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535B1 -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535B1
KR101413535B1 KR1020130157888A KR20130157888A KR101413535B1 KR 101413535 B1 KR101413535 B1 KR 101413535B1 KR 1020130157888 A KR1020130157888 A KR 1020130157888A KR 20130157888 A KR20130157888 A KR 20130157888A KR 101413535 B1 KR101413535 B1 KR 101413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wall
groove
protrusion
proj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준오
김경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53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2001/8263Mounting of acoustical elements on supporting structure, e.g. framework or wal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76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8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the cavities opening onto the face of the element
    • E04B2001/8485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the cavities opening onto the face of the element the opening being restricted, e.g. forming Helmoltz reson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76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8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the cavities opening onto the face of the element
    • E04B2001/849Groove or slot type open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음저감 시스템은 구조물의 외벽 형상에 상응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패널형태의 본체와, 상기 외벽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공명돌기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폼; 및 상기 공명돌기에 의해 상기 외벽에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에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공명기 형태의 공명홈;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Noise Reduction system and the structure of the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noise reduction system}
본 발명은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외벽에 공명기 원리를 이용하여 공동주택으로 유입되는 교통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 주택 단지의 경우 도로교통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음 창호 또는 방음문 등을 사용하거나 부차적으로 방음벽을 설치한다.
특히, 방음벽의 경우, 주거시설이나 교육시설 등 주변 소음이 우선적으로 차단되어야 할 건축물의 인접도로에 주로 시공된다.
그리고, 방음벽은 차음성능이 우수하며, 시공이 용이하고, 최소의 공간에서 최대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이점이 있다.
초기의 콘크리트 방음벽은 많은 비용과 공사기간의 장기화라는 단점이 있었으나, 금속재 방음벽의 개발을 거쳐 현재는 아크릴과 PC 소재와 금속제 프레임으로 구성된 투명방음벽과 압축 강화 유리형 방음벽이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방음벽은 비용적인 부분이나 토지활용 계획성 측면에서 제한사항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동주택단지의 도로교통 소음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도로교통 소음에 대한 민원 또한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뿐만 아니라 공동주택단지의 도로교통 소음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도로교통 소음이 문제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는 공동주택 계획 초기 단계에서부터 도로교통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음 저감을 위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의 시공 단계에서부터 도로교통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음저감 시스템은 구조물의 외벽 형상에 상응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패널형태의 본체와, 상기 외벽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공명돌기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폼; 및 상기 공명돌기에 의해 상기 외벽에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에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공명기 형태의 공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명돌기는 상기 본체와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수직돌기와, 상기 수직돌기의 일단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명홈은 상기 수직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출입부와, 상기 수평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출입부는 상기 공진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메쉬 형태의 다공성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명홈의 공명주파수는 1 ~ 2 kHz일 수 있다.
상기 공명홈의 표면은 발수코팅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본체와 상기 공명돌기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은 본체와 공명돌기를 구비하여 슬라이딩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폼을 구조물의 외벽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폼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상기 공명돌기에 의해 형성된 공명홈을 구비하는 상기 외벽과 상기 슬라이딩폼을 분리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상기 공명돌기에 의해 형성된 공명홈을 구비하는 상기 외벽과 상기 슬라이딩폼을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공명홈의 표면에 발수 코팅처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상기 공명돌기에 의해 형성된 공명홈을 구비하는 상기 외벽과 상기 슬라이딩폼을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공명홈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메쉬 형태의 다공성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명돌기는 상기 본체와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수직돌기와, 상기 수직돌기의 일단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명홈은 상기 수직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출입부와, 상기 수평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에 의하면, 구조물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폼에 구비되는 공명돌기에 의해 구조물의 외벽에 공명홈이 형성되어 도로교통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폼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명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명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 시스템은 구조물의 외벽(10)을 시공하는 데에 사용되는 슬라이딩폼(100)과 상기 슬라이딩폼(100)에 의해 상기 외벽(10)에 형성되는 공명홈(200)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폼(100)은 구조물의 외벽(10) 형상에 상응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일종의 거푸집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폼(100)은 실질적으로 구조물의 외벽(10)의 형태를 결정하는 본체(11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는 알루미늄이나 강재가 사용되며 이를 패널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외벽(10) 형상에 상응하는 공간으로 돌출되는 공명돌기(120)가 구비된다.
상기 공명돌기(120)는 상기 본체(110)의 단변의 길이와 동일한 크기로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110)의 일면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된다.
상기 다수개의 공명돌기(120)의 상호 간격은 구조물의 지리적 위치, 상기 외벽(10)의 길이 또는 상기 외벽(10)의 두께의 정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폼(100)이 상기 본체(110)와 상기 공명돌기(120)를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에는 상기 외벽(10)이 제작됨과 동시에 공명홈(20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명홈(200)은 구조물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도로교통 소음이 상기 공명홈(200) 내부로 인입될 경우, 공진을 일으켜 소음을 흡수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공명홈(200)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도로교통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이 시공단계에서부터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 후 도로교통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방음벽(미도시)과 같은 시설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방음벽(미도시) 설치에 따른 비용발생을 막을 수 있고, 토지활용 계획성 측면에서도 제한을 받지 않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슬라이딩폼(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폼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폼(100)은 본체(110)와 공명돌기(120)를 구비한다.
상기 공명돌기(120)는 수직돌기(121)와 수평돌기(122)를 구비한다.
상기 수직돌기(121)는 상기 본체(110)의 일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본체(110)의 일면과 맞대어지고 타단은 상기 외벽(10) 형상에 상응하는 공간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돌기(122)는 상기 수직돌기(121)의 타단에 구비되는데 상기 수평돌기(122)의 중심부가 상기 수직돌기(121)의 타단과 맞대어지고 상기 수평돌기(122)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110)와 평행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직돌기(121)와 상기 수평돌기(122)의 크기는 구조물의 지리적 위치, 상기 외벽(10)의 길이 또는 상기 외벽(10)의 두께의 정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돌기(122)와 상기 수직돌기(121)는 각각 제작되어 용접이나 각종 결합방법을 통해 일체화될 수 있으나, 상기 수평돌기(122)와 상기 수직돌기(121)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명돌기(120)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와 각각 제작된 후 연결부재(300)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10)와 상기 공명돌기(120)에는 상기 연결부재(300)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홈(310)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공명돌기(120)가 구비되지 않는 상기 본체(110)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110)와 상기 공명돌기(1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상기 공명돌기(120)에 다수개의 연결부재(3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10)와 상기 공명돌기(120)가 상기 연결부재(30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공명돌기(120)를 상기 본체(110)로부터 탈착할 수 있어 상기 외벽(10)에 상기 공명홈(200)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공명돌기(120)를 결합하지 않고 상기 본체(110)만을 사용하여 상기 공명홈(200)이 없는 외벽(1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시공시 사용자의 부주의나 외부의 힘에 의해 상기 본체(110) 또는 상기 공명돌기(120)가 손상되었을 경우, 손상된 부위가 있는 상기 본체(110) 또는 상기 공명돌기(120)만을 분리하여 다른 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폼(100)의 재사용률이 증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폼(100)의 제작비 등과 같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명돌기(120)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와 상기 공명돌기(120)가 일체형으로 제작될 경우, 상기 본체(110)와 상기 공명돌기(120)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본체(110)와 상기 공명돌기(120) 사이의 틈새로 콘크리트가 침투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 제작되는 상기 본체(110)와 상기 공명돌기(120)를 결합하여 사용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시 요구되는 상기 슬라이딩폼(100)의 구조적 안전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와 상기 공명돌기(120)가 일체형으로 된 상기 슬라이딩폼(100)을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형태의 변형이 일어날 확률이 적기 때문에 항시 균일한 품질의 상기 외벽(10)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명돌기(120)의 수평돌기(122)가 상기 본체(110)와 평행을 이루는 직사각형태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수평돌기(122)는 다각형 및 원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공명돌기(120)에 의해 상기 외벽(10)에 형성되는 상기 공명홈(2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명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명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명홈(200)은 공명기 형태로 상기 외벽(10)에 구비된다.
상기 공명홈은 출입부(210)와 공진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공명홈(20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공명기에 대해 살펴보면, 공명기란 관 또는 구형의 항아리 모양의 것으로, 공명현상을 이용해 복잡한 음 가운데서 한 진동수의 음만을 빼내거나 주어진 높이의 음을 공명시켜서 그 진동수를 알아내는 데에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된 공명이란 특정 진동수(주파수)에서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현상을 말하며 공진이라고도 한다.
공명기의 원리는 매우 특별한 정상파가 가느다란 목부분을 통해서 공명기 안으로 들어오면 그 정상파의 파형(Waveform)에 대한 새로운 역상(Out of Phase) 형태의 진동으로 변하여 공명기 밖으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특정한 주파수에 대한 위상변이(Phase Cancellation)가 발생하여 특정 정상파가 소멸하게 되는 원리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로교통 소음의 정상파가 공명기의 목부분과 동일한 본 발명의 상기 공명홈(200)의 출입부(210)를 통해서 고명기의 내부공간과 동일한 상기 공진부(220) 안으로 들어오면 그 정상파의 파형에 대한 새로운 역상 형태의 진동으로 변하여 상기 공명홈(200) 밖으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소음의 주파수에 대한 위상변이가 발생하여 소음의 정상파가 소멸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도로교통 소음의 정상파의 주파수인 1 ~ 2 kHz와 동일한 주파수가 발생하도록 상기 출입부(210)의 단면적, 깊이 및 상기 공진부(220)의 용적을 미리 설정하여 상기 슬라이딩폼(100)에 의해 상기 외벽(10)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도로교통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입부(210)는 상기 공명돌기(120)의 수직돌기(12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공진부(220)는 상기 공명돌기(120)의 수평돌기(122)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사전에 설정되는 상기 공명홈(200)의 상기 출입부(210)의 단면적, 깊이 및 상기 공진부(220)의 용적은 상기 공명돌기(120)의 수직돌기(121)와 수평돌기(122)에도 동일하게 설정되어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입부(210)에는 메쉬 형태의 다공성 스크린(500)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500)이 메쉬 형태의 다공성으로 제작됨으로써 도로교통 소음이 용이하게 상기 공진부(220)로 들어오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출입부(210)를 막는 형태로 상기 출입부(210)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공진부(220) 내부로 각종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 각종 이물질이 상기 공진부(220) 내부로 들어와 상기 공명홈(200)으로부터 비정상적인 공명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명홈(200)의 표면은 발수코팅(400) 처리될 수 있다.
상기 공명홈(200)의 표면이 발수코팅(400) 처리됨으로써 비나 눈 등이 상기 공명홈(200)의 표면에 머무는 것을 방지하여 비나 눈 등에 의해 상기 공명홈(200)으로부터 비정상적인 공명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은 본체(110)와 공명돌기(120)를 구비하여 슬라이딩폼(100)을 제작하는 단계(S110); 상기 슬라이딩폼(100)을 구조물의 외벽(10)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S120); 상기 슬라이딩폼(1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130): 및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상기 공명돌기(120)에 의해 형성된 공명홈(200)을 구비하는 상기 외벽(10)과 상기 슬라이딩폼(100)을 분리하는 단계(S14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와 상기 공명돌기(120)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슬라이딩폼(100)일 경우에는 상기 본체(110)와 공명돌기(120)를 구비하여 슬라이딩폼(100)을 제작하는 단계(S110)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110)와 공명돌기(120)를 구비하여 슬라이딩폼(100)을 제작하는 단계(S110) 이전에 상기 외벽(10)에 일반적인 도로교통 소음의 정상파의 주파수인 1 ~ 2 kHz와 동일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공명홈(200)이 형성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폼(100)의 공명돌기(120)를 제작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상기 공명돌기(120)에 의해 형성된 공명홈(200)을 구비하는 상기 외벽(10)과 상기 슬라이딩폼(100)을 분리하는 단계(S140) 이후에 상기 공명홈(200)의 표면에 발수코팅(400) 처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상기 공명돌기(120)에 의해 형성된 공명홈(200)을 구비하는 상기 외벽(10)과 상기 슬라이딩폼(100)을 분리하는 단계(S140) 이후에 상기 공명홈(200)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메쉬 형태의 다공성 스크린(500)을 구비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은 공명돌기(120)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폼(100)에 의해 도로교통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이 시공단계에서부터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로교통 소음 저감을 위해 설치되는 부가적인 시설 없이도 효과적으로 도로교통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외벽 100: 슬라이딩폼
200: 공명홈 300: 연결부재
400: 발수코팅 500: 스크린

Claims (12)

  1. 구조물의 외벽 형상에 상응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패널형태의 본체와, 상기 외벽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공명돌기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폼; 및
    상기 공명돌기에 의해 상기 외벽에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에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공명기 형태의 공명홈;을 구비하고,
    상기 공명돌기는 상기 본체와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수직돌기와, 상기 수직돌기의 일단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홈은 상기 수직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출입부와,
    상기 수평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부는 상기 공진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메쉬 형태의 다공성 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홈의 공명주파수는 1 ~ 2 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홈의 표면은 발수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공명돌기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 시스템.
  8. 본체와 공명돌기를 구비하여 슬라이딩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폼을 구조물의 외벽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슬라이딩폼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상기 공명돌기에 의해 형성된 공명홈을 구비하는 상기 외벽과 상기 슬라이딩폼을 분리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공명돌기는 상기 본체와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수직돌기와, 상기 수직돌기의 일단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 시스템을 활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상기 공명돌기에 의해 형성된 공명홈을 구비하는 상기 외벽과 상기 슬라이딩폼을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공명홈의 표면에 발수 코팅처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 시스템을 활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상기 공명돌기에 의해 형성된 공명홈을 구비하는 상기 외벽과 상기 슬라이딩폼을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공명홈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메쉬 형태의 다공성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 시스템을 활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
  11. 삭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홈은 상기 수직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출입부와,
    상기 수평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 시스템을 활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
KR1020130157888A 2013-12-18 2013-12-18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13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888A KR101413535B1 (ko) 2013-12-18 2013-12-18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888A KR101413535B1 (ko) 2013-12-18 2013-12-18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535B1 true KR101413535B1 (ko) 2014-07-02

Family

ID=5174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8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3535B1 (ko) 2013-12-18 2013-12-18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2165A (zh) * 2020-04-10 2020-07-03 广西贺州天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消除驻波功能的音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0589A (ja) * 1995-03-27 1996-10-08 Tokai Rubber Ind Ltd 吸音部材
JP2000075865A (ja) * 1998-08-28 2000-03-14 Supankuriito Corp:Kk 吸音板
KR200333023Y1 (ko) * 2003-08-14 2003-11-12 최광철 방음판넬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0589A (ja) * 1995-03-27 1996-10-08 Tokai Rubber Ind Ltd 吸音部材
JP2000075865A (ja) * 1998-08-28 2000-03-14 Supankuriito Corp:Kk 吸音板
KR200333023Y1 (ko) * 2003-08-14 2003-11-12 최광철 방음판넬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2165A (zh) * 2020-04-10 2020-07-03 广西贺州天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消除驻波功能的音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480B1 (ko)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KR101218343B1 (ko) 누음 방지와 진동 흡수가 가능한 방음벽
KR101413535B1 (ko) 소음저감 시스템 및 소음저감 시스템을 이용한 구조물의 외벽 시공방법
JP4883692B2 (ja)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および防音パネルの取付方法
KR101866229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1044027B1 (ko) 방음패널
KR101335673B1 (ko) 구조가 개선된 방음벽용 방음패널
KR200482936Y1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KR101038276B1 (ko) 방음벽용 패널
KR101448439B1 (ko)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및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
KR20160001541U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KR101838656B1 (ko) 구조체에서 전달되는 진동소음과 비내력벽 이음부를 통한 공기전달음을 저감시키는 벽체의 시공방법
KR101817764B1 (ko) 흡음블록과 그 제조방법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JP2007070807A (ja) ソイルセメント地中連続壁を利用した防振型合成地下壁およびその構築工法
KR101542547B1 (ko) 회절소음 감소를 위한 방음판넬 조립체
KR20140032683A (ko) 가설 방음판의 후면판넬 및 상기 가설 방음판
KR100815254B1 (ko) 방음벽 및 방음블록
KR101042326B1 (ko) 방음패널
KR100679932B1 (ko) 플라스틱 청정 방음패널 구조 및 시공방법
JP4427601B1 (ja) 懸架式防音壁構築構造
KR200265851Y1 (ko) 개선된 방음 구조를 갖는 방음벽
KR200401091Y1 (ko) 조립식 방음패널
KR101118621B1 (ko) 가설 방음벽
KR20060115563A (ko) 방음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