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093B1 - Valve slider for beer dispenser valve - Google Patents

Valve slider for beer dispenser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093B1
KR101413093B1 KR1020130012018A KR20130012018A KR101413093B1 KR 101413093 B1 KR101413093 B1 KR 101413093B1 KR 1020130012018 A KR1020130012018 A KR 1020130012018A KR 20130012018 A KR20130012018 A KR 20130012018A KR 101413093 B1 KR101413093 B1 KR 101413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valve
foam
flow path
be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승우
Original Assignee
최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우 filed Critical 최승우
Priority to KR102013001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0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0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11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 B67D1/1416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comprising foam in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r dispenser valv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eer dispenser valve installed within a valve body. The valve slider for the beer dispenser valve comprises: a first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a flow path formed within the valve body; a valve stem movably installed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n the flow path of the valve body where the first valve body is separably coupled at an end and a bubble generation flow path is formed in the inside; a second valve body extended from a rear end of the valve stem, arranged in one body with the valve stem, and having a front end closed by a rear end portion of the valve stem and a rear end forming an internal space to be opened; a third valve body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valve body from a rear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and movably installed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ith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valve body; a finishing member separably coupl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lve body; and an elastic body positioned between the finishing member and the third valve body, wherein an end part of the bubble generation flow path open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valve body, and the third valve body opens and closes the bubble generation flow path according as it is elastically moved by the elastic body.

Description

맥주 디스펜서 밸브용 밸브 슬라이더{VALVE SLIDER FOR BEER DISPENSER VALVE}VALVE SLIDER FOR BEER DISPENSER VALVE FOR BEER DISPENSER VALVE

본 발명은 밸브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몸체 내에 설치된 맥주 디스펜서 밸브용 밸브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sli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lve slider for a beer dispenser valve installed in a valve body.

일반적으로, 맥주는 병맥주와 생맥주로 구분되며, 병맥주는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 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를 한 것이고, 이에 반해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열 및 살균 등과 같은 열처리를 하지 않은 것을 생맥주라 한다. 생맥주는 남아 있는 효모의 작용으로 신선하고 독특한 고유의 맛과 향을 가지고 있지만, 항상 냉장보관을 해야 하고 2일 내지 3일이 지나면 변질될 우려가 있는 단점이 있다. Generally, beer is classified into bottled beer and draft bee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beer, the beer is heat-treated such as heating and steriliz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beer, . Draft beer has a unique and unique flavor and aroma due to the action of the remaining yeast,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must be kept in a refrigerator at all times and deteriorated after 2 to 3 days.

생맥주를 판매하는 영업장소에서는 손님들에게 보다 시원하고 신선한 맥주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맥주 디스펜서를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The beer dispenser is equipped with a beer dispenser so that customers can quickly and freshly supply fresh beer.

이러한 맥주 디스펜서는 대부분 맥주통이 내설된 테이블의 상판에 고정설치되어 사용되며, 또한 별도의 맥주 냉각기에 의해 적정 온도로 냉각된 맥주를 맥주 디스펜서 밸브를 통해 인출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Most of these beer dispensers are fixedly installed on a top plate of a table having a beer barrel, and the beer cooled at a proper temperature by a separate beer cooler is drawn out through a beer dispenser valve.

이러한 맥주 디스펜서 밸브는 내부에 유로를 가진 밸브 몸체, 밸브 몸체 내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이동가능한 밸브 슬라이더, 밸브 슬라이더의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레버로 구성되고,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밸브 슬라이더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맥주를 인출한 후에, 조작레버의 반대 조작에 의해 맥주의 거품을 인출한다. The beer dispenser valve includes a valve body having a flow path therein, a valve slider movable to open and close a flow path in the valve body, and an operation lever for operating movement of the valve slider. The valve slider is moved in one direction After the beer is taken out, the bubble of the beer is taken out by the opposit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한편, 거품은 맥주가 산소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맥주 내에 함유된 탄산가스가 공기 중으로 유실됨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먹음직스러운 느낌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거품은 생맥주가 채워진 컵의 상부에 20% 내지 30% 정도로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ubbles prevent the beer from contacting with oxygen, thereby preventing the carbon dioxide gas contained in the beer from being lost to the air, and visually giving a feeling of good taste to the bubbles. Most preferably from about 20% to about 30%.

하지만, 종래의 맥주 디스펜서 밸브는 맥주 또는 거품의 인출이 끝난 후에도 밸브 몸체 내에서 잔류한 맥주 또는 거품이 밸브 슬라이더를 따라 이동하여 밸브몸체로부터 누설되는 현상이 심하고, 이로 인해 그 주변환경을 심하게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eer dispenser valve has a problem that even after the beer or foam is drawn out, the beer or foam remaining in the valve body moves along the valve slider and leaks from the valve body, There were disadvantag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맥주 또는 거품이 밸브 몸체에서 외부로 누설됨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맥주 디스펜서 밸브용 밸브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lve slider for a beer dispenser valv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leakage of beer or foam from the valve body to the outside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easy to operate. It has its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맥주 디스펜서 밸브용 밸브 슬라이더는, 밸브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1밸브체와; 상기 밸브 몸체의 유로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선단에는 상기 제1밸브체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거품발생유로가 형성되는 밸브스템과; 상기 밸브스템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밸브스템과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선단은 상기 밸브스템의 후단부분에 의해 페쇄되고 후단은 개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2밸브체와; 상기 제2밸브체의 후방측에서 상기 제2밸브체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밸브체의 내부공간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밸브체와; 상기 제2밸브체의 후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부재와; 상기 마감부재와 상기 제3밸브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품발생유로의 단부는 상기 제2밸브체의 내부공간과 소통하며, 상기 제3밸브체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품 발생유로를 개폐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lve slider for a beer dispenser valve, comprising: a first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a flow path formed inside a valve body; A valve stem movably installed on the flow path of the valve body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e valve stem being detachably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valve stem and having a bubble generating flow path formed therein; A second valve body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valve stem, the second valve body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valve stem, the front end being closed by a rear end portion of the valve stem, and the rear end being opened; A third valve bod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valve body from the rear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and movab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valve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closure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second valve body; And an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closing member and the third valve body, wherein an end of the foam generating passage communicates with an inner space of the second valve body, and the third valve body is resiliently The bubble generating flow path is opened and closed.

상기 제3밸브체의 후단에는 상기 마감부재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탄성체의 선단이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재의 선단측에는 상기 제3밸브체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 내에는 상기 탄성체의 후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리테이너홈이 형성될 수 있다.A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hird valve body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closure member to receive and support the tip end of the elastic body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third valve body is formed at the tip end side of the closure member And a retainer groove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elastic body is inserted and supported may be formed in the extended portion.

상기 제2밸브체의 선단측 외주면에는 환형의 에어수용홈과, 상기 에어수용홈과 상기 밸브몸체의 유로를 향해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빼기 개구가 소통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valve body may be formed with an annular air receiving groove and at least one air vent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air receiving groove and the flow path of the valve body.

상기 제3밸브체의 외주면과 상기 제2밸브체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 틈새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3밸브체는 외경이 상기 제2밸브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valve body may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valve body so that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valve body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valve body.

상기 제1밸브체의 내부 및 상기 밸브스템의 내부에는 거품발생유로가 서로 소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valve body and the valve stem may be formed so that the bubble generating flow path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제2밸브체의 선단측 외주면에는 상기 맥주 디스펜서 밸브 내의 거품 인출공과 상기 유로가 서로 소통함을 차단하기 위한 제1밀착부재 고정홈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체의 후단측 외주면에는 상기 거품인출공의 거품이 상기 마감부재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제2밀착부재 고정홈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밀착부재 고정홈 및 상기 제2밀착부재 고정홈 각각에는 밀착부재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And a first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for block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foam draw-out hole and the flow path in the beer dispenser valve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distal end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A second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for blocking the bubble of the foam draw-out hole from flowing out toward the closing member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each of the first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contact member Insert can be fixed.

상기 맥주 디스펜서 밸브 내의 상기 제2밸브체의 선단측 외주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거품 인출공과 상기 유로가 서로 소통함을 차단하기 위한 제1밀착부재 고정홈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맥주 디스펜서 밸브 내의 상기 제2밸브체의 후단측 외주면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거품인출공의 거품이 상기 마감부재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제2밀착부재 고정홈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밀착부재 고정홈 및 상기 제2밀착부재 고정홈 각각에는 밀착부재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A first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for block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foam outlet hole and the flow path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in a portion of the beer dispenser val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And a second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for blocking the bubble of the foam draw-out hole from flowing out toward the closing member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fac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fixing grooves, respectively.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맥주 및 거품의 인출이 끝난 후에, 맥주 또는 거품이 밸브슬라이더와 유로 사이를 통해 이동됨이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이에 맥주 또는 거품이 마감부재와 밸브 몸체의 유로 사이의 틈새 등을 통해 밸브 몸체의 외측으로 외부로 누설됨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조립 및 분해가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beer and the foam are completely drawn out, the movement of the beer or foam through the valve slider and the flow path is effectively blocked, so that the beer or the foam is separated from the gap between the closing member and the flow path of the valve body The valve body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valve body.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ssembly and disassembly are very easy and simp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슬라이더가 적용된 맥주 디스펜서 밸브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맥주 디스펜서 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밸브슬라이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밸브슬라이더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맥주 디스펜서 밸브의 맥주 인출작동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맥주 디스펜서 밸브의 거품 인출작동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슬라이더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슬라이더가 적용된 맥주 디스펜서 밸브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beer dispenser valve to which a valve sl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er dispenser valve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slider of FIG. 2,
FIG. 4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the valve slider of FIG. 3,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beer pull-out operation of the beer dispenser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foam dispensing operation of the beer dispenser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valve sli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beer dispenser valve to which a valve sli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슬라이더를 적용한 맥주 디스펜서 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밸브슬라이더(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밸브슬라이더의 결합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er dispenser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slider 100 of FIG. 2, and FIG. 3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the valve slider of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주 디스펜서 밸브는 내부에 유로(11)를 가진 밸브 몸체(10), 밸브 몸체(10)의 하측에 형성되어 맥주 및 거품이 인출되는 인출부(20), 밸브 몸체(10)의 유로(1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밸브 슬라이더(100), 상기 밸브 슬라이더(100)를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레버(4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beer dispenser valve includes a valve body 10 having a channel 11 therein, a drawer 20 formed below the valve body 10 to draw beer and foam, A valve slider 100 provided movabl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flow path 11 of the valve body 10 and an operation lever 40 for operating the valve slider 100 to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 밸브 몸체(10)는 그 내부에 유로(11)가 형성되고, 이 유로(11)에는 상기 밸브 슬라이더(100)의 제1밸브체(110)의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시트(11a)가 형성된다. The valve body 10 has a passage 11 formed therein and a valve seat 11a opened and clos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valve body 110 of the valve slider 100 .

맥주 및 거품이 인출되는 인출부(20)는 밸브 몸체(10)의 하측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인출부(20)에는 맥주 인출공(21) 및 거품 인출공(22)이 구획되어 형성된다. 맥주 인출공(21)의 내경은 거품 인출공(22)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맥주 인출공(21)의 하측에는 제1끼움단턱(21a)이 형성되고, 거품 인출공(22)의 하측에는 제2끼움단턱(22a)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맥주 인출공(21) 및 거품 인출공(22)을 가진 상기 인출부(20)가 밸브 몸체(10)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그 제조공정이 간편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beer extracting hole 21 and the foam extracting hole 22 are formed in the drawer 20 so as to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valve body 10 do. The inner diameter of the beer extracting hole 21 is form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oam extracting hole 22. A first fitting step 21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eer extracting hole 21 and a second fitting step 22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oam extracting hole 22. [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aw-out portion 20 having the beer extracting hole 21 and the foam extracting hole 2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valve body 10,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Can be saved.

그리고, 인출부(20)에는 인출노즐(25)이 밀봉적으로 결합되고, 인출노즐(25)에는 인출부(20)의 맥주 인출공(21)과 소통하는 맥주 인출유로(26) 및 인출부(20)의 거품 인출공(22)과 소통하는 거품 인출유로(27)가 형성된다. 그리고, 인출노즐(25)의 상단에는 맥주 인출공(21)의 제1끼움단턱(21a)측에 끼움결합되는 제1끼움돌기(25a) 및 거품 인출공(22)의 제2끼움단턱(22a)측에 끼움결합되는 제2끼움돌기(25b)가 형성되며, 맥주 인출유로(26)는 제1끼움돌기(25a)의 내부로 연장되고, 거품 인출유로(27)는 제2끼움돌기(25b)의 내부로 연장된다. The drawer nozzle 25 is sealingly engaged with the drawer 20. The drawer nozzle 25 is provided with a beer extracting passage 26 communicating with the beer extracting hole 21 of the drawer 20, Out port 27 communicating with the foam outlet hole 22 of the gas outlet port 20 is formed. The upper end of the drawing nozzle 25 is provided with a first fitting protrusion 25a fitted to the first fitting step 21a side of the beer extracting hole 21 and a second fitting protrusion 25b fitted into the second fitting step 22a The beer outflow channel 26 is extended into the first fitting protrusion 25a and the foam outflow channel 27 is fitted into the second fitting protrusion 25b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출부(20)의 맥주 인출공(21) 및 거품 인출공(22)을 인출노즐(25)의 맥주 인출유로(26) 및 거품 인출유로(27)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시킴에 따라 맥주 및 거품의 인출을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beer extraction hole 21 and the foam extraction hole 22 of the extraction portion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eer extraction passage 26 and the foam extraction passage 27 of the extraction nozzle 2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extraction of beer and bubbles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smoothly by extending each of them.

한편, 인출부(20)의 맥주 인출공(21) 및 거품 인출공(22) 사이에는 공기유입공(23)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인출노즐(25)의 맥주 인출유로(26)와 거품 인출유로(27) 사이에 공기 유로(28)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air inflow hole 23 can be formed between the beer outflow hole 21 and the foam outflow hole 22 of the drawer 20, and the beer outflow passage 26 of the drawout nozzle 25 can be formed, And an air flow passage 28 may be formed between the foam outlet passage 27 and the foam outlet passage 27.

이에, 인출부(20)의 공기유입공(23)과 인출노즐(25)의 공기 유로(28)는 상호 소통하고, 상기 공기유입공(12)은 후술하는 상기 밸브슬라이더(100)의 상기 에어수용홈(132) 및 적어도 하나의 에어빼기 개구(134)를 통해 상기 유로(11)와 소통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공(23)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밸브 몸체(10)의 유로(11)로 유입됨에 따라 맥주 및 거품이 인출부(20)를 통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밸브 몸체(10)의 유로(11) 내에 맥주가 잔류됨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The air inlet hole 23 of the draw-out portion 20 communicates with the air flow passage 28 of the draw-out nozzle 25. The air inlet hole 12 communicates with the air hole 28 of the valve slider 100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11) through the receiving groove (132) and at least one air vent opening (134). Therefore, as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flow path 11 of the valve body 10 through the air inflow hole 23, the beer and foam can be quickly and smoothly drawn out through the draw-out portion 20. This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beer from remaining in the flow path 11 of the valve body 10.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슬라이더(100)는, 제1밸브체(110), 밸브스템(120), 제2밸브체(130), 제3밸브체(140), 탄성체(150), 및 마감부재(160)을 구비한다.2 to 4, a valve sli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alve body 110, a valve stem 120, a second valve body 130, a third valve body 120, A valve body 140, an elastic body 150, and a closing member 160.

상기 제1밸브체(110)는 상기 밸브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11)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후단에는 상기 밸브스템(12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밸브스템(120)의 선단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체(110)의 후단에는 결합홈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스템(120)의 선단이 상기 제1밸브체(110)의 후단과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1밸브체(110)는 내부에 제1거품발생유로(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스템(120)의 내부에 형성된 거품발생유로(122)와 소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valve body 110 is for opening and closing a flow path 11 formed inside the valve body 10 and the valve stem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a rear end thereof. For example,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stem 120,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valve body 110, And is screw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valve body (110). The first valve body 110 has a first foam generation passage 114 formed therein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foam generation passage 122 formed in the valve stem 120.

상기 제1밸브체(110)의 상기 제1거품발생유로(114)의 입구는 거품발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미세하게 형성되어, 맥주가 상기 제1밸브체(110)의 상기 제1거품발생유로(114)의 입구를 통해 유입될 때 1차적으로 거품이 발생되게 된다. The inlet of the first bubble generating flow path (114) of the first valve body (110) is finely formed so as to induce the generation of bubbles so that a beer flows into the first bubble generating flow path The bubbles are primarily generated when they ar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of the first adsorption member 114.

상기 제1밸브체(110)의 후방에는 러버 재질의 밀봉부재(112)가 장착되고, 조작레버(40)의 조작에 의해 밸브슬라이더(100)가 전후진함에 따라 제1밸브체(110)의 밀봉부재(112)는 상기 밸브 몸체(10)의 밸브시트(11a)에 밀착 내지 이격되게 되고, 이에 따라 밸브시트(11a)를 개폐한다. 상기 밸브시트(11a)의 개폐는 상기 유로(11)의 개폐 또는 유로(11)의 소통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것을 의미한다.A seal member 112 of a rubber material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first valve body 110 and the valve slider 100 of the first valve body 110 The sealing member 11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r spaced from the valve seat 11a of the valve body 10,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seat 11a.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seat 11a means shutting off or opening the communication of the flow path 11 or the communication of the flow path 11. [

상기 밸브스템(120)은 상기 밸브몸체(10)의 유로(1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는 상기 제1밸브체(11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제2거품발생유로(1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밸브체(110)의 제1거품발생유로(114)와 소통하도록 나사결합된다. 또한 후단에는 상기 제2밸브체(130)가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valve stem 120 is installed on the flow path 11 of the valve body 10 so as to be movabl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first valve body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ip of the valve stem 120, And a generation flow path 122 is formed and screw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foam generation flow path 114 of the first valve body 110. And the second valve body 130 is integrally formed at a rear end thereof.

상기 제2밸브체(130)는 상기 밸브스템(120)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선단은 상기 밸브스템(120)의 후단부분에 의해 폐쇄되고 후단은 개방되도록 내부공간(138)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밸브스템(120)의 내부에 형성된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는 상기 내부공간(138)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져,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를 통해 유입되는 거품 또는 맥주가 거품의 형태로 상기 내부공간(138)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valve body 13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rear end of the valve stem 120 and has a front end closed by the rear end portion of the valve stem 120 and an inner space 138 formed to open the rear end . The end portion 122a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formed in the valve stem 120 is exposed to the inner space 138 and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through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So that the bubbles or beer in the form of bubbles can flow out into the inner space 138.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는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중간부분보다 폭 또는 직경이 훨씬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맥주가 상기 제1밸브체(110)의 상기 제1거품발생유로(114)의 입구를 통해 유입될 때 1차적으로 발생된 거품이,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38)으로 유출되는 경우 2차적으로 거품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부드럽고 미세한 거품의 발생이 가능하게 된다. The end 122a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or a diameter much smaller than a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When bubbles that are generated primarily when they flow through the inlet of the first foam generation passage 114 flow out to the internal space 138 through the end portion 122a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Secondarily, bubbles are gener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soft and fine foam.

상기 제2밸브체(130)의 중간부분에는 두개의 장착구(136a,136b)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두개의 장착구(136a,136b)은 상기 제2밸브체(130)의 상부 및 하부에서 내부공간(138)과 소통하도록 상기 제2밸브체(130)의 상부 및 하부부분에 각각 형성된다.In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wo mounting holes 136a and 136b are formed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wo mounting holes 136a and 136b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138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respectively.

상기 두개의 장착구(136a,136b) 중 상부쪽의 장착구(136a)는 상기 조작레버(40)의 장착부(41)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레버(40)는 그 하단측에 장착부(41)를 가지고, 이 장착부(41)는 구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작레버(40)의 장착부(41)는 상기 제2밸브체(130)의 상기 장착구(136a)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3밸브체(140)의 장착공(144)에도 삽입되어 상기 조작레버(40)와 상기 밸브슬라이더(100)가 상호연동하도록 연결되게 된다.The upper mounting hole 136a of the two mounting holes 136a and 136b is for inserting the mounting portion 41 of the operating lever 40. [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lever 40 has a mounting portion 41 at a lower end side thereof, and the mounting portion 41 is formed into a spherical shape. The mounting portion 41 of the operation lever 40 is inserted through the mounting hole 136a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he operation lever 40 and the valve slider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상기 두개의 장착구(136a,136b) 중 하부쪽의 장착구(136b)는 상기 거품발생유로(122)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38)에 충전된 거품이 상기 거품 인출공(22)으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mounting hole 136b of the two mounting holes 136a and 136b is formed so that the foam filled in the inner space 138 is discharged to the foam outlet hole 22 through the foam generating passage 122. [ .

상기 제2밸브체(130)의 장착구(136a,136b), 특히 상부에 위치되는 장착구(136a) 가장자리에는 경사면(137)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37)에 의해 조작레버(40)의 장착부(41)가 제2밸브체(130)의 장착구(136a) 및 상기 제3밸브체(140)의 장착공(144) 내로 보다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그 조립성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n inclined surface 137 is formed at the edges of the mounting holes 136a and 136b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and in particular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136a. The mounting portion 41 can be more easily guided into the mounting hole 136a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and the mounting hole 144 of the third valve body 140, .

또한, 제2밸브체(130)의 선단측 외주면 또는 상기 밸브스템(120)의 후단측 외주면에는 환형의 에어수용홈(132)이 형성되고, 이 에어수용홈(132)에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빼기개구(134)가 소통되게 연결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에어빼기개구(134)는 상기 에어수용홈(132) 및 상기 밸브 몸체(10)의 유로(11)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공기 유입공(23)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에어수용홈(13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어빼기 개구(134)를 통해 효과적으로 상기 유로(11)에 유입될 수 있다. An annular air receiving groove 13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o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valve stem 120. At least one air- The opening 134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In particular, at least one air vent opening 134 is formed to open toward the air receiving groove 132 and the flow passage 11 of the valve body 10.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23 can be effectively introduced into the flow passage 11 through the air receiving groove 132 and the at least one air outlet opening 134.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어빼기 개구(134)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수용홈(132)를 균등하게 배분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2밸브체(130)의 선단측 외주면 상부측 또는 상기 밸브스템(120)의 후단측 외주면상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air vent opening 134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or in one. The valve stem 12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to evenly distribute the air receiving grooves 132. When the valve stem 120 is provided as a single unit, Sid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제2밸브체(130)는 특히 상기 밸브슬라이더(100)의 전후 이동 즉, 상기 제1밸브체(110)에 의한 밸브시트(11a)의 개폐여부에 상관없이 밸브 몸체(10)의 유로(11)와 상기 거품 인출공(22)의 소통을 항상 차단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슬라이더(100)가 전진하여 제1밸브체(110)가 밸브시트(11a)를 개방한 경우 상기 제2밸브체(130)는 상기 거품 인출공(22)과 상기 유로(11)가 서로 소통함을 차단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과 같이, 상기 밸브 슬라이더(100)가 후진하여 제1밸브체(110)가 밸브시트(11a)를 폐쇄하는 경우에도 제2밸브체(130)는 상기 거품 인출공(22)과 유로(11)가 서로 소통함을 차단한다. The second valve body 130 can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valve slider 100 regardless of whether the valve seat 11a is opened or closed by the first valve body 110, 11) and the foam outlet hole (22). 5, when the valve slider 100 advances and the first valve body 110 opens the valve seat 11a, the second valve body 130 contacts the foam outlet hole 22 and the flow path 11 are prevented from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6, even when the valve slider 100 is moved backward and the first valve body 110 closes the valve seat 11a, the second valve body 13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bubble draw- 22 and the flow path 11 are prevented from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밸브체(140)는 상기 제2밸브체(130)의 후방측에서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2 to 4, the third valve body 14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from the rear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And is movab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3밸브체(140)의 중간에는 장착공(144)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144)은 상기 제2밸브체(130)의 장착구(136a,136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40)의 장착부(41)가 상기 제2밸브체(130)의 상부에 위치된 장착구(136a)를 통과하여 상기 장착공(144)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A mounting hole 144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third valve body 140 so as to pass through the third valve body 14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mounting hole 14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holes 136a and 136b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41 of the operating lever 4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valve body 130 Through the mounting hole 136a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hole 144. [

상기 제3밸브체(140)의 장착공(144)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경사면(144a)이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이 경사면(144a)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40)의 장착부(41)가 제3밸브체(140)의 장착공(144) 내로 보다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그 조립성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 pair of inclined surfaces 144a are mutually symmetrically formed at an entrance edge of the mounting hole 144 of the third valve body 140 and the mounting portion 41 of the operating lever 40 is fixed by the inclined surface 144a. Can be guided more easily into the mounting hole 144 of the third valve body 140,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thereof.

상기 제3밸브체(140)는 외경이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밸브체(140)가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3밸브체(140)의 외주면과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틈새(미세한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The third valve body 140 may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his facilitates the insertion of the third valve body 140 into the internal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and facilitates the insertion of the third valve body 140 into the inner space 138, (Fine gaps) ar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130a and 130a.

이는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를 통과한 거품이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제3밸브체(140)의 외주면과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일정 틈새(미세한 틈새)를 통해 배출되고, 또한, 상기 제2밸브체(130)의 하부 장착구(136b)를 통해 상기 인출부(20)의 거품 인출공(22)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foam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bubble generating flow path 122 flow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valve element 14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valve element 130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valve element 13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opening 136b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o the foam outlet 22 of the outlet 20, to be.

추가적으로, 상기 제3밸브체(140)의 후단에는 상기 마감부재(160)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탄성체(150)의 선단이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지지돌기(146)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146)는 상기 탄성체(150)의 압축이나 이완시 탄성체(150)의 이탈을 방지하고 지지하게 된다.A support protrusion 146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third valve body 140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closure member 160 to receive the tip of the elastic body 150 and to support the support protrusion 146 Is prevented from supporting the elastic body 150 when the elastic body 150 is compressed or relaxed.

상기 제3밸브체(140)의 선단에는 밀봉부재(142)가 설치되고, 상기 제3밸브체(140)는 상기 밀봉부재(142)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38) 내에서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제3밸브체(140)는 상기 탄성체(150)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제3밸브체(140)는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 내에서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밸브체(140)의 전후 이동에 의해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밀봉부재(142)가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를 개폐하게 된다. A sealing member 142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third valve body 140 and the third valve body 140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138 through the sealing member 142, And the end 122a of the flow path 122 is opened or closed. The third valve body 140 is installed to move elastically by the elastic body 150. The third valve body 140 is resiliently movably provided in the inner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he third valve body 140 is elastically movable in the inner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he sealing member 142 opens and closes the end 122a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as shown in FIG.

즉 상기 제3밸브체(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슬라이더(100)가 전진하여 제1밸브체(110)가 밸브시트(11a)를 개방한 경우 제2밸브체(130)의 상기 내부공간(138) 내에서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를 폐쇄하여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를 차단함에 따라 거품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 발생이 필요한 경우, 상기 밸브슬라이더(100)가 후진하여 상기 제1밸브체(110)가 상기 밸브시트(11a)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3밸브체(140)는 후진하여 상기 제3밸브체(140)가 상기 내부공간(138) 내에서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를 개방하여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를 통해 거품이 유출되도록 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valve slider 100 advances and the first valve body 110 opens the valve seat 11a, the third valve body 140 The end portion 122a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is closed in the inner space 138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to prevent the foam from flowing out as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is blocked,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bubble generation is required, the valve slider 100 is moved backward and the first valve body 110 closes the valve seat 11a, The third valve body 140 is moved backward to open the end portion 122a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flow passage 122 in the internal space 138 so that the foam flows out through the second foam generation flow passage 122 .

상기 마감부재(160)는 상기 제2밸브체(130)의 후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을 폐쇄하게 된다. 상기 마감부재(160)는 상기 제3밸브체(140)가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밸브체(130)의 후단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The closing member 16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o close the inner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he closing member 160 is screw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in a state where the third valve body 14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

상기 마감부재(160)의 선단측에는 상기 제3밸브체(140) 또는 상기 제2밸브체(130)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16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62) 내에는 상기 탄성체(150)의 후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리테이너홈(164)이 형성될 수 있다. An extension portion 162 extending toward the third valve body 140 or the second valve body 130 is formed at the tip end side of the closing member 160 and the elastic body 150 may be inserted and retained to form a retainer groove 164.

상기 연장부(162)의 외주면에서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체(130)의 후단의 내주면, 즉 상기 내부공간(138)의 후단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마감부재(160)의 선단 즉 연장부(162) 부분이 상기 제2밸브체(130)의 후단과 분리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될 수 있다.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162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inner space 138, That is, a portion of the extension 162 may be screwed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상기 탄성체(150)는 상기 마감부재(160)와 상기 제3밸브체(14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탄성체(150)는 탄성 스프링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선단부분에는 상기 제3밸브체(140)의 후단에 형성된 지지돌기(146)가 삽입되고, 상기 탄성체(150)의 후단부분은 상기 마감부재(160)의 상기 리테이너홈(164)에 삽입되는 구성을 통해 지지된다. 상기 탄성체(150)에 의해 제3밸브체(140)는 탄성적으로 전후 이동할 수 있다. The elastic body 150 is interposed between the closing member 160 and the third valve body 140. A supporting protrusion 146 formed at a rear end of the third valve body 140 is inserted into a distal end portion of the elastic body 150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elastic body 150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closing body 140. [ Is inserted into the retainer groove (164) of the retainer (160). The third valve body 140 can elastically move back and forth by the elastic body 150.

상기 탄성체(150)의 후단이 상기 리테이너홈(164) 측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체(150)의 선단측에 상기 제3밸브체(140)의 지지돌기(146)가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밸브스템(120)과 일체형 구조의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에 상기 제3밸브체(140) 및 상기 탄성체(150)가 삽입되고, 상기 제2밸브체(130)의 후단부분이 상기 마감부재(160)와 나사결합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밸브 슬라이더(30)의 조립이나 분해가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The rear end of the elastic body 150 is inserted into the retainer groove 164 side and the support protrusion 146 of the third valve body 140 is inserted into the tip end side of the elastic body 150, The third valve body 140 and the elastic body 150 ar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having an integral structure with the valve stem 120, So that the valve slider 30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very easily and easily.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에 상기 제3밸브체(140) 및 상기 탄성체(1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마감부재(160)가 상기 제2밸브체(130)의 후단부분에 나사결합되는 경우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마감부재(160)의 선단부분이 상기 상기 제2밸브체(130)의 후단부분으로 삽입되게 되면, 상기 탄성체(150)의 탄성력 및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제3밸브체(140)가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를 폐쇄하게 된다.When the third valve body 140 and the elastic body 150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he closing member 16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he tip end portion of the closing member 160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while being threadedly engaged with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50, The third valve body 140 closes the end 122a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

한편, 상기 제1밸브체(110)의 내부 및 상기 밸브스템(120)의 내부에는 거품발생유로(114,1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체(110)의 제1거품발생유로(114)는 상기 밸브스템(120)의 제2거품발생유로(122)와 소통하고, 상기 밸브스템(120)의 제2거품발생유로(122)는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과 소통하도록 형성된다.Foam generating channels 114 and 122 are formed in the first valve body 110 and the valve stem 120 and the first foam generating channel 114 of the first valve body 110 is formed The second foam generating passage 122 of the valve stem 120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foam generating passage 122 of the valve stem 120 in the inner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

결과적으로, 상기 제1밸브체(110)의 제1거품발생유로(114)는 상기 밸브스템(120)의 제2거품발생유로(122)와 소통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밸브스템(120)의 제2거품발생유로(122)는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과 소통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As a result, the first foam generating passage 114 of the first valve body 110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oam generating passage 122 of the valve stem 120, 2 bubble generation flow passage 122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슬라이더(100)는, 상기 제2밸브체(130)와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상기 밸브스템(120)의 선단에 상기 제1밸브체(110)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에는 상기 제3밸브체(140)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138)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밸브체(130)의 후단은 상기 마감부재(16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138)을 폐쇄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valve slider 100 has the first valve body 110 screwed to the tip of the valve stem 120 having an integral structure with the second valve body 130, The third valve body 14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38 of the valve body 130 to open and close the end 122a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exposed to the inner space 138 do. The rear end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is engaged with the closing member 160 to close the inner space 138.

또한, 상기 마감부재(160)와 상기 제3밸브체(140) 사이에는 상기 탄성체(150)가 개재되어, 평상시 또는 맥주인출시에는 상기 탄성체(1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3밸브체(140)가 상기 내부공간(138)으로 노출된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를 폐쇄하여 거품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거품발생시에만 상기 제3밸브체(140)가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 내에서 후진하여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를 개방함에 따라 거품이 유출되도록 한다.The elastic body 150 is interposed between the closure member 160 and the third valve body 140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50 is applied to the third valve body 140 Closing the end portion 122a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exposed to the inner space 138 to prevent the foam from flowing out and allowing the third valve body 140 to move to the second So that the bubbles are discharged as the end portion 122a of the second bubble generating flow path 122 is opened by moving backward in the inner space 138 of the valve body 130. [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슬라이더(100)의 분해사시도(a) 및 결합사시도(b)를 나타낸 것으로, 제1밀착부재(139a), 제2밀착부재(139b), 제1밀착부재 고정홈(133a) 및 제2밀착부재 고정홈(133b)이 추가로 구비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을 통해 설명하는 바와 동일하다.7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 and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b) of a valve slid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slider 100 includes a first contact member 139a, a second contact member 139b, 1 to 4 except that the fastening member fixing groove 133a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133b are additionally provided.

상기 제1밀착부재(139a), 제2밀착부재(139b), 제1밀착부재 고정홈(133a) 및 제2밀착부재 고정홈(133b)은 맥주나 거품이 맥주인출공(21) 또는 거품인출공(22) 이외에 다른 부분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member 139a, the second contact member 139b, the first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133a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133b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beer or bubble, It may be provided to prevent leaking to other portions other than the hole 2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제2밸브체(130)의 선단측 외주면에는 오링 등의 제1밀착부재(139a)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맥주인출공(21)을 통해 맥주가 인출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항시적으로 상기 거품 인출공(22)과 상기 유로(11)가 서로 소통함을 항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7, a first contact member 139a such as an O-ring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in order to increase the barrier property, and the beer outlet hole 21 It is always possible to interrup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oam outlet 22 and the flow passage 11 at all times, including when the beer is drawn out.

또한, 상기 제2밸브체(130)의 후단측 외주면에는 오링 등의 제2밀착부재(139b)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제2밸브체(130)의 하부 장착구(136b)를 통해 거품이 상기 인출부(20)의 거품 인출공(22)으로 배출될 때, 거품이 마감부재(160)쪽으로 새어나가 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A second contact member 139b such as an O-ring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he second valve body 130 has a lower fitting hole 136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am from leaking toward the closing member 160 when the foam is discharged to the foam outlet 22 of the drawer 20. [

상기 제1밀착부재(139a)의 삽입고정을 위해 상기 제2밸브체(130)의 선단측 외주면에는 환형의 제1밀착부재 고정홈(133a)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밀착부재(139a)가 삽입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밸브체(130)의 후단측 외주면에는 환형의 제2밀착부재 고정홈(133b)이 형성되어 상기 제2밀착부재(139b)가 삽입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An annular first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133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n the tip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first contact member 139a so that the first contact member 139a is inserted And an annular second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133b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so that the second contact member 139b can be inserted and fixed.

상기 제1밀착부재(139a) 및 제2밀착부재(139b)는 맥주나 거품이 거품인출공(22) 또는 맥주인출공(21)이외의 다른 부분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지만, 맥주나 거품이 잔류물이 상기 밸브슬라이더(100)와 상기 맥주 디스펜서 밸브 몸체 내부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없애 맥주나 거품의 잔유물이 남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밸브몸체 내부에 일부 맥주나 거품의 잔유물이 굳어서 밸브 슬라이더(100)의 좌우 이동을 방해할 여지를 없애고, 잔유물이 일부 남아있더라고, 밀폐되어 있으므로 굳지 않도록 하여 밸브 슬라이더(100)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irst contact member 139a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139b prevent the beer or foam from leaking to other portions than the foam outlet 22 or the beer outlet 21, The bubble eliminates a gap that can be generated between the valve slider 100 and the inside of the beer dispenser valve body, thereby preventing the residue of beer or bubbles from being left. In addition, when the valve slider 100 is not used for a long time, the remaining part of the beer or bubbles in the valve body is stiffened so as to prevent the valve slider 100 from moving left and right. It is possible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슬라이더를 적용한 맥주 디스펜서 밸브의 단면도이다.8 is a sectional view of a beer dispenser valve to which a valve sli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슬라이더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도 8의 경우에는 도 7에서 설명한 제1밀착부재(139a), 제2밀착부재(139b), 제1밀착부재 고정홈(133a) 및 제2밀착부재 고정홈(133b)이 상기 밸브슬라이더(100)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밸브슬라이더(100)가 이동되는 밸브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맥주 디스펜서 밸브 내의 상기 제2밸브체(130)의 선단측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 부분에는 거품 인출공(22)과 상기 유로(11)가 서로 소통함을 차단하기 위한 제1밀착부재 고정홈(133a)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valve slider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8, the first contact member 139a, the second contact member 139b, the first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133a,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133b described in Fig. The valve slider 100 is not formed in the valve body 100 but formed inside the valve body 10 to which the valve slider 100 is moved. In other word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of the beer dispenser val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is provided with a first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22 for block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oam outlet hole 22 and the flow path 11 (133a)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또한, 상기 맥주 디스펜서 밸브 내의 상기 제2밸브체(130)의 후단측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 부분에는 상기 거품인출공(22)의 거품이 상기 마감부재(160)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제2밀착부재 고정홈(133b)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ellows dispenser valve is provided with an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for preventing bubbles of the foam outlet bell 22 from flowing out toward the closure member 160 2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133b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상기 제1밀착부재 고정홈(133a)에는 상기 제1밀착부재(139a)가 삽입고정되고, 상기 제2밀착부재 고정홈(133b)에는 제2밀착부재(139b)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member 139a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133a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139b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133b.

상기 제1밀착부재(139a) 및 제2밀착부재(139b)의 역할은 도 7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The roles of the first contact member 139a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139b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밸브 슬라이더(100)가 적용되는 맥주 디스펜서 밸브의 작동을 도 1 및 도 5 내지 도 6을 통해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beer dispenser valve to which the valve sli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5 to 6 as follow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조작레버(40)는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슬라이더(30)의 제1밸브체(110)가 밸브 몸체(10)의 밸브시트(11a)에 밀착되어 밸브 몸체(10)의 유로(11)가 폐쇄되며, 상기 밸브스템(120)의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는 상기 탄성체(1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3밸브체(14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맥주나 거품은 인출되지 않는다. The first valve body 110 of the valve slider 30 is pressed against the valve seat 11a of the valve body 10 as shown in Fig. And the end portion 122a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flow path 122 of the valve stem 12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50 so that the end portion 122a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flow path 122 of the valve stem 120, 3 valve body 140. As shown in Fig. As a result, no beer or foam is drawn ou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주 인출을 위해 상기 조작레버(40)를 후방측으로 기울이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부(41)가 앞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밸브 슬라이더(30) 전체가 유로(11) 상에서 전진한다. 이에 상기 밸브슬라이더(100)의 제1밸브체(110)가 밸브 몸체(10)의 밸브시트(11a)에서 이격되어 밸브 몸체(10)의 유로(11)가 개방되며, 이에 밸브 몸체(10)의 유로(11)를 통과한 맥주가 맥주 인출공(21) 및 인출노즐(25)의 맥주 인출유로(26)를 따라 맥주잔에 인출된다. 5, when the operating lever 40 is tilted rearward to withdraw beer, the mounting portion 41 is advanced forward correspondingly, and the entire valve slider 30 is moved upward Advance. The first valve body 110 of the valve slider 100 is separated from the valve seat 11a of the valve body 10 to open the valve body 10 and the valve body 10, The beer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flow path 11 of the take-out nozzle 25 and the beer take-out flow path 26 of the take-out nozzle 25 is drawn out to the beer glass.

이 상태에서 상기 밸브스템(120)의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는, 상기 탄성체(150)의 탄성력 및 상기 장착부(41)의 전진하는 힘이 작용되어 상기 제3밸브체(14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거품은 인출되지 않는다.In this state, the end 122a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of the valve stem 120 is elastically biased by the resilient force of the elastic body 150 and the forwarding force of the mounting portion 41, (140). ≪ / RTI > Accordingly, the foam is not drawn out.

이렇게 맥주가 인출된 후에 거품을 발생시켜 맥주잔에 거품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 도 6과 같이 조작레버(40)를 전방측으로 기울이면 상기 장착부(41)가 후진하게 된다. 이때는 상기 제3밸브체(140)를 제외한 상기 밸브 슬라이더(100)(예를 들면, 제1밸브체(110), 제2밸브체(130), 마감부재(160))는 상기 제1밸브체(110)가 밸브 몸체(10)의 밸브시트(11a) 측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후진하지 않는다. When bubbles are to be generated in the beer glass after the beer is drawn out, when the operation lever 40 is tilted forward as shown in FIG. 6, the mounting portion 41 is moved backward. At this time, the valve slider 100 (for example, the first valve body 110, the second valve body 130, and the closing member 160), except for the third valve body 140,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alve seat (11a) side of the valve body (10).

이런 상태에서 제3밸브체(140)는 상기 장착부(41)의 후진에 의해 상기 탄성체(34)를 가압하면서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 내에서 후진한다. 이렇게 제3밸브체(140)가 후진함에 따라 제3밸브체(140)의 밀봉부재(142)에 폐쇄되었던 상기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가 개방된다. In this state, the third valve body 140 moves backward in the inner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while pressing the elastic body 34 by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mounting portion 41. As the third valve body 140 is retracted, the end 122a of the second foam generation passage 122, which was closed by the sealing member 142 of the third valve body 140, is opened.

이런 상태에서, 맥주가 제1밸브체(110)의 제1거품발생유로(114) 및 상기 밸브스템(120)의 제2거품발생유로(122)를 통과하면서 거품을 발생하고, 이러한 거품은 제2거품발생유로(122)의 단부(122a)를 통해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으로 유출되어 내부공간(138) 내에 충전되게 된다. 상기 제2밸브체(130)의 내부공간(138)으로 충전된 거품은 상기 제2밸브체(130)와 상기 제3밸브체(140)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통해 유출되어, 상기 제2밸브체(130)의 하부 장착구(136b)를 통해 유출되고, 상기 거품 인출공(22) 및 인출노즐(25)의 거품 인출유로(27)를 통해 맥주잔에 인출된다. In this state, the beer passes through the first foam generating passage (114) of the first valve body (110) and the second foam generating passage (122) of the valve stem (120) 2 flow out into the inner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through the end portion 122a of the bubble generating flow path 122 to be filled in the inner space 138. [ The foam filled in the inner space 138 of the second valve body 130 flows out through the minute gap between the second valve body 130 and the third valve body 140, And is drawn out to the beer cup through the foam draw-out port 22 and the foam draw-out flow path 27 of the draw-out nozzle 25.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슬라이더는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고, 조작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맥주 및 거품의 인출이 끝난 후에, 맥주 또는 거품이 밸브 슬라이더와 유로 사이를 통해 이동됨이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이에 맥주 또는 거품이 마감부재와 밸브 몸체의 유로 사이의 틈새 등을 통해 밸브 몸체의 외측으로 외부로 누설됨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alve sl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simple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nd is easy to operate. Further, after the beer and the foam are withdrawn, the beer or foam is effectively blocked from moving through the valve slider and the flow path, and the beer or foam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valve body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losing member and the flow path of the valve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leakage to the outside from outsid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10: 밸브 몸체 20: 인출부
100: 밸브 슬라이더 110: 제1밸브체
120: 밸브스템 130: 제2밸브체
140; 제3밸브체 122: 제2거품발생유로
150: 탄성체 160; 마감부재
40: 조작레버 41: 장착부
10: valve body 20:
100: valve slider 110: first valve body
120: valve stem 130: second valve body
140; Third valve body 122: Second bubble generating channel
150: elastic body 160; Closing member
40: Operation lever 41:

Claims (7)

내부에 유로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하측에 형성되며, 맥주인출공과 거품인출공이 구획되어 형성되어 맥주 및 거품이 인출되는 인출부와, 조작레버를 구비하는 맥주 디스펜서 밸브를 구성하며, 상기 밸브몸체의 유로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1밸브체와;
상기 밸브 몸체의 유로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선단에는 상기 제1밸브체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거품발생유로가 형성되는 밸브스템과
상기 밸브스템의 후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밸브스템과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선단은 상기 밸브스템의 후단부분에 의해 페쇄되고 후단은 개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2밸브체와;
상기 제2밸브체의 후방측에서 상기 제2밸브체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밸브체의 내부공간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밸브체와;
상기 제2밸브체의 후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부재와;
상기 마감부재와 상기 제3밸브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품발생유로의 단부는 상기 제2밸브체의 내부공간과 소통하며, 상기 제3밸브체는 상기 탄성체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품 발생유로를 개폐하고,
상기 제2밸브체의 선단측 외주면 또는 상기 밸브스템의 후단측 외주면에는 환형의 에어수용홈과, 상기 에어수용홈과 상기 밸브몸체의 유로를 향해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빼기 개구가 소통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슬라이더.
A beer dispenser valve having a valve body having a flow path therein and a drawer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valve body and formed by partitioning a beer extracting hole and a foam extracting hole to draw beer and foam, And a valve slider installed to be movabl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n the flow path of the valve body,
A first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a flow path formed inside the valve body;
A valve stem provided movab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flow path of the valve body, the valve stem being removably coupled with the first valve body at a tip end thereof,
A second valve body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valve stem, the second valve body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valve stem, the front end being closed by a rear end portion of the valve stem, and the rear end being opened;
A third valve bod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valve body from the rear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and movab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valve body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closure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a rear end of the second valve body;
And an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closing member and the third valve body,
The end of the bubble generating flow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valve element, and the third valve element opens and closes the bubble generating flow passage as it is elastically moved by the elastic body,
At least one air vent opening opening toward the flow passage of the valve body and the air receiving groove are communicab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valve stem And the valve sli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밸브체의 후단에는 상기 마감부재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탄성체의 선단이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재의 선단측에는 상기 제3밸브체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 내에는 상기 탄성체의 후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리테이너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슬라이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hird valve body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closure member to receive and support the tip end of the elastic body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third valve body is formed at the tip end side of the closure member And a retainer groove, into which the rear end of the elastic body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extended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밸브체의 외주면과 상기 제2밸브체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 틈새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3밸브체는 외경이 상기 제2밸브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슬라이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valve body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valve body so that a clearan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valve body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valve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체의 내부 및 상기 밸브스템의 내부에는 거품발생유로가 서로 소통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슬라이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valve body and the valve stem are formed so that a bubble generating flow path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체의 선단측 외주면에는 상기 인출부 내의 상기 거품인출공과 상기 유로가 서로 소통함을 차단하기 위한 제1밀착부재 고정홈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체의 후단측 외주면에는 상기 거품인출공의 거품이 상기 마감부재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제2밀착부재 고정홈이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밀착부재 고정홈 및 상기 제2밀착부재 고정홈 각각에는 밀착부재가 삽입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슬라이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for preventing the foam draw-out hole and the flow path from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n the lead portion is annular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n the tip side of the second valve bod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member fixing grooves are formed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prevent the foam of the foam outlet member from flowing out toward the closing member, And the valve slider is inserted and fix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맥주 디스펜서 밸브 내의 상기 제2밸브체의 선단측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 부분에는 상기 거품인출공과 상기 유로가 서로 소통함을 차단하기 위한 제1밀착부재 고정홈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맥주 디스펜서 밸브 내의 상기 제2밸브체의 후단측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 부분에는 상기 거품인출공의 거품이 상기 마감부재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제2밀착부재 고정홈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밀착부재 고정홈 및 상기 제2밀착부재 고정홈 각각에는 밀착부재가 삽입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슬라이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for block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foam draw-out hole and the flow path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in an inner circumferential face portion of the beer dispenser valve corresponding to a distal end side outer peripheral face of the second valve body, A second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for blocking the bubble of the foam draw-out hole from flowing out toward the closing member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in an inner circumferential 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a rear end side outer peripheral face of the second valve body in the first valve body, And wherein a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in each of the member fixing groove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fixing groove.
KR1020130012018A 2013-02-01 2013-02-01 Valve slider for beer dispenser valve KR1014130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018A KR101413093B1 (en) 2013-02-01 2013-02-01 Valve slider for beer dispenser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018A KR101413093B1 (en) 2013-02-01 2013-02-01 Valve slider for beer dispenser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093B1 true KR101413093B1 (en) 2014-07-01

Family

ID=5174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018A KR101413093B1 (en) 2013-02-01 2013-02-01 Valve slider for beer dispenser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09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038A (en) 2016-12-13 2018-06-21 최승우 Valve slider for beer dispenser valve
KR101958232B1 (en) 2018-02-05 2019-03-14 윤진원 Tap structure of beer dispenser with adjustable handle orientation
CN110072799A (en) * 2016-12-13 2019-07-30 朝日集团控股株式会社 Beverage outpours plug valve, valve rod and beverage dispens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799A (en) * 1999-05-11 2000-11-21 Fic:Kk Beer plug
JP2006206157A (en) * 2005-01-31 2006-08-10 Fukushima Industries Corp Cock for sparkling bever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799A (en) * 1999-05-11 2000-11-21 Fic:Kk Beer plug
JP2006206157A (en) * 2005-01-31 2006-08-10 Fukushima Industries Corp Cock for sparkling beverag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038A (en) 2016-12-13 2018-06-21 최승우 Valve slider for beer dispenser valve
CN110072799A (en) * 2016-12-13 2019-07-30 朝日集团控股株式会社 Beverage outpours plug valve, valve rod and beverage dispenser
RU2713704C1 (en) * 2016-12-13 2020-02-07 Асахи Груп Холдингз, Лтд. Beverage pouring tap, valve stem and beverage dispenser
US10919755B2 (en) 2016-12-13 2021-02-16 Asahi Group Holdings, Ltd. Beverage discharge cock, valve rod, and beverage dispenser
CN110072799B (en) * 2016-12-13 2021-06-18 朝日集团控股株式会社 Beverage pouring plug valve, valve rod and beverage distributor
KR101958232B1 (en) 2018-02-05 2019-03-14 윤진원 Tap structure of beer dispenser with adjustable handle orien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093B1 (en) Valve slider for beer dispenser valve
US10653984B2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filter structure
KR101907121B1 (en) Valve slider for beer dispenser valve
US20110056222A1 (en) Refrigerator
KR20060099738A (en) Refrigerator
KR101603046B1 (en) Slide-button shower head
KR101303923B1 (en) Tuch safety cock for water dispenser and purifier
US10624311B2 (en) Water dispenser
KR101274072B1 (en) Valve stem assembly for beer dispenser valve
KR20170136805A (en) A water valve preventing redundant water from dripping and a refrigerator using the same
KR101578115B1 (en) Face cleansing device
KR200476073Y1 (en) Cartridge for cold water and hot water having step operation means of rotary click type
JP2013199284A (en) Beer extraction cock
KR101828430B1 (en) Hot water safety coke valve
JP6678074B2 (en) Dispenser
KR100557424B1 (en) Structure for supplementing a bubble of cock valve for dispensing draught beer
JP2008088635A (en) Faucet device
KR200437185Y1 (en) Drawing valve for draft beer
KR100967935B1 (en) valve for water saving
KR102134459B1 (en) Filter structure
US11015862B2 (en) Water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821449B2 (en) Hybrid shower head
US20200333066A1 (en) Water storage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2008223408A (en) Water discharging device
KR20110061747A (en) Cock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7

Year of fee payment: 6