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306B1 - 자작나무 수피를 이용한 천연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작나무 수피를 이용한 천연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306B1
KR101413306B1 KR1020130096252A KR20130096252A KR101413306B1 KR 101413306 B1 KR101413306 B1 KR 101413306B1 KR 1020130096252 A KR1020130096252 A KR 1020130096252A KR 20130096252 A KR20130096252 A KR 20130096252A KR 101413306 B1 KR101413306 B1 KR 10141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drying
less
birch bark
moisture cont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하
Original Assignee
박창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하 filed Critical 박창하
Priority to KR102013009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30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Description

자작나무 수피를 이용한 천연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Using birch bark method of natural feed additives}
본 발명은 자작나무 수피를 이용한 천연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작나무의 학명은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이다. 높이는 20m에 달하고 수피가 백색이며 옆으로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고 3각상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길이는 5㎝~7㎝이다.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9월에 성숙하며, 과수(果穗)는 밑으로 처지고 원통형이며 길이는 4㎝ 정도이다. 실편은 중앙열편이 옆열편보다 짧고 열매는 날개가 열매의 너비보다 넓다. 금강산 이북의 높이 200m~2,100m에서 자라는데 중심 분포지는 높이 800m가 된다. 산복(山腹) 이하의 양지에서 군집을 형성한다. 토양습도는 낮아도 잘 자라나 토양 중 산소량을 많이 요구하며, 비옥도도 높은 것을 좋아한다. 추위에 강하나 충분한 햇빛을 좋아하는 극양수(極陽樹)이며, 해변에서는 잘 자라지 못한다.
나무의 높이가 5m 이상이 되면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며, 종자는 날개가 달리고 가볍기 때문에 멀리 날아갈 수 있다. 햇볕을 잘 받는 공간만 있으면 곧 발아하여 자작나무 숲을 만든다. 번식은 가을에 서리가 내리기 전에 종자를 받아서 저장하여 두었다가 이듬해 4월에 산파한다. 순백색의 수피를 가지고 있어서 조경수로 좋으며, 특히 강가나 호숫가의 조경을 조성할 때 좋은 나무이다. 나무의 질이 좋고 썩지 않으며 벌레가 먹지 않아서 건축재, 세공재, 조각재 등에 좋다. 합천 해인사의 팔만대장경도 이 나무로 만들었다고 한다. 정자, 산막 같은 곳에 심어서 아취를 즐긴 것도 자작나무를 잘 이용한 예이다. 함경도, 평안도의 산골에서는 영궤(靈)를 만들기도 하는데 이것은 잘 썩지 않기 때문이다. 천마총에서 출토된 그림의 재료도 자작나무의 껍질이다.
한방에서는 수피를 백화피(白樺皮)라 하는데 약재로 이용한다. 약성은 한(寒)하고 고(苦)하며, 해열, 이수(利水), 해독,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관지염, 간염, 편도선염 등 각종 염증과 이질, 설사, 습진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
목질진흙(상황)버섯은 뽕나무의 그루터기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그 모양은 초기에는 노란 진흙 덩이가 뭉친 것 같은 형태를 유지하다가 다 자란 후의 형태는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혓바닥같은 형태의 윗부분이 상황의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나지만 진흙과 같은 색깔을 나타내기도 하고, 감나무의 표피와 같이 검게 갈라진 모습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목질진흙(상황)버섯의 약리작용은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수술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항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해독작용을 한다. Ikegawa 등(Gann, 59, 155, 1968)은 목질진흙(상황)버섯이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과 표고버섯(Lent inusedodes)보다 종양저지율이 높다고 보고하였으며, 메다 등(Protein Nucleic acid Enzyme, 21, 426, 1976)은 항암활성이 96.7%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정 등(약학회지, 38, 158, 1994)은 균사체의 단백다당체가 육종(Sarcoma) 180 복수암 및 고형암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고 하였으며, 김 등(Arch, Pharm. Res., 17, 337, 1994)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분석한 결과 글루코오스(Glucose)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외에 갈락토오스(Galactose), 만노오스(Mannose), 아라비노스(Arabinose) 등으로 이루어졌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공 등(생약학회지, 22, 233, 1991)은 목질진흙(상황)버섯균사체의 열수추출물은 NK 세포기능에 작용하여 숙주의 비특이적 면역 기능을 증강시킴으로써 항암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마우스에 투여한 결과 LD50은 1,500mg/kg이상으로 안전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말굽버섯은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이다. 분포지역은 한국(두륜산, 방태산, 발왕산, 지리산, 한라산) 등 북반구 온대 이북이다. 서식장소는 자작나무, 너도밤나무, 단풍나무류와 같은 활엽수의 죽은 나무 또는 살아 있는 나무에서 자생한다. 크기는 두께 10㎝~20㎝, 지름 20㎝~50㎝이며, 북한명은 말발굽버섯이다. 일 년 내내 자작나무, 너도밤나무, 단풍나무류와 같은 활엽수의 죽은 나무 또는 살아 있는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라며 여러해살이이다. 버섯갓은 지름 20㎝~50㎝, 두께 10㎝~20㎝로 처음에 반원 모양이다가 나중에 종 모양 또는 말굽 모양으로 변한다. 작은 것은 갓 지름이 3㎝~5㎝밖에 안 되는 것도 있다. 갓 표면은 회색으로 두꺼우며, 단단한 껍질로 덮여 있고, 회황갈색이나 흑갈색 물결 무늬 또는 가로로 심한 홈줄이 나 있다. 갓 가장자리는 둔하고 황갈색이다. 표피는 황갈색이며 질긴 모피처럼 생겼다. 아랫면은 회백색이고, 줄기구멍은 여러 층이고 빽빽한 회색 또는 연한 주황색의 작은 구멍이 있다. 맛은 약간 쓰고 밋밋하다. 목재부후균으로 흰색 부패를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껍질이 단단하여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할 때는 잘게 썰어 달여 차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고, 간경변, 발열, 눈병, 복통, 감기, 변비, 폐결핵, 소아식체, 식도암, 위암, 자궁암 등에 약용한다. 해열과 이뇨 작용이 있으며, 히포크라테스도 상처의 뜸을 뜨는 데 이 버섯을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기원전 8000년 전의 유적에서도 발견되어 현재 가장 오랜 된 버섯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한국(두륜산, 방태산, 발왕산, 지리산, 한라산) 등 북반구 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과학의 발달로 환경이 파괴되어 대기, 수질 등이 오염되어 가축이나 양식어류의 폐사율을 증가하고 있는데, 이를 낮추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사료첨가제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사료첨가제는 항생제나 발육 촉진제 등 각종 약품을 첨가하므로, 이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한 가축이나 양식어류의 생산품에 사료첨가제의 약품이 잔류하여 이를 섭취하는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료첨가제와 같이 항생물질 등 각종 약품을 첨가하지 않고, 천연물만 이용하여 면역력 강화는 물론 고품질의 축산물 또는 양식어류를 생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a) 상황버섯을 수분 함유율 10%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b) 상기(a)단계의 상황버섯을 스팀 증숙기에서 1~3시간동안 증숙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상황버섯을 수분 함유율 3%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상황버섯을 50㎛~8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e) 말굽버섯을 수분 함유율 10%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f) 상기(e)단계의 말굽버섯을 스팀 증숙기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하는 단계; (g) 상기(f)단계의 말굽버섯을 수분 함유율 5%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h) 상기(g)단계의 말굽버섯을 50㎛~8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i) 자작나무 수피를 수분 함유율 5%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j) 상기(i)단계의 자작나무 수피를 1㎛~1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k) 상기(d)단계의 상황버섯 분말 20~30% : 상기(h)단계의 말굽버섯분말 20~30% : 상기(j)단계의 자작나무 수피 분말 40~60%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단계; (l) 상기(k)단계의 혼합된 재료를 습도 80~90%, 30℃~35℃의 온도에서 2일~3일간 발효하는 단계; (m) 상기(l)단계의 재료를 수분 함유율 7% 이내로 건조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작나무 수피를 이용한 천연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사료첨가제를 일반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므로 가축과 어류를 사육하면 폐사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축산물과 양식 어류의 맛과 육질이 향상되고 단백질 등 영양성분이 향상된다. 특히 축산물과 양식 어류의 체중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향상되었으며 성인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콜레스테롤이 저하된다. 또한 축산물 및 양식 어류의 불쾌취가 없어서 고품질의 축산물 및 양식어류를 생산하여 경쟁력을 강화시킨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자작나무 수피를 이용한 천연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은 (a) 상황버섯을 수분 함유율 10%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b) 상기(a)단계의 상황버섯을 스팀 증숙기에서 1~3시간동안 증숙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상황버섯을 수분 함유율 3%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상황버섯을 50㎛~8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e) 말굽버섯을 수분 함유율 10%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f) 상기(e)단계의 말굽버섯을 스팀 증숙기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하는 단계; (g) 상기(f)단계의 말굽버섯을 수분 함유율 5%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h) 상기(g)단계의 말굽버섯을 50㎛~8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i) 자작나무 수피를 수분 함유율 5%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j) 상기(i)단계의 자작나무 수피를 1㎛~1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k) 상기(d)단계의 상황버섯 분말 20~30% : 상기(h)단계의 말굽버섯분말 20~30% : 상기(j)단계의 자작나무 수피 분말 40~60%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단계; (l) 상기(k)단계의 혼합된 재료를 습도 80~90%, 30℃~35℃의 온도에서 2일~3일간 발효하는 단계; (m) 상기(l)단계의 재료를 수분 함유율 7% 이내로 건조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축산용 일반사료 및 어류양식용 일반사료에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첨가 비율은 0.05%~10%의 중량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한 천연사료첨가제를 일반사료에 첨가하여 가축 또는 양식어류에 급여하면 가축 또는 양식어류의 폐사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축산물 또는 양식어류의 맛과 육질과 단백질 등 영양성분이 향상된다. 축산물 또는 양식어류의 콜레스테롤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인류의 건강에 유익한 축산제품 및 양식어류 생산품의 경쟁력을 강화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단계 중 상기(k)단계의 혼합비율을 자작나무 수피 40%, 상황버섯 분말 30%, 말굽버섯 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양계용 사료, 축돈용 사료, 축우용 사료, 장어양식용 사료, 광어양식용 사료에 각각 본 발명의 천연사료첨가제를 1%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준비하였다.
실시예1
양계용 일반사료에 본 발명의 천연사료첨가제를 1%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70주령의 닭 100마리에게 15일간 급여한 후 산란한 계란 및 계육을 준비하였다.
비교예1
양계용 일반사료를 70주령의 닭 100마리에게 15일간 급여하여 산란한 계란 및 계육을 준비하였다.
실시예2
병아리용 일반사료에 본 발명의 천연사료첨가제를 1%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부화 후 7일령의 병아리 100마리에게 20일간 급여하여 폐사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2
병아리용 일반사료를 부화 후 7일령의 병아리 100마리에게 20일간 급여하여 폐사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3
오리사육용 일반사료에 본 발명의 천연사료첨가제를 1%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부화 후 20일 된 오리 100마리에게 20일간 급여하여 사육한 후 도축하여 오리육을 준비하였다.
비교예3
오리사육용 일반사료를 부화 후 20일 된 오리 100마리에게 20일간 급여하여 사육한 후 도축하여 오리육을 준비하였다.
실시예4
축돈용 일반사료에 본 발명의 천연사료첨가제를 1%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생후 100일령의 돼지 100마리에게 60일간 급여한 후 도축하여 돈육을 준비하였다.
비교예4
축돈용 일반사료를 생후 100일령의 돼지 100마리에게 60일간 급여한 후 도축하여 돈육을 준비하였다.
실시예5
축우용 일반사료에 본 발명의 천연사료첨가제를 1%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생후 17개월령의 한우 100마리에게 90일간 급여하여 사육한 후 도축하여 우육을 준비하였다.
비교예5
축우용 일반사료를 생후 17개월령의 한우 100마리에게 90일간 급여하여 사육한 후 도축하여 우육을 준비하였다.
실시예6
장어양식용 일반사료에 본 발명의 천연사료첨가제를 1%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생후 8개월령의 민물장어 100마리에게 60일간 급여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6
장어양식용 일반사료를 생후 8개월령의 민물장어 100마리에게 60일간 급여하여 준비하였다.
실시예7
광어양식용 일반사료에 본 발명의 천연사료첨가제를 1%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중량 500g의 양식광어 100마리에게 60일간 급여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7
광어양식용 일반사료를 중량 500g의 양식광어 100마리에게 60일간 급여하여 준비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생산되어진 축산물을 섭취하도록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 하였다. 평가방법은 20 ~ 50대의 남녀 40명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축산물 과 수산물을 시식하게 한 다음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는데, 맛, 향, 육질, 전체적인 기호도를 5점법으로 하여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관능검사 항목에 대해(매우 나쁘다 : 1점, 조금 나쁘다 : 2점, 보통이다 : 3점, 조금 좋다 : 4점, 매우 좋다 : 5점) 평가하였다.
<생 계란 시식 평가표>
구분 냄새 질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1 4.7 4.8 4.6 4.7
비교예1 3.6 3.4 3.8 3.6
<삶은 계란 시식 평가표>
구분 냄새 질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1 4.8 4.8 4.7 4.8
비교예1 3.5 3.9 4.1 3.8
<계육을 정제수에 삶아서 시식한 경우의 평가표>
구분 냄새 육질 육즙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1 4.8 4.7 4.7 4.6 4.7
비교예1 2.3 2.1 3.1 3.5 3.2
<오리육을 정제수에 삶아서 시식한 경우의 평가표>
구분 냄새 육질 육즙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3 4.8 4.7 4.6 4.8 4.7
비교예3 2.6 3.0 3.7 3.5 3.3
<삼겹살 부위를 팬에 구워서 시식한 경우의 평가표>
구분 냄새 육질 육즙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4 4.9 4.8 4.7 4.8 4.8
비교예4 2.6 3.0 3.4 3.3 3.1
<등심 부위를 팬에 구워서 시식한 경우의 평가표>
구분 냄새 육질 육즙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5 4.9 4.9 4.7 4.7 4.8
비교예5 4.0 3.8 4.1 4.0 3.9
<장어를 팬에 구워서 시식한 경우의 평가표>
구분 냄새 육질 육즙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6 4.7 4.8 4.8 4.7 4.7
비교예6 2.1 2.3 2.7 2.6 2.5
<광어를 회로 시식한 경우의 평가표>
구분 냄새 육질 육즙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7 4.8 4.8 4.7 4.6 4.7
비교예7 3.5 3.7 4.1 3.9 3.4
<각 실험군의 체중의 비교표 : 각 실험군의 마리당(개당) 평균치>
구분 계란
(1구)
병아리
(1마리)
오리
(1마리)
돼지
(1마리)
한우
(1마리)
민물장어
(1마리)
광어
(1마리)
실시예 69.5g 252.6g 3.7kg 126.1kg 486.2kg 475.7g 721.3g
비교예 63.2g 241.4g 3.2kg 118.6kg 465.5kg 405.1g 642.9g
<각 실험군의 실험사육 완료일 기준 폐사율(%) 비교표>
구분 병아리 오리 돼지 민물장어 광어
실시예 2 1 0 0 3 4
비교예 19 9 4 5 25 21
<계란의 영양성분 분석비교표>
구분 가식부 100g당
수분
(%)
단백질
(g)
지방
(g)
탄수화물 회분
(g)
콜레스테롤
(mg)
당질
(g)
섬유소
(g)
실시예1 78.5 14.1 5.4 0.9 0 1.1 315.8
비교예1 75.1 11.2 12.0 0.7 0 1.0 471.0
<계육의 영양성분 분석비교표>
구분 가식부 100g당
수분
(%)
단백질
(g)
지방
(g)
탄수화물 회분
(g)
콜레스테롤
(mg)
당질
(g)
섬유소
(g)
실시예1 71.7 19.7 7.4 0.2 0 1.0 64.1
비교예1 69.6 18.2 11.2 0.1 0 0.9 105.2
<오리육의 영양성분 분석비교표>
구분 가식부 100g당
수분
(%)
단백질
(g)
지방
(g)
탄수화물 회분
(g)
콜레스테롤
(mg)
당질
(g)
섬유소
(g)
실시예3 57.8 18.7 22.1 0.3 0 1.1 45.1
비교예3 55.1 15.4 28.4 0.1 0 1.0 75.4
<삼겹살 부위의 영양성분 분석비교표>
구분 가식부 100g당
수분
(%)
단백질
(g)
지방
(g)
탄수화물 회분
(g)
콜레스테롤
(mg)
당질
(g)
섬유소
(g)
실시예4 59.6 18.9 20.1 0.5 0 0.9 34.8
비교예4 47.3 16.5 29.8 0.3 0 0.7 58.4
<등심부위의 영양성분 분석비교표>
구분 가식부 100g당
수분
(%)
단백질
(g)
지방
(g)
탄수화물 회분
(g)
콜레스테롤
(mg)
당질
(g)
섬유소
(g)
실시예5 68.1 22.3 8.1 0.4 0 1.1 42.1
비교예5 67.5 19.1 12.3 0.2 0 0.9 68.6
<민물장어의 영양성분 분석비교표>
구분 가식부 100g당
수분
(%)
단백질
(g)
지방
(g)
탄수화물 회분
(g)
콜레스테롤
(mg)
당질
(g)
섬유소
(g)
실시예6 71.5 14.9 12.1 0.4 0 1.1 135.0
비교예6 67.7 12.7 18.4 0.2 0 1.0 197.2
<광어의 영양성분 분석비교표>
구분 가식부 100g당
수분
(%)
단백질
(g)
지방
(g)
탄수화물 회분
(g)
콜레스테롤
(mg)
당질
(g)
섬유소
(g)
실시예7 74.2 22.8 1.1 0.6 0 1.3 42.6
비교예7 77.6 19.4 1.7 0.2 0 1.1 69.4
표 1~표 8을 참조하면, 실시예가 비교예 보다 맛과 질감과 전체적인 기호도가 향상되고, 특유의 불쾌취가 적으며 맛과 육즙과 육질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9를 참조하면 비교예 보다 실시예의 실험군의 체중이 증가 하였으며, 표 10을 참조하면 비교예 보다 실시예의 폐사율이 현저하게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표 11 ~ 표 17을 참조하면 각종 영양성분이 향상되고, 콜레스테롤은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a) 상황버섯을 수분 함유율 10%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b) 상기(a)단계의 상황버섯을 스팀 증숙기에서 1~3시간동안 증숙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상황버섯을 수분 함유율 3%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상황버섯을 50㎛~8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e) 말굽버섯을 수분 함유율 10%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f) 상기(e)단계의 말굽버섯을 스팀 증숙기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하는 단계;
    (g) 상기(f)단계의 말굽버섯을 수분 함유율 5%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h) 상기(g)단계의 말굽버섯을 50㎛~8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i) 자작나무 수피를 수분 함유율 5% 이하로 건조하여 준비하는 단계;
    (j) 상기(i)단계의 자작나무 수피를 1㎛~1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k) 상기(d)단계의 상황버섯 분말 20~30% : 상기(h)단계의 말굽버섯분말 20~30% : 상기(j)단계의 자작나무 수피 분말 40~60%의 부피비로 혼합하는 단계;
    (l) 상기(k)단계의 혼합된 재료를 습도 80~90%, 30℃~35℃의 온도에서 2일~3일간 발효하는 단계;
    (m) 상기(l)단계의 재료를 수분 함유율 7% 이내로 건조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작나무 수피를 이용한 천연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천연물 첨가사료.
  3.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천연물 첨가사료 100g : 정제수 1L의 비율로 혼합하여 75℃~95℃에서 1시간~2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제조한 액상의 사료첨가액.

KR1020130096252A 2013-08-14 2013-08-14 자작나무 수피를 이용한 천연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1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252A KR101413306B1 (ko) 2013-08-14 2013-08-14 자작나무 수피를 이용한 천연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252A KR101413306B1 (ko) 2013-08-14 2013-08-14 자작나무 수피를 이용한 천연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306B1 true KR101413306B1 (ko) 2014-07-11

Family

ID=5174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2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3306B1 (ko) 2013-08-14 2013-08-14 자작나무 수피를 이용한 천연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3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500A (ko) * 2010-11-09 2012-05-17 주식회사 미네랄이십일 사료 첨가제,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혼합한 사료를 급여하여 얻어진 가축육
KR20130019446A (ko) * 2013-01-15 2013-02-26 박창하 천연물을 이용한 친환경 특수사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500A (ko) * 2010-11-09 2012-05-17 주식회사 미네랄이십일 사료 첨가제,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혼합한 사료를 급여하여 얻어진 가축육
KR20130019446A (ko) * 2013-01-15 2013-02-26 박창하 천연물을 이용한 친환경 특수사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033B1 (ko) 꽃송이 버섯, 노루둥뎅이 및 동충하초를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사료
CN106135128A (zh) 鸭子的生态养殖方法
CN104396862A (zh) 一种竹鼠中药饲料催育方法
KR101918483B1 (ko) 식용곤충 및 약용식물의 숙성액을 이용한 성형쌀 제조방법
CN100366149C (zh) 一种鸡的饲养方法及其所用饲料
CN105901396A (zh) 一种富含硒和虾青素的海蛋鸭补充饲料
CN105325748A (zh) 一种能够提高微山麻鸭种鸭繁殖能力的饲料
CN106614306A (zh) 一种土鸡饲养方法
CN106577513A (zh) 一种后期改善鸭肉肉质的饲养方法
KR100855755B1 (ko) 오가피 추출물을 이용한 가금류 사육방법 및 가금육을사용한 신규한 면류
KR20130100406A (ko) 홍삼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Ochokwu et al. Evaluation of milt quality of Clarias anguillaris (Linnaeus, 1758) Broodstock fed varying inclusion levels of wild hibiscus Azanza garckeana pulp meal
CN106070025A (zh) 一种青钱柳土鸡的饲养方法
KR20100065977A (ko) 산자나무를 포함하는 기능성 배합사료
KR101413306B1 (ko) 자작나무 수피를 이용한 천연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CN109220997A (zh) 一种五黑鸡的生态养殖方法
CN107712423A (zh) 一种改善笼养鸡肉质的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141434A (zh) 灰天鹅种鹅饲养方法
CN109496976B (zh) 一种生态竹鼠低成本环保养殖方法
CN107318759A (zh) 一种七百弄鸡的养殖方法
CN106615920A (zh) 一种土鸡饲料
KR101426917B1 (ko) 천연물을 이용한 친환경 특수사료의 제조방법
CN105875505A (zh) 一种白皮松苗圃中散养鸡的喂养方法
Devnath The productivity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 fed mushroom supplemented diet
KR20120002955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