제2고정부재(200)의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있는 어퍼플레이트(210) 사이에 위치되면서 언더플레이트(220)와 어퍼플레이트(210)에 의해 고정된 제2가공부(520)의 가공면(520a)을 순차적으로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2가공수단(400)이 제자리 회전되는 상태에서 제2고정부재(200)가 제2가공수단(400)쪽으로 이동되면 제2고정부재(200)에 고정되어 있는 제2가공부(520)의 가공면(520a)이 제일 앞쪽에 위치한 전조가공 로울러(410)에 의해 1차 가공되고, 이후 연마가공 로울러(420)에 의해 2차로 가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가공수단(300)과 제2가공수단(4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연마가공 로울러(320)(420)를 사용하지 않고, 전조가공 로울러(310)(410)만을 사용하여 1차 가공만으로도 스테이로드의 홈 가공은 가능한 것이며, 연마가공 로울러(320)(420)는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선택적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가공수단(300)과 제2가공수단(400)를 구성할 때, 연마가공 로울러(320)(420)를 사용하지 않고, 전조가공 로울러(310)(410)만을 사용하여 1차 가공만으로도 스테이로드의 홈을 가공함에 있어서, 도 3c 의 (a)에서와 같이 전조가공 로울러(410)의 한쪽 외측둘레에는 압착부재(411)를 일렬 또는 최소범위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하고, 그러한 압착부재(411)와 대향된 전조가공(410)의 반대쪽 외측둘레에는 연마제(421)를 축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 도포 내지 삽입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도 3c 의 (b)에서와 같이 제2가공부(520)가 전조가공 로울러(410)로 이동되면 전조 및 연마가 가능한 회전속도로 회전되는 전조가공 로울러(410)의 한쪽에 형성된 압착부재(411)에 의해 길이조절용 홈(530) 또는 고정용 홈(540)이 형성되고, 이후 반대쪽이 형성된 연마제(421)로 인하여 제2가공부(520)의 가공면(520a)에 길이조절용 홈(530) 또는 고정용 홈(540)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위가 연마되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3c 에는 전조가공 로울러(410)만 예시되었지만 이러한 구성은 전조가공 로울러(310)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구성을 보면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외측둘레로부터 일부분이 돌출되는 형태로 압착부재(311)(4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 압착부재(311)(411)의 돌출되는 부위가 성형하고자 하는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의 형상과 상응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압착부재(311)(411)는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의 개수에 따라 다수개로 설치되고, 압착부재(311)(411)는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외측둘레에 축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정해진 간격으로 배열될 수도 있지만 압착부재(311)(411)를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외측둘레에 서로 겹치지 않고 이격되게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거나,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구동수단에 구비된 축을 중심으로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외측둘레에 방사형태로 배열하되, 각각의 압착부재(311)(411)는 서로 동일한 선상에서 겹치지 않으면서 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순차적 배열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에 다수개의 압착부재(311)(411)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에 하나의 압착부재(311)(411)만 구성하고,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의 개수와 위치에 상응하게 하나의 압착부재(311)(411)가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 전조가공 로울러(310)(410)를 다수개로 구성한 후 연속적으로 배열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외측둘레에 길이조절용 홈(530)및 고정용 홈(540)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로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장공형태로 일정한 깊이를 가지는 끼움홈(312)(412)을 각각 형성하고, 그 끼움홈(312)(412)에 로울러 형태의 압착부재(311)(411)를 각각 설치하되 전조가공 로울러(310)(41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의 축 설치방향과 동일한 설치방향으로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측면을 통해 고정축(313)(413)을 설치하여 그 고정축(313)(413)이 압착부재(311)(411)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압착부재(311)(411)가 고정축(313)(41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끼움홈(312)(412)에 설치된 압착부재(311)(411)의 일부분은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야 하고, 그 돌출되는 길이는 제1가공부(510)와 제2가공부(520)에 형성되는 길이조절용 홈(530) 및 고정용 홈(540)의 깊이에 상응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압착부재(311)(411)의 간격을 통해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압착부재(311)(411)가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끼움홈(312)(412)에 고정축(313)(413)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지만 고정축(313)(413)으로부터 회전되지 않는 고정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끼움홈(312)(412)에 고정축(313)(413)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압착부재(311)(4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에 다수개로 형성하지 않고,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에 하나의 압착부재(311)(411)만 설치하고,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의 개수와 위치에 상응하게 하나의 압착부재(311)(411)가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 전조가공 로울러(310)(410)를 다수개로 구성 후 순차적으로 배열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에 다수개의 끼움홈(312)(412)이 형성되고, 각 끼움홈(312)(412)에 각각의 고정축(313)(413)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개의 압착부재(311)(411)는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외측둘레에 동일 선상으로 설정된 간격에 따라 각각 설치될 수도 있지만, 다수개의 압착부재(311)(411)를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외측둘레에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게 배치할 수도 있으며, 다수개의 압착부재(311)(411)를 구동수단의 축을 중심으로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외측둘레에 방사형태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스테이로드(500)의 제1가공부(510)와 제2가공부(520)를 가공할 때 제1,2가공부(510)(520)에 가공되는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의 형상을 동일한 형태로 가공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르게 가공하게 되며, 이는 스테이로드(500)가 시트 백(도면중 미도시)에 고정될 때 시트 백에는 보통 한쪽에만 걸림수단(도면중 미도시)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4 와 같이 제2가공부(520)의 경우, 길이조절용 홈(530)의 내면 양측 중 한쪽에는 수직면(521)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경사면(522)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길이조절용 홈(530)이 형성되어야 하는 지점에 상응하는 압착부재(411)는 일측에 수직부(411b)가 형성되며, 그 대향된 타측에 경사부(411a)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고정용 홈(540)이 형성되어야 하는 지점에 상응하는 압착부재(411)는 반대의 형상이 되어야 함에 따라 압착부재(411b)는 일측에 경사부(411a)가 형성되고 대향된 타측에 수직부(411b)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1가공부(510)의 경우, 길이조절용 홈(530)의 내면 양측에 경사면(512)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길이조절용 홈(530)이 형성되어야 하는 지점에 상응하는 압착부재(311)는 양측에 경사부(311a)가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고정용 홈(540)이 형성되어야 하는 지점에 상응하는 압착부재(311)는 제2가공부(520)와 동일하게 일측에 경사부(311a)가 형성되고 대향된 타측에 수직부(311b)가 구성된다.
이때 제1,2가공부(510)(520)에 형성되는 고정용 홈(540)의 경우 길이조절용 홈(530)간의 간격보다 넓은 간격으로 구성된다.
연마가공 로울러(320)(420)는 외주면에 샌드페이퍼 등의 연마제(321)(421)가 설치된 것으로서, 제1가공부(510)의 가공면(510a)과 제2가공부(520)의 가공면(520a)이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에 의해 1차로 가공되면서 1,2가공부(510)(520)의 가공면(510a)(520a)에 발생되는 불필요한 돌출부위를 제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스테이로드가 동시에 가공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측과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된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의 어퍼플레이트(110)(210)를 언더플레이트(120)(220)로부터 분리시키고, 제1고정부재(100)의 언더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설치홈(121)에 스테이로드(500)의 제1가공부(510)를 올려놓고, 제2고정부재(200)의 언더플레이트(220)에 형성된 설치홈(221)에는 스테이로드(500)의 제2가공부(520)를 올려놓은 후, 제1고정부재(100)와 제2고정부재(200)의 어퍼플레이트(110)(210)를 언더플레이트(120)(220)에 각각 결합시켜 제1,2고정부재(100)(200)에 스테이로드(500)가 고정되도록 하는 스테이로드 고정단계;와
제1,2가공수단(300)(400)이 제1,2고정부재(100)(200)의 어퍼플레이트(110)(210) 사이에 위치되면서 각각의 구동수단과 축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고, 제1,2고정부재(100)(200)는 전후왕복수단에 의해 일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가공 준비단계;와
제1,2고정부재(100)(20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제1가공부(510)의 가공면(510a)과 제2가공부(520)의 가공면(520a)이 제1,2가공수단(300)(400)의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압착부재에 의해 1차 가공되면서 제1,2가공부(510)(520)에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이 형성되는 전조 가공단계;와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후방에 위치한 연마가공 로울러(320)(420)에 의해 2차 가공되면서 제1,2가공부(510)(520) 표면으로부터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위가 제거되는 연마 가공단계;와
제1,2고정부재(100)(200)의 어퍼플레이트(110)(210) 사이에 위치하던 제1,2가공수단(300)(400)이 제1,2고정부재(100)(200)로부터 벗어나고, 제1,2고정부재(100)(200)의 어퍼플레이트(110)(210)를 언더플레이트(120)(220)로부터 분리시킨 후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이 형성된 스테이로드(500)를 제1,2고정부재(100)(200)로부터 분리시키는 스테이로드 분리단계;를 수행하므로서,
제1가공부(510)와 제2가공부(520)의 가공면(510a)(520a)에 다단의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이 형성된 스테이로드(500)가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제1.2가공수단(300)(4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도록 구성되고, 제1,2고정부재(100)(200)는 제1,2가공수단(300)(400)쪽으로 수평이동하므로서, 제1.2고정부재(100)(200)에 고정된 스테이로드(500)가 회전되는 제1,2가공수단(300)(400)에 의해 순차적으로 가공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제1,2고정부재(100)(200)가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제1,2가공수단(300)(400)이 회전됨과 동시에 수평이동하여 제1,2고정부재(100)(200)에 고정된 스테이로드(500)를 가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가공장치를 제2고정부재(200)와 제2가공수단(400)만으로 구성하여 스테이로드(500)의 제2가공부(520)만 가공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는 실제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현장의 상태나 조건 및 설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다른 의 실시 예로 제1,2가공수단(300)(400)을 구성함에 있어서, 연마가공 로울러(320)(420)의 앞에 위치하는 전조가공 로울러(310)(410)를 하나만 사용하지 않고, 복수개로 구성한 후 연마가공 로울러(320)(420)의 앞에 순차적으로 배열시켜 설치하되, 다수개의 전조가공 로울러 중 연마가공 로울러(320)(420)의 바로 앞쪽에 위치한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의 외측둘레로부터 돌출된 압착부재(311)(411)의 돌출 길이는 스테이로드(500)의 제1,2가공부(510)(520) 가공면(510a)(520a)에 형성되는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의 깊이와 동일하게 구성된 것이며, 연마가공 로울러(320)(420)와 점점 멀어지는 다수개 전조가공 로울러에 설치된 압착부재(311)(411)의 돌출 길이는 연마가공 로울러(320)(420)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크기가 점점 작아지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조 가공로울러를 다수개로 사용하고, 각각의 압착부재를 앞쪽에서 연마가공 로울러(320)(420)쪽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길이가 점점 길어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스테이로드(500)의 제1가공부(510)와 제2가공부(520)에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이 가공될 때 전조 가공 로울러의 연속적인 가공에 따라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이 처음에는 작게 형성되고, 뒤에 위치한 전조가공 로울러에 의해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이 점점 커지게 되면서 연마가공 로울러(320)(420)의 바로 앞에 위치한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에 위해 최종적으로 정확한 깊이의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전조가공 로울러(310)(410)에 의해 스테이로드(500)의 제1가공부(510)와 제2가공부(520)에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이 만들어질때 순간적으로 깊게 만들어지면 제1가공부(510)와 제2가공부(520)의 단면형태가 정원이 되지 못하고 타원과 같은 형태로 불량하게 제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스테이로드(500)의 소재강도에 따라서 전조가공 로울러(310) 단수로 사용하거나 개수를 조절하여 복수로 사용하게 되면 스테이로드(500)에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스테이로드(500)의 단면 형태가 정원이 되지 못하면서 불량으로 제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언더플레이트(120)(220)에 스테이로드(500)의 제1,2가공부(510)(520)가 놓여지고, 그 상부로 어퍼플레이트(110)(210)가 결합된 제1,2고정부재(100)(200)와, 그러한 제1,2고정부재(100)(200)의 어퍼플레이트(110)(210) 사이에 제1,2가공수단(300)(400)이 높여진 상태에서 제1,2고정부재(100)(200)가 이동되어 스테이로드(500)가 가공되면 제1가공부(510)와 제2가공부(520)에는 동일한 한쪽 방향으로 다단의 길이조절용 홈(530)과 하나의 고정용 홈(540)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가공수단(300)은 제1고정부재(100)로부터 분리시켜 작동시키지 않고, 제2가공수단(400)만 작동시킨 상태에서 제1,2고정부재(100)(200)를 이동시켜 스테이로드(500)를 가공하게 되면 스테이로드(500)의 제2가공부(520) 한쪽 방향에만 다단의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이 형성되고, 제1가공부(510)는 가공 없이 원상태 그대로 유지되면서 스테이로드(500)의 한쪽에만 다단의 길이조절용 홈(530)과 하나의 고정용 홈(540)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2고정부재(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그대로 둔 상태에서 제1고정부재(100)의 언더플레이트(120)는 상측에 위치되며, 이에 결합 되는 어퍼플레이트(110)는 하측에 위치되도록 제1고정부재(100)를 뒤집어 설치하고, 제1가공수단(300) 또한 하측에 위치한 어퍼플레이트(1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되, 제2가공수단(400)과 겹치지 않도록 배열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1고정부재(100)만 뒤집어져 설치되고, 이에 따라 제1가공수단(300) 또한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로 스테이로드(500)를 가공하게 되면 스테이로드(500)의 제1가공부(510)와 제2가공부(520)에는 안쪽면에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다단의 길이조절용 홈(530)과 하나의 고정용 홈(540)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7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그대로 둔 상태에서 제2고정부재(200)의 언더플레이트(220)는 상측에 위치되며, 이에 결합 되는 어퍼플레이트(210)는 하측에 위치되도록 제2고정부재(200)를 뒤집어 설치하고, 제2가공수단(400) 또한 하측에 위치한 어퍼플레이트(2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2고정부재(200)만 뒤집어져 설치되고, 이에 따라 제2가공수단(400) 또한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로 스테이로드(500)를 가공하게 되면 스테이로드(500)의 제1가공부(510)와 제2가공부(520)에는 각각 바깥면에 향해 다단의 길이조절용 홈(530)과 하나의 고정용 홈(540)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8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2고정부재(100)는 변형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제1가공수단(300)은 사용하지 않고, 제2가공수단(400)만 작동시킨 후, 제1,2고정부재(100)(200)에 스테이로드(500)를 고정시켜 수평이동시켜주면 스테이로드(500)의 제1가공부(510)는 가공되지 않고, 제2가공부(520)의 안쪽면만 가공되면서 스테이로드(500)의 한쪽에만 다단의 길이조절용 홈(530)과 하나의 고정용 홈(540)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9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고정부재(100)는 그대로 두고, 제2고정부재는 제2고정부재(200)의 언더플레이트(220)는 상측에 위치시키고, 이에 결합 되는 어퍼플레이트(210)는 하측에 위치되도록 제2고정부재(200)를 뒤집어 설치하며, 제2가공수단(400) 또한 하측에 위치한 어퍼플레이트(21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고, 제1가공수단(300)은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제1,2고정부재(100)(200)에 스테이로드(500)를 고정시켜 수평이동시켜주면 스테이로드(500)의 제1가공부(510)는 가공되지 않고, 제2가공부(520)의 바깥면만 가공되면서 스테이로드(500)의 한쪽에만 다단의 길이조절용 홈(530)과 하나의 고정용 홈(540)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테이로드(500)에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을 형성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스테이로드(500)를 동시에 연속적으로 가공할 수 있어, 가공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작업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스테이로드(500)에 형성되는 길이조절용 홈(530)과 고정용 홈(540)을 제1,2고정부재(100)(200)의 방향 및 개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가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200 : 제1,2고정부재 110,210 ; 어퍼플레이트
111,121,211,221 : 설치홈 120,220 : 언더플레이트
300,400 : 제1,2가공수단 310,410 : 전조가공 로울러
311,411 : 압착부재 311a,411a : 경사부
311b,411b : 수직부 312, 412, 끼움홈
313,413 : 고정축 320,420 : 연마가공 로울러
321,421 : 연마제 500 : 스테이로드
510,520 : 제1,2가공부 510a,520a : 가공면
511,521 : 수직면 512,522 : 경사면
530 : 길이조절용 홈 540 : 고정용 홈
111,121,211,221 : 설치홈 120,220 : 언더플레이트
300,400 : 제1,2가공수단 310,410 : 전조가공 로울러
311,411 : 압착부재 311a,411a : 경사부
311b,411b : 수직부 312, 412, 끼움홈
313,413 : 고정축 320,420 : 연마가공 로울러
321,421 : 연마제 500 : 스테이로드
510,520 : 제1,2가공부 510a,520a : 가공면
511,521 : 수직면 512,522 : 경사면
530 : 길이조절용 홈 540 : 고정용 홈
Claims (8)
- 스테이로드에 다단의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을 가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스테이로드의 하측 제1가공부와 제2가공부 저면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개의 설치홈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언더플레이트;
상기 제1가공부와 제2가공부의 상면 한쪽과 대향된 상면 다른쪽 일부분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개의 설치홈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언더플레이트의 상부 양측에 각각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어퍼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가공부와 제2가공부의 간격과 상응하는 상하 간격을 가지면서 함께 수평방향으로 전후 왕복하는 제1,2고정부재; 및
외측둘레에 다수개의 압착부재가 일부분이 돌출된 형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전조가공 로울러와, 외주면에 연마제가 도포된 연마가공 로울러가 상기 한 쌍의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구동수단을 통해 각각 구동되는 제1,2가공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2가공수단의 전조가공 로울러는,
외측둘레에 다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일부분이 전조가공 로울러의 외측둘레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압착부재를 설치하되, 전조가공 로울러의 측면을 통해 관통 설치되는 고정축에 상기 압착부재의 중심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압착부재는 전조가공 로울러 외측둘레의 축방향 동일선상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압착부재는 전조가공 로울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의 축을 중심으로 전조가공 로울러 외측둘레에 방사형태로 구성하되, 각각의 압착부재가 동일 선상에서 서로 겹쳐지지 않으면서 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고정부재는 제자리에 고정되고, 제1,2가공수단은 각각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전후 왕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고정부재와 제1,2가공수단은 설치 바닥면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가공 로울러 외측둘레의 한쪽에는 압착부재가 배치되고, 외측둘레의 다른 한쪽에는 연마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 고정부재와 다수개의 가공수단을 이용하여 스테이로드에 다단의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을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측과 하측에 이격 되어 설치된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어퍼플레이트를 언더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키고, 제1고정부재의 언더플레이트에 형성된 설치홈에 스테이로드의 제1가공부를 올려놓고, 제2고정부재의 언더플레이트에 형성된 설치홈에는 스테이로드의 제2가공부를 올려놓은 후,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어퍼플레이트를 언더플레이트에 각각 결합시켜 제1,2고정부재에 스테이로드가 고정되도록 하는 스테이로드 고정단계;
제1,2가공수단이 제1,2고정부재의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면서 각각의 구동수단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고, 제1,2고정부재는 전후왕복수단에 의해 일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가공 준비단계;
제1,2고정부재의 수평 이동에 따라 제1가공부의 가공면과 제2가공부의 가공면이 제1,2가공수단의 전조가공 로울러의 압착부재에 의해 1차 가공되면서 제1,2가공부에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이 형성되는 전조 가공단계;
상기 전조 가공단계를 거친 제1,2가공부의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이 전조가공 로울러의 후방에 위치한 연마가공 로울러에 의해 2 차 가공되면서 제1,2가공부 표면으로부터 불필요하게 돌출된 부위가 제거되는 연마 가공단계; 및
제1,2고정부재의 어퍼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던 제1,2가공수단이 제1,2고정부재로부터 벗어나고, 제1,2고정부재의 어퍼플레이트를 언더플레이트로부터 분리시킨 후 길이조절용 홈과 고정용 홈이 형성된 스테이로드를 제1,2고정부재로부터 분리시키는 스테이로드 분리단계;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7492A KR101416476B1 (ko) | 2013-02-19 | 2013-02-19 |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7492A KR101416476B1 (ko) | 2013-02-19 | 2013-02-19 |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6476B1 true KR101416476B1 (ko) | 2014-07-09 |
Family
ID=5174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7492A KR101416476B1 (ko) | 2013-02-19 | 2013-02-19 |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647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54021A (zh) * | 2021-09-13 | 2022-01-21 | 鹏翔智能科技(浙江)有限公司 | 一种地板、车内装饰用于各种金属条的自动镶嵌贴条设备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37673A (ja) * | 2000-11-01 | 2002-05-14 | Nisshin Kogyosho:Kk | ヘッドレスト用ステイおよびその製造装置 |
JP2002210519A (ja) | 2001-01-12 | 2002-07-30 | Inoac Corp | へッドレストステーの凹部の加工方法 |
KR100768389B1 (ko) | 2007-03-14 | 2007-10-18 | 최순봉 | 헤드레스트용 스테이의 홈부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
KR100936385B1 (ko) * | 2008-11-07 | 2010-01-13 | 대흥산업(주) |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방법 및 장치 |
-
2013
- 2013-02-19 KR KR1020130017492A patent/KR1014164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37673A (ja) * | 2000-11-01 | 2002-05-14 | Nisshin Kogyosho:Kk | ヘッドレスト用ステイおよびその製造装置 |
JP2002210519A (ja) | 2001-01-12 | 2002-07-30 | Inoac Corp | へッドレストステーの凹部の加工方法 |
KR100768389B1 (ko) | 2007-03-14 | 2007-10-18 | 최순봉 | 헤드레스트용 스테이의 홈부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
KR100936385B1 (ko) * | 2008-11-07 | 2010-01-13 | 대흥산업(주) |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방법 및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54021A (zh) * | 2021-09-13 | 2022-01-21 | 鹏翔智能科技(浙江)有限公司 | 一种地板、车内装饰用于各种金属条的自动镶嵌贴条设备 |
CN113954021B (zh) * | 2021-09-13 | 2023-08-25 | 鹏翔智能科技(浙江)有限公司 | 一种地板、车内装饰用于各种金属条的自动镶嵌贴条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0925B1 (ko) | 헤드레스트용 스테이로드의 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 |
KR100973178B1 (ko) | 다양한 직경의 제품을 만드는 방법 및 성형기 | |
CN104551941A (zh) | 一种双面砂带抛光机 | |
KR101314093B1 (ko) | 롤 포밍 시스템용 코일 연결 장치 | |
CA2638236A1 (en) |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a rotor of an eccentric screw pump | |
KR101416476B1 (ko) | 스테이로드용 홈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 |
CN110919378A (zh) | 一种钣金弯折打磨一体机 | |
KR100936385B1 (ko) |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방법 및 장치 | |
JPH08174126A (ja) | ラック軸製造装置 | |
CN201823820U (zh) | 一种用于钢带去毛刺的整形装置 | |
JP5868725B2 (ja) | 歯車バリ取り工具、歯車バリ取り装置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歯車加工装置並びに歯車バリ取り方法 | |
KR102196969B1 (ko) | 스테이로드 노치홈 전조가공 성형장치 | |
CN105196155A (zh) | 小口径钢管用外壁抛光机构 | |
KR101684672B1 (ko) | 소재의 테두리부 포밍 성형장치 및 포밍 성형 방법 | |
JPH11221644A (ja) | 中空ワークを冷間塑性変形加工する方法並びに装置 | |
JP3746855B2 (ja) | 転造平ダイスを有する転造盤及び転造加工方法 | |
JP2003145348A (ja) | ギア歯面定位置加工方法及び装置 | |
KR101854561B1 (ko) | 곡면 연삭기 | |
JP5010421B2 (ja) | 工作物外径面および平面のセンタレス研削方法およびセンタレス研削装置 | |
JP4225819B2 (ja) | 竪型両頭平面研削盤の砥石修正装置 | |
CN113977197B (zh) | 一种钢车轮内、外轮缘倒角工艺及其模具 | |
CN213559680U (zh) | 一种带有联动式搓齿结构的六轴搓齿机 | |
JP5911133B2 (ja) | 歯車バリ取り装置、歯車面取装置および歯車バリ取り方法 | |
KR102076834B1 (ko) | 스틸밴드의 디버링장치 | |
JP2002361331A (ja) | へッドレストステーの凹部の加工方法およびへッドレストステーの凹部の加工用プレス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